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74309A - 폐유리와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조방법및 그 제품 - Google Patents

폐유리와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조방법및 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309A
KR20010074309A KR1020010024722A KR20010024722A KR20010074309A KR 20010074309 A KR20010074309 A KR 20010074309A KR 1020010024722 A KR1020010024722 A KR 1020010024722A KR 20010024722 A KR20010024722 A KR 20010024722A KR 20010074309 A KR20010074309 A KR 20010074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roduct
raw material
waste glass
mi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일
Original Assignee
문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일 filed Critical 문병일
Priority to KR102001002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4309A/ko
Publication of KR2001007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30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04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using waste materials or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40Porous or lightweigh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1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폐기물의 일종인 폐유리와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유리 및 폐점토, 폐규조토, 폐주물사, 폐분진, 석재가공 스러지와 같은 폐광물소재를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 및 분말가공하여 주원료로 이용하고 여기에 국내외 광산에서 생산되는 광물소재등을 선택하여 적정비율로 혼합후 성형기를 이용하여 성형후 소성로에서의 저온소성 공정 및 냉각공정을 통하여 다양한 다공성 경량세라믹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폐유리 및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품의 제조방법은 폐유리(101) 및 폐광물소재(102)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고 기타광물소재는 선택하므로서 원료를 준비하는 원료가공단계(S100);와
상기 원료가공단계(S100)에서의 원료를 일정 배합비를 갖도록 계량(201)후 혼합기에 넣고 혼합(202)시키고 물을 분사(203)시켜 혼합된 반제품을 수분증발을 방지하도록 비닐포장(214)에 담아 보관하는 원료혼합단계(S200);와
상기 비닐포장(204)된 혼합원료에서 비닐을 제거시킨 후 프레스기와 같은 성형기를 이용하여 성형(301)시키는 제품성형단계(S300);와
상기 성형(301)된 반제품을 그늘진 곳에서 자연건조시키거나 터널식 연속건조로에 넣어 열풍을 강제순환시켜 반제품의 수분함량을 3% 이내로 만드는 건조단계(S400);와
상기 건조(410)된 반제품을 SIC 봉판 및 SUS 상자에 장입하고 소성로에 투입시켜 일정기준으로 720℃∼850℃까지 온도상승 및 유지시킴으로서 소성(501)시키는 소성단계(500); 및
상기 소성(501)된 제품을 일정기준으로 350℃까지 온도강하후 작업자의 작업조건에 맞도록 냉각(601)시켜 원하는 품질의 제품(700)을 생산하는 냉각단계 (S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유리와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조방법 및 그 제품{PRODUCTION METHOD OF LIGHT WEIGHT AND MULTI-PORE CERAMIC USING WASTE GLASS AND MINERAL RESOURCES AND THE PRODUCT THEREFROM}
본 발명은 산업폐기물의 일종인 폐유리와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유리 및 폐점토, 폐규조토, 폐주물사, 폐분진, 석재가공 스러지와 같은 폐광물소재를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 및 분말가공하여 주원료로 이용하고 여기에 국내외 광산에서 생산되는 광물소재등을 선택하여 적정비율로 혼합후 성형기를 이용하여 성형후 소성로에서의 저온소성 공정 및 냉각공정을 통하여 다양한 다공성 경량세라믹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우리 일상생활이나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되고 있는 폐유리 및 폐광물소재들은 산업활동의 증가와 함께 매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들을 이용하는 기술도 다양하면서 점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을 살펴보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폐기되는 판유리, 음료수병, 닝겔병, 농약병, 술병, 유리섬유 등과 같은 각종 병이나 유리 등과 같은 폐유리를 이용하거나 다른 재료를 혼합시켜 새로운 제품을 활용하고 있는 바, 분말로 분쇄한 폐유리에 삼산화 안티몬이나 질산나트륨 등을 혼합한 분말유리 혼합물을 성형틀에 약간의 두께로 깔고 그 상면에 적정한 크기로 분쇄한 폐입자를 일정두께로 깔은 다음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분사하여 이를 소성로에서 920℃의 열로 가열한 후 서냉시킴으로서 얻게되는 폐유리를 이용한 유리타일의 제조,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제239216호의 산업폐기물인 제철소 폐분진과 폐유리를 원료로 타일을 제조하는 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제1999-32098호의 파쇄시킨 폐유리를 시멘트 및 보조첨가제와 함께 일정비율로 섞은 후 성형기에서 압축성형하여 블럭을 성형한 후 양생과정을 거쳐 완제품의 블럭을 제조하는 폐유리를 이용한 보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제281793호의 미세한 유리분말에 탄소를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금속형틀에 이형제로 알루미나 슬러리를 도포한 형틀에 넣고 전기머플로에서 승온 및 유지과정을 통해 폐유리를 원료로 한 경량골재의 제조방법과 같은 많은 것들이 소개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폐유리를 이용한 보도블럭, 경량골재, 장식용구, 대리석 등 다양한 제품이 응용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나 본 발명의 폐유리 및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다공성 세라믹 제품의 제조방법과 같은 것은 아직까지 미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폐유리 및 폐광물소재를 이용하여 다공성 경량 세라믹 제품을 제조함으로서 가정 및 산업용 폐기물인 폐유리와 폐광물를 유용하게 자원 재활용할 수 있는 폐유리 및 폐광물을 이용한 다공성 경량세라믹 제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유리 및 폐점토, 폐규조토, 폐주물사, 폐분진, 석재가공 스러지와 같은 폐광물소재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 및 분말가공하여 주원료로 이용하고 여기에 국내외 광산에서 생산되는 광물소재등을 선택하여 적정비율로 혼합후 성형기를 이용하여 성형후 소성로에서의 저온소성 및냉각토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하여 건축 내외장재, 경량골재, 수질 및 대기환경정화재, 여과 및 휠터재, 다공성 인공토양 개량재, 조경자재, 건강보조재료, 기타 세라믹제품과 같은 다양하고 특수한 세라믹 경량 및 다공성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폐자원을 자원화함으로서 원료수입대체 및 국내자원보존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통해 외화를 절약하려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폐유리와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습식인 경우 폐유리와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폐유리 102 폐광물소재
103 기타광물소재 104,105 분쇄
201 계량 202 혼합
203 수분사 204 비닐포장
301 압축성형 401 건조
501 소성 601 냉각
S100 원료가공단계 S200 원료혼합단계
S300 제품성형단계 S400 건조단계
S500 소성단계 S600 냉각단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유리 및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품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유리 및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다공성 세라믹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은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유리 및 폐광물소재를 분쇄하는 원료가공단계(S100)와 상기 유리분말, 점토분말 및 광물소재분말을 일정 중량비로 계량하고 혼합시킨 후 물을 혼합시키는 원료혼합단계(S200)와, 상기 혼합된 원료를 일정한 형태로 성형하는 제품성형단계(S300)와 상기 성형제품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400)와 상기 건조된 제품을 소성로에 투입하여 소성시키는 소성단계(S500) 및 상기 소성된 것을 작업자가 작업가능한 온도로 냉각을 시키는 냉각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가공단계(S100)에서는 폐유리 및 광물소재를 분말화하기 위하여 원료인 폐유리(101)를 햄머크라샤(hammer crusher), 진동 밀(vibration mill)이나 볼 밀(ball mill)과 같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입도 50∼200메쉬(mesh) 이상의 분말로 분쇄(104)한다. 또한 폐점토, 폐규조토, 폐주물사, 폐분진, 석재가공슬러지 등과 같은 폐광물소재(102)를 상기 폐유리 분쇄시와 같이 햄머크라샤, 진동 밀이나 볼 밀과 같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입도가 50∼200메쉬(mesh) 이상의 분말로 분쇄(105)한다. 기타광물소재(103)는 국내외 광산에서 생산되는 광물소재를 원료구입시 분말입도가 50∼200메쉬(mesh) 이상의 분말규격을 갖는 제품으로 용도에 맞춰 구입하도록 하여 제품에 맞춰 선택(106)한다.
상기에 있어서, 미세분말은 분말가공비용이 입도에 따라 고가화되며 원료혼합시 원료의 비중차로 인해 혼합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나 보다 높은 입도로 분말화시 저온소성의 가능으로 에너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소성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건식 및 습식 방식으로 제품성형시 생산성이 높고 제품의 강도 및 표면품질상태가 매우 양호한 장점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에서 분말크기를 50∼200메쉬(mesh) 이상으로 분말규격을 제한한 것은 50메쉬(mesh) 이하의 분말원료로 실험한 결과 제품성형시 제품표면 및 형태가 불량하고 파손이 발생하며, 제품의 소성시간이 길어지고 20℃∼100℃의 온도상승을 요하며 제품의 강도저하 등 상당한 문제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50메쉬(mesh) 이상시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상기 원료혼합단계(S200)에서는 상기 원료가공단계(S100)에서의 가공된 원료들을 적정비율로 혼합하는 바 그 혼합방식에 있어서 건식방법과 습식방법으로 나눌수 있다. 여기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건식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원료가공단계(S100)에서 분쇄된 폐유리 분말 20중량%∼80중량%와 분쇄된 폐점토분말 10중량%∼60중량% 그리고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용도에 따라 선택된 광물소재분말 10중량%∼50중량%의 배합비를 갖도록 계량(201)하고 상기 계량된 각 원료들을 혼합기(mixer)에 넣어 300rpm∼900rpm의 회전 속도로 10분∼30분간 혼합(202)시켜 원료혼합이 완료되면 상기 원료의 총중량 대비 5중량% ∼15중량%의 물을 상기 혼합기의 속도를 50rpm∼150rpm의 상태로 가동시키면서 분사(spray)(203)시킨다. 상기 수분사시 원료 뭉침이 적으며 원료에 고르게 흡수되도록 분사되는 물은 안개와 같이 입자가 미세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사(203)까지 포함하여 혼합(202)이 완료된 원료는 보유수분의 증발 방지를 위하여 비닐포장(204)에 담아 보관한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포장지는 상기 비닐 외에 수분의 증발을 제한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원료혼합단계(S200)의 습식혼합단계는 상기 건식혼합단계(S200)와 유사하다. 다만 분사되는 물의 분사정도가 상이한 바 즉, 상기 건식방법의 원료가공단계(S100)에서의 선택된 소재를 계량(211)하고 상기 계량된 각 원료들을 혼합기 (mixer)에 넣어 혼합(212)시키며 상기 원료혼합시 원료의 총중량 대비 15중량%∼65중량%의 물을 상기 혼합기 속도를 50rpm∼150rpm의 상태로 가동시키면서 분사(213)시키며 이와같이 혼합이 완료된 원료는 수분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닐포장 (214)에 담아 보관한다.
상기 제품성형단계(S300)에서는 상기 비닐포장된 것에서 비닐을 제거한 것을성형기에 투입시켜 성형하는 단계로 이에도 건식방법과 습식방법이 있는 바 전술한 것처럼 바람직한 실시예로 건식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상기 비닐포장(204)된 혼합원료를 비닐을 제거시켜 통상의 기계 또는 유압방식의 프레스기에 장입시킨 후 타일 및 벽돌공정과 동일하게 제품특성과 용도, 제품규격에 따라 상기 프레스의 압력 및 실린더 스트로크(stroke)를 조정하여 적정 압축력을 주어 프레스기를 가동시킴으로서 일정 형태를 가진 제품으로 압축성형(301)시킨다.
상기에서 압축을 위한 프레스기는 전용기(transfer machine)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통상적으로 타일이나 벽돌제조공장에서 사용되어지는 타일 및 벽돌 생산용 유압프레스(30ton∼600ton)또는 철판 절곡용 프레스를 개조시킨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압축성형(301)에 필요한 금형(mold)은 전용금형을 제작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타일 및 벽돌공장에서 사용 중인 금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품성형단계(S300)의 습식방법은 상기 비닐포장(214)된 혼합원료의 비닐을 제거시킨 후 성형기에 투입시켜 압출성형(310)시킨다. 이때 성형기는 제품의 특성과 용도, 규격에 따라 전용기 또는 일반적인 습식 타일, 벽돌공장 또는 도자기공장에서 사용하는 압출성형토련기(20kg/㎠∼300kg/㎠)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성형에 필요한 금형은 타일 및 벽돌공장에서 사용중인 금형들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습식방법의 성형공정은 습식타일 및 점토벽돌공정과 동일하며, 제품특성과 용도, 규격에 따라 압출된 반제품이 2차 가공을 필요로 할 시 예를들어 세라믹 볼을 만들고자 하면 원통형 표면 연마기에 넣고 회전시키면 다양한 모양의 볼 형태 등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건조단계(S400)에서는 상기 성형(301)과정을 통해 성형된 반제품을 두께 8mm 이상의 고른 표면을 가지는 합판에 담아 그늘진 곳에서 자연건조시키거나 터널식 연속건조로에 넣어 50℃∼150℃의 열풍을 강제순환시키면서 상기 압축성형된 반제품의 수분함량을 3% 이내로 건조(401)시킨다.
상기 소성단계(500)에서는 상기 건조(401)된 반제품에 대하여 타일 및 벽돌과 같이 부피가 크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제품에 대해서는 SIC 봉판을 사용하고, 볼, 입자와 같이 작은규격의 제품들은 SUS 상자를 이용하여 연속식 또는 단속식 소성로(furnace)에 투입시키며 투입된 반제품의 소성온도 조건으로는 상온에서 분당 2.5℃∼12℃ 증가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제품에 따라 720℃∼850℃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30분간 온도를 유지시켜 소성(501)시키도록 한다. 상기 소성로에서는 유리분말이 용융되면서 혼합된 광물소재 분말들을 벌집(honeycomb)모양의 형태로 조직 결합할 수 있도록 온도를 중점관리하도록 한다. 이는 저온소성으로 혼합원료 중의유리분말만 용융시킴으로서 혼합되어있는 광물소재 분말들은 분말상태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므로서 다공성 및 경량화로 탈습, 탈취, 방음, 단열, 방화, 원적외선방출 등 또한 겨울철 동파 및 물속에서 붕괴되거나 깨지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며 일반 세라믹 제품이 고온소성으로 돌처럼 고형화되는 것과는 특성상 차이점이 있다.
상기 냉각단계(S600)에서는 상기 소성된 제품을 냉각시 급냉으로 인한 온도하락으로 제품이 열충격에 의한 파손발생이 가능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당 5℃∼14℃씩 낮추는 것을 기준으로 350℃까지 서서히 온도를 하락시킨후 20℃∼30℃ 정도의 작업자가 작업하기 좋은 적정 온도까지 냉각(601)시켜 원하는 품질의 제품(700)을 생산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폐유리를 이용한 경량다공성 세라믹 제품제조방법을 통해서 폐유리 및 폐광물소재와 같은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하며 수질 및 토양오염등을 방지하여 환경보존 및 산업폐기물을 자원화하여 원료수입 대체로 외화절약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익한 발명임이 틀림없다.
또한 일반 세라믹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동일한 제품을 생산시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량을 단순비교시 본 발명의 경우 저온(720℃∼850℃)소성으로 일반 세라믹제조시의 소성온도(1,200℃∼1,500℃)에 비하여 월등하게 낮아 약1/3이상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저온소성방식으로 소성시킴으로서 혼합원료 중 유리분말만 용융시켜 혼합되어있는 광물소재 분말들은 분말상태 그대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고온소성방식에 의하여 돌처럼 고형화 상태로 되며 중량이 무거운 일반 세라믹 제품과는 다르며 또한 다공성 및 경량으로 탈습, 탈취, 방음, 단열, 방화, 원적외선 방출등 또한 겨울철 동파 및 물속에서 붕괴되거나 깨지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제품의 원료는 폐기물들을 재활용하므로 가격경쟁력이 우수하며 국내외에서 생산되는 광물소재분말을 원료로 대체사용함으로 원료수급이 원활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건축내외자재, 경량골재, 수질 및 대기 환경정화재, 여과 및 휠터재, 인공토양개량재, 조경자재, 건강보조재료, 기타 세라믹제품 등 다양하고 특성있는 신제품개발을 할 수 있다.

Claims (3)

  1. 폐유리(101) 및 폐광물소재(102)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입도 50∼200메쉬 (mesh)의 분말로 분쇄하고 기타광물소재(103)는 분말입도가 50∼200메쉬(mesh)인 제품을 용도에 맞춰 선택하므로서 원료를 준비하는 원료가공단계(S100);와
    상기 원료가공단계(S100)에서 분쇄된 폐유리 분말 20중량%∼80중량%와 분쇄된 폐점토분말 10중량%∼60중량% 그리고 생산할 제품용도에 따라 선택되는 광물소재분말 10중량%∼50중량%의 배합비를 갖도록 원료들을 계량(201)하여 혼합기에 넣고 300rpm∼900rpm의 회전속도로 10분∼30분간 혼합(202)시킨 후 상기 혼합기의 회전속도 50rpm∼150rpm의 상태에서 원료총중량 대비 5중량% ∼15중량%의 물을 분사 (203)시키면서 혼합완료된 반제품을 수분증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닐포장(214)에 담아 보관하는 원료혼합단계(S200);와
    상기 비닐포장(204)된 혼합원료에서 비닐을 제거시킨 후 프레스기와 같은 성형기를 이용하여 성형(301)시키는 제품성형단계(S300);와
    상기 성형(301)된 반제품을 두께 8mm 이상의 고른 표면을 가지는 합판에 담아 그늘진 곳에서 자연건조시키거나 터널식 연속건조로에 넣어 50℃∼150℃의 열풍을 강제순환시키면서 상기 반제품의 수분함량을 3% 이내로 건조(401)시키는 건조단계(S400);와
    상기 건조(410)된 반제품을 SIC 봉판 및 SUS 상자에 장입하고 소성로에 투입시켜 상온에서 분당 2.5℃∼12℃씩 증가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720℃∼850℃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30분간 온도를 유지시킴으로서 소성(501)시키는 소성단계(500); 및
    상기 소성(501)된 제품을 분당 5℃∼14℃씩 감소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350℃까지 온도강하후 작업자의 작업조건에 맞도록 20℃∼30℃까지 냉각(601)시켜 원하는 품질의 제품(700)을 생산하는 냉각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리 및 폐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다공성 세라믹 제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폐유리 및 폐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다공성 세라믹 제품.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S200)의 습식방법으로서 혼합기에서의 원료혼합시 상기 혼합기 속도를 50rpm∼150rpm의 상태로 가동시키면서 원료총중량 대비 15중량% ∼ 65중량%의 물을 분사(213)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리 및 폐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다공성 세라믹 제품의 제조방법.
KR1020010024722A 2001-05-07 2001-05-07 폐유리와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조방법및 그 제품 KR20010074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722A KR20010074309A (ko) 2001-05-07 2001-05-07 폐유리와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조방법및 그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722A KR20010074309A (ko) 2001-05-07 2001-05-07 폐유리와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조방법및 그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309A true KR20010074309A (ko) 2001-08-04

Family

ID=1970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722A KR20010074309A (ko) 2001-05-07 2001-05-07 폐유리와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조방법및 그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43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330B1 (ko) * 2007-11-02 2009-06-02 이두찬 폐주물사 및 주물공장의 집진분진을 이용한 식물생장 및 수질정화능이 우수한 다공질 바이오 세라믹 제조방법
KR101309713B1 (ko) * 2011-11-23 2013-09-25 주식회사 카멜 마사토 폐기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세라믹 및 그 제조방법
CN114770702A (zh) * 2022-05-05 2022-07-22 张家港市永茂住宅工业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水道盖板预制构件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651A (ja) * 1993-10-08 1995-04-25 Kubota Corp 廃棄物を原料とするセラミックス複合体
JPH10101403A (ja) * 1996-08-06 1998-04-21 Crystal Kurei Kk ガラス粒体を原料に用いた広域温度帯焼結焼成体の製造方法
JP2000086326A (ja) * 1998-09-09 2000-03-28 Inax Corp 磁器質焼成品の製造方法及び磁器質焼成品
KR20000018018A (ko) * 2000-01-04 2000-04-06 김기 무기광물함유 폐자원을 이용한 경량세라믹소지(원료)의제조방법
JP2000351664A (ja) * 1999-06-08 2000-12-19 Kajima Corp セラミックス製品の製造方法
KR20010037432A (ko) * 1999-10-12 2001-05-07 손명모 폐유리를 이용한 무기질의 경량 발포 세라믹 제조방법
KR20010045845A (ko) * 1999-11-03 2001-06-05 손명모 밝은 색상의 경량 발포세라믹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651A (ja) * 1993-10-08 1995-04-25 Kubota Corp 廃棄物を原料とするセラミックス複合体
JPH10101403A (ja) * 1996-08-06 1998-04-21 Crystal Kurei Kk ガラス粒体を原料に用いた広域温度帯焼結焼成体の製造方法
JP2000086326A (ja) * 1998-09-09 2000-03-28 Inax Corp 磁器質焼成品の製造方法及び磁器質焼成品
JP2000351664A (ja) * 1999-06-08 2000-12-19 Kajima Corp セラミックス製品の製造方法
KR20010037432A (ko) * 1999-10-12 2001-05-07 손명모 폐유리를 이용한 무기질의 경량 발포 세라믹 제조방법
KR20010045845A (ko) * 1999-11-03 2001-06-05 손명모 밝은 색상의 경량 발포세라믹 제조방법
KR20000018018A (ko) * 2000-01-04 2000-04-06 김기 무기광물함유 폐자원을 이용한 경량세라믹소지(원료)의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330B1 (ko) * 2007-11-02 2009-06-02 이두찬 폐주물사 및 주물공장의 집진분진을 이용한 식물생장 및 수질정화능이 우수한 다공질 바이오 세라믹 제조방법
KR101309713B1 (ko) * 2011-11-23 2013-09-25 주식회사 카멜 마사토 폐기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세라믹 및 그 제조방법
CN114770702A (zh) * 2022-05-05 2022-07-22 张家港市永茂住宅工业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水道盖板预制构件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69764C (zh) 一种由玻璃纤维废料制备陶瓷产品的方法
CN106431204B (zh) 废渣陶瓷砖以及所用粉料、砖坯体及其制备方法
CN1197807C (zh) 一种免挤压无粘土固体废渣烧结砖的生产方法
JPH0543666B2 (ko)
CN101182232A (zh) 一种轻质陶瓷砖及生产方法
RU239796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уфабрикат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CN104909800B (zh) 一种添加瓷砖废料并经辊道窑烧成发泡赤泥瓷砖的方法
CN103521689A (zh) 一种回用旧砂的型砂及其制备方法
KR20030070204A (ko) 폐기물을 이용한 인공 경량 골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977543A (ja) 人工軽量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54183B1 (ko) 폐기물 오니를 이용한 건축 및 건설용 블록의 제조방법
KR101398816B1 (ko) 현무암 부산물 또는 현무암 경량골재를 이용한 인조석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74309A (ko) 폐유리와 광물소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세라믹 제조방법및 그 제품
KR20040060968A (ko) 폐기 글라스로부터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KR20000072111A (ko) 경량 골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506266A (ja) セラミック製品、素地バッチ配合物、及び方法
KR19980075814A (ko) 탄화규소를 이용한 발포세라믹재
KR100392933B1 (ko) 경량 골재용 조성물
JP2001253740A (ja) 人工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47479A (ja) 人工鋳物砂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44899A (ko) 경량 골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45270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уфабрикат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H0794342B2 (ja) 乾式成形瓦の製造方法
KR101494421B1 (ko) 폐주물사를 이용한 보도블럭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도블럭
KR19990025015A (ko) 채탄부산물(경석)을 주재료에 산업부산물(폐기물)을 첨가하여 요업제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8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