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44450A - 이동단말기의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450A
KR20010044450A KR1020010008822A KR20010008822A KR20010044450A KR 20010044450 A KR20010044450 A KR 20010044450A KR 1020010008822 A KR1020010008822 A KR 1020010008822A KR 20010008822 A KR20010008822 A KR 20010008822A KR 20010044450 A KR20010044450 A KR 20010044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bytes
data
byt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희
Original Assignee
정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희 filed Critical 정종희
Priority to KR1020010008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4450A/ko
Publication of KR2001004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45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기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식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80바이트를 넘는 문자메세지를 휴대폰의 한 번의 조작으로 보낼 수 있는 방법 및 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의 사용자가 문자메세지를 입력한도인 40자(한글기준) 즉, 80바이트를 초과하여 입력할 경우 휴대폰 자체적으로 메세지 내용을 분할,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sion and transmission of messages in mobile-terminal}
본 발명은 단문메세지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80바이트를 초과하여 내용을 입력하면 79 또는 80바이트 단위로 입력 내용을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전화 서비스 업체에서는 1회 단문메세지 전송 한도를 한글을 기준으로 40자 이하, 영문기준으로 80자 이하 즉, 80바이트로 잡고 있다.
현재,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음성통화 뿐만 아니라 간단한 메세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3은 일반적인 단문전송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도면에서 참조번호 1과 2는 개인이 휴대하여 통신하게 되는 이동단말기이고, 3은 다수의 이동단말기(1,2)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동단말기(1,2)에대한 무선신호의 송수신과 통신프로토콜의 변환 및 암호화/복호화 등을 실행하는 기지국(BTS)과 교환기이며, 4와 5는 다수의 기지국이 단말기로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제공하게 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와 SMAP(Short Message Application Platform) 이다.
즉, 상기 구성으로 된 단문전송시스템은 임의의 이동단말기(1)가 특정한 지역내에 있게 되면, 그 지역을 관할하는 기지국(3)은 해당 이동단말기(1)의 존재를 확인하여 음성 송수신, 데이터 송수신, 문자전송을 할 수 있게 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는 이동단말기의 음성통화기능의 설명이 아니라 문자메세지전송기능에 대한 설명이므로 음성통화기능의 설명은 하지 않는다.
이동단말기(1)에서 다른 이동단말기(2)로 문자메세지를 송신하기 위해서 이동단말기(1)의 사용자가 문자메세지를 입력하게 되면 이동단말기(1)은 문자메세지를 보내는데 필요한 각각의 파라미터를 이동통신시스템(3)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파라미터 구성요소로는 수신자의 번호(Destination Address), 서비스 번호(Teleservice ID),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회신받고자 하는 번호(CallBack Number)이다.
상기 파라미터를 전송받은 이동통신시스템(3)은 데이터를 SMSC(4)로 보내고 SMSC(4)는 일련의 절차를 거쳐 다시 이동통신시스템(3)으로 데이터를 보내게 된다. 이동통신시스템(3)은 수신측인 이동단말기(2)에게 파라미터를 제공함으로써 완전한 문자메세지전송이 완료된다. 참고로 SMAP(5)는 웹서버와 연동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설명하지 않는다.
한편, 현재에는 상기한 문자전송시스템과 같은 통신시스템을 구축하여 이동전화서비스업체에서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1회전송량을 80바이트로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그 제한된 양으로 인해 사용자는 80바이트를 넘는 비교적 긴 문장의 전송시에는 전송절차를 여러번 되풀이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문자전송시 사용자가 제한량을 초과하여 입력한다 하더라도 단 한 번의 전송절차로 80바이트가 넘는 비교적 긴 문자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의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분할 전송 장치가 내장된 이동단말기(1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3은 일반적인 단문전송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동단말기 1, 2 : 이동단말기 2,
3 : 이동통신 시스템, 4 : 단문 메세지 서비스 센터,
5 : 단문 메세지 어플리케이션 플랫폼,
11 : 안테나, 12 : RF신호처리부,
13 : 베이스밴드변환부, 14 : 스피커,
15 : 마이크, 16 : 디지탈신호처리프로세서,
17 : 가입자정보저장부, 18 : 프로그램메모리,
19 : 키패드, 20 : LCD표시부,
21 : 데이터저장부, 22 : 메세지입력 바이트수 카운터,
23 : 송신통화정보저장부, 24 : 수신통화정보저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따른 메세지 분할 전송방법은, 이동단말기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내용의 바이트 수를 계수하기위한 입력내용량 계수 단계와, 문자입력내용이 80바이트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메세지 용량 판독단계와, 이의 결과에 따라, 저장된 메세지 내용 중 80번째 바이트와 81번째 바이트의 상관 관계를 판별하여 한 문자를 이루는 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이의 결과에 따라, 메시지를 1부터 79바이트 또는 1부터 80 바이트 까지 전송하는 단계와,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서 삭제하는 단계와, 카운터를 클리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따른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하는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대측과 문자메세지전송, 수신 수단을 형성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전송 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과, 메세지 내용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수단과, 메세지 바이트 수를 계수하고 또 클리어하기 위한 수단과, 80번째 바이트와 81번째 바이트의 상관관계를 판별하는 수단과, 상황에 따라 1부터 80번째 바이트 또는 1부터 79번째 바이트를 전송하는 수단과, 전송된 메세지를 데이터저장부에서 삭제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80바이트가 넘는 문자메세지를 분할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비교적 용량이 큰 문자메세지를 단 한 번의 조작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메세지 분할 전송 장치가 내장된 이동단말기(1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1에서, 참조번호 11은 데이터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이고, 12는 이 안테나(11)를 통해 수신된 RF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이후에 설명할 베이스밴드변환부(13)로부터 인가되는 전송신호, 즉 I,Q신호를 예컨대 GMSK변조하여 출력하는 RF신호처리부, 13은 상기 RF신호처리부(12)와 디지탈신호처리프로세서(16), 스피커(14) 및 마이크로폰(15)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탈변환처리 등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변환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4는 상기 베이스밴드변환부(13)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이고, 15는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16은 음성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경로 잡음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저를 수행하며 문자메세지 전송 관련 및 오디오 관련 데이터처리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탈신호처리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17은 가입자의 등록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정보저장부(SIM :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8은 단말기의 기능 및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메모리, 19는 숫자키들과 문자키들과 각종 기능키들로 구성되어 있는 키패드이다.
한편, 참조번호 20은 문자입력내용 또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기위한 LCD 표시부이고, 21은 문자메세지의 저장/분할/삭제 등이 이루어지는 데이터 저장부이다. 이 곳에서 뒤에 설명하게 될 마이크로프로세서(25)에 의해 문자메세지 데이터가 분할/저장/삭제 된다.
또한 참조번호 22는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메세지 용량의 바이트 수를 계수하는 카운터이다. 23과 24는 각각 오디오송신정보와 오디오수신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송신통화저장부(23) 수신통화저장부(24)이다.
참조번호 25는 이동단말기(10)의 각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이는 문자메세지전송시 또는 음성통화시 또는 데이터송수신시 필요한 제어수단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메세지 분할 전송 장치가 내장된 이동단말기(50)의 동작을 도2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19)의 키입력에 의해 상대측으로 문자메세지를 보내기위해 이동단말기(10)에 메세지 내용을 입력하게 된다(ST1). 내용입력을 완료하게 되면, 데이터저장부(21)에 문자입력내용을 저장하게 되고(ST2), 카운터(22)는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의 바이트 수를 계수하게 된다(ST3).
카운터(22)의 계수 결과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25)는 다른 수행명령을 내리게 된다(ST4). 계수 결과로 80바이트가 넘지 않을 때는 전송절차를 바로 수행한다(ST). 전송절차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계수의 결과로 80바이트가 넘을 때에는 문자메세지 입력데이터의 80번째 바이트와 80+1번째 바이트가 서로 하나의 문자를 이루는지(한글은 1글자가 2바이트)의 여부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25)는 또 서로 다른 수행명령을 내리게 된다(ST5).
상기 80번째 바이트의 데이터 내용과 80+1번째 바이트의 데이터 내용이 서로 한 문자의 쌍이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5)는 1부터 79바이트까지의 내용을 전송하라는 명령이 떨어지고(ST6), 80번째 바이트의 데이터 내용과 80+1번째 바이트의 데이터 내용이 서로 한 문자의 쌍이 아니라면, 1부터 80바이트까지의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내게 된다(ST6-1).
상기의 메세지 전송 절차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입력내용을 토대로 마이크로프로세서(25)는 메세지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각 파라미터들을 모아서 DSP(16)를 거쳐 베이스밴드변환부(13)와 RF신호처리부(12)를 거쳐 변환, 변조된다. 마지막으로 안테나(11)를 거쳐 이동통신 시스템(3)에 전파형태로 전달된다.
메세지 송신시 필요한 파라미터들은 수신자의 번호(Destination Address), 서비스 번호(Teleservice ID),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회신받고자 하는 번호(Call back Number) 등이다.
ST6, ST6-1 절차 다음 단계로, 전송된 데이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25)에 의해 데이터저장부(21)에서 삭제 된다(ST7). ST7 단계를 거치면, ST3 단계에서 계수되었던 내용을 지우기 위해 카운터(22)를 클리어시킨다. 이어서, 다시 데이터저장부(21)에 남아있는 데이터의 바이트수를 계수하는 단계(ST3)로 돌아오는데, 도2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사용자가 입력한 메세지 전체를 전송할 때 까지 ST3에서 ST8까지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ST3에서 ST8까지 루프를 돌다가 데이터저장부(21)에 80바이트 이하의 데이터가 남으면 ST4 단계에서 ST5-1 단계를 바로 수행하여 모든 메세지 분할 전송 절차가 끝나게 된다.
상기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 및 장치에 의한 실시예를 들면, 단말기1(1)의 사용자가 단말기2(2) 사용자에게 애국가 1절을 문자메세지로 보내려 한다고 가정하자.
애국가 1절은 다음과 같다. "동해물과_백두산이_마르고_닳도록_하느님이_보우하사_우리_나라_만세_무궁화_삼천리_화려강산_대한_사람_대한으로_길이_보전하세" 이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띠어쓰기 까지 합쳐서 120바이트이다. 상기 애국가 1절을 사용자가 키패드(19)를 이용하여 입력하게 되면 데이터저장부(21)에 저장되고, 카운터(22)에서 입력 내용이 120바이트라는 것을 계수하게 된다. 이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25)는 카운터(22)로부터 입력 내용이 80바이트를 초과한다는 신호를 받고 80번째 바이트와 81번째 바이트의 데이터가 한 문자를 이루는지 판단한다. 애국가 1절에서는 "화려강산"의 "화"의 2개 바이트의 데이터는 각각 80번째와 81번째 바이트이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25)는 1부터 79바이트까지의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내리게 된다.
이어서, 1부터 79바이트까지의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21)에서 삭제시키고, 카운터(22)를 클리어시킨다. 다시 ST3단계로 돌아와서 데이터저장부(21)에 남아 있는 데이터를 계수한다. 애국가 1절의 앞부분의 79번째 바이트까지 전송완료 되었으므로 데이터저장부(21)에는 기존의 80부터 120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만이 남게 된다. 따라서, 카운터(22)는 데이터저장부(21)에 남아있는 데이터의 바이트 수는 41바이트 즉, 80바이트 이하라는 결과를 보내게 된다. 이로써, 데이터저장부(21)에 남아있는 모든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 이동단말기로는 80의 n배수 바이트 용량의 문자메세지를 전송하려면 n번의 조작이 있어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단 한 번의 조작으로 모든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Claims (5)

  1. 이동단말기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내용의 바이트 수를 계수하기 위한 입력 내용량 계수 단계와,
    문자입력내용이 80바이트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메세지 용량 판독단계와,
    이의 결과에 따라, 저장된 메세지 내용 중 80번째 바이트와 81번째 바이트의 상관 관계를 판별하여 한 문자를 이루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이의 결과에 따라, 메시지를 1부터 79바이트 또는 1부터 80바이트 까지 전송하는 단계와,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서 삭제하는 단계와,
    카운터를 클리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
  2.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내용의 바이트 수를 계수하기위한 입력내용량 계수 단계는 사용자가 문자입력완료시마다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80바이트 이하의 결과값이면 바로 전송절차가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
  3. 1항에 있어서,
    저장된 메세지 내용 중 80번째 바이트와 81번째 바이트의 상관 관계를 판별하여 한 문자를 이루는지를 판별하여, 한 문자를 이루게 되면 1부터 79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시켜, 전송시 끝 글자가 깨지는 현상을 막는, 메세지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
  4. 1항에 있어서,
    메시지를 1부터 79바이트 또는 1부터 80바이트 까지 전송하게 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카운터를 클리어하여, 남은 데이터를 다시 계수하여 루프를 이루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메세지 분할 전송방법.
  5.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되는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문자메세지를 보낼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전송할 문자메세지내용을 저장 또는 삭제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입력한 문자메세지의 용량을 계수하기 위한 카운터,
    저장된 문자메세지의 용량에 따라 각 각 다른 절차를 수행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과,
    입력한 내용중 80번째 바이트와 81번째 바이트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로 한 글자를 이루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비교분석수단과,
    이의 결과에 따라 각 각 다른 명령을 수행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과,
    그 결과에 따라 메세지 내용을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세지 분할 전송 장치.
KR1020010008822A 2001-02-21 2001-02-21 이동단말기의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44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822A KR20010044450A (ko) 2001-02-21 2001-02-21 이동단말기의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822A KR20010044450A (ko) 2001-02-21 2001-02-21 이동단말기의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450A true KR20010044450A (ko) 2001-06-05

Family

ID=1970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822A KR20010044450A (ko) 2001-02-21 2001-02-21 이동단말기의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44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538B1 (ko) * 2002-10-30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159A (ko) * 1997-09-23 1999-04-15 서정욱 디지털 이동통신망에서 단전문 서비스를 이용한장전문 전송 방법
KR20010026671A (ko) * 1999-09-08 2001-04-06 윤종용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장문 메시지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49041A (ko) * 1999-11-30 2001-06-15 윤종용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20036880A (ko)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Sms를 이용한 장문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54060A (ko) * 2000-12-27 2002-07-06 홍경 장문메시지의 분할전송 및 통합수신이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159A (ko) * 1997-09-23 1999-04-15 서정욱 디지털 이동통신망에서 단전문 서비스를 이용한장전문 전송 방법
KR20010026671A (ko) * 1999-09-08 2001-04-06 윤종용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장문 메시지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49041A (ko) * 1999-11-30 2001-06-15 윤종용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20036880A (ko)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Sms를 이용한 장문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54060A (ko) * 2000-12-27 2002-07-06 홍경 장문메시지의 분할전송 및 통합수신이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538B1 (ko) * 2002-10-30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6033B1 (en) Mobile apparatus enabling inter-network communication
CN101199127A (zh) 用于对包括在短消息服务中的电话号码提供超链接功能的方法及移动通信终端
KR10067823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20030224810A1 (en) Interactive push serivce
KR20010044450A (ko) 이동단말기의 메세지 분할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GB2361603A (en) Transferring browser information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MD3405B2 (ro) Procedeu şi sistem automatizat de comandă a serviciilor de taximetru
KR20020037573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발신장치
KR20000020178A (ko) 이동단말기의 통화곤란시 메시지 전송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61176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발신자 이름 표시방법
KR20060013008A (ko) 입력 제한이 없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202276395U (zh) 一种具有彩信与短信互转功能的移动终端
KR20050005144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KR200400405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sms 폰 메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39925A (ko) 장문메시지 전송기능을 갖춘 이동통신시스템
KR20080013632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송수신방법
KR20030097451A (ko) Pc를 활용한 다중 수신자 지정 sms 발송 방법
KR20050001560A (ko) 착신 휴대폰으로 벨소리를 전송하는 시스템
TWI246266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omplishing wireless short message service (SMS) based on fixed network
KR1003528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응용 프로토콜 적용방법
KR20070049730A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KR100723708B1 (ko) 착신 호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6932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변환 방법
KR100587770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 통신 장치 및 방법
CN100452925C (zh) 移动通信终端的收信号码传输方法及其传输消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2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1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