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4812A -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84812A KR20010084812A KR1020000010135A KR20000010135A KR20010084812A KR 20010084812 A KR20010084812 A KR 20010084812A KR 1020000010135 A KR1020000010135 A KR 1020000010135A KR 20000010135 A KR20000010135 A KR 20000010135A KR 20010084812 A KR20010084812 A KR 200100848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toresist
- photoresist pattern
- mixed solvent
- pattern
- cur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 G03F7/42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 G03F7/425—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containing mineral alkaline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basic compounds, e.g.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bas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cover layers or intermediate layers, e.g. subbing lay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0—Treatment after imagewise removal, e.g. bak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 G03F7/42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물질막을 패터닝할 때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사진 공정은 포토레지스트 도포, 노광, 현상 및 검사의 순으로 진행하여 마스크 패턴을 포토레지스트에 패터닝 한다. 검사 과정에서 패터닝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에서 불량을 발견하면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 후 다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여기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기 위해 O2기체와 N2기체를 사용한 애싱(ashing) 공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새롭게 혼합된 유기혼합용제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한다. 결가적으로 경화된 어떤 상태의 포토레지스트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무기혼합용제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할 때 소요되는 처리시간보다 짧은 시간에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공정 중 사진 공정은 반도체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사진 공정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절연막 또는 도전막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고 마스크 패턴이 형성된 레티클을 사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에 노광을 한다. 빛에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은 영역을 선택적으로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SEM(Scanning Electro Microscope)을 이용하여 인 라인(in line) 상태에서 검사한다. 검사 결과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재작업(rework)을 해야한다. 그런데, 상기 검사 과정에서 상기 SEM에서 발생되는 약 800eV의 전하들이 상기 포토레지스트와 충돌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구성 요소인 고분자 물질(resin)과 광반응제(PAC) 등을 서로 융합 반응시킨다. 그 결과,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경화시켜 재작업시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기 어렵게 만든다. 현재의 공정에서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황산(H2SO4)과 과산화수소(H2O2)를 혼합한 무기혼합용제를 사용한다. 상기 무기혼합용제를 이용한 방법은 처리 시간이 2700초나 되어 반도체 공정의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토레지스트를 깨끗히 없애기 위한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토레지스트를 없애는 처리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의 공정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은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한다. 사진 공정을 통해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을 패터닝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검사한다. 애싱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다. 유기혼합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애싱 공정 후에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다.
(실시예)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을 자세히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은 포토레지스트 패턴 검사 후 애싱 공정과 유기혼합용제를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의 공정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막을 세정한다. 상기 절연막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도포는 웨이퍼 중심부에 소정의 포토레지스트를 공급한 다음 약 30초간 약 2000rpm의 회전 속도로 상기 웨이퍼를 회전시키면 상기 웨이퍼 전면에 상기 포토레지스트가 고르게 퍼진다. 상기 포토레지스트는 일반적으로 고분자물질(resin), 광반응제(PAC;Photo Active Compound) 및 용제(solvent)로 구성된다. 상기 광반응제는 노광시 빛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이고 용제는 상기 포토레지스트가 용해되어 흐름성을 갖도록 하는 물질이다. 도포된 상기 포토레지스트는 웨이퍼 전면에서 일정한 두께를 유지한다. 상기 용제는 휘발성이 커서 대부분 대기 중으로 증발되고 도포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에는 10% 내지 20%의 용제와 수분만이 남게 된다. 상기 용제와 수분은 노광 공정시 빛을 흡수하거나 원치 않는 화학 반응을 유발하여 패턴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잔류하는 용제와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한데, 챔버(chamber) 내에 웨이퍼를 넣고 열을 가하여 용매와 수분을 제거하는 베이크(bake)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크 공정은 약 160℃의 온도에서 약 3분 동안 진행한다.
상기 웨이퍼를 정렬 노광기에 넣고 정렬과 노광을 한 후 현상을 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10). 상기 정렬 과정은 먼저 레티클(reticle)의 위치 확인, 웨이퍼의 위치 확인 및 레티클과 웨이퍼의 위치 정렬 순으로 진행된다. 상기 노광 과정은 상기 레티클과 상기 웨이퍼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레티클 상에 빛을 입사시킨다. 여기서 사용되는 빛은 365nm의 파장을 갖는 i-라인(line) 빛 또는 245nm의 파장을 갖는 DUV(Deep Ultra Violet) 빛이 사용된다. i-라인 빛은 0.30㎛ 이상의 패턴 형성에 적합하고 DUV 빛은 0.20㎛ 이상의 패턴 형성에 적합하다. 상기 현상 과정은 현상액을 사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노광된 영역 또는 노광되지 않은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가 양성(positive)의 포토레지스트이면 빛에 노출된 부분이 현상액과 반응하여 제거되고, 음성(negative)의 포토레지스트이면 빛에 노출되지 않은 부분이 현상액과 반응하여 제거된다.
현상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에 함유된 용제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베이크 처리를 한 번 더 하고 검사 과정을 수행한다(20). 검사 과정에서는 SEM(Scanning Electro Microscope)을 통한 포토레지스트 패턴 CD(Critical Dimension) 검사, 정렬 상태를 검사하는 정렬 검사, 불량을 검사하는 결함 검사 등이 있다. 이러한 일련의 검사 과정에서 공정 기준에 벗어나는 불량이 발생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고 다시 포토레지스트 패터닝 과정을 실시하여야 하는데 이것을 재작업(rework)이라고 한다. SEM을 통한 CD 검사는 인 라인(in line) 상태에서 수행되는데 800eV의 에너지를 갖는 SEM의 강렬한 전자빔(elecron beam)에 노출된상기 포토레지스트가 변화되어 경화된 포토레지스트가 된다. 즉,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성분인 고분자물질(resin)과 광반응제(PAC) 등이 서로 융합 반응하여 새로운 생성물이 만들어져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경화시킨다.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는 종래의 애싱(ashing)이나 무기혼합용제(H2SO4)를 사용하여 재작업을 하면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거나 재작업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재작업 시간을 줄이면서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재작업 처리를 위해 유기혼합용제(GNA)를 사용한다. 상기 유기혼합용제는 C4H5O2(GBL:Gamma Butyro Lactone), CH3COOC4H9(Normal Butyl Acetate) 및 CH3COCH3(Acetone)의 유기물을 혼합한 용제이다. 표준 공정에서 상기 유기혼합용제만을 사용하여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크 처리를 표준 공정보다 추가적으로 더 받은 포토레지스트일 경우에는 상기 유기혼합용제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애싱(ashing) 공정을 상기 유기혼합용제를 사용한 공정 이전에 먼저 실시하여 상기 유기혼합용제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한다(30).
애싱 공정은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가 형성된 웨이퍼를 챔버 내의 척 상에 얹어 놓고 챔버 내부 압력을 1000mT 내지 1800mT 범위로 유지시키고, 챔버 내의 전극에 약 1100W 내외의 전력을 인가시키고, 척의 온도를 200℃ 내지 320℃ 범위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3000sccm 내지 4000sccm 유량 범위를 갖는 O2기체와 100sccm내지 200sccm 유량 범위를 갖는 N2기체를 상기 챔버 내에 주입하여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식각한다. 바람직하게는 1500mT의 챔버 압력, 1100W의 전극 전력, 270℃의 척 온도, 3550sccm 유량의 O2기체 및 150sccm 유량의 N2기체를 사용하는 조건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의 처리 시간은 약 90초로 가장 짧은 시간에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치명적으로 상기 애싱 공정만을 사용해서는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깨끗하게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애싱 공정 후 본 발명에서 제시한 유기혼합용제를 사용하여 추가 공정을 진행하면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40). 또한, 상기 애싱 공정 후 유기혼합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면, 추가된 베이크 공정시 상기 유기혼합용제만을 사용해서 완전히 제거할 수 없었던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표 1]
재작업 처리 방법에 따른 처리 시간
처리 방법 | 처리 조건 | 처리 시간 |
유기혼합용제 | C4H5O2+CH3COOC4H9+CH3COCH3 | 160초 |
무기혼합용제 | H2SO4+H2O2 | 2700초 |
애싱 | 챔버 압력 1500mT전극 전력 1100W척 온도 270℃O2유량 3550sccmN2유량 150sccm | 90초 |
[표 2]
재작업 처리 방법에 따른 포토레지스트 종류별 처리 효과
A | B(추가 베이크) | C(추가 베이크) | D | |
유기혼합용제 | ○ | ○(×) | ○(×) | ○ |
무기혼합용제 | ○ | ○(○) | ○(○) | ○ |
애싱 | × | ×(×) | ×(×) | × |
애싱+유기혼합용제 | ○ | ○(○) | ○(○) | ○ |
(○:처리 양호, ×:처리 불량, 괄호는 추가 베이크 처리시 효과)
표 1은 재작업 처리 방법에 따른 재작업 처리 시간을 보여주는 도표이고, 도 2는 재작업 처리 방법에 따른 포토레지스트 종류별 처리 효과를 보여주는 도표이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종류는 A, B, C 및 D 제품, 예를 들면, UV3, SEPR-402, SEPR-403S 및 SQM08A6 제품으로서 실험에 적용된 제품들이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기혼합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경화된 포토레스트 제거시 처리 시간이 약 160초 소요된다. 그런, 상기 무기혼합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 제거시 처리 시간이 약 2700초 소요된다. 이에 반하여 애싱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 제거시 약 90초면 처리가 가능하다. 처리 시간으로는 애싱 공정이 가장 빠르고 무기혼합용제를 사용할 때 가장 긴 처리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애싱 공정은 처리 시간이 가장 짧은 반면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웨이퍼(wafer) 상에 파티클(particle)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후속 공정에서 불량이 초래된다. 그러므로, 상기 애싱 공정을 단독으로 적용할 수가 없다. 상기 무기혼합용제는 모든 종류의 포토레지스트에 대해서 처리 효과가 양호하다. 추가 베이크 공정이 적용된 경우에도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무기혼합용제는 처리 시간이 다른 처리 방법에 비해 가장 길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 유기혼합용제는 모든 포토레지스트에 대해서 처리 효과가 양호하다. 처리 시간도 상기 무기혼합용제보다 훨씬 짧다. 다만, 추가 베이크 공정이 적용된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에 대해서는 처리 효과가 불량하다. 애싱 공정 후 유기혼합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 2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모든 면에서 양호한 처리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처리 시간이 애싱 공정 처리 시간과 유기혼합용제 처리 시간을 합한 250초 정도로 각각의 처리 시간보다 더 소요되지만 상기 무기혼합용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약 11배나 짧은 시간에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완전히 깨끗히 처리하면서 상기 무기혼합용제를 사용한 처리 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측정 장비에 의해 경화된 포토레지스트를 애싱과 유기혼합용제를 이용하여 깨끗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애싱과 유기혼합용제를 사용함으로써 무기혼합용제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단계;사진 공정을 통해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을 패터닝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검사하는 단계;애싱(ashing)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및유기혼합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애싱 공정 후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유기혼합용제로 C4H5O2, CH3COOC4H9및 CH3COCH3를 사용하여 160초 동안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애싱 공정은 1500mT 압력, 1100W 인가전력 및 270℃ 온도 하에서 3550sccm O2기체와 150sccm N2기체를 주입하여 90초 동안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10135A KR20010084812A (ko) | 2000-02-29 | 2000-02-29 |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10135A KR20010084812A (ko) | 2000-02-29 | 2000-02-29 |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84812A true KR20010084812A (ko) | 2001-09-06 |
Family
ID=1965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10135A Withdrawn KR20010084812A (ko) | 2000-02-29 | 2000-02-29 |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8481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0927B1 (ko) * | 2003-06-20 | 2007-04-23 |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 |
-
2000
- 2000-02-29 KR KR1020000010135A patent/KR20010084812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0927B1 (ko) * | 2003-06-20 | 2007-04-23 |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 처리 방법 및 처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20151156A1 (en) | Process for removal of photoresist after post ion implantation | |
US6319835B1 (en) | Stripping method | |
KR100434485B1 (ko) | 포토레지스트 스트립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 스트립 방법 | |
US6358676B1 (en) | Method for reworking photoresist | |
EP1264216B1 (en) | Method of reducing defects | |
US6929901B2 (en) | Method for reworking a lithographic process to provide an undamaged and residue free arc layer | |
JPH0471222A (ja) | パターン形成方法 | |
JP4409138B2 (ja) | フォトレジスト除去用組成物 | |
US6210846B1 (en) | Exposure during rework for enhanced resist removal | |
JP2008066587A (ja) | パターン形成方法 | |
KR20080009970A (ko) | 포토레지스트 현상액 및 이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 패턴형성 방법 | |
JP2004526981A (ja) | フォトレジスト除去剤組成物 | |
KR20010084812A (ko) | 포토레지스트 제거 방법 | |
JP3742624B2 (ja) | フッ化アンモニウムを含有するフォトレジスト除去剤組成物 | |
CN100459037C (zh) | 衬底处理方法及用于该方法的药液 | |
JP3061790B1 (ja) | マスク製造方法及びパタ―ン形成方法 | |
US20070026340A1 (en) | Method of removing photoresist and photoresist rework method | |
KR100496815B1 (ko) | 화학적 팽창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
EP0919874A2 (en) | Photoresist composition effective for use as an ion etch barrier after patterning | |
US6372658B1 (en) | Reducing contamination induced scumming, for semiconductor device, by ashing | |
KR20020007589A (ko) | Cf4가스를 이용한 에싱 방법 | |
JPH03203235A (ja) | エッチング方法 | |
KR20010073700A (ko) | 포토레지스트 스트립퍼 조성물 | |
KR100613097B1 (ko) | 반도체 제조 방법 | |
JPS61112327A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