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702A - Dram-셀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Dram-셀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51702A KR20010051702A KR1020000067714A KR20000067714A KR20010051702A KR 20010051702 A KR20010051702 A KR 20010051702A KR 1020000067714 A KR1020000067714 A KR 1020000067714A KR 20000067714 A KR20000067714 A KR 20000067714A KR 20010051702 A KR20010051702 A KR 200100517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ess
- memory cell
- transistor
- substrate
- adjac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19 dop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07 epitax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1 mono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8—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being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 H10B12/0385—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ransistor and the capacitor, e.g. buried strap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5—Making the transistor
- H10B12/053—Making the transistor the transistor being at least partially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5—Bit lin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메모리 셀이 각각 하나의 커패시터와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커패시터의 메모리 노드(SK)가 기판(1)의 제 1 리세스(V1)내에 배치된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 2 리세스(V2)내에서 제 1 리세스(V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 2 리세스(V2)의 제 1 측면에 배치된다. 트랜지스터의 상부 소스-/드레인- 영역(S/DO)은 메모리 노드(SK)와 제 2 리세스(V2)에 인접한다.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 영역(S/DU)은 기판(1)내에서 상부 소스-/드레인- 영역(S/DO)보다 깊고, 제 2 리세스(V2)에 인접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DRAM-셀 장치, 즉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셀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RAM-셀 장치의 메모리 셀로서 현재 거의 전적으로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소위 단일-트랜지스터-메모리 셀만이 사용되고 있다. 메모리 셀의 정보는 전하의 형태로 커패시터에 저장된다. 커패시터는 트랜지스터에 연결됨으로써, 워드 라인에 의한 상기 트랜지스터의 제어시 비트 라인에 의해 커패시터의 전하가 판독될 수 있다.
상기 DRAM-셀 장치는 예컨대 EP 0 852 396 A2에 공지되어있다. 커패시터의 메모리 노드가 기판의 리세스의 하부 영역내에 배치된다. 상기 메모리 노드 위에는 게이트 유전체에 의해 절연된, 리세스 내 수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배치된다. 상기 메모리 노드는 커패시터 유전체에 의해 기판(1)으로부터 게이트 전극 영역내 리세스까지 분리된다. 상기 메모리 노드가 기판에 직접 인접하는 영역내에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이 배치된다. 상기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 위에는 트랜지스터의 상부 소스-/드레인-영역이 배치되며, 기판 표면과 리세스에 인접한다. 상기 상부 소스-/드레인-영역은 비트 라인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로 이루어진 또 다른 DRAM-셀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도핑된 층, 제 1 리세스, 커패시터 유전체 및 커패시터의 메모리 노드가 형성된 후의 기판의 횡단면;
도 2a는 절연 트렌치 및 절연 물질이 형성된 후의 도 1의 횡단면;
도 2b는 제 1 리세스 및 절연 물질이 도시된 기판의 평면도;
도 3a는 제 2 리세스, 보조 스페이서, 트랜지스터의 상·하부 소스-/드레인-영역이 형성된 후의 도 2의 횡단면;
도 3b는 제 1 리세스, 제 2 리세스 및 절연 물질이 도시된 도 2b의 평면도;
도 4a는 게이트 유전체, 워드 라인, 보호층, 스페이서, 중간 산화물, 비트 라인 콘택 및 비트 라인이 형성된 후의 도 3의 횡단면;
도 4b는 워드 라인, 비트 라인, 제 1 리세스, 제 2 리세스 및 비트 라인 콘택이 도시된 도 3b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은 정확한 척도로 도시되어있지 않다.
도면의 주요 부호 설명
1 : 기판 KD : 커패시터 유전체
V1 : 제 1 리세스 S/DO : 상부 소스-/드레인-영역
V2 : 제 2 리세스 S/DU : 하부 소스-/드레인-영역
SK : 메모리 노드 I : 절연 물질
K : 비트 라인 콘택 IG : 절연 트렌치
GD : 게이트 유전체 W : 워드 라인
M : 마스크 B : 비트 라인
상기 목적은 각각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로 이루어진 DRAM-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트랜지스터는 수직 트랜지스터로서 형성된다. 상기 커패시터의 메모리 노드가 기판의 제 1 리세스내에 배치된다. 커패시터 유전체가 제 1 리세스 내 및 메모리 노드와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메모리 노드는 적어도 제 1 리세스 측면의 콘택 영역내에서만 기판에 인접한다. 상기 제 1 리세스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 2 리세스가 제공된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 2 리세스내에서 적어도 상기 제 2 리세스의 측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제 1 측면에 인접하는 게이트 유전체에 의해 기판으로부터 분리된다. 트랜지스터의 상부 소스-/드레인-영역이 기판내에서 제 2 리세스에, 그리고 제 1 리세스 측면의 콘택 영역에서는 메모리 노드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하부 소스-/드레인-영역은 기판내에서 상부 소스-/드레인-영역보다 더 깊게 배치된다. 상기 하부 소스-/드레인-영역은 제 2 리세스에 인접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각각 하나의 커패시터 및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이 형성되는 DRAM-셀 장치의 제조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트랜지스터는 수직 트랜지스터로서 형성된다. 커패시터에 대해 기판 내에 제 1 리세스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리세스는 커패시터 유전체와 함께 제공된다. 커패시터의 메모리 노드가 제 1 리세스내에 형성된다. 상기 메모리 노드는 제 1 리세스 측면의 적어도 콘택 영역내에서만 기판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리세스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 2 리세스가 형성된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 2 리세스내에서 적어도 제 2 리세스의 제 1 측면에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제 1 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게이트 유전체에 의해 기판으로부터 분리된다. 트랜지스터의 상부 소스-/드레인-영역이 제 2 리세스에, 그리고 제 1 리세스 측면의 콘택 영역내에서는 메모리 노드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이 기판내에서 상부 소스-/드레인-영역보다 깊게 배치되도록, 그리고 제 2 리세스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메모리 노드가 상부 소스-/드레인 영역에 직접 접하는, 제 1 리세스 측면의 콘택 영역이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 영역보다 높게 위치한다.
커패시터(메모리 노드) 및 트랜지스터(게이트 전극)를 위해 서로 상이한 리세스가 제공되기 때문에 제 1 리세스의 형성을 위한 프로세스 단계에 의해 손상되지 않은 채로 유지된다. 이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유전체가 형성되는 면의 질이 일반적으로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면은 바람직하게는 트랜지스터가 더 나은 전기적 특성을 갖도록 매우 면밀하게 제조된다.
또한 2 개의 상이한 리세스의 제공은 게이트 유전체가 형성되는 면의 구조가 커패시터 유전체가 형성되는 면의 구조와 독립적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게이트 유전체가 형성되는 면은 바람직하게는 평면으로 제조됨에 따라 게이트 유전체가 균일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기판의 결정 격자와 관련하여 정해진 방향 설정을 갖게된다. 그와 반대로 커패시터 유전체가 형성되는 면은 상기 커패시터 유전체가 계자 외형(field distortion)으로 인해 누설 전류가 발생할 수 있는 에지를 갖지 않도록 만곡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뿐만 아니라 커패시터도 매우 좋은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 2 리세스의 제 1 측면이 바람직하게는 평면이다. 제 1 측면의 수평 횡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커패시터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제 1 리세스가 제 2 리세스보다 깊은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 전극이 워드 라인에 연결된다.
제 1 리세스에 인접하는 기판의 부분이 커패시터의 커패시터 전극으로서 작용한다.
예컨대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이 워드 라인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비트 라인에 연결된다. 대안으로는 커패시터 전극이 비트 라인에 연결된다.
게이트 전극을 통해 트랜지스터를 더 원활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부 소스-/드레인-영역이 제 2 리세스 측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리세스의 제 1 측면이 제 1 리세스의 맞은편을 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측면은 제 2 리세스의 나머지 측면과 비교해볼때 제 1 리세스에 대해 최대 간격을 갖는다. 예컨대 상부 소스-/드레인-영역이 제 2 리세스를 둘러쌈에 따라 상기 상부 소스-/드레인-영역은 제 1 리세스뿐만 아니라 제 2 리세스의 제 1 측면에도 인접할 수 있다.
DRAM-셀 장치의 기억 밀도의 증가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 2 리세스의 제 1 측면이 제 1 리세스를 향하고, 제 1 리세스의 측면이 제 2 리세스를 향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의 제어시 전류를 흐르게 하는,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이 제 1 리세스와 제 2 리세스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기억 밀도의 증가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부 소스-/드레인-영역도 제 1 리세스와 제 2 리세스 사이에 배치된다.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기 위해 상부 소스-/드레인-영역이 바람직하게는 제 1 리세스 및 제 2 리세스가 시작되는 기판의 표면에 인접한다. 이 경우 주입 또는 인시튜 도핑된 에피택시에 의해 상부 소스-/드레인-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주입은 제 1 리세스 및/또는 제 2 리세스가 형성되기 이전 또는 형성된 후에 실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상기 상부 소스-/드레인-영역이 기판 표면 하부에 배치된다.
하부 소스-/드레인-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리세스 하부에 배치되고 제 2 리세스의 바닥에 인접할 수 있다.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하부 소스-/드레인-영역의 대부분이 제 2 리세스 하부에 배치되고 제 2 리세스의 바닥에 인접한다. 이 경우 제 2 리세스가 형성된 후 하부 소스-/드레인-영역이 주입에 의해 자기 정렬 방식으로 제 2 리세스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소스-/드레인-영역은 제 2 리세스가 형성된 후 주입에 의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하부 소스-/드레인-영역이 기판내 매립된 도핑층으로부터 형성된다.
하부 소스-/드레인 영역은 기판내 매립된 비트 라인의 일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리세스내에 제 2 리세스의 바닥에 있는 하부 소스-/드레인-영역까지 이르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유전체에 의해 절연되는 비트 라인 콘택이 배치된다. 상기 비트 라인 콘택은 그 위에 배치된 비트 라인에 연결된다.
기억 밀도의 증가를 위해 메모리 노드가 바람직하게는 제 1 리세스 측면의 콘택 영역내에서만 기판에 인접한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 노드가 제 1 리세스의 또 다른 측면 영역내에서는 기판에 직접 접하지 않기 때문에, 인접한 메모리 노드로부터 메모리 셀까지의 간격이 좁으면서도 그 사이에 누설 전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각각의 메모리 셀이 고유의 제 1 리세스 및 제 2 리세스를 포함한다.
기억 밀도의 증가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각각 2 개의 셀이 하나의 제 2 리세스로 나뉜다. 상기 DRAM-셀 장치는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리세스가 제 1 메모리 셀 및 제 2 메모리 셀에 할당된다.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 2 리세스의 제 1 측면에 인접한다.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 2 리세스의 제 1 측면의 맞은편에 놓인 제 2 리세스의 제 2 측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제 2 리세스의 제 2 측면에 인접하는 게이트 유전체에 의해 기판으로부터 분리된다.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분리된다. 제 2 리세스가 제 1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와 제 2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은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과 일치한다.
상기 DRAM-셀 장치의 경우 비트 라인 콘택이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절연된다.
제 1 메모리 셀 내지는 제 2 메모리 셀과 그에 인접한 메모리 셀 사이의 누설 전류를 막기 위해서는 절연 물질로 채워진 절연 트렌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절연 트렌치는 제 2 리세스, 관련 측면의 콘택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의 적어도 일부 및 관련 측면의 콘택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의 적어도 일부를 측면으로 둘러싼다.
프로세스의 간소화를 위해 제 2 리세스가 바람직하게는 절연 트렌치의 일부에 및 절연 트렌치의 그 맞은편 일부에 인접한다. 이 경우 DRAM-셀 장치는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의 한 영역을 측면으로 둘러싸는, 절연 물질로 채워진 절연 트렌치가 형성된다. 제 2 리세스의 형성을 위해 기판 영역을 횡단하는 스트립을 덮지 않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기판이 절연 물질에 대해 선택적으로 비등방성 에칭된다. 제 2 리세스는 2 개의 단부에 의해 자기 정렬 방식으로 상기 절연 트렌치에 인접하며 기판 영역을 이등분한다. 이등분된 상기 두 부분은 제 2 리세스 및 절연 물질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제 1 메모리 셀 및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상부 소스-/드레인-영역이 자기 정렬 방식으로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서로 분리된 상부 소스-/드레인-영역의 형성을 위해서는 마스킹되지 않은 주입으로 충분하다.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절연 트렌치가 바람직하게는 기판내에서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보다 더 깊은 곳까지 이른다.
절연 트렌치는 메모리 노드의 절연 트렌치에 따라 제 1 리세스 측면의 콘택 영역내에서만 기판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절연 트렌치가 형성되기 전에 제 1 리세스가 먼저 형성된다. 커패시터 유전체가 기판의 표면 아래로 제 1 깊이까지 제 1 리세스의 바닥 및 에지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패시터 유전체가 형성된 후, 메모리 노드가 적어도 기판 표면까지 제 1 리세스를 채우도록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절연 트렌치가 메모리 노드내에서 제 1 깊이보다 깊은 곳까지 이르도록, 그리고 상기 메모리 노드가 제 1 리세스의 측면의 콘택 영역내에서만 기판에 인접하여 제 1 리세스에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대안으로는 상기 메모리 노드가 제 1 리세스의 다른 측면의 영역에서도 기판에 인접한다. 이 경우 DRAM-셀 장치는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메모리 셀 및 제 2 메모리 셀이 한 쌍을 구성한다. 상기 쌍과 유사하게 형성된 소수의 쌍들이 제공된다. 상기 쌍들이 열을 이룬다. 상기 열들을 따라 각각 하나의 비트 라인이 연장한다. 상기 쌍들은 일렬을 이루는 여러 쌍의 제 1 리세스 및 제 2 리세스가 상기 열을 따라 서로 인접 배치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열들에 대해 횡으로 워드 라인이 연장된다. 상기 워드 라인 중 서로 인접하는 워드 라인이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워드 라인들 및 쌍들은 상기 워드 라인이 각각 교대로 제 1 리세스를 덮은 다음 제 2 리세스에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들이 상기 워드 라인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따라 하기에 자세히 설명된다.
실시예에는 출발 물질로서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기판(1)이 제공되어있으며, 상기 기판(1)은 그 표면에 인접하는 p-도핑 층(P)을 포함한다. 상기 도핑층(P)은 약 2*1017cm-3의 도펀트 농도를 갖는다. 일반 기판(1)은 n-도핑되고 약 1019cm-3의 도펀트 농도를 갖는다.
질화 규소(도시되지 않음) 마스크를 사용한 에칭에 의해 기판(1)내에 약 6㎛ 깊이의 제 1 리세스(V1)가 형성된다(도 1 참조). 상기 제 1 리세스(V1)는 직경이 약 150 nm인 원형의 수평 횡단면을 갖는다. 제 1 리세스(V1)는 Y-축(Y)을 따라 연장되는 갭(간극)을 형성한다. Y-축(Y)은 기판(1)의 표면에 위치한다. 열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 1 리세스(V1) 사이의 간격은 약 450 nm이다. 서로에 대해 인접 배치된 간극들은 서로 교대로 변위되었다가 다시 변위되지 않게 배치됨으로써, 제 1 리세스(V1)가 X축(X)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행들을 형성한다. 상기 X-층(X)은 Y-축(Y)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기판(1)의 표면내에 위치한다. 한 행에서 서로 인접 배치된 제 1 리세스들(V1)은 약 150 nm의 간격 및 약 750 nm의 간격을 서로 교대로 갖는다(도 4b 참조).
질화 규소가 약 5 nm 두께로 증착됨으로써 커패시터 유전체(KD)의 제 1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부분은 제 1 리세스(V1)의 바닥과 측면을 덮는다. 이어서 인시튜 도핑된 폴리실리콘이 약 100 nm의 두께로 증착되고 질화 규소에 대해 선택적으로 약 1000 nm 더 에칭 백(etching back)된다. 질화 규소 마스크가 기판(1)을 보호한다.
이어서 상기 커패시터 유전체(KD)의 제 1 부분중 노출되는 부분이 예컨대 고온의 인산에 의해 제거된다.
커패시터 유전체(KD)의 제 2 부분을 형성시키기 위해 SiO2가 약 50 nm의 두께로 증착되어 폴리실리콘이 노출될 때까지 에칭 백된다. 이어서 인시튜 도핑된 폴리실리콘이 약 100 nm의 두께로 증착되어 기판(1)의 표면 아래로 제 1 깊이(T1)까지 에칭 백된다.
상기 커패시터 유전체(KD)의 제 1 부분 중 노출된 부분이 예컨대 NF3에 의해 제거된다.
이어서 인시튜 도핑된 추가 폴리실리콘이 약 100 nm의 두께로 증착되어 상기 질화 규소 마스크가 노출될 때까지 화학 기계적 폴리싱에 의해 평탄화된다(도 1 참조). 제1 리세스(V1) 내 폴리실리콘은 커패시터의 메모리 노드(SK)를 형성한다.
마스킹 에칭을 통해 약 600 nm 깊이의 절연 트렌치(IG)가 형성되며, 상기 절연 트렌치(IG)는 제 1 리세스(V1)에 중첩되어 메모리 노드(SK) 내로 이른다(도 2a 참조).
상기 절연 트렌치(IG)는 하나의 행을 따라 서로 인접하며 서로 약 750 nm의 간격을 갖는 제 1 리세스(V1) 중 각각 2 개 부분을 둘러싼다. 절연 트렌치(IG)들은 서로 연결되어있다. 상기 절연 트렌치(IG)에 따라 메모리 노드(SK)가 관련 제 1 리세스(V1)의 한 측면의 콘택 영역내에서만 기판(1)에 인접한다(도 2a 참조).
절연 물질(I)의 형성을 위해 SiO2가 약 150 nm의 두께로 증착되어 질화 규소 마스크가 노출될 때까지 화학적-기계적 폴리싱에 의해 평탄화된다. 상기 절연 물질(I)은 절연 트렌치(IG) 내에 배치된다(도 2a 및 2b 참조).
Y-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약 300 n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약 300 nm 폭의 스트립을 가지는, 스트립형 제 1 포토 레지스트 마스크(M)에 의해 기판(1)이 상기 절연 물질(I)에 대해 선택적으로 에칭됨에 따라, 하나의 행을 따라 서로 인접하며 서로 약 750 n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각각 2 개의 제 1 리세스(V1) 사이에 약 300 nm 깊이의 제 2 리세스(V2)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V2)는 절연 트렌치(IG)에 의해 측면이 둘러싸이는 영역을 동일한 크기의 두 부분으로 나눈다(도 3a 및 3b 참조).
제 1 마스크(M)가 제거된다.
보조 스페이서(HS)의 형성을 위해 질화 규소가 약 50 nm의 두께로 증착되어 기판(1)의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에칭 백된다.
이어서 n-도핑된 이온에 의한 주입이 실행됨에 따라 제 2 리세스(V2)와 제 1 리세스(V1) 사이에 트랜지스터의 상부 소스-/드레인-영역(S/DO)이 형성되고, 제 2 리세스(V2)의 바닥에는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이 형성된다(도 3a 참조). 이 때 상기 보조 스페이서가 제 2 리세스(V2)의 측면을 주입으로부터 보호한다. 상부 및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O, S/DU)의 두께는 약 50 nm 이며, 도펀트 농도는 약 1019cm-3이다.
예컨대 H3PO4에 의해 보조 스페이서(HS)가 제거된다.
열적 산화물에 의해 약 6 nm 두께의 게이트 유전체가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유전체는 제 2 리세스(V2)의 바닥과 측면 및 상부 소스-/드레인-영역(S/DO)를 덮는다(도 4a 참조).
이어서 폴리실리콘이 약 50 nm의 두께로 증착되고 화학적-기계적 폴리싱에 의해 평탄화된다. 그 위로 약 100 nm 두께로 WSi가 증착된 다음, 다시 그 위로 약 100 nm 두께의 질화 규소 보호층(SS)이 증착된다. Y-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폭이 약 150 nm인 스트립을 가지며, 제 1 리세스(V1)를 덮고 서로 약 150 n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스트립형 제 2 포토 레지스트 마스크(M)에 의해 제 2 리세스(V1)의 바닥에 게이트 유전체(GD)의 부분이 노출될 때까지 폴리실리콘, WSi 및 보호층(SS)이 에칭된다(도 4a 참조).
제 2 마스크가 제거된다.
폴리실리콘 및 WSi로부터 보호층(SS)으로 덮인 워드 라인(W)이 나타나고, 상기 워드 라인(W)은 제 2 리세스(V2)의 측면 영역에서 게이트 유전체로서 작용한다.
스페이서(SP)의 형성을 위해 질화 규소가 약 40 nm의 두께로 증착되고 제 2 리세스(V2)의 바닥에 게이트 유전체(GD)가 노출될 때까지 에칭 백된다(도 4a 참조). 워드 라인(W)이 보호층(SS) 및 스페이서(SP)에 의해 인케이싱(encasing)된다.
약 800 nm 두께의 중간 산화물(Z)의 형성을 위해 SiO2가 약 1500 nm 두께로 증착되고 화학적-기계적 폴리싱에 의해 평탄화된다. 마스킹된 에칭에 의해 제 2 리세스(V2)의 바닥쪽으로 콘택 홀이 개방되고, SiO2는 질화 규소에 대해 선택적으로 에칭된다. 이 때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이 노출된다(도 4a 참조).
Ti/TiN/W의 증착 및 중간 산화물(Z)이 노출될 때까지 실행되는 화학적-기계적 폴리싱에 의해 콘택 홀 내에 비트 라인 콘택(K)이 형성된다(도 4a 및 4b 참조).
비트 라인(B)의 형성을 위해 Al이 약 300 nm의 두께로 증착되고, 마스킹 에칭에 의해 비트 라인이 약 150 nm의 폭을 가지고 서로 약 150 nm의 간격을 두고 비트 라인 콘택(K)에 걸쳐서 배치되며 X-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조화된다(도 4a 및 4b 참조).
실시예에 공지된 방법을 통해 메모리 셀이 각각 하나의 트랜지스터 및 그에 연결된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DRAM-셀 장치가 형성된다. 각각 2 개의 메모리 셀이 한 쌍을 구성하고 절연 트렌치(IG) 중 하나에 의해 측면이 둘러싸인다. 한 쌍의 메모리의 트랜지스터가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을 나눈다.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과 상부 소스-/드레인-영역(S/DO) 사이에 배치된 도핑층(P)의 일부가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으로서 작용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예들이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공지된 층, 라인, 리세스, 트렌치, 콘택, 구조물 및 마스크의 설계가 각각의 요구 사항에 매칭될 수 있다. 재료의 선택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의해 각각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로 이루어진 또 다른 DRAM-셀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보증된다.
Claims (20)
- - 각각 하나의 커패시터 및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메모리셀을 포함하며,- 상기 트랜지스터가 수직 트랜지스터로서 형성되고,- 상기 커패시터의 메모리 노드(SK)가 기판(1)의 제 1 리세스(V1)내에 배치되며,- 커패시터 유전체(KD)가 상기 제 1 리세스(V1)내에 상기 메모리 노드(SK)와 기판(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메모리 노드(SK)가 적어도 제 1 리세스(V1)의 측면의 콘택 영역내에서 기판(1)에 인접하는 DRAM-셀 장치에 있어서,- 제 1 리세스(V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기판(1)의 제 2 리세스(2)가 제공되고,-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 2 리세스(V2)내에서 적어도 그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상기 제 1 측면에 인접하는 게이트 유전체(GD)에 의해 기판(1)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기판(1)내에 트랜지스터의 상부 소스-/드레인-영역(S/DO)이 제 2 리세스(V2)에, 및 제 1 리세스(V1) 측면의 콘택 영역내에서는 메모리 노드(SK)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기판(1)내에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이 상기 상부 소스-/드레인-영역(S/DO)보다 더 깊게 배치되고, 제 2 리세스(V2)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세스(V2)의 제 1 측면이 제 1 리세스(V1)를 향하고,- 제 1 리세스(V1)의 측면이 제 2 리세스(V2)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셀 장치.
-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소스-/드레인-영역(S/DO)은 제 1 리세스(V1) 및 제 2 리세스(V2)가 시작되는 기판(1)의 표면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셀 장치.
-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리세스(V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리세스(V2)의 바닥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셀 장치.
-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노드(SK)가 제 1 리세스(V1) 측면의 콘택 영역내에서만 기판(1)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셀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세스(V2)가 제 1 메모리 셀 및 제 2 메모리 셀에 할당되고,- 상기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 2 리세스(V2)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 2 리세스(V2)의 제 1 측면의 맞은편에 놓인 제 2 리세스(V2)의 제 2 측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제 2 리세스(V2)의 제 2 측면에 인접하는 게이트 유전체(GD)에 의해 기판(1)으로부터 분리되며,-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분리되고,- 제 1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V1)와 제 2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V1) 사이에 제 2 리세스(V2)가 배치되며,-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이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셀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사이 및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비트 라인 콘택(K)이 배치되고, 상기 비트 라인 콘택(K)이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까지 이르며,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셀 장치.
- 제 6항 또는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 물질(I)로 채워진 절연 트렌치(IG)가 제공되고, 상기 절연 트렌치(IG)는 제 2 리세스(V2)가 상기 절연 트렌치(IG)의 일부분 및 그의 맞은편 부분에 인접하도록, 제 2 리레스(V2), 제 1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V1)의 적어도 일부 및 제 2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V1)의 적어도 일부를 측면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셀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트렌치(IG)가 기판(1)내에서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보다 더 깊은 곳까지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셀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제 1 메모리 셀 및 제 2 메모리 셀이 한 쌍을 구성하고,- 상기 쌍과 유사하게 형성된 소수의 쌍들을 가지며,- 상기 쌍들이 열을 이루고,- 상기 열들을 따라 각각 하나의 비트 라인(B)이 연장되며,- 일렬을 이루는 여러 쌍의 제 1 리세스(V1) 및 제 2 리세스(V2)가 상기 열을 따라 서로 인접 배치되도록 상기 쌍들이 배치되고,- 상기 열들에 대해 횡으로 워드 라인(W)이 연장되며,- 상기 워드 라인(W)중 서로 인접하는 워드 라인(W)이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워드 라인(W)이 각각 교대로 제 1 리세스(V1)를 덮은 다음 제 2 리세스(V2)에 중첩되며,-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들이 상기 워드 라인(W)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AM-셀 장치.
- - 각각 하나의 커패시터 및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이 형성되는 단계,- 트랜지스터가 수직 트랜지스터로서 형성되는 단계,- 상기 커패시터에 대해 기판(1)내에 제 1리세스(V1)가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 1 리세스(V1)에 커패시터 유전체(KD)가 제공되는 단계,- 상기 커패시터의 메모리 노드(SK)가 제 1 리세스(V1)내에 형성되는 단계,- 상기 메모리 노드(SK)가 적어도 제 1 리세스(V1)의 측면의 콘택 영역내에서 기판(1)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DRAM-셀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세스(V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리세스(V2)가 형성되는 단계,-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상기 제 2 리세스(V2)내에서 적어도 그의 제 1 측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제 1 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게이트 유전체(GD)에 의해 기판(1)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상기 트랜지스터의 상부 소스-/드레인-영역(S/DO)이 제 2 리세스(V2)에, 그리고 제 1 리세스(V1)의 측면의 콘택 영역에서는 메모리 노드(SK)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단계, 및-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이 기판(1)내에서 상기 상부 소스-/드레인-영역(S/DO)보다 더 깊게 배치되고, 제 2 리세스(V2)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 2 리세스(V2)의 제 1 측면이 제 1 리세스(V1)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리세스(V1)의 측면이 제 2 리세스(V2)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소스-/드레인-영역(S/DO)이 제 1 리세스(V1) 및 제 2 리세스(V2)가 시작되는 기판(1)의 표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세스(V2)가 형성된 다음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의 형성을 위해 주입이 실시됨에 따라 상기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이 제 2 리세스(V2)의 바닥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제 1 메모리 셀 및 제 2 메모리 셀을 위한 제 2 리세스(V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 2 리세스(V2)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 2 리세스(V2)의 제 1 측면의 맞은편에 놓인 제 2 리세스(V2)의 제 2 측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제 2 리세스(V2)의 제 2 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게이트 유전체(GD)에 의해 기판(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리세스(V2)가 제 1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V1)와 제 2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V1)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이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5항에 있어서,- 비트 라인 콘택(K)이 상기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사이 및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비트 라인 콘택(K)이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까지 이르며,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제 2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의 영역을 측면으로 둘러싸는, 절연 물질(I)로 채워진 절연 트렌치(IG)가 형성되고,- 제 1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V1) 및 제 2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V1)는, 관련 측면의 콘택 영역을 둘러싸는, 제 1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V1)의 적어도 일부, 및 관련 측면의 콘택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메모리 셀의 제 1 리세스(V1)의 적어도 일부가 기판(1)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리세스(V2)의 형성을 위해 기판(1) 영역을 횡단하는 스트립을 덮지 않는 마스크(M)를 사용하여 상기 기판(1)이 절연 물질(I)에 대해 선택적으로 비등방성 에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트렌치(IG)가 제 1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하부 소스-/드레인-영역(S/DU)보다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트렌치(IG)가 형성되기 전에 제 1 리세스(V)가 형성되고,- 커패시터 유전체(KD)가 기판(1)의 표면 아래로 제 1 깊이(T1)까지 제 1 리세스(V1)의 바닥 및 에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패시터 유전체(KD)가 형성된 후, 메모리 노드(SK)가 적어도 기판(1) 표면까지 제 1 리세스(V1)를 채우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연 트렌치(IG)가 메모리 노드(SK)내에서 제 1 깊이(T1)보다 깊은 곳까지 이르도록, 그리고 상기 메모리 노드(SK)가 제 1 리세스(V1)의 측면의 콘택 영역내에서만 기판(1)에 인접하도록 제 1 리세스(V1)에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셀 및 제 2 메모리 셀이 한 쌍을 구성하고,- 상기 쌍과 유사하게 형성된 소수의 쌍들이 형성되며,- 상기 쌍들이 열을 이루고,- 각각 상기 열 중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비트 라인들(B)이 형성되며,- 일렬을 이루는 여러 쌍의 제 1 리세스(V1) 및 제 2 리세스(V2)가 상기 열을 따라 서로 인접 배치되도록 상기 쌍들이 배치되고,- 상기 열들에 대해 횡으로 워드 라인(W)이 연장되며,- 상기 워드 라인(W)은 상기 워드 라인(W)중 서로 인접하는 워드 라인(W)이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쌍들은 상기 워드 라인(W)이 각각 교대로 제 1 리세스(V1)를 덮은 다음 제 2 리세스(V2)에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들이 상기 워드 라인(W)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954867A DE19954867C1 (de) | 1999-11-15 | 1999-11-15 | DRAM-Zellenanordn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
DE19954867.6 | 1999-11-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51702A true KR20010051702A (ko) | 2001-06-25 |
Family
ID=792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67714A Withdrawn KR20010051702A (ko) | 1999-11-15 | 2000-11-15 | Dram-셀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448600B1 (ko) |
JP (1) | JP2001185704A (ko) |
KR (1) | KR20010051702A (ko) |
DE (1) | DE19954867C1 (ko) |
TW (1) | TW518750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0514A (ko) * | 2013-01-22 | 2015-10-02 | 소이텍 | eDRAM 용 선택 트랜지스터 내의 백 게이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8249B4 (de) * | 2002-02-26 | 2006-09-14 | Infineon Technologies Ag | Halbleiterspeicher mit vertikalem Auswahltransistor |
DE10226660A1 (de) | 2002-06-14 | 2004-01-08 | Infineon Technologies Ag | Flächenoptimierte Arrayanordnung für DRAM-Speicherzellen |
DE10226583B4 (de) | 2002-06-14 | 2010-07-08 | Qimonda Ag | DRAM-Speicherzelle für schnellen Schreib-/Lesezugriff und Speicherzellenfeld |
DE10234945B3 (de) | 2002-07-31 | 2004-01-29 | Infineon Technologies Ag | Halbleiterspeicher mit einer Anordnung von Speicherzellen |
DE10260770B4 (de) | 2002-12-23 | 2005-10-27 | Infineon Technologies Ag | DRAM-Speicher mit vertikal angeordneten Auswahltransistor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
DE10260769A1 (de) | 2002-12-23 | 2004-07-15 | Infineon Technologies Ag | DRAM-Speicher mit vertikal angeordneten Auswahltransistoren |
DE10321496B4 (de) * | 2003-05-13 | 2006-07-27 | Infineon Technologies Ag |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einseitig angeschlossenen Grabenkondensator |
DE102004063025B4 (de) * | 2004-07-27 | 2010-07-29 | Hynix Semiconductor Inc., Icheon | Speicher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
KR100623591B1 (ko) | 2004-07-27 | 2006-09-1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메모리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0564434B1 (ko) * | 2004-12-03 | 2006-03-28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리세스 게이트 및 그 제조 방법 |
KR100688056B1 (ko) * | 2005-01-31 | 2007-03-02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오메가 게이트를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0833182B1 (ko) * | 2005-11-17 | 2008-05-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수직채널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제조 방법 |
DE102007029433B4 (de) | 2006-08-02 | 2014-08-21 |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 Dynamischer Direktzugriffsspeicher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3751B1 (ko) * | 1993-10-07 | 1997-11-25 | 김광호 |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US5585285A (en) * | 1995-12-06 | 1996-12-17 | Micron Technology, Inc. | Method of forming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circuitry using SOI and isolation trenches |
US5905279A (en) * | 1996-04-09 | 1999-05-18 | Kabushiki Kaisha Toshiba | Low resistant trench fill for a semiconductor device |
US6367410B1 (en) * | 1996-12-16 | 2002-04-09 | Applied Materials, Inc. | Closed-loop dome thermal control apparatus for a semiconductor wafer processing system |
EP0899790A3 (de) * | 1997-08-27 | 2006-02-08 | Infineon Technologies AG | DRAM-Zellanordn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
US5831301A (en) * | 1998-01-28 | 1998-11-0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 Trench storage dram cell including a step transfer device |
US6037620A (en) * | 1998-06-08 | 2000-03-1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RAM cell with transfer device extending along perimeter of trench storage capacitor |
US6184091B1 (en) * | 1999-02-01 | 2001-02-06 |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 Corp. | Formation of controlled trench top isolation layers for vertical transistors |
US6320215B1 (en) * | 1999-07-22 | 2001-11-2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rystal-axis-aligned vertical side wall device |
US6333533B1 (en) * | 1999-09-10 | 2001-12-2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Trench storage DRAM cell with vertical three-sided transfer device |
-
1999
- 1999-11-15 DE DE19954867A patent/DE19954867C1/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
- 2000-11-13 JP JP2000345674A patent/JP2001185704A/ja active Pending
- 2000-11-14 TW TW089124055A patent/TW518750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11-15 KR KR1020000067714A patent/KR20010051702A/ko not_active Withdrawn
- 2000-11-15 US US09/713,484 patent/US644860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0514A (ko) * | 2013-01-22 | 2015-10-02 | 소이텍 | eDRAM 용 선택 트랜지스터 내의 백 게이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9954867C1 (de) | 2000-12-07 |
JP2001185704A (ja) | 2001-07-06 |
US6448600B1 (en) | 2002-09-10 |
TW518750B (en) | 2003-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17480B1 (ko) | 디램(dram)셀및그제조방법 | |
KR910009786B1 (ko) |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제법 | |
KR100506336B1 (ko) | 반도체 메모리 셀 배열 및 그 제조 방법 | |
US5798544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rench isolation regions and bit lines formed thereover | |
JP3934507B2 (ja) |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 |
KR100403066B1 (ko) | 반도체 메모리 셀 어레이 구조물 형성 방법 | |
JP4149498B2 (ja) | 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0509210B1 (ko) | Dram셀장치및그의제조방법 | |
US20070284661A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0673673B1 (ko) | Dram 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444791B1 (ko) | Dram-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403442B1 (ko) | Dram-셀 장치 및 제조 방법 | |
KR20010051702A (ko) | Dram-셀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
US5977589A (en) | DRAM cell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 |
JPH04233272A (ja) | ダブルトレンチ半導体メモリ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417484B1 (ko) | Dram 셀 장치의 제조 방법 | |
KR100528352B1 (ko) | Dram-셀장치및그제조방법 | |
KR0140044B1 (ko) | 메모리 셀중에 절연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 |
KR19980028402A (ko) | 디램(dram) 셀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 |
US6773983B2 (en) | Memory cell arrangement and method for its fabrication | |
CN117334722A (zh) | 半导体器件及其形成方法 | |
US6627940B1 (en) | Memory cell arrangement | |
KR100343002B1 (ko) | 버티컬 트랜지스터와 딥 트렌치 커패시터를 가지는 메모리셀 | |
KR100419538B1 (ko) | 집적 회로 장치용 홈을 가진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0123752B1 (ko) | 고집적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