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84261A -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4261A
KR20010084261A KR1020000009142A KR20000009142A KR20010084261A KR 20010084261 A KR20010084261 A KR 20010084261A KR 1020000009142 A KR1020000009142 A KR 1020000009142A KR 20000009142 A KR20000009142 A KR 20000009142A KR 20010084261 A KR20010084261 A KR 20010084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ain body
dtmf
key input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학진
송용호
Original Assignee
허진호
주식회사 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호, 주식회사 이트로닉스 filed Critical 허진호
Priority to KR102000000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4261A/ko
Publication of KR2001008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26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본체와 핸즈프리 세트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이동단말 시스템에 있어서, 숫자 버튼과 통화 개시 및 종료를 명령하는 키스위치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특정 키스위치의 선택에 따른 저주파 및 고주파의 DTMF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본체로 전송하는 DTMF 발생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입력된 숫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키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다이얼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동하는 표시구동부를 포함한 보조 키패드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본체와 별도로 설치된 보조 키패드를 이용하여 통화를 개시할 수 있고, 단말기 본체에 어떠한 조작을 가하지 않고서도 호통화를 발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핸즈프리형 이동 단말기보다 훨씬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Auxiliary Dial-Button Apparatus of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즈프리형 이동 단말기에서 핸즈프리 세트와 다이얼 키패드를 일체로하여 제작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본체에 설치된 다이얼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다이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이동통신서비스는 전체 서비스 영역을 작은 셀 영역으로 나눈 후 그 셀 영역내에 무선 기지국과 중계기들을 설치하고, 각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수신되는 고유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통화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식으로 서비스하게 된다.
이동 단말기는 시행 사업자에 따라 사용하는 주파수의 대역이 상이하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키입력수단의 특정 키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고주파군과 저주파군의 조합에 따른 특정 신호 즉,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를 발생하여 소정의 캐리어 신호에 실려 무선 기지국으로 송출되고, 무선 기지국에서 각 이동 단말기의 등록정보를 검색해서 해당 단말기의 위치로 DTMF 신호를 방출하여 통화를 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통화상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핸즈프리(Hands-free) 세트와 같은 다양한 부가 장치들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핸즈프리 세트는 이동 단말기의 본체와 유선으로 접속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어폰 및 마이크를 구비한 핸즈프리 세트는 통화 중에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손에 쥔 채로 통화할 필요가 없어 사용하기에 편리한 장치이지만, 호통화를 발신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본체 플립(혹은 폴더)을 오픈한 후 키패드를 눌러 통화를 개시해야 하므로, 여전히 이동 단말기의 본체를 조작해야만 상대방과 통화를 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핸즈프리 세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호통화를 발신할 경우 이동 단말기의 본체 플립을 열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키패드를 통해 일일이 눌러야 하므로 본체에 소정의 조작을 가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즈프리형 이동 단말기에서 핸즈프리 세트와 별도의 다이얼 키패드를 일체로하여 제작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본체에 설치된 다이얼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다이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이동 단말기의 본체와 핸즈프리 세트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이동단말 시스템에 있어서,
숫자 버튼과 통화 개시 및 종료를 명령하는 키스위치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특정 키스위치의 선택에 따른 저주파 및 고주파의 DTMF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본체로 전송하는 DTMF 발생부;
상기 키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입력된 숫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키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숫자관련 다이얼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구동하는 표시구동부를 포함한 보조 키패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다이얼 버튼 장치를 나타낸 회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무선 기지국 20: 이동 단말기의 본체
21: 음성 및 신호처리부 23: DTMF 검출부
25: 제어수단 27: 전원공급부
29: 인터페이스 30: 보조 키패드
31: 키입력부 33: DTMF 발생부
35: 표시부 37: 표시구동부
40: 핸즈프리 세트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단말기 본체(20), 보조 키패드(30) 및 핸즈프리 세트(30)를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 본체(20)는 외부 무선 기지국(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유기된 신호를 동조하여 일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복조하거나 음성신호를 변조한 후 안테나로 전송하는 음성 및 신호처리수단과, 복조된 또는 변조할 데이터에 대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인터리빙(Interleaving)과 블록코딩(Block Coding) 및 컨벌루션코딩(Convolution Coding)을 실행하는 베이스밴드처리수단과,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 음성신호를 가청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 음성입출력수단 등을 구비하여 외부 무선 기지국(10)과 음성 신호와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키패드(30)는 DTMF형 숫자키와 기능키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입력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LCD 화면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핸즈프리 세트(40)는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 음성신호를 가청 음성으로 출력하는 이어폰을 구비한 음성입출력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이동 단말기의 본체(20)와 별도로 보조 키패드(30)와 핸즈프리 세트(40)를 일체로 제작한 후 유선을 이용하여 보조 키패드(30)를 단말기의 본체(20)에 연결하면, 단말기 본체(20)의 키스위치(미 도시함)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보조 키패드(30)의 키스위치만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호통화를 위한 접속을 실행할 수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다이얼 버튼 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낸 회로 블록도로서, 이동 단말기의 본체(20), 보조 키패드(30) 및 핸즈프리 세트(40)를 도시하였다.
한편, 이동 단말기의 본체(20)는, 외부 무선 기지국(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에 유기된 신호를 동조하여 일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복조하거나 음성신호를 변조한 후 안테나로 전송하는 음성 및 신호처리부(21)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중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를 인식하여 검출하는 DTMF 검출부(23)와,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단말기의 전반 사용동작을 제어함과 더불어 DTMF 검출부(23)에서 출력되는 다이얼관련 숫자 정보를 제공받아 그에 해당하는 숫자정보 제어신호를 음성 및 신호처리부(21)로 발생하여 호통화를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25)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단말기의 본체(20)는 보조 키패드(3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29)를 구비함으로써, 유선을 이용하여 단말기 본체(20)와 보조 키패드(30)를 상호 연결하여 통신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미설명한 부호 27은 전원공급부로서, 단말기의 본체(20)와 보조 키패드(30)로 일정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보조 키패드(30)는, 숫자 버튼(1∼0)과 통화 개시(SEND) 및 종료(END)를 명령하는 키스위치가 저주파군과 고주파군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키입력부(31)와, 키입력부(31)의 특정 키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저주파 및 고주파의 DTMF 신호를 발생하는 DTMF 발생부(33)와, 키입력부(31)의 키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입력된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LCD와 같은 표시부(35)와, 키입력부(31)의 저주파군 및 고주파군의 다이얼 신호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숫자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부(35)에 표시되도록 구동하는 표시구동부(37)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핸즈프리 세트(40)는,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41)과 음성신호를 가청 음성으로 출력하는 이어폰(45)을 구비한 음성입출력수단으로 이루어져, 단말기 본체(20)의 인터페이스(29)에서 인출된 음성 송수신 유선을 보조 키패드(30)를 통해 연장한 구성 즉, 보조 키패드(30)와 핸즈프리 세트(40)를 일체로 제작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본체(20)와 별도로 설치된 보조 키패드(30)를 구비함으로써, 키스위치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키입력부(31)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키입력부(31)는 특정 숫자에 해당하는 저주파군 및 고주파군에 해당하는 신호를 DTMF 발생부(33)로 출력하고, DTMF 발생부(33)는 키입력부(31)에서 출력되는 특정 숫자 신호에 따라 저주파 및 고주파의 DTMF 신호를 발생하여 단말기의 본체(20)로 출력한다.
이어, 단말기 본체(20)에 구비된 DTMF 검출부(23)는 인터페이스(29)를 통해 전송된 DTMF 신호를 인식하여 검출한 후 그에 해당되는 신호를 제어수단(25)으로 출력하고, 음성 및 신호처리부(21)는 제어수단(25)을 통해 출력되는 상대 전화번호관련 신호를 변조한 후 안테나를 통해 무선 기지국(10)으로 송출하여 호통화를 개시한다.
아울러, 보조 키패드(30)에 구비된 표시구동부(37)는 키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저주파군 및 고주파군에 해당하는 다이얼 버튼 신호를 제공받아 숫자정보를 인식한 후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입력된 숫자 정보가 표시부(35)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20)에 미 도시한 키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보조 키패드(30)의 키스위치만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호통화를 접속하여 개시할 수 있다.
물론, 상대방으로부터 링신호가 전송되면, 보조 키패드에 형성된 소정의 키스위치를 선택하기만 하면 통화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도 2에서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본체와 별도로 설치된 보조 키패드를 이용하여 통화를 개시함으로써, 단말기 본체에 어떠한 조작을 가하지 않고서도 호통화를 발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이 가능짐과 아울러 핸즈프리 이동 단말기보다 훨씬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접속라인을 4개 내지 5개로 최소화함으로써 경제적인 비용으로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Claims (3)

  1. 이동 단말기의 본체와 핸즈프리 세트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이동단말 시스템에 있어서,
    숫자 버튼과 통화 개시 및 종료를 명령하는 키스위치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특정 키스위치의 선택에 따른 저주파 및 고주파의 DTMF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본체로 전송하는 DTMF 발생부;
    상기 키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입력된 숫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키입력부의 선택에 따른 숫자관련 다이얼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구동하는 표시구동부를 포함한 보조 키패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키패드는,
    상기 핸즈프리 세트와 일체로 제작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본체는,
    상기 보조 키패드의 DTMF 발생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중 DTMF 신호를 인식하여 검출하는 DTMF 검출부; 및
    상기 DTMF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다이얼관련 숫자 정보를 제공받아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호통화를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
KR1020000009142A 2000-02-24 2000-02-24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 KR20010084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142A KR20010084261A (ko) 2000-02-24 2000-02-24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142A KR20010084261A (ko) 2000-02-24 2000-02-24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261A true KR20010084261A (ko) 2001-09-06

Family

ID=1964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142A KR20010084261A (ko) 2000-02-24 2000-02-24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426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158A (ko) * 2000-08-16 2002-02-25 김재명 키패드가 있는 유/무선 해드셋 장치
KR20030029677A (ko) * 2001-10-05 2003-04-16 (주)싸이버뱅크 무선통신 단말기용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79026A (ko) * 2002-04-01 2003-10-10 신동훈 휴대형 정보 단말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방법
KR20040000690A (ko) * 2002-06-25 2004-01-07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휴대 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장치의신호처리 방법
WO2005088844A1 (en) * 2004-03-12 2005-09-22 Sambu Communics Co., Ltd. External speaker for mobile pho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158A (ko) * 2000-08-16 2002-02-25 김재명 키패드가 있는 유/무선 해드셋 장치
KR20030029677A (ko) * 2001-10-05 2003-04-16 (주)싸이버뱅크 무선통신 단말기용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79026A (ko) * 2002-04-01 2003-10-10 신동훈 휴대형 정보 단말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방법
KR20040000690A (ko) * 2002-06-25 2004-01-07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휴대 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장치의신호처리 방법
WO2005088844A1 (en) * 2004-03-12 2005-09-22 Sambu Communics Co., Ltd. External speaker for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032B1 (ko) 휴대폰의문자서비스방법
KR20010084261A (ko) 이동 단말기의 보조 다이얼 버튼 장치
KR100339336B1 (ko) 이동 단말기의 리모콘 장치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266275B1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핸드 프리 장치
KR200229548Y1 (ko) 전화다이얼 기능이 부착된 핸들커버 장치
KR200258282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음성스위치를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KR20040099636A (ko) 다기능 키패드 장치를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21467Y1 (ko) 단축 다이얼을 갖는 핸즈프리
JP2000188629A (ja) 通信装置
KR10024189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톤/펄스 전환방법.
KR1003296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송/수신제어장치
KR19990059599A (ko) 통신신호의에러체크와재전송방법
JPH09270844A (ja) 自動ダイヤル機能付き携帯電話機及びダイヤル方法
KR200200567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단축키를 이용한 모드전환방법
KR20060020504A (ko) 단말기에서 통화중 숫자메세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258275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장치
KR200258283Y1 (ko) 영상휴대폰과 한 조가 되고 음성스위치를 구비한핸즈프리 장치
JP2011087062A (ja) 親子電話機及び親子電話機の子機並びに電話機
KR20010084177A (ko) 무선 핸즈프리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98173A (ko) 라디오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65046A (ko) 분리형 휴대 전화 단말기
JPH0245864B2 (ko)
KR2004001591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화장치 및 방법
KR20060070863A (ko) 통화 호 연결중에 있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dtmf 신호에 대응되는 키 정보 표시가 가능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1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