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263A - 간 섬유화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벤조[3,4-d]1,3-디옥솔란 유도체 - Google Patents
간 섬유화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벤조[3,4-d]1,3-디옥솔란 유도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39263A KR20010039263A KR1019990047570A KR19990047570A KR20010039263A KR 20010039263 A KR20010039263 A KR 20010039263A KR 1019990047570 A KR1019990047570 A KR 1019990047570A KR 19990047570 A KR19990047570 A KR 19990047570A KR 20010039263 A KR20010039263 A KR 200100392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nzo
- dioxolan
- hydroxy
- substituted
- dioxolan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7/4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07D317/48—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 C07D317/50—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atoms of the carbocyclic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투여 화합물 | 투여농도(μM) | 니트릭 옥사이드 생성 억제효과(%) |
화합물 18 | 200 | 52 |
20 | 12 | |
2 | 5 | |
화합물 19 | 200 | 94 |
20 | 26 | |
2 | 16 | |
화합물 28 | 100 | 54 |
50 | 44 | |
25 | 31 | |
화합물 37 | 100 | 99 |
50 | 80 | |
25 | 35 | |
화합물 38 | 100 | 65 |
50 | 49 | |
25 | 42 | |
화합물 39 | 50 | 53 |
5 | 13 | |
0.5 | 8 |
투여 화합물 | 투여농도(μM) | 니트릭 옥사이드 생성 억제효과(%) |
화합물 1 | 50 | 99 |
16.7 | 99 | |
5.6 | 65 | |
1.9 | 9 | |
화합물 7 | 20 | 10 |
16.7 | 4 | |
5.6 | 2 | |
화합물 8 | 50 | 46 |
16.7 | 32 | |
5.6 | 22 |
투여화합물 | 투여농도(μM) | 세포증식 억제능(%) |
화합물 1 | 50 | 86 |
16.7 | 81 | |
5.6 | 51 | |
1.9 | 30 | |
0.6 | 20 | |
화합물 8 | 50 | 33 |
16.7 | 14 | |
화합물 18 | 200 | 66 |
100 | 38 | |
50 | 23 | |
화합물 19 | 200 | 71 |
100 | 27 | |
50 | 5 | |
화합물 34 | 50 | 70 |
25 | 60 | |
12.5 | 62 | |
5 | 42 | |
0.5 | 18 | |
화합물 37 | 100 | 65 |
50 | 41 | |
화합물 39 | 50 | 85 |
25 | 49 | |
12.5 | 24 | |
화합물 41 | 50 | 62 |
5 | 53 | |
0.5 | 20 |
Claims (8)
-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담체와 함께 하기 화학식 1의 벤조[3,4-d]1,3-디옥솔란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 섬유화 억제제 조성물:[화학식 1]상기식에서, D는 에틸티오, 아세틸티오 또는 하이드록시에틸티오를 나타내거나, 하기 (a-1) 내지 (a-8)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 치환기를 나타내며:여기에서,R1, R1', R3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카복시를 나타내거나, R1및 R1'또는 R3및 R3'가 각각 함께 옥소, 저급알킬리덴, 저급알콕시이미노 또는 하이드록시이미노를 나타내고,R2는 수소원자, 할로겐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저급알킬, 아릴, 또는 아르저급알킬을 나타내거나, 질소, 산소 및 황원자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환원자로서 함유하는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아릴 및 아르저급알킬은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시아노, 하이드록시 및 카복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치환기(들)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헤테로아릴은 할로겐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하이드록시, 카복시 및 저급알콕시카보닐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치환기(들)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R4, R6, R7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저급알콕시, 하이드록시카보닐, 저급알콕시카보닐, 저급알킬카바모일, 저급알케닐카바모일, 저급알킬리덴카바모일 또는 트리(저급알킬)실릴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하이드록시 또는 저급알콕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저급알킬 또는 아릴을 나타내거나, 1개 이상의 질소를 환원자로서 함유하며 하이드록시 및 카복시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5내지 6원 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R5는 수소원자,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아미노, 저급알카노일아미노, 카복시 또는 저급알콕시카보닐를 나타낸다.
-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담체와 함께 제1항에 정의된 화학식 1의 벤조[3,4-d]1,3-디옥솔란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성상세포의 증식 억제제 조성물.
-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담체와 함께 제1항에 정의된 화학식 1의 벤조[3,4-d]1,3-디옥솔란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식세포에 의한 간염증유발 억제제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활성 담체가 유당, 전분, 만니톨 및 면실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조성물.
- 하기 화학식 1의 벤조[3,4-d]1,3-디옥솔란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화학식 1]상기식에서,D는 에틸티오, 아세틸티오 또는 하이드록시에틸티오를 나타내거나, 하기 (a-1) 내지 (a-8)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 치환기를 나타내며:여기에서,R1, R1', R3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하이드록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또는 카복시를 나타내거나, R1및 R1'또는 R3및 R3'가 각각 함께 옥소, 저급알킬리덴, 저급알콕시이미노 또는 하이드록시이미노를 나타내고,R2는 수소원자, 할로겐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저급알킬, 아릴, 또는 아르저급알킬을 나타내거나, 질소, 산소 및 황원자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환원자로서 함유하는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아릴 및 아르저급알킬은 할로겐, 니트로, 아미노, 시아노, 하이드록시 및 카복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치환기(들)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헤테로아릴은 할로겐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저급알킬, 저급알콕시, 하이드록시, 카복시 및 저급알콕시카보닐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치환기(들)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R4, R6, R7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저급알콕시, 하이드록시카보닐, 저급알콕시카보닐, 저급알킬카바모일, 저급알케닐카바모일, 저급알킬리덴카바모일 또는 트리(저급알킬)실릴을 나타내거나, 할로겐, 하이드록시 또는 저급알콕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저급알킬 또는 아릴을 나타내거나, 1개 이상의 질소를 환원자로서 함유하며 하이드록시 및 카복시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5내지 6원 헤테로아릴을 나타내고,R5는 수소원자,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하이드록시, 저급알콕시, 아미노, 저급알카노일아미노, 카복시 또는 저급알콕시카보닐를 나타내며,단, i) D 가 치환기 (a-4)인 경우, R5는 메톡시가 아니고, ii) D 가 치환기 (a-6)인 경우, R6또는 R7은 페닐이 아니며, iii) D 가 치환기 (a-7)인 경우, R8은 메틸이 아니다.
- 제5항에 있어서, R1및 R1'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하이드록시, 메틸, 에톡시 또는 카복시이거나, 함께 옥소, 메틸리덴, 하이드록시이미노, 메톡시이미노 또는 에톡시이미노이며, R2는 수소원자, 메틸, 에틸, n- 또는 i-프로필, n- 또는 i-부틸, 플루오로메틸, 클로로메틸, 브로모메틸, 요오도메틸, 페닐, 벤질, 4-플루오로페닐, 4-클로로페닐, 4-브로모페닐, 2,4-디브로모페닐, 2,4-디클로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4-니트로페닐, 4-아미노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2,4-디하이드록시페닐, 4-카복시페닐, 4-시아노페닐이거나, 할로게노메틸, 할로게노에틸, 하이드록시, 카복시, 메톡시카보닐 및 에톡시카보닐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피리딜, 티아졸릴, 피롤리딜, 피리미딜 또는 옥사졸릴이고, R3및 R3'는 상기 R1및 R1'에 대한 정의와 동일하며, R4는 수소원자 또는 에톡시이거나,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메틸, 에틸 또는 부틸이거나, 하이드록시카보닐,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메틸카바모일, 에틸카바모일, 이소프로필카바모일, 메틸리덴카바모일, 에틸리덴카바모일, 이소프로필리덴카바모일, 트리메틸실란, 트리에틸실릴, 트리이소프로필실릴, 페닐, 할로게노페닐이거나, 하이드록시 또는 카복시에 의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피리딜 또는 피롤리딜이고, R5는 수소원자,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하이드록시, 메톡시, 에톡시, 아미노, 아세틸아미노, 카복시, 메톡시카보닐 또는 에톡시카보닐이며, (a-3)에서 R5는 피리딘환의 2-, 3- 또는 4-번 위치에 치환되고, R6, R7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R4에 대한 정의와 동일한 화합물.
- 제6항에 있어서,1-벤조[3,4-d]1,3-디옥솔란-5-일-2-설파닐에탄-1-온,1-벤조[3,4-d]1,3-디옥솔란-5-일-2-메틸티오에탄-1-온,1-벤조[3,4-d]1,3-디옥솔란-5-일-2-페닐티오에탄-1-온,2-(2,5-티아졸릴티오)-1-벤조[3,4-d]1,3-디옥솔란-5-일-에탄-1-온,2-(2-피리딜티오)-1-벤조[3,4-d]1,3-디옥솔란-5-일-에탄-1-온,1-벤조[3,4-d]1,3-디옥솔란-5-일-2-피리미딘-2-일티오에탄-1-온,2,5-티아졸릴-벤조[3,4-d]1,3-디옥솔란-5-일-케톤,2-(1-벤조[3,4-d]1,3-디옥솔란-5-일-비닐)-1,3-티아졸,(2,5-티아졸릴)-벤조[3,4-d]1,3-디옥솔란-5-일-메탄-1-올,1-(2,5-티아졸릴)-1-벤조[3,4-d]1,3-디옥솔란-5-일-에탄-1-올,(2,5-티아졸릴)-벤조[3,4-d]1,3-디옥솔란-5-일-에톡시메탄,2-(2,5-티아졸릴)-2-벤조[3,4-d]1,3-디옥솔란-5-일-아세트산,2-(벤조[3,4-d]1,3-디옥솔란-5-일-메틸)-1,3-티아졸,(하이드록시이미노)(2,5-티아졸릴)벤조[3,4-d]1,3-디옥솔란-5-일-메탄,1-아자-2-벤조[3,4-d]1,3-디옥솔란-5-일-1-메톡시-3-페닐티오-1-프로펜,3-(2-피리딜티오)-1-아자-2-벤조[3,4-d]1,3-디옥솔란-5-일-1-메톡시-1-프로펜,5-(2-피리딜)벤조[3,4-d]1,3-디옥솔란,5-(3-피리딜)벤조[3,4-d]1,3-디옥솔란,5-(4-피리딜)벤조[3,4-d]1,3-디옥솔란,5-(피라진-2-일)-벤조[3,4-d]1,3-디옥솔란,N-(2-벤조[3,4-d]1,3-디옥솔란-5-일-페닐)에탄아미드,5-(2-니트로페닐)벤조[3,4-d]1,3-디옥솔란,2-벤조[3,4-d]1,3-디옥솔란-5-일-벤젠카보니트릴,5-(1-나프틸)-벤조[3,4-d]1,3-디옥솔란,5-(2-나프틸)-벤조[3,4-d]1,3-디옥솔란,5-(5-메틸이속사졸-3-일)벤조[3,4-d]1,3-디옥솔란,5-(5-부틸이속사졸-3-일)벤조[3,4-d]1,3-디옥솔란,(3-벤조[3,4-d]1,3-디옥솔란-5-일-이속사졸-5-일)메탄-1-올,(3-벤조[3,4-d]1,3-디옥솔란-5-일-이속사졸-5-일)메톡시메탄,1-(3-벤조[3,4-d]1,3-디옥솔란-5-일-이속사졸-5-일)에탄-1-올,메틸-3-벤조[3,4-d]1,3-디옥솔란-5-일-이속사졸-5-일카복실레이트,에틸-3-벤조[3,4-d]1,3-디옥솔란-5-일-이속사졸-5-일카복실레이트,에틸-3-벤조[3,4-d]1,3-디옥솔란-5-일-이속사졸-4-일카복실레이트,(3-벤조[3,4-d]1,3-디옥솔란-5-일-이속사졸-5-일)-트리메틸실란,(3-벤조[3,4-d]1,3-디옥솔란-5-일-4-메틸이속사졸-5-일)-트리메틸실란,(3-벤조[3,4-d]1,3-디옥솔란-5-일-5-메틸이속사졸-4-일)-트리메틸실란,(3-벤조[3,4-d]1,3-디옥솔란-5-일-이속사졸-5-일)-트리이소프로필실란,5-(5-(브로모메틸)이속사졸-3-일)벤조[3,4-d]1,3-디옥솔란,2-벤조[3,4-d]1,3-디옥솔란-5-일-4-(클로로메틸)-1,3-티아졸,2-벤조[3,4-d]1,3-디옥솔란-5-일-4-페닐-1,3-티아졸,2-벤조[3,4-d]1,3-디옥솔란-5-일-4-에톡시-1,3-티아졸, 및2-벤조[3,4-d]1,3-디옥솔란-5-일-4-(4-브로모페닐)-1,3-티아졸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 제7항에 있어서, 1-벤조[3,4-d]1,3-디옥솔란-5-일-2-설파닐에탄-1-온, 1-벤조[3,4-d]1,3-디옥솔란-5-일-2-메틸티오에탄-1-온, 1-벤조[3,4-d]1,3-디옥솔란-5-일-2-페닐티오에탄-1-온, 2-(2,5-티아졸릴티오)-1-벤조[3,4-d]1,3-디옥솔란-5-일-에탄-1-온, 2-(2-피리딜티오)-1-벤조[3,4-d]1,3-디옥솔란-5-일-에탄-1-온, 1-벤조 [3,4-d]1,3-디옥솔란-5-일-2-피리미딘-2-일티오에탄-1-온, 2,5-티아졸릴-벤조[3,4-d]1,3-디옥솔란-5-일-케톤, 2-(1-벤조[3,4-d]1,3-디옥솔란-5-일-비닐)-1,3-티아졸, 5-(3-피리딜)벤조[3,4-d]1,3-디옥솔란, 5-(4-피리딜)벤조[3,4-d]1,3-디옥솔란, (3-벤조[3,4-d]1,3-디옥솔란-5-일-이속사졸-5-일)-트리메틸실란, (3-벤조[3,4-d]1,3-디옥솔란-5-일-이속사졸-5-일)-트리이소프로필실란, 및 2-벤조[3,4-d]1,3-디옥솔란 -5-일-4-(클로로메틸)-1,3-티아졸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7570A KR100704710B1 (ko) | 1999-10-29 | 1999-10-29 | 간 섬유화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벤조[3,4-d]1,3-디옥솔란 유도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7570A KR100704710B1 (ko) | 1999-10-29 | 1999-10-29 | 간 섬유화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벤조[3,4-d]1,3-디옥솔란 유도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39263A true KR20010039263A (ko) | 2001-05-15 |
KR100704710B1 KR100704710B1 (ko) | 2007-04-09 |
Family
ID=1961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4757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4710B1 (ko) | 1999-10-29 | 1999-10-29 | 간 섬유화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벤조[3,4-d]1,3-디옥솔란 유도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4710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428924A1 (de) * | 1974-06-15 | 1976-01-02 | Bayer Ag | N-sulfenylierte arylcarbam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insektizide verwendung |
US5158949A (en) * | 1990-12-20 | 1992-10-27 | Syntex (U.S.A.) Inc. | 1,3-dioxolane derivatives as cholesterol-lowering agents |
GB9305641D0 (en) * | 1993-03-18 | 1993-05-05 | Merck Sharp & Dohme | Therapeutic agents |
KR100197744B1 (ko) * | 1996-10-18 | 1999-06-15 | 이병언 | 항 b형 간염 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신규한 제니핀 유도체 |
-
1999
- 1999-10-29 KR KR1019990047570A patent/KR10070471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4710B1 (ko) | 2007-04-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602004011239T2 (de) | Biaryloxymethylarenecarbonsäure | |
US5958950A (en) | Benzimidazole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 atherosclerosis, restenosis or inhibiting lipoxygenase | |
ES2524922T3 (es) | Derivados de piridona para modular el sistema de proteína cinasa activada por estrés | |
KR920006394B1 (ko) | 3-치환된-2-옥스인돌 유도체 | |
JP3337477B2 (ja) | Cox−2阻害剤のプロドラッグとしての3,4−ジアリール−2−ヒドロキシ−2,5−ジヒドロフラン | |
CN101282926B (zh) | S1p3受体拮抗剂 | |
DE69917237T2 (de) | Benzofurylpyron-derivate | |
JP2001506271A (ja) | Xa因子阻害剤としての酸素またはイオウを含む複素環式芳香族化合物 | |
KR100955110B1 (ko) | 바이아릴옥시메틸아렌 카복실산 | |
TW200920366A (en) | 5-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 | |
CA2341253A1 (en) | Telomer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their use | |
Choi et al. | Control of the intracellular levels of prostaglandin E2 through inhibition of the 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 for wound healing | |
US5731335A (en) | (1-Heteroazolyl-1-heterocyca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neuroprotective agents | |
NZ197854A (en) | 5-substituted oxazolidine-2,4-dion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
KR20010039263A (ko) | 간 섬유화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벤조[3,4-d]1,3-디옥솔란 유도체 | |
CN102443005A (zh) | 查尔酮的螺杂环类化合物及其用途 | |
KR101118842B1 (ko) | 항암제로 유용한5-(1,3-디아릴-1h-피라졸-4-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유도체 | |
KR101118768B1 (ko) | 항암제로 유용한5-(3-아릴-1-피리딜-1h-피라졸-4-일메틸렌)-티아졸리딘-2,4-디온 유도체 | |
KR101118827B1 (ko) | 항암제로 유용한5-(3-아릴-1-페닐-1h-피라졸-4-일메틸렌)-3-알킬카복시-로다닌 유도체 | |
RU2373187C2 (ru) | Биарилоксиметилареновые карбоновые кислоты | |
JPH0840904A (ja) | 1,4−ジヒドロピリジン化合物 | |
KR100844131B1 (ko) | 로다닌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함유하는 항암제 | |
KR101571529B1 (ko) | 5각형 헤테로 아릴기를 포함하는 벤조옥사지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과활성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0154281B1 (ko) | 접합고리 피리딘을 함유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 |
NO178193B (no) | Analogi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1-heteroaryloksindol-3-karboksami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9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0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