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113A - 증류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증류수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85113A KR20010085113A KR1020010048576A KR20010048576A KR20010085113A KR 20010085113 A KR20010085113 A KR 20010085113A KR 1020010048576 A KR1020010048576 A KR 1020010048576A KR 20010048576 A KR20010048576 A KR 20010048576A KR 20010085113 A KR20010085113 A KR 200100851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 distilled water
- water
- condenser
- coo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35 industri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33 desa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33—Other features
- B01D5/0045—Vacuum conden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의 중앙부(1)와, 상기 중앙부(1)를 중심으로 응축기가 내장된 상부(2)와, 상기 중앙부 중심에 형성된 투명창(10)과, 상기 중앙부 일측면에 관으로 연결된 진공장치(9)와, 상기 진공장치(9)의 반대측면에 형성된 증류수배출관 (200)과, 상기 중앙부(1)의 하부에 형성된 가열부(7)와, 상기 가열부(7)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3)와 상기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5)와, 상기 하부의 일측에 형성된 바닷물 유입관(6)과, 상기 중앙부(1)의 상부에 형성된 응축기통공(8`)과, 상기 응축기통공(8`)에 삽입되어 형성된 응축기(8)와, 상기 중앙부(1) 내부의 응축기(8)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증류수수집관(10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증류수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바닷물을 가열하여 수증기가 발생하면 그 수증기를 응축하여 증류수를 제조하는 증류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태로 지하수고갈, 강우량부족 등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풍부한 바닷물 룰 이용하여 청수를 만들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은 일인가 생각하여 많은 연구를 하여 개발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9-85997호에는 재수를 증발,탈염시켜 식수나 공업용수를 얻는 다단플래시 증발기의 구조중 증류후에 응축된 증류수를 모아서 이송하는 증발기의 증류수통로에 있어서, 증발된 수증기가 전열관 표면에 응축되어 아래로 떨어지면서 접촉되는 부분과 이 증류수를 증발기 밖으로 수송하기 위한 증류수 통로의 단면구조에 관한 것이며,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85-1412호에는 담수와 접촉되는 앞벽면과 바닥판은 두꺼운 금속재질로 하고 해수와 접촉하는 증류수바닥판, 홈통 및 칸막이판의 재질을 스텐레스강 등의 합금으로 얇게 클래드한 것을 사용하여 라이닝 작업을 없앤 증류수 통로단면구조가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8-66480호에는 공급수가 공급되는 수조를 밀폐하여 가열효율이 우수하게되고 포화증기발생에 따라 냉각수단이 작동하도록 구성한 증류수제조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제2000-20463호에는 몸체의 상부에 물투입통이 구조되고 물투입통과 냉각수통 사이에 수도직결용파이프와 수도직결시 잠금장치로 구성되고 내부 코팅된 용기의 가열용 물과 같은 높이의 물 위치 탐기기능장치인 전기감을 코일에 의해 코팅된 용기의 수위가 낮을시 전기 물차단장치가 열려 항시 적정수위가 유지케 하고 가열부 뚜껑에 히터가 고정되고 가열히터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가 냉각수통에 수증기 공급부로 연결되어 물투입용기나 수도관 직결용을 통해 투입된 물로 냉각파이프가 냉각되어 배출구로 증류수가 나가 삽입식 필터를 거처 배출구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 증류수 생성기가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삼투압 방식을 이용한 휠타방식으로 생산량이 많지 않고 일정기간 사용후 휠타를 교체하는 불편함이 있고 휠타가 고가품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바닷물을 가열 수증기를 생성하려면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며 바닷물 100℃올리는데 많은 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휠타 을 이용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진공을 이용하여, 적은 에너지로 많은 량 의 바닷물 을 끓여 증류수를 제조하면 적은 비용으로 대량의 증류수를 제조하는 증류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증류수 제조장치 상세도
도2는 본 발명의 증류수 제조장치 가열부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증류수 제조장치 가열부 평면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증류수 제조장치 가열부 정면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증류수 제조장치 응축부 평면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증류수 제조장치 응축부 측면상세도
<도면의 부호설명>
중앙부(1), 상부(2), 하부(3), 지지대(5), 유입관(6), 가열부(7), 응축기(8), 응축기통공(8`), 진공장치(9), 투명창(10), 가열부후렌지 (11,11`), 가열관(12), 온수주입구 (13), 온수배출구(14), 동파이프(15), 가열격판(16), 냉각수주입구(21), 냉각수배출구(22), 냉각수순환파이프 (23), 냉각관(24), 냉각격판(25), 진공게이지(27), 증류수수집관(100), 증류수배출관(200), 밸브(300)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을 유지할 수 있는 탱크를 만들고 그 탱크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젝트를 설치하면 벤추레타의 원리를 이용한 증류수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압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완전 진공을 형성하면 물에 끓은점이 0.01℃로 내릴 수 있고 그리하면 도1과 같이 바닷물을 진공탱크에 공급하면 가열부를 통과하면서 포화증기 증기가 되면 응축부를 통과할 때 포화증기가 응축되면 이 응축된 증류수를 에 증류수 펌프를 이용하여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장치인 것이다.
바닷물을 가열 수증기를 생성하려면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며 바닷물 100℃올리는데 많은 시간을 요하며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 짧은 시간. 적은 에너지로 바닷물을 끓이는 방법을 보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은 압력탱크를 만들어 그 안에 기압을 낮추고 바닷물을 공급하면 가열온도를 현저히 낮출 수가 있고 진공을 유지하면 많은 용량의 바닷물을 처리 할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진공 0㎜Hg을 유지하면 가열온도(0.01℃)이므로 적은 에너지로 많은 양의 증류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향후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로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증류수 제조장치 상세도, 도2는 본 발명의 증류수 제조장치 가열부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증류수 제조장치 가열부 평면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증류수 제조장치 가열부 정면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증류수 제조장치 응축부 평면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증류수 제조장치 응축부 측면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중앙부(1), 상부(2), 하부(3), 지지대(5), 유입관(6), 가열부(7),응축기 (8), 응축기통공(8`), 진공장치(9), 투명창(10), 가열부후렌지(11,11`), 가열관 (12), 온수주입구(13), 온수배출구(14), 동파이프(15), 가열격판(16), 냉각수주입구(21), 냉각수배출구(22), 냉각수순환파이프(23), 냉각관(24), 냉각격판(25), 진공게이지(27), 증류수수집관(100), 증류수배출관(200), 밸브(30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중앙부(1)와, 상기 중앙부 (1)를 중심으로 응축기가 내장된 상부(2)와, 상기 중앙부 중심에 형성된 투명창 (10)과, 상기 중앙부 일측면에 관으로 연결된 진공장치(9)와, 상기 진공장치(9)의 반대측면에 형성된 증류수배출관(200)과, 상기 중앙부(1)의 하부에 형성된 가열부 (7)와, 상기 가열부(7)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3)와 상기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 (5)와, 상기 하부의 일측에 형성된 바닷물 유입관(6)과, 상기 중앙부(1)의 상부에 형성된 응축기통공(8`)과, 상기 응축기통공(8`)에 삽입되어 형성된 응축기(8)와, 상기 중앙부(1) 내부의 응축기(8)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증류수수집관 (100)으로 구성된 증류수 제조장치인 것이다.
도2 내지 도4는 가열부(7)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열부(7)는 상부(1)와 하부(3)의 중간에 위치하며, 가열부(7)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가열부후렌지 (11,11`)와, 상기 가열부 후렌지(11,11`)의 테두리에는 상부(1)와 하부(3)를 연결하는 연결부(미도시, 용접 또는 볼트너트의 조임하는 통상의 방법)와,
상기 가열부후렌지(11,11`)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된 바닷물이 하부 (1)와, 상부(3)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동파이프(15)와, 상기 동파이프(15)를 가열시키도록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가열관(12)과, 상기 가열관(12)의 입구는 온수입구 (13)와 온수출구(14)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열관(12)의 중앙에는 가열격판 (16)으로 온수의 입출이 구분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5 및 도6은 응축기(8)를 도시한 것으로서, 중앙부 상부에 형성된 응축기통공(8`)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으로서, 냉각관(24)에 연결된 다수개의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순환파이프(23)와, 상기 냉각관(24)의 입구는 냉각수주입구(21)와 냉각수배출구(22)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관(24)의 중앙에는 냉각격판(25)으로 구분되어 냉각수의 입출이 구분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조립 및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지지대(5)가 용접된 하부(3)의 상부에 가열부 (7)를 위치하여 조립한 다음, 상기 가열부(7)의 상부에 진공장치(9) 및 증류수배출구(200)가 연결된 중앙부(1)를 조립한 후에, 상기 중앙부(1)의 상측에 상부(2)를 조립하여 설치한 다음, 상기 중앙부(1)의 상측에 형성된 응축기통공(8`)에 응축기 (8)를 삽입시킨 후에, 상기 응축기(8)에는 냉각수를 공급하고, 하부(3의 가열관 (12)에는 온수를 공급하여 설치하여 조립을 완성한 다음,
하부(5)의 하부일측에 형성된 바닷물 유입관(6)을 열어 바닷물을 유입시켜가열부(7)의 동파이프(15)를 통과하면서 증기로 변하여 상승하다가, 중앙부(1)의 상측에 형성된 응축기(8)의 냉각수순환파이프(23)에 접촉하면 응축되어 증류수로 변하면서 낙하되어 경사진 증류수수집관(100)에 수집되어 증류수 배출구(200)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중앙부(1)의 측면에 형성된 진공장치(9)는 통상의 진공펌프나, 펌프로 바닷물을 상부로 분사시키는 분사관 일부에 이젝터(관)를 중앙부(1)에 연결시켜 펌프를 작동시 펌핑되는 바닷물의 압력에 의해 중앙부(1)의 내부 압력을 저하시켜 진공상태로 유도하는 통상의 진공원리를 이용한 장치로서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바닷물, 담수, 지하수, 수돗물 등을 이용하여 증류수로 제조할 수 있으나, 통상 바닷물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원가면에서 경제적이므로 바닷물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진공을 이용하여 바닷물에 끓은 점 을 내려 적은 에너지로 증기를 발생하여 발생된 증기를 응축시켜 증류수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휠타 방식은 소모품이 많고 생산량이 적어 비경제적 인 반면 본 발명품은 반영구적인 수명과 적은 비용으로 운용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 증류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몸체의 중앙부(1)와, 상기 중앙부(1)를 중심으로 응축기가 내장된 상부(2)와, 상기 중앙부(1) 중심에 형성된 투명창(10)과, 상기 중앙부(1) 일측면에 관으로 연결된 진공장치(9)와, 상기 진공장치(9)의 반대측면에 형성된 증류수배출관(200)과, 상기 중앙부(1)의 하부에 형성된 가열부(7)와, 상기 가열부(7)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3)와, 상기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5)와, 상기 하부(3)의 일측에 형성된 바닷물 유입관(6)과, 상기 중앙부(1)의 상부에 형성된 응축기통공(8`)과, 상기 응축기통공(8`)에 삽입되어 형성된 응축기(8)와, 상기 중앙부(1) 내부의 응축기(8)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증류수수집관(10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수 제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7)는 상부(1)와, 하부(3)의 중간에 위치하며, 가열부(7)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가열부후렌지(11,11`)와, 상기 가열부후렌지(11,11`)의 테두리에는 상부(1)와 하부(3)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가열부후렌지(11,11`)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된 바닷물이 하부(1)와 상부(3)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동파이프(15)와, 상기 동파이프 (15)를 가열시키도록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가열관(12)과, 상기 가열관(12)의 입구는 온수입구(13)와, 온수출구 (14)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열관(12)의 중앙에는 가열격판(16)으로 온수의 입출이구분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수 제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8)는 중앙부 상부에 형성된 응축기통공 (8`)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으로서, 냉각관(24)에 연결된 다수개의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순환파이프(23)와, 상기 냉각관(24)의 입구는 냉각수주입구(21)와 냉각수배출구(22)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관 (24)의 중앙에는 냉각격판 (25)으로 구분되어 냉각수의 입출이 구분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수 제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48576A KR20010085113A (ko) | 2001-08-11 | 2001-08-11 | 증류수 제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48576A KR20010085113A (ko) | 2001-08-11 | 2001-08-11 | 증류수 제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85113A true KR20010085113A (ko) | 2001-09-07 |
Family
ID=1971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48576A Abandoned KR20010085113A (ko) | 2001-08-11 | 2001-08-11 | 증류수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8511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6339B1 (ko) * | 2002-09-26 | 2004-11-09 | 최원환 | 증류수 제조장치 |
KR200454313Y1 (ko) * | 2009-08-07 | 2011-06-29 | 이호영 | 베개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24701A (ja) * | 1987-03-16 | 1988-09-19 | Mitsubishi Heavy Ind Ltd | 蒸溜廃液濃縮装置 |
WO1990001977A1 (en) * | 1988-08-26 | 1990-03-08 | Aquamax Oy | A distillation apparatus |
KR900012650A (ko) * | 1989-02-10 | 1990-09-01 |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 이 | 진공 증류 방법 |
WO1995001243A1 (en) * | 1993-06-30 | 1995-01-12 | U.S. Composites Corp. | Lightweight self-insulating composite tool |
WO1995002508A2 (en) * | 1993-07-09 | 1995-01-26 | Larson Peter M | Gamma radiation treated material |
WO1999033751A1 (en) * | 1997-12-25 | 1999-07-08 | Ebara Corporation | Desalination method and desalination apparatus |
KR20000030167A (ko) * | 2000-01-26 | 2000-06-05 | 신정호 | 진공증류에의한 염수정화 시스템 |
-
2001
- 2001-08-11 KR KR1020010048576A patent/KR20010085113A/ko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24701A (ja) * | 1987-03-16 | 1988-09-19 | Mitsubishi Heavy Ind Ltd | 蒸溜廃液濃縮装置 |
WO1990001977A1 (en) * | 1988-08-26 | 1990-03-08 | Aquamax Oy | A distillation apparatus |
KR900012650A (ko) * | 1989-02-10 | 1990-09-01 |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 이 | 진공 증류 방법 |
WO1995001243A1 (en) * | 1993-06-30 | 1995-01-12 | U.S. Composites Corp. | Lightweight self-insulating composite tool |
WO1995002508A2 (en) * | 1993-07-09 | 1995-01-26 | Larson Peter M | Gamma radiation treated material |
WO1999033751A1 (en) * | 1997-12-25 | 1999-07-08 | Ebara Corporation | Desalination method and desalination apparatus |
KR20000030167A (ko) * | 2000-01-26 | 2000-06-05 | 신정호 | 진공증류에의한 염수정화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6339B1 (ko) * | 2002-09-26 | 2004-11-09 | 최원환 | 증류수 제조장치 |
KR200454313Y1 (ko) * | 2009-08-07 | 2011-06-29 | 이호영 | 베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48623A (en) | Water heating and distilling apparatus | |
CN201151676Y (zh) | 内循环多效蒸发冷凝的太阳能海水淡化装置 | |
CN2823247Y (zh) | 太阳能辅助加热真空蒸发浓缩装置 | |
CN110425508A (zh) | 一种纯蒸汽发生器及其工作方法 | |
US4350568A (en) | High efficiency water distillation apparatus | |
KR20010085113A (ko) | 증류수 제조장치 | |
CN102020327B (zh) | 一种氨氮废水的处理设备 | |
US20050115878A1 (en) | System for desalinating and purifying seawater and devices for the system | |
CN117945486A (zh) | 热电联产机组的循环废水零排放系统及余热利用方法 | |
JP3358057B2 (ja) | 太陽熱および光電池ハイブリット型淡水化装置 | |
CN214167889U (zh) | 一种mvr蒸酒系统 | |
RU2000112556A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есной воды и опреснитель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CN2936372Y (zh) | 用低温热源加热的减压蒸发器 | |
RU2087421C1 (ru) | Опресн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 |
CN1502559A (zh) | 一种热汽体加热热虹吸循环浸没管式多效蒸发脱盐装置 | |
CN211419645U (zh) | 一种蒸馏水发生器装置 | |
JP2800836B2 (ja) | 液体の蒸留装置 | |
RU194759U1 (ru) | Паровоздушная опресн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 |
US3522149A (en) | Distillation apparatus to recover potable water from non-potable water | |
CN210663441U (zh) | 一种溴化锂吸收式热泵机组 | |
RU2052938C1 (ru) | Вакуум-выпарной аппарат | |
RU2115737C1 (ru) | Многокорпусная выпарная установка | |
CN1502560B (zh) | 热汽体加热热虹吸循环蒸发器表面薄膜多效蒸馏脱盐装置 | |
CN212832920U (zh) | 一种用于高盐废水的蒸馏装置 | |
CN2647834Y (zh) | 节能蒸馏水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06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