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91327A - 포설용 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 Google Patents

포설용 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327A
KR20010091327A KR1020000012865A KR20000012865A KR20010091327A KR 20010091327 A KR20010091327 A KR 20010091327A KR 1020000012865 A KR1020000012865 A KR 1020000012865A KR 20000012865 A KR20000012865 A KR 20000012865A KR 20010091327 A KR20010091327 A KR 20010091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laying
hole
pulling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2205B1 (ko
Inventor
권오준
전용한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20000012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20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설용 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에 관한 것으로, MT커넥터를 광케이블에 기(旣)접속하고 커넥터접속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고장력의 커넥터보호튜브를 씌움에 의해 인장작업시 포설방향에 관계없이 케이블의 포설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커넥터의 접속상태도 매우 우수하게 한 포설용 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성단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이 결합되는 풀링아이가 구비되고, 상기 풀링아이에 로프가 묶인 상태에서 그 내부로 인장시켜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 지중에 기(旣)포설된 관로에 있어서, 상기 성단케이블의 광섬유와 융착에 의해 접속되는 다수의 초소형 MT커넥터와; 그 원재가 고장력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상기 MT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그 타단에 풀링아이를 인출하는 수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축홀의 가장자리에는 원뿔형의 경사면이 형성된 커넥터보호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분기부에 커넥터를 접속한 접속부를 케이블의 양단에 기설치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포설방향에 무관하게 용이한 포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며, 고장력 커넥터보호튜브를 사용함에 의해 커넥터의 접속도 양호하게 케이블포설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포설용 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OPTICAL CABLE FOR LAYING AND METHOD FOR LAYING CABLE THEREOF}
본 발명은 포설용 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단케이블에 MT커넥터를 기융착하고 보호튜브로 씌움으로써 커넥터의 접속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에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한 포설용 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화에 따라 지하 또는 수중 및 공중에 각종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케이블은 수십 킬로미터 혹은 수천 킬로미터로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광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할 경우에는 땅을 파고 흙으로 묻게되는데, 선로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고 케이블 수리 및 교체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하에 통신용 터널을 인공적으로 설치하고 그 터널(통신구)내에 케이블을 설치하기도 한다.
이 경우 케이블의 유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지만 제반 시공비가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 광케이블 시공방법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내부가 빈관로(Pipe)를 땅속에 매설한 뒤 그 관로속으로 케이블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 관로는 그 길이가 수백 미터에서 수천 킬로미터로 매설되기도 하기 때문에 일정 간격씩 분지하여 맨홀과 맨홀 사이에 관로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관로 속에는 로프를 삽입한 뒤 그 관로를 지하에 매설하고, 상기 로프 끝단에 광케이블을 연결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케이블을 관로 속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위해 상기 광케이블의 끝단에는 풀링아이라는 광케이블 포설용 끌기 부재가 설치된다.
도 1은 다중 유니트의 광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광케이블(30)의 중심에는 광케이블(30)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응하기 위해 강선 또는 고강도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중심인장선(31)이 있으며, 상기 중심인장선(31) 주위에는 다수개의 유니트가 구비되어 있고, 각 유니트의 중심에는 서브인장선(35)이 삽입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풀링아이와 광케이블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풀링아이는 크게 몸통(10)과, 몸통 전방의 헤드부(20)로 구성된다.
몸통(10)은 그 내부에 일정한 깊이의 케이블 삽입공(12)과, 상기 케이블 삽입공(12)에서 중심축선상으로 이어지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중심인장선결합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통(10)의 선단에는 헤드부(20)가 회전 되도록 결합되어 있는데, 그 헤드부(20)에 형성된 고리(22)에 로프를 끼워 묶게 된다.
몸통(10)은 그 선단쪽의 내부를 빈 공간으로 형성하고, 그 공간의 내면에 나사산(18)을 형성한 뒤 그 나사산(18)에 캡(28)을 결합하게 된다.
캡(28)의 중앙에는 몸통(10)의 내부와 통하는 축받이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축받이 구멍(29)속으로 헤드(21) 후방의 샤프트(23)가 삽입된다.
샤프트(23)의 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나사산에 너트(24)를 결합하여 헤드(21)가 몸통(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너트(24)를 체결하기 전의 샤프트(23)상에는 트러스트 베어링(25)이 삽입되어 과도한 인장력에서도 헤드(21)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풀링아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포설이 일반화 되어 있는 바, 그 풀링아이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이 관로를 완전히 빠져나온 상태에서 유니트에 개재된 광케이블에 접속을 위한 커넥터를 융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커넥터접속방법은 야외에서 이루어지므로 이를 위한 별도의 융착장치가 마련되어야할 뿐만 아니라 정밀한 융착작업이 이루어지기가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상기한 성단케이블의 경우에는 포설방향과 무관하게 커넥터를 기접속시킨 상태의 분기부측이 관로내부로 삽입되어 포설되는 데는 두가지 문제점에 의해 그 포설이 불가능하였다.
첫째로, 광케이블과의 융착에 의해 접속되는 커넥터의 외형이 다소 크기 때문에 다수의 커넥터가 광케이블에 접속되면 그 크기가 관로의 내부로 삽입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둘째로 다수의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에서 풀링아이를 잡아당겨 포설할 때에도 관로내부가 굴곡져 있으므로 케이블 인장시 커넥터의 접속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MT커넥터를 광케이블에 기접속하고 커넥터접속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고장력의 커넥터보호튜브를 씌움에 의해 인장작업시 포설방향에 관계없이 케이블의 포설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커넥터의 접속상태도 매우 우수하게 한 포설용 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다중 유니트의 광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풀링아이와 광케이블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설용 케이블의 커넥터보호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설용 케이블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설용 케이블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설용 케이블을 이용한 포설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통, 11:결합공,
12:삽입공, 20:헤드,
22:고리, 23:샤프트,
28:캡, 30:광케이블,
34:광섬유, 36:MT커넥터,
40:커넥터보호튜브, 42:삽입홀,
44:수축홀, 50:경사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성단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이 결합되는 풀링아이가 구비되고, 상기 풀링아이에 로프가 묶인 상태에서 그 내부로 인장시켜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 지중에 기(旣)포설된 관로에 있어서, 상기 성단케이블의 광섬유와 융착에 의해 접속되는 다수의 초소형 MT커넥터와; 그 원재가 고장력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상기 MT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그 타단에 풀링아이를 인출하는 수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축홀의가장자리에는 원뿔형의 경사면이 형성된 커넥터보호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설용 케이블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보호튜브는 그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나선형 산과 골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포설용 케이블을 이용한 케이블포설방법은 상기 케이블의 광섬유에 융착에 의해 초소형 MT커넥터를 접속하는 제 1단계(ST-1)와; 상기 풀링아이의 선단이 커넥터보호튜브의 인출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MT커넥터접속부까지 삽입되며, 상기 풀링아이의 선단이 상기 수축홀을 통해 인출됨으로 인해 커넥터보호튜브가 씌워지는 제 2단계(ST-2)와; 상기 풀링아이의 고리에 로프를 묶은 뒤 지중에 매설된 관로를 통해 케이블을 포설하는 제 3단계(ST-3)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설용 케이블의 커넥터보호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포설용 케이블의 커넥터보호튜브(40)가 도시된 바, 상기 커넥터보호튜브(40)는 그 재질이 인장력이 우수하고 고장력을 갖는 PV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넥터보호튜브(4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 풀링아이가 삽입되는 삽입홀(42)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풀링아이가 커넥터보호튜브(4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 밴드타입의 수축홀(44)이 형성된다.그리고, 상기 수축홀(44)은 상기 풀링아이의 샤프트(23)의 외주면상에서 수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보호튜브(40)의 외주면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나선형 골(46)과 산(4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축홀(44)의 가장자리에는 원뿔형상의 경사면(50)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보호튜브(40)가 관로내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설용 케이블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설용 케이블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풀링아이는 크게 몸통(10)과, 몸통 전방의 헤드부(20)로 구성된다.
몸통(10)은 그 내부에 일정한 깊이의 케이블 삽입공(12)과, 상기 케이블 삽입공(12)에서 중심축선상으로 이어지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중심인장선 결합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통(10)의 선단에는 헤드부(20)가 회전 되도록 결합되어 있는데, 그 헤드부(20)에 형성된 고리(22)에 로프를 끼워 묶게 된다.
몸통(10)은 그 선단쪽의 내부를 빈 공간으로 형성하고, 그 공간의 내면에 나사산(18)을 형성한 뒤 그 나사산(18)에 캡(28)을 결합하게 된다.
캡(28)의 중앙에는 몸통(10)의 내부와 통하는 축받이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축받이 구멍(29)속으로 헤드(21) 후방의 샤프트(23)가 삽입된다.
샤프트(23)의 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나사산에 너트(24)를 결합하여 헤드(21)가 몸통(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너트(24)를 체결하기 전의 샤프트(23)상에는 트러스트 베어링(25)이 삽입되어 과도한 인장력에서도 헤드(21)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30)의 내부 슬롯(32)에 개재된 광섬유(34)는 다수의 초소형 MT커넥터(36)와 융착되는 바, 상기 고리(22)에 로프를 묶어 상기 광케이블(30)의 일단을 관로외부로 인출하기전에 상기 광섬유(34)에 MT커넥터(36)를 융착한다.
즉, 상기 광케이블(30)을 관로의 내부에 포설하는 포설작업 이전에 상기 광섬유(34)와 MT커넥터(36)는 기(旣) 융착한 후에 포설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케이블(30)의 중심인장선(31)과 몸통(10), 풀링아이의 조립이 이루어지면 상기 풀링아이의 고리(22)로부터 상기 광케이블(30)의 소정길이까지 상기 커넥터보호튜브(40)가 씌워지게 되는 바, 상기 커넥터보호튜브(40)의 내측으로 상기 풀링아이와, 몸통(10), 광케이블(30)의 순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리(22)와 샤프트(23)는 상기 커넥터보호튜브(40)의 수축홀(44)을 통해 인출되고 상기 샤프트(23)의 외주면상에서 상기 수축홀(44)이 수축되게 된다.
상기 커넥터보호튜브(40)가 상기 풀링아이와 광케이블(30)상에 씌워지면 상기 풀링아이의 선단에 구비된 고리(22)에 로프를 연결하여 관로에 포설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설용 케이블을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설용 케이블을 이용한 포설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그 첫째로 커넥터를 융착하는 단계를 기술하는 바, 포설할 길이만큼 상기 광케이블(30)을 절단하고 상기 광케이블(30)의 내부에 삽입된 광섬유를 절개하여 뽑아낸 후 그 선단에 다수개의 초소형 MT커넥터(36)를 융착한다.(제 1단계)
그런다음, 상기 광케이블(30)의 중심인장선을 뽑아내어 상기 중심인장선 결합공(11)에 삽입하고 상기 몸통(10)의 너트를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의 샤프트(23)를 상기 캡(28)의 축받이 구멍(29)을 통해 삽입하고 그 샤프트(23)에 트러스트베어링(25)을 삽입하고 샤프트(23)의 선단에 너트(24)를 결합시킨다.
상기 헤드(21)와 캡(28)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캡(28)의 일단 외주면상에 형성된 나사를 상기 몸통(10)의 선단 내주면상에 형성된 나사산(18)에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보호튜브(40)의 삽입홀(42)을 통해 상기 헤드(21), 몸통(10), 커넥터(36)를 상기 커넥터보호튜브(40)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고 상기 커넥터보호튜브(40)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수축홀(44)을 통해 상기 헤드(21)를 인출한 후 로프로 고정한다.(제 2단계)
이어, 로프는 지중에 매설된 관로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그 일단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로프와 결합된 풀링아이는 헤드(21)부터 관로내측으로 삽입 이동되며 상기 커넥터보호튜브(40)에 의해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되면서 관로의 반대편으로 광케이블(30)의 일단이 유출되면서 광케이블(30)이 포설되게 된다.(제 3단계)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포설용 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설용 케이블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에 의하면 분기부에 커넥터를 접속한 접속부를 케이블의 양단에 기설치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포설방향에 무관하게 용이한 포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며, 고장력 커넥터보호튜브를 사용함에 의해 커넥터의 접속도 양호하게 케이블포설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성단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이 결합되는 풀링아이가 구비되고, 상기 풀링아이에 로프가 묶인 상태에서 그 내부로 인장시켜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 지중에 기(旣)포설된 관로에 있어서,
    상기 성단케이블의 광섬유와 융착에 의해 접속되는 다수의 초소형 MT커넥터와;
    그 원재가 고장력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상기 MT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그 타단에 풀링아이를 인출하는 수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축홀의 가장자리에는 원뿔형의 경사면이 형성된 커넥터보호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설용 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보호튜브는 그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나선형 산과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설용 케이블.
  3. 성단케이블의 광섬유와 융착에 의해 접속되는 다수의 초소형 MT커넥터와, 그 원재가 고장력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과 타단에 각각 인출홀과 수축홀을 갖고 상기 MT커넥터상에 씌워져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커넥터보호튜브로 구성된 포설용 케이블을 이용한 케이블포설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광섬유에 융착에 의해 초소형 MT커넥터를 접속하는 제1단계(ST-1)와;
    상기 풀링아이의 선단이 커넥터보호튜브의 인출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MT커넥터접속부까지 삽입되며, 상기 풀링아이의 선단이 상기 수축홀을 통해 인출됨으로 인해 커넥터보호튜브가 씌워지는 제 2단계(ST-2)와;
    상기 풀링아이의 고리에 로프를 묶은 뒤 지중에 매설된 관로를 통해 케이블을 포설하는 제 3단계(ST-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방법.
KR1020000012865A 2000-03-14 2000-03-14 포설용 케이블 KR100362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865A KR100362205B1 (ko) 2000-03-14 2000-03-14 포설용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865A KR100362205B1 (ko) 2000-03-14 2000-03-14 포설용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327A true KR20010091327A (ko) 2001-10-23
KR100362205B1 KR100362205B1 (ko) 2002-11-23

Family

ID=1965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865A KR100362205B1 (ko) 2000-03-14 2000-03-14 포설용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743B1 (ko) * 2004-02-10 2006-07-24 주식회사 청원에스아이 케이블의 매설관 인입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11B1 (ko) * 2010-03-29 2010-09-10 대덕전력 주식회사 3상 배전케이블 풀링용 유도금구
KR102062637B1 (ko) * 2018-05-25 2020-01-07 한국전력공사 전력 케이블 관로 포설 장력 저감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316604B1 (ko) * 2019-08-09 2021-10-25 한국전력공사 풀링아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743B1 (ko) * 2004-02-10 2006-07-24 주식회사 청원에스아이 케이블의 매설관 인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2205B1 (ko)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5090C (en) Fiber optic cable having spliceless branch and method of making
KR20020056897A (ko) 지중관로 내에 통신 케이블의 부설 방법과 부설 구조 및부설에 사용되는 부재
US101817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permanent cable splice during cable installation
KR100362205B1 (ko) 포설용 케이블
ES3004538T3 (en) Optical cable and wall-drilling auxiliary tool combined structure
US20180305826A1 (en) Break-resistant anode assemblies for cathodic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of installing the same
KR20020082414A (ko) 케이블보호관 및 그 관로부설방법 및 도입방법
KR200159261Y1 (ko) 케이블 포설용 끌기고리 조립체
KR100258547B1 (ko)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KR200150494Y1 (ko) 개량된 케이블 포설용 끌기고리
KR20000047100A (ko)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KR19990081328A (ko)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KR200447290Y1 (ko) 전력선 인출용 볼형 풀링아이
KR200177777Y1 (ko) 케이블용 관 장치
KR100320408B1 (ko) 광케이블분기장치및그사용방법
KR100272771B1 (ko) 외부인장선형 광케이블의 성단조립체
KR100276072B1 (ko) 다심 광섬유 케이블용 성단조립체
KR20000047116A (ko) 광케이블 풀링아이
JPH10174238A (ja) 管路内におけるノズル付ホースの挿通方法
KR100321686B1 (ko) 고강도광섬유케이블용풀링아이
CN216813234U (zh) 一种软输油管的可拆卸光缆
KR100258549B1 (ko) 풀링아이
RU188322U1 (ru) Кабелепровод с асимметричным наконечником
JP3815714B2 (ja) 信号線敷設方法
KR200367181Y1 (ko) 가공 및 광가입자 분기 겸용 광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1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