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089A - 로드제어식 자동부스터 - Google Patents
로드제어식 자동부스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42089A KR20010042089A KR1020007010445A KR20007010445A KR20010042089A KR 20010042089 A KR20010042089 A KR 20010042089A KR 1020007010445 A KR1020007010445 A KR 1020007010445A KR 20007010445 A KR20007010445 A KR 20007010445A KR 20010042089 A KR20010042089 A KR 200100420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 booster
- plunger
- piston
- s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3—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75—Systems with a braking assistant function, i.e. automatic full braking initiation in dependence of brake pedal veloc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being associated with master cylinders, e.g. integrally form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3—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 B60T13/57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using resilient discs o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런저(8)에 의해 작동되는 공기압부스터에 관한 것으로, 플런저의 전방섹션(82)은 밸브(91, 92, 93)를 작동시키고 플런저는 힘전달부재(12, 14)에 승압력을 가하도록 고안된 공기압피스톤(5)에 수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런저(8)는 스프링(15)에 의해 후방섹션에 연결된 전방섹션(81)을 포함하고 있고, 전방섹션(81) 및 힘전달부재(12, 14)는 플런저가 최대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 승압력이 소정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피스톤(5)에 전방섹션(81)을 고정시키기 위한 유지수단(16, 17)을 포함하여, 급격한 제동동작을 수반하는 부스터의 확장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이러한 타입의 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문서 US-3,470,697, FR-2,532,084 및 FR-2,658,46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공지되어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매우 많은 운전자들이 긴급제동 상황에 부닥쳤을 때, 수반된 실제 위험을 과소평가하고, 그리고 급격하게 제동되었을 때, 반대로 사고를 피하기 위해서 충분한 제동작용력을 유지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 하에서 그들의 제동작용력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찰결과는 경험이 없거나 또는 당황한 운전자의 행동에 있을 수 있는 단점을 완화하기 위한 시도에 있어서의 다양한 해결책의 개발로 이어져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국한되고 격렬한 제동동작에 계속하여 충분한 제동력을 유지하는 것의 문제점에 대한 간단한 해결책을 제공하도록 고안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압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강체케이싱; 누출방지식으로 상기 케이싱 내측의 작동시에 제 1압력을 받는 전방 챔버 및 선택적으로 전방 챔버에 연결되거나 또는 제 1압력 보다 더 큰 제 2압력을 받는 후방 챔버의 한계를 정하는 이동칸막이; 이동칸막이와 함께 이동하는 공기압 피스톤; 전방 챔버를 향하여 방향설정된 축의 작동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해지며 소정의 한계비율보다 더 작거나 또는 더 큰 비율로 입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에 따라 중간작동위치 또는 말단작동위치로 작업로드를 가압하는 입력 및 축의 작동방향과 반대인 축의 복귀방향으로 주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며 작업로드를 복귀위치로 가압하는 복귀력의 작용으로 피스톤 내를 이동하는 작업로드; 피스톤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작업로드에 의해서 구동되는 플런저; 플런저의 후방 섹션에 의해서 지탱된 환형시트를 포함하고, 작업로드가 정지위치에 있을 때 전방 챔버에 후방 챔버를 연결하고, 그리고 작업로드가 그것의 작동위치 중의 하나에 있을 때 후방 챔버에 제 2압력을 받게하는 3방향밸브; 상기 밸브가 후방 챔버에 제 2압력을 받게하는 경우 적어도 피스톤의 전방 면에 의해 가해진 승압력을 수용하고 전달할 수 있고, 승압력에 의존하는 반작용력을 가지고서 입력에 대해 반작용할 수 있는 반작용수단을 포함하는 힘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압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스터의 단면도;
도 2, 3 그리고 4는 작동의 다양한 단계에서 본, 도 1에 도시된 부스터의 부분의 상세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부스터의 단면도;
도 6, 7 그리고 8은 작동의 다양한 단계에서 본, 도 5에 도시된 부스터의 부분의 상세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스터의 후방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한 서두에 주어진 정의에 따르는 본 발명의 부스터는 플런저가 복귀력보다 더 작은 상호접촉력을 전방섹션과 후방섹션 사이에서 발휘하는 제 2스프링에 의해 후방섹션에 연결된 전방섹션을 포함하는 것, 전방섹션 및 힘전달수단이 각각 작업로드가 그것의 말단의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 승압력이 소정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피스톤에 전방섹션을 고정할 수 있는 전환가능한(reversible) 유지수단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수단은 축방향으로 승압력을 받는 탄성 환형층을 포함하고, 이 층은 승압력이 클수록 더 작아지는 축방향의 두께 및 내부직경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반작용수단은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진 반작용 디스크를 포함하고 , 유지수단은 플런저의 전방섹션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강체 디스크를 포함하고, 그리고 환형층은 작업로드가 그것의 말단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 승압력이 소정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강체 디스크를 트래핑(trapping)할 수 있는 하우징을 반작용 디스크에서 한정하는 반작용 디스크의 두꺼워진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하우징 및 강체 디스크는 바람직하게 보조의 절두원추체 형상부를 가지고 있다.
유지수단은, 예를 들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전방섹션의 외부형상을 가진 쇼울더를 또한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유지수단은 탄성 환형층에 위치되고 작업로드가 그것의 말단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 승압력이 소정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전방섹션을 피스톤과 조합하기 위해 전방섹션의 외부형상을 가진 쇼울더와 상호작용하는 강체삽입물 유리하게 포함하게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수단은 작업로드가 그것의 말단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 승압력이 소정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강체 슬리브를 트래핑할 수 있는 하우징을 한정하는 탄성 슬리브 내측에 배열된 강체 슬리브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로운 점은 첨부된 도면에 관하여 비제한적인 표시에 의해 이후에 주어진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부스터는, 본질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강체 케이싱(1)을 함께 형성하는 전방 셸(1a) 및 후방 셸(1b)을 포함하고 있다.
이동칸막이(2)는 누출방지 방식으로 이 강체 케이싱(1)의 내부를 분할하여 전방 챔버(3) 및 후방 챔버(4)를 한정하고, 작동시의 전방 챔버(3)는 비교적 낮은 제 1압력(Pd)을 받는다.
공기압 피스톤(5)은 이동칸막이(2)와 같이 이동하고 케이싱(1)의 개구(19)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허브(6)를 가지고 있다.
부스터는 정지위치(도 1, 2, 5, 6 및 도 9를 참고)와 말단작동위치(도 3 및 도 7을 참고) 사이에서 허브(6) 내를 이동할 수 있는 작업로드(7)에 의해 작동되고, 허브 내의 이 로드의 위치는 특히 브레이크페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축의 작동방향(X+)으로 이 로드에 가해진 입력(Fe), 그리고 이 입력(Fe)이 주 복귀스프링(71)에 의해 반대방향(X-)으로 발휘된 복귀력(Fr) 및 복귀력과 같은 방향의 반작용력에 가해지는 비율 양자에 의존한다.
입력(Fe)이 작업로드(7)에 완만하게 가해지는 경우, 작업로드는 그것의 정지위치(도 1, 2, 5, 6 및 도 9를 참고)와 말단작동위치(도 3 및 도 7을 참고) 사이에서 중간작동위치를 채용하고, 입력(Fe)이 주어진 한계 비율보다 더 큰 비율로 가해지는 경우에만 작업로드가 그것의 말단작동위치에 도달한다.
작업로드(7) 옆에서 지탱된 플런저(8)는 3방향밸브(9)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허브(6)의 보어(61) 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밸브(9)는 본질적으로 허브(6)의 내부 둘레에 형성된 고정환형시트(91), 고정시트(91)와 동심상태에 있고 플런저(8)의 후방섹션(82)에 의해 지탱되어 있는 이동환형시트(92) 그리고 플런저 및 허브 양자와 동심상태에 있는 튜브형 셔터(93)로 구성되어 있다.
튜브형 셔터(93)는 플런저(8)의 위치에 따라 이동시트(92) 또는 고정시트(91) 중의 하나와 상호작용하도록 고안된 환형전방차단면을 가지고 있다.
부스터가 정지상태(도 1, 2, 5, 6 및 도 9를 참고)에 있을 때, 셔터(93)는 이동시트(92)에 대하여 가압하여 전방챔버(3)가 받는 압력(Pd) 보다 큰 압력(Pa)을 공급하고 대체로 대기로 구성된 압력원으로부터 후방 챔버(4)를 격리시킨다.
대조적으로, 스프링(71)의 복귀력(Fr)보다 약간 더 큰 입력(Fe)이 로드(7) 상에 가해질 때, 이 힘(Fe)은 플런저(8)가 작동방향(X+)으로 이동하도록 유발하고, 그래서 셔터(93)가 이동시트(92)로부터 떨어져서 고정시트(101)를 가압하고(도 3을 참고), 그 결과 후방 챔버(4)는 압력(Pa)을 받게 된다.
공기의 후방 챔버로의 진입은 작동방향(X+)으로 이동칸막이(2)를 원래 위치로 밀고 피스톤(5)의 전방면 상에 가해진 승압력(Fa)을 발생시킨다.
마스터실린더(20)를 작동시키기 위해 입력(Fe) 및 승압력(Fa)을 사용하는 힘전달부재에 입력(Fe) 및 승압력(Fa)이 함께 가해지고, 이러한 힘전달부재는 승압력에 의존하는 반작용력을 가진 입력(Fe)에 대하여 반작용할 수 있는 반작용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힘전달 및 반작용부재의 특성은 문제의 부스터의 타입에 따라 변화하지만, 본 발명은 부스터에 끼워맞추어져서 사용된 반작용부재의 타입에 관계없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은 컵(11)에 수용된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진 반작용디스크(13)를 공지된 방식으로 사용하고 플런저(8)에 의해 전달된 입력(Fe) 및 공기압피스톤(5)의 전방면(51)에 의해 발휘된 승압력(Fa) 양자를 수용하는 부스터를 도시하고 있다.
반작용디스크(13)는 승압력(Fa)에 따라 변화하는 반작용력을 가진 입력(Fe)에 대해 반작용하고, 그리고 푸시로드(10)에 연결되어 있는 컵(11)은 이러한 힘들, 복귀력(Fr) 및 피스톤-복귀스프링(35)의 탄성력의 합력을 마스터실린더(20)의 주 유압피스톤(200)에 전달한다.
대조적으로 도 5는 소위 "유압반작용"부스터를 도시하고, 그와 같은 부스터는 특히 복귀력(Fr)에 의해 감소된 입력(Fe)을 수용하고, 그리고 공기압피스톤(5)의 전방면(51)에 의해 발휘된 승압력(Fa)을 수용하도록 고안된 유압실린더(12)에서 미끄러지는 유압반작용피스톤(14)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런저(8)는 제 2스프링(15)에 의해 후방섹션에 연결된 전방섹션(81)을 가지고 있고, 한편 작업로드가 그것의 말단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 승압력(Fa)이 소정 한계값(S)을 초과하는 경우 플런저의 전방섹션(81) 및 힘전달부재는 각각 피스톤에 전방섹션(81)을 고정할 수 있는 전환가능한 유지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압축식으로 미리 장전된 나선형스프링으로 구성된 제 2스프링(15)은 작업로드(7)의 복귀스프링(71)에 의해 발휘된 복귀력(Fr) 보다 더 작은 상호접촉력(Fc)을 전방 및 후방섹션(81, 82)에 가함으로써 전방 및 후방섹션(81, 82)을 서로 더 가깝게 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수단은 축방향으로 승압력(Fa)을 받는 탄성환형층(16)을 포함하고 있고, 이 층(16)은 승압력(Fa)이 커질수록 더 작아지는 축방향의 두께(E) 및 내부직경(Di)을 가지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작용디스크(13)를 사용하는 부스터의 경우에 있어서, 유지수단은 예를 들면 플런저(8)의 전방섹션(81)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강체디스크(811)를 또한 포함하고 있고, 이 경우의 환형층(16)은 작업로드가 그것의 말단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 승압력(Fa)이 소정 한계값(S)을 초과하는 경우 강체디스크(811)를 트래핑할 수 있는 하우징(101)을 반작용디스크 내에서 한정하는 반작용디스크(13)의 두꺼운부분으로 구성되고, 하우징(101) 및 강체디스크(811)는 보조의 절두원추체 형상부를 가지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관하여 설명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작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부스터가 정지상태에 있는 경우(도 2를 참고), 작업로드(7)는 스프링(71)에 의해 발휘된 힘(Fr)에 의해 복귀방향(X-)으로 당겨지고, 이것은 이동환형시트(92)가 셔터(93)에 대하여 가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후방챔버(4)는 전방챔버(3)와 연통하고 대기압(Pa)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입력(Fe)(이러한 상황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작업로드(7)에 가해지면, 이동시트(92)는 셔터(93)로부터 떨어져서 천천히 이동하고, 그리고 이것은 대기로 후방챔버(4)를 개방하고 플런저(8)가 작동방향(X+)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이동에 있어서, 플런저(8)의 전방면(51)은 반작용디스크(13)의 둘레 상에 가압되기 때문에, 하우징(101)이 형성되어 있는 이 디스크의 중심부분은 강체디스크(811)와 마주칠 때 까지 복귀방향(X-)으로 원래의 위치로 당겨지고, 반작용디스크의 이 중심부분은 반대방향(X-)으로 인도된 반작용력을 강체디스크(811) 상에 발휘한다. 작업로드는 그 결과 중간 작동위치에 있다.
대조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입력(Fe)(도 3을 참고)이 작업로드(7)에 가해지면, 작업로드는 그것의 말단 작동위치를 채용하고 강체디스크(811)는 공기압피스톤(5)이 반작용디스크(13)의 둘레에 대하여 가압할 시간을 가지기 전에 하우징(101)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공기압피스톤(5)이 반작용디스크(13)의 둘레에서 환형층(16) 상에 가압하는 경우, 이 층(16)은 반작용디스크의 중심을 향해 유동하고, 그것의 내부직경(Di)이 감소하고, 그리고 하우징(101)에서 강체디스크(811)를 트래핑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브레이크페달(도시되지 않음)이 점차적으로 이완되는 경우, 그리고 비록 입력(Fe)이 감소하더라도(도 4를 참고), 강체디스크(811)는 밸브의 시트(92)가 고정시트(91)로부터 떨어져서 셔터(93)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 하우징(101)에서 트래핑된 상태로 있고, 이것은 브레이크가 이완하는 동안 최대 승압력이 마스터실린더(20)에 계속하여 가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상, 이러한 승압력의 인가는 밸브의 시트(92)가 고정시트(91)로부터 떨어져서 셔터(93)를 이동시키도록 복귀방향(X-)으로 충분히 멀리 후퇴한 때 까지 중단하지 않고, 그리고 후방챔버(4)는 전방챔버(3)에 다시 연결된다.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환형층(16)은 공기압피스톤(5)의 전방면(51)과 유압실린더(12) 사이에서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유지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플런저(8)의 전방섹션(81)의 외형의 쇼울더(810)를 포함하고 있다.
강체삽입부(17)가 또한 탄성환형층(16)에 배치될 수 있어서 쇼울더(810)와 상호작용한다.
부스터가 정지상태에 있는 경우(도 6을 참고), 작업로드(7)는 스프링(71)에 의해 발휘된 힘(Fr)에 의해 복귀방향(X-)으로 당겨지고, 이것은 이동환형시트(92)가 셔터(93)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 예시된 것과 동일한 이러한 조건 하에서, 후방챔버(4)는 전방챔버(3)와 연통하고 대기압(Pa)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완만하게 변화하는 입력(Fe)(이 상황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작업로드(7)에 가해지는 경우, 이동시트(92)는 셔터(93)로부터 떨어져서 천천히 이동하고, 그리고 이것은 대기로 후방챔버(4)를 개방한다. 그 때 작업로드는 중간 작동위치에 있다.
순환적으로 후방챔버(4)의 대기로의 배출구를 만드는 것은 플런저(8)를 작동방향(X+)으로 이동하게 하고 그 결과 반작용피스톤(14)을 복귀방향(X-)으로 이동하게 하며, 이 반작용피스톤은 이러한 같은 방향(X-)으로 인도된 반작용력을 플런저(8)의 전방섹션(81) 상에 작용한다.
유의해야 할 점은 부스터가 이러한 상태에 있는 경우 공기압피스톤(5), 쇼울더(810) 및 환형층(16)의 상대운동과 비교하여 플런저(8)의 작은 상대운동이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사실상 남아 있다.
대조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입력(Fe)(도 7을 참고)이 작업로드(7)에 가해지면, 작업로드는 그것의 말단 작동위치를 채용하고 쇼울더(810)는 공기압피스톤(5)이 유압실린더(12)에 대해서 가압하는 시간을 가지기 전에 삽입부(17)의 전방에 놓여지게 되고 그 결과 반작용피스톤(14)을 후퇴시킨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공기압피스톤(5)이 환형층(16) 상에 가압하는 경우(도 7을 참고), 이 층(16)은 쇼울더(810)을 향해 유동하고, 삽입부 또는 각각의 삽입부(17)를 이 쇼울더를 향해 원래의 위치로 밀고 그 결과 플런저(8)의 전방섹션(81)과 공기압피스톤(5)을 조합하여 그들이 일체로서 병진운동으로 이동하독록 만들어 진다.
브레이크페달(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점차적으로 이완되는 경우, 그리고 비록 입력(Fe)이 감소하더라도(도 8을 참고), 쇼울더(810)는 밸브의 시트(92)가 고정시트(91)를 떠나서 셔터(93)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에 있어서는 삽입부 또는 삽입부들(17)에 의해 트래핑된 상태로 남아 있고, 이것은 브레이크가 완화되는 동안 최대 승압력이 마스터실린더(20)에 계속하여 가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승압력의 인가는 밸브의 시트(92)가 복귀방향으로 충분히 멀리 후퇴하여 셔터(93)를 고정시트(91)와 떨어져서 이동시킬 때 까지 중단되지 않고, 그 때 후방챔버(4)는 다시 전방챔버(3)에 연결된다.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수단은 작업로드(7)가 그것의 말단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 승압력(Fa)이 소정의 한계값(S)을 초과하는 경우 강체슬리브(8110)를 트래핑할 수 있는 하우징을 한정하는 탄성슬리브(16) 내측에 배치된 강체슬리브(81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긴급한 제동작동에 계속되는 브레이크완화 단계의 가능한한 가장 많은 부분 동안 밸브(9)를 넓게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그 결과 본 발명이 없다면 운전자에 의해 실제적으로 제공된 제동작용력의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것 보다 훨씬 더 강한 제동력을 계속하여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압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한 구성으로 격렬한 제동동작에 계속하여 충분한 제동력을 유지하는 것의 문제점에 대한 간단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 강체케이싱(1); 누출방지식으로 상기 케이싱(1) 내측의 작동시에 제 1압력(Pd)을 받는 전방 챔버(3) 및 선택적으로 전방 챔버(3)에 연결되거나 또는 제 1압력(Pd) 보다 더 큰 제 2압력(Pa)을 받는 후방 챔버(4)의 한계를 정하는 이동칸막이(2); 이동칸막이(2)와 함께 이동하는 공기압 피스톤(5); 전방 챔버(3)를 향하여 방향설정된 축의 작동방향(X+)으로 선택적으로 가해지며 소정의 한계비율보다 더 작거나 또는 더 큰 비율로 입력(Fe)이 가해지는지 여부에 따라 중간작동위치 또는 말단작동위치로 작업로드(7)를 가압하는 입력(Fe) 및 축의 작동방향(X+)과 반대인 축의 복귀방향(X-)으로 주 스프링(71)에 의해 가해지며 작업로드(7)를 복귀위치로 가압하는 복귀력(Fr)의 작용으로 피스톤 내를 이동하는 작업로드(7); 피스톤(5)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작업로드(7)에 의해서 구동되는 플런저(8); 플런저(8)의 후방 섹션(82)에 의해서 지탱된 환형시트(92)를 포함하고, 작업로드(7)가 정지위치에 있을 때 전방 챔버(3)에 후방 챔버(4)를 연결하고, 그리고 작업로드(7)가 그것의 작동위치 중의 하나에 있을 때 후방 챔버(4)에 제 2압력(Pa)을 받게하는 3방향밸브(9); 상기 밸브(9)가 후방 챔버(4)에 제 2압력(Pa)을 받게하는 경우 적어도 피스톤(5)의 전방 면(51)에 의해 가해진 승압력(Fa)을 수용하고 전달할 수 있고, 승압력(Fa)에 의존하는 반작용력을 가지고서 입력(Fe)에 대해 반작용할 수 있는 반작용수단(13, 14)을 포함하는 힘전달수단(10, 11, 12, 13, 14);을 포함하는 공기압 브레이크 부스터에 있어서,플런저(8)가 전방 및 후방섹션(81, 82) 사이에서 복귀력(Fr)보다 더 작은 상호접촉력(Fc)을 작용하는 제 2스프링(15)에 의해서 후방섹션(82)에 연결되어 있는 전방섹션(81)을 포함하는 것, 그리고 전방섹션(81) 및 힘전달수단(10, 11, 12, 13, 14)이 각각 작업로드(7)가 그것의 말달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 승압력(Fa)이 소정의 한계값(S)을 초과하는 경우 피스톤에 전방섹션(81)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전환가능한 유지수단(16, 17, 101, 810, 811, 8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 제 1항에 있어서, 유지수단(16, 17, 101, 810, 811, 8110)이 승압력(Fa)을 축방향으로 받는 탄성환형층(16)을 포함하고, 이 층(16)이 승압력(Fa)이 커질수록 더 작아지는 축방향의 두께(E) 및 내부직경(Di)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 제 2항에 있어서, 반작용수단(13, 14)이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진 반작용디스크(13)을 포함하는 것, 유지수단(16, 17, 101, 810, 811, 8110)이 플런저(8)의 전방섹션(81)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강체디스크(811)를 포함하는 것, 그리고 환형층(16)이 작업로드(7)가 그것의 말단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 승압력(Fa)이 소정의 한계값(S)을 초과하는 경우 강체디스크(811)를 트래핑할 수 있는 하우징(101)을 반작용디스크 내에서 한정하는 반작용디스크(13)의 두꺼운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 제 3항에 있어서, 하우징(101) 및 강체디스크(811)가 보조의 절두원추체 형상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섹션(8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 외형을 가지는 것, 그리고 유지수단(16, 17, 101, 810, 811, 8110)이 전방섹션의 외형을 가지고 있는 쇼울더(8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 제 2항 및 제 5항에 있어서, 유지수단(16, 17, 101, 810, 811, 8110)이 탄성환형층(16)에 위치되어 있고 그리고 작업로드(7)가 그것의 말단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 승압력(Fa)이 소정의 한계값(S)을 초과하는 경우 전방섹션(81)과 피스톤(5)을 결합하기 위해 전방섹션(81)의 외형을 가지고 있는 쇼울더(810)와 상호작용하는 강체삽입부(17)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 제 2항에 있어서, 유지수단(16, 17, 101, 810, 811, 8110)이 작업로드(7)가 그것의 말단 작동위치에 있는 동안 승압력(Fa)이 소정의 한계값(S)을 초과하는 경우 강체슬리브(8110)를 트래핑할 수 있는 하우징을 한정하는 탄성슬리브(16)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강체슬리브(8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98/05113 | 1998-04-24 | ||
FR9805113A FR2777851B1 (fr) | 1998-04-24 | 1998-04-24 | Servomoteur pneumatique a auto-assistance controlee en effort |
PCT/FR1999/000938 WO1999055569A1 (fr) | 1998-04-24 | 1999-04-15 | Servomoteur pneumatique a auto-assistance controlee en effor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2089A true KR20010042089A (ko) | 2001-05-25 |
Family
ID=952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10445A Withdrawn KR20010042089A (ko) | 1998-04-24 | 1999-04-15 | 로드제어식 자동부스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6269731B1 (ko) |
EP (1) | EP1073571B1 (ko) |
JP (1) | JP2002512921A (ko) |
KR (1) | KR20010042089A (ko) |
DE (1) | DE69911761T2 (ko) |
ES (1) | ES2205801T3 (ko) |
FR (1) | FR2777851B1 (ko) |
WO (1) | WO199905556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19863A (zh) * | 2017-05-12 | 2020-01-21 | Zf主动安全有限公司 | 车辆制动系统的致动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916579B4 (de) * | 1999-04-13 | 2004-01-29 | Lucas Industries P.L.C., Solihull | Pneumatischer Bremskraftverstärker mit veränderlichem Kraftübersetzungsverhältnis |
JP2001080494A (ja) * | 1999-09-10 | 2001-03-27 |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 倍力装置 |
FR2803809B1 (fr) * | 2000-01-14 | 2002-04-12 | Bosch Gmbh Robert | Servomoteur pneumatique d'assistance au freinage |
DE10049106B4 (de) * | 2000-10-04 | 2006-05-18 | Lucas Varity Gmbh | Pneumatischer Bremskraftverstärker mit veränderlichem Kraftübersetzungsverhältnis |
FR2819770B1 (fr) * | 2001-01-23 | 2003-03-28 | Delphi Tech Inc | Servomoteur d'assistance avec un mecanisme de valve a clip de panique |
FR2839485B1 (fr) * | 2002-05-07 | 2004-07-02 | Bosch Gmbh Robert | Servomoteur pneumatique comportant un element flottant porteur de sieges decales d'admission et de reeequilibrage |
US7526992B2 (en) * | 2007-02-13 | 2009-05-05 | Delphi Technologies, Inc. | Variable force rate vacuum booster |
FR2923201B1 (fr) * | 2007-11-06 | 2012-07-27 | Bosch Gmbh Robert | Palpeur pour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
DE102010043203B4 (de) * | 2010-11-02 | 2024-02-01 | Robert Bosch Gmbh | Bremskraftverstärke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Bremskraftverstärkers |
DE102010043202A1 (de) * | 2010-11-02 | 2012-05-03 | Robert Bosch Gmbh | Bremskraftverstärke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Bremskraftverstärkers |
FR2969003B1 (fr) | 2010-12-16 | 2012-12-28 | Rossignol Sa | Dispositif de montage sur un ski des elements d'une fixation de securite |
FR2969086B1 (fr) * | 2010-12-21 | 2016-04-29 | Bosch Gmbh Robert | Piston primaire de maitre-cylindre tandem et maitre-cylindre tandem equipe d'un tel piston primaire |
CN102501845A (zh) * | 2011-10-28 | 2012-06-20 | 江苏九龙汽车制造有限公司 | 真空助力器辅助装置 |
CN103010197B (zh) * | 2012-11-28 | 2015-04-22 | 芜湖伯特利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 一种机械式真空助力器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092251B (en) * | 1980-12-06 | 1985-02-06 | Nissin Kogyo Kk | Vacuum booster assembly |
JPH04257760A (ja) * | 1991-02-07 | 1992-09-11 | Toyota Motor Corp | ブレーキ用気体圧ブースタ |
FR2691691B1 (fr) * | 1992-05-26 | 1996-08-09 | Bendix Europ Services Tech | Servomoteur pneumatique. |
DE4234041C1 (de) * | 1992-10-09 | 1994-03-17 | Daimler Benz Ag | Bremsdruck-Steuereinrichtung für ein Straßenfahrzeug |
DE4234043C1 (de) * | 1992-10-09 | 1994-03-24 | Daimler Benz Ag | Bremsdruck-Steuereinrichtung für ein Straßenfahrzeug |
JP3743967B2 (ja) * | 1996-05-30 | 2006-02-0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気圧式倍力装置 |
US5884548A (en) * | 1996-08-12 | 1999-03-23 | Tokico Ltd. | Pressure differential operated brake booster |
JPH10129459A (ja) * | 1996-10-25 | 1998-05-19 | Jidosha Kiki Co Ltd | 倍力装置 |
US5893316A (en) * | 1996-12-27 | 1999-04-13 | Jidosha Kiki Co., Ltd. | Brake booster |
-
1998
- 1998-04-24 FR FR9805113A patent/FR2777851B1/fr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
- 1999-04-15 JP JP2000545740A patent/JP2002512921A/ja not_active Withdrawn
- 1999-04-15 KR KR1020007010445A patent/KR20010042089A/ko not_active Withdrawn
- 1999-04-15 DE DE69911761T patent/DE69911761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4-15 EP EP99914631A patent/EP1073571B1/fr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4-15 ES ES99914631T patent/ES2205801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4-15 WO PCT/FR1999/000938 patent/WO1999055569A1/fr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9-04-15 US US09/308,499 patent/US626973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19863A (zh) * | 2017-05-12 | 2020-01-21 | Zf主动安全有限公司 | 车辆制动系统的致动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FR2777851A1 (fr) | 1999-10-29 |
ES2205801T3 (es) | 2004-05-01 |
JP2002512921A (ja) | 2002-05-08 |
DE69911761D1 (de) | 2003-11-06 |
US6269731B1 (en) | 2001-08-07 |
EP1073571A1 (fr) | 2001-02-07 |
WO1999055569A1 (fr) | 1999-11-04 |
FR2777851B1 (fr) | 2000-06-09 |
EP1073571B1 (fr) | 2003-10-01 |
DE69911761T2 (de) | 2004-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0042089A (ko) | 로드제어식 자동부스터 | |
EP0705190B1 (en) | Brake booster | |
US6931979B2 (en) | Reaction device for brake booster | |
EP1295770A2 (en) | Brake booster | |
DE19916579B4 (de) | Pneumatischer Bremskraftverstärker mit veränderlichem Kraftübersetzungsverhältnis | |
US5038564A (en) | Pulsator-operated valving with reaction chamber accumulator for hydraulic booster system | |
US6186042B1 (en) | Pneumatic booster with floating reaction disc and dynamically cancellable reaction | |
JP4207170B2 (ja) | 動的に解除可能な流体反力を備える改良したマスターシリンダ | |
EP0580675B1 (en) | Brake servo booster | |
US6282896B1 (en) | Idle stroke shortening device in brake system | |
JP4489290B2 (ja) | 位置制御の自動補助を備える空気圧ブースタ | |
JP2004510636A (ja) | 伝達比を変化させる空圧ブレーキブースタ | |
JP2004051078A (ja) | 気圧式倍力装置 | |
US6591734B1 (en) | Servomotor with a deformable-adjustable sleeve | |
JP4207191B2 (ja) | 高ジャンプを有する非常弁を備えたブースト式ブレーキ装置及びこの装置のためのブースタ | |
KR101315778B1 (ko) |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 |
JPS6198665A (ja) | 多方向制御弁装置 | |
JP4298290B2 (ja) | 自動車用の作動を改良したブースト式ブレーキ装置 | |
US6988778B2 (en) | Pneumatic brake booster,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 |
JP2002528327A (ja) | 枢動キーを用いる自動ブースト式空気圧ブースタ | |
KR100945776B1 (ko) | 기압식 배력 장치 | |
JP2584427Y2 (ja) | ブレーキ倍力装置 | |
US6773079B2 (en) | Boosted braking device with emergency valve | |
JP5443486B2 (ja) | 二重レートのブレーキ補助付きブレーキブースタ | |
JPH01289752A (ja) | 油圧式倍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009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