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203A -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 및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 및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43203A KR20010043203A KR1020007012131A KR20007012131A KR20010043203A KR 20010043203 A KR20010043203 A KR 20010043203A KR 1020007012131 A KR1020007012131 A KR 1020007012131A KR 20007012131 A KR20007012131 A KR 20007012131A KR 20010043203 A KR20010043203 A KR 200100432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frame
- variable length
- multiplexing
- length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04N19/517—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SB 삽입 판정부(124)에 의해, 다음 프레임에서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前) 프레임의 종단과 음성 정보의 다중화 개시와의 거리로부터 동기어 및 헤더의 길이를 감산하여 비디오 정보의 다중화 가능 길이를 산출하고, 중요 정보의 길이가 비디오 다중화 가능 길이보다 긴 경우, 스터핑 비트열을 다중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프레임 구성부(127)에 의해, 전 프레임의 종단 위치로부터 동기어의 선두까지 용장 비트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송신 데이터를 다중화할 때에, 중요 정보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 멀티미디어 통신 등의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고, 동화상을 표시하는 신호나 음향 신호 등을 압축하여 부호화하는 방식으로서 MPEG-4(ISO/IEC14496)가 있다.
MPEG-4에는, 시간적으로 다른 프레임과 해당 프레임과의 차분을 부호화하는 INTER 부호화 모드와, 해당 프레임만의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INTRA 부호화 모드가 준비되어 있다.
도 1a는 INTER 부호화 모드의 비디오 패킷 부호화열(이하, 「INTER 비디오 패킷」이라고 약칭함)의 구성도이고, 도 1b는 INTRA 부호화 모드의 비디오 패킷 부호화열(이하, 「INTRA 비디오 패킷」이라고 약칭함)의 구성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NTER 비디오 패킷 및 INTRA 비디오 패킷은 모두 선두에 비디오 동기어(11),(21) 및 비디오 헤더(12),(22)를 배치하고, 계속하여 동화상 정보를 부호화한 부호화열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비디오 동기어(11),(21)는 송수신 동안에 기지(旣知)이고, 동기를 확립할 때에 비디오 패킷의 선두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비디오 헤더(12),(22)에는 뒤에 계속되는 부호화 정보열이 INTER 비디오 패킷인지 INTRA 비디오 패킷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INTER 비디오 패킷내에는, 움직임 벡터 정보(이하, 「MV 정보」라고 칭함)(13)가 포함되고, INTRA 비디오 패킷내에는, 이산 코사인 변환(이하 「DCT」라고 칭함)에 의해 구해지는 DCT 계수의 직류 성분 정보(23)가 포함된다.
MPEG-4의 기능 중 하나인 데이터 파티션 모드에서는 MV 정보(13)나 DCT 계수의 직류 성분 정보(23) 등의 중요 정보를 비디오 헤더(12),(22)에 이어서 배치하고, MV 정보(13)의 직후에는 MV 정보(13)의 종단을 나타내는 MV 마커(14)를 다중화하고, DCT 계수의 직류 성분 정보(23)의 직후에는 DCT 계수의 직류 성분 정보(23)의 종단을 나타내는 DC 마커(24)를 다중화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비디오 패킷에서는, MV 마커(14), DC 마커(24)의 뒤에 다른 정보(15),(25)가 다중화된다.
중요 정보를 비디오 헤더에 계속하여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전송로의 환경이 악화되고 에러가 발생하기 쉬운 경우에 있어서도, 중요 정보는 에러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에러 내성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INTER 비디오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 수신 측에서 MV 정보까지를 올바르게 수신할 수 있으면, 에러 은폐 기술에 의해, 왜곡이 적은 화상을 재생할 수 있다.
MPEG-4에서는, 상기 동화상 정보에 음성 정보를 정기적으로 다중화한 페이 로드를 적당히 구획하고, 구획의 선두에 동기어 및 헤더를 다중화함으로써, 각각 길이가 다른 가변 길이 프레임을 구성하여 송신한다. 종래의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가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10-210021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INTER 비디오 패킷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는 각종의 정보에 대하여 부호화하는 부호화 데이터 생성부(30)와, 부호화된 각종의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 다중화부(40)를 갖는다.
부호화 데이터 생성부(30)는 제어 신호 발생부(31)와, 음성 부호화부(32)와, 동화상 부호화부(33)를 갖고, 부호화 데이터 다중화부(40)는 제어 신호 버퍼(41)와, 음성 정보 버퍼(42)와, 동화상 정보 버퍼(43)와, 동기어 발생부(44)와, SB 발생부(45)와, 프레임 구성부(46)를 갖는다.
제어 신호 발생부(31)는 통신 제어간 프로토콜로 정해진 송수신간에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 신호 버퍼(41)에 기록한다. 음성 부호화부(32)는 음성 정보를 부호화하여 음성 정보 버퍼(42)에 기록한다.
동화상 부호화부(33)는 동화상 정보를 부호화하여 비디오 패킷을 생성하고, 동화상 정보 버퍼(43)에 기록한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부(33)는 비디오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프레임 구성부(46)에 출력한다.
제어 신호 버퍼(41), 음성 정보 버퍼(42) 및 동화상 정보 버퍼(43)의 각 버퍼는 기록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한다.
동기어 발생부(44)는 프레임의 선두에 다중화되는 동기어를 발생시킨다. SB 발생부(45)는 의미를 가지지 않는 쓸데없는 스터핑 비트열을 발생시킨다.
프레임 구성부(46)는 비디오 패킷의 길이 및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는 타이밍에 근거하여, 음성 정보 버퍼(42)에 유지되어 있는 음성 정보 및 동화상 정보 버퍼(43)에 유지되어 있는 동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다중화 정보 등을 기록한 헤더를 생성하고, 프레임의 선두에 동기어 및 헤더를 다중화한다.
또한, 프레임 구성부(46)는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충분한 정보량이 각 버퍼에 유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터핑 비트열을 프레임에 다중화한다.
다음에, 종래의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프레임 구성부(46)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 수순에 대하여, 도 3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이하, 「ST」라고 칭함) 51 내지 ST 52에서, 본 프레임에 음성 정보를 다중화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본 프레임에 음성 정보를 다중화한다.
다음에, ST 53에서, 본 프레임의 최대 길이로부터 데이터가 이미 다중화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를 감산하여 비디오 정보를 다중화할 수 있는 길이(이하, 「비디오 다중화 가능 길이」라고 함)를 산출하여, ST 54에서, 비디오 정보의 길이가 비디오 다중화 가능 길이보다 긴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T 54의 결과, 비디오 패킷의 비디오 정보의 길이가 비디오 다중화 가능 길이 이하인 경우, ST 55에서 비디오 패킷의 비디오 정보를 모두 다중화한다. 한편, ST 54의 결과, 비디오 패킷의 비디오 정보의 길이가 비디오 다중화 가능 길이보다 긴 경우, ST 56에서 비디오 정보를 분할하고, 가능한 한 다중화한다.
다음에, ST 57에서, 다중화 결과에 근거하여 헤더를 생성하고, ST 58에서, 동기어, 헤더를 프레임의 선두에 다중화한다. 그리고, ST 59에서, 다음 프레임과의 극간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프레임에 다중화한 정보량이 충분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정보량이 충분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본 프레임의 구성을 종료한다.
ST 59의 결과, 정보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ST 60에서, 다음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 간격을 채울 스터핑 비트열을 다중화하여 프레임 구성을 종료한다.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송신 프레임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동화상 정보나 음성 정보 등이 기록된 페이 로드(71)가 적당한 길이로 구획되고, 구획된 페이 로드(71)의 선단에는, 동기어(72), 헤더(73)가 다중화된다. 그리고 동기어(72), 헤더(73) 및 페이 로드(71)를 1단위로서 프레임이 구성된다.
동기어(72)는 송수신 동안에 기지이고, 동기를 확립할 때에 프레임의 선단을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헤더(73)에는, 페이 로드(71)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페이 로드(71)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다중화 정보」라 칭함) 등이 기록되어 있다.
페이 로드(71)에 기록되는 데이터 중, 음성 정보(81),(82)는 고정 길이이다. 또한, 음성 정보(81),(82)가 다중화되는 타이밍의 간격 T는 일정하다. 음성 정보가 포함되는 프레임(91),(93)에서는, 페이 로드의 선단에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고, 그 후에 비디오 정보를 다중화한다. 또한, 음성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프레임(92)에서는, 페이 로드에 비디오 정보만을 다중화한다.
여기에서, 음성 정보가 다중화되는 타이밍 및 프레임의 최대 길이는 이미 결정되어 있으므로, 동화상 정보의 패킷 데이터가 1개의 프레임에 수렴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패킷 데이터는 분할되어 복수의 프레임에 걸쳐 기록된다.
종래의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에서는, 비디오 패킷의 분할 위치를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음성 정보가 다중화되는 타이밍과 동화상 정보의 패킷 데이터 길이와의 균형을 위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디오 패킷의 중요 정보가 아닌 부분이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되는 경우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디오 패킷의 중요 정보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되는 경우가 있다.
비디오 패킷의 중요 정보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된 경우, 수신 측에 있어서, 해당 복수 프레임 중 1개라도 올바르게 복호할 수 없으면, 왜곡된 화상이 재생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멀티미디어 통신 등의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고, 가변 길이 프레임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 및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INTER 부호화 모드의 비디오 패킷 부호화열의 구성도,
도 1b는 INTRA 부호화 모드의 비디오 패킷 부호화열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종래의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프레임 구성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종래의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의 프레임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의 프레임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프레임 구성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프레임 구성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의 프레임 구성도,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비디오 정보 A의 길이를 검출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 데이터를 다중화할 때에, 중요 정보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 및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비디오 패킷의 중요 정보와 비디오 정보를 다중화할 수 있는 길이를 비교하고, 중요 정보 쪽이 길다고 판단한 경우에, 스터핑 비트열을 다중화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중요 정보인 INTER 비디오 패킷에 있어서의 선두의 비디오 동기어로부터 MV 마커까지, 혹은 INTRA 비디오 패킷에 있어서의 선두 비디오 동기어로부터 DC 마커까지를 비디오 정보 A로 하고, 비디오 정보 A의 뒤에 계속되는 중요 정보 이외의 다른 정보를 비디오 정보 B라고 한다.
(실시예 1)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하 설명에서는, INTER 비디오 패킷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는 각종의 정보에 대하여 부호화하는 부호화 데이터 생성부(101)와, 부호화된 각종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부호화 데이터 다중화부(102)를 갖는다.
부호화 데이터 생성부(101)는 제어 신호 발생부(111)와, 음성 부호화부(112)와, 동화상 부호화부(113)를 갖고, 부호화 데이터 다중화부(102)는 제어 신호 버퍼(121)와, 음성 정보 버퍼(122)와, 동화상 정보 버퍼(123)와, SB 삽입 판정부(124)와, 동기어 발생부(125)와, SB 발생부(126)와, 프레임 구성부(127)를 갖는다.
제어 신호 발생부(111)는 통신 제어간 프로토콜에서 정해진 송수신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 신호 버퍼(121)에 기록한다. 음성 부호화부(112)는 음성 정보를 부호화하여 음성 정보 버퍼(122)에 기록한다.
동화상 부호화부(113)는 동화상 정보를 부호화하여 비디오 패킷을 생성하고, 동화상 정보 버퍼(123)에 기록한다. 또한, 동화상 부호화부(113)는 비디오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프레임 구성부(127)에 출력하고, 비디오 정보 A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SB 삽입 판정부(124)에 출력한다.
제어 신호 버퍼(121), 음성 정보 버퍼(122) 및 동화상 정보 버퍼(123)의 각 버퍼는 기록된 정보를 일시적으로 보존한다.
SB 삽입 판정부(124)는 비디오 정보 A의 길이 및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는 타이밍에 근거하여, 송신 데이터를 다중화할 때에 스터핑 비트열을 다중화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프레임에서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 프레임의 종단과 음성 정보의 다중화 개시 위치와의 거리로부터 동기어 및 헤더의 길이를 감산하여 비디오 정보의 다중화 가능 길이를 산출하고, 비디오 정보 A의 길이가 비디오 다중화 가능 길이보다 긴 경우, 비디오 정보 A를 다중화하면 분할되므로, 스터핑 비트열을 다중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SB 삽입 판정부(124)는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프레임 구성부(127)에 출력한다.
동기어 발생부(125)는 프레임의 선두에 다중화되는 동기어를 발생시킨다. SB 발생부(126)는 의미를 가지지 않는 쓸데없는 스터핑 비트열을 발생시킨다.
프레임 구성부(127)는 비디오 패킷의 길이,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는 타이밍 및 SB 삽입 판정부(124)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음성 정보 버퍼(122)에 유지되어 있는 음성 정보 및 동화상 정보 버퍼(123)에 유지되어 있는 동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다중화 정보 등을 기록한 헤더를 생성하여, 프레임의 선두에 동기어 및 헤더를 다중화한다.
또한, 프레임 구성부(127)는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충분한 정보량이 각 버퍼에 유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혹은, 중요 정보인 비디오 정보 A가 분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스터핑 비트열을 프레임에 다중화한다.
또, 도 6에 도시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전송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버퍼에 기록한 후, 음성 정보 혹은 동화상 정보와 함께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프레임 구성부(127)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 수순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ST 201에서,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는 타이밍에 근거하여, 다음 프레임에 음성 정보를 다중화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ST 201의 결과, 다음 프레임에 음성 정보를 다중화한다고 판단한 경우, ST 202에서, SB 삽입 판정부(124)로부터 입력한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에 근거하여, 스터빙 비트열을 다중화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ST 201의 결과, 다음 프레임에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혹은 ST 202의 결과, 스터핑 비트열을 다중화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ST 203 내지 ST 204에서, 본 프레임에 음성 정보를 다중화할지 여부를 판단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본 프레임에 음성 정보를 다중화한다.
다음에, ST 205 내지 ST 206에서, 본 프레임에 비디오 정보 A를 다중화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본 프레임에 비디오 정보 A를 다중화한다.
다음에, ST 207에서, 본 프레임의 최대 길이로부터 데이터가 이미 다중화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를 감산하여 비디오 다중화 가능 길이를 산출하고, ST 208에서, 비디오 정보 B의 길이가 비디오 다중화 가능 길이보다 긴지 여부를 판정한다.
ST 208의 결과, 비디오 정보 B의 길이가 비디오 다중화 가능 길이 이하일 경우, ST 209에서, 비디오 정보 B를 모두 다중화한다. 한편, ST 208의 결과, 비디오 정보 B의 길이가 비디오 다중화 가능 길이 B보다 긴 경우, ST 210에서, 비디오 정보 B를 분할하고, 가능한 한 다중화한다.
다음에, ST 211에서, 다중화 결과에 근거하여 헤더를 생성하고, ST 212에서, 동기어, 헤더를 프레임의 선두에 다중화한다. 그리고, ST 213에서, 다음 프레임과의 극간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프레임에 다중화한 정보량이 충분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보량이 충분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본 프레임의 구성을 종료한다.
ST 202의 결과, 스터핑 비트열을 다중화한다고 판단한 경우, 혹은, ST 213의 결과, 정보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ST 214에서, 다음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 극간을 메우기 위해 스터핑 비트열을 다중화하고, 프레임 구성을 종료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관한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의 프레임 구성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동화상 정보나 음성 정보 등이 기록된 페이 로드(311)는 적당한 길이로 구획되고, 구획된 페이 로드(311)의 선단에는, 동기어(312), 헤더(313)가 다중화된다. 그리고, 동기어(312), 헤더(313) 및 페이 로드(311)를 1 단위로서 프레임이 구성된다.
페이 로드(311)에 기록되는 데이터 중, 음성 정보(321),(322)는 고정 길이이다. 또한, 음성 정보(321),(322)가 다중화되는 타이밍의 간격 T는 일정하다. 음성 정보가 포함되는 프레임(331),(332)에서는, 페이 로드의 선단에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고, 그 후에 비디오 정보를 다중화한다.
여기서, 도 9에 있어서, 프레임(331)의 페이 로드(311)에 다중화된 비디오 정보 B가 길기 때문에, 프레임(331) 종단과 프레임(332) 선단의 간격이 짧아지고, 거기에 비디오 정보를 다중화하면 비디오 패킷이 비디오 정보 A의 부분에서 분할된다고 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는 프레임(331)과 프레임(332) 사이에 스터핑 비트열(333)을 다중화한다.
이와 같이, 비디오 패킷의 중요 정보와 비디오 정보를 다중화하는 것이 가능한 길이를 비교하여 중요 정보 쪽이 길다고 판단한 경우에, 스터핑 비트열을 다중화하는 것에 의해, 중요 정보가 분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INTER 비디오 패킷을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INTRA 비디오 패킷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도 10은 본 실시예 2에 따른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는 도 6의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와 비교하여, 부호화 데이터 다중화부(102)에 비디오 동기어 판정부(401)와, INTER/INTRA 판정부(402)와, MV 마커 검출부(403)와, DC 마커 검출부(404)를 갖는다. 또, 도 10에 도시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에 있어서, 도 6의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와 작용, 동작이 공통인 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도 6과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동화상 부호화부(113)는 실시예 1과 달리, 비디오 정보 A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SB 삽입 판정부(124)에 출력하지 않는다.
비디오 동기어 판정부(401)는 동화상 정보 버퍼(123)에 유지된 동화상 정보의 일부를 비디오 동기어의 후보 부분으로서 취출하여, 내부에 유지하고 있는 비디오 동기어와의 상관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비디오 동기어 판정부(401)는 상관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커지는 부분을 비디오 동기어라고 판정하고, 비디오 동기어의 위치 정보를 SB 삽입 판정부(124)에 출력한다. 또, 상관값이란 2개의 비트열 사이에 있어서 일치하는 비트수이다.
INTER/INTRA 판정부(402)는 동화상 정보 버퍼(123)에 유지된 동화상 정보의 비디오 헤드를 복호하고, 비디오 패킷이 INTER 비디오 패킷인지 INTRA 비디오 패킷인지를 판정하여, 그 판정 결과를 MV 마커 검출부(403) 혹은 DC 마커 검출부(404) 중 어느 하나에 출력한다.
MV 마커 검출부(403)는 INTER 비디오 패킷의 비디오 헤더 후의 부분을 순차 복호하여 MV 마커의 위치를 검출하고, MV 마커의 위치 정보를 SB 삽입 판정부(124)에 출력한다.
DC 마커 검출부(404)는 INTRA 비디오 패킷의 비디오 헤더 후의 부분을 순차 복호하여 DC 마커의 위치를 검출하고, DC 마커의 위치 정보를 SB 삽입 판정부(124)에 출력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의 비디오 정보 A의 길이를 검출하는 수순에 대하여, 도 11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ST 501에서, 비디오 동기어 판정부(401), INTER/INTRA 판정부(402), MV 마커 검출부(403) 및 DC 마커 검출부(404)에서, 각각 동화상 정보 버퍼(123)로부터 동화상 정보를 판독한다.
다음에, ST 502에서, 비디오 동기어 판정부(401)에 의해, 동화상 정보의 일부와 내부에 유지하고 있는 비디오 동기어의 상관값에 근거하여 비디오 동기어의 위치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INTER/INTRA 판정부(402)에 출력한다.
다음에, ST 503에서, INTER/INTRA 판정부(402)에 의해, 비디오 동기어의 위치에 근거하여 동화상 정보의 비디오 헤드의 위치를 검출하여 비디오 헤드를 복호하고, 비디오 패킷이 INTER 비디오 패킷인지 INTRA 비디오 패킷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ST 503의 결과, INTER 비디오 패킷인 경우, ST 504 내지 ST 506에서, MV 마커 검출부(403)에 의해, 하프만 부호 등의 부호화된 페이 로드를 순차 복호하여 MV 마커의 위치를 검출한다.
한편, ST 503의 결과, INTRA 비디오 패킷인 경우, ST 507 내지 ST 509에서, DC 마커 검출부(404)에 의해, 하프만 부호 등의 부호화된 페이 로드를 순차 복호하여 DC 마커의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ST 510에서, MV 마커의 위치 혹은 DC 마커의 위치 정보를 SB 삽입 판정부(124)에 출력한다.
이상 처리에 의해, SB 삽입 판정부(124)는 INTER 비디오 패킷의 MV 마커의 위치 혹은, INTRA 비디오 패킷의 DC 마커의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비디오 정보 A의 길이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동화상 정보를 복호하여 비디오 패킷의 중요 정보의 길이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부호화 데이터 생성부(101)의 구성을 종래와 동일한 상태에서, 스터핑 비트열을 다중화할지 여부를 판단하여 중요 정보가 분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 및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방법은 비디오 패킷의 중요 정보와 비디오 정보를 다중화하는 것이 가능한 길이를 비교하여, 중요 정보 쪽이 길다고 판단한 경우에, 스터핑 비트열을 다중화하는 것에 의해, 송신 데이터를 다중화할 때에, 중요 정보가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요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수신 측에 있어서, 중요 정보를 복호할 수 없으므로 왜곡된 화상을 재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1999년 3월 1일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평성 제11-053039호에 근거한 것이다. 이 내용을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Claims (9)
- 패킷의 선두에 중요 정보를 배치하는 동화상 정보 및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고, 선두에 동기어 및 헤더를 다중화하여 구성되는 가변 길이 프레임의 전에 용장 비트를 삽입할지의 여부를 상기 중요 정보의 길이 및 상기 음성 정보의 타이밍에 근거하여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변 길이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판정 수단은 전(前) 프레임의 종단 위치와 다음에 다중화할 음성 정보의 다중화 개시 위치와의 거리로부터 동기어 및 헤더의 길이를 감산한 길이보다 중요 정보의 길이가 긴 경우에 용장 비트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고,상기 프레임 구성 수단은 전(前) 프레임의 종단 위치로부터 동기어의 선두까지 용장 비트를 삽입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부호화된 동화상 정보를 복호하여 중요 정보의 길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
-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취출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상기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는패킷의 선두에 중요 정보를 배치하는 동화상 정보 및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고, 선두에 동기어 및 헤더를 다중화하여 구성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전에 용장 비트를 삽입할지 여부를 상기 중요 정보의 길이 및 상기 음성 정보의 타이밍에 근거하여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변 길이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 장치.
-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를 탑재하여 가변 길이 프레임을 송신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상기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는패킷의 선두에 중요 정보를 배치하는 동화상 정보 및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고, 선두에 동기어 및 헤더를 다중화하여 구성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전에 용장 비트를 삽입할지 여부를 상기 중요 정보의 길이 및 상기 음성 정보의 타이밍에 근거하여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변 길이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를 탑재하여 가변 길이 프레임을 송신하는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상기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는패킷의 선두에 중요 정보를 배치하는 동화상 정보 및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고, 선두에 동기어 및 헤더를 다중화하여 구성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전에 용장 비트를 삽입할지 여부를 상기 중요 정보의 길이 및 상기 음성 정보의 타이밍에 근거하여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변 길이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성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 패킷의 선두에 중요 정보를 배치하는 동화상 정보 및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음성 정보를 다중화하고, 선두에 동기어 및 헤더를 다중화하여 구성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전에 용장 비트를 삽입할지 여부를 상기 중요 정보의 길이 및 상기 음성 정보의 타이밍에 근거하여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가변 길이 프레임을 구성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전(前) 프레임의 종단 위치와 다음에 다중화할 음성 정보의 다중화 개시 위치와의 거리로부터 동기어 및 헤더의 길이를 감산한 길이보다 중요 정보의 길이가 긴 경우, 전 프레임의 종단 위치로부터 동기어의 선두까지 용장 비트를 삽입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부호화된 동화상 정보를 복호하여 중요 정보의 길이를 검출하는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9-53039 | 1999-03-01 | ||
JP5303999A JP3276611B2 (ja) | 1999-03-01 | 1999-03-01 | 可変長フレーム送信装置及び可変長フレーム送信方法 |
PCT/JP2000/000979 WO2000052859A1 (fr) | 1999-03-01 | 2000-02-22 |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trames de longueur variable et procede de transmission de ces tram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3203A true KR20010043203A (ko) | 2001-05-25 |
Family
ID=1293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12131A Abandoned KR20010043203A (ko) | 1999-03-01 | 2000-02-22 |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 및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1075100A1 (ko) |
JP (1) | JP3276611B2 (ko) |
KR (1) | KR20010043203A (ko) |
CN (1) | CN1294798A (ko) |
AU (1) | AU2575900A (ko) |
WO (1) | WO200005285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823343B1 (fr) | 2001-04-05 | 2003-07-04 | Cit Alcatel | Dispositif de generation d'un fichier multimedia a destination d'un terminal de telecommunications et fichier multimedia associe |
CN100507892C (zh) * | 2004-09-02 | 2009-07-01 |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 一种适应于串行外围设备接口总线通信方法 |
JP4596135B2 (ja) * | 2005-01-11 | 2010-12-08 | 日本電気株式会社 | 多重化装置およびそのデータ処理方法 |
CN100464581C (zh) * | 2005-01-12 | 2009-02-25 | 宁波大学 | 一种用于无线数字可视对讲机的语音图像传输方法 |
US8204740B2 (en) * | 2006-02-06 | 2012-06-19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Variable frame offset coding |
CN100561931C (zh) * | 2006-09-28 | 2009-11-1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采用变长帧提高传送效率的移动多媒体广播系统及其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30583A (ja) * | 1991-11-05 | 1993-05-25 | Sony Corp | 符号化方法 |
KR970057980A (ko) * | 1995-12-27 | 1997-07-31 | 구자홍 | 가변율 동영상 부호화기의 비트량 할당방법 및 장치 |
JPH10210021A (ja) * | 1997-01-20 | 1998-08-07 | N T T Ido Tsushinmo Kk | 可変長フレーム同期方法およびその装置ならびに可変長フレーム送信側装置 |
KR19980085246A (ko) * | 1997-05-28 | 1998-12-05 | 이계철 | 채널율을 이용한 가변 비트율 비디오 제어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91272A (ja) * | 1996-12-20 | 1998-07-21 | Kokusai Electric Co Ltd | 多重伝送方法及び多重伝送装置 |
JP2000049726A (ja) * | 1998-07-30 | 2000-02-18 | Sony Corp | 多重化装置及び方法 |
-
1999
- 1999-03-01 JP JP5303999A patent/JP327661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
- 2000-02-22 WO PCT/JP2000/000979 patent/WO2000052859A1/ja active IP Right Grant
- 2000-02-22 KR KR1020007012131A patent/KR20010043203A/ko not_active Abandoned
- 2000-02-22 CN CN00800212A patent/CN1294798A/zh active Pending
- 2000-02-22 AU AU25759/00A patent/AU2575900A/en not_active Abandoned
- 2000-02-22 EP EP20000904074 patent/EP1075100A1/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30583A (ja) * | 1991-11-05 | 1993-05-25 | Sony Corp | 符号化方法 |
KR970057980A (ko) * | 1995-12-27 | 1997-07-31 | 구자홍 | 가변율 동영상 부호화기의 비트량 할당방법 및 장치 |
JPH10210021A (ja) * | 1997-01-20 | 1998-08-07 | N T T Ido Tsushinmo Kk | 可変長フレーム同期方法およびその装置ならびに可変長フレーム送信側装置 |
KR19980085246A (ko) * | 1997-05-28 | 1998-12-05 | 이계철 | 채널율을 이용한 가변 비트율 비디오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276611B2 (ja) | 2002-04-22 |
AU2575900A (en) | 2000-09-21 |
CN1294798A (zh) | 2001-05-09 |
JP2000253062A (ja) | 2000-09-14 |
EP1075100A1 (en) | 2001-02-07 |
WO2000052859A1 (fr) | 2000-09-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57100B2 (en) | Coding system and decoding system | |
US7272299B2 (en) | Data conversion apparatus, data cod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apparatus | |
EP1111935A1 (en) | Multimedia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method | |
KR100580158B1 (ko) | 화상 패킷 전송을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 |
US6959020B1 (en) | Error detection in receiving multiplex signals | |
US20060140281A1 (en) | Video coding apparatus and video decoding apparatus | |
US6498809B1 (en) | Video bitstream error resilient transcoder, method, video-phone, video-communicator and device | |
KR100840877B1 (ko) | 신호 코딩 방법 및 장치, 코딩된 데이터 스트림 코딩 방법 및 장치, 채널 인코딩 방법 및 채널 코더, 채널 디코딩 방법 및 채널 디코더, 및 저장 매체 | |
KR20010043203A (ko) |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장치 및 가변 길이 프레임 송신 방법 | |
EP1479247A1 (en) | Coding a data stream with unequal error protection | |
EP1705842B1 (en) | Apparatus for receiving packet stream | |
JP4242581B2 (ja) | データ変換装置 | |
KR101073813B1 (ko) | 비트스트림 오류 보완방법, 비트스트림 오류 보완전처리기, 및 그 전처리기를 포함하는 디코딩 장치 | |
EP1555788A1 (en) |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n encoded video bit stream transmitted over a wireless link, and corresponding receiver | |
JPH10200595A (ja) | 可変長符号化データ伝送装置、送信側装置、受信側装置およびその方法 | |
US20040228404A1 (en) | Moving picture coding method | |
JP2648095B2 (ja) | 画像符号化および復号化装置 | |
JP3408104B2 (ja) | 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 |
JP3933483B2 (ja) | 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復号化方法 | |
KR0139163B1 (ko) | 가변장복호화과정에 적용하는 동기맞춤장치 | |
JPH02246432A (ja) | 映像・音声多重化方式 | |
JPH0440123A (ja) | 画像データ伝送方式 | |
KR20000021866A (ko) | 디지탈 비디오 및 오디오 송수신 방법 | |
JP2004260374A (ja) | 復号再生方法、復号再生装置及びマルチメディア情報受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010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18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