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43387A - 통합성과 포획성이 개선된 흡수제품 - Google Patents

통합성과 포획성이 개선된 흡수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387A
KR20010043387A KR1020007012409A KR20007012409A KR20010043387A KR 20010043387 A KR20010043387 A KR 20010043387A KR 1020007012409 A KR1020007012409 A KR 1020007012409A KR 20007012409 A KR20007012409 A KR 20007012409A KR 20010043387 A KR20010043387 A KR 20010043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sheet
bonding
sanitary napkin
absorbent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즈딘제프리
커크브라이드타나마리
크라이그스테파니티츠
브루스앤홀랜드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074,909 external-priority patent/US6319239B1/en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10043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387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9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creating a visual effect, e.g. having a printed or coloured topsheet, printed or coloured sub-layer but being visible from the topsheet, other than embossing for purposes of bonding, wicking, acquisition, leakage-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개선된 포획성을 위해 신체 대향면위에 비결합 창을 갖고 개선된 통합성을 위해 결합된 구성요소를 갖는, 생리대, 팬티라이너, 성인 실금자용 장치와 같은 흡수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흡수제품은 다수의 개별적인 결합 영역에서, 하부 액체 투과층 또는 흡수층에 융합된 상면시이트를 포함한다. 흡수제품은, 결합 영역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으며 결합 영역을 함유하는 흡수제품의 영역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비결합 창을 갖는다.

Description

통합성과 포획성이 개선된 흡수제품{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생리혈, 뇨 및 변과 같은 체액을 흡수하기 위한 배치형태를 갖는 모든 방식의 각종 흡수제품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흡수제품은 전형적으로 다수의 물질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액체 투과층, 흡수층 및 액체 불투과층을 포함한다. 또한, 부가적인 층이 임의의 상기 층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층은 다양하고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흡수제품의 층들은 일반적으로 몇몇 통상적인 수단, 예컨대 접착제, 크림핑(crimping), 융합 및 당해 분야에 공지된 다른 방법에 의해 주변부에서 고정되어 있다. 흡수제품은 주변부 주위에 액체 불투과성 결합을 가질 수 있으며, 많은 경우에 상기 결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은 흡수제품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층을 표면에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종종 있다. 상기 층의 표면 부착은 몇몇 기술적인 문제점을 제공한다. 이는 상부의 액체 투과층과 흡수층을 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특히 해당된다. 층들을 주변부에서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수단이 사용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수단이 액체가 흡수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시도가 행해졌다. 상기 시도는 고온 용융 접착제 및 다른 비수성계 접착제를 이용함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착제는 체액에 의해 접촉될 때에 용해되는 경향이 적다. 다른 시도는, 하부 층으로의 액체 유입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박막층에 또는 특정한 패턴으로 적용시키는 것이다. 1986년 3월 4일자로 미네톨라(Minetola)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73,986호는 접착제를 적용하는 바람직한 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미네톨라 등의 특허에 기재된 방식으로의 접착제 적용은 상당한 효과를 갖지만, 흡수제품 층의 표면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층의 표면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개선시키는 연구의 주된 이유는, 많은 경우에, 초기에는 적절히 기능하는 접착제가 나중에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액체 투과층이 탈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흡수제품을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에 특히 두드러진다. 이러한 문제점은 액체 투과층이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인 경우에 종종 증가한다. 본 출원인이 소유한 특허에 따라 제조된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은 그 성능이 매우 우수하지만, 상기 필름이 하부 층으로부터 분리될 때에 몇몇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은 매우 얇아서, 탈착될 때에 착용자 신체의 틈(예컨대, 착용자 둔부 사이의 공간)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착용자를 극히 불편하게 만들고 자극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는, 플라스틱 조성으로 인해 액체 투과층이 착용자의 피부에 들러붙을 수도 있다. 필름은 접착제로 인해 착용자 신체 주위에 끈적끈적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고, 그 결과 액체 투과층이 착용자 피부에 들러붙을 수 있다.
또한, 천공된 필름이 흡수층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분비물이 종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제품 상면위로 흘러나올 수 있다. 또한, 분비물이 위킹될 수 있는, 필름과 접촉되는 하부 흡수층이 없는 경우에는, 분비물이 필름을 항상 투과하지는 않는다. 이는 흡수코어로 에어펠트 배트를 갖는 두꺼운 패드의 경우에 더욱 해당된다. 이러한 두꺼운 패드로 이루어진 흡수코어는 처음 습윤될 때에 제품의 중심에서 내려앉아(collapse) 뭉치는(또는 횡방향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성형 필름의 분리와 함께, 상기와 같은 집중 현상은 종방향 가장자리에 인접한 패드 부분이 하부 흡수물질을 갖지 않게 만들며, 그 결과 체액이 종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제품의 상면위로 흘러나오거나 새는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여러 특허문헌이 다양한 상이한 목적을 위해 층들이 대안적인 방식으로 고정된 흡수제품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카라미(Karami)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65,906호 및 미국 특허 제 4,184,902호, 버터워쓰(Butterworth)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91,861호, 매튜스(Matthew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97,644호, 겔러트(Gellert)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75,911호, 카라미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26,976호, 게벨(Gebe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52,349호, 반 곰펠(Van Gompe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53,840호, 윌하이트 쥬니어(Willhite, J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23,783호, 폭스만(Foxm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44,965호 및 수키닉(Sukiennik)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08,02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 대부분은 액체 투과성 물질, 또는 부직물과 같은 흡수물질의 상면위에 천공된 성형 필름을 융합시키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상기 특허는 개선된 포획성을 위해, 신체 대향면위에 비결합 창을 갖는 흡수제품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층들, 특히 최상부 액체 투과층 간에 개선된 결합을 갖는 흡수제품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되는 중에 지속적으로 부착되고 바람직하지 않은 뭉침 현상을 조절가능하게 방지하는 결합을 층들, 특히 최상부 액체 투과층 간에 갖는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수층으로의 액체 포획을 방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액체 투과층이 결합된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경우 보다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포획성을 위해 신체 대향면위에 비결합 창을 갖고 개선된 통합성을 제공하기 위해 결합 영역을 갖는 기저귀, 생리대, 팬티라이너, 성인 실금자용 장치 등과 같은 흡수제품이 제공된다.
흡수제품은 바람직하게는 천공된 열가소성 필름과 같은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면시이트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흡수코어; 및 하나 이상의 포획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생리대를 포함한다. 흡수코어는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다. 포획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섬유상 부직웹과 같은 물질을 한 층 이상 포함한다. 포획 구성요소는 상면시이트와 흡수코어 사이에 위치하는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상면시이트의 일부 또는 흡수코어의 일부를 차지할 수 있다. 상면시이트 및 포획 구성요소는 마주보는 관계로 위치하며, 상면시이트의 표면이 불연속적인 결합 영역에서 포획 구성요소의 표면에 고정된다. 불연속적인 결합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융합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결합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이격되어 있으며, 한 양태에서는 생리대의 액체 수용 대역에 있는 비결합 창을 제외하고는 생리대의 신체 대향면의 실질적으로 전체에 걸쳐 분포한다. 포획 구성요소가 결합되어 있는 상면시이트, 및 배면시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생리대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결되어 있다. 다른 양태에서, 특히 보다 두꺼운 생리대의 경우에, 결합 영역은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생리대의 신체 대향면의 몇몇 부분(예컨대, 생리대의 주 몸통부의 말단의 영역)에는 상기 결합이 없을 수 있다.
상면시이트와 포획 구성요소의 부착은 특히 전술한 목적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면시이트와 포획 구성요소의 표면 융합은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에도 상기 구성요소를 부착 상태로 유지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지속적인 부착은 하부 흡수층을 천공된 필름 상면시이트와 계속적으로 접촉되게 유지시킴으로써 액체가 하부 층으로 용이하게 흡수되게 한다. 비결합 창은 액체가 하부 창으로 포획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라이너, 성인 실금자용 장치 등과 같은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개선된 포획성을 위해 신체 대향면위에 비결합 창을 갖고 개선된 통합성을 위해 결합된 구성요소를 갖는 생리대 등과 같은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생리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리대의 선 2-2을 따라 취한 측부 횡단면도이다.
도 3은 플랩중 하나의 중심부를 통해, 도 1의 선 3-3을 따라 취한 측부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바람직한 결합 패턴을 나타내는 보다 두꺼운 생리대의 상면시이트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개선된 포획성을 위해 신체 대향면위에 비결합 창을 갖고 개선된 통합성을 위해 결합된 구성요소를 갖는 생리대, 팬티라이너, 실금자용 장치, 기저귀 등과 같은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리대(20)의 바람직한 양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흡수 수단(또는 "주 몸통부")(22) 및 2개의 선택적 플랩(24)을 포함한다. 생리대(20)는 2개의 표면, 즉, 신체 대향면 또는 "신체 표면"(20A) 및 가멘트 표면(20B)을 갖는다. 신체 표면(20A)에서 보았을 때의 생리대(2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신체 표면(20A)은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착용되도록 의도된다. 가멘트 표면(20B)은 생리대(20)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인접하게 놓이도록 의도된다.
생리대(20)는 2개의 중심선, 즉, 종방향 주 중심선(L) 및 횡방향 주 중심선(T)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종방향"이란 용어는 생리대(20)가 착용될 때 기립 착용자의 신체를 좌우로 반분하는 수직 평면과 대체로 나란한(예컨대, 대략적으로 평행한) 생리대(20) 평면에 있는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횡방향" 또는 "측방향"이란 용어는 서로 바꿔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종방향과 대체로 수직인 생리대(20) 평면에 있는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도 1은 생리대(20)의 주 몸통부(22)가 플랩(24)을 갖지 않는 생리대 부분을 구성함을 나타낸다. 주 몸통부(22)는 2개의 이격된 종방향 가장자리(26), 2개의 이격된 횡방향 또는 말단 가장자리(또는 "말단부")(28)를 가지며, 이들은 주 몸통부의 주변부(30)를 형성한다. 또한, 주 몸통부(22)는 제 1 말단 영역(32)과 제 2 말단 영역(34)으로 지칭되는 2개의 말단 영역을 갖는다. 중심 영역(36)은 말단 영역(32, 34) 사이에 배치된다. 말단 영역(32, 34)은 중심 영역(36)의 가장자리로부터 종방향 바깥쪽으로 주 몸통부 길이의 약 1/8 내지 약 1/3만큼 연장된다. 생리대의 중심 영역 및 2개의 말단 영역의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1987년 9월 1일자로 히긴스(Higgin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90,68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생리대(20)는 종방향 주 중심선(L)의 적어도 일부 길이를 따라 배치된 종방향 중심 영역(16), 및 종방향 중심 영역(16)의 횡방향 바깥쪽에 있는 종방향 측부 영역(18)을 갖는다.
생리대(20)의 주 몸통부(22)는 임의의 두께일 수 있어서, 예컨대 비교적 두껍거나, 중간 두께이거나, 비교적 얇거나, 매우 얇을 수 있다("초박형"). 오스본(Osbor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50,264호 및 미국 특허 제 5,009,65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초박형"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약 3㎜ 미만의 캘리퍼를 갖는다. 도면중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0)의 양태는 초박형 생리대의 한 예로 간주된다. 또한, 생리대(20)의 주 몸통부(22)는 비교적 가요성일 수 있어서, 착용자에게 안락감을 준다. 그러나, 도시된 생리대는 단순히 2개의 예시적인 양태일 뿐이며,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유형의 흡수제품 또는 도면에 도시된 특정 배치형태를 갖는 흡수제품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리대(20)의 주 몸통부(22)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생리대의 주 몸통부(22)는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의 주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들은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38),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40),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42) 및 하나 이상의 포획 구성요소(44)를 포함한다. 포획 구성요소(44)는 상면시이트(38)와 흡수코어(42) 사이에 위치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또는 복합 상면시이트의 일부 또는 흡수코어(42)의 일부를 차지할 수 있다. 생리대(20)의 구성요소는 본원에 기재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면시이트(38)는 액체(예: 생리혈 및/또는 뇨)가 그 두께를 통해 쉽게 투과하도록 하는 액체 투과성 구성요소이다. 상면시이트(38)는 바람직하게는 가능한한 순응적이고 느낌이 부드럽고 착용자 피부에 비자극성이다. 적합한 상면시이트(38)는 직물 및 부직물; 천공된 성형 열가소성 필름,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및 하이드로포밍된(hydroformed) 열가소성 필름과 같은 중합성 물질; 다공성 포움; 망상구조 포움; 망상구조 열가소성 필름; 및 열가소성 스크림과 같은 광범위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직물 및 부직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천연 섬유(예: 목재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예: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와 같은 중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상면시이트 유형은 천공된 성형 필름을 포함한다. 천공된 성형 필름은 신체 분비물에 투과성이고, 적절히 천공된 경우에는 액체가 다시 새어나와 착용자 피부를 재습윤시키는 경향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면시이트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신체와 접촉하는 성형 필름의 표면은 건조한 채로 있으며, 따라서 신체가 더러워지는 경향을 감소시키고 착용자에게 보다 안락한 느낌을 준다. 적합한 성형 필름이 1975년 12월 30일자로 톰슨(Thompson)에게 허여된 "Absorptive Structures Having Tapered Capillarie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3,929,135호, 1982년 4월 13일자로 뮬란(Mullane) 등에게 허여된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Strain Resistant Topsheet"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324,246호, 1982년 8월 3일자로 라델(Radel) 등에게 허여된 "Resilient Plastic Web Exhibiting Fiber-Like Propertie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342,314호; 1984년 7월 31일자로 아르(Ahr) 등에게 허여된 "Macroscopically Expanded Three-Dimensional Plastic Web Exhibiting Non-Glossy Visible Surface and Cloth-Like Tactile Impression"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463,045호, 1987년 1월 20일자로 퀼렛트(Quellette) 등에게 허여된 "Macroscopically Expanded Three-Dimensional Polymeric Web for Transmitting Both Dynamically Deposited and Statically Contacted Fluids From One Surfaces to the Other"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37,819호, 1988년 10월 25일자로 팔룸보(Palumbo)에게 허여된 "Covering Structure For Absorbent Hygienic Sanitary Products, and an Absorbent Product Having Such A Covering"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780,352호, 1991년 4월 9일자로 베어드(Baird)에게 허여된 "Multilayer Polymeric Film"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006,394호, 및 1995년 5월 31일자로 퀼레트 등의 명의로 출원된 "Fluid Transport Webs Exhibiting Surface Energy Gradient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원 제08/442,935호(1996년 1월 11일자로 공개된 PCT 공개공보 WO96/00548호)에 기재되어 있다.
"세공" 또는 "천공된"이란 용어는 필름 층을 통해 한 표면으로부터 다른 표면으로의 통로를 발생시키는 구멍 및/또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세공은 모두 동일한 크기와 형상이거나, 또는 상이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공은 일부에 편재되어 있거나, 또는 필름(38)의 전체 표면에 걸쳐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세공이 편재화되어 있는 경우, 필름의 천공되지 않은 2개의 종방향 측부를 분리시키는 종방향 중심부 또는 스트립 형태로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체 상면시이트는 필름으로부터 제조되거나, 또는 종방향 중심부가 필름으로부터 제조되고 종방향 측부가 섬유상 부직 웹과 같은 다른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천공된 필름(38)은 다수의 적합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천공된 필름(38)을 형성할 수 있는 적합한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공중합체 및 블렌드(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를 비롯하여,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을 포함한다. 특정 중합체는 폴리에틸렌(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형적으로, 천공된 필름(38)은 약 0.025 내지 약 1.0㎜ 두께를 가지며, 천공된 필름(38)의 표면적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40%의, 세공으로 인한 개구 영역 비율을 갖는다. 개구 영역 비율은 단위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단위 영역에 있는 전체 개구 영역의 표면적을 계산한 다음, 전체 개구 영역을 특정 단위 영역의 전체 표면적으로 나누고, 이어서 100을 곱하여서 개구 영역 비율을 얻음으로써 계산된다. 세공의 크기 및 수는 천공된 필름(38)을 통해 운반되는 체액의 점도 및 다른 특성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면시이트(38)의 신체 표면은 친수성이어서, 액체가 상면시이트를 통해 보다 쉽게 이동한다. 이는 생리혈이 흡수코어로 유입되어 흡수코어에 흡수되지 않고, 그 대신 상면시이트에서 흘러넘치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상면시이트(38)의 신체 표면은 계면활성제로 처리됨으로써 친수성으로 될 수 있다. 상면시이트를 계면활성제로 처리하는 적합한 방법이 오스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50,254호에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면시이트(38)는 라델(Rade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42,314호 및 아르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63,045호에 따라 제조된 천공된 성형 필름을 포함하며, 이들은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에 의해 드라이-위브(DRI-WEAVE) 상면시이트로서 생리대 시장에서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천공된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미국 인디아나주 테레호테 소재의 트레데가 필름 프로덕츠(Tredegar Film Products)로부터 제품번호 X-5652로서 수득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제조 동안에 천공된 필름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가 혼입된 채로 제공된다.
포획 구성요소(또는 "포획층")(44)는 상면시이트(38) 하부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층" 또는 "웹"이라는 용어는 비절첩된 단일 시이트, 절첩된 시이트, 물질 스트립, 성긴 또는 결합된 섬유, 물질 다겹층 또는 라미네이트, 또는 이러한 물질의 다른 조합물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들 두 용어는 물질의 비절첩된 단일 층 또는 시이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획 구성요소(44)는 상면시이트(38) 아래에 공극을 제공하여서, 생리대가 상면시이트(38)를 통해 액체를 끌어들이는 능력을 증가시킨다. 본원에 기재된 바람직한 양태에서, 포획 구성요소(44)는 바람직하게는 측방향 압축력에 대한 탄성을 제공하여서, 생리대(20)의 뭉침을 더욱 잘 방지하였다. 포획 구성요소(44)는 상면시이트(38)의 세공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은 효과적인 평균 세공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포획 구성요소(44)는 액체 투과성이어야 한다. 또한, 포획 구성요소(44)는 바람직하게는 순응적이고 촉감이 부드럽고 사용자 피부에 비자극성이다. 포획 구성요소(44)는 신체 대향 표면(또는 면) 및 가멘트 대향 표면을 갖는다. 포획 구성요소(44)는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양태에서, 포획 구성요소(44)는 생리대(20)의 주 몸통부(22)위에 놓인 생리대 부분(38)에서처럼, 약간 오목한 측부 가장자리를 갖는 경주트랙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포획 구성요소(44)의 치수는 상면시이트(38)만큼 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다 두꺼운 생리대의 경우, 포획 구성요소는 흡수코어(42)보다 작은 물질 형태일 수 있다.
포획 구성요소(44)는 상면시이트(38)가 융합될 수 있는, 상기 목적에 적합한 임의의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포획 구성요소(44)는 예컨대 직물 또는 부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섬유 또는 상기 물질의 다른 구성요소는 합성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는 합성이고 부분적으로는 천연일 수 있다. 적합한 합성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비스코스 레이온 또는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섬유를 포함한다. 적합한 천연 섬유는 면, 셀룰로즈 또는 다른 천연 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포획 구성요소(44)는 가교결합된 셀룰로즈 섬유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포획 구성요소(44)는 부직물인 경우 다수의 상이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공기 적층, 습윤 적층, 용융 취입, 스펀결합, 카딩, 열 결합, 공기에 의한 결합, 파우더 결합, 라텍스 결합, 용매 결합, 스펀레이스 및 이들을 조합한 방법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합한 열 결합된 습윤 적층 부직 웹(간결하게 "TBOWL"이라 칭할 수 있다)이 1996년 8월 27일자로 호니(Horney) 등에게 허여된 "Fluid Distribution Member for Absorbent Articles Exhibiting High Suction and High Capacity"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549,589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양태에서, 포획 구성요소(44)는 바람직하게는 2개 물질의 라미네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라미네이트의 최상부 층(또는"제 2 상면시이트")(46)은 바람직하게는 미국 와싱톤주 와쇼우갈 소재의 화이버웹, 노쓰 아메리카(Fiberweb, North America)로부터 수득되는 제품번호 065MLPV60U(또는 "P-9")로 명명되는 스펀결합된 폴리프로필렌 부직물 19g/yd2(22.5g/㎡)을 포함한다. 최상부 층은 689dynes/㎠(0.01psi)에서 측정될 때 바람직하게는 약 11.2cc/g의 공극 체적을 가지며, 모세관 장력에 대한 라플레이스/와쉬번(Laplace/Washburn) 수학식을 사용하여 측정될 때 약 60 내지 약 70μ의 평균 세공 크기를 갖는다.
라미네이트의 하부 층(또는 "제 3 상면시이트")(48)은 바람직하게는 파우더 결합 및 라텍스 결합을 이용하여 열 결합되는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물질은 셀룰로즈 섬유 약 77%, 파우더 결합제 약 20% 및 라텍스 피복물 약 3%(웹의 각 면에 1.5% 분무)을 포함하고, 약 50g/yd2(약 60g/㎡)의 기본 중량을 갖는다. (달리 표기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의 모든 비율은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이러한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캐나다 브리티쉬 콜럼비아 델타 소재의 머핀 하이지닉 프로덕츠 리미티드(Merfin Hygienic Products, Ltd.)로부터 제품번호 90830X312로서 수득된다.
상기 2개 층은 바람직하게는 스펀결합된 폴리프로필렌 부직물위에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물질을 침착시킴으로써 라미네이팅된다. 스펀결합된 물질은 상기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가공조제 또는 캐리어 웹으로서 사용된다. 라미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68.9Pa 압력에서 측정될 때 약 1.2㎜의 캘리퍼를 가지며, 689dynes/㎠에서 측정될 때 약 13.6cc/g의 공극 체적을 갖는다. 포획 구성요소(44)는 바람직하게는 친수성이다. 포획 구성요소(44)는 흡수코어보다 더 친수성이거나, 또는 흡수코어와 동일한 친수성을 가질 수 있다. 원하는 경우, 포획 구성요소(44)는 계면 활성제로 처리되어서 보다 더 친수성으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포획 구성요소(44)는 흡수코어와 동일한 친수성을 갖는다.
다른 양태에서, 스펀결합된 폴리프로필렌 부직물은 보다 큰 기본평량 또는 보다 적은 기본평량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공기 적층된 티슈, 습윤 적층된 티슈 또는 전술된 임의의 물질로 대체될 수 있다. 습윤 적층된 티슈가 폴리프로필렌 부직물 대신에 사용되는 경우, 라미네이트의 배향은 바람직하게는 완성된 제품에서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 부직물이 습윤 적층된 티슈층위에 놓이도록 바뀐다. 보다 두꺼운 생리대의 경우, 전술된 임의의 포획 구성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한 바람직한 보다 두꺼운 생리대 양태에서, 저밀도의 라텍스 결합된 공기 적층된 물질이 완전한 포획 구성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즉, 제 3 상면시이트가 필요하지 않다). 상기 목적에 적합한 저밀도의 라텍스 결합된 공기 적층된 물질은 미국 노쓰 캐롤라이나주, 마운트 홀리 소재의 왈키소프트, 유에스에이(Walkisoft, USA)에서 구입된 제품번호 FG413MHB로 알려진, 약 80g/㎡의 기본 중량을 갖는 물질이다.
상면시이트(38)는 포획 구성요소(44)에 융합되는 것으로 본원에 대략 기재되어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모든 가능한 양태를 동시에 설명하는 것보다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를 논의하는 것이 더 쉽다.) 상면시이트(38)는 하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에 융합될 수 있다. 광의의 측면에서, 상면시이트는 하부 제 2 구성요소에 융합된 제 1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 2 구성요소는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또는, 제 2 구성요소는 또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 예컨대 상면시이트의 일부, 코어의 일부 또는 기타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일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서, 포획 구성요소(44)는 완전히 제외될 수 있다. 포획 구성요소(44)가 코어(42)의 통합 층이거나 또는 완전히 제외된 양태에서, 상면시이트(38)는 흡수코어(42)의 일부에 융합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포획 구성요소(44)를 갖지 않는 양태에서, 흡수코어(42)는 상면시이트(38)가 융합될 수 있는 적어도 일부 섬유 유형(바람직하게는 합성 섬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충분량의 상기 섬유가 바람직하게는 흡수코어(42)의 신체 대향 표면 근처에 위치하여서 융합을 쉽게 한다. 다르게, 흡수코어(또는 하부 다른 구성요소)가 파우더 결합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면시이트(38)는 흡수코어(42)(또는 상기 하부 구성요소)에 있는 파우더 결합제에 융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양태에서, 포획 구성요소(44)는 바람직하게는 천공된 필름(38)과 포획 구성요소, 즉, 라미네이트(44)의 표면을 융합 결합시킴으로써 천공된 필름 상면시이트(38)에 연결된다. 이들 구성요소는 생리대(20)의 신체 대향면(20A)상에서 "결합 영역"(50)을 형성하는 표면 영역에서 결합된다.
상면시이트(38)와 라미네이트(44)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불연속 결합 영역(또는 "결합부")(52)에서 결합된다. (그러나, 개별 결합(52)중 하나 이상이 이격되어 불연속적이지 않도록 접촉된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양태에서, 결합 영역(52)은 바람직하게는 생리대의 액체 수용 대역내의 비결합 창(54)을 한정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생리대(20)의 신체 대향면(20A)상에 이격되어 분포되어 있다.
불연속 결합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융합 결합(52)을 포함한다. 융합은 열 및/또는 압력 결합, 초음파 결합, 동적 기계적 결합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압력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 예컨대 결합시킬 구성요소를 역회전(counter-ratating) 롤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물질을 모루(anvil)상에 놓은 후 압반을 물질위로 하향 진행시키고, 진공 압력을 적용시키는 등에 의해 가해질 수 있다. 상면시이트(38)를 포획구성요소(44)에 융합시키는데 사용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적합한 수단이 하기 특허중 적어도 일부에 기재되어 있다: 섀퍼(Schaefer) 등의 미국 특허 제 4,430,148호, 키에비트(Kievit) 등의 미국 특허 제 4,515,595호, 퍼슨(Persson) 등의 미국 특허 제 4,531,999호, 래쉬(Lash)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10,189호와 미국 특허 제 4,808,252호, 윌하이트 주니어 등의 미국 특허 제 4,823,783호, 볼(Bal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54,984호와 미국 특허 제 4,919,756호, 및 1992년 9월 14일자로 크리(Cree) 등의 명의로 출원되어 허여된 미국 특허원 제07/944,764호(모 출원은 1993년 6월 24일자로 PCT 공개공보 WO93/11725호로 공개되었다).
융합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일정 패턴으로 배치된 다수의 개별적인 융합 결합(52)을 포함한다. 결합(52)은 많은 상이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과 도 4는 2개의 특히 바람직한 결합 패턴을 나타낸다. 패턴을 구성하는 개별적인 결합(52)은 임의의 정단면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결합(52)은 직선, 곡선, 기하학적 형상(예: 원, 사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형 등)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양태에서, 융합 결합(52)은 다수의 원형 결합을 포함한다.
융합 결합(52)은 임의의 적합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생리대의 신체 대향면(20A)에 적합한 밀도 범위로 분포될 수 있다. 융합 결합(52)은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3㎜의 직경을 갖는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생리대(20)에서, 융합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2.0㎜의 직경을 갖는다. 상기 범위의 크기를 갖는 융합 결합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드라이-위브 천공된 필름 상면시이트 물질의 경우에 그러하다.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융합 결합(52)을 제공하면 제조상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약 1㎜ 미만 직경의 표면적을 갖는 요소에 의해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가압은 천공된 필름 상면시이트 물질에 구멍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 3㎜ 이상의 직경을 갖는 융합 결합(52)을 제공하면, 소비자가 천공된 필름 상면시이트 물질을 받아들이는 측면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천공된 필름은 단지 한 방향으로만 액체가 통과하도록 설계된다. 보다 큰 크기를 갖는 결합을 제공하면, 액체가 압력을 받아 "압착되어 나와" 결합을 통해 다시 새어나오므로 착용자 피부를 재습윤시키기 쉽다고 간주된다.
융합 결합(52)의 가장자리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방향에서 약 0.5㎜ 이상만큼 이격되어 있다. 또한, 보다 밀접한 결합 간격은 천공된 필름의 구조를 내려앉게 하여 재습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융합 결합(52)은 바람직하게는 생리대의 성능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생리대의 부드러움 및 흡수능을 더 강하게 인지하도록 하는 밀도로 분포된다. 약 15 내지 80개 결합/9㎠의 결합 밀도(개구 구역의 영역을 포함함)가 상기 목적에 특히 바람직하다. 보다 낮은 결합 밀도는 사용자에게 보다 낮은 흡수능을 인지시키기 쉽다. 보다 높은 결합 밀도는 흡수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합 밀도는 생리대의 전체 표면상에서 균일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도 1과 도 4로부터, 상기 범위의 상한치의 결합 밀도를 갖는 비결합 창(54)을 둘러싸는 폐쇄형 기하학적 구조물(하기에 기술됨)과 같은 생리대 표면위 영역이 있고, 또한 상기 범위의 하한치의 결합 밀도를 갖는 다른 영역이 있음을 인식한다. 융합 결합(52)은 바람직하게는 하부 흡수층의 대부분의 위에 놓인 생리대 표면 영역중 약 5 내지 약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12%를 차지한다.
도 1에 도시된 양태에서, 원형 결합(52)은 생리대의 액체 수용 대역에 있는 비결합 창(54)을 제외하고는 생리대의 주 몸통부의 실질적으로 전체 신체 표면(20A) 상에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보다 두꺼운 생리대의 양태에서, 결합(52)은 생리대의 액체 수용 대역에 있는 비결합 창(54)을 제외하고는 포획 구성요소(44)(직사각형 패치 형태이다)위에 놓인 생리대(20)의 주 몸통부(22) 부분의 실질적으로 전체에 분포될 수 있다.
액체 수용 대역은 착용자의 회음부 아래에 놓이는 생리대 부분이다. 바람직하게, 비결합 창(54)의 영역은 적어도 착용자의 회음부와 동일한 크기이거나 또는 이보다 크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역은 횡방향으로 약 1㎝보다 큰 너비 및 약 5㎝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비결합 창(54)의 크기는, 비결합 창(54) 영역내의 결합 부재로 인해 천공된 필름(38)이 상기 영역 하부 포획 구성요소(44)와의 접촉으로부터 인지되게 분리될 정도로 커서는 안된다. 도 1에 도시된 생리대(20)에서, 비결합 창(54)은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및 횡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한다. 그러나, 다른 양태에서, 특히 생리대가 횡방향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 형상을 갖는 양태에서, 비결합 창(54)은 횡방향 중심선에 대해 앞쪽으로 또는 뒤쪽으로 치우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양태에서, 비결합 창(54)은 폐쇄형 기하학적 구조물(56)의 배치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융합 결합(52)에 의해 한정된다. 폐쇄형 기하학적 구조물(56)은 비결합 창(54) 주위에 안쪽으로 오목하게 배향된 마주보는 다수의 곡선으로 배치된 다수의 융합 결합(5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구조물의 너비 또는 횡방향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가장 좁은 지점에서 약 0.75인치(약 1.9㎝)이다. 상기 구조물의 길이 또는 종방향 치수는 생리대(20)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측정될 때 바람직하게는 약 3.5인치(약 8.9㎝)이다.
폐쇄형 기하학적 구조물을 형성하는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종방향으로 배향된 오목한 선(56A)을 포함한다. 종방향으로 배향된 오목한 선(56A)은 바람직하게는 두 열의 결합(인접한 결합(52) 열이 나란히 배치된다)을 각각 포함한다. 이들 결합(52)은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근접하게 이격되어 있다. 이들 결합(52)은 필요시에는 종방향으로 액체가 위킹되게 설계되어 분비물, 특히 생리혈의 횡방향 유입을 막는 차단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생리혈은 생리대(20)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26)에 접근하지 않게 된다. 비결합 창(54)을 둘러싼 폐쇄형 기하학적 구조물의 말단은 첨단(cusp) 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곡선(56B)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단 형상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2개의 아치의 교차점이 생리대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놓인다. 또한, 첨단 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상기 곡선(56B)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두 열의 결합을 포함하지만, 상기 결합은 엄밀히 나란한 패턴은 아니다.
또한, 폐쇄형 기하학적 구조물(56)의 종방향 및 측방향 바깥쪽에도 결합(52)이 존재한다. 융합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비결합 창(54)을 둘러싼다. 융합 결합(52)은 바람직하게는 생리대(20)의 제 1 말단 영역(32), 제 2 말단 영역(34) 및 종방향 측부 영역(18)에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양태에서, 비결합 창(54) 바깥쪽의 융합 결합(52)은 임의의 둘레 밀봉부 안쪽에 있는 생리대의 주 몸통부(24)의 신체 대향면(20A)의 실질적으로 전체에 걸쳐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결합(52)은 다수의 적합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결합은 "누빔 패턴(quilted pattern)"을 형성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결합(52)은 다이아몬드 형상의 구조물(57A)로 배치된 다수의 원형 결합을 포함하는 패턴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아몬드 형상의 구조물(57A)을 형성하는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한 구조물(57B)을 형성하는 다수의 결합을 에워싼다. 상기 폐쇄된 에워싸인 구조물(57B)은 변형된(또는 둥근 모서리의) 다이아몬드 형상 내지는 타원형일 수 있다. 종방향 측부 영역(18)에는,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다이아몬드 형상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만이 존재한다. 프로세싱의 이유로, 누빔 패턴의 결합의 대부분은 결합 반지름에 3근을 곱한 값의 거리만큼 종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획 구성요소(44)는 접착제에 의해 상면시이트(3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접착제는 상면시이트(38)와 포획 구성요소(44) 사이의 전체 접촉면에 분포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제가 비결합 창(54) 영역내의 2개 구성요소 사이에는 도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적합한 접착제가 상기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습윤 강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습윤 강도 접착제는 액체 존재하에 결합능을 유지하는 것이다. 적합한 습윤 강도 접착제가 1995년 10월 24일자로 드라구(Dragoo)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460,622호에 개시되어 있다.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접착제는 액체가 상면시이트로부터 하부 포획층 또는 하부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접착제의 용융취입 섬유, 또는 접착제의 패턴화된 층, 분리된 선, 나선 또는 점 배열과 같이 접착제가 균일한 연속층에 적용될 수 있다. 접착제 부착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1986년 3월 4일자로 미네톨라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73,986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개방 패턴 망상구조의 접착제 필라멘트, 또는 1975년 10월 7일자로 스프라그, 주니어(Sprague, J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11,173호, 1978년 11월 22일자로 지엑커(Zieck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85,996호 및 1989년 6월 27일자로 웨레닉쯔(Werenicz)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42,666호에 기재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예시된 것처럼 나선형 패턴으로 감긴 여러 선의 접착제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개방 패턴 망상구조의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신체 대향면(20A)의 실질적으로 전체 표면에 걸쳐 있는 상면시이트(38)의 밑면에 포획 구성요소(44)를 결합시키는 것은 여러 잇점을 제공한다. 포획 구성요소(44)를 상면시이트에 결합시키면 흡수 구성요소가 상면시이트에 일정하게 접촉되므로 개선된 포획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은, 하부 흡수 구성요소로부터 상면시이트가 분리되는 것과 상면시이트가 착용자 신체의 홈으로 이동하여 불편하게 만드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층간의 부착 강도는 현재 시판중인 올웨이즈 울트라(ALWAYS ULTRA) 생리대의 접착제로 부착된 층에 비해 개선되었다. 포획층을 포함하는 물질의 상기 부착성 및 탄성 증가로 인해, 생리대(20)는 사용중에 바람직하지 않게 뭉치는 경향이 감소되었으며, 따라서 착용자 팬티의 최대 영역을 도포할 수 있다(즉, "영역 도포 정도"가 개선되었다). 보다 두꺼운 생리대의 경우, 생리대의 통합성은 습윤 조건하에서 에어펠트 흡수코어를 갖는 얇은 생리대에 비해 크게 개선된다. 전형적으로, 에어펠트 코어를 갖는 생리대에서, 에어펠트는 습윤시에 내려앉고 아래로 꺼지고/꺼지거나 공 형태 또는 보다 단단한 영역을 형성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조물을 갖는 보다 두꺼운 생리대의 경우, 생리대를 뭉치게 하는데 필요한 힘은 생리대가 습윤 상태 또는 건조한 상태인가에 상관없이 매우 비슷하다. 이는 습윤 조건 또는 건조 조건에서 뭉침에 대한 저항성이 유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비결합 창(54)은 결합이 존재하여 발생되는 액체 포획 방해를 없애고 생리대의 액체 취급 수용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결합 영역을 갖지 않는 액체 수용 대역내의 일정 영역을 생리대(20)의 신체 대향면(20A)에 제공한다.
흡수코어(42)는 포획 구성요소(42) 하부다. 흡수코어(42)는 액체(예: 생리혈 및/또는 뇨)를 흡수하거나 보유할 수 있는 임의의 흡수 수단일 수 있다. 흡수코어(42)는 신체 대향 표면, 가멘트 대향 표면, 측부 가장자리 및 말단 가장자리를 갖는다. 흡수코어(42)는 광범위한 크기와 형상(예: 직사각형, 타원형, 누각형, 개뼈형, 비대칭형)로 제작될 수 있다. 도면중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양태에서, 흡수코어(42)는 직사각형이며, 포획 구성요소(55)의 주변부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양태에서, 흡수코어(42)는 개뼈 형상이며, 포획 구성요소(44)보다 더 크다.
흡수코어(42)는 생리대 및 기타 흡수제품에서 흔히 사용되는 광범위한 액체 흡수 물질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적합한 흡수물질의 예는 일반적으로 에어펠트라 불리는 분쇄된 목재 펄프; 크레이핑된 셀룰로즈 왜딩; 코폼(coform)을 비롯한 용융취입된 중합체; 화학적으로 보강된, 변형된 또는 가교결합된 셀룰로즈 섬유; 합성 섬유(예: 크림핑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피트 모쓰; 티슈 랩 및 티슈 라미네이트를 비롯한 티슈; 흡수성 포움; 흡수성 스폰지; 초흡수성 중합체; 흡수성 겔화 물질; 또는 임의의 등가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의 조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흡수코어의 배치형태 및 구조도 다양할 수 있다(예컨대, 흡수코어는 다양한 캘리퍼 대역(예컨대, 중심에서 보다 두꺼운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친수성 구배, 초흡수성 구배, 또는 저밀도 및 보다 적은 평균 기본중량의 포획 대역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층 또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흡수코어의 전체 흡수능은 적재 디자인 및 생리대의 목적 용도에 적합해야 한다. 또한, 흡수코어의 크기 및 흡수 수용능은 실금자용 패드, 팬티라이너, 표준 생리대 또는 취침용 생리대와 같은 상이한 용도를 허용하도록 다양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양태에서, 흡수코어(42)는 바람직하게는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물질은 셀룰로즈 섬유 약 50 내지 약 70%, 이성분 섬유 약 12 내지 약 20%, 초흡수성 하이드로겔-형성 물질(또는 흡수성 겔화 물질) 입자 약 10 내지 약 30% 및 라텍스 약 3%를 포함한다. 흡수 코어(42)는 바람직하게는 68.9Pa의 압력하에서 약 1.5㎜의 캘리퍼를 가지며, 흡수성 겔화 물질 입자를 포함하여 약 125g/yd2(약 150g/㎡)의 기본 중량을 갖는다(그러나, 보다 높은 기본 중량의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흡수코어(42)는 셀룰로즈의 3개 스트림과 이성분 섬유를 침착시키고, 흡수성 겔화 물질 입자(58)를 섬유의 마지막 스트림과 함께 층화시켜 흡수코어의 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흡수코어(42)는 도 2와 도 3의 라미네이트로서 도시되는 반면, 섬유는 블렌딩되어서 단일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머핀 하이지닉 프로덕츠로부터 제품 번호 915000X313로서 롤 형태로 구입된다.
다른 양태에서, 흡수코어에 사용되는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물질은 라텍스 이외의 다른 몇몇 물질(예컨대, 전분 또는 PVA)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서, 흡수코어는, 바람직하게는 약 150g/㎡의 기본 중량을 가지며 흡수성 겔화 물질 입자가 삽입된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부직물로 이루어진 2개(또는 그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로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라미네이트 흡수코어 구조물이 오스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50,264호와 미국 특허 제 5,009,653호, 에메네이커(Emenak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460,623호에 대체로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적합한 흡수코어가 1993년 9월 16일자로 힌즈(Hines) 등의 명의로 출원된 "Sanitary Napkin Having Core Predisposed To A Convex Upward Configuration"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원 제 08/122,114호(1995년 3월 23일자로 공개된 PCT 공개공보 WO95/07674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양태 또는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서, 흡수코어(42)는 가요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흡수코어(42) 또는 포획 구성요소(44)에 하나 이상의 슬릿, 세공, 엠보싱 또는 새김선(score line)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조물 유형은 바람직하게는 생리대의 종방향 주 중심선에 대한 가요성을 증가시키도록 배치된다. 슬릿, 세공, 엠보싱 또는 새김선은 임의의 적합한 배치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배치형태는 직선, 곡선, 슬릿, 점, V형 패턴, W형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슬릿, 세공, 엠보싱, 새김선 또는 이들의 조합은 전술된 라미네이트 흡수코어중 임의의 층에 제공될 수 있다. 흡수코어(42)의 가요성을 증가시키는 구조물중 한 예는 생리대의 종방향 주 중심선을 따라 흡수코어에 있는 새김선이다.
보다 두꺼운 생리대의 경우, 흡수코어(42)는 바람직하게는 에어펠트로 구성된다. 보다 두꺼운 생리대에 적합한 흡수코어가 스넬러(Snell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34,422호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면시이트(38), 포획 구성요소(44) 및 흡수코어(42)는 스넬러 등의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 처리된 패널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엠보싱 처리된 채널(59)이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비결합 창(54)의 측부를 한정하는 종방향으로 배향된 오목한 선(56A)의 측방향 바깥쪽으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시이트(40)는 흡수코어(42)에 흡수되어 봉쇄된 분비물이, 생리대와 접촉하는 제품, 예컨대 바지, 파자마 및 언더가멘트를 적시지 않게 한다. 배면시이트(40)는 바람직하게는 액체가 흐르는 것을 막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액체(예: 생리혈 및/또는 뇨) 불투과성이다. 배면시이트(40)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물질로 제작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가요성"이란 용어는 인체의 일반적인 형태 및 윤곽에 순응되고 쉽게 정합되는 물질을 말한다. 배면시이트(40)는 직물, 부직물, 중합성 필름(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열가소성 필름) 또는 복합 물질(예: 필름-피복된 부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면시이트(40)는 약 0.012㎜(0.5밀) 내지 약 0.051㎜(2.0밀)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이다. 배면시이트(40)는 엠보싱 및/또는 매트 처리되어서 직물과 보다 유사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면시이트(40)는 증기가 흡수코어(42)로부터 빠져나가게 하는 반면(즉, 통기성), 분비물이 배면시이트(40)를 통과하는 것을 막는다. 적합한 배면시이트 물질은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클로페이 코포레이션(Clopay Corporation)에서 제품 번호 18-1401로서 구입된다. 적합한 통기성 배면시이트 물질은 톰슨(Thomp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29,13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천공된 필름의 라미네이트이며, 상기 라미네이트는 위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모세관의 작은 개구가 엑손(Exxon)의 미국 특허 제 4,777,07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접착제에 의해 미세다공성 필름에 라미네이팅된 흡수코어(42)를 향하도록 위 아래가 바뀐다.
상면시이트(38), 포획 구성요소(44), 배면시이트(40) 및 흡수코어(42)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배치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적층된 또는 "샌드위치" 배치형태를 갖거나, 랩핑된 또는 "튜브형" 배치형태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샌드위치 구조로 조합된 생리대(20)의 바람직한 양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는 흡수코어(42)보다 일반적으로 더 큰 길이 및 너비 치수를 갖는다.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는 흡수코어(42)의 가장자리를 지나 연장되어 주변부(30)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면시이트(38)의 가멘트 대향면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획 구성요소(44)의 신체 대향면에 연결된다. 포획 구성요소(44)는 필요시에 흡수코어(4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가 연결되는 경우, 이는 상면시이트(38)를 포획 구성요소(44)에 연결시키기 위해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양태에서, 포획 구성요소(44)는 흡수코어(42)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배면시이트(40)는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에 의해 흡수코어의 가멘트 대향면에 연결된다.
또한, 흡수코어(42)와 포획 구성요소(44)의 가장자리를 지나 연장되는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의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연결된다.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의 상기 부분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한 요소를 다른 요소에 직접 부착시킴으로써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고정되는 배치형태; 한 요소를 중간 부재에 부착시키고 이를 다시 다른 요소에 부착시킴으로써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간접 고정되는 배치형태; 및 한 요소가 다른 요소와 통합되어 있는 배치형태, 즉, 한 요소가 본질적으로 다른 요소의 일부인 배치형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양태에서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의 상기 부분은 흡수코어(42)의 가장자리, 및 주 몸통부의 말단 가장자리(28)에 있는 크림프 밀봉부(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가 압력 또는 열과 압력의 적용에 의해 밀접하게 된다)를 지나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전체 부분에 걸쳐 접착제에 의해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 몸통부(22)에 연결된 임의의 플랩(24) 한 쌍을 포함한다. 플랩(24)은 주 몸통부(22)의 근위 가장자리(60)로부터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26)를 지나 원위 가장자리(또는 "자유 말단")(62)까지 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플랩(24)은 주 몸통부(22)의 적어도 중심 영역(3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플랩(24)은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에 의해 전반부(64) 및 후반부(66)로 나뉘어진다.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은 생리대의 횡방향 주 중심선(T)과 일치할 수 있으나,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은 아니다.
플랩(24)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주 몸통부(22)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양태에서, 플랩(24)은 주 몸통부(22)와 통합되어 있다(즉, 플랩(24)은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의 통합된 연장부를 구성한다).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서, 플랩(24)은 주 몸통부(22)에 연결된 분리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24)은 접합부를 따라 주 몸통부(22)에 연결된다(또는 회합된다). 이는 전형적으로 종방향으로 배향된(또는 "종방향성") 접합부이며, 예컨대 접합선(68)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접합부"(또는 "접합선")이란 용어는 플랩(24)이 주 몸통부(22)로부터 연장된 영역 또는 플랩(24)이 주 몸통부(22)에 연결된 영역을 말한다. 도면에 예시된 양태중 접합선(68)은 안쪽으로 배향된 오목한 영역 또는 선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플랩(24)은 임의의 적합한 배치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플랩은 반 틸버그(Van Tilburg)에게 허여된 "Sanitary Napkin"이라는 명칭의 재심사된 특허 제 B1 4,589,876호(1993년 4월 27일자의 재심사 증명서); 1987년 8월 18일자로 반 틸버그에게 허여된 "Shaped Sanitary Napkin With Flap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87,478호; 1995년 2월 14일자로 라바쉬 등에게 허여된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and Zones of Differential Extensibility"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89,094호; 1996년 9월 24일자로 와인버거(Weinberger) 등에게 허여된 "Absorbent Article Having Undergarment Covering Components With Zones of Extensibility"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558,663호(이는 착용자에 의해 적용되는 플랩의 대안물을 개시한다); 및 래쉬(Lash) 등의 명의로 1996년 10월 3일자로 출원된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Step Configuration and Zones of Extensibility"라는 명칭의 국제특허출원 PCT US96/15957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0)는 주 몸통부(22)와 적어도 일부 플랩(24) 사이에 힌지(70)를 형성하는 변형된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플랩(24)이 팬티 가랑이 주위로 절첩될 때에 팬티(24)에 대한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신장성 대역(또는 "차별적 신장성 대역")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물이 각각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에서, 힌지(70)는 대체로 종방향으로 배향된, 기계적으로 변형된 영역을 포함한다. 힌지(70)는 플랩(24)이 휘거나 절첩되어지는 바람직한 휨 축을 발생시키기 위해 가요성이 증가된 생리대(20) 영역을 제공한다. 힌지(70)는 바람직하게는 주 몸통부(22)와 플랩(24)의 접합부(68)에 따르는 영역에 위치한다. 힌지(70)는 주 몸통부와 플랩의 전체 접합부(68)에 따라 연장되거나, 또는 그중 일부만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힌지(70)가 접합부(68)의 일부만을 따라 제공되어 있는 경우, 힌지(70)는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을 둘러싸며 이를 포함하는 생리대(20) 영역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70)는 측방향으로 가장 안쪽인 근위 경계부(70A) 및 가장 바깥쪽인 원위 경계부(70B)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양태에서, 힌지(70)의 적어도 가장 안쪽의 경계부(70A)는 바람직하게는 플랩(24)의 원위 가장자리에 대해 안쪽으로 오목하다.
힌지(70)는 생리대의 원하는 영역에 가요성을 증가시키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힌지(70)는 생리대의 원하는 영역을 기계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생리대 영역에 신장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많은 공정이 힌지(70)에 대해 선택된 생리대 영역의 가요성을 증가시키기에도 특히 적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예컨대, 힌지(70)는 예비 파형(또는 "링-롤링")으로 기재되는 공정 또는 생리대의 원하는 부분에 변형가능한 망상구조를 형성시킴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링 롤링에 적합한 방법이 1978년 8월 15일자로 시슨(Sis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107,364호, 1992년 9월 1일자로 웨버(Gerald M. Web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43,679호, 1992년 10월 20일자로 부엘(Kenneth B. Buel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56,793호 및 1992년 12월 1일자로 웨버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67,897호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70)는 플랩(24)과 주 몸통부(22)의 접합부(68)를 따라 변형가능한 망상구조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제공된다. 변형가능한 망상구조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조물이 1996년 5월 21일자로 채펠(Chappel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18,801호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변형가능한 망상구조"란 용어는 소정의 방향으로 유용한 정도로 연장될 수 있게 상호연결되어 상호관련을 갖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군을 말한다. 변형가능한 망상구조(74)는 제 1 영역(76) 및 제 2 영역(78)이라 지칭되는 둘 이상의 구별되는 상이한 영역을 포함한다. 도시된 양태에서, 변형가능한 망상구조(74)는 다수의 제 1 영역(76) 및 다수의 제 2 영역(78)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76)은 실질적으로 평면 영역이다. 즉, 제 1 영역(76)내의 물질은 변형가능한 망상구조(74)의 형성 전후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로 있다. 제 2 영역(78)은 제 1 영역(76)의 두 표면의 평면을 교대로 지나서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연속되게 상호연결된 둑형(rib-like) 변형체(80)를 포함한다.
도 1은, 변형가능한 망상구조(74)를 갖는 플랩 물질(24)이 종방향 중심선(또는 축)(l)을 가짐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생리대 양태에서, 변형가능한 망상구조(74)의 종방향 중심선(l)은 직선이며, 대체로 횡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생리대(20)에서, 제 1 영역(76)은 변형가능한 망상구조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선이다.
힌지(70)는 생리대(20)의 원하는 부분에 변형가능한 망상구조(74)를 성형시킴으로써 발생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성형"이라는 용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연신 또는 힘을 받지 않는 경우 실질적으로 원하는 구조물 또는 형태를 유지하는 웹 물질 또는 라미네이트에, 원하는 구조물 또는 형태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웹 물질에 변형가능한 망상구조를 성형시키기에 적합한 방법은 메이팅 플레이트, 메이팅 롤, 열성형, 고압 유압 성형 및 주조에 의한 엠보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형가능한 망상구조(74)에 있는 변형체(80)의 깊이 및 갯수는 생리대(20)의 힌지 영역(70)에 있는 물질을 연장시키는데 요구되는 적용되는 힘 또는 연신을 조절하도록 다양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변형체(80)는 맞물림 돌기 패턴을 갖는 2개의 고정된 플레이트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돌기 패턴의 외부 치수는 각 플랩에 대해 약 7.9" x 1.6"(20㎝ x 4㎝)의 플레이트 표면적을 차지한다. 각 플레이트의 한 표면상에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갖고 사출 정점으로 갈수록 끝이 가늘어지는 일련의 돌기가 존재한다. 상기 양태의 돌기는 바람직하게는 3.175㎜ 높이를 가지며, 돌기의 중심선이 0.075"(1.9㎜) 증분치로 이격되도록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한 플레이트의 "돌기가 형성된" 면에는, 서로에 평행하며 균일하게 이격된 돌기에 대해 수직인 일련의 홈(도 1에 도시된 양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3개의 홈)이 절단되어 진다. 이들 홈은 기본 물질의 비변형 영역에 상응한다.
바람직한 기본 물질은 압력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하여 플레이트보다 큰 압반을 갖는 유압 프레스의 플레이트 사이에 놓인다. 플레이트는 돌기가 단지 부분적으로만 맞물리도록 압축된다. 바람직하게, 플레이트는 대향 플레이트상의 돌기가 완전히 맞물리게 하는 거리(돌기가 접촉하는 지점)의 약 80%에서 서로를 향해 가압하도록 이동된다. 이를 위하여, 전형적으로 기본 물질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양태와 관련하여 기재된 접착제에 의해 라이네이팅된 천공된 성형 필름과 폴리에틸렌 배면시이트 물질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플레이트는 약 25 내지 70psi(약 1,750 내지 4,900g/㎠)의 부하량으로 압축된다. 이어서, 성형 웹 물질을 플레이트 사이에서 꺼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양태에서, 성형 웹 물질은 약 75%의 신장성을 갖는다.
변형가능한 망상구조 영역(74)은 플랩(24)을 위한 다수의 가요성 휨 축을 형성하는, 교대로 있는 융기부와 계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물은 일정 정도의 신장성을 갖는 힌지(70)를 제공한다. 상기 신장성으로 인해, 힌지 영역(70)에 있는 플랩(24) 부분은 횡방향으로 약간 확장되어서 착용자의 팬티 가랑이의 만곡된 측부에서 보다 잘 절첩될 수 있다. 또한, 플랩(24)이 힌지(70)에서 과도하게 처지는 경향을 줄이기 위해 약간 더 큰 통합성을 갖는 성형 영역을 제공하고자 할 때는 생리대에 변형가능한 망상구조 영역을 성형시켜서 힌지(70)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변형가능한 망상구조의 비성형 제 1 영역 또는 신장성이 적은 밴드(76)가 구조적 견고성이 약간 더 크고 외관이 보다 나은 플랩(24)을 제공하는 "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생리대는 플랩이 착용자 언더가멘트의 아래에서 절첩될 때 플랩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신장성 대역(7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신장성 대역" 또는 "차별적 신장성 대역"이라는 용어는 신장가능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생리대(20)의 주위 부분보다 더 많이 신장될 수 있는) 생리대(20) 부분을 말한다.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각 플랩(24)에 대해 하나 이상의 신장성 대역(72)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리대(20)의 사분면 각각에 위치하는 4개의 신장성 대역(72)을 갖는다. 차별적 신장성 대역(72)은 플랩내의 응력을 경감시키므로, 이들은 "응력 경감 수단"의 한 유형으로서 본원에서 언급될 것이다.
신장성 대역(72)은 임의의 원하는 방향 또는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그러나, 신장성 대역(72)은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횡방향 바깥쪽으로 주로 신장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대체로 횡방향"이라는 용어는 신장성이 횡방향 구성요소를 가짐을 의미한다. 그러나, 모든 신장이 생리대의 횡방향 주 중심선과 엄밀히 평행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신장성은 종방향으로보다는 횡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성 대역(72)은 횡방향(또는 임의의 원하는 다른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신장성 대역에 적합한 구조물은 1995년 2월 14일자로 라바쉬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89,094호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양태에서, 신장성 대역(72)은 신장성이 보다 적은 밴드를 전혀 갖지 않는 파형 망상구조 또는 링 롤링된 플랩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각 경우에, 신장성 대역(72)은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종방향으로 배향된 융기부(88)를 갖는 파형부를 가져서, 신장성 대역(72)은 주로 횡방향으로 신장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70)는 신장성 대역(72)과 인접해 있다(즉, 연속하여 접촉하거나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70) 및 바람직한 링 롤링된 신장성 대역(72)은 연속적인 변형된 복합 영역의 부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70)는 신장성 대역(72)을 포함하는 생리대 부분내로 점증적으로 전이된다. 따라서, 변형된 복합 영역은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에 인접한 중심 영역에 신장성이 보다 적은 다수의 밴드(76)를 갖는, 대체로 종방향으로 배향된 융기부를 갖는 연속 파형부를 포함한다.
생리대(20)의 가멘트 표면(20B)은 착용자 언더가멘트에 생리대를 부착시키기 위한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패스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생리대의 주 몸통부(22)를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영역에 고정시키도록 변형된 중앙 패드 패스너(82)를 포함한다.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패스너 유형, 예컨대 접착제 패스너 및 기계적 패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를 포함하는 패스너는 상기 목적으로 충분하게 잘 기능할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감압성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중앙 패드 패스너(82)는 종방향 중심선(L) 주위에 중심을 갖는 접착제 대역 또는 한 쌍의 이격된 종방향으로 배향된 스트립을 포함한다.
플랩의 원위 가장자리(62)에 인접한 플랩(24)의 외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플랩 접착제(84)를 갖는다. 플랩 접착제(84)는 플랩(24)이 팬티의 가랑이부 가장자리 주위에서 절첩된 후에 플랩(24)을 적소에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적합한 접착제 패스너가 미국 특허 제 4,917,697호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플랩(24)은 플랩(24)을 언더가멘트 또는 대향 플랩에 부착시킴으로써 적소에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패스너는 접착제 부착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해 기술에서 사용되는 임의 유형의 패스너가 상기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생리대(20)는 벨크로(VELCRO)와 같은 기계적 패스너, 또는 1990년 8월 7일자로 배트렐(Battrell)에게 허여된 "Pressure-Sensitive Adhesive Faste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946,527호 또는 1995년 2월 28일자로 골라이트(Goulait) 등에게 허여된 "Non-Abrasive Skin Friendly Mechanical Fastening System" 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92,498호에 기재된 패스너에 의해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화를 위해 패스너는 접착제 부착 수단이라는 용어로 기재된다.
86으로 지칭된 접착제 부착 수단은 제거가능한 릴리이즈 라이너(release liner), 중앙 패드 릴리이즈 라이너 및 플랩 릴리이즈 라이너에 의해 각각 도포되어 있다. 갑압성 접착제는 릴리이즈 라이너(86)에 의해 도포되어서 사용하기전에 접착제가 외부 표면에 점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생리대를 랩핑하기위한 개별적 패키지로도 작용하는 특히 바람직한 릴리이즈 라이너가 스완슨(Swan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56,146호에 기재되어 있다.
생리대(20)의 많은 다른 양태가 가능하다. 예컨대, 생리대의 주 몸통부는 개선된 통합성 및 포획성을 위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결합 구성요소를 갖는 복합형 생리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복합형 생리대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이 1984년 1월 10일자로 데스마라이스(DesMarais) 등에게 허여된 "Compound Sanitary Napkin"이라는 명칭의 P&G의 미국 특허 제 4,425,130호 및 1996년 11월 5일자로 메이어(Mayer) 등의 명의로 공개된 "Body Fitting Compound Sanitary Napkin"라는 명칭의 법정 발명 등록번호 H1614호에서 찾을 수 있다. 복합형 생리대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생리대는 팬티 보호 장치(또는 "기본 패드")로서 작용할 수 있고, 상면시이트에 의해 랩핑된 흡수물질 튜브(또는 "일차 생리혈 패드")는 생리대 상부위에 놓여서 그 말단에서 생리대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기본 패드상의 융합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본원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포된다. 튜브를 생리대에 부착시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의 말단에서 상면시이트 물질의 연장부를 기본 패드에 융합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복합형 생리대의 몇몇 바람직한 양태에서, 흡수물질 튜브의 말단과 기본 패드 사이에도 부착이 있을 수 있다. 복합형 생리대의 튜브는 임의의 적합한 부착 수단,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튜브의 말단 사이에서 기본 패드에 부착될 수 있다.
기본 패드에서의 상면시이트와 포획 구성요소간의 개선된 부착은 복합형 생리대에 있어서 특정한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임의의 특정한 이론에 제한되려는 것은 아니나, 부착이 개선되면, 상면시이트가 하부 구성요소로부터 생리대의 종방향 측부 영역을 따라 분리되는 경향이 감소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플랩을 갖는 복합형 생리대의 변형물에서 특히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융합 결합으로 인해, 기본 패드의 종방향 측부 영역내의 상면시이트 부분은 착용자 신체와 접촉하여 그 내부로 이동하지 않는 것이 확실해졌다. 이는 종방향 측부 영역이 생리혈에 의해 더러워지는 경향을 감소시키고, 그 대신에 생리혈은 흡수 튜브로 곧장 진행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결합으로 인한 다른 이점이 가능하다. 예컨대, 생리대가 플랩을 갖는 경우, 생리대의 플랩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부분은 상기 부분 사이에 실질적으로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아서, 플랩 일부분에 "점착물-비함유 창"을 생성시킨다. 플랩에 점착물-비함유 창을 가질 수 있는 적합한 생리대가 1996년 2월 7일자로 콜즈(Coles) 등의 명의로 공개된 "Absorbent Article Having Undergarment Side Wrapping Elements"라는 명칭의 유럽 특허원 EP 0 695 542 A1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양태에서는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가 플랩의 임의의 신장성 부분에서 적어도 플랩의 전체 주변부를 따라 서로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을 갖는 생리대에 점착물-비함유 창을 제공하면, 점착물-비함유 창의 영역에서 가요성이 증가된 플랩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이는 플랩의 상기 부분에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고, 플랩을 형성하는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부분이 점착물-비함유 창에서 서로 무관하게 절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점착물-비함유 창의 발생가능한 문제점은 특히 상면시이트가 착용자 언더가멘트의 측부에서 절첩될 때 상면시이트가 부풀거나 "헐렁해져서(bloused)" 배면시이트로부터 분리되기 쉬울 수 있다는 점이다. 임의의 특정한 이론에 제한되려는 것은 아니지만, 본원에 개시된 개선된 부착은 상면시이트가 하부 구성요소에 부착되도록 잘 유지시키고 상기 헐렁해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상기 양태 및 본원에 개시된 모든 다른 양태에서, 상면시이트와 하부 구성요소(들)간의 개선된 부착은 생리혈이 보다 잘 흡수되게 하고 생리혈을 보이지 않게 가리며(또는 "마스킹"시키며), 생리혈이 상면시이트상에서 "떠있는" 경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전술된 생리대상에 결합 영역의 특징을 갖는 엠보싱 패턴을 갖는 생리대(또는 다른 흡수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흡수제품은 보다 덜 바람직할 수 있으나, 흡수품과 관련된 부드러움, 흡수성 및 재습윤 감소에 대한 착용자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소비자 잇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리대(20)는 릴리이즈 라이너(86)를 떼어내고 생리대(20)를 팬티내에 놓음으로써 이용된다. 주 몸통부(22)는 팬티의 가랑이 영역에 놓이며, 이 때 주 몸통부(22)의 한 말단은 팬티의 전방 구역쪽으로 연장되고 다른 말단은 팬티의 후방 구역쪽으로 연장된다. 배면시이트(40)는 팬티의 가랑이부 중심의 내부 표면과 접촉되게 놓인다. 중심 패드 접착제 패스너(82)는 주 몸통부(22)를 적소에 유지시킨다. 플랩(24)의 원위부는 팬티의 측부 가장자리 주위에서 절첩된다. 플랩 접착제(84)는 플랩(24)을 팬티의 하부면 또는 대향 플랩에 고정시킨다.
모든 특허, 특허출원(및 이에 대해 허여된 임의의 특허 뿐만 아니라 공개된 대응하는 외국 특허출원) 및 상기 특허 출원 전체에 언급된 공개공보가 본원에서 참조문헌으로 인용된다. 그러나, 참조문헌으로 인용된 임의의 문헌이 본 발명을 교지하거나 개시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시판중인 물질 또는 제품이 본 발명을 교지하거나 개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양태가 예시되고 기재되어 있으나,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여러 변화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백히 알 것이다.

Claims (22)

  1. 결합 영역과 비결합 창으로 이루어진 신체 대향면을 가지되,
    상기 결합 영역 및 비결합 창의 아래에 흡수제품의 일부가 위치되어 있고,
    흡수제품의 신체 대향면을 한정하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기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기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하며 일정 두께를 갖는 하부 액체 투과층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상면시이트가 결합 영역에 위치한 다수의 개별적 결합 영역에서 상기 하부층에 융합되고,
    상기 신체 대향면위의 비결합 창은 실질적으로 결합 영역을 갖지 않으며 결합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고,
    상기 결합 영역이 약 1 내지 약 3㎜의 직경을 갖는 둥글고 평탄한 형상을 갖고, 약 20 내지 80개 결합/9㎠의 밀도로 분포되어 있는
    흡수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영역이 약 0.5㎜ 이상으로 이격된 외부 가장자리를 갖는 흡수제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종방향 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비결합 창의 중앙이 대략 상기 종방향 중심선에 있는 흡수제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합 창이 다수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폐쇄형 기하학적 구조물로 둘러싸여 있는 흡수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이 둥글고 평탄한 형상을 갖는 흡수제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기하학적 구조물의 상기 결합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배향된 마주보는 다수의 곡선으로 배치된 흡수제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합 창이, 신체 대향면의 실질적으로 전체를 위한 누빔 패턴(quilted pattern)으로 배치된 다수의 이격된 결합으로 둘러싸여 있는 흡수제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누빔 패턴이 다이아몬드 배치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결합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9. 제 8 항에 있어서,
    둥근 모서리 형상의 배치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결합이 다이아몬드 배치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결합내에 위치하는 흡수제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패턴이 반복 패턴인 흡수제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이 열 결합 및 압력 결합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이 초음파 결합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시이트가 천공된 열가소성 필름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액체 투과층이 스펀결합된 폴리프로필렌 부직물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액체 투과층이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부직물 한 층 이상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층이 스펀결합된 폴리프로필렌 부직물과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부직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흡수제품.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층과 상기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부직물을 한 층 이상 포함하는 흡수코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흡수제품.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액체 투과층이 라텍스 결합된 공기 적층된 부직물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층과 상기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에어펠트 흡수코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흡수제품.
  20. 신체 대향면, 가멘트 대향면 및 종방향 중심선을 가지며,
    액체 투과성인 천공된 열가소성 필름 상면시이트;
    상기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상기 상면시이트와 상기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열가소성 필름과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스펀 결합된 폴리프로필렌 부직물과 그 아래에 놓인 다중결합된 공기 적층된 부직물을 포함하는 2층 부직 구조물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포획 구성요소(이 때, 상기 천공된 필름 및 상기 라미네이트 포획 구성요소는 다수의 융합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및
    상기 상면시이트와 상기 포획 구성요소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셀룰로즈 섬유, 이성분 섬유, 라텍스 결합제 및 다수개의 초흡수성 하이드로겔-형성 물질의 입자를 포함하는 다중 결합된 공기 적층된 부직물을 포함하는 흡수코어를 포함하는 생리대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의 신체 대향면이 결합 영역과 비결합 창을 갖고,
    상기 상면시이트가 상기 결합 영역에 위치한 개별적 결합 영역에서 상기 라미네이트 포획 물질에 융합되고,
    상기 비결합 창이 실질적으로 결합을 갖지 않으며, 상기 결합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고,
    상기 결합 영역이 약 1 내지 약 3㎜ 직경의 둥글고 평탄한 형상을 갖고 약 20 내지 80개 결합/9㎠의 밀도로 분포되어 있는
    생리대.
  21. 신체 대향면, 가멘트 대향면 및 종방향 중심선을 가지며,
    액체 투과성인 천공된 열가소성 필름 상면시이트;
    상기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상기 상면시이트와 상기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하며, 라텍스 결합된 공기 적층된 부직물을 포함하는 포획 구성요소; 및
    상기 포획 구성요소와 상기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펠트 흡수코어를 포함하는 생리대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의 신체 대향면이 결합 영역과 비결합 창을 갖고,
    상기 상면시이트가 상기 결합 영역에 위치한 개별적 결합 영역에서 상기 포획 구성요소에 융합되고,
    상기 비결합 창이 실질적으로 결합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결합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결합 영역이 약 1 내지 약 3㎜ 직경을 갖는 둥글고 평탄한 형상을 갖고 약 20 내지 80개 결합/9㎠의 밀도로 분포되어 있는
    생리대.
  22. 엠보싱 영역과 비엠보싱 구역을 포함하는 신체 대향면을 가지며,
    신체 대향면을 한정하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기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기 상면시이트와 상기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상면시이트가 엠보싱 영역에 위치한 다수의 개별적인 엠보싱 영역을 갖게 엠보싱 처리되고,
    상기 신체 대향면위의 비엠보싱 창이 실질적으로 엠보싱 영역을 갖지 않고 상기 엠보싱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고,
    상기 엠보싱 영역이 약 1 내지 약 3㎜ 직경을 갖는 둥글고 평탄한 형상을 갖고, 약 20 내지 80개 엠보싱/9㎠의 밀도로 분포되어 있는
    흡수제품.
KR1020007012409A 1998-05-08 1999-05-07 통합성과 포획성이 개선된 흡수제품 Abandoned KR200100433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74,909 US6319239B1 (en) 1996-12-20 1998-05-08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US09/074,909 1998-05-08
PCT/US1999/010001 WO1999058092A1 (en) 1998-05-08 1999-05-07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387A true KR20010043387A (ko) 2001-05-25

Family

ID=2212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409A Abandoned KR20010043387A (ko) 1998-05-08 1999-05-07 통합성과 포획성이 개선된 흡수제품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652500B2 (ko)
EP (1) EP1083853A1 (ko)
JP (1) JP2002514469A (ko)
KR (1) KR20010043387A (ko)
CN (1) CN1299262A (ko)
AR (1) AR019284A1 (ko)
AU (1) AU753383B2 (ko)
BR (1) BR9910290A (ko)
CA (1) CA2329767A1 (ko)
HU (1) HUP0101997A3 (ko)
ID (1) ID27572A (ko)
IL (1) IL139123A0 (ko)
MY (1) MY116434A (ko)
PE (1) PE20000620A1 (ko)
TR (1) TR200003261T2 (ko)
TW (1) TW406017B (ko)
WO (1) WO1999058092A1 (ko)
ZA (1) ZA2000055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9239B1 (en) * 1996-12-20 2001-1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US6585710B1 (en) 2000-11-16 2003-07-01 Johnson & Johnson, Inc. Sanitary napkin with stiff side flaps
JP4278963B2 (ja) 2002-03-26 2009-06-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369647B2 (ja) * 2002-07-23 2009-11-2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323786B2 (ja) * 2002-12-05 2009-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4167118B2 (ja) * 2003-05-06 2008-10-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476611B2 (ja) * 2003-05-29 2010-06-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455241B2 (ja) * 2004-09-14 2010-04-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20090131896A1 (en) * 2005-06-16 2009-05-21 Daio Par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US8491556B2 (en) * 2005-12-15 2013-07-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s with multipart liner having varied stretch properties
DE102006046420A1 (de) * 2006-09-22 2008-04-03 Paul Hartmann Ag Hygieneartikel oder OP-Abdeckungsartikel oder OP-Bekleidungsartikel zum einmaligen Gebrauch
CN101547669A (zh) * 2006-12-07 2009-09-30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US20080281287A1 (en) * 2007-05-08 2008-11-13 Marcelo Ana Maria Elena R Sanitary napkin including body-facing protrusions for preventing side leakage and obliquely arranged embossed channels
RU2467735C2 (ru) * 2007-06-29 2012-11-27 Дайо Пейпер Корпорейшн Подгузник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5285706B2 (ja) * 2008-09-12 2013-09-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546642B2 (en) 2010-01-28 2013-10-01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slitted absorbent core
US8383227B2 (en) * 2010-01-28 2013-02-26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Transfer layer for absorbent article
US8847002B2 (en) * 2011-05-19 2014-09-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apertures arranged in registration with an embossed wave pattern
JP5806867B2 (ja) * 2011-07-07 2015-11-1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82770B2 (ja) * 2012-02-08 2016-03-0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RU2606570C2 (ru) * 2011-07-07 2017-01-10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US9216117B2 (en) 2012-03-30 2015-12-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point fusion bonding
US20130261582A1 (en) * 2012-03-30 2013-10-03 EoYeon Hwang Absorbent Article
US9011397B2 (en) 2012-08-30 2015-04-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highlighted active barrier
US8946500B2 (en) 2012-08-30 2015-0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highlighted passive barrier
WO2015190547A1 (ja) * 2014-06-13 2015-12-1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185834A4 (en) * 2014-08-27 2018-01-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ender-differentiated absorbent articles
US10064766B2 (en) 2014-09-12 2018-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material having discret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s that are configured to collapse in a controlled manner
JP2017529915A (ja) 2014-09-12 2017-10-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
WO2016040122A1 (en) 2014-09-12 2016-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material having discret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s with differential opacity regions
US20160076182A1 (en) 2014-09-12 2016-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Nonwoven Material Having Discret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s With Wide Base Openings Using Forming Members With Surface Texture
EP3215094A1 (en) * 2014-11-06 2017-09-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garment-facing laminates
JP6283335B2 (ja) * 2015-09-15 2018-02-21 ニチハ株式会社 外装構造
EP3216434A1 (en) * 2016-03-08 2017-09-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acquisition web laminate
CA3017187A1 (en) 2016-03-09 2017-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ctivatable material
JP6242423B2 (ja) * 2016-03-29 2017-12-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8017743A1 (en) 2016-07-19 2018-01-25 Allegiance Corporation Perineal thermal pack with improved liquid containment
WO2018049108A1 (en) 2016-09-09 2018-03-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of applying compositions to webs and webs thereof
CN110312497B (zh) * 2017-02-17 2021-12-10 巴斯夫欧洲公司 流体吸收制品
JP6553137B2 (ja) * 2017-08-30 2019-07-3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1547613B2 (en) 2017-12-05 2023-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 with beamed elastics and formed nonwoven layer
US10765565B2 (en) * 2018-01-25 2020-09-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topsheets for absorbent articles
JP7321191B2 (ja) 2018-06-19 2023-08-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機能形成されたトップシートを有する吸収性物品
USD917692S1 (en) * 2019-03-19 2021-04-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USD919084S1 (en) * 2019-03-19 2021-05-11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US11819393B2 (en) 2019-06-19 202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D978342S1 (en) * 2019-09-06 2023-0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eminine pad
CN111821104A (zh) * 2020-07-22 2020-10-27 武汉国灸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石墨烯棉布护垫
JP7512182B2 (ja) * 2020-12-03 2024-07-0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4543389A1 (en) * 2022-06-22 2025-04-30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shaping indicator
WO2025124695A1 (en) * 2023-12-12 2025-06-19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shaping element and printed topsheet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1173A (en) 1973-02-05 1975-10-07 Usm Corp Adhesive process
US3929135A (en) 1974-12-20 1975-12-30 Procter & Gamble Absorptive structure having tapered capillaries
US3965906A (en) 1975-02-24 1976-06-29 Colgate-Palmoliv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pattern and method
US4107364A (en) 1975-06-06 1978-08-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andom laid bonded continuous filament cloth
US4184902A (en) 1976-06-16 1980-01-22 Colgate-Palmolive Company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article
US4342314A (en) 1979-03-05 1982-08-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silient plastic web exhibiting fiber-like properties
US4324246A (en) 1980-05-12 1982-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stain resistant topsheet
NL8102428A (nl) 1980-05-29 1981-12-16 Plm Ab Voorbewerkt vormstuk uit thermoplastische kunststof.
US4333979A (en) * 1980-08-18 1982-06-08 Kimberly-Clark Corporation Soft, bulky, lightweight nonwoven web and method of producing; the web has both fused spot bonds and patterned embossments
US4463045A (en) 1981-03-02 1984-07-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croscopically expanded three-dimensional plastic web exhibiting non-glossy visible surface and cloth-like tactile impression
US4475911A (en) 1981-04-13 1984-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devices
US4425130A (en) 1981-06-12 1984-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und sanitary napkin
US4531999A (en) 1982-01-26 1985-07-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ynamic lamin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nically bonding juxtaposed webs
US4397644A (en) 1982-02-04 1983-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Sanitary napkin with improved comfort
US4430148A (en) 1982-04-27 1984-0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ltrasonic bonding apparatus
US4515595A (en) 1982-11-26 1985-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ally contractible waistbands
US4710189A (en) 1983-03-18 1987-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disposable diapers with shaped elastically contractible waistbands
US4808252A (en) 1983-03-18 1989-0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ally contractible waistbands
US4589876A (en) 1983-07-05 1986-05-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US4687478A (en) 1984-03-20 1987-08-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sanitary napkin with flaps
US4556146A (en) 1984-02-08 1985-1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dividually packag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4573986A (en) 1984-09-17 1986-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aste-containment garment
US4753840A (en) 1985-01-10 1988-06-28 Kimberly-Clark Corporation Coated fabric
US4637819A (en) 1985-05-31 1987-0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croscopically expanded three-dimensional polymeric web for transmitting both dynamically deposited and statically contacted fluids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IT1182491B (it) 1985-07-04 1987-10-05 Faricerca Spa Struttura di rivestimento per prodotti igienico sanitari assorbenti e prodotto assorbente provvisto di tale rivestimento
US4752349A (en) 1986-02-28 1988-06-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having resilient scalloped edge, and method of making the product
US5059277A (en) 1986-02-28 1991-10-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hesive-free bonding of continuously moving webs to form laminate web
US4726976A (en) 1986-10-28 1988-02-23 The Kendall Company Composite substrate
US4908026A (en) 1986-12-22 1990-03-13 Kimberly-Clark Corporation Flow distribution system for absorbent pads
ES2042612T3 (es) 1987-03-07 1993-12-16 Fuller H B Licensing Financ Procedimiento para la union permanente de elementos dilatables en forma de hilos o de cintas sobre un substrato superficial asi como utilizacion del mismo para la fabricacion de sectores de banda de hojas rizadas.
US4777073A (en) 1987-03-11 1988-10-11 Exxon Chemical Patents Inc. Breathable films prepared from melt embossed polyolefin/filler precursor films
US4785996A (en) 1987-04-23 1988-11-22 Nordson Corporation Adhesive spray gun and nozzle attachment
US4854984A (en) 1987-06-19 1989-08-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ynamic mechanical bonding method and apparatus
US4844965A (en) 1988-01-25 1989-07-04 Medtex Products, Inc. Absorptive device for incontinent patients
US4950264A (en) 1988-03-31 1990-08-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flexible sanitary napkin
US5009653A (en) 1988-03-31 1991-04-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flexible sanitary napkin
US4917697A (en) 1988-03-31 1990-04-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having flaps and stress relief means
US5006394A (en) 1988-06-23 1991-04-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layer polymeric film
US4919756A (en) 1988-08-26 1990-04-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ly adjusting doctor blade
US4950254A (en) 1988-10-14 1990-08-21 Corpak, Inc. Valve means for enteral therapy administration set
US4946527A (en) 1989-09-19 1990-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faste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143679A (en) 1991-02-28 1992-09-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sequentially stretching zero strain stretch laminate web to impart elasticity thereto without rupturing the web
US5156793A (en) 1991-02-28 1992-10-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incrementally stretching zero strain stretch laminate web in a non-uniform manner to impart a varying degree of elasticity thereto
US5167897A (en) 1991-02-28 1992-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incrementally stretching a zero strain stretch laminate web to impart elasticity thereto
CA2219047C (en) 1991-10-01 2001-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and zones of differential extensibility
KR100262839B1 (ko) 1991-12-17 2000-07-15 데이비드 엠 모이어 융합층을 갖는 흡수 제품
US5234422A (en) 1991-12-20 1993-08-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icized sanitary napkin
US5558663A (en) 1992-07-23 1996-09-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undergarment covering components with zones of extensibility
US5392498A (en) 1992-12-10 1995-02-28 The Proctor & Gamble Company Non-abrasive skin friendly mechanical fastening system
US5518801A (en) 1993-08-03 1996-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
AU7721394A (en) 1993-09-16 1995-04-03 Procter & Gamble Company, The Sanitary napkin having core predisposed to a convex upward configuration
CN1104875C (zh) 1994-03-01 2003-04-09 普罗克特和甘保尔公司 三分段式卫生巾
JP3065883B2 (ja) * 1994-04-15 2000-07-17 花王株式会社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
EP0695542A1 (en) 1994-08-03 1996-0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undergarment side wrapping elements
US5567010A (en) 1994-08-29 1996-10-22 Bostrom Seating, Inc. Adjustable lumbar support
JP3091374B2 (ja) * 1994-10-27 2000-09-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5535888A (en) 1994-11-23 1996-07-16 Novus Packaging Corporation Thermal insulating and cushioning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549589A (en) 1995-02-03 1996-08-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uid distribution member for absorbent articles exhibiting high suction and high capacity
US5846232A (en) 1995-12-20 1998-12-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extensible zones
US6319239B1 (en) * 1996-12-20 2001-1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US6231555B1 (en) * 1996-12-20 2001-05-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CA2275884C (en) * 1996-12-20 2003-08-05 Kathy Suzanne Lynard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83853A1 (en) 2001-03-21
CA2329767A1 (en) 1999-11-18
TR200003261T2 (tr) 2001-03-21
ID27572A (id) 2001-04-12
HUP0101997A2 (hu) 2001-09-28
JP2002514469A (ja) 2002-05-21
AR019284A1 (es) 2002-02-13
US20020004654A1 (en) 2002-01-10
HUP0101997A3 (en) 2001-10-29
CN1299262A (zh) 2001-06-13
ZA200005560B (en) 2002-07-05
BR9910290A (pt) 2001-07-03
WO1999058092A1 (en) 1999-11-18
MY116434A (en) 2004-01-31
US6652500B2 (en) 2003-11-25
IL139123A0 (en) 2001-11-25
TW406017B (en) 2000-09-21
AU753383B2 (en) 2002-10-17
AU3888499A (en) 1999-11-29
PE20000620A1 (es) 200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3387A (ko) 통합성과 포획성이 개선된 흡수제품
US6319239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KR100476822B1 (ko) 유연성 및 통기성을 제공하는 향상된 접착 시스템을 갖는 흡수 용품
US6231555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EP0973470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JP2003024372A (ja) 吸収性物品
JPH06133998A (ja) 改良された伸縮性サイドパネルを有する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CA2707564A1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10022690A (ko) 높은 로브 레질리언시를 갖는 인체학적으로 형상화된 일회용 흡수 제품
WO2001056526A1 (en) Improved crimp seal for absorbent articles
JP2974866B2 (ja) アブソーバントコアの安定性を改善した吸収性物品
JP3901728B2 (ja) 繊維ウェブのティッシュへのクリンプ
KR100348583B1 (ko) 흡수제품 및 생리대
MXPA00010983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HK1025496B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CZ20003802A3 (cs) Absorpční výrobek mající zvýšenou celistvost a zlepšené přijímán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31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