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596A - 발목 지지용 부목 - Google Patents
발목 지지용 부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70596A KR20010070596A KR1020010029133A KR20010029133A KR20010070596A KR 20010070596 A KR20010070596 A KR 20010070596A KR 1020010029133 A KR1020010029133 A KR 1020010029133A KR 20010029133 A KR20010029133 A KR 20010029133A KR 20010070596 A KR20010070596 A KR 200100705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kle
- splint
- wall
- airbag
- str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10000004233 talu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41001061264 Astragal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08000010040 Sprains and Strain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6010024453 Ligament sprai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6010030113 Oedema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20002457 flexible plastic Polymers 0.000 abstract 2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6322 Feeling abnormal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0031 Muscle str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214 Skeletal muscle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27561 Valg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69816 Va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44 articulatio talocrural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5185 skeletal muscle atroph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35 tend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 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적 치료 효과를 가진 발목 지지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목은 피부와 접촉하는 면을 최소화시킨 하드한 플라스틱으로 발목 전체를 지지하면서 2개 파트의 플렉시블한 플라스틱으로 고정력을 증가시킨다.
하부의 플렉시블 플라스틱 파트에는 발목 염좌시 손상되는 복사뼈 주위의 인대 부분을 고정ㆍ치유할 수 있는 기능적 모양의 에어백을 부착한다.
상기 에어백은 피부 접촉면을 최소화시키면서 부종 치료와 기능적 마사지 효과를 줄 수 있도록 엠보싱 모양을 하고 있다.
고정을 위한 스트랩은 2종류를 사용하는데 발목 상층부 고정과 발바닥 하층부 고정은 무탄력 스트랩을 사용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염좌의 재발 가능성을 줄인다.
복사뼈 주위를 감싸며 고정하는 스트랩은 탄력 밴드를 사용하여 에어백의 마사지 효과를 증대시키면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층부 스트랩 고정방식은 양방향으로 당겨서 고정하는 것으로 한방향으로 둘러 고정하는 방식의 단점인 외벽 지지부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한 고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외벽 지지부는 비대칭적인 양쪽 복사뼈 모양ㆍ위치를 고려하여 굴곡모양의 차별을 주어 착용감 향상 및 치료 효과를 증대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동 및 의학적인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발목 지지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사뼈 주위를 효과적으로 감싸주면서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 수단, 양방향으로 당겨서 고정함에 따라 착용시의 편의를 줄 수 있는 스트랩 수단 등을 채용한 발목 지지용 부목을 제공함으로써, 발목 염좌 예방과 동시에 염좌 발생시 부종치료 및 기능적 치료, 재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환자가 활동시에 발목의 내반ㆍ외반 염좌를 방지하며 족배ㆍ족저 굴곡을 자유로이 허용하도록 하여 활동과 동시에 치유가 가능하고 예방, 보호, 경감, 재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발목 지지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
흔히 발목을 삐었다고 얘기하는 염좌는 발목 관절의 뼈와 뼈를 이어주는 인대가 늘어나거나 끊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발목 인대의 손상을 받았을 경우 그 부분을 고정시켜 주어야 통증을 없애고 치료 효과를 줄 수 있다.
하지만, 염좌나 골절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지지 부목에 의지하면서 근육을 약간씩 움직여 준다면 대부분의 염좌나 근염좌를 포함한 많은 손상들이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치유될 수 있다.
또한, 측방 지지를 해주면서 마사지 효과를 해줌으로 발목 손상시 생긴 연부조직의 부종을 없애주어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빠른 치유 효과를 줄 수 있다.
전통적인 고정방법인 석고나 수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한 붕대 등으로 고정하는 것은 골격근의 근위축을 가져올 수 있고, 건과 인대의 불규칙적인 재생 가능성이 있으며, 통증, 근력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양한 발목 지지용 부목은 의학 및 운동분야에서 효과적으로 발목 지지를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 왔다.
이러한 부목의 중요한 특성은 환자나 착용자의 발목에 제공되는 안정성, 착용감, 기능적 고정성 및 지지 부목의 강도, 내구성 등이다.
본 발명과 유사한 기존의 발목 지지용 부목들은 손상된 인대 부위를 집중적으로 마사지 해주는 효과나 발목 전체의 완벽한 고정률이 미흡하여 착용시 발목에서 이탈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280,489호, 제4,628,945호 등에서는 부목의 내측으로 에어백 수단을 제공하여 마사지 효과와 부종 감소 효과를 도모하고 있으나, 부목으로 받쳐지는 전체 면적에 걸쳐 에어백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실질적인 환부를 의미하는 복사뼈 주위만을 완벽하게 고정하거나 마사지하는 효과를 기대하는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5,389,065호에서는 복사뼈 주위를 탄력 밴드로 감아줄 수 있는 형태의 것을 제공하고 있으나, 탄력 밴드를 감아주는 방식에서 볼 때 탄력 밴드의 탄력으로 전거비인대와 복사뼈 부위 인대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측면에서는 기능적으로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발목 지지용 부목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착용자의 발목 주위에서 편안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필요한 부위만을 기능적으로 고정하고 마사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기존 대부분의 발목 지지용 부목들은 필요로하는 특정 부위만을 효과적으로 집중 보호한다거나 착용시 간편성을 추구한다거나 하는 측면 등에서는 여러 개선의 소지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단점과 결함을 해결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발목 지지용 부목을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목 지지용 부목은 양쪽 복사뼈 위치에 맞게 적합한 굴곡을 갖는 비대칭 모양의 외벽을 포함한다.
상기 외벽에는 착용감 및 고정력 향상과 필요한 부분의 선택적인 고정을 위하여 발목 상층부와 복사뼈 부분에 플렉시블한 물성을 갖는 넓게 연장된 부분을 포함한다.
적합하고 안정된 고정을 위하여 3부분으로 나누어 고정할 수 있는 각각의 스트랩(Strap)이 외벽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스트랩은 고정시 적당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부 스트랩은 바깥쪽 외벽에 회전이 가능하게 양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발목에 착용시 안쪽 외벽에 양쪽의 스트랩을 걸어 양방향으로 당겨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고정하기 쉽고 종전과 같이 한방향으로 고정함으로 인해 외벽이 돌아가거나 제 위치에서 이탈되는 단점을 개선하면서 적당한 각도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을 포함한다.
하부 스트랩은 발바닥 부분을 통하여 다양한 크기의 발에 맞도록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나일론제의 접착천(Velcro)를 포함한다.
상하부 각각의 스트랩은 소프트한 폴리에스터 재질을 사용하여 피부 접촉시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재질적 특성은 본 발명의 경량화 및 최소화를 가능하게 해준다.
중간부 스트랩은 탄력 밴드를 사용하여 가장 손상되기 쉬운 인대가 분포되어 있는 부분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전거비인대(Ligament talofibulare anterius)를 완벽하게 감싸는 동시에 에어백이 위치한 복사뼈 부위의 외벽 밖으로 한바퀴 돌아 감싸면서 고정하여 손상받은 부분에 무리가 없도록 하고, 활동시 외벽이 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도 막고 활동성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각각의 스트랩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나일론제의 접착천을 이용한 접착방식을 사용하며, 접착천의 위치 또한 다양한 크기에 맞도록 접합한 위치에 배치된다.
복사뼈 주위 인대의 기능적 고정과 마사지 효과를 주기 위해 연질 필름에 에어를 주입한 에어백을 사용하였고, 그 모양은 "U"자형으로 한다.
또한, 양쪽 복사뼈의 위치가 비대칭적인 것에 맞도록 적합한 위치에 부착시킨다.
에어백은 피부 접촉시 간섭을 최소화시키고 인대 및 복사뼈 주위 근육의 기능적 마사지 효과를 위하여 엠보싱 모양을 하고 있다.
에어백 내부의 에어는 활동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복사뼈가 외벽에 닿는 것을 막고, 기능적으로 마사지를 적절히 할 수 있도록 적정량의 에어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에어백의 상하 필름물성을 차별화하여 상층은 마사지 효과를 높이고 하층은 부착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에어백의 "U"자형 모양으로 돌출된 복사뼈 부분을 피하여 복사뼈 좌우 하단의 인대 부분만을 기능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인대의 분포가 없는 복사뼈 중심과 복사뼈 상부는 공간을 줄여 에어백이 발목에 밀착되는 효율을 높이고, 이와 동시에 기능적 마사지 효과를 주도록 한다.
에어백의 크기와 부착위치는 표준화하여 다양한 복사뼈의 크기, 위치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외벽의 길이와 폭은 지지가능한 최소한의 형태로 하여 피부 접촉을 줄이고 경량화하면서 최대한의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기능적 모양의 에어백을 이용한 선택적 고정을 통하여 마사지 효과를 주며, 자유로운 활동과 동시에 치유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다른 기술적 장점은 착용자가 쉽게 탈착용이 가능하며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방식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지지용 부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지지용 부목의 에어백 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지지용 부목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목 11a,11b : 외벽
12a,12b : 에어백 13 : 상부 스트랩
14 : 하부 스트랩 15 : 탄력 밴드
16 : 상부 연결고리 17 : 하부 연결고리
18a,18b : 네오프렌 19a∼19f : 접착천
20 : 하층 시트 21 : 리벳
22 : 상층 시트
본 발명의 더욱 완전한 이해를 위하여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과 장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와 1b에는 본 발명의 발목 지지용 부목(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부목(10)은 2개의 외벽(11a,11b) 및 에어백(12a,12b), 상부 스트랩(13) 및 하부 스트랩(14), 중간의 탄력 밴드(15), 상부 연결고리(16) 및 하부 연결고리(17), 내면의 네오프렌(18a,18b), 다수의 접착천(19a∼19f)을 포함한다.
상기 부목(10)은 양쪽이 비대칭이며 왼쪽 발과 오른쪽 발에 각각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벽(11a,11b)은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하되, 길이방향의 폭중앙을 따라서는 다소 두껍게 하고 상부와 중간부에서 양편으로 넓어지는 연장부분은 그 두께를 점차적으로 얇아지게 하여 플렉시블하고 탄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연장부분은 그 얇은 두께를 통한 플렉시블한 탄성을 이용하여 착용시 적절히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발목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외벽(11a,11b)의 내측에는 외벽(11a,11b)에 비해 좀더 넓은 면적으로 각각의 네오프렌(18a,18b)을 부착하여 피부 접촉부위의 쿠션 역할을 하고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발의 안쪽과 바깥쪽 복사뼈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안쪽 외벽(11a)의 중간부에 있는 연장부분, 즉 에어백의 부착을 위한 넓은 부분의 위치를 바깥쪽 외벽(11b)의 중간부에 있는 연장부분의 위치보다 약간 앞ㆍ위쪽에 오게 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분을 이용하여 부착 지지되는 각각의 에어백(12a,12b)도 안쪽의 것이 바깥쪽의 것보다 앞ㆍ위쪽에 올 수 있다.
상기 외벽(11a,11b)의 바깥면은 각각의 스트랩(13,14)을 잡아주고 걸기 위한금속링과 플라스틱 시트로 된 2개의 상부 연결고리(16)와 1개의 하부 연결고리(17)를 포함한다.
안쪽 외벽(11a)에 있는 상부 연결고리는 스트랩을 걸기 위한 것이고, 바깥쪽 외벽(11b)에 있는 상부 연결고리는 스트랩을 잡아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벽(11a,11b)의 바깥면은 각각의 리벳(21)을 이용하여 부착 지지되는 상부 스트랩(13) 및 하부 스트랩(14)과 탄력 밴드(15)를 포함하며, 또한 각각의 스트랩(13,14)과 탄력 밴드(15), 그리고 안쪽의 외벽(11a)은 스트랩 서로 간의 접착을 위한 접착천(19a∼19f)을 포함한다.
특히, 상부 연결고리(16)를 이용하여 바깥쪽 외벽(11b)에 부착 지지되는 상부 스트랩(13)은 양쪽 대칭형으로 되어 있어서 고정시 안쪽 외벽(11a)에 있는 상부 연결고리(16)에 동시에 걸려지면서 양방향으로 조일 수 있다.
스트랩(13,14)을 위한 상하부 연결고리(16,17)는 금속링을 잡고 있는 플라스틱 시트가 1개의 리벳(21)에 의해 고정되므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고, 이것은 발목의 굴곡에 따라 스트랩의 용이한 결착을 가능하게 해준다.
안쪽과 바깥쪽 외벽(11a,11b)의 각 내측에 부착되는 에어백(12a,12b)의 고정은 회전 방지를 위해 적어도 2개의 리벳(21)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상부 연결고리(16) 및 하부 연결고리(17)의 금속링을 잡아주는 플라스틱 시트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착용시 편하도록 하기 위해 1개의 리벳(21)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스트랩(13,14)의 고정을 위한 상하부 연결고리(16,17)의 링은 금속링으로 하되, 착용시 가하는 힘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한다.
상부 스트랩(13)의 끝은 모두 접착천(19a)을 부착하고, 그 스트랩(13)을 안쪽 외벽(11a)에 고정된 상부 연결고리(16)에 걸어 당겨 상부 스트랩(13)의 끝에 있는 접착천(19a)이 닿는 위치에도 접착천(19b)을 부착시킨다.
중간부의 탄력 밴드(15) 역시 끝에 접착천(19e)을 부착하고, 사선으로 감아올려 복사뼈를 돌아서 고정될 위치에도 접착천(19f)을 부착시킨다.
하부 스트랩(14)의 끝은 접착천(19d)을 부착하고, 그것이 고정될 위치인 바깥쪽 외벽(11b)의 하단에 접착천(19c)을 부착시킨다.
각각의 접착천(19a∼19f)은 적당히 여유있는 길이로 하여 발크기가 다른 사람이라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각각의 스트랩(13,14)은 소프트한 폴리에스터를 이용하여 착용시 부드러운 느낌을 주도록 하며, 무탄력 스트랩을 사용한다.
상기 탄력 밴드(15)는 복사뼈를 감싸 고정하고 전거비인대 부분까지 고정이 가능한 정도의 적절한 탄성을 갖도록 한다.
즉, 탄력 밴드(15)와 무탄력 스트랩(13,14)의 적절한 혼합 고정을 통해 발목 지지효과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층부와 발바닥 부위는 견고한 고정력을 위해 스트랩(13,14)을 적용하고, 에어백(12a,12b)이 위치하는 하층부는 에어백(12a,12b)의 기능을 살리면서 적절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탄력 밴드(15)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쪽과 바깥쪽 외벽(11a,11b)은 소정의 지지력을 갖추기 위해 일직선의 길이로 제작하여도 기능적으로 전혀 문제는 없지만, 발목의 굴곡이나 발의 좌우 복사뼈 위치에 맞게 적절한 굴곡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사뼈를 감싸게 되는 중간의 연장부분을 바깥쪽으로 약간 오목하게 돌출되도록 하여 복사뼈를 포함하는 그 주위를 충분히 둘러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12a,12b)의 상층 시트(22)는 마사지 효과와 피부 접촉부 최소화를 위하여 엠보싱 형태를 하고 있으며, 하층 시트(20)는 외벽(11a,11b)에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평면 모양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에어백(12a,12b)은 하층 시트(20)의 중앙부분을 리벳(21)으로 체결하는 것으로 고정시키고, 엠보싱 모양을 하고 있는 상층 시트(22)의 전체적인 형상을 "U"자형으로 하여 복사뼈 주위를 효율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한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지지용 부목의 착용순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목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외벽(11a,11b)을 밀착시킨 다음, 안쪽 외벽(11a)에 있는 하부 스트랩(14)의 접착천(19d)을 바깥쪽 외벽(11b)의 하단에 있는 접착천(19c)에 부착시켜 외벽(11a,11b)의 하단부를 서로 고정시킨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외벽(11b)에 있는 탄력 밴드(15)로 복사뼈가 위치되는 외벽(11a,11b)의 둘레를 한바퀴 감싼 다음, 그 끝의 접착천(19e)을 고정위치에 있는 접착천(19f)에 부착시킨다.
이때, 탄력 밴드(15)가 제공하는 탄성 지지력에 의해 각각의 외벽(11a,11b)에 있는 "U"자형의 에어백(12a,12b)은 복사뼈 주위를 완전히 감싸면서 밀착될 수 있는 동시에 연장부분들은 자체 탄력을 이용하여 휘어져 발목의 굴곡에 맞게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에어백(12a,12b)과 연장부분을 통한 마사지 효과와 안정적인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도 3c 및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외벽(11b)에서 양쪽으로 연장되는 상부 스트랩(13)을 안쪽 외벽(11a)에 있는 상부 연결고리(16)의 각 금속링에 건 다음, 양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안쪽과 바깥쪽 외벽(11a,11b)이 어느 한쪽으로 돌아가거나 하는 등의 문제없이 발목의 중심에 정확히 압착되고, 각 스트랩(13)의 끝에 있는 접착천(19a)을 고정위치에 있는 접착천(19b)에 각각 부착시키면 부목의 착용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복사뼈 주위를 효과적으로 감싸주면서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 수단, 양방향으로 당겨서 고정함에 따라 착용시의 편의를 줄 수 있는 스트랩 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목 지지용 부목을 제공함으로써, 기능적 모양의 에어백을 이용한 선택적 고정을 통하여 마사지 효과를 주는 동시에 자유로운 활동과 동시에 치유가 가능한 장점이 있고, 착용자가 쉽게 탈착용이 가능하며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환자가 활동시에 발목의 내반ㆍ외반 염좌를 방지하며 족배ㆍ족저 굴곡을 자유로이허용하도록 하여 활동과 동시에 치유가 가능하고 예방, 보호, 경감, 재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 복사뼈를 포함하는 수직방향으로 발목의 굴곡형상에 맞는 모양을 갖추고 있고 피부 접촉면을 최소화하면서 소정의 지지력을 발휘하기 위한 하드한 물성으로 발목을 좌우측에서 고정할 수 있는 외벽과;각 외벽의 내측에 부착되며 복사뼈 좌우 하단에 분포되어 있는 인대부분을 집중적으로 고정하고 마사지 효과를 줄 수 있는 에어백과,외벽상의 연결고리를 통해 지지되면서 외벽의 상부와 하단을 각각 연결 고정하는 무탄력 스트랩 및 복사뼈를 밀착하는 에어백 둘레를 감싸면서 압착력을 제공하는 탄력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발목 안쪽과 바깥쪽의 복사뼈 위치에 따라 그 굴곡정도와 위치가 다르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발목의 상층부와 복사뼈 주위에서 굴곡이 자유롭게 감싸며 고정할 수 있는 얇은 두께의 연장부분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마사지 효과와 피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엠보싱 모양을 하고 있는 상층 시트와, 외벽에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평면 모양을 유지하고 있는 하층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전체적인 외관이 복사뼈 주위의 좌우 하단에 분포되어 있는 인대부분을 고정할 수 있으며 인대가 없는 상단은 공간을 주어 착용감과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U"자형의 상층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안쪽 외벽에 있는 에어백이 바깥쪽 외벽에 있는 에어백보다 앞ㆍ위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탄력 스트랩은 외벽의 상부를 양방향으로 당겨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 밴드는 양쪽 에어백이 위치되는 부위의 둘레를 탄력적으로 감싸면서 압착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 제 1, 7, 8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탄력 스트랩 및 탄력 밴드는 각각의 접착천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탄력 스트랩은 리벳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 제 9 항에 있어서, 발목 상층부를 감싸는 스트랩상의 접착천은 위치 및 길이를 표준화하여 다양한 발크기에 맞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지지용 부목.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9133A KR20010070596A (ko) | 2001-05-25 | 2001-05-25 | 발목 지지용 부목 |
KR10-2002-0020675A KR100495518B1 (ko) | 2001-05-25 | 2002-04-16 | 발목 지지용 부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9133A KR20010070596A (ko) | 2001-05-25 | 2001-05-25 | 발목 지지용 부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0596A true KR20010070596A (ko) | 2001-07-27 |
Family
ID=197099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9133A Pending KR20010070596A (ko) | 2001-05-25 | 2001-05-25 | 발목 지지용 부목 |
KR10-2002-0020675A Expired - Lifetime KR100495518B1 (ko) | 2001-05-25 | 2002-04-16 | 발목 지지용 부목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20675A Expired - Lifetime KR100495518B1 (ko) | 2001-05-25 | 2002-04-16 | 발목 지지용 부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01007059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9060A (ko) * | 2002-10-30 | 2004-05-10 | 전태식 | 안전한 좌식생활을 위한 발목뼈(복숭아 뼈) 보호밴드 |
CN113633045A (zh) * | 2021-08-23 | 2021-11-12 | 西安理工大学 | 一种能变压力的脚踝护具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88009156A1 (en) * | 1987-05-29 | 1988-12-01 | Royce Medical Company | Orthopaedic gel pad method and apparatus |
US4964402A (en) * | 1988-08-17 | 1990-10-23 | Royce Medical Company | Orthopedic device having gel pad with phase change material |
DE3840714A1 (de) * | 1988-12-02 | 1990-06-07 | Bauerfeind Gmbh | Sprunggelenkorthese |
US5031607A (en) * | 1989-09-07 | 1991-07-16 | Active Ankle Systems, Inc. | Ankle brace |
KR100488628B1 (ko) * | 1995-10-27 | 2006-03-27 | 비에스엔 메디칼, 인코포레이티드 | 발목지지대 |
AU6309999A (en) * | 1998-06-12 | 1999-12-30 | Gary Wilkerson | Therapeutic ankle orthosis |
-
2001
- 2001-05-25 KR KR1020010029133A patent/KR20010070596A/ko active Pending
-
2002
- 2002-04-16 KR KR10-2002-0020675A patent/KR100495518B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9060A (ko) * | 2002-10-30 | 2004-05-10 | 전태식 | 안전한 좌식생활을 위한 발목뼈(복숭아 뼈) 보호밴드 |
CN113633045A (zh) * | 2021-08-23 | 2021-11-12 | 西安理工大学 | 一种能变压力的脚踝护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0113A (ko) | 2002-11-30 |
KR100495518B1 (ko) | 2005-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58395B2 (en) | Dynamic hallux tension device for treatment of plantar fasciitis | |
US4217893A (en) | Above-the-knee cast | |
US5755679A (en) | Apparatus for foot stabilizer | |
US6506175B1 (en) | Therapeutic bandage | |
US4505269A (en) | Ankle splint | |
US7753864B2 (en) | Foot support device | |
US6361514B1 (en) | Universal ankle splint | |
US4590932A (en) | Ankle-sprain edema-control boot assembly | |
US5843010A (en) | Heel and ankle appliance | |
US4753228A (en) | Apparatus for foot stabilization | |
US9265642B2 (en) | Bootless ankle brace | |
US5393303A (en) | Attachment for leg and foot joint | |
US20050131324A1 (en) | Boot for treatment of plantar fasciitis | |
KR20090092772A (ko) | 압박랩 | |
JPH0240334B2 (ko) | ||
JP2000507865A (ja) | 整形用キャスト・ウォーカー・ブーツ | |
EP1778139A1 (en) | Plantar-flexion restraint device | |
US7173161B1 (en) | Bandage for relief of the musculature in muscle fibre tears | |
US12059367B2 (en) | Mobilizing musculoskeletal structures | |
US6533742B1 (en) | Metatarsal fracture neutralizer | |
US9351865B2 (en) | Apparatus for plantar fasciitis treatment and method for making same | |
US7364561B1 (en) | Ankle brace with removable plate | |
KR100495518B1 (ko) | 발목 지지용 부목 | |
JPH04120719U (ja) | 足関節用装具 | |
US20230172761A1 (en) | Self-adhesive flexible bandages for joi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4 | Withdrawal of earlier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priority claim |
Patent event date: 200105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C12041R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