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80798A -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0798A
KR20010080798A KR1020000001861A KR20000001861A KR20010080798A KR 20010080798 A KR20010080798 A KR 20010080798A KR 1020000001861 A KR1020000001861 A KR 1020000001861A KR 20000001861 A KR20000001861 A KR 20000001861A KR 20010080798 A KR20010080798 A KR 2001008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drum
sorting
soil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일
Original Assignee
이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일 filed Critical 이경일
Priority to KR1020000001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0798A/ko
Priority to KR2020000011509U priority patent/KR200195539Y1/ko
Publication of KR2001008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79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 B07B1/52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 B07B1/524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the brushes being rotating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을 위한 쓰레기 선별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굴착된 쓰레기에 포함된 토사를 효과적으로 걸러냄과 아울러 흙덩어리나 돌덩어리를 분쇄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철근, 나무, 폐합성수지재 등을 분쇄, 절단하여 선별 회수 설비에 공급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쓰레기중의 토사를 걸러줄수 있는 망공를 갖는 외부드럼과, 외부드럼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외부드럼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양단에 종동기어와 드럼이 설치되고 연결대로 연결하며, 그 내측에 절단도가 중앙으로 향상하여 설치되고 중간드럼이 구비된 내부회동체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투입된 쓰레기에 포함된 토사가 양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쓰레기에 포함된 토사를 완전하게 제거할수 있게 되는 것이며, 쓰레기에 포함된 철근이나 나무, 폐합성수지물등을 잘게 절단하여 후단의 선별 회수 설비로 이송시킬수 있게 되므로 효율적인 선별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 {The sorting Device for digged Trash}
본 발명은 매립된 쓰레기를 굴착하여 선별하기 위한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쓰레기 매립지를 활용하기 위하여 매립된 쓰레기를 굴착하고 이를 선별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굴착된 쓰레기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쓰레기 매립지는 쓰레기 운반 효율을 감안하여 대개 대도시 인근에 위치한다. 그러나 도시의 팽창과 도시 개발계획에 의하여 쓰레기 매립지를 활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에 따라 매립된 쓰레기를 굴착하여야 하고 굴착된 쓰레기는 그 처리를 위하여 선별작업이 불가피한 것이다. 이러한 굴착된 쓰레기는 대별하여 비중이 무거운 쇠붙이나 돌, 폐비닐등 폐합성수지제품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쓰레기의 분리를 위한 선행기술의 예를 일본 공개 실용 소 61- 191184호에 의하여 살펴볼수 있다. 이는 도1,2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전후 드럼이 정역 회전되게 설치되고, 각 드럼의 내벽면에 경사진 날개를 부착하여서 된 것이어서, 드럼의 내부에 공급되는 흙이 경사진 날개에 의하여 분산회전되면서 흙과 돌을 분리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매립된 쓰레기는 그 주요 구성 요소가 토사 외에도 철근등의 쇠붙이나 포대, 끈등의 폐합성수지물, 나무토막등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를 분리 선별하기 위하여 1차 분쇄, 절단하기 위한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분쇄, 절단을 위한 추가 설비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토사의 분리과정에서 흙덩어리나 돌덩어리등은 단순히 상승 및 낙하시키는 것만으로는 분쇄나 절단이 어려운 것이어서 토사의 분리가 불완전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투입되는 쓰레기중에는 철근이나 나무토막등이 포함되어 있는바, 이들은 회전과정에서 내측브러쉬를 손상시키게 되어 내측브러쉬를 빈번히 보수하거나 교체하여야 하는 경제적 손실과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굴착된 쓰레기에 포함된토사를 효과적으로 걸러냄과 아울러 흙덩어리나 돌덩어리를 분쇄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철근,나무,폐합성수지재등을 분쇄, 절단하여 선별 회수 설비에 공급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쓰레기의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쓰레기 선별장치를 도시한 설명도.
도2는 종래의 쓰레기 선별장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설명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선별장치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선별장치의 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망공 2,2':종동기어
3 : 외부드럼 4,4':구동기어
5 : 외부브러쉬 6 : 연결대
7 : 중간드럼 8 : 절단도
9 : 고무브레이드 10: 내부회동체
11: 금속브레이드 12: 내부브러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쓰레기중의 토사를 걸러줄수 있는 망공를 갖는 외부드럼과, 외부드럼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외부드럼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양단에 종동기어와 드럼이 설치되고 연결대로 연결하며, 그 내측에 절단도가 중앙으로 향상하여 설치된 내부회동체를 구비하여서 된 쓰레기의 선별장치를 제안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투입된 쓰레기에 포함된 토사가 연속회전되는 외부드럼의 망공으로 낙하됨은 물론이려니와, 쓰레기에 포함된 철근이나 나무, 폐합성수지물등을 잘게 절단하여 후단의 선별 회수 설비로 이송시킬수 있게 되므로 효율적인 선별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3 내지 도5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리된 토사의 낙하에 적당한 크기로 형성된 망공(1)과, 회동을 위하여 종동기어(2)가 설치된 외부드럼(3)과, 외부드럼(3)의 회동을 위한 구동기어(4)와, 외부드럼(3)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외부브러쉬(5)를 구비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외부드럼(3) 내부에 설치되며 중간드럼(7)이 설치되고 양단에 종동기어(2')가 설치되며, 별도의 구동기어(4')에 의하여 외부드럼(3)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6)의 내측 중앙으로 절단도(8)가 형성된 내부회동체(10)와, 내부회동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고무브레이드(9)와 금속브레이드(11)로 구성된 내부브러시(12)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도시되지 않은 쓰레기 굴착설비에 의하여 도4으로 보인 바와 같은 구조의 내부회동체(10)의 우측에서 쓰레기가 투입되며, 이때 2개 구동기어(4,4')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드럼(3)과 내부회동체(1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투입된 쓰레기가 경사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외부드럼(3)에 의하여 회동되는 것이므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게 된다. 그러므로 쓰레기를 털어주는 효과가 발생되어 쓰레기에 포함된 토사가 낙하하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쓰레기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게 되면 쓰레기의 내층에 존재하는 토사를 제거할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내부회동체(10)를 외부드럼(3)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시켜 주는 것이며, 내부회동체(10)의 중간에형성된 중간드럼(7)이 외부드럼(3)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쓰레기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는 것이어서 일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꼬인 쓰레기를 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이 중간드럼(7)에 의하여 풀어진 쓰레기는 다시 외부드럼(3)에 의하여 상승 및 낙하를 반복하게 됨에 따라 토사가 분리되어 외부드럼(3)의 망공(1)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토사가 효과적으로 제거된 상태에서 본 발명은 낙하하는 철근이나 포대, 끈등의 폐합성수지물 또는 나무등을 외부드럼(3)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절단도(8)에 충돌시켜 효과적으로 절단되고, 분쇄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드럼(3)의 망공(1)에 끼어 돌출되어 있는 철근이나 외부드럼(3)에서 굴러 다니는 돌덩어리등은 외부드럼(3)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절단도(8)에 부딪혀 분쇄, 절단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연결대(6)는 외부드럼(3)의 내측을 긁어 주는 기능을 하게 되며, 특히 내측의 고무브레이드(9)와 금속브레이드(11)가 혼합사용된 내측브러쉬에 의하여 외부드럼(3)의 내측에 늘어 붙은 무르거나 굳은 이물질을 고루 제거할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드럼(3)의 외측에 설치된 외측브러쉬는 내측브러쉬에 의한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지는 동안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받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토사는 외부드럼(3)의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고, 외부드럼(3)의 내부에서 경사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 낙하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쓰레기는 절단도(8)에 의하여 분쇄, 절단되어 선별 분리 장치에서 효과적으로 선별될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절단도(8)에 의하여 철근이나 나무등을 절단함으로써 내측 브러쉬가 철근이나 나무에 의하여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보호할수 있게 되어 내측브러쉬의 수명이 장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투입된 쓰레기의 토사 제거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흙덩어리나 돌덩이리등도 분쇄, 절단하여 제거할수 있으며, 투입된 쓰레기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쓰레기를 풀어가면서 토사를 제거할수 있게 되고, 토사외에도 철근 및 폐합성수지물, 나무등을 절단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선별 회수작업시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측 브러쉬의 수명이 장구하게 되는 것이어서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할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분리된 토사의 낙하에 적당한 크기로 형성된 망공(1)과, 회동을 위하여 종동기어(2)가 설치된 외부드럼(3)과, 외부드럼(3)의 회동을 위한 구동기어(4)와, 외부드럼(3)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외부브러쉬(5)를 구비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외부드럼(3) 내부에 설치되며 중간드럼(7)이 설치되고 양단에 종동기어(2')가 설치되며, 별도의 구동기어(4')에 의하여 외부드럼(3)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6)의 내측 중앙으로 절단도(8)가 형성된 내부회동체(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된 쓰레기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내부회동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고무브레이드(9)와 금속브레이드(11)로 구성된 내부브러시(12)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된 쓰레기 선별장치.
KR1020000001861A 2000-01-15 2000-01-15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 Ceased KR20010080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861A KR20010080798A (ko) 2000-01-15 2000-01-15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
KR2020000011509U KR200195539Y1 (ko) 2000-01-15 2000-04-22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861A KR20010080798A (ko) 2000-01-15 2000-01-15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509U Division KR200195539Y1 (ko) 2000-01-15 2000-04-22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798A true KR20010080798A (ko) 2001-08-25

Family

ID=1963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861A Ceased KR20010080798A (ko) 2000-01-15 2000-01-15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079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4835A (zh) * 2020-10-09 2021-02-12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滚筒筛及其餐厨垃圾分拣流水线
CN112354833A (zh) * 2020-10-09 2021-02-12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清洗机构及其餐厨垃圾分拣流水线
CN112354837A (zh) * 2020-10-09 2021-02-12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滚轴筛及其餐厨垃圾分拣流水线
CN112354834A (zh) * 2020-10-09 2021-02-12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滚筒筛和餐厨垃圾分拣流水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1341U (ko) * 1979-05-25 1980-12-09
JPS61167948U (ko) * 1985-04-01 1986-10-18
KR200191145Y1 (ko) * 1997-12-30 2000-09-01 민병욱 선별장치
KR100273840B1 (ko) * 1998-11-05 2000-12-15 강예석 쓰레기 매립토양의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1341U (ko) * 1979-05-25 1980-12-09
JPS61167948U (ko) * 1985-04-01 1986-10-18
KR200191145Y1 (ko) * 1997-12-30 2000-09-01 민병욱 선별장치
KR100273840B1 (ko) * 1998-11-05 2000-12-15 강예석 쓰레기 매립토양의 선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4835A (zh) * 2020-10-09 2021-02-12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滚筒筛及其餐厨垃圾分拣流水线
CN112354833A (zh) * 2020-10-09 2021-02-12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清洗机构及其餐厨垃圾分拣流水线
CN112354837A (zh) * 2020-10-09 2021-02-12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滚轴筛及其餐厨垃圾分拣流水线
CN112354834A (zh) * 2020-10-09 2021-02-12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滚筒筛和餐厨垃圾分拣流水线
CN112354835B (zh) * 2020-10-09 2022-03-11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餐厨垃圾分拣流水线
CN112354833B (zh) * 2020-10-09 2022-03-11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餐厨垃圾分拣流水线
CN112354834B (zh) * 2020-10-09 2022-03-11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餐厨垃圾分拣流水线
CN112354837B (zh) * 2020-10-09 2022-03-18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餐厨垃圾分拣流水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470B1 (ko) 재생골재용 표면박리기
JP2007090323A (ja) 粉砕装置及び方法
JP3052126U (ja) 建設廃棄物処理装置
KR100539417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KR20010080798A (ko)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
KR200195539Y1 (ko)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
KR100428377B1 (ko) 굴착된 쓰레기의 선별장치
KR100791119B1 (ko) 쓰레기매립장의 토사와 폐기물의 분리 및 재활용화의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KR100320095B1 (ko) 다중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
KR0152297B1 (ko) 건축 폐기물의 선별 분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393650B1 (ko)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36742Y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100771660B1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KR20040002813A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KR200202906Y1 (ko)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KR100639826B1 (ko) 참빗살을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GB2430168A (en) A sand and gravel washing process
KR200342469Y1 (ko) 로드 밀형 파쇄기
US20250050380A1 (en) Screening Apparatus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JPH05337456A (ja) 廃棄物の分離回収方法とその設備
KR200363038Y1 (ko) 토사와 이물질 선별용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KR100487181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200222025Y1 (ko) 쓰레기 처리장치
JP2007038112A (ja) 土壌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6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1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