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50690A - 볼트를 건축용 부재에 박아넣기 위한 볼트 발사 장치 - Google Patents

볼트를 건축용 부재에 박아넣기 위한 볼트 발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690A
KR20010050690A KR1020000056943A KR20000056943A KR20010050690A KR 20010050690 A KR20010050690 A KR 20010050690A KR 1020000056943 A KR1020000056943 A KR 1020000056943A KR 20000056943 A KR20000056943 A KR 20000056943A KR 20010050690 A KR20010050690 A KR 20010050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receiving chamber
ring
buffering member
buffe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2564B1 (ko
Inventor
야콥로베르트
Original Assignee
빌리 로날드, 슈날쯔지 안드레아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리 로날드, 슈날쯔지 안드레아,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빌리 로날드, 슈날쯔지 안드레아
Publication of KR20010050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56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8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combustion pressure
    • B25C1/1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combustion pressure generated by detonation of a cartridge
    • B25C1/14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combustion pressure generated by detonation of a cartridge acting on an intermediate plunger or anv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 가이드부(5) 및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추진 피스톤(9)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와 추진 피스톤 사이에 추진 피스톤의 헤드(92)와 작용 결합할 수 있는 부시 형태의 압착 부재(7)가 배치된 볼트 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착 부재(7)는 볼트 가이드부(5)의 입구에 있는 수용 챔버(6) 내부로 돌출하고 발사 방향(S)으로 뻗는, 직경이 더 작은 실린더형 연장부(8)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상에는 2개의 밀봉링(13, 14) 사이에서 뻗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버퍼링 부재(10)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밀봉링(13)은 압착 부재(7)의 링형 스토퍼면(71)과 발사 방향(S)에 반대로 향하는 버퍼링 부재(10)의 정면(11) 사이에 배치되고,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볼트 가이드부(5)의 입구에 있는 수용 챔버(6)의 내벽을 향해 팽창된다. 제 2 밀봉링(14)은 수용 챔버(6)의 링형 스토퍼면(61)과 발사 방향(S)으로 향하는 버퍼링 부재(10)의 정면 사이에 배치되고,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착 부재(7)의 실린더형 연장부(8)의 외부면을 향해 팽창된다.

Description

볼트를 건축용 부재에 박아넣기 위한 볼트 발사 장치 {BOLT FIRING TOOL FOR DRIVING BOLTS IN CONSTRUCTIONAL PIECES}
본 발명은, 볼트 가이드부 및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추진 피스톤 및 추진 피스톤용 억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와 추진 피스톤 사이에 추진 피스톤의 헤드와 작용 결합할 수 있는 부시 형태의 압착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압착 부재는 볼트 가이드부의 수용 챔버 내부로 돌출하고 발사 방향으로 뻗는, 직경이 더 작은 실린더형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상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버퍼링 부재가 배치되도록 구성된, 건축용 부재 내부에 볼트 등을 박아넣기 위한 볼트 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볼트 등을 건축용 부재내에 박아넣기 위해서는 추진 피스톤이 중간 결합되어 있는 볼트 발사 장치가 자주 사용된다. 볼트 등을 박아넣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내에 존재하는 분말 추진 장약으로부터 얻어진다. 점화된 분말 추진 장약의 초기 에너지는, 전적으로 볼트만을 바닥 내부로 밀어넣는 추진 피스톤의 운동 에너지로 변환된다. 추진 피스톤의 운동 에너지를 다만 부분적으로만 이용하는 경우, 초과량의 에너지는 박힐 부분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억제되어야 한다. 건축용 부품들이 매우 상이한 강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볼트 발사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상당히 높은 에너지 초과를 고려해야만 한다. 에너지 감소로 인해 충격 형태로 나타나는, 추진 피스톤과 상호 작용하는 장치 성분들 및 추진 피스톤의 부하는 볼트 발사 장치의 지속 수명에 단점적으로 작용하는 상당한 장애를 장치에 야기할 수 있다.
추진 피스톤이 장치된 볼트 발사 장치에서 초과량의 에너지를 감소시키기 위한 가능성은 실제로 2가지로 구분된다. 제 1의 경우에는 초과량의 에너지가 장치 외부에서 감소된다. 이 목적을 위해 볼트 발사 장치는, 추진 피스톤이 상기 장치의 총열 입구로부터 나와서 볼트가 삽입되어야 할 건축용 부재와 작용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건축용 부재가 일반적인 강성을 갖는 경우 초과량분 에너지의 감소는 추진 피스톤이 건축용 부재 또는 바닥 내부로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추진 피스톤이 볼트 발사 장치 외부에서 변형된다. 이와 같은 구조적인 조치에 의해, 장치 내부에 배치된 활주 쇼울더 등은 부하를 적게 받게 된다. 그러나 그 대신 볼트 발사 장치는, 건축용 부재의 강도 특성과 무관하게 발사되는 볼트의 삽입 깊이가 언제나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상실하게 된다. 오히려 그 반대의 경우로, 볼트가 건축용 부재의 강도에 따라 건축용 부재내로 더 깊게 또는 덜 깊게 삽입된다. 건축용 부재가 약한 경우에는, 삽입되는 볼트가 심지어 건축용 부재의 후면을 통과하여 재차 밖으로 나오게 될 수도 있다.
제 2 유형의 볼트 발사 장치에서는 초과량의 에너지가 내부에서, 볼트 발사 장치의 부재들 사이에서 감소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2개 장치 부품 사이에 배치된, 가소성 또는 탄성으로 변형될 수 있는 건축용 부재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공개된 독일 특허 출원서 DE-A-1 478 838호에는, 추진 피스톤과 볼트 가이드부 사이에 추진 피스톤과 작용 결합될 수 있는 부시 형태의 압착 부재 및 탄성적인 버퍼링 부재가 배치되고, 추진 피스톤의 남겨진 초과량의 에너지는 발사 과정 동안 흡수되도록 구성된 볼트 발사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압착 부재는 계단 형태의 외경을 가지며, 볼트 가이드부의 수용 보어 내부로 돌출한다. 버퍼링 부재는 외경이 계단 형태로 형성된 압착 부재의 직경이 더 작은 연장부상에 배치되고, 압착 부재의 쇼울더의 발사 방향과 반대로 및 볼트 가이드부의 원형링 형태의 대응면에서는 발사 방향으로 지지된다. 압착 부재가 볼트 가이드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2개 부품 사이에는 상당한 유격이 존재한다. 그럼으로써, 압착 부재와 볼트 가이드부 사이에 있는 링형 갭이 버퍼링 부재의 축방향 양측면까지 뻗게 된다. 버퍼링 부재가 압착될 때 상기 버퍼링 부재는 볼트 가이드부의 내벽과 압착 부재의 외벽 사이에 있는 링형 갭 내부에 낄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가동 부재의 끼임을 야기하고, 볼트 발사 장치에 고장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부재의 끼임이 저지되도록 상기 방식의 발사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장치 내부에서의 에너지 감소 원리는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구성 부품들은 간단히 설치되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 방식의 발사 장치의 갱신도 가능하게 해야 한다.
도 1 은 선행 기술에 따른 볼트 발사 장치의 종단면도.
도 2 는 도 1의 확대 상세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된 볼트 발사 장치의 섹션을 도 2와 유사하게 도시한 확대 상세도.
상기 목적은, 버퍼링 부재가 2개의 밀봉링 사이에서 뻗으며, 2개 밀봉링 중에서 제 1 밀봉링은 압착 부재의 링형 스토퍼면과 발사 방향에 반대로 향하는 버퍼링 부재의 정면 사이에 배치되고,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용 챔버의 내벽을 향해 팽창되며, 제 2 밀봉링은 수용 챔버의 링형 스토퍼면과 발사 방향으로 향하는 버퍼링 부재의 정면 사이에 배치되고,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착 부재의 실린더형 연장부의 외부면을 향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발사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또는 개선예는 종속항의 대상이다. 볼트 등을 건축용 부재내에 박아넣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볼트 발사 장치는 볼트 가이드부 및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추진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 가이드부와 추진 피스톤 사이에는 추진 피스톤과 작용 결합할 수 있는 부시 형태의 압착 부재가 배치된다. 압착 부재는 볼트 가이드부의 수용 챔버내로 둘출하고, 발사 방향으로 뻗는 직경이 더 작은 실린더형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상에는 2개 밀봉링 사이에서 뻗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버퍼링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밀봉링은 압착 부재의 링형 스토퍼면과 발사 방향에 반대로 향하는 버퍼링 부재의 정면 사이에 배치되고, 볼트 가이드부의 수용 챔버의 내벽을 향해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팽창된다. 제 2 밀봉링은 볼트 가이드부의 링형 스토퍼면과 발사 방향으로 향하는 버퍼링 부재의 정면 사이에 배치되고, 압착 부재의 실린더형 연장부의 외부면을 향해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팽창된다.
서문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부품, 즉 압착 부재 및 볼트 가이드부의 수용 챔버는 상당한 유격을 갖는다. 버퍼링 부재의 축방향 양측면까지 밀봉링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유격에 의해 형성되는 압착 부재와 수용 챔버의 내벽 사이에 있는 및 압착 부재의 실린더형 연장부와 볼트 가이드부의 내벽 사이에 있는 갭 내부에 밀봉링이 끼는 것이 저지된다. 이 경우 압착 부재의 링형 스토퍼면과 발사 방향에 반대로 향하는 버퍼링 부재의 정면 사이에 배치된 압착링은 볼트 가이드부의 수용 챔버의 내벽을 향해 방사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팽창되어 수용 챔버의 내벽과 압착 부재 사이의 갭을 폐쇄한다. 제 2 밀봉링은 볼트 가이드부의 링형 스토퍼면과 발사 방향으로 향하는 버퍼링 부재의 정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압착 부재의 실린더형 연장부의 외부면을 향해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팽창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장부의 외부면과 볼트 가이드부의 내부면 사이에 있는 링형갭도 또한 폐쇄된다. 상기 밀봉 장치는 2개의 밀봉링에 의해 자체적으로 밀봉되는데, 그 이유는 작동시 나타나는 높은 내부 압력이 방사 방향 밀봉력을 지지하고, 상기 방사 방향 밀봉력에 의해서 제 1 밀봉링의 외부면은 수용 챔버의 내벽을 향해 그리고 제 2 밀봉링의 내부면은 연장부의 외부면을 향해 압착되기 때문이다. 2개의 밀봉링으로 인해, 서로에 대해 가동적인 부품의 끼임 및 특히 유격 때문에 형성되는 링형갭 내부로의 버퍼링 부재의 끼임 및 손상이 저지된다. 상기 밀봉링들은 구성이 간단하고, 동일 유형의 기존의 볼트 발사 장치의 갱신도 가능하게 한다.
필수적인 유격 보상을 위해서는, 밀봉링이 외부 팽창 및 내부 팽창 작용하는 탄성적인 다중 플레이트 밀봉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성은 특히 갱신 장치의 경우에 기존의 구성적인 조건들에 대한 매칭 및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의 축방향 유격의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밀봉링은 작동시 나타나는 내부 압력 및 온도를 유지시켜야 하고, 방사 방향 외부로 및 내부로 팽창되는 작용 기능을 가져야 한다.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진 밀봉링은 특히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해체시 주기적으로 필요한 볼트 발사 장치의 구성 부품을 세척할 때 밀봉링이 분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밀봉링은 바람직하게 압착 부재 및 볼트 가이드부의 스토퍼면에 또는 버퍼링 부재의 정면에 고정된다.
제조 기술적인 및 관리 기술적인 이유에서 버퍼링 부재는 바람직하게 일체로, 부시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버퍼링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볼트 가이드부의 수용 챔버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게 되는데, 그 목적은 초과량의 에너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버퍼링 부재가 압착시 원하는 방식으로 방사 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일체형의 부시 형태의 버퍼링 부재와 관련하여서는, 밀봉링이 버퍼링 부재의 정면과 예를 들어 접착 또는 가황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면 바람직하다. 이 변형예에서는 밀봉링 및 버퍼링 부재가 저장 및 조립이 용이한 일체형 부품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척도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전체 볼트 발사 장치의 종단면을 보여준다. 도 2에는 상기 장치(1)의 부분 영역이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볼트 발사 장치(1)는 방아쇠(Release) 장치(2)와 총열 섹션(3)을 포함한다. 방아쇠 장치(2)는 카트리지내에 제공된, 가루 형태의 추진 장약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장치의 예에서 보여지며, 예를 들어 DE-A-1 478 83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공지된 구성을 갖는다. 방아쇠 장치는 다만 예로서만 제시된 것이며, 예를 들어 액체 또는 가스 형태의 에너지원으로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기 위하여 변형된 구조적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방아쇠 장치의 종류가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는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하기에서 상기 방아쇠 장치(2)의 세부 사항에 대한 기술은 생략된다. 총열 섹션(3)의 기술도 또한 본 발명의 기능에 중요한 볼트 발사 장치(1)의 요소들에만 제한된다. 총열 섹션(3)은 특히, 방아쇠 장치에 의해서 총열 섹션(3)의 입구 방향으로 가속될 수 있는 추진 피스톤(9)을 위한 가이드관(4)을 포함한다. 가이드관(4)의 축방향 연장부내에서는 바닥에 박혀질 볼트 등을 수용하기 위해 이용되는 볼트 가이드부(5)가 연결된다. 볼트 가이드부(5)와 추진 피스톤(9)의 헤드 사이에는, 탄성 버퍼링 부재(10)를 통해 볼트 가이드부(5)에 지지되는 부시 형태의 압착 부재(7)가 배치된다. 부시 형태의 압착 부재(7)는 외경이 계단 형태로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돌출한, 외경이 더 작은 실린더형 연장부(8)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볼트 가이드부(5)로 향해 있는 입구에서 수용 챔버 내부로 돌출된다.
작동시 나타나는 초과 에너지로 인해 추진 피스톤(9)의 헤드가 압착 부재(7) 위로 충격을 가함으로써 상기 압착 부재가 발사 방향(S)으로 이동된다. 추진 피스톤(9)의 초과 에너지는 압착 부재(7)와 볼트 가이드부(5) 사이에 배치된 버퍼링 부재(10)에 의해서 흡수되고, 이 때 상기 버퍼링 부재는 축방향으로 충격을 받는다. 버퍼링 부재(10)의 외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챔버(6)의 내경보다 더 작다. 그에 의해 형성되는 링형 갭(A)은 축방향으로 충격을 받은 버퍼링 부재(10)가 방사 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볼트 가이드부(5)에 대한 압착 부재(7)의 완벽한 이동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이동되는 2개 부품 사이에는 상당한 유격이 존재한다. 그럼으로써, 압착 부재(7)의 외부와 볼트 가이드부(5) 사이 그리고 연장부(8)의 외부와 수용 챔버(6)의 내벽 사이에는 2개의 좁은 링형 갭(O 및 I)이 형성된다. 버퍼링 부재(10)의 압착시에는, 버퍼링 부재의 에지 구역이 상기 링형 갭(O 및 I) 내부에 낄 위험이 있다. 따라서 버퍼링 부재(10)가 낄 수 있고, 압착 부재(7)는 더이상 출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없게 된다. 추진 피스톤(9) 헤드가 압착 부재(7) 위에 재차 충격을 가할 때에는 버퍼링 부재(10)가 더이상 초과 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장치의 기계적인 구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 내부에 끼는 현상으로 인해 버퍼링 부재(10)도 또한 지나치게 마모될 수 있고, 이것은 버퍼링 부재를 조기에 교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야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 피스톤(9)의 헤드(92)와 볼트 가이드부(5) 사이에 있는 영역이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됨으로써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볼트 발사 장치의 기술된 단점들이 제거된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약간의 구조적인 변경과 관계없이 기능적으로 동일한 도 3의 부품들은 선행 기술에 공지된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부품들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추진 피스톤(9)의 헤드(92)와 볼트 가이드부(5) 사이에는 재차 부시 형태의 압착 부재(7)가 배치되고, 상기 압착 부재로부터 발사 방향(S)으로 실린더형 연장부(8)가 돌출한다. 실린더형 연장부(8)는 나머지 압착 부재(7)보다 외경이 더 작고, 볼트 가이드부(5)를 향한 입구에 있는 수용 챔버(6)내에 배치되어 있다. 추진 피스톤(9)의 샤프트(91)는 압착 부재(7) 및 실린더형 연장부(8)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볼트 가이드부(5) 내부로 뻗는다.
실린더형 연장부(8)는 바람직하게 고무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링형으로 형성된 버퍼링 부재(10)를 지지한다. 버퍼링 부재(10)의 외경은 수용 챔버(6)의 내경보다 더 작다. 그럼으로써 링형 챔버(A)가 형성되고, 축방향 압착에 의해 야기되는 방사 방향 확대시 버퍼링 부재(10)가 상기 링형 챔버내로 삽입될 수 있다. 버퍼링 부재(10)는 또한 실린더형 연장부(8) 둘레에 링형으로 배치된 개별 부품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서로에 대해 가동적인 부품 사이에 있는 상당한 유격으로 인해 형성되는, 압착 부재(7)와 수용 챔버(6)의 내벽 및 연장부(8) 그리고 볼트 가이드부 내부로 이어지는 입구 사이에 있는 링형 갭에는 도면 부호 O 및 I가 제공된다. 버퍼링 부재(10)의 종방향 양단부에는 밀봉링(13 및 14)이 제공된다. 제 1 밀봉링(13)은 압착 부재(7)의 링형 스토퍼면(71)과 발사 방향(S)에 반대로 향하는 버퍼링 부재(10)의 정면(11) 사이에 배치되고, 방사 방향으로 휠 수 있도록 수용 챔버(6)의 내벽을 향해 압착된다. 제 2 밀봉링(14)은 수용 챔버(6)의 링형 스토퍼면(61)과 발사 방향(S)으로 향하는 버퍼링 부재(10)의 정면(12) 사이에 배치되고, 방사 방향으로 휠 수 있도록 실린더형 연장부(8)의 외부면을 향해 압착된다. 수용 챔버(6)의 내벽 또는 실린더형 연장부(8)의 외부면을 향해 압착되는 밀봉 부재들(13, 14)은 링형 갭(O 및 I)에 대한 차단부를 형성하여 버퍼링 부재(10)의 낌을 저지한다. 상기 밀봉링들은 외부로 팽창되고 내부로 팽창되는 작용을 하는 탄성의 단일 플레이트 또는 다중 플레이트 밀봉링으로 실시된다. 동작시 상기 외부 팽창 작용 및 내부 팽창 작용은 밀봉링(13, 14)의 내부 둘레면 및 외부 둘레면 위에 형성되는 높은 내부 압력으로 인해 더욱 지지된다. 밀봉링(13, 14)은 버퍼링 부재(10) 앞에서 또는 뒤에서 실린더형 연장부(8) 위로 삽입될 수 있는 소수의 플레이트 밀봉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링들은 예를 들어 버퍼링 부재(10)와의 접착 또는 가황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실린더형 연장부(8) 위로 이동될 수 있는 단일 결정 부품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밀봉링(13, 14)은 예를 들어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를 따라 분리 장소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가동 부재의 끼임이 저지되도록 볼트 발사 장치를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6)

  1. 볼트 가이드부(5) 및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추진 피스톤(9)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와 추진 피스톤 사이에 추진 피스톤의 헤드(92)와 작용 결합할 수 있는 부시 형태의 압착 부재(7)가 배치되고, 상기 압착 부재는 볼트 가이드부(5)의 수용 챔버(6) 내부로 돌출하고 발사 방향(S)으로 뻗는, 직경이 더 작은 실린더형 연장부(8)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상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버퍼링 부재(10)가 배치되도록 구성된, 건축용 부재에 볼트 등을 박아넣기 위한 볼트 발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부재(10)는 2개의 밀봉링(13, 14) 사이에서 뻗으며, 2개 밀봉링 중에서 제 1 밀봉링(13)은 압착 부재(7)의 링형 스토퍼면(71)과 발사 방향(S)에 반대로 향하는 버퍼링 부재(10)의 정면(11) 사이에 배치되고,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용 챔버(6)의 내벽을 향해 팽창되며, 제 2 밀봉링(14)은 수용 챔버(6)의 링형 스토퍼면(61)과 발사 방향(S)으로 향하는 버퍼링 부재(10)의 정면 사이에 배치되고, 방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착 부재(7)의 실린더형 연장부(8)의 외부면을 향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발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13, 14)이 다수의 개별 플레이트 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발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13, 14)이 스프링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발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13, 14)이 압착 부재(7) 및 수용 챔버(6)의 스토퍼면(71, 61)에 또는 버퍼링 부재(10)의 정면(11, 1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발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부재(10)는 일체로 부시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트 가이드부(5)의 입구에서는 수용 챔버(6)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발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13, 14)이 버퍼링 부재의 정면(11, 12)과 예를 들어 접착 또는 가황 방식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발사 장치.
KR1020000056943A 1999-10-02 2000-09-28 볼트를 건축용 부재에 박아넣기 위한 볼트 발사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642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47464.8 1999-10-02
DE19947464A DE19947464A1 (de) 1999-10-02 1999-10-02 Bolzensetzgerät zum Eintreiben von Bolzen oder dergleichen in Baute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690A true KR20010050690A (ko) 2001-06-15
KR100642564B1 KR100642564B1 (ko) 2006-11-10

Family

ID=792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943A Expired - Lifetime KR100642564B1 (ko) 1999-10-02 2000-09-28 볼트를 건축용 부재에 박아넣기 위한 볼트 발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20495B1 (ko)
EP (1) EP1088627B1 (ko)
KR (1) KR100642564B1 (ko)
AU (1) AU770675B2 (ko)
DE (2) DE19947464A1 (ko)
ES (1) ES2275485T3 (ko)
TW (1) TW5584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3893A1 (de) * 2001-01-30 2002-08-01 Hilti Ag Setzgerät
DE10105196B4 (de) * 2001-02-06 2013-09-26 Hilti Aktiengesellschaft Setzgerät
US7410084B1 (en) * 2001-08-31 2008-08-12 Reed Daniel J Multiple-impact adapter for a hammer tool
WO2003024671A2 (en) * 2001-09-17 2003-03-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Rotary hammer
DE10341385B4 (de) * 2003-09-05 2016-06-23 Hilti Aktiengesellschaft Setzgerät
US7971768B2 (en) * 2004-05-04 2011-07-05 Illinois Tool Works Inc. Guidance system for fasteners
DE102005000106B4 (de) * 2005-08-25 2014-02-27 Hilti Aktiengesellschaft Setzgerät
DE102005000113B4 (de) * 2005-09-13 2014-03-27 Hilti Aktiengesellschaft Setzgerät
DE102005000114A1 (de) * 2005-09-13 2007-03-15 Hilti Ag Setzgerät
DE102005000134A1 (de) * 2005-10-05 2007-04-12 Hilti Ag Brennkraftbetriebenes Setzgerät
JP5055775B2 (ja) * 2006-02-03 2012-10-24 マックス株式会社 釘打機
DE102010030127A1 (de) 2010-06-15 2011-12-15 Hilti Aktiengesellschaft Eintreibvorrichtung
CN203092484U (zh) * 2013-02-22 2013-07-31 郭景辉 一种用于射钉枪的卸力装置
TWI627035B (zh) * 2017-03-27 2018-06-21 崴鋼工業有限公司 吊頂槍
TWI627034B (zh) * 2017-03-27 2018-06-21 崴鋼工業有限公司 吊頂槍
DE102020208404A1 (de) * 2020-07-03 2022-01-0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Verbinden von Bauteilen, Vorrichtung, Einrichtung zum Verbinden von Bauteil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5639A (en) * 1963-04-26 1963-12-31 Moszczynski Anna Edwarda Apron table
CH453249A (de) * 1965-11-09 1968-06-14 Bauer Carl Fa Bolzensetzgerät zum Eintreiben von Bolzen in Bauteile
FR1600417A (ko) * 1968-08-05 1970-07-27
FR2350176A1 (fr) * 1976-05-06 1977-12-02 Termet Pierre Appareil actionne par une charge de poudre
DE2632413A1 (de) * 1976-07-19 1978-01-26 Hilti Ag Pulverkraftbetriebenes bolzensetzgeraet mit einer abfangvorrichtung fuer den treibkolben
DE2850273A1 (de) * 1978-11-20 1980-05-29 Hilti Ag Pulverkraftbetriebenes bolzensetzgeraet
US4332340A (en) * 1980-05-15 1982-06-01 Olin Corporation Piston tool buffer assembly
US4405072A (en) * 1980-05-28 1983-09-20 Hilti Aktiengesellschaft Setting device powered by an explosive gas mixture
FR2608493B1 (fr) * 1986-12-23 1994-09-02 Prospection & Inventions Appareil de scellement a tir indirect
DE3924620A1 (de) * 1989-07-26 1991-01-31 Hilti Ag Pulverkraftbetriebenes bolzensetzgera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88627B1 (de) 2006-11-22
AU770675B2 (en) 2004-02-26
TW558485B (en) 2003-10-21
KR100642564B1 (ko) 2006-11-10
EP1088627A3 (de) 2001-08-01
US6220495B1 (en) 2001-04-24
ES2275485T3 (es) 2007-06-16
DE50013766D1 (de) 2007-01-04
EP1088627A2 (de) 2001-04-04
AU5658000A (en) 2001-04-05
DE19947464A1 (de) 200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564B1 (ko) 볼트를 건축용 부재에 박아넣기 위한 볼트 발사 장치
CA1287699C (en) Indirect firing fastener driving tool
US7100907B2 (en) Braking- and damping device, in particular for movable pieces of furniture
US7841279B2 (en) Delayed extraction and a firearm cartridge case
US8371488B2 (en) Setting tool
FI65722C (fi) Krutdriven bultinsaettningsanordning med daempningsanordning foer drivkolven
EP2037148B1 (en) Gas spring with guide
US3465942A (en) Fastener driving tool
US7918375B2 (en) Pneumatically operable fastener-driving tool and seal mechanism assembl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8519028B (zh) 爆炸分离螺栓
US5901894A (en) High pressure gas operated setting tool
JPH10337677A (ja) 打ち込み装置
US4148244A (en) Apparatus for braking a free piston, which is driven at high acceleration within a tube
US5353532A (en) Tooth of active-action excavator bucket
US3044071A (en) Explosive actuated tool
US20090205485A1 (en) Pneumatic retarding device
CA1324533C (en) Cased telescoped ammunition having features augmenting cartridge case end cap retention and retraction
US5580032A (en) Arrangement for a gas spring
US2480100A (en) Obturating firing pin
US7407071B2 (en) Setting tool
GB2318755A (en) Hydraulic hammer
RU2192994C2 (ru) Узел разделения
US20250179854A1 (en) A hydraulic damper for furniture doors and drawers
SU1102928A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ударный механизм
US10711772B2 (en) Air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9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032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