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81199A -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199A
KR20010081199A KR1020000006348A KR20000006348A KR20010081199A KR 20010081199 A KR20010081199 A KR 20010081199A KR 1020000006348 A KR1020000006348 A KR 1020000006348A KR 20000006348 A KR20000006348 A KR 20000006348A KR 20010081199 A KR20010081199 A KR 20010081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protrusion
helmet
locking
rot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숙
Original Assignee
이영숙
주식회사 케이비씨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숙, 주식회사 케이비씨산업 filed Critical 이영숙
Priority to KR1020000006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1199A/ko
Publication of KR20010081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19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42B3/223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with means for locking the visor in a fully open, intermediate or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경주차량용 헬멧의 투시창을 필요에 따라 가려 주는 쉴드에 관한 것으로, 쉴드(120)의 회동지점에, 걸림돌기(11)가 외주연 양측으로 돌출되어진 회동축(10)이 형성됨과 더불어 회동축(10)의 측부에, 슬라이딩돌기(21)가 외주연 일측에 구비된 미끄럼판(20)과, 일방향톱니(31)가 외주연 일측에 구비된 걸림판(30)이 나란하게 형성되되; 헬멧본체(100)의 양측부에, 회동축(10)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격벽(40)과, 슬라이딩돌기(21)가 미끄럼되는 가이드레일(50)과, 일방향톱니(31)가 맞물려 다단계로 이동되는 안내벽(60)과, 스프링(71)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수용홈(70)으로 구성된 고정부재(1)가 장착되며; 고정부재(1)의 외측면에, 걸림격벽(40)의 외주연에 끼워져 힌지축(P)을 중심으로 회동됨과 더불어 그 내주연에 걸림돌기(11)를 걸림/해제하여주는 고정돌기(81)가 형성된 회동벽체(80)와, 회동벽체(80)의 일측면에 일체화되어 스프링(71)에 의해 가이드레일(50)로 압축되는 압축돌기(90)로 구성된 회동부재(2)가 힌지결합되어, 쉴드의 분해/조립과정에서 편의성이 향상되어 작업효율이 증대됨은 물론 이로인해 제반경비가 절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 {Device for rotating and separating a shield of helmet}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경주차량용 헬멧의 투시창을 필요에 따라 가려주는 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시창 쉴드의 회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쉴드의 분해/조립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된 헬멧 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helmet)은, 오토바이나 경주차량 등에 탑승한 탑승자의 머리부분을 감싸 충/추돌과 같은 사고가 발생된 경우 탑승자를 보호하여주는 보호장비로서, 탑승자의 머리부분을 감싸 보호하여주는 헬멧본체와, 헬멧본체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전방시야를 확보하여주는 투시창과, 헬멧본체의 양측부에 개폐조절장치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쉴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쉴드의 개폐조절장치는, 헬멧본체의 양측부에 장착된 쉴드를 회동시켜주는 장치로서, 쉴드의 완전개방에서 완전폐쇄까지 단계별로 작동됨은 물론 쉴드를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목표로하는 지점에서 작동이 확실히 이루어져 운전자의 시야장애를 주지않는 과제가 선결되어야한다.
예컨대, 일본특허(공고번호 93-905, 1993년 2월 27일)에 의하면, 개폐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창(2)의 양단부측 주면에 형성된 지지판(3) 중 어느한쪽 지지판(3)에 걸림돌조(4')가 형성된 괘지판(4)을 탄성스프링(5)으로 탄동되게 유착하고, 쉴드(8)의 양단부에 일방향톱니(9')가 축공(9”)주위에 형성된 회동판(9)을 형성하여, 걸림돌조(4')와 일방향톱니(9')끼리 맞물리게 유착한 다음, 지지판(3)과 회동판(9)의 사이에 스프링(7)과 레버(6)를 결접하여 쉴드(8)를 당길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런데, 일본특허에 의한 개폐조절장치는, 괘지판(4)을 누르기만 하면 스프링(7)의 탄성력과 레버(6)의 상호작용에 의해 쉴드(8)가 리턴되어 투시창(2)을 원터치식으로 가려주는 장점이 있지만, 쉴드(8)의 반복사용으로 인해 스프링(7)의 탄성력이 감소되거나 걸림돌조(4')와 톱니(9')가 마모되는 경우 괘지판(4)의 실질적 작동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개폐조절장치에는 쉴드의 개폐사정이 악화되는 경우에 쉴드를 분해/조립시켜주는 분해조립장치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장치는 고정나사를 별도로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쉴드의 분해/조립과정을 가능하게하여 작업편의성이 제공되는 과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예컨대, 분해조립장치는 일본특허(공고번호 92-4856, 1992년 6월 19일)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본체(1)의 좌우외측면에 고착한 계지부재에 대하여 쉴드(2)의 좌우측부에 부착한 계지부재를, 쉴드(2)의 완전개방위치보다 상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부(6)와 축지지장치(10)를 감입시키고, 그 상태에서 쉴드(2)를 하부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써 계지부재의 개폐한정장치가 다른쪽 계지부재의 안내홈(9)에 감입/계합하여 한정개방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일본특허에 의한 분해조립장치는, 헬멧본체(1)에서 쉴드(2)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킨 다음 암계지부재(B)를 인장하여 스톱퍼(5)로부터 벗겨내고, 다시 방풍체(2)를 회동하여 안내부재(10b)와 입구부(6c)를 합치시키면, 괘합돌출부재(4b)가 괘지홈(13)에서 벗어나 암계지부재(B)가 숫계지부재(A)로부터 벗어나 분리되는 구성으로서, 분해/조립과정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헬멧투시창의 전방측에 장착되는 쉴드를 다단계로 회동되도록하여 오작동을 차단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쉴드를 원터치식으로 분해/조립되도록하여 작업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헬멧 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의 실시예,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의 실시예,
도 3(a),(b)는 본 발명에 따른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의 작동전후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동축 20 : 미끄럼판
30 : 걸림판 40 : 걸림격벽
50 : 가이드레일 60 : 안내벽
70 : 수용홈 80 : 회동벽체
90 : 압축돌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는 쉴드의 작동전후상태도와 분해사시도로서, 탑승자의 머리부분을 감싸 보호하여주는 헬멧본체(100)와, 헬멧본체(100)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전방시야를 확보하여주는 투시창과, 헬멧본체(100)의 양측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투시창을 개폐하여주는 쉴드(120)로 이루어진 헬멧투시창의 쉴드에 있어서, 쉴드(120)의 회동지점에, 걸림돌기(11)가 외주양측으로 돌출된 회동축(10)이 형성됨과 더불어, 회동축(10)의 측부에, 슬라이딩돌기(21)를 구비한 미끄럼판(20)과, 일방향톱니(31)를 구비한 걸림판(30)이 나란하게 형성되되; 헬멧본체(100)의 양측부에, 회동축(10)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걸림격벽(40)과, 슬라이딩돌기(21)가 미끄럼되는 가이드레일(50)과, 일방향톱니(31)가 맞물려 다단계로 이동되는 안내벽(60)과, 스프링(71)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수용홈(70)으로 구성된 고정부재(1)가 장착되며; 고정부재(1)의 외측면에, 걸림격벽(40)의 외주연에 끼워져 힌지축(P)을 중심으로 회동됨과 더불어 그 내주연에 걸림돌기(11)를 걸림/해제하여주는 고정돌기(81)가 돌출된 회동벽체(80)와, 회동벽체(80)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스프링(71)에 의해 가이드레일(50)의 방향으로 압축되는 압축돌기(90)로 구성된 회동부재(2)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헬멧본체(100)와 투시창과 쉴드(120)는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쉴드(120)의 내주면 양측에 회동축(10)과 미끄럼판(20)과 걸림판(30)이 일정거리를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에만 그 차이점이 있음을 첨언한다.
그리고, 회동축(10)은, 쉴드(120)의 내벽양측의 하단부에 돌출형성되어 헬멧본체(100)와의 회동지점을 이루는 회동돌기로서, 양측부에는 걸림격벽(40)과 고정홈(80)을 따라 미끄럼되는 각각의 걸림돌기(11)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미끄럼판(20)은, 회동축(10)의 측부에 일정거리를 두고 돌출형성된 이동돌기로서, 일측면에는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가이드레일(50)로 끼워져 미끄럼이동되는 슬라이딩돌기(21)가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판(30)은, 미끄럼판(20)의 측부에 일정거리를 두고 돌출형성된 이동돌기로서, 일측면에는 안내벽(60)을 따라 이동되는 일방향톱니(31)가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면에는 고정벽(65)을 따라 이동되는 안내돌기(32)가 형성되어, 이동경로상에 형성된 고정스톱퍼(33)에 의해 하향이 제한된다.
한편, 고정부재(1)는, 헬멧본체(100)의 양측부에 보울트들로 체결되어진 판부재로서, 몸체일면에 회동축(10)과 미끄럼판(20)과 걸림판(30)에 대응하는 위치로 걸림격벽(40)과 가이드레일(50)과 안내벽(60)과 고정벽(65)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격벽(40)은, 고정부재(1)의 체결공(B)을 중심으로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회동축(10)이 삽입되는 고정돌기로서, 내주연에는 일측부를 따라 절결홈(41)이 형성됨과 더불어 타측부를 따라 걸림돌기(11)의 이동을 제한하여주는 고정홈(42)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50)은, 걸림격벽(40)의 측부에 돌출형성된 라운드형상의 안내돌기로서, 몸체에는 일측부를 따라 미끄럼판(20)의 슬라이딩돌기(21)가 끼워지는 끼움돌기(51)가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부를 따라 회동벽체(80)의 이동홈(82)이 끼워지는 슬라이딩돌기(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벽(60)은, 가이드레일(50)의 하부측에 돌출형성된 라운드형상의 안내돌기로서, 일측면에 걸림판(30)의 일방향톱니(31)와 맞물리는 안내톱니(62)가 일체로 형성되며, 안내톱니(62)의 측부에 안내돌기(32)와 맞물리는 라운딩돌기(6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벽(65)은, 걸림격벽(40)의 측부에 형성되어 회동부재(2)의 이동한계를 제한하여주는 걸림돌기로서,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걸림격벽(40)의 외주연에 끼워져 슬라이딩돌기(52)를 따라 왕복이동되는 회동벽체(80)의 스톱퍼(83)에 의해 이동한계가 제한된다.
그리고, 수용홈(70)은, 가이드레일(50)의 측부에 폭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소정크기의 수용공간으로서, 내부공간에는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압축돌기(90)를 가이드레일(50)의 방향으로 압축하여 회동축(10)의 이탈을 방지하여주는 스프링(71)이 수용된다.
한편, 회동부재(2)는, 고정부재(1)의 상부측에 관통형성된 힌지축(P)에 힌지핀을 통해 결합되는 판부재로서, 몸체에는 걸림격벽(40)의 외주면으로 끼워지는 회동벽체(80)와, 수용홈(70)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71)에 의해 일방향으로 압축되는 압축돌기(90)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벽체(80)는, 걸림격벽(40)의 외주연에 끼워져 힌지축(P)을 중심점으로 회동하는 회동홈으로서, 내주연에는 절결홈(41)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돌기(81)가 형성됨과 외주연에는 슬라이딩돌기(52)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홈(82)과 고정벽(65)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스톱퍼(83)가 형성된다.
그리고, 압축돌기(90)는, 회동벽체(80)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71)에 의해 가이드레일(50)측으로 압축되는 이동부재로서, 양측면에 가이드레일(50)로 밀착되는 접촉면과 스프링(71)을 고정하여주는 고정돌기(91)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헬멧본체(100)의 양측부 즉, 쉴드(120)의 회동지점에,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부재(1)를 고정시킨 다음, 고정부재(1)의 회동지점을 이루는 걸림격벽(40)의 외주연에 회동벽체(80)를 장착한다.
그런 다음, 고정부재(1)와 회동부재(2)에 형성된 힌지공으로 힌지축(P)을 삽입하여 체결하면, 회동부재(2)는, 걸림격벽(40)의 외주연에 끼워진 상태에서 힌지축(P)을 중심점으로 회동가능한 상태로서, 스프링(71)의 탄성력에 의해가이드레일(50)의 방향으로 압축된다.
즉, 회동부재(2)의 회동벽체(80)가 고정부재(1)의 걸림격벽(40)을 중심점으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회동부재(2)는, 고정돌기(81)를 통해 절결홈(41)을 따라 왕복이동됨은 물론, 스프링(71)에 의해 일방향으로 압축되는 압축돌기(90)를 통해 가이드레일(50)의 접촉면으로 밀착된다.
한편, 고정부재(1)의 걸림격벽(40)에 쉴드(120)의 회동축(10)을 끼워 장착하려는 경우, 쉴드(120)를 상부측으로 완전히 상향시킨 다음, 회동부재(2)의 압축돌기(90)를 가이드레일(50)의 반대측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압축돌기(90)가 스프링(71)의 탄성력을 이기고 수용홈(7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회동벽체(80)가 힌지축(P)을 중심점으로 수용홈(70)의 방향으로 눌려지는 과정에서, 고정돌기(81)가 절결홈(41)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빈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빈공간이 형성된 절결홈(41)을 통해 쉴드(120)의 회동축(10)을 가볍게 삽입한다.
그런 다음, 작업자가 회동부재(2)의 압축돌기(90)를 가볍게 놓게 되면, 회동부재(2)의 압축돌기(90)가 스프링(71)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레일(50)의 방향으로 밀착되고, 이로인해 회동벽체(80)의 고정돌기(81)가 절결홈(41)을 따라 리턴되어 절결홈(41)의 빈공간으로 이동된다.
즉, 회동벽체(80)의 고정돌기(81)가 절결홈(41)을 따라 리턴되는 과정에서 회동축(10)의 걸림돌기(11)를 고정시키므로, 회동축(10)의 걸림돌기 중 어느하나의 걸림돌기(11)가 고정홈(42)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또다른 걸림돌기(11)가회동벽체(80)의 고정돌기(81)에 의해 고정된다.
물론, 고정부재(1)의 걸림격벽(40)내로 회동축(10)을 삽입하여 쉴드(120)의 장착작업을 완료한 경우, 미끄럼판(20)의 슬라이딩돌기(21)가 가이드레일(50)의 슬라이딩돌기(51)로 끼워지게 되고, 걸림판(30)의 일방향톱니(31)가 안내벽(60)의 라운딩돌기(61)로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쉴드(120)나 안내벽(60)이 마모 등의 원인으로 개폐사정이 악화되어 분해하려는 경우, 쉴드(120)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킨 다음, 압축돌기(90)를 스프링(71)이 설치된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회동부재(3)가 힌지축(P)을 중심점으로하여 일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과정에서, 회동벽체(80)의 고정돌기(8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있던 회동축(10)의 걸림돌기(11)가 해제되므로, 쉴드(120)의 몸체를 잡고, 즉, 회동축(10)의 걸림돌기(11)를 걸림격벽(40)의 절결홈(41)을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면, 쉴드(120)의 분해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물론, 걸림격벽(40)의 내부공간에서 회동축(10)을 매개로하여 상향되어진 쉴드(120)는, 안내돌기(32)와 고정스톱퍼(33)에 의해 하향이 제한된 상태이므로, 유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헬멧투시창의 양측부에 장착된 쉴드의 분해/조립과정이, 쉴드를 상측방향으로 회동시킨 다음 압축돌기를 누르기만 하면 이루어지므로, 투시창쉴드의 분해/조립과정에서 편의성이 향상되어 작업효율이 증대됨은 물론 작업부하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제반경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탑승자의 머리부분을 감싸 보호하여주는 헬멧본체(100)와, 헬멧본체(100)의 전방에 형성되어 전방시야를 확보하여주는 투시창과, 헬멧본체(100)의 양측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투시창을 개폐하여주는 쉴드(120)로 이루어진 헬멧투시창의 쉴드에 있어서,
    쉴드(120)의 회동지점에, 걸림돌기(11)가 외주연 양측으로 돌출되어진 회동축(10)이 형성됨과 더불어 회동축(10)의 측부에, 슬라이딩돌기(21)가 외주연 일측에 구비된 미끄럼판(20)과, 일방향톱니(31)가 외주연 일측에 구비된 걸림판(30)이 나란하게 형성되되;
    헬멧본체(100)의 양측부에, 회동축(10)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격벽(40)과, 슬라이딩돌기(21)가 미끄럼되는 가이드레일(50)과, 일방향톱니(31)가 맞물려 다단계로 이동되는 안내벽(60)과, 스프링(71)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수용홈(70)으로 구성된 고정부재(1)가 장착되며;
    고정부재(1)의 외측면에, 걸림격벽(40)의 외주연에 끼워져 힌지축(P)을 중심으로 회동됨과 더불어 내주연에 걸림돌기(11)를 걸림/해제하여주는 고정돌기(81)가 형성된 회동벽체(80)와, 회동벽체(80)의 일측면에 일체화되어 스프링(71)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레일(50)로 압축되는 압축돌기(90)를 구성된 회동부재(2)가 힌지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
KR1020000006348A 2000-02-11 2000-02-11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 Ceased KR20010081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348A KR20010081199A (ko) 2000-02-11 2000-02-11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348A KR20010081199A (ko) 2000-02-11 2000-02-11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199A true KR20010081199A (ko) 2001-08-29

Family

ID=1964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348A Ceased KR20010081199A (ko) 2000-02-11 2000-02-11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11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20B1 (ko) * 2006-09-21 2007-08-2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
KR102399068B1 (ko) * 2020-12-08 2022-05-1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082A (ko) * 1991-05-31 1992-12-18 에이다로오 가마다 헬멧에 있어서의 시일드판 부착구조
JPH0562529U (ja) * 1992-02-03 1993-08-20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支持構造
KR940001979A (ko) * 1992-07-28 1994-02-16 존 해밀톤 무어 용융금속처리용기의 라이닝(lining)
JPH073514A (ja) * 1993-06-18 1995-01-06 Shoei Kako Kk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H072432U (ja) * 1993-06-18 1995-01-13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板用クリックストップ機構
KR19980056873U (ko) * 1997-01-24 1998-10-15 홍완기 헬멧용 쉴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082A (ko) * 1991-05-31 1992-12-18 에이다로오 가마다 헬멧에 있어서의 시일드판 부착구조
JPH0562529U (ja) * 1992-02-03 1993-08-20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支持構造
KR940001979A (ko) * 1992-07-28 1994-02-16 존 해밀톤 무어 용융금속처리용기의 라이닝(lining)
JPH073514A (ja) * 1993-06-18 1995-01-06 Shoei Kako Kk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H072432U (ja) * 1993-06-18 1995-01-13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板用クリックストップ機構
KR19980056873U (ko) * 1997-01-24 1998-10-15 홍완기 헬멧용 쉴드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20B1 (ko) * 2006-09-21 2007-08-2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
KR102399068B1 (ko) * 2020-12-08 2022-05-1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0156B2 (en) Handle for a door leaf of an automobile
US7070216B2 (en)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US20060256459A1 (en) Rear viewing device for an automobile
EP2331775B1 (en) Vehicle handle with improved unlocking mechanism
US20070180657A1 (en) Hinge arangement for a cover element
EP2213532B1 (en) Key regulating device
EP1038456B1 (en) Shield fixing structure in helmet
EP0995870A1 (en) Lock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US7413224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20010081199A (ko)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
EP0551980B1 (en) Latch for hinged panel
GB2106584A (en) Fasteners
KR100403482B1 (ko)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KR20120045096A (ko) 차량용 도어래치
EP3434513A1 (en) Vehicle seat and reclining mechanism cover used therefor
US12293886B2 (en) Switch device
KR102505746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79891B1 (ko)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KR100439440B1 (ko) 헬멧의 실드부착 구조
JP4125424B2 (ja) アウターハンドル装置
US7431523B2 (en) Printer with wedge for closing paper outlet slot
KR200391688Y1 (ko) 착탈가능한 동작레버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핸들장치
EP4495625A1 (en) Lidar system for vehicles
KR20250045156A (ko) 차량용 충전도어의 강제 개방 장치
JP3742419B2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3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