[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92713A - 페달 암상의 조절가능한 패드를 위한 가이드 - Google Patents

페달 암상의 조절가능한 패드를 위한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713A
KR20010092713A KR1020010014879A KR20010014879A KR20010092713A KR 20010092713 A KR20010092713 A KR 20010092713A KR 1020010014879 A KR1020010014879 A KR 1020010014879A KR 20010014879 A KR20010014879 A KR 20010014879A KR 20010092713 A KR20010092713 A KR 20010092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scoping
pedal
assembly
telescoping element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9233B1 (ko
Inventor
안토니 마크햄
크리스토퍼 릭슨
크리스토퍼 보토론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텔레플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텔레플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9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2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adjustable
    • G05G1/405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adjustable infinitely adjus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189Foot operated
    • Y10T74/20195Offset ext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888Pedals
    • Y10T74/209Ex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달 암(pedal arm, 14, 114)에 상대적으로 조절 축(A)을 따라 q 페달 패드(pedal pad, 20, 12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나사산으로 상호 결합된 복수의 나사 부재(30, 130, 32, 132 및 42, 142)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절 가능한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제 1 텔레스코핑 요소(telescoping element, 24, 124) 및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는 조절 축(A)을 따라 페달 암(14, 114)에 상대적인 페달 패드(20, 120)의 이동을 안정시키기 위해 페달 패드(20, 120) 및 페달 암(14, 114)을 상호 결합하도록 텔레스코핑 축을 따라 서로 슬라이딩 결합한다.

Description

페달 암상의 조절가능한 패드를 위한 가이드{GUIDE FOR ADJUSTABLE PAD ON PEDAL ARM}
본 발명은 페달 패드가 페달 암으로부터 배치되는 거리가 조절될 수 있는 차량용 조절가능한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조립체에서, 지지체는 차량에서 피벗(pivot) 운동을 위한 페달 암을 지지하고 페달 패드는 차량의 브레이크를 사용하거나 스로틀(throttle)을 작동시키도록 페달 암을 피벗시키기 위한 힘을 수용한다. 조절기는 조절 축을 따라 페달 암에 대한 페달 패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페달 암의 말단부에서 페달 패드를 지지한다. 상기 조립체의 실시예는 릭슨(Rixon) 등의 미국 특허 제 5,884,532 호 및 1999년 6월 16일에 공개된 영국 특허 출원 제 2,332,264 호에 기술된다.
상기 미국 특허에 나타난 바와 같은 2개의 조절기들과 비교하였을 때 하나의 조절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그러나, 상기 영국 특허 출원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조절기가 사용되는 경우, 조절기의 허용 오차는 종종 페달 암에 대하여 페달 패드가 불안정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측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본 발명은 말단부를 가지는 페달 암이 지지체에 의해 차량에서 피벗 운동하도록 지지되는 차량용 조절가능한 페달 조립체를 제공한다. 페달 패드는 지지체에 대하여 페달 암을 피벗시키기 위한 힘을 수용하고 조절기는 조절 축을 따라 페달 암에 대하여 페달 패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페달 암의 말단부에서 페달 패드를 지지한다. 상기 조립체는 조절 축을 따라 페달 암에 대하여 패드의 이동을 안정시키기 위해 패드와 페달 암을 상호 결합시키는 가이드(guide)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조절기로 조절되지만 개별 가이드, 즉, 조절기와독립적인 가이드에 의해 측방 이동이 안정된 조절가능한 페달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타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되는 경우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때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차량내 본 발명을 도시하는 주변도;
도 2는 수축된 위치의 페달 패드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와 유사하나 연장된 위치의 페달 패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연장된 위치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선 5-5를 따라 도시된 단편적인 단면도;
도 6은 연장된 위치의 페달 패드를 가지는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및
도 7은 제 2 실시예의 구성품들의 분해도.
도면을 참조할 때, 100의 차이를 가지는 참고 번호들은 도면들에서 유사 또는 상응하는 부분들을 지시하는데, 차량(10)에 사용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페달 조립체의 제 1 실시예는 통상적으로 12로 표시되고 제 2 실시예는 통상적으로 112로 표시된다.
상기 조립체는 말단 또는 하단부를 가지고 차량(10)에서 피벗 운동을 위해 페달 암(14, 114)을 지지하는 지지체(16, 116)에 의해 지지되는 페달 암(14, 114)을 포함한다. 지지체(16, 116)는, 브라킷(bracket, 17)에 의해 차량(10)에서 지지되는, 샤프트(shaft) 등을 포함한다. 페달 암(14, 114)은 샤프트상에서 회전되거나 차량(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다. 제어기 부착부(18, 118)는 브레이크 또는 액셀러레이터 제어기에 결합하기 위해 페달 암(14, 114)상에 포함된다.
페달 패드(20, 120)는 페달 암(14, 114)을 피벗시키기 위한 힘을 수용하고, 통상적으로 22 및 122로 표시되는, 조절기는 조절 축(A)을 따라 페달 암(14, 114)에 상대적으로 페달 패드(20, 1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페달 암(14, 114)의 말단부에서 페달 패드(20, 120)를 지지한다.
상기 조립체는 조절 축(A)을 따라 페달 암(14, 114)에 상대적인 페달 패드(20, 120)의 이동을 안정시키기 위해 페달 패드(20, 120)와 페달 암(14, 114)을 상호 결합하는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가이드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좀더 자세하게, 가이드는 조절 축(A)에 평행한 텔레스코핑 축을 따라 서로 슬라이딩 결합하는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와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를 포함한다.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좀더 명백해지는 것으로서, 텔레스코핑 축은 도 2-5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조절 축(A)과 평행하고 이격된 반면 텔레스코핑 축은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조절 축(A)과 동축이다. 설편(tongue) 및 그루브(groove) 연결체(28, 128)는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가 텔레스코핑 축 둘레를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에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조절기(22, 122)는 나사 부재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에 반응하여 조절 축(A)을 따라 페달 패드(20, 1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나사산으로 상호 결합되는 복수의 나사 부재들을 포함한다. 좀더 자세하게는, 제 1 나사 부재(30, 130)는 하우징(housing, 32, 132)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 실시예의 하우징(132)은, 적절한 체결구로 서로 고정되는, 두 부분(132a 및 132b)으로 구성된다.
비회전 연결체(34, 134a 및 134b)는 제 2 의 나사 부재(36, 136)와 페달 패드(20, 120)를 상호 결합한다. 제 2 실시예의 페달 패드(120)는 비회전 연결체의 와셔형 부분(134a)상을 슬라이딩하는 U-형 클립(135)을 포함하고 핀(133)이 상기 부분(134a)과 클립(135)을 상호 결합하도록 홀(hole, 137)을 통과하여 연장한다.
제 1 작동 연결체(38, 138a 및 138b)는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와 하우징(32, 132)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32, 132)에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를 결합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는 하우징(32)의 안내면(slideway)으로 형성되고 하우징(32)에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를 결합하는 제 1 작동 연결체(38)는 하우징(32)의 구성부로 형성된다. 하우징(32, 132)에 제 1 텔레스코핑 요소(124)를 결합하는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작동 연결체(138a 및 138b)는 하우징(132b)에 슬롯(slot, 138b)을 체결하는 키(key, 138a)로 형성되는 기계적 계합(interlock)을 포함한다. 스냅 링(snap ring, 139)은 하우징(132b)에 제 1 텔레스코핑 요소(124)를 축방향으로 유지시키도록 제 1 텔레스코핑 요소(124)의 단부의 환상 그루브(annular groove)로 스냅핑(snapping)한다. 따라서, 제 1 작동 연결체(38, 138a 및 138b)는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와 하우징(32, 132) 사이에서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우징(32, 132)에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를 결합한다.
제 2 작동 연결체(40, 140a 및 140b)는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와 제 2 나사 부재(36, 136)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나사 부재(36, 136)에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를 결합한다. 제 2 나사 부재(36, 136)에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를 결합하는, 이러한 제 2 작동 연결체(40, 140a 및 140b)는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가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에 상대적으로 텔레스코핑 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 2 나사 부재(36, 136)와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축방향 이동하게 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제 2 나사 부재(36)에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를 결합하는 제 2 작동 연결체(40)는 페달 패드(20)의 구성부를 포함한다. 한쌍의 플레이트(plate, 15)는 연결체(28)의 그루브를 형성하도록 하우징(32)에 체결된다.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의 하단 플레이트(17)는 연결체(28)의 텅을 형성하고 플레이트(15) 하부에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다른 플레이트(19)는 측면 플레이트(15)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블럭(21)에 의해 연결 슬라이드(connecting slide, 40)와 샌드위치 형상을 이룬다. 이 구성 요소들은 플레이트(17)가 연결체(28)의 그루브에서 슬라이딩하게 하고 블럭(23)과 플레이트(19)가 페달 패드(20)와 일체인 연결체(40)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게 하는 체결구(23)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어떤 경우에,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는 페달 패드 연결체(40) 또는 하우징(32)에 상대적으로 축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는 체결구(23)가 결합부(40)에서 슬롯(25)을 따라 슬라이딩하므로 양측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 2 실시예에서 제 2 나사 부재(136)에 제 2 텔레스코핑 요소(126)를 결합하는 제 2 작동 연결체(140a 및 140b)는 제 2 텔레스코핑 요소(126)의 외측에서 그리고 제 2 나사 부재(136)의 내측에서 공통으로 작용하는 스플라인(spline)을 포함한다.
복수의 나사 부재는 제 1 나사 부재(30, 130)와 나사 체결되는 제 1 나사산(44, 144)과 제 2 나사 부재(36, 136)와 나사 체결되는 제 2 나사산(46, 146)을 가지는 중간 나사 부재(42, 142)를 포함한다. 중간 나사 부재(42, 142)는 그것의 외측 둘레에 배열되고 제 1 나사 부재(30, 130)의 내측 치형부(45, 145)를 나사로 체결하는 제 1 나사산(44, 144)과 그것의 내측 둘레에 배열되고 제 2 나사 부재(36, 136)의 외측 나사산(48, 148)를 나사 체결하는 제 2 나사산(46, 146)을 가지는 원통형이다.
또한 상기 조립체는 제 1 나사 부재(30, 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mechanism)을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서, 구동 메커니즘은, 순차적으로, 제 1 나사 부재(30)를 회전시키는 기어(52)와 맞물리는 구동되는 헬리컬 케이블(helical cable, 50)을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서, 구동 메커니즘은 구동 링(152)과 맞물리는 베벨 기어(bevel gear, 150)를 포함한다. 베벨 기어(150)는 모터로 회전되고 리테이너(retainer, 154)에 의해 위치에 고정되는 로터리 케이블(rotary cable, 도시 안됨)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 링(152)은 제 1 나사 부재(130)상의 치형부(158)와 맞물리는 치형부(156)를 갖는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 제 2 텔레스코핑 요소(126)는 제 1 텔레스코핑 요소(124)를 둘러싸고 제 2 나사 부재(136)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 사이의 텔레스코핑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서, 멈춤부는 축방향 멈춤부를 형성하도록 나사 부재 사이의 레이디얼 플랜지(radial flange, 60 및 62)를 구비한다. 제 2 실시예에서, 이 멈춤부는 로터리 멈춤부를 형성하도록 끼워 붙이기 위한 단부를 구비한다. 즉, 상대적인 회전을 제한하도록 공동작용하는 나사산의 단부와 당접한다.
부트(boot, 164)는 조립체를 커버링(covering)하고 리테이너 링(166)에 의해 페달 패드(120)와 하우징(132)에 고정된다. 제 1 나사 부재 리테이너(168)는 하우징(132)에 제 1 나사 부재(130)를 고정시킨다.
작동에 있어, 제 1 나사 부재(30, 130)는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 회전되면 나사 가공부(44, 45 및 45, 145) 상호 작용에 의해 축방향으로 중간 나사 부재(42,142)가 이동된다. 즉, 페달 패드(20, 120)는 연장 위치까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제 1 (30, 130) 및 중간(42, 142) 나사 부재가 상대적인 회전의 멈춤 제한부에 도달하는 경우, 중간 나사 부재(42, 142)는 나사산(46, 48, 146, 148)의 상호 작용을 통해 축방향으로 제 2 나사 부재(36, 136)를 이동시키도록 회전한다. 구동 메커니즘은 역방향으로 나사 부재를 수축시키도록 역회전된다.
페달 패드(20, 120)의 이러한 연장 및 수축 운동중에, 제 1 (24, 124) 및 제 2 (26, 126) 텔레스코핑 요소는 나사 부재의 회전축(A) 둘레를 페달 패드(20, 12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페달 패드(20, 120)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즉, 텔레스코핑 요소는, 주로 회전을 방지하여, 페달 패드(20, 120)의 축방향 이동을 안정시키지만, 충분하게, 그것은 축방향 이동을 완전히 제어하거나 유도할 수 있다.
명백하게, 본 발명의 많은 변형과 변화가 상기 교시의 견지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상세하게 게시되는 것과 다르게 실행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선행 기술인 발명은 "~을 특징으로 하는" 절에 기술된 신발명에 앞서 기술된다. 상기 신발명은 "~을 특징으로 하는" 절에 자세하고 명백하게 기술되도록 의미를 가지는 반면에 선행하는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예전의 그리고 공지된 조합을 단순히 기술한다. 이러한 선행하는 설명은 본 발명의 신개념이 유용성을 가지는 어떠한 조합도 포함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추가로, 참조 번호는 단순히 편의를 위한 것이고 제한하도록 판독되는 소정의 방식은 아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조절기로 조절되지만 개별 가이드, 즉, 조절기로부터 독립적인 가이드에 의해 측방 이동이 안정된 조절가능한 페달 패드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5)

  1. 말단부를 가지는 페달 암(14, 114),
    차량에서 피벗 운동을 위해 상기 페달 암(14, 114)을 지지하는 지지체(16, 116),
    상기 페달 암(14, 114)을 피벗시키기 위한 힘을 수용하기 위한 페달 패드(20, 120), 및
    조절 축(A)을 따라 상기 페달 암(14, 114)에 대하여 상기 페달 패드(20, 1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페달 암(14, 114)의 상기 말단부에서 상기 페달 패드(20, 120)를 지지하는 조절기(22, 122)
    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절가능한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절 축(A)을 따라 상기 페달 암(14, 114)에 대하여 상기 패드의 이동을 안정시키기 위해 상기 패드와 상기 페달 암(14, 114)을 상호 결합하는 가이드를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조절 축(A)에 평행한 텔레스코핑 축을 따라 서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와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가 상기 텔레스코핑축 둘레를 상기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텅 및 그루브 결합부(28, 128)를 포함하는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22, 122)는 상기 나사 부재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조절 축(A)을 따라 상기 페달 패드(20, 120)의 상기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나사산으로 상호 결합되는 복수의 나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상기 나사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32, 132), 제 2 상기 나사 부재(36, 136)와 상기 페달 패드(20, 120)를 상호 결합하는 비회전 연결체(34, 134), 상기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와 상기 하우징(32, 132)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32, 132)에 상기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를 결합하는 제 1 작동 연결체(38, 138a 및 138b), 상기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와 상기 제 2 나사 부재(36, 136)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나사 부재(36, 136)에 상기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를 결합하는 제 2 작동 연결체(40, 140a 및 140b)를 포함하는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4, 124)과 제 2 (26, 126) 텔레스코핑 요소 사이의 텔레스코핑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2, 132)에 상기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를 결합하는 상기 제 1 작동 연결체(38, 138a 및 138b)는 상기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와 상기 하우징(32, 132)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제 2 나사 부재(36, 136)에 상기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를 결합하는 상기 제 2 작동 연결체(40, 140a 및 140b)는 상기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가 상기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에 대하여 상기 텔레스코핑 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나사 부재와 상기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축방향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나사 부재는 상기 제 1 나사 부재(30, 130)와 나사 결합하는 제 1 나사산(44, 144)과 상기 제 2 나사 부재(36, 136)와 나사 결합하는 제 2 나사산(46, 146)을 가지는 중간 나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나사 부재(30, 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나사 부재는 그것의 외측 둘레에 배열되고 상기 제 1 나사 부재(30, 130)를 나사로 결합하는 상기 제 1 나사산(44, 144)과 그것의 내측 둘레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나사 부재(36, 136)를 나사로 결합하는 상기 제 2 나사산(46, 146)을 가지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핑 축은 상기 조절 축(A)에 평행하고 그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는 상기 하우징(32, 132)의 안내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2, 132)에 상기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를 결합하는 상기 제 1 작동 연결체(38, 138a 및 138b)는 상기 하우징(32, 132)의 구성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핑 축은 상기 조절 축(A)과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2, 132)에 상기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를 결합하는 상기 제 1 작동 연결체(38, 138a 및 138b)는 기계적 계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텔레스코핑 요소(26, 126)는 상기 제 1 텔레스코핑 요소(24, 124)를 둘러싸고 상기 제 2 나사 부재(36, 136)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나사 부재(36, 136)에 상기 제 2 텔레스코핑요소(26, 126)를 결합하는 상기 제 2 작동 연결체(40, 140a 및 140b)는 공통으로 작용하는 스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KR10-2001-0014879A 2000-03-22 2001-03-22 페달 암상의 조절가능한 패드를 위한 가이드 Expired - Fee Related KR100389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33,637 US6345550B1 (en) 1999-10-15 2000-03-22 Guide for adjustable pad on pedal arm
US09/533,637 2000-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713A true KR20010092713A (ko) 2001-10-26
KR100389233B1 KR100389233B1 (ko) 2003-07-12

Family

ID=2412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87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9233B1 (ko) 2000-03-22 2001-03-22 페달 암상의 조절가능한 패드를 위한 가이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45550B1 (ko)
EP (1) EP1136901A3 (ko)
JP (1) JP2001312322A (ko)
KR (1) KR100389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8099C2 (sv) 1997-11-21 2002-08-27 Claes Johansson Automotive Ab Inställbart pedalställ för ett fordon
US20080229872A1 (en) * 2007-03-21 2008-09-25 Agco Corporation Adjustable pedal assembly
KR100890433B1 (ko) 2007-10-24 2009-03-27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USD637125S1 (en) * 2009-11-22 2011-05-03 Matthew Griffin Folding shifter or brake pedal for a motorcycle
USD623572S1 (en) * 2009-11-22 2010-09-14 Matthew Griffin Folding shifter or brake pedal for a motorcycle
DE102014206386A1 (de) * 2014-04-03 2015-10-08 Boge Elastmetall Gmbh Pedalkörper für ein Betätigungspedal eines Kraftfahrzeuges
CN109131271A (zh) * 2018-08-02 2019-01-04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制动踏板组件及汽车
GB202318435D0 (en) * 2023-12-01 2024-01-17 Mclaren Automotive Ltd Moveable pedal box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13923A (en) * 1956-04-25 1959-05-27 Standard Pressed Steel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rol pedals for vehicles
US1236400A (en) * 1916-05-20 1917-08-14 William G Brown Extension attachment for vehicle-control pedals.
US1484847A (en) * 1919-01-03 1924-02-26 Francis B Stuart Extension pedal
US2124100A (en) * 1937-07-14 1938-07-19 Bailcy Vivian Pinnock Pedal extension
US4450733A (en) * 1981-10-05 1984-05-29 Rantapaa Larry A Pedal extension device
JPH07160349A (ja) * 1993-11-12 1995-06-23 Eiretsu So 自動車のペダル及びペダルの長さの調節装置
JP3514804B2 (ja) * 1994-03-30 2004-03-31 豊田鉄工株式会社 前後調節可能な操作ペダル装置
US5722302A (en) * 1995-08-09 1998-03-03 Teleflex, Inc. Adjustable pedal assembly
US5884532A (en) * 1997-04-28 1999-03-23 Tecnology Holding Company Ii Adjustable pedal apparatus
DE19737288A1 (de) * 1997-08-27 1999-03-04 Mannesmann Vdo Ag Fahrpedal für ein Kraftfahrzeug
GB2332264A (en) 1997-12-05 1999-06-16 Jonathan Austin Ma Foot pedal assembly for a vehicle
US6209417B1 (en) * 1999-06-17 2001-04-03 Teleflex, Incorporated Adjustable pedal with constant ratio cable assembly
US6212970B1 (en) * 1999-08-24 2001-04-10 Teleflex Incorporated Pedal assembly with adjustable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45550B1 (en) 2002-02-12
EP1136901A2 (en) 2001-09-26
EP1136901A3 (en) 2002-01-09
JP2001312322A (ja) 2001-11-09
KR100389233B1 (ko) 200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0149A (en) Actuator with automatic adjustment and with reset shaft for use in brakes, especially of heavy duty vehicles
US6349916B1 (en) Assembly for adjustably mounting vehicle external mirror
US6129183A (en) Brake wear sensor
KR100389233B1 (ko) 페달 암상의 조절가능한 패드를 위한 가이드
EP3695132B1 (de) Spreizeinheit für trommelbremse mit verschleisswegnachstellung und die trommelbremse
CN103782055A (zh) 用于鼓式制动器的制动杆
JPH0158781B2 (ko)
KR20010042177A (ko) 브레이크 레버용 제어 장치
AU2004256137A1 (en) Cable actuator for lumbar support
US4407167A (en) Sliding guide mechanism
WO2003020563A1 (de) Motorbetätigbare scheibenbremse
KR20110027663A (ko) 연결 시스템
US7325360B2 (en) Cable tensioner and window regulator equipped with a cable tensioner
RU2078001C1 (ru) Регулятор тормоз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6758494B2 (en) Steering column with rotary tilt mechanism and method of installation
EP0556064B1 (en) Control cable assembly
US20070029144A1 (en) Disc brake operating system
US7124862B2 (en) Brake slack adjuster
KR830002702B1 (ko) 드럼 브레이크용 자동마모 조절기
JP200013683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880701158A (ko) 회절 조절기가 부착된 조절 소켓
US20030121352A1 (en) Rotary tilt mechanism
JP722899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90211393A1 (en) Adjustable command cable terminal
KR100356920B1 (ko) 브레이크와작동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