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72536A - 단일 충돌 벌킹 제트 - Google Patents

단일 충돌 벌킹 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536A
KR20010072536A KR1020007004405A KR20007004405A KR20010072536A KR 20010072536 A KR20010072536 A KR 20010072536A KR 1020007004405 A KR1020007004405 A KR 1020007004405A KR 20007004405 A KR20007004405 A KR 20007004405A KR 20010072536 A KR20010072536 A KR 20010072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neck
zone
bulker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인테리로빈
프로스트데니스레슬리
존슨멜빈해리
토드마오리스코넬리우스
Original Assignee
메리 이. 보울러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리 이. 보울러,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메리 이. 보울러
Publication of KR2001007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53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02G1/161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yarn crimping air je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stuffer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하여 연장되는 포위된 얀 통로를 갖는 비교차 배출식 얀 벌커에 관한 것이다. 얀 통로는 입구 구역, 목부 구역 및 확장 구역을 포함하고, 교체 가능한 마모 부재는 입구 구역 및 목부 구역을 구비한 얀 통로를 갖는 제트의 본체 내로 삽입 가능하다. 본체 내로 삽입될 때, 채널은 얀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얀 벌커는 얀의 와드를 형성하도록 얀 통로와 연통된 스터퍼 챔버 섹션과, 얀 운반 섹션을 포함한다. 얀 운반 섹션은 제1 및 제2 단부와, 관통하여 연장되는 축방향 보어를 갖는 튜브형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튜브형 부재의 제1 단부는 스터퍼 부재와 연통되고, 제2 단부에 인접하게, 축방향 보어와 연통된 통로를 갖는다. 제2 단부에 인접한 튜브형 부재에 부착된 디플렉터 판은 보어의 축에 대해 튜브형 벽 부재의 통로를 향해 약 30° 내지 약 60°의 범위 내에 있는 각도로 경사져 있다. 디플렉터 판은 복수개의 가지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슬롯에 의해 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단일 충돌 벌킹 제트{SINGLE IMPINGEMENT BULKING JET}
얀을 벌킹하기 위해 고속, 고온 유체로 얀을 처리하는 제트는 공지되어 있다.
벌킹 얀은 미국 특허 제3,802,036호(팍스), 제2,995,801호(코미어 등), 제3,251,181호(브린 등), 제3,169,296호(클렌데닝) 및 제3,525,134호(쿤)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제트들은 얀에 대한 대향 유체 충돌을 제공하도록 된 통로를 포함하거나 선회하는 유체 유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들은 벌킹 얀뿐만 아니라 얀의 필라멘트들의 교차를 발생시킨다.
제품을 동시에 벌킹 및 교차시키는 것이 항상 양호한 것은 아니다. 어떤 경우에는, 얀이 벌킹된 후, 대전 방지 필라멘트 등의 추가 필라멘트를 얀 스트랜드 내에 삽입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경우에, 벌킹은 얀 필라멘트들 사이의 교차 발생 없이 얀에 부여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기능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벌킹 및 교차 기능을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상기의 관점에서, 벌킹 기능을 교차 기능으로부터 분리시켜 얀 가공에 융통성을 부여 벌킹 및 교차 기능을 분리하여 각각 최적화시키는 능력을 부여한 제트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얀 제트 기술의 다양한 개선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얀의 경사 배열을 가공하는 데 유용한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얀 벌크 다발과 관련 롤 중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얀 벌커를 도시하는, 도1의 선 2-2를 따른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3은 얀 벌커를 통해 연장된 다양한 통로를 도시하기 위해 개방되도록 절첩된, 도2에 도시된 얀 벌커의 상부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4a 및 도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얀 벌커를 관통하여 형성된 얀 통로의 구역들의 다양한 구조 관계를 도시하는 각각 양식화된 사시도 및 도3의 선 4A-4A를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얀 벌커를 포함하는 다양한 얀 벌커에 유용한 제거 가능한 삽입체를 도시하는, 도2b의 원형 부분의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6은 도2a의 선 6-6을 따른 얀 벌커의 제트 부분과 스터퍼 튜브 부분 사이의 전이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7a는 도2a의 선 7A-7A를 따른 스터퍼 튜브의 스터퍼 챔버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7b는 도7a에 도시된 스터퍼 챔버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8a는 도2a에 도시된 스터퍼 튜브의 하부 단부의 정단면도이고, 도8b 및 도8c는 도8a의 선 8B-8B, 8C-8C를 따른 정면도이다.
도9a 내지 도9c는 기부 및 덮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서로에 대해 이동됨에 따라 기부와 덮개 사이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도1의 선 9A-9A를 따른 얀 벌커의 제트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9d는 기부를 덮개에 연결하는 링크들 중 하나의 분리된 단면도이다.
도10은 덮개 및 기부가 개방 위치에 있어서 벌커의 드레딩이 이해될 수 있는 얀 벌커의 제트 부분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관통하여 연장되는 포위된 얀 통로를 갖는 본체를 포함한 비교차 배출식 얀 벌커에 관한 것이다. 얀 통로는 얀 유동 방향으로 입구 구역, 목부 구역 및 확장 구역을 포함한다. 단일 가압 유체 채널은 본체를 통해 연장되고 목부 구역에서 얀 통로와 교차된다.
구조적으로, 목부 구역은 그 하류 단부에서 목부 구역의 하류 단부에 형성된 제1 얀 유동 벡터에 수직한 제1 단면 평면에서 취한 대체로 직사각형 단면 구성을 갖는다. 하류 단부에서의 목부 구역의 이러한 면적은 At로 지시되어 있다. 목부 구역과 결합되는 입구 구역의 면적(Ai)은 면적(At)보다 작다.
목부 구역과의 교차부에 근접한 가압 유체 채널은 관통하여 연장되는 유체 유동 벡터에 수직한 제2 단면 평면에서 취한 직사각형 단면 구성을 갖는다. 목부 구역과의 교차부에 근접한 가압 유체 채널의 이러한 면적은 AP로 표시되어 있다.
확장 구역은 목부로부터 소정 거리(L)로 이격된 출구 단부를 가지며, 거리(L)는 약 2.54㎝(1인치) 내지 약 30.48㎝(12인치)의 범위 내에 있다. 확장 구역의 단부는 확장 구역의 하류 단부에 형성된 제2 얀 유동 벡터에 수직한 제3 단면 평면에서 취한 직사각형 단면적을 갖는다. 단부에서의 확장 구역의 이러한 면적은 Ae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면적 관계가 유효하다.
면적(At)에 대한 면적(AP)의 비는 약 0.5 내지 2.0의 범위 내에 있다.
면적(Ae)에 대한 면적(At)의 비는 약 1.1 내지 3.0 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입구 구역 및 가압 유체 채널은 모두 공통의 기준 대칭 평면을 중심으로 대칭이다. 목부 및 가압 유체 채널은 그 교차부를 따라 제1 얀 유동과 정렬된 축에 수직이고 목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소정의 단면 평면에서 취해질 때 동일한 폭을 갖는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입구 구역 및 목부 구역을 구비한 얀 통로를 갖는 제트의 본체 내로 삽입 가능한 마모 부재에 관한 것이다. 마모 부재는 상류면, 하류면 및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채널을 갖는다. 마모 부재의 채널과 하류면의 교차부는 마모 모서리를 형성한다. 마모 부재가 본체 내로 삽입될 때, 채널은 얀 통로의 입구 구역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마모 부재의 하류면은 목부의 상류 경계부를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얀의 와드를 형성하도록 얀 통로와 연통된 스터퍼 챔버 섹션과, 얀 운반 섹션을 포함하는 얀 벌커에 관한 것이다. 얀 운반 섹션은 제1 및 제2 단부를 갖고 관통하여 연장되는 축방향 보어를 갖는 튜브형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튜브형 부재의 제1 단부는 스터퍼 부재와 연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형 부재는 제2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축방향 보어와 연통된 통로를 갖는다. 디플렉터 판은 제2 단부에 인접한 튜브형 부재에 부착된다. 디플렉터 판은 보어의 축에 대해 튜브형 벽 부재의 통로를 향해 경사져 있으며, 경사 각도는 약 30° 내지 60°의 범위 내에 있다. 디플렉터 판은 내부에 구멍을 가지며, 여기에서 구멍은 복수개의 가지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슬롯 형태를 취한다. 각각의 가지부는 단부를 가지며, 가지부의 단부는 통로 내에 있고 경계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과 연계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얀 벌커(10) 다발을 포함하는 개별 얀(Y)의 경사 배열(A)을 가공하는 장치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얀 벌커(10) 다발은 가열된 견인 롤(D)과 다공성 홈 형성 롤(R) 사이의 연속 필라멘트 얀(Y)의 경사(A)의 가공 통로 내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얀 벌커는 이러한 연속 다섬조사(multifilament yarns)에 가장 유용하다. 각각의 얀 벌커(10)는 얀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들 사이의 교차를 일으키지 않고 얀(Y)을 벌킹하도록 구성된다. 교차와 무관하게 벌킹을 제공하면 바람직한데, 이는 이러한 기능들을 분리시킴으로써 벌킹 및 교차가 모두 최적화되기 때문이다. 벌킹 가공은 증기 또는 고온 공기 등의 고온 유체를 사용한다. 얀은 홈 형성 롤(R) 상에 놓인 필라멘트의 빽빽한 와드로서 각각의 벌크(10)를 떠나며, 여기에서 얀은 제거되기 전에 냉각된다.
다발 내에 포함된 얀 벌커(10)들 중 하나는 도2a 및 도2b의 부분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2a는 제트 부분(14)을 도시하고 있고, 도2b는 얀 벌커(10)의 스터퍼 튜브 부분(16)을 도시하고 있다.
제트 부분(14)은 2개의 분리 가능하고 결합 가능한 본체 구조 부재, 즉 기부(20) 및 덮개(24)로 형성된 본체(18)를 포함한다. 본체는 전방면(18F)(도2a 참조), 후방면(18R)(도9a 내지 도9c 참조)을 갖는다. 기부(20) 및 덮개(24)는 본체(18)의 후방면(18R) 상에 배치된 한 쌍의 링크(26)(도9a 내지 도9d 참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결합된 상태로 로킹 볼트(30)에 의해 고정된다. 로킹 볼트(30)는 도2a에서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9a 내지 도9d와 연계하여 논의된다. 본체(18)는 기계 가공 및 벌커의 드레딩(thread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2편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체(18)는 중실 부재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을 수도 있다.
기부(20)는 상부에 기계 가공된 평면형 밀봉면(20S) 및 별개의 정확한 평면형 결합면(20M)을 갖는 블록 부재이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강으로부터 제조된다. 밀봉면(20S)의 평면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90°의 교차 각도로 결합면(20M)의평면과 교차된다. 평면형 결합면(20M)은 밀봉면(20S)과의 교차선으로부터 견부(20H)로 기부(20)를 횡단하여 연장된다. 정렬 슬롯(20A)은 평면형 장착면(20M)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제공된다. 로킹 볼트(30)용 장착 개구(20T)는 기부(20)를 통해 결합면(20M)을 따라 대략 중간 위치로부터 지지면(20B)으로 연장된다.
기부(20)의 상부 단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얀 안내 핀(20G)을 갖는다. 안내 핀(20G)은 벌커(10)의 드레딩 동안에 얀을 벌커(10) 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기부(20)의 하부 단부는 스터퍼 튜브(16)를 수용하는 중앙 리세스(20E)를 갖는다(도2a 참조). 지지면(20B)으로부터 개방된 로킹 세트 나사 통로(20L)는 중앙 리세스(20E)와 교차된다. 밀봉면(20S) 및 표면(20U)의 모서리는 벌커(10)의 드레딩 동안에 유용한 얕은 얀 드레딩 노치(20N)에 의해 중단된다.
평면형 결합면(20M)은 단일 가압 유체 채널(20C)의 입구부에 의해 중단된다(도3 참조). 유체 채널(20C)은 기부(20) 내에서 완전히 형성되고 결합면(20M)에 대해 소정의 각도(20J)(도5 참조)로 관통하여 경사져 있다. 가압 유체 채널(20C)의 대향 단부는 기부(20)의 지지면(20B)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플랜지(20F)를 통해 연장되는 도관(20D)(도3 참조)과 연통된다. 도관(20D)은 얀 벌커(10)를 통과하는 얀을 가열 및 벌킹하기 위해 고온 공기 또는 증기 등의 고온 가압 유체의 공급원에 연결 가능한 개구에 연결된다.
덮개(24)는 상부에 기계 가공된 정확한 평면형 결합면(24S) 및 별개의 평면형 밀봉면(20M)을 갖는 블록 부재이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강으로부터 제조된다. 밀봉면(24S)은 드레딩 통로를 형성하도록 기부 내에 형성된 노치(20N)(도2a 참조)와 정렬된 얕은 드레딩 노치(20N)에 의해 중단된다.
밀봉면(24S)의 평면은 다시 대략 90°의 각도로 결합면(24M)의 평면과 교차된다. 한 쌍의 정렬 핀(24P)(도2 참조)은 덮개(24) 상의 평면형 장착면(24M)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정렬 핀(24P)은 기부의 정렬 슬롯(20A)과 정렬되도록 상호 이격된다. 마모 삽입체 접시 구멍(24C)은 덮개(24)를 통해 지지면(24B)으로부터 결합면(24M)으로 연장된다. 마모 삽입체 접시 구멍(24C)은 내부에 형성된 맞닿음 견부(24H)를 갖는다. 접시 구멍(24C) 내에 수용된 삽입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견부(24H) 위의 접시 구멍(24C) 부분은 원통형이고, 견부(20H) 아래의 접시 구멍(24C) 부분은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로킹 볼트(30)용 장착 개구(24T)는 기부의 대응 장착 개구(24T)와 정렬된 위치에서 덮개(24)를 통해 연장된다. 벌커(10)의 드레딩에 사용되는 얀 안내 보조부(24Y)는 덮개(24)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덮개(24)의 평면형 결합면(24M)은 입구 단부(34E)로부터 출구 단부(34D)로 연장된 긴 외형의 홈(34)(도3 및 도4b에서 가장 잘 알 수 있음)을 갖는다. 덮개(24) 및 기부(20)가 각각의 결합면(20M, 24M)을 따라 결합될 때, 덮개(24)의 홈(34) 및 기부(20) 상의 결합면(24M)은 포위된 얀 벌킹 통로(40)를 형성하도록 협력한다(도4b 참조). 얀 통로(40)는 결합된 부재(20, 24)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얀 통로를 따라 형성된 소정 외형의 구역을 갖는다. 얀은 화살표 F에 의해 지시된 축방향 얀 경로를 따라 통로를 관통하여 운반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부(20) 상의 평면형 결합면(20M)은 홈(34)을 폐쇄하여 얀 통로(40)를 형성하기만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얀 통로(40)의 다양한 구역들에 외형을 부여하는 것은 홈(34)의 다양한 외형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다음의 설명에서, 다양한 구역들의 외형은 홈(34)에 대한 대응하는 직접적인 참조 없이 얀 통로(40)의 속성으로서 설명되어 있다
얀 벌킹 통로(40)는 입구 구역(42)(도4a 및 도4b 참조), 목부 구역(44) 및 확장 구역(46)을 포함한다. 입구 구역(42)은 목부(44)의 상류 단부(44E)에서 목부 구역(44)과 결합되고[얀 유동 방향(F)의 관점에서 형성됨], 확장 구역(46)은 목부(44)의 하류 단부(44D)에서 목부 구역(44)과 결합된다[얀 유동 방향(F)의 관점에서 형성됨]. 목부 구역(44)은 덮개(20) 및 기부(24)가 결합될 때 가압 유체 채널(20C)의 입구부는 목부 구역(44) 내에 높이고, 채널(20C)의 입구부의 하류 경계부가 목부(44)의 하류 단부(44D)와 일치되도록 홈(34)을 따라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18)를 관통하여 연장된 단일 가압 유체 채널(20C)은 목부 구역(44)의 얀 벌킹 통로(40)와 교차된다.
입구 구역(42)의 하류[얀 유동 방향(F)으로]에는 확장되고 길이가 긴 입구 구역(48) 및 수렴 구역(50)이 형성된다. 구역(48, 50)들은 개별 얀(Y)을 입구 구역(42)으로 느슨하게 안내한다. 구역(48, 50)들은 소정의 유체 유동을 목부 구역(44)으로부터 홈(34)의 입구 단부(34E)를 향해 얀 유동 방향(F)에 반대 방향(E)으로 배출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유체는 얀(Y)을 예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 구역(48, 50)은 얀이 이러한 구역들을 통과함에 따라 얀(Y)을 엉키게 할 수도 있는 유체 유동 난류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얀 유동 방향(F)에 수직한] 대체로 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도3, 도4a, 도4b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벌커(10)의 제트 부분(14)을 관통하여 한정된 얀 벌킹 통로(40)의 구역들 사이의 다양한 구조 관계가 이해될 수도 있다.
도4a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구 구역(42) 및 가압 유체 채널(20C)의 유체 유동은 목부(44)에서 만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구 구역(42) 및 가압 유체 채널(20C)의 기하학적인 형상 및 크기는 관통하여 통과하는 얀(Y)을 엉키게 할 수도 있는 목부(44)에서의 유체 유동 난류를 유입시키는 경향에 따라 다르다. 서로 다른 기하학적 구성의 효과는 입구 구역(42) 및 가압 유체 채널(20C)이 모두 공통 기준 대칭 평면(56)에 대해 대칭이라면 최소화될 수 있다.
도4a에서, 공통 기준 대칭 평면(56)은 굵은 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해의 명료화를 위해, 도4a의 직사각형 해칭 구역은 얀 통로의 입구 구역(42)을 관통하는 대칭 평면(56A)을 나타낸다. 도4a의 삼각형 해칭 구역은 가압 유체 채널(20C)을 관통하는 대칭 평면(56B)을 나타낸다. 평면(56A, 56B)은 모두 공통 기준 대칭 평면(56) 내에 놓인다. 이와 같이 형성된 대칭 관계를 가짐으로써, 필라멘트 교차를 일으킬 수 있었던 가압 유체 난류가 최소화 또는 제거된다.
도3 및 도4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목부 구역(44)은 [얀 유동 방향(F)의 관점에서 형성된 바와 같은] 그 하류 단부(44D)에서 목부 구역(44)의 하류 단부(44D)에 형성된 제1 얀 유동 벡터(62A)에 수직한 제1 단면 평면(60A)에서 취한 대체로 직사각형 단면 구성을 갖는다. 하류 단부(44D)에서의 목부 구역(44)의 면적은 본 명세서에서 At로 표시되어 있다.
입구 구역(42)의 [얀 유동 방향(F)에서의] 하류 단부(42D)에서의 얀 통로(40)의 면적은 하류 단부(42D)에서의 목부(44)의 면적(At)보다 작다. 입구 구역(42)의 하류 단부(42D)에서의 얀 통로의 면적은 본 명세서에서 Ai로 표시되어 있다. 면적(At)과 면적(Ai) 사이의 차이점은 입구 구역(42)과 목부 구역(44) 사이의 계면에 형성된 견부(44S)에 의해 도면에서 자명하다.
목부 구역(44)과의 교차부에 근접한 가압 유체 채널(20C)은 관통하여 연장된 유체 유동 벡터(64)에 수직한 제2 단면 평면(60B)에서 취한 직사각형 단면 구성을 갖는다. 목부 구역(44)과의 교차부에 근접한 가압 유체 채널(20C)의 면적은 본 명세서에서 Ap로 표시되어 있다.
확장 구역(46)은 목부(44)의 하류 단부(44D)로부터 소정 거리(46L)로 이격된 하류 단부(46D)를 갖는데, 소정 거리(46L)는 약 2.54㎝(1인치) 내지 약 30.48㎝(12인치) 범위 내에 있다. 확장 구역(46)의 하류 단부(46D)는 확장 구역(46)의 하류 단부(46D)에 형성된 제2 얀 유동 벡터(62B)에 수직한 제3 단면 평면(60C)에서 취한 직사각형 단면적을 갖는다. 하류 단부(46D)에서의 확장 구역(46)의 면적은 Ae로 표시되어 있다.
목부로부터의 유체의 유동은 제트 부분(14)의 벌킹 작동에 중요하다. 얀(Y)을 롤(D)로부터 제트 부분 내로 끌어당기도록 얀(Y)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키고 강제로 인장시키기 위해, 그리고 얀(Y)을 스터퍼 부분(16) 내로 추진시키기 위해, 목부로부터의 그리고 확장 구역(46)을 관통하는 유체의 유동은 초음속이어야 한다. 초음속 유체 유동은 가압 유체 채널(20C)로부터 목부로 유입되고, 목부의 하류 단부(44D)로부터 확장 구역의 하류 단부(46D)로 소정의 확장 면적비를 제공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초음속 유동을 제거시킬 수도 있었던 확장 구역에서의 압력 강하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거리(46L)가 얀 제트의 크기에 따라 약 2.54㎝(1인치) 내지 약 30.48㎝(12인치)의 범위에 있다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건으로, 면적(At)에 대한 면적(Ae)의 비(이하에서 초음속비라고 함)는 약 1.1 내지 3.0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목부로부터의 유체의 유동은 통로(40)의 입구 단부(34E)로부터 도4b의 화살표(E)에 의해 도시된 배출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중요하다. 배출 유동은 제트 부분이 제트 부분에서의 얀 온도를 급랭시키는 역할을 하는 작동 동안에 입구 단부(34E)에서 대기로 끌려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배출 유동은 입구 단부(34E)로부터 입구 구역(42)을 통해 통과함에 따라 반대방향 얀을 예열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 유동을 위한 구동력은 입구 구역(48)을 통해 유동을 가압하는 목부 구역에서의 약간의 배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배출 유동은 얀 인장력을 감소시키고 확장 구역의 초음속 유동을 유지하도록 목부 구역에서 이용 가능한 압력을 감소시키는 과도한 유동을 회피하기 위해 합리적인 수준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본발명에 따르면, 면적(Ap)에 대한 면적(At)의 비(이하 배출 유동비라고 부름)는 약 0.5 내지 약 2.0의 범위 내에 있다. 과도한 배출 유동은 면적(Ai)이 면적(At)보다 작기 때문에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목부 구역(44), 확장 구역(46) 및 가압 유체 채널(20C)은 대체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이들 구역에서의 균일한 유체 유동을 제공하여 얀 필라멘트 엉킴을 유발시키는 유동 난류를 최소화시킨다. 이는 단면적의 작은 단위의 폭이 통로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유동이 직경을 횡단하여 대폭 변하는 대체로 원형 단면의 제트 통로를 갖는 종래 기술의 많은 제트와 대비된다. 직사각형 통로를 횡단하면 그러한 변화는 없다. 직사각형 가압 유체 채널로부터의 고압 유체가 직사각형 목부로 진입됨에 따른 (유동 불균형 및 얀 엉킴을 발생시키는) 유동 불균형을 회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목부(44) 및 가압 유체 채널(20C)은 각각 그 교차부를 따라 서로 정렬된 동일한 폭(20W, 44W)을 갖는다(도4a 참조). 논의 중인 폭은 목부(44)를 통해 연장된 기준축(44A)(도4a, 도4b 참조)에 수직한 단면 평면에서 취한다. 축(44A)은 목부(44)의 하류 단부(44D)에 형성된 제1 약 유동 벡터(62A)와 정렬된다. 또한, 목부(44)의 측벽(44L) 및 가압 유체 채널(20C)의 측벽(20L)은 동일 평면에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유체 제트를 위한 마모 삽입체에 관한 것이다. 마모 삽입체는 도5의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작은 입구가 큰 목부와 결합되어 예리한 모서리 또는 코너를 형성하는 견부가 존재하는 제트에서뿐만 아니라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교차 배출 벌킹 제트에서도 유용하다. 이러한 코너는 얀이 견부를 지나 이동됨에 따라 얀 마찰에 의해 급속 마모에 취약하다.
마모 부재
얀이 얀 벌킹 통로(40)를 통과함에 따라(도4a, 도4b 참조), 입구 구역(42)과 목부 구역(44) 사이의 계면에 형성된 견부(44S) 근방의 홈의 벽과 마찰된다. 얀은 접촉되는 표면 상에서의 마모를 가속시키는 폴리머 내의 마모 물질을 갖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마모는 견부(44S)의 구역에서 악화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18) 내로 교체 가능하게 삽입 가능한 마모 부재(70)를 사용한다. 마모 부재(70)는 삽입되는 본체(18)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재료의 경도값보다 큰 경도값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 기부(20) 및 덮개(24)는 모두 스테인리스강(Rc경도는 40 내지 45, 통상 스테인리스강 17-4 PH)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모 부재(70)는 스테인리스강의 경도값을 초과하는 경도값을 갖는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세라믹 등의 재료로부터 제조되어야 한다.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모 부재(70)는 비교적 큰 원통형 헤드 부분(70H)을 갖는데 이로부터 대체로 직사각형 플러그 부분(70P)이 돌출된다. 헤드 부분(70H)과 플러그 부분(70P) 사이의 계면은 맞닿음 견부면(70C)을 형성한다. 플러그 부분(70P)은 상류면(70U), 하류면(70D) 및 그 사이에서 연장된 채널(70C)을 갖는다. 채널(70C)과 하류면(70D)의 교차부는 마모 모서리(70E)를 형성한다.
마모 부재(70)는 덮개(24) 내의 접시 구멍(24C) 내로 삽입 가능하여, 덮개(24) 내로 삽입될 때, 채널(70C)은 얀 통로(40)의 입구 구역(4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마모 부재(70)의 하류면(70D)은 목부(44)의 상류 경계부를 형성한다. 마모 부재는 플러그의 양면이 상류면 또는 하류면으로서 역할할 수 있도록 삽입될 수도 있다는 의미에서 양면 겸용이다.
마모 부재(70)는 탄성 편의 스프링(74)에 의해 덮개(24)와 상기 조립된 관계로 유지된다. 스프링(74)은 마모 부재(70)의 하부면(70B)을 기부(20)의 결합면(20M)과 맞닿는 관계로 편의시킨다. 스프링(74)은 와셔(76) 및 핀(78)에 의해 보어(24C) 내에 유지된다. 마모 삽입체(70) 상의 맞닿음면(70S)은 보통 덮개가 기부에 서로 결합될 때 접시 구멍(24C)의 견부(24H)에 의해 형성된 맞닿음면으로부터 간극(70G)에 의해 이격된다. 스프링(74)은 기부(20)의 결합면(20M)에 대해 플러그(70P)의 하부면(70B)을 견고하게 가압한다. 간극(70G)은 마모 삽입체(70)와 덮개(24) 사이의 기계 가공 공차 및 열적 성장 차이를 보상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부재들이 분리될 때, 마모 삽입체(70) 상의 표면(70S)은 삽입체가 스프링(74)에 의해 접시 구멍(24C)으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시 구멍(24C)의 견부(24H)에 대해 저부에 맞닿는다.
상기된 바와 같은 마모 부재(70)의 사용은 본 발명의 얀 벌커의 2편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장점을 강조하는데, 얀 통로의 외형을 형성하는 홈은 벌커의 본체(18)를 형성하는 부재들 중 하나[예컨대, 덮개(24)]에 내장되고, 가압 유체 유동을 위한 유체 채널(20C)은 다른 부재[기부(20)] 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분리는 전체로서의 덮개(24)의 교체 또는 상기된 바와 같은 마모 부재(70)의 사용에 의해 얀 통로(40)에 대한 수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체 채널(20C)을 기부(20) 전체에 배치하는 것은 덮개(24)와 기부(20) 사이의 밀봉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가압된 제1 유동을 유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균일한 제품을 생산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스터퍼 튜브
스터퍼 튜브 부분(16)(도2b 참조)은 얀 통로(40)와 유체 연통된 제트 부분(14)의 하부 단부에 부착된다. 스터퍼 튜브(16)는 스터퍼 챔버 섹션(82) 및 얀 운반 섹션(86)으로 형성된 중공이고 대체로 길이가 긴 부재이다. 스터퍼 부재 섹션(82) 및 운반 섹션(86)은 제조의 용이를 위해 2개 부분으로 되어 있지만, 원하면, 하나 이상의 구조로 동등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스터퍼 부재 섹션(82)은 관통하는 중앙 보어(82B)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 부재이다. 스터퍼 부재 섹션(82)의 상부 단부는 본체(18)의 기부(24)의 하부 단부에서 중앙 리세스(20E) 내에 수용된 중공 끼움부(82F)(도2a 참조)를 형성하도록 직경이 감소된다. 스터퍼 튜브 부분(16)은 기부(20)의 통로(20L) 내로 나사 형성 로킹 체결구(82L)에 의해 본체(18)에 유지된다.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터퍼 챔버(86)의 원통형 보어(86B)와 얀 통로(40)의 직사각형 확장 섹션(46)의 하류 단부(46D) 사이에는 전이부가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86B)의 경계부는 직사각형 확장 섹션(46)의 하류 단부(46D)의 주연부를 둘러싸서, 제트 부분(14)으로부터 스터퍼 튜브 부분(16)으로의 얀의 통로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4) 상의 밀봉면(24S) 및 목부(44)의 하류 단부(44D)가 도시되어 있다.
스터퍼 부재 섹션(82)의 중앙 부분은 원주면을 중심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좁고 원주길이가 긴 반경방향 슬롯(82S)(도2b 참조)을 갖는다. 슬롯(82S)(도7a 및 도7b 참조)은 내부가 배출될 수 있도록 스터퍼 챔버(82)의 벽을 관통하여 완전히 연장된다. 각각의 슬롯(82S)은 슬롯을 통해 굽은 필라멘트들의 통과를 방해하기 위해 슬롯을 통과하는 얀의 필라멘트의 직경보다 약 10배 내지 15배인 원주 폭(82W)을 갖는다. 설명될 것이지만, 슬롯에 의해 제공된 총 유동 면적이 얀을 스터퍼 챔버(82) 내에 묶는 데 필요한 유체 유동을 통과시키는 데 충분하도록 스터퍼 챔버(82)의 원주 주위에 충분한 개수의 슬롯(82S)이 있어야 한다. 스터퍼 챔버(82)의 보어(82B)는 대략 스터퍼 챔버 섹션(82)의 슬롯 형성 중앙 부분의 길이의 1/2 상류에서 분기된다. 분기는 얀 유동 방향(F)으로 약 2° 내지 약 6°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4°이다.
얀 운반 섹션은 관통하여 연장된 중심축 보어(86B)를 갖는 튜브형 부재(86T)로부터 형성된다. 튜브형 부재(86T)의 축방향 보어(86B)는 스터퍼 섹션(82)의 중앙 보어(82B)와 연통된다. 운반 튜브(86T)의 제1 상부 단부(86E)는 스터퍼 챔버 섹션(82)의 하부 단부 내로 삽통식으로 수용되고, 한 세트의 나사(86S)에 의해 소정 위치에 보유된다. 운반 튜브(86T)의 하부 제2 단부(86D)는 보어(86B)와 연통된 통로(86P)를 내부에 형성하였다. 통로(86P)의 직경은 [축(86A)에 수직한] 운반 튜브(86T)의 직경보다 [0.254 내지 0.508㎝(0.01 내지 0.02 인치) 정도로] 약간 작다.
(도8b 및 도8c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슬롯 형성 디플렉터 판(88)은 운반 튜브(86T)의 제2 하부 단부에 부착된다. 디플렉터 판은 튜브형 부재(86T)의 보어(86B)의 축에 대해 통로(86P)를 향해 소정 각도(88A)로 경사져 있다. 경사 각도(86A)는 약 30° 내지 약 60°의 범위 내에 있다. 디플렉터 판(88)은 복수개의 가지(88T)를 형성하는 개방 단부형 슬롯(88S)의 배열부에 의해 천공된다. 가지(88T)의 단부(88E)는 튜브형 부재(86T)의 통로 내에 놓이고 하부 경계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가지(88T)들 사이의 슬롯(88S)은 유체를 튜브(86T)의 보어(86B)로부터 통과시키지만 판(88)을 방해할 수도 있었던 루프형 및 코일형 얀을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 디플렉터 판(88)의 구멍은 유체를 통과시키기만 하는 크기를 갖는 한 원한다면 폐쇄형 슬롯 또는 구멍 등의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링크 배열부
기부(20) 및 덮개(24)는 링크(26)에 의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되도록 서로 연결되고, 로킹 볼트(30)에 의해 폐쇄 위치로 유지된다. 도9a 내지 도9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링크(26)는 도2a에 도시된 측면에 대향인 측면 상에서 기부(20) 및 덮개(24)에 부착된다. 덮개(24)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덮개(24) 상의 결합면(24M)은 기부의 모든 부분들 위해 수직으로 놓인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기부(20) 및 덮개(24)는 모두 링크(26)를 수용하는 포켓을 형성하는 대체로삼각형 형상의 리세스(92A, 92B)를 갖는다. 도9d의 분리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각각의 링크(26)는 대체로 직선형 바아 섹션(26B)에 의해 결합된 비교적 확장된 단부편 부분(26E)을 갖는다. 각각의 단부편(26E)과 바아(26B) 사이의 전이 구역은 얇고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구역(26R)을 형성한다. 각각의 링크(26)의 하나의 단부편 섹션(26E)은 피봇 핀(26P)을 통해 기부(20) 및 덮개(24)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각각의 피봇 핀은 일단부와 타단부 상의 리세스 상에 확장된 헤드를 갖는다. 클립(26C)은 경우에 따라 덮개(24) 또는 기부(20) 상의 소정 위치에 피봇 핀(26)P)을 보유한다.
도9a는 완전히 개방된 위치의 기부(20) 및 덮개(24)를 도시하고 있다. 완전히 개방된 위치일 때, 덮개(24) 내에 배치된 각각의 정렬 핀(24P)의 단부뿐만 아니라 로킹 볼트(30)의 나사 형성 단부(30E)를 볼 수 있다. 완전히 개방된 위치는 링크(26)가 리세스(92A, 92B)의 일측면에 대해 정지되는 곳에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채널(20C)로부터 여전히 통과하는 유체는 밀봉면(20S, 24S)을 지나 자유롭게 배출된다.
덮개(24)를 기부(20)에 결합시키기 위해, 덮개(24)는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부(20)에 대해 대체로 시계방향으로 링크(26)의 피봇 핀(26P) 상에 회전된다.
도9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핀(26P) 상에서의 시계방향 피봇 운동은 덮개(24) 상의 밀봉면(24S)을 기부(20) 상의 밀봉면(20S)과 맞닿음 접촉시킨다. 도9b에 도시된 중간의 부분적으로 폐쇄된 위치에서, 볼트(30)의 단부(30E)는기부(20) 내의 장착 개구(20T) 내에 수용되고, 정렬 핀(24P)의 단부는 대응 정렬 슬롯(20A) 내에 수용된다. 로킹 볼트(30)는 단부(30E)가 개구(20T)와 정렬되도록 개구(24T) 내로 부분적으로 후퇴되어야 할 수도 있다.
볼트(30)의 단부(30E)는 덮개 및 기부 상의 결합면(20M, 24M)을 근접한 맞닿음 접촉부 내로 각각 끌어당기기 위해 개구(20T) 내로 관통된다(도9c 참조). 볼트(30)가 기부(20) 및 덮개(24)와 함께 끌려감에 따라, 링크(26)는 변형 가능한 구역(26R)에서 변형되어 덮개(24) 상에 힘을 발생시키고 각각의 밀봉면(20S, 24S)을 따라 기부(20)에 견고하게 가압하면서, 이러한 부재들을 그 결합면(20M, 24M)을 따라 결합시킨다. 변형된 상태의 링크(26)는 도9d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9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변형될 때, 단부편(26E)과 바아(26B) 사이의 간극(26G)은 좁아지고 피봇 핀 개구의 중심선(26L) 사이의 간격(26S)은 단축된다.
작동
도1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분(24)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얀(Y)은 덮개 부분을 통해 드레딩된다. 링크(26)는 본체(18)의 먼 쪽에만 있기 때문에(도9a 참조), 근접면(18F)(도2, 도10 참조)은 연속 필라멘트 얀(Y)을 수용하도록 개방된다. 개별 얀(Y)은 예컨대 얀 라인이 계속해서 진행되는 동안에 얀 라인을 흡인하는 서커 웨이스트 건(sucker waste gun, 136)으로 안내된다. 덮개(24) 상의 핀 안내부(24Y) 및 기부(20) 상의 한 쌍의 안내부(20G)는 얀의 드레딩에 협력한다. 이러한 부재들은 얀이 드레딩됨에 따라 얀(Y)을 덮개(24) 내의 홈(34)과 정렬되도록 안내한다. 개방될 때 덮개(24)의 결합면(24M)은 기부(20)의 표면(20U)(도2a 참조) 약간 위에 있기 때문에, 얀의 드레딩은 특히 인접한 얀 벌커가 존재하면 용이해진다. 얀을 홈과 정렬시킨 후, 작업자는 서커 건을 [위치(136')까지] 상승시켜 얀은 덮개(24)의 단부에서 얕은 드레딩 노치(24N)를 [위치(138')에서] 통과한다. 이러한 시간 동안에 여전히 유동한다면, 채널(20C)로부터의 유체는 밀봉면(20S, 24S)들 사이로 배출된다.
덮개(24) 및 기부(20)는 도9a 내지 도9d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폐쇄되어 있다. 폐쇄되어 있을 때, 얀은 포위된 얀 통로(40)를 통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폐쇄되어 있을 때, 기부(20)의 드레딩 노치(20N) 및 덮개(24)의 대응 노치(24N)는 얀이 드레딩되는 배출 구멍을 형성하도록 협력한다. 본체(20)가 일편으로 제조되면, 제트 부분(14)은 얀의 절단 단부를 얀 통로 내로 운반하는 래냐드(lanyard)를 사용하여 드레딩된다.
이러한 지점에서, 작업자는 얀(Y)을 얀 벌커(10)의 스터퍼 튜브 부분(16)을 통해 드레딩할 준비가 된다. 이는 가압 유체를 가압 유체 도관(20D)을 통해 벌킹 통로(40) 내로 유동시키는 작동 압력 공급원(P)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음에 얀 라인(Y)은 절단되어 웨이스트 건(waste gun)으로부터 해제된다. 절단 단부는 드레딩 구멍을 통해 스터퍼 튜브 부분(16)의 스터퍼 챔버(82) 및 튜브(86) 내로 끌려간다.
운반 튜브(86T)의 단부의 슬롯 형성 디플렉터 판(88)은 얀의 통과를 지연시켜서 얀(Y)의 루프 및 코일로 구성된 와드(W)는 운반 튜브(86T)에서 출발될 수 있다. 대부분의 유체는 디플렉터 판(88)의 슬롯(88S)을 통과한다. 와드(W)는 배출된 스터퍼 챔버 섹션(82) 내로 진입되어 배출구 슬롯(82S)을 부분적으로 덮을 때까지 튜브(86T)의 길이를 따라 계속해서 증가된다. 와드(W)가 스터퍼 챔버 섹션(82)을 계속해서 충전함에 따라, 대부분의 슬롯은 덮여지고 유체의 배출을 제한되게 한다.
와드(W)는 스터퍼 챔버(82)의 배출된 섹션에 쌓인 얀으로 인해 와드(W)의 길이가 성장하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튜브(86T)를 따라 와드(W)가 가압되는 지점까지 와드(W) 상의 유체 압력이 증가되는 평형에 도달될 때까지 스터퍼 챔버의 배출된 섹션을 충전한다.
스터퍼 챔버(82)의 분기 부분은 마찰력과 유체의 힘 사이의 균형을 제어하는 데 중요하다. 분기 각도는 서로 다른 얀 제품의 서로 다른 마찰 특성 또는 (압력, 온도, 유동 등의) 서로 다른 유체의 작동 상태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이동하는 와드는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86P)를 통해 튜브(86T)로부터 배출되어 롤(R) 상으로 유도된다.
얀 벌커(10)는 얀(Y)에서 높은 입구 인장력을 제공하여 종래 기술의 얀 벌커에서 가능한 것보다 높은 벌킹 얀을 나타낸다. 높은 입구 인장력은 고온 롤(D)로부터 얀을 제거하는 데 협력하여(도1 참조), 롤 랩의 발생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얀 벌커(10)는 얀(Y)에서 교차 및 엉킴을 거의 또는 전혀 발생시키기 않아서 제어된 교차량이 나중에 별도로 인가될 수 있다. 이는 벌킹 후 대전 방지 또는 다른 특별한 목적의 필라멘트 등의 필라멘트를 얀(Y)에 첨가하는 것이 양호하다면 매우 유용하다. 또한, 얀 벌커는 동등한 종래 기술의 장치보다 도관(20D)을 통한 낮은 가압 유체를 사용하여 높은 수준의 벌크를 발생시킨다.
높은 벌크를 발생시키는 능력은 가압 유체를 위해 저온을 사용하면서 종래 기술의 장치와 동일한 벌크 수준을 발생시킬 가능성을 제공한다. 벌킹 카페트 얀의 경우에, 저온 유체는 얀이 컷 파일 카페트에서 사용되도록 플라이 트위스트 및 열고정될 때 양호한 팁 형성부로 변환된다. 벌킹 제트 하우징의 본체 및 덮개용 분리 가능한 부품과, 와드 형성 튜브의 유체 배출 섹션 및 와드 추진 섹션을 포함하는 모듈형 설계는 얀 벌커(10)가 제조 및 유지되기 용이하게 한다. 부품들은 높은 수준의 반복 가능성으로 제조될 수 있어 벌커 성능은 높은 반복 가능성을 갖는다. 연마 얀으로부터의 마찰이 최대인 홈의 교체 가능한 제한 섹션은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벌커가 광범위한 얀과 사용되게 할 수 있다. 벌킹 제트 하우징의 제거 가능한 덮개는 벌커가 드레딩하기 용이하게 하고, 가요성 링크는 덮개가 하우징의 작동 동안에 본체에 견고하게 밀봉되는 것을 보증한다.
당업자라면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의 장점을 갖고 많은 변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관통하여 연장되는 포위된 얀 통로를 갖고, 얀 통로는 입구 구역, 목부 구역 및 확장 구역을 구비하고, 입구 구역은 목부의 상류 단부에서 목부 구역과 결합되고, 확장 구역은 목부의 하류 단부에서 목부 구역과 결합되고, 하류 단부에서의 입구 구역의 면적은 Ai에 의해 표시된 본체와,
    본체를 통해 연장되고 목부 구역에서 얀 통로와 교차된 단일 가압 유체 채널을 포함하며,
    목부 구역은 목부 구역의 하류 단부에 형성된 제1 얀 유동 벡터에 수직한 제1 단면 평면에서 취한 대체로 직사각형 단면 구성을 취하고, 목부 구역의 면적은 At에 의해 표시되며,
    입구 구역의 면적(Ai)은 면적(At)보다 작으며,
    목부 구역과의 교차부에 근접한 가압 유체 채널은 관통하여 연장되는 유체 유동 벡터에 수직한 제2 단면 평면 구성에서 취한 직사각형 단면 구성을 갖고, 목부 구역과의 교차부에 근접한 가압 유체 채널의 이러한 면적은 AP에 의해 표시되며,
    확장 구역은 목부로부터 소정 거리(L)로 이격된 출구 단부를 갖고, 거리(L)는 약 2.54㎝(1인치) 내지 약 30.48㎝(12인치)의 범위 내에 있고, 확장 구역의 단부는 확장 구역의 하류 단부에 형성된 제2 얀 유동 벡터에 수직한 제3 단면 평면에서 취한 직사각형 단면적을 갖고, 단부에서의 확장 구역의 면적은 Ae에 의해 지시되며,
    목부 및 가압 유체 채널은 교차부를 따라 제1 얀 유동과 정렬된 축에 수직이고 목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소정의 단면 평면에서 취해질 때 동일한 폭을 가지며,
    면적(Ap)에 대한 면적(At)의 비는 약 0.5 내지 2.0의 범위 내에 있으며,
    면적(At)에 대한 면적(Ae)의 비는 약 1.1 내지 3.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차 배출식 얀 벌커.
  2. 제1항에 있어서, 입구 구역 및 가압 유체 채널은 모두 공통의 기준 대칭 평면을 중심으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차 배출식 얀 벌커.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는 상부에 결합면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구조 부재를 가지고, 부재들은 결합될 때 포위된 얀 통로를 형성하며,
    단일 가압 채널은 제1 구조 부재 내에 완전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차 배출식 얀 벌커.
  4. 제3항에 있어서, 제1 구조 부재는 상부에 평면 표면을 갖고, 제2 구조 부재는 내부에 형성된 홈을 가지며,
    결합될 때, 제1 구조 부재의 평면 섹션 및 제2 구조 부재의 홈은 얀 통로를형성하도록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차 배출식 얀 벌커.
  5.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결합면은 평면형 표면이고,
    각각의 제1 및 제2 부재는 각각 상부에서 결합면으로부터 먼 평면형 밀봉면을 갖고,
    각각의 부재 상에 밀봉면의 평면은 상기 부재 상에서 결합면의 평면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차 배출식 얀 벌커.
  6. 제1항에 있어서, 본체 내로 삽입 가능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삽입체는 상류면, 하류면 및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채널을 갖고, 부재의 채널과 하류면의 교차부는 마모 모서리를 형성하며,
    본체 내로 삽입될 때, 채널은 얀 통로의 입구 구역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부재의 하류면은 목부의 상류 경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차 배출식 얀 벌커.
  7. 제3항에 있어서, 제2 부재는 개구를 내부에 갖고,
    제1 부재의 결합면과 맞닿는 관계로 제2 부재 내의 개구 내로 삽입 가능한 부재와, 삽입체를 제1 부재의 결합면과 맞닿는 관계로 편의시키는 탄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삽입체는 상류면, 하류면 및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채널을 갖고, 부재의 채널과 하류면의 교차부는 마모 모서리를 형성하며,
    본체 내로 삽입될 때, 채널은 얀 통로의 입구 구역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부재의 하류면은 목부의 상류 경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차 배출식 얀 벌커.
  8. 내부에 형성된 목부를 갖고 맞닿음면을 상부에 갖는 본체를 구비한, 얀을 처리하는 유체 벌커에 있어서,
    맞닿음면과 맞닿는 관계로 본체 내로 삽입 가능한 부재와, 삽입체를 제1 부재의 결합면과 맞닿는 관계로 편의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삽입체는 상류면, 하류면 및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채널을 갖고, 부재의 채널과 하류면의 교차부는 마모 모서리를 형성하며,
    본체 내로 삽입될 때, 채널은 본체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얀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부재의 하류면은 목부의 상류 경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벌커.
  9. 제8항에 있어서, 본체는 제1 경도값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삽입체는 제2 경도값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제2 경도값은 제1 경도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벌커.
  10. 얀 통로를 내부에 갖는 본체와,
    얀의 와드를 형성하도록 얀 통로와 연통된 스터퍼 챔버 섹션과,
    얀 운반 섹션을 포함하며,
    얀 운반 섹션은 관통하여 연장되는 축방향 보어를 갖는 튜브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튜브형 부재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고, 튜브형 부재의 제1 단부는 스터퍼 부재와 연통되는, 얀을 처리하는 벌커에 있어서,
    튜브형 부재는 제2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축방향 보어와 연통된 통로를 갖고,
    제2 단부에 인접한 튜브형 부재에 부착되고, 보어의 축에 대해 튜브형 벽 부재의 통로를 향해 경사져 있고, 구멍을 내부에 갖는, 디플렉터 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커.
  11. 제10항에 있어서, 디플렉터 판은 약 30° 내지 약 60°의 범위 내에 있는 경사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커.
  12. 제10항에 있어서, 디플렉터 판은 복수개의 가지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슬롯에 의해 천공되어 있으며, 각각의 가지부는 단부를 상부에 갖고, 가지부의 단부는 통로 내에서 경계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커.
KR1020007004405A 1997-10-24 1998-10-09 단일 충돌 벌킹 제트 Withdrawn KR200100725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56,408 US6032341A (en) 1997-10-24 1997-10-24 Single impingement bulking jet
US08/956,408 1997-10-24
PCT/US1998/021403 WO1999022054A1 (en) 1997-10-24 1998-10-09 Single impingement bulking j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536A true KR20010072536A (ko) 2001-07-31

Family

ID=2549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405A Withdrawn KR20010072536A (ko) 1997-10-24 1998-10-09 단일 충돌 벌킹 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32341A (ko)
EP (1) EP1025297B1 (ko)
JP (1) JP2002516928A (ko)
KR (1) KR20010072536A (ko)
CA (1) CA2303910A1 (ko)
DE (1) DE69810343T2 (ko)
WO (1) WO19990220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1138B4 (de) * 2004-10-20 2006-11-30 Compact Dynamics Gmbh Druckverstärkendes Brennstoff-Einspritzventil
US7719686B2 (en) * 2005-12-05 2010-05-1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ystem for measuring a color property of a liquid
US7477394B2 (en) * 2005-12-05 2009-01-13 E.I Du Pont De Nemours & Company Method for measuring a color property of a liquid using a liquid measurement cell having a transparent partition therein
US7542143B2 (en) * 2005-12-05 2009-06-0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quid measurement cell having a pressurized air cavity therein
US7423755B2 (en) * 2005-12-05 2008-09-0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quid measurement cell having a transparent partition therein
EP1957949B1 (en) * 2005-12-05 2009-06-0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be apparatus for measuring a color property of a liquid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82A (en) * 1860-05-29 Stove
US2995801A (en) * 1959-04-24 1961-08-15 Canadian Celanese Ltd Jet for fluid treatment of yarn
US3169296A (en) * 1963-02-14 1965-02-16 Du Pont 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of synthetic filaments
US3251181A (en) * 1964-07-09 1966-05-17 Du Pont Coherent bulky yarn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RE28482E (en) 1968-03-18 1975-07-15 Novel high-bulk yarn
US3525134A (en) * 1969-02-17 1970-08-25 Du Pont Yarn fluid treating apparatus
US3678549A (en) * 1969-03-17 1972-07-25 Rhodiacet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high-bulk yarn
CS148104B1 (ko) * 1970-09-18 1973-02-22
US3823448A (en) * 1971-09-28 1974-07-16 Celanese Corp Multi-purpose fluid yarn treating apparatus
US3816887A (en) * 1972-07-17 1974-06-18 Eastman Kodak Co Swivelly mounted tailpipe for the jet device of a yarn bulking apparatus
US3802036A (en) * 1972-09-05 1974-04-09 Hercules Inc Yarn bulking jet
FR2310431A1 (fr) * 1975-05-07 1976-12-03 Chomarat & Cie Dispositif pour la texturation des fils textiles au moyen d'un fluide sous pression
IT1086492B (it) * 1977-09-21 1985-05-28 Snia Viscosa Ugello per la testurizzazione di filati
DE2856290C2 (de) * 1978-12-27 1986-07-17 Akzo Gmbh, 5600 Wuppertal Düsen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chlingenblasgarn
DE3609216C1 (en) * 1986-03-19 1987-08-20 Barmag Barmer Maschf Nozzle for treating a running thread
EP0441925B1 (de) * 1989-09-05 1994-04-20 Heberlein Maschinenfabrik AG Einrichtung zum blastexturieren wenigstens eines multifilamentgarns
US4949441A (en) * 1989-10-13 1990-08-21 Ethridge Fredrick A Polylaminar 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of yarn
US5025538A (en) * 1990-03-30 1991-06-25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Apparatus for crimping tow including stuffer box, crimping rollers and molding rollers
US5325572A (en) * 1992-06-23 1994-07-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Yarn treating jet
EP0632150B1 (de) * 1993-07-02 1997-05-02 Maschinenfabrik Rieter Ag Vorrichtung zum Texturieren von Endlosfilament-Fä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10343D1 (de) 2003-01-30
JP2002516928A (ja) 2002-06-11
CA2303910A1 (en) 1999-05-06
EP1025297A1 (en) 2000-08-09
EP1025297B1 (en) 2002-12-18
WO1999022054A1 (en) 1999-05-06
DE69810343T2 (de) 2003-10-30
US6032341A (en) 2000-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5313B2 (ja) フィラメント糸を処理する方法と装置並びに前記装置を使用する方法
RU1834930C (ru) Многозевный ткацкий станок с волнообразно подвижным вдоль нитей основы зевом
KR100442957B1 (ko) 얀 처리장치 및 그 이용
US3324526A (en) Yarn treating jet
KR20010072536A (ko) 단일 충돌 벌킹 제트
US4453298A (en) Construction of thread texturizing nozzles
US3302237A (en) Forwarding jet
JPH0244927B2 (ko)
EP0505610B1 (en) Modular yarn interlacer
US5481787A (en) Apparatus for treating yarn with fluid
US4238921A (en) Cooling device and method for cooling a heated travelling thread
GB2334971A (en) Method of finishing a yarn
US5970593A (en) Jet for interlacing textile yarns
US6308388B1 (en) Texturing jet
US4736500A (en) System to draw and texturize partially oriented yarn
GB2128644A (en) Air nozzle for producing knot-shaped entanglements in running multifilament yarns
EP0533624B1 (en) Nozzle device and yarn processing method
US4422224A (en) Apparatus for interlacing multifilament yarn
EP0811711A2 (en) Yar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A1243831A (en) Apparatus for crimping textile fibrous materials
US4103404A (en) Nozzle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texturized filament yarns
WO1991013197A1 (en) Improvements in interlacing apparatus
US4163306A (en) Bounce crimper outlet apparatus
US4851643A (en) Draw block
CA1093801A (en) Bounce crimper outle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