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9805A -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key-pad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key-p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69805A KR20010069805A KR1020010025979A KR20010025979A KR20010069805A KR 20010069805 A KR20010069805 A KR 20010069805A KR 1020010025979 A KR1020010025979 A KR 1020010025979A KR 20010025979 A KR20010025979 A KR 20010025979A KR 20010069805 A KR20010069805 A KR 200100698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rted
- pressing
- characters
- character
- bas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755 vo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1000989913 Gunnera petaloidea Species 0.000 claims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캠코더, 손목시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텔레비젼 등 10개 내외의 한정된 버튼만을 가지고 있는 모든 전자장치 또는 기계장치(이하 휴대폰 단말기 등이라 한다)에서 6개의 문자 버튼과 4개의 화살표 버튼을 조합하여 한글, 영문 또는 일문 등을 쉽게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글 문자 입력의 경우, 한글 자음에 해당하는 버튼 5개와 한글 모음에 해당하는 버튼 1개 및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 버튼 4개를 조합하는 방법으로 구성함으로써, 초보자라도 형태적,논리적 연상을 통해 쉽고 빠르게 문자를 휴대폰 단말기 등에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10개 정도의 적은 버튼만으로 입력이 가능하므로 버튼의 수가 적은 키패드를 가진 소형 휴대폰 단말기, PDA, 캠코더 등에 특히 적합하며, 아울러 화살표 방향에 따라 앞으로 변환될 수 있는 문자를 보고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으므로 오타를 줄이고 쉽게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keypad, and more particularly, only a limited number of buttons such as a mobile phon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camcorder, a wristwatch, a television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asily inputting Korean, English, or Japanese by combining six letter buttons and four arrow buttons in all electronic devices or mechanical de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bile phone terminals). In the case of Korean character input, it consists of combining 5 buttons corresponding to Korean consonant, 1 button corresponding to Korean vowel, and 4 arrow buttons indicating direction. It provides a method for inputting text into a mobile phone terminal, and it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small mobile phones, PDAs, camcorders, etc. with a small number of buttons because it can be input with only a few buttons. By viewing the characters that can be converted, the user can enter them, reducing typos and easily modifying them.
Description
본 발명은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캠코더, 손목시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텔레비젼 등 10개 내외의 한정된 버튼만을 가지고 있는 모든 전자장치 또는 기계장치(이하 휴대폰 단말기 등이라 한다)에서 6개의 문자 버튼과 4개의 화살표 버튼을 조합하여 한글 기타 언어의 문자를 초보자의 입장에서 손쉽게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 keypad,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 limited number of buttons such as a mobile phon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camcorder, a wristwatch, a television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and about 10 butt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asily inputting letters of Korean or other languages from a beginner's point of view by combining six letter buttons and four arrow buttons in all electronic devices or mechanical de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bile phone terminals).
일반적으로 휴대폰 단말기 등에서는 컴퓨터 자판과는 달리 키패드의 버튼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10개 내외의 한정된 입력버튼으로 한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같은 버튼을 여러 번 누르거나 여러 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을 구성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한글을 입력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총 40개의 한글 자모가 각각 어느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지, 몇 번을 눌렀을 때 원하는 한글 자모가 입력되는지, 특정 한글 자모를 입력하는 버튼을 누른 후 특수한 기능을 가진 버튼(예컨데, 확정버튼 또는 가획버튼 등)을 몇 번째 눌렀을 때 원하는 한글 자모가 입력되는지를 모두 외우고 있어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자음 [ㄱ]에 해당하는 버튼을 한 번 누르면 [ㄱ]이 입력되고, 연속하여 두 번을 누르면 [ㄲ]이 입력되고, 연속하여 세 번을 누르면 [ㅋ]이 입력되도록 한글 문자 입력 방법을 구성한 경우,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방법을 외우고 있어야 할 뿐 아니라 버튼을 잘못 눌러 수정해야 할 결우 그 수정 방법도 외우고 있어야 하는 등 입력방법을 익히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In general, unlike a computer keyboard, mobile phone terminals do not have many buttons on the keypad. Therefore, in order to input Korean characters with limited input buttons of about 10, the same button may be pressed several times or a combination of several buttons may be used to create a consonant or You have no choice but to construct a collection. In this case, the user who wants to input Korean characters is assigned to each button with a total of 40 Korean alphabet letters, how many times the desired Korean alphabet letters are input, and a button having a special function after pressing a button for inputting a specific Korean alphabet letter. When you press the number of times (for example, confirm button or capture button), you need to memorize all the Hangul alphabets you want to use. In other words, if you press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a] once, [a] is input. If you press twice in succession, [ㄲ] is input. If you press three times in succession, [ㅋ] is input. In the case of configuring the user, the user should not only memorize such an input method but also have to memorize the correct method by pressing the wrong button.
예를 들어, LG 싸이언(제품명)에 사용되고 있는 방식으로서, [ㅃ]을 입력하기 위해 [ㅁ,ㅁ]을 입력하거나 [ㅉ]을 입력하기 위해 [ㅅ,ㅅ,ㅅ]을 입력하고, 모음의 경우에는 [ㅝ]를 입력하기 위해 [ㅜ,ㅏ]를 입력하는 방식(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0-0049346)의 경우, 일반적인 문법규칙에서 벗어나 있고 논리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혼란을 겪게 될 것이며 손쉽게 익히기 힘들게 된다.For example, as the method used in LG Cyon (product name), enter [ㅁ, ㅁ] to input [ㅃ] or [ㅅ, ㅅ, ㅅ] to input [ㅉ], In the case of inputting [TT, ㅏ] to input [ㅝ]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0049346), the user will be confused because it is out of general grammar rules and lacks logic. It is difficult to learn easily.
또한, 삼성 애니콜(제품명)에서 소위 '천지인 방식'이라 불리우며 사용되고 있는 방식(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176533-0000)은 한 버튼 위에 서로 연관성이 약한 문자를 복수로 배치하여 사용자가 문자연상을 하기 힘든 방식으로서, [ㄹ]을 입력하기 위해 [ㄴ,ㄴ]을 입력하고 [ㅎ]을 입력하기 위해 [ㅅ,ㅅ]을 입력해야 하는 비논리성이 있으며, 이때 첫글자의 받침과 둘째글자의 첫음소가 겹치게 되므로 예컨데, [논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놀ㅗ]로 입력되는 등로 오타발생율이 증가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확정키(예컨데, [→])를 누르거나 2초정도의 시간차를 두게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Samsung Anycall (product name), the so-called 'Cheonjiin method' is being use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176533-0000) puts a plurality of weakly related characters on one button, so that the user can recall As a difficult way to do this, there is a illogical situation where you have to enter [b, b] to enter [ㄹ] and [ㅅ, ㅅ] to enter [ㅎ], where the first letter is followed by the second letter. Since the first phonemes overlap, for example, if you want to enter [non-no], the rate of error is increased due to the input of [nole]. To prevent this, press the enter key (for example, [→]) or press for about 2 seconds. There is inconvenience such as time difference.
또한, 현대 걸리버(제품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식(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0-0050253)은 위에서 설명한 '천지인 방식'과 유사한 한편, 한 음절이 끝날 때마다 별도의 버튼을 누르도록 하고 있는데, 사용자로서는 이러한 부수적인 동작이 무척 번거로우며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In addition, while the method used in Hyundai Gulliver (product nam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0050253) is similar to the 'Cheonjiin method' described above, the user has to press a separate button at the end of each syllable. Ancillary movements are very cumbersome and inevitable.
이와 같이, 위의 문자 입력 방법은 비교적 효율적이라고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 버튼에 할당된 음소 간에 문법적 연관성이 결여되어 있거나, 비문법적 조합이 발생하거나, 시간차를 두거나 확정버튼 등을 누르게 함으로써 신속,편리한 입력방식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above character input method is known to be relatively efficient, it is quick and convenient by lacking grammatical linkage between the phonemes assigned to the same button, by non-legal combination, by time difference, or by pressing a confirmation button. There is a problem against the input method.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글 입력 방법을 한글 자음에 해당하는 버튼 5개와 한글 모음에 해당하는 버튼 1개 및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 버튼 4개를 조합하는 방법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원리를 영문, 일문 입력에도 적용함으로써, 초보자가 별도의 암기없이 논리적 연상으로 쉽고 빠른 속도로 문자를 휴대폰 단말기 등에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ethod of combining the Korean input method with five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Hangul consonant, on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Hangul vowel and four arrow buttons indicating the direction. By applying this principle to English and Japanese inpu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a beginner to input text into a mobile phone terminal easily and quickly in a logical association without additional memoriz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문자 입력에 사용되는 각 버튼 및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each button and display used for character input to expla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문자가 입력 또는 수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or modify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버튼의 눌려진 순서에 따라 나타나는 한글 기본문자 및 확장문자를 분류한 표,3 is a table classifying Korean basic characters and extended characters that appear according to the pressed order of buttons;
도 4은 버튼의 눌려진 순서에 따라 나타나는 영문 기본문자 및 확장문자를 분류한 표 및 각 화살표 방향에 따른 알파벳 문자의 배치도,FIG. 4 is a table illustrating classification of basic English letters and extended letters appearing according to the pressed order of buttons, and a layout view of alphabet letters according to each arrow direction.
도 5는 버튼의 눌려진 순서에 따라 나타나는 일문 기본문자 및 확장문자를 분류한 표 및 각 화살표 방향에 따른 일어 문자의 배치도,FIG. 5 is a table listing Japanese basic characters and extended characters appearing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buttons are pressed, and a layout diagram of Japanese characters according to each arrow direction.
도 6는 문자 입력의 실시예 및 각 화살표 방향에 따라 미리 표시된 문자에 따라 문자를 수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haracter input and an example of correcting a character according to a character previously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each arrow direction;
도 7는 버튼이 눌려지는 순서에 따라 문자가 수정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7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how characters are modified in the order in which the buttons are pressed.
<도면 부호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Drawing>
11...휴대폰 단말기, 12...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3...안내 표시부,11 mobile phone terminal, 12 liquid crystal display unit, 13 information display,
14...화살표 버튼, 15...키패드14 ... arrow buttons, 15 ... keypa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입력 방법에서는, 한글 자음을 형태가 유사한 것끼리 묶고 대표적인 자음 5개를 선정하고 이를 대표적인 모음 1개와 함께 기본문자로 구성하며, 기본문자를 입력한 후 화살표 버튼을 누름에 따라 기본문자와 형태적,발성적 상관관계에 있는 확장문자로 변환하게 하여 초보자가 별도의 암기없이 논리적 연상으로 휴대폰 단말기 등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ngeul consonants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typographical consonants and select five representative consonants and one representative vowel composed of basic characters, input the basic characters After the arrow button is pressed, the character is converted into an extended character having a morphological and vocal correlation with the basic character so that a beginner can input a character to a mobile phone terminal in a logical association without additional memoriz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휴대폰 단말기에 부착된 키패드 및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keypad and a display attached to a mobile phone terminal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입력 방법은 10개 내외의 소수의 버튼을 가진 휴대폰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캠코더, 손목시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텔레비젼 등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으로, 도 1은 그 일례로서 휴대폰 단말기에 부착된 키패드의 일부 버튼에 기본문자를 할당한 예를 나타낸다. 기본문자란 여러 음소 중에서 형태적, 발성적으로 기초가 되는 문자로서 자음 중에서는 예컨데, [ㄱ,ㄴ,ㅁ,ㅅ] 등을 설정할 수 있고, 모음 중에서는 [ㅡ] 또는 [ㅣ]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keypad, such as a mobile phone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camcorder, a wristwatch, a television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a few buttons of about 10, As an example, a basic character is assigned to some buttons of a keypad attached to a mobile phone terminal. A basic character is a character that is morphologically and vocally based among various phonemes. For example, [a, b, ㅁ, ㅅ] can be set among consonants, and [ㅡ] or [ㅣ] can be set among vowels. There will be.
도 1의 휴대폰 단말기(10)의 경우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는 키패드(40)의 숫자 1,2,4,5,7,8에 각각 할당된 기본문자와 4개의 화살표버튼(40)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왼쪽 검지손가락으로 6개의 기본문자를 입력하고 오른쪽 검지손가락으로 4개의 화살표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기본문자를 확장문자로 변환하도록 함이 일반적인 컴퓨터자판에 익숙한 한국인이 쉽게 키패드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각 버튼에 해당하는 기본문자를 별도로 할당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As in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10 of FIG. 1, for example, the user may have four basic characters and four arrow buttons 40 assigned to the numbers 1,2,4,5,7,8 of the keypad 40, respectively. You can enter characters using. At this time, the user inputs 6 basic characters with the left index finger and 4 arrow buttons with the right index finger to convert the basic characters into extended characters, so Koreans who are familiar with general computer keyboards can easily access the keypad.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be able to separately assign a default character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문자가 입력 또는 수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or modify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 2의 흐름도와 같이, 문자입력상태(S20)에서, 형태적, 발성적 기초가 되는 음소로서의 기본문자가 설정되어 있는 버튼을 누름에 의해 기본문자를 입력받으면 그 입력받은 기본문자의 확장문자를 미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단계(S21)와, 화살표 버튼을 누름(S22)에 의해 상기 입력된 기본문자를 확장문자로 변환하는 단계(S23)와, 변환된 확장문자의 기본문자 또는 변환된 확장문자의 다른 확장문자를 미리 각각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S23)와, 눌렸던 화살표 버튼의 반대방향의 화살표 버튼이 눌리면(S24) 변환된 확장문자를 원래의 기본문자로 귀환시키고, 다른 방향의 화살표 버튼이 눌리면(S24) 위의 귀환된 기본문자 또는 이미 변환된 확장문자를 다른 확장문자로 수정하여 변환시키는 단계(S25)를 거쳐 후속의 문자를 입력 받는 상태(S26)로 넘어가는 과정으로 구성된 문자 입력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low chart of Figure 2, in the character input state (S20), if the basic character is input by pressing a button that is set as a basic character as a phoneme, which is a morphological and vocalization base of the received basic character Displaying the extended characters in advance visually (S21), and by pressing the arrow button (S22) to convert the input basic characters to the extended characters (S23), and converted or converted basic characters of the extended characters A step of visually displaying the other extended characters of the extended characters through the display means in advanc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each arrow (S23), and when the arrow butt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essed arrow button is pressed (S24), the converted extended characters are used as the original basic characters. Return to the character, when the arrow button in the other direction is pressed (S24) to modify the converted basic character or the already converted expansion character to another expansion character (S25) Character input method consisting of the process of passing to the state that receives the subsequent character input (S26).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으로 구성된 문자 입력 방법의 경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Character input method consisting of Korean consonants and Korean vowels is composed as follows.
한글 자음(子音)을 형태가 유사한 것끼리 묶고 대표적인 자음 5개를 기본문자로 정하고 화살표 버튼을 누름에 의해 원하는 다른 자음을 입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각 음소의 형태적, 발성적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ㄱ]과 유사한 그룹, [ㄴ]과 유사한 그룹, [ㅁ]과 유사한 그룹, [ㅅ]과 유사한 그룹, [ㅇ]과 유사한 그룹으로 분류하고 이를 기본적인 한글 자음의 형태로 5개의 버튼에 할당하고, 화살표 버튼을 이용해 다른 확장문자로 변환할 수 있다. 기본문자를 입력한 후에 같은 그룹 내의 다른 확장문자로 변환되는 확장문자를 정하는데 있어서도, 화살표의 방향 및 상호 형태적, 발성적 상관관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한글 자음의 형태에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무엇인가 덧붙여지면 어떤 한글 자음이 될 것인지 누구나 쉽게 상상할 수 있도록 정해야 할 것이다. 즉, 자음 [ㄱ]에 해당하는 버튼을 한번 누르면 [ㄱ]이 입력되고, [ㄱ]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위쪽 화살표[↑]를 누르면 [ㅋ]이 입력되고, [ㄱ]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오른쪽 화살표[→]를 누르면 [ㄲ]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화살표의 방향 및 상호 형태적, 발성적 상관관계를 고려하는 방식에 의해, 사용자는 기본적인 형태의 한글 자음을 입력하는 버튼 5개의 위치만 파악하고 있으면 손쉽게 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Hangeul consonants (子音) should be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a consonant, set the five representative consonants as the basic character and press the arrow button to enter the other consonants desired. For example, considering the morphological and vocal correlations of each phoneme, groups similar to [a], groups similar to [b], groups similar to [ㅁ], groups similar to [ㅅ], and similar to [ㅇ] You can classify them into groups and assign them to five buttons in the form of basic Korean consonants, and use the arrow buttons to convert them to other extended characters. It is also desirable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the arrows and the morphological and vocal correlations of the arrows in determining the extended characters that are converted to other extended characters in the same group after entering the basic characters. For example, if something is add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in the form of a basic Hangul consonant, it should be decided so that anyone can easily imagine what Hangul consonant will be. In other words, if you press the button corresponding to consonant [a] once, [a] is entered. If you press the button corresponding to [a] and press the up arrow [↑], [ㅋ] is entered, and [a] corresponds to If you press the right arrow [→] after pressing a button, it can be configured to become [ㄲ]. In this way, by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the mutual morphological and vocal correlations, the user has a basic consonant If you only know the location of the five buttons you enter, you can easily enter consonants.
한글 모음(母音)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모음의 형태를 화살표 방향과 유사한 점을 착안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1개의 기본적인 모음버튼과 화살표 버튼을 조합하여 구성한다. 이 경우, 1개의 기본모음은 [ㅡ] 또는 [ㅣ]로 설정할 수 있으며, 모음버튼을 누른 후 오른쪽 화살표 [→]를 누르면 [ㅏ]가 되고, 모음버튼을 누른 후 왼쪽 화살표 [←]를 누르면 [ㅓ]가 되도록 할 수 있다.Even in the case of Korean vowels, one basic vowel button and an arrow button are combined so that the user can enter the vowel form with a similar point to the arrow direction. In this case, one basic vowel can be set to [ㅡ] or [ㅣ]. After pressing the vowel button, press the right arrow [→] to become [ㅏ], and press the vowel button and then press the left arrow [←]. [ㅓ] can be made.
도 3는 기본문자 6개와 화살표 버튼과의 조합에 따른 표를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키패드 중 6개의 숫자키에 기본문자로서 [ㄱ, ㄴ, ㅁ, ㅅ, ㅇ,ㅡ]을 설정하고, 화살표 버튼을 누름에 의해 상기 입력된 기본문자를 확장문자로 변환하는 단계로서, 기본문자 [ㄱ]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형태적,발성적 상관관계에 있는 [ㄲ, ㅋ, ㄹ]이고, 기본문자 [ㄴ]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형태적,발성적 상관관계에 있는 [ㄷ, ㄸ, ㅌ]이고, 기본문자 [ㅁ]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형태적,발성적 상관관계에 있는 [ㅂ, ㅃ, ㅍ]이고, 기본문자 [ㅅ]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형태적,발성적 상관관계에 있는 [ㅈ, ㅉ, ㅊ, ㅆ]이고, 기본문자 [ㅇ]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형태적,발성적 상관관계에 있는 [ㅎ]이고, 기본문자 [ㅡ]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ㅣ, ㅢ,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로 하여 입력 방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기본문자 [ㄱ]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ㄲ, ㅋ, ㄹ]는 각각 [ㄱ→,ㄱ↑,ㄱ↓]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ㄴ]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ㄷ, ㄸ, ㅌ]는 각각 [ㄴ↑,ㄷ↑→,ㄷ↑↑]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ㅁ]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ㅂ, ㅃ, ㅍ]는 각각 [ㅁ↑,ㅁ↑→,ㅁ→]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ㅅ]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ㅈ, ㅉ, ㅊ, ㅆ]은 각각 [ㅅ↑,ㅅ↑→,ㅅ↑↑,ㅅ→]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ㅇ]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ㅎ]은 [ㅇ↑]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ㅡ]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ㅣ, ㅢ,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는 각각 [ㅡ→, ㅡ→→, ㅡ←, ㅡ←←, ㅡ↑ , ㅡ↑↑ , ㅡ↓ , ㅡ↓↓, ㅡㅡ , ㅡㅡㅡ, ㅡ→ㅡ, ㅡ→→ㅡ, ㅡ←ㅡ, ㅡ←←ㅡ, ㅡ↑→, ㅡ↑→ㅡ, ㅡ↑ㅡ , ㅡ↓←, ㅡ↓←ㅡ, ㅡ↓ㅡ]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도록 하는 것이 초보자가 한글 문자의 형태 및 발성으로부터 착안하여 입력하는 데 유리할 것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six basic characters and an arrow button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3, [a, b, ㅁ, ㅅ, ㅇ, ㅡ] are set as basic characters on six numeric keys of the keypad, and the inputted basic characters are converted into extended characters by pressing an arrow button. As a step, the extended characters converted by press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character [a] and then the arrow button are [ㄲ, ㅋ, ㄹ] in morphological and vocal correlations, and correspond to the basic character [b]. After the button is pressed, the extended characters converted by pressing the arrow button are [ㄷ, ㄸ, ㅌ] in morphological and vocal correlations, and the expanded characters are converted by pressing the arrow button after press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character [ㅁ]. Characters are [ㅂ, ㅃ,]] in morphological and vocal correlations, and the extended characters converted by pressing the arrow button after press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character [ㅅ] are morphological and vocal correlations. [ㅈ, ㅉ, ㅊ, ㅆ], and by default character [ㅇ] The extended characters that are converted by pressing the arrow button after pressing the corresponding button are [ㅎ] in morphological and vocal correlations, and the expanded characters that are converted by press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character [ㅡ] and then pressing the arrow button are [ 입력,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ㅣ, ㅢ,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At this time, the extended characters [ㄲ, ㅋ, ㄹ] converted from the base character [ㄱ] are converted by pressing [ㄱ →, ㄱ ↑, ㄱ ↓], respectively. ㄸ, ㅌ] are converted by pressing [B ↑, ↑↑ →, ↑↑] respectively, and the extended characters [ㅂ, ㅃ, ッ] converted from the base character [ㅁ] are respectively [ㅁ ↑, ㅁ ↑ →, ㅁ →], and the extended characters [ㅈ, ㅉ, ㅊ, ㅆ] converted from the base character [ㅅ] by pressing [ㅅ ↑, ㅅ ↑ →, ㅅ ↑↑, ㅅ →] respectively. Convert by The extended character [ㅎ] converted from the base character [ㅇ] is converted by pressing [ㅇ ↑], and the extended characters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ㅣ, ㅢ,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are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 ㅡ ↓, ㅡ ↓↓, ㅡ ㅡ, ㅡ ㅡ ㅡ, ㅡ → ㅡ, ㅡ →→ ㅡ, ㅡ ← ㅡ, ㅡ ←← ㅡ, ㅡ ↑ →, ㅡ ↑ → ㅡ, ㅡ ↑ ㅡ, ㅡ ↓ ← It will be advantageous for beginners to input from the form and utterance of Hangul characters, by converting by pressing, ㅡ ↓ ← ㅡ, ㅡ ↓ ㅡ].
한편, 기본문자의 확장문자를 미리 표시하는 단계 및 확장문자의 기본문자 또는 다른 확장문자를 미리 표시하는 단계로서 예를 들어, 변환되는 확장문자를 각각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휴대폰 단말기 등에 부착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2)에 안내 표시부(13)를 두어 각 화살표 방향에 따라 그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표시될 문자를 미리 표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며, 시작적 표시외에 시각장애자를 위해 청적적으로 안내하는 방법도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a step of displaying the extended characters of the base character in advance and a step of displaying the base characters or other extended characters of the extended character in advance, for example, the liquid crystal display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the converted extended characters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guide display unit 13 in the device 12 and to display the characters to be displayed in advance by pressing the arrow button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each arrow. You can do it.
예를 들어, 도 6(a)의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일부에는 안내 표시부(13)가 있어서, 사용자가 [ㄴ]을 입력하였을 때 안내 표시부(13)의 윗쪽 화살표 [↑]에 [ㄷ]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안내 표시부를 참조로 하여 윗쪽 화살표[↑]를 누름으로써 [ㄷ]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때 도 6(b)의 안내 표시부(13)에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화살표 방향에 대응하여 [ㅌ, ㄸ, ㄴ]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ㄸ]으로 변환된다(도 6(c)). 이때 안내표시부(13)에서 왼쪽 화살표[←]에 [ㄷ]이 표시되는데, 만약 사용자가 왼쪽 화살표[←]를 누르면 다시 [ㄴ]으로 귀환하게 될 것이다. [ㄸ]상태에서 사용자가 모음버튼[ㅡ] 또는 [ㅣ]를 누르면 [뜨] 또는 [띠]로 변환되고, 안내표시부(13)에는 각 화살표 방향에 대응하는 확장모음이 표시된다(도 6(d)). 도 6(e)와 같이 사용자가 오른쪽 화살표[→]를 누르면 [따]가 될 것이다.For example,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12 of FIG. 6 (a) has a guide display unit 13 so that when the user inputs [b], [c] is displayed on the up arrow [↑] of the guide display unit 13. Since it is displayed, the user can convert to [C] by pressing the up arrow [↑] with reference to the guide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guide display unit 13 of FIG. Correspondingly [ㅌ, ㄸ,]] is displayed. When the user presses the right button [→], it is converted to [ㄸ] (Fig. 6 (c)). At this time, [C] is displayed on the left arrow [←] in the guide display unit 13, and if the user presses the left arrow [←], the user will return back to [B]. In the [ㄸ]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vowel button [ㅡ] or [ㅣ], it is converted to [float] or [strap], and the guide display unit 13 displays an expanded collection corresponding to each arrow direction (FIG. 6 ( d)). As shown in FIG. 6 (e), when the user presses the right arrow [→], it will become [ta].
도 7은 잘못 입력된 문자에 대한 수정방법의 일례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7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a correction method for an incorrectly input character.
사용자가 각 한글 문자에 해당하는 버튼을 입력하다가 실수로 화살표 버튼을 잘못 누른 경우에는 화살표의 특성에 착안하여, 수정 및 재입력을 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된 확장문자를 다른 문자로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안내 표시부(13)에 있는 각 화살표 방향에 따라에 표시된 문자를 참고하여, 눌렸던 화살표 버튼의 반대방향의 화살표 버튼을 누름으로써 원래의 기본문자 또는 확장문자로 다시 돌아갈 수 있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각 화살표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문자를 참고하여 안내 표시부(13)에 표시된 다른 화살표 버튼을 추가적으로 누르면 다시 다른 확장문자로도 변환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ㄲ]을 입력하고자 하는 자가 [ㄱ, ↑]을 입력함으로써 [ㅋ]으로 된 경우 [↓, →]을 입력함으로써 [ㄲ]으로 수정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s a button corresponding to each Hangul character and accidentally presses the arrow button by mistake, the user can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row to correct and re-enter it. For example, when the converted extended character is to be modified into another character, the arrow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essed arrow button is referred to by the letter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each arrow direction in the guide display unit 13 of the display device 12. By pressing the button,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original basic character or extended character again, and in this state, referring to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each arrow, additionally pressing another arrow button displayed on the guide display portion 13 again causes another expansion. You can also convert it to a character. For example, if a person who wants to input [ㄲ] becomes [ㅋ] by inputting [ㄱ, ↑], it can modify to [ㄲ] by inputting [↓, →].
한편, 위와 같은 원리는 키패드를 통해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뿐 아니라 영문을 입력하는 방법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a)는 영문 자음 및 영문 모음으로 구성된 표이고, 도 4(b)는 영문자의 기본문자 및 각 기본문자에 대해 화살표 방향에 따라 대응하는 확장문자를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the same principle can be applied to the method of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as well as the method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through the keypad. Figure 4 (a) is a table consisting of English consonants and English vowels, Figure 4 (b) is a view showing the basic characters of the alphabet and the corresponding extended character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for each basic character.
도 4(a)의 표를 참조로 하면, 상기 키패드 중 6개의 숫자키에는 기본문자로서 [A, F, K, P, U, Z]가 각각 하나씩 배정되어 있고, 화살표 버튼을 누름에 의해 입력된 기본문자를 확장문자로 변환하는 단계에 있어서, 기본문자 [A]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각각 [B, C, D, E]이고, 기본문자 [F]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G, H, I, J]이고, 기본문자 [K]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L, M, N, O]이고, 기본문자 [P]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Q, R, S, T]이고, 기본문자 [U]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V, W, X, Y]로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table of FIG. 4 (a), [A, F, K, P, U, Z] are assigned to each of the six numeric keys of the keypad as basic characters, and input by pressing an arrow button. In the step of converting the converted basic characters into extended characters, the extended characters converted by press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characters [A] and then the arrow buttons are respectively [B, C, D, E], and the basic characters [F ] Is converted from [G, H, I, J], and is converted from base character [K] is [L, M, N, O], and is converted from base character [P] Is [Q, R, S, T], and the extended characters converted from the basic character [U] can be composed of [V, W, X, Y].
이때, 각각의 기본문자와 화살표 버튼과의 조합으로 변환되는 구체적인 순서의 일례로서, 기본문자 [A]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B, C, D, E]는 각각 [A→,A←,A↑,A↓]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F]로부터 [G, H, I, J]는 각각 [F→,F←,F↑,F↓]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K]로부터 [L, M, N, O]는 각각 [K→,K←,K↑,K↓]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P]로부터 [Q, R, S, T]는 각각 [P→,P←,P↑,P↓]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U]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V, W, X, Y]는 각각 [U→,U←,U↑,U↓]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다른 순서로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소문자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f, g, h)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ab]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a,a,→]의 순서대로 입력하면 되고, 도 6(h)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aa]로 다시 되돌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안내 표시부(13)에 안내된 바를 참조하여 [←]를 누름으로써 수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an example of a specific sequence converted to the combination of each basic character and the arrow button, the extended characters [B, C, D, E] converted from the basic character [A] are respectively [A →, A ←, A] ↑, A ↓] to convert, and the base characters [F] to [G, H, I, J] are converted by pressing [F →, F ←, F ↑, F ↓] respectively, and The letters [K] to [L, M, N, O] are converted by pressing [K →, K ←, K ↑, K ↓], respectively, and the basic characters [P] to [Q, R, S, T]. ] Are converted by pressing [P →, P ←, P ↑, P ↓] respectively, and the extended characters [V, W, X, Y] converted from the base character [U] are respectively [U →, U ← , U ↑, U ↓] can be configured to be converted by pressing, can be configured in a different order, as well as can be applied in the case of lowercase. As shown in FIG. 6 (f, g, h),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ab], the user may input in the order of [a, a, →], and in the state shown in FIG. aa] can be corrected by pressing [←] with reference to the bar guided by the guide display unit 13.
또 한편, 위와 같은 원리는 키패드를 통해 일문을 입력하는 방법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히라가나(ひちがな)로 구성된 표이며, 키패드 중 10개의 숫자키에는 기본문자로서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가 각각 하나씩 배정되어 있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화살표 버튼을 누름에 의해 입력된 기본문자를 확장문자로 변환하는 단계에 있어서, 기본문자 [あ]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い, う, え, お, ぁ, ぃ, ぅ, ぇ, ぉ]이고, 기본문자 [か]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き, く, け, こ, が, ぎ, ぐ, げ, ご]이고, 기본문자 [さ]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し, す, せ, そ, ざ, じ, ず, ぜ, ぞ]이고, 기본문자 [た]에 해당하는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ち, つ, て, と, だ, ぢ, づ, で, ど, っ]이고, 기본문자 [な]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に, ぬ, ね, の]이고, 기본문자 [は]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ひ, ふ, へ, ほ, ば, び, ぶ, べ, ぼ, ぱ, ぴ, ぷ, ぺ, ぽ]이고, 기본문자 [ま]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み, む, め, も]이고, 기본문자 [や]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ゆ, よ, ゃ, ゅ, ょ]이고, [ら]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り, る, れ, ろ]이고, 기본문자 [わ]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변환되는 확장문자는 [を, ゎ, 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On the other hand, the same principle can be applied to the method of inputting the Japanese sentence through the keypad. FIG. 5 is a table composed of hiragana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0 numeric keys on the keypad are basic characters as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 Is assigned to each one. Referring to Figure 5, in the step of converting the basic characters input by pressing the arrow button to the extended character, the extended characters converted by press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character [あ] after pressing the arrow button [い] , う, え, お, ぁ, ぃ, ぅ, ぇ, ぉ], and the extended characters that are converted by pressing the arrow button after press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character [か] are [き, く, け, こ, が]. , ぎ, ぐ, げ, ご], and the extended characters that are converted by press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character [さ] and then the arrow button are [し, す, せ, そ, ざ, じ, ず, ぜ, ぞ. ], The extended character that is converted by press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character [た] and then the arrow button is [ち, つ, て, と, だ, ぢ, づ, で, ど, っ], and the basic character [ After the button corresponding to な], the extended characters that are converted by pressing the arrow buttons are [に, ぬ, ね, の], and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character [は]. After pressing, the extended characters that are converted by pressing the arrow buttons are [ひ, ふ, へ, ほ, ば, び, ぶ, べ, ぼ, ぱ, ぴ, ぷ, ぺ, ぽ], and correspond to the basic character [ま]. After the button is pressed, the extended characters that are converted by pressing the arrow button are [み, む, め, も]. The extended characters that are converted by pressing the arrow button after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character [や] are [ゆ, よ, ゃ, ゅ, ょ], press the button corresponding to [ら], and press the arrow button to convert the expanded characters to [り, る, れ, ろ], and press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character [わ]. Character exten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ansion character is converted by pressing the arrow button after [を, ゎ, ん].
이때, 각각의 기본문자와 화살표 버튼과의 조합으로 변환되는 구체적인 순서의 일례로서, 기본문자 [あ]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い, う, え, お, ぁ, ぃ, ぅ, ぇ, ぉ]는 각각 [あ→, あ←, あ↑, あ↓, あ*, あ*→, あ*←, あ*↑, あ*↓]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か]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き, く, け, こ, が, ぎ, ぐ, げ, ご]는 각각 [か→, か←, か↑, か↓, か#, か#→, か#←, か#↑, か#↓]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さ]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し, す, せ, そ, ざ, じ, ず, ぜ, ぞ]는 각각 [さ→, さ←, さ↑, さ↓, さ#, さ#→, さ#←, さ#↑, さ#↓]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た]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ち, つ, て, と, だ, ぢ, づ, で, ど, っ]는 각각 [た→, た←, た↑, た↓ , た#, た#→,た#←,た#↑,た#↓ , た*]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な]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に, ぬ, ね, の]는 각각 [な→, な←, な↑, な↓]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は]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ひ, ふ, へ, ほ, ば, び, ぶ, べ, ぼ, ぱ, ぴ, ぷ, ぺ, ぽ]는 각각 [は→, は←, は↑, は↓ , は#, は#→, は#←, は#↑, は#↓ , はは, はは→, はは←, はは↑, はは↓]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ま]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み, む, め, も]는 각각 [ま→,ま←,ま↑,ま↓]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や]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ゆ, よ, ゃ, ゅ, ょ]는 각각 [や←, や↓, や*, や*←, や*↓]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ら]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り, る, れ, ろ]는 각각 [ら→, ら←, ら↑, ら↓]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고, 기본문자 [わ]으로부터 변환되는 확장문자 [を, ゎ, ん]는 각각 [わ↓, わ*, わ*↓]을 누름에 의해 변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다른 순서로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가타가나(カタカナ)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i, j, k)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あう]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ああ←]의 순서대로 입력하면 되고, 도 6(k)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ああ]로 다시 되돌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안내 표시부(13)에 안내된 바를 참조하여 [→]를 누름으로써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일문을 입력하는데 있어서는, 초보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휴대폰 단말기 등의 키패드의 화살표 버튼[→]에는 い, 화살표 버튼[←]에는 い, 화살표 버튼[↑]에는 い, 화살표 버튼[↓]를 표시해 놓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as an example of the specific sequence converted to the combination of each basic character and the arrow button, the extended characters converted from the basic character [あ] [い, う, え, お, ぁ, ぃ, ぅ, ぇ, ぉ] Are expanded by pressing [あ →, あ ←, あ ↑, あ ↓, あ *, あ * →, あ * ←, あ * ↑, あ * ↓], respectively, and are converted from the base character [か]. The letters [き, く, け, こ, が, ぎ, ぐ, げ, ご] are respectively [K →, ←, ↑, ↑, ↓, ##, ## →, ## ←, ## ↑,か # ↓] and the extended characters [し, す, せ, そ, ざ, じ, ず, ぜ, ぞ] converted from the base character [さ] are respectively [さ →, さ ←, さ]. ↑, さ ↓, さ #, さ # →, サ # ←, サ # ↑, さ # ↓] and converted from the base character [た] and expanded from the base character [た] [ち, つ, て, と,だ, ぢ, づ, で, ど, っ are [た →, た ←, ↑↑, た ↓, た #, た # →, た # ←, た # ↑, た # ↓, た *] respectively. By pressing And the extended characters [に, ぬ, ね, の] are converted by pressing [な →, な ←, な ↑, な ↓], respectively, and the base character [は] 확장,, へ, へ, ほ, び, ぶ, べ, ぼ, ぱ, ぴ, ぷ, ぺ, ぽ] converted from [H →,, ←, は, ↓] #, は # →, ← # ←, ## ↑, ## ↓, は, →→, ←, ← ↓, ↑, ↓, and ↓, converted from the base character [ま]. The extended characters [み, む, め, も] are converted by pressing [ま →, ま ←, ま ↑, ま ↓], respectively, and the extended characters [ゆ, よ,ゃ, ゅ, ょ] are converted by pressing [や ←, YA ↓, YA *, YA * ←, YA * ↓] respectively, and are expanded from the base character [ら] [り, る, れ,ろ] is expanded by pressing [ら →, ら ←, ら ↑, ら ↓] respectively and converted from the base character [わ] The characters [を, ゎ, ん] can be configured to be converted by pressing [わ ↓, わ *, わ * ↓] respectively, and can be configured in a different order, as well as in Katakana.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case. As shown in FIG. 6 (i, j, k),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あ う], the user inputs in the order of [あ あ ←], and the user enters [あ あ] in the state shown in FIG. 6 (k). In order to return back, it can be corrected by pressing [→] with reference to the bar guided by the guide display unit 13. In addition, when entering a Japanese text, an arrow button [→], an arrow button [←], an arrow button [↑], an arrow button [↑], an arrow button [↓], It may be desirable to mark it.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한글 문자 입력 방법을 위주로 하여 설명되었으나,본 발명이 한글 문자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한글, 영어, 일어 이외에 기타 국가의 언어 문자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method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Korean characters, and language characters of other countries other than Korean, English, and Japanese may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even if applied to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한글 자음에 해당하는 버튼 5개와 한글 모음에 해당하는 버튼 1개 및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 버튼 4개를 조합하는 방법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형태적,논리적 연상을 통해 쉽고 빠르게 문자를 휴대폰 단말기 등에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10개 정도의 적은 버튼만으로 입력이 가능하므로 버튼의 수가 적은 키패드를 가진 소형 휴대폰 단말기, PDA, 캠코더 등에 특히 적합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puts a morphological and logical association by combining a button corresponding to a Korean consonant, a button corresponding to a Korean consonant, a button corresponding to a Korean vowel, and four arrow buttons indicating a direction. It provides a way to easily and quickly enter text into a mobile phone terminal, and it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small mobile phones, PDAs, camcorders, etc., with a keypad having a small number of buttons, because only 10 buttons can be input.
사용자는 초보자라 하더라도 화살표 방향에 따라 앞으로 변환될 수 있는 문자를 보고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으므로 오타를 줄이고 쉽게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Even if the user is a beginner, the user can see the characters that can be conver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the user can input them, thereby reducing typos and easily modifying them.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5979A KR20010069805A (en) | 2001-05-12 | 2001-05-12 |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key-pa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5979A KR20010069805A (en) | 2001-05-12 | 2001-05-12 |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key-pa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69805A true KR20010069805A (en) | 2001-07-25 |
Family
ID=1970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5979A Abandoned KR20010069805A (en) | 2001-05-12 | 2001-05-12 |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key-pa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69805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2273A (en) * | 2001-11-22 | 2003-05-28 |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 Korean language input method of wireless phone |
WO2006073273A1 (en) * | 2005-01-05 | 2006-07-13 | Jaewoo Ah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through direction input unit |
KR100745684B1 (en) | 2005-01-05 | 2007-08-02 | (주)모비언스 |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pointing input means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3097A (en) * | 1997-08-28 | 1999-03-25 | 김영환 | Hangul input method of character display terminal |
KR20000007129A (en) * | 1999-11-29 | 2000-02-07 | 호은숙 | Input Method of the Korean Alphabet fo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Keyboard Layout thereof |
KR20000010379A (en) * | 1998-07-31 | 2000-02-15 | 강병호 | Character input device for telecommunication phone |
KR20000049397A (en) * | 2000-02-15 | 2000-08-05 | 정회선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Special Characters Using the Compact Korean Keypad |
KR20000059919A (en) * | 1999-03-10 | 2000-10-16 | 허진호 | Method for inputing letters korean character i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10048357A (en) * | 1999-11-26 | 2001-06-15 | 류정열 | Center adapter for fixing a sun visor |
KR20010104193A (en) * | 2000-05-12 | 2001-11-24 | 윤필규 | A display methode of text for basic form character |
KR20020011299A (en) * | 2000-08-01 | 2002-02-08 | 황재엽 | The character code generator for mobile phone |
KR100359512B1 (en) * | 2000-10-12 | 2002-11-04 | (주)아이소프트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communication terminal |
-
2001
- 2001-05-12 KR KR1020010025979A patent/KR20010069805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3097A (en) * | 1997-08-28 | 1999-03-25 | 김영환 | Hangul input method of character display terminal |
KR20000010379A (en) * | 1998-07-31 | 2000-02-15 | 강병호 | Character input device for telecommunication phone |
KR20000059919A (en) * | 1999-03-10 | 2000-10-16 | 허진호 | Method for inputing letters korean character i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10048357A (en) * | 1999-11-26 | 2001-06-15 | 류정열 | Center adapter for fixing a sun visor |
KR20000007129A (en) * | 1999-11-29 | 2000-02-07 | 호은숙 | Input Method of the Korean Alphabet fo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Keyboard Layout thereof |
KR20000049397A (en) * | 2000-02-15 | 2000-08-05 | 정회선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Special Characters Using the Compact Korean Keypad |
KR20010104193A (en) * | 2000-05-12 | 2001-11-24 | 윤필규 | A display methode of text for basic form character |
KR20020011299A (en) * | 2000-08-01 | 2002-02-08 | 황재엽 | The character code generator for mobile phone |
KR100359512B1 (en) * | 2000-10-12 | 2002-11-04 | (주)아이소프트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communication terminal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2273A (en) * | 2001-11-22 | 2003-05-28 |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 Korean language input method of wireless phone |
WO2006073273A1 (en) * | 2005-01-05 | 2006-07-13 | Jaewoo Ah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through direction input unit |
KR100745684B1 (en) | 2005-01-05 | 2007-08-02 | (주)모비언스 |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pointing input mean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5005627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 |
KR100750653B1 (en) | Mobile terminal with Korean input | |
KR20110083293A (en) | Character keypad | |
JP2007287158A (en) |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and its system | |
KR20000007129A (en) | Input Method of the Korean Alphabet fo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Keyboard Layout thereof | |
KR100599873B1 (en) | Multi-character input device using Hangul alphabet and its method | |
KR20010069805A (en) |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key-pad | |
KR100366806B1 (en) |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for mobile terminal using restricted umber of Keys | |
KR20010039239A (en) |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 |
KR100397509B1 (en) | Korean input device with telephone keyboard and its method | |
JP3110695B2 (en) | Key input device | |
KR100766717B1 (en) | A text inputting method | |
JP3267270B2 (en) | Key input device | |
JP2001075708A (en) | Key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 |
KR20210057900A (en) |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characters combining korean and latin | |
KR20020009204A (en) | The character code generator for mobile phone | |
KR20020012823A (en) |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 |
KR100738902B1 (en) |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 |
KR100373330B1 (en) |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100110072A (en) |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20030094158A (en) | Hangul Hanson PlusKey Pad | |
JP2002116862A (en) | System for inputting ring-shaped character and system for selecting function | |
KR100927167B1 (en) | Universal pronunciation input device using 10 Hangul basic consonants | |
JP4500353B2 (en) | Character input device | |
KR100764113B1 (en) | Character inpu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24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