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34513A - 차량용 아동 보호복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동 보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4513A
KR20010034513A KR1020007009201A KR20007009201A KR20010034513A KR 20010034513 A KR20010034513 A KR 20010034513A KR 1020007009201 A KR1020007009201 A KR 1020007009201A KR 20007009201 A KR20007009201 A KR 20007009201A KR 20010034513 A KR20010034513 A KR 20010034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seat
belt
vehicle
protective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노리 마스다
야마모토다쿠
Original Assignee
미츠노리 마스다
야마모도 타꾸
젠코쿠 보사이 지교 교교 구미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1687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2385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137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51074A/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노리 마스다, 야마모도 타꾸, 젠코쿠 보사이 지교 교교 구미아이 filed Critical 미츠노리 마스다
Publication of KR2001003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51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1/00Garment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앉은 아이를 사고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시트벨트와 함께 사용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동용 시트와 비교할때, 아동 보호복은 다음의 이점을 가진다. 보호복은 아이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아이에게 입힐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의복을 입은 사람에게 어느 정도의 신체적 움직임의 자유를 준다. 보호복의 등 부재(10B)는 내포부(10B1) 및 외포부(10B2)의 이중으로 되어있다. 시트벨트(C)는 등 부재의 내포부와 외포부(10B1,10B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아동 보호복{CHILD PROTECTING CLOTHES FOR VEHICLES}
자동차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충돌이 일어날 것을 상정하여 승차자의 신체를 보호하는 각종 안전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현재의 자동차는 인체를 자동차 시트에 구속하기 위한 삼점지지형(three-point support type) 시트벨트를 예외없이 구비하고 있다.
이 삼점지지형 시트벨트는 앉은 사람의 허리와 가슴을 두르고 있어서 자동차가 무언가와 충돌했을때 인체가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해준다.
정확하게 말하면, 운전석의 경우에(우측핸들 차량), 운전자는 앉은 상태에서 운전석의 우측에 루프상태로 제공되는 시트벨트의 리더부분을 후크와 함께 움켜쥐고 시트벨트와 후크를 오른쪽 어깨로부터 대각선으로 가슴을 지나 운전자의 좌측 하부로 통과시키고, 그 후 시트벨트의 후크를 운전자의 좌측 대퇴부에 가까운 시트 부분에 제공된 잠금부재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연속적으로 뻗어있는 시트벨트는 운전자의 상반신을 어깨-구속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운전자의 복부를 시트벨트의 하부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곧게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교통사고 등의 충돌 가속도가 감지될때, 시트벨트의 인출작용이 정지되고, 차량 내부에서의 운전자 신체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이러한 시트벨트는 보통 실질적으로 50cm보다 작지 않은 앉은 키를 가진 사람에게 적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시트벨트가 상기 표준에 도달하는 사람에게 적용될때, 사람의 상반신은 좌측(우측) 어깨로부터 대각선으로 가슴을 지나 사람의 우측(좌측) 하부로 통과시킨 시트벨트에 의해 어깨-구속 상태로 유지되며, 사람의 허리가 동시에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앉은 키가 작은 어린이의 경우에는, 좌측(우측) 어깨로부터 대각선으로 가슴을 지나 어린이의 우측(좌측) 하부로 통과함으로써 사람의 상반신을 유지시키는 시트벨트가 어깨-구속 상태로 어린이의 목 부분을 통과한다.
그러므로, 자동차 사고시에, 소위 목조임 현상이 발생하며, 원래 사람에게 안전을 주는 시트벨트가 아동을 헤치는 도구로 변하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더욱이, 시트벨트가 어린이를 강하게 구속할때, 어린이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방해된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시트벨트를 대신해서 사용되는 아동용 장비로서 아동용 시트가 개발되었다.
아동용 시트는 보통 어린이(특히, 유아)가 시트에 안정하게 앉도록 하기 위한 시트 등받이, 앉은 아이를 붙잡는 보조 시트벨트, 및 위급한 경우에 한번의 누름조작으로 이 시트벨트의 잠금을 풀 수 있는 해제장치를 구비한 보조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아동용 시트는 시트벨트를 사용함으로써 자동차의 시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구조의 아동용 시트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자동차에 원래 제공되는 시트벨트가 직접 아동에게 적용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단점, 즉 목 조임 현상 등의 발생위험이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아동용 시트가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을때, 아이의 신체는 비교적 높은 강도의 재료에 의해 좁게 구획된 공간에 감금된 상태로 유지되어, 아이의 자유로운 행동이 거의 제한된다. 더욱이, 아동용 시트 그 자체는 단단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아이의 신체에 잘 맞지 않는다. 더욱이,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할때 보조 시트벨트로 인해 국부적으로 및 집중적으로 힘을 받는 아동용 시트에 대한 단점이 또한 지적되어 왔다.
무엇보다도, 아동용 시트를 자동차의 시트에 고정하고 떼어내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아동용 시트는 상당히 크다. 더욱이, 아동용 시트는 접은 상태로 운반될 수 없다.
게다가, 아동용 시트에 대한 단점중의 또 한가지는 높은 가격이다.
아동용 시트의 모양은 자동차 시트의 한정된 모양때문에 한정되며, 그래서 아동용 시트는 편리성이 부족하다.
상기 기술적 문제의 견지에서 본 발명이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위에 앉은 아이와 시트 사이에 삽입되고 자동차의 충돌사고가 발생했을때 아이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적용되는 안전한 보호부재를 제공하며, 좀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시트위에 앉은 아이와 시트 사이에 삽입되고 자동차의 충돌사고가 발생했을때 아이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아이의 자유로운 행동을 상당히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앉은 아동을 사고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시트벨트와 함께 사용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정면부분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배면부분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측면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그 외의 다른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정면부분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배면부분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측면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사용상태, 즉 어린이가 보호복을 입고 슬릿을 가진 아동용 시트위에 앉아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8은 차량의 시트에 고정된 도 7의 아동용 시트의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을 입고, 아동용 시트를 사용하지 않은채 차량의 시트에 앉아있는 아동의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또 다른 구체예의 전방 투시도이다;
도 11은 동일한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클립을 도시한다; 여기서,
도 12a는 닫힌 상태의 클립을 도시한다;
도 12b는 열린 상태의 클립을 도시한다;
도 12c는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12d는 클립에 부착된 매직테이프의 부분 광대도이다;
도 13은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또 다른 구체예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또 다른 구체예의 정면 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환경의 견지에서 달성되었다.
즉, 본 발명의 한가지 양태에 따르면, 자동차의 시트에 직접 앉은 아이에게 적용되는 차량용 아동복은 보호복의 등 부재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포부(inner cloth portions) 및 외포부(outer cloth portions)를 포함하며, 시트벨트가 그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 부재의 내포부 및 외포부는 그것의 하부말단에서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만들어져 있으며 내포부 및 외포부의 연결 또는 분리는 이들 양쪽 의복부 안으로 또는 양쪽 의복부로부터 스트링 부재를 삽입 또는 제거함으로써 달성된다.
약 6-7세의 비교적 성장한 아이를 위한 아동복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등 부재가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3-4세의 아이를 위한 아동복의 등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하반부에 시트벨트를 그 사이에 삽입할 수 있고 내포부 및 외포부로 되어있는 이중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아동용 시트를 매개로 해서 자동차의 시트에 앉아 있는 아이에게 적용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은 시트벨트가 삽입되는 슬릿을 가지며, 보호복의 등 부재는 이중으로 되어있고 내포부 및 외포부를 포함하며, 시트벨트는 슬릿을 매개로 해서 등 부재의 내포부와 외포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삽입될 수 있게 만들어져있다. 이 단락에서 인용된 아동용 시트는 보호복을 입은 아이와 자동차의 시트 사이에 놓인 매트형 용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차량용 아동 보호복은 전방 부재 및 내포부와 외포부로 형성된 등 부재를 가지며, 그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시트벨트가 주어지며, 시트벨트가 내포부와 외포부 사이의 공간을 올바르게 통과하여 적절히 설치될때 제공된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을 구성하는 클립이 소정수준의 힘으로 시트벨트를 고정시키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자동차 밖의 사람이 차량용 아동 보호복을 바르게 입은 아이가 보호복을 제대로 입었는지 그리고 올바른 위치에 앉아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동용 시트가 잘못된 위치에 설치되었을때 발생하는 2차 사고를 피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이들 클립이 지지부재 및, 그 위의 두 위치 사이에 있는 시트벨트 부분을 탄력적으로 누름으로써 움직이도록 적용되는 탄성 압력 부재로 되어 있으며, 지지부재와 탄성 압력 부재가 매직 테이프를 가진 각각의 자유 말단부에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차량용 아동 보호복은 시트벨트 삽입부가 등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도록 등 부재의 단지 하부에만 형성되는 외포부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파티션 벨트가 외포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봉합하여 부착되고, 전방 부재에 연속으로 둥글게 봉합하여 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차량용 아동 보호복은 전방 부재의 허리부분으로부터 아동보호복의 두 상부 어깨를 통해 등 부재의 외포부의 허리부분까지 뻗어있는 아동 보호복 영역에 부착된 두개의 수직벨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방 부재의 허리부분과 등 부재의 외포부의 허리부분 주위에 수평으로 뻗어있는 탈착가능한 길이 조절 가능한 허리벨트, 및 한쪽 말단부가 전방 부재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쪽 말단부가 등 부재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아동 보호복을 입은 아동의 다리를 그 사이에 삽입하게 하는 한쌍의 길이 조절 가능한 가랑이 벨트를 구비하고 있다. 아동 보호복에서는, 아동 보호복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기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전방 부재의 상부에 대응하는 수직 보강벨트 부분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가랑이 벨트는 패드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매개로 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그 위에 추가로 제공된 벨트형 패드부재를 가진다. 벨트형 패드부재는 그것의 한쪽 말단부에서 두 측면에서 반대방향으로 뻗어있는 돌출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돌출부재를 버클에 접어 포개어 버클을 감싼 상태로 유지한다.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에 장착가능한 차량용 아동복의 구체예를 이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주어진 설명과 관련하여, 도 1, 2 및 3이 조끼형태의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예를 설명한다.
차량용 아동보호복(10)은 자동차의 시트(A)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즉, 아동용 시트(1)를 매개로 함) 고정시켜서 그것의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은 의복이 아동의 신체에 어울리도록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등의 의복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들 의복은 통상 조끼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전방 부재(전방 바디부)(10A) 및 등 부재(후방 바디부)(10B)로 상반신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의복은 머리 통과부(101), 팔 통과부(102), 및 몸 통과부(103)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아동 보호복은 조끼 형태의 의복 뿐만 아니라 소매를 가진 의복, 바지 또는 스커트가 하부에 연결된 의복, 또는 탱크 톱 형태의 의복 등을 포함한다.
특히, 등 부재(10B)는 내포부(10B1) 및 외포부(10B2)의 이중으로 되어 있어서, 그 사이를 시트벨트(C)가 통과할 수 있다.
즉, 내포부와 외포부(10B1,10B2)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차량용 아동 보호복을 입고있는 아이가 시트(A)위에 있을때 시트벨트(C)가 그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등 부재(10B)는 내포부(10B1)와 외포부(10B2) 사이의 봉합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한된 개구부(S) 를 구비할 수 있다. 시트벨트(C)는 개구부(S)를 통해 그것과 미리 정해진 위치관계에 있는 등 부재(10B)에서 통과될 수 있다.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의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강화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은 풀오버 형태의 의복으로서 설명되었다. 당연히, 차량용 아동 보호복은 전면 개방 형태의 의복으로 되어 있으며, 특별히 상기한 구체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의복의 사용방법 1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장착가능 차량용 아동 보호복을 사용하기 위해,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을 먼저 아동(B)에게 입힌다.
도 1 및 2에 도시한 풀오버 형태의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을 아동(B)에게 입히기 위해서, 의복(10)의 몸 통과부(103)부터 머리를 통과시켜 삽입할 수 있다.
그 후, 커버를 덮은 아동용 시트(1)를 자동차의 시트(A)위에 놓는다.
시트(A) 상에 아동용 시트(1)를 장착하는 것은 후자(A)의 등받이에 전자(1)의 등받이(50)를 기대놓음으로써 달성된다.
시트벨트(C)의 클래스프(C1)가 아동용 시트(1)의 두개(5,5)의 등받이(50)로부터 하나의 슬릿(5)을 통해 통과된다.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을 입고있는 아동(B)이 그 후 아동용 시트(1)의 앞에 앉혀진다.
상기한 슬릿을 통과하는 시트벨트(C)의 클래스프(C1)가 인출되고, 시트벨트(C)가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의 등 부재(10B)의 내포부 및 외포부(10B1,10B2)에 의해 형성된 폐쇄부(S)에 의해 등 부재(10B)를 통과한다.
최종적으로, 시트벨트(C)의 클래스프(C1)가 아동용 시트(1)의 다른 슬릿(5)을 통과하고, 시트(A)의 다른 클래스프(C2)에 고정된다.
결국, 커버의 앞쪽 하부에 제공되는 벨트부재(7)들이 아동(B)의 허리 앞쪽 위치에서 각각 서로 조합되어 모든 과정이 끝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을 입고있는 아동(B)이 시트(A)위에 안전하게 유지된다(도 7 및 8 참조).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시트벨트 장착가능 아동용 시트(1) 및 차량용 아동 보호복(10) 때문에, 의복(10)을 입고 시트(A)에 앉은 아이(B)는 아동용 시트(1) 및 아동용 시트(1)에 의해 일체로 합쳐진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으로 단단히 유지되며, 슬릿(5,5)을 통해 삽입된 시트벨트(C)가 아동용 시트(1)에 제공되고 폐쇄부(S)가 조끼 바디(11)의 등 부재(10B)의 내포부 및 외포부(12A,12B)에 의해 형성된다.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은 시트(A)에 앉은 아동(B)의 상반신을 어깨-통과 상태에서 단단히 죈 시트벨트에 의해 아동(B)의 상반신을 누름으로써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적용된 이러한 종류의 기술과 관련된 의복과 비교할때 뛰어난 착용감을 가지며, 차량용 아동 보호복은 아동의 상반신에 국부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된 등받이(50)의 좌측 및 우측에서 수직으로 제공된 아동용 시트(1)의 등받이(50), 및 팽윤부(52,52)가 중공부를 가진 바디안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아동용 시트는 밸브를 통해 이들 중공구안에 소정의 유속으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팽윤된다. 따라서, 충돌사고가 발생했을때 아동의 신체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 공기쿠션의 효과로 인해 충분히 흡수된다.
아동(B)의 머리가 접촉하는 아동용 시트의 일부 팽윤부는 후면충돌이 발생했을때 그곳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그래서 아동(B)과 관련된 아동용 시트의 안전은 매우 높은 수준으로 증가한다.
위기상황에서, 시트벨트(C)의 클래스프(C1)가 풀릴 수 있으며, 아동용 시트(1)와 함께 아동(B)을 아동용 시트(1)와 함께 아동(B)이 있는 차량 밖으로 빼내서 부모의 팔에 안기게 된다. 그러므로, 이들 조작은 매우 빠르고 쉽게 달성될 수 있다.
시트벨트(C)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의 등받이부를 통과한다. 그러므로, 충돌사고가 발생했을때, 충격력이 시트벨트(C)를 매개로 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의 전방 부재(즉, 전방 바디부)(10A)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감소되며, 그래서 국부적 힘이 의복(10)에 가해지지 않는다.
의복의 사용방법 2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시트벨트 부착가능 아동용 시트(1)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동 보호복을 사용하는 방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먼저, 차량용 아동복(10)을 아동(B)에게 입힌다. 그 후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을 입은 아이를 아동용 시트(1)의 앞에 앉힌다. 슬릿(5)을 통과하는 시트벨트(C)를 시트벨트(C)의 (10B2)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S)를 매개로 등 부재(10B)를 통해 삽입한다.
시트벨트(C)의 클래스프(C1)가 아동용 시트(1)의 나머지 슬릿(5)을 통과하고, 시트(A)의 다른 클래스프(C2)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을 입은 아이(B)가 아동용 시트(1)를 사용하지 않고 시트에 안정하게 유지된다(도 9 참조).
그 외의 차량용 아동 보호복
이러한 예의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은 상기한 차량용 아동 보호복에 편리함을 더 가함으로써 만들어진 의복이다.
도 4, 5 및 6에 도시한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의 등 부재(10B)는 또한 내포부(10B1) 및 외포부(10B2)의 이중으로 형성되고, 시트벨트(C)는 이들 내포부 및 외포부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S)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공된 개구부(S)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아동복(10)에서 형성된 개구부(S) 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도 4, 5 및 6의 예에서 시트벨트(C)가 삽입되는 위치는 선택의 자유도를 갖는다.
시트벨트(C)의 클래스프가 사고의 발생시에 고장이 났을때, 아이와 아동용 시트가 시트(A)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 예에서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은 의복이 상기 경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등 부재(10B)의 내포부 및 외포부(10B1,10B2)가 그것의 하부 말단부에서 각각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즉, 스트링 부재(11)는 내포부 및 외포부(10B1,10B2)를 통해 삽입되고, 위기시에 제거된다. 상기의 경우에, 아이는 시트(A)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단지 아동용 시트(1)로부터 분리되고, 차량의 내부로부터 쉽게 제거된다.
정확하게 말하면, 커다란 매듭(11A)이 스트링 부재(11)의 말단부에 제공되고, 커다란 매듭(11A)은 그것이 끌어 당겨질때 느슨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추천된다.
내포부 및 외포부(10B1,10B2)는 지퍼에 의해 자유롭게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위에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이들 방법의 구체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형태의 변경된 예가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아동복(10)이 아동용 시트(1)를 사용하지 않고 시트(A)에 직접 사용될때, 당연히 의복은 성인용 의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아동 보호복이 아이에게 바르게 입혀지지 않았을때, 아이의 신체는 자동차 사고가 발생했을때 그것에 의해 보호될 수 없다. 그러므로, 차량용 아동 보호복이 아이에게 바르게 입혀졌는지를 부모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중요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정면 투시도이고, 도 11은 동일한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배면도이다.
참고숫자 (30)은 조끼,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예, 조끼(1)의 전방 부재(전방 바디부)(10A), 및 그것의 등 부재(후방 바디부)(10B)를 나타낸다.
등 부재(10B)는 내포부(10B1) 및 외포부(10B2)로 되어 있고, 외포부(10B1)는 어깨부분(4)에 고정되어 있으며 허리부분(31)은 내포부(10B1)에 중첩되어 있고, 시트벨트(C)는 내포부 및 외포부(10B1,10B2) 사이를 통과한다.
참고숫자(7)는 외포부(10B2)의 허리부분(31)으로부터 어깨부분(4) 주위의 전방 부재(10A)의 허리부분(31)까지 뻗어있으며, 전방 부재(10A)의 허리부분(31)에서 링 모양의 가이드(12)로 변하는 수직 보강벨트를 나타낸다. 이들 가이드(12)는 전방 부재(10A)의 허리부분(31)에 고정되고, 허리벨트(9)는 가이드(12)의 내부를 통과한다. 높이 조절 유니트(32)는 전방 부재(10A)에 있는 수직 보강벨트(7) 부분에 제공되고 수직 보강벨트(7)의 상부에 해당하는 통과하는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걸어맬 수 있는 및 걸어맬 수 없는 잠금부재(수잠금부재)(24)와 걸어맬 수 있는 및 걸어맬 수 없는 잠금부재(암잠금부재)(25)를 가진다.
참고숫자 (9)는 허리부분(31) 근처에 뻗어있으며, 허리벨트의 한쪽 말단부(33)에 고정된 잠금부재(수잠금부재)(24)와 그것의 다른쪽 말단부(34)에 고정된 잠금부재(암잠금부재)(25)로 되어있는 버클(26)에 의해 전방 부재(10A)의 결합부분의 양쪽 말단부에서 각각 서로 탈착가능하게 걸어 매어져 있는, 등 부재(10B)와 외포부(B2)에 고정된 허리벨트를 나타낸다.
허리벨트(9)의 길이는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참고숫자(13)은 각각의 한쪽 말단부에서 전방 부재(10A)의 허리부분(31)에 결합되고, 그것의 각각의 다른 말단부에서 등 부재(10B)의 허리부분(31)에 결합되는 가랑이 벨트를 나타낸다. 가랑이 벨트(13)는 각각의 가랑이 벨트의 하나의 말단부(17)에 고정된 잠금부재(수잠금부재)(24)로 된 버클(26)에 의해 그것의 허리부분(31) 근처에 있는 전방 부재(10A) 부분에 탈착가능하게 포함되며, 잠금부재(암잠금부재)(25)는 그것의 각각의 다른 말단부(18)에 고정되고, 가랑이 벨트(13)의 길이는 또한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참고숫자 (14)는 슬릿(16)을 통해 가랑이 벨트(13)에 추가로 제공된 패드를 나타내며, 가랑이 벨트(13)의 잠금부재(수잠금부재)(24) 및 잠금부재(암잠금부재) (25)로 된 버클(26)을 둘러싸고 보유하는 패드(14)에 제공되는 돌출부재(15,15)를 나타낸다.
참고숫자 (19)는 시트벨트(C)가 등 부재(10B)와 외포부(6) 사이를 통과하여 정확히 고정될때 등 부재(10B)에 제공되고, 소정수준의 힘에 의해 시트벨트(C)를 조일 수 있는 클립을 나타낸다.
각각의 클립(19)은 지지부재(20) 및 탄성부재(21)를 포함하는 스프링 유니트로 되어있다. 클립은 두 위치 즉, 개방위치 및 누름위치 사이에 움직이도록 적용되어 있고, 탄성부재(21)는 필요 이상의 힘이 클립에 작용할때 탄력적으로 열려서 시트벨트(C)가 클립(19)으로부터 풀리게 한다. 도 12d는 매직 테이프(20A,21A)가 클립(19)의 조임조작을 보장하기 위해 고정된 말단부를 풀기위한 지지부재(20) 및 탄성부재(21)의 상태를 나타낸다.
지지부재(20)는 시트벨트(C)가 조이는 동안 시트벨트(C)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돌출부(20C)를 구비하고 있다.
도 13은 등 부재(10B)와 외포부(6) 사이의 하부통로를 통과하는 시트벨트(C)를 통과하기 위해 등 부재(10B) 및 외포부(6)의 중앙부에 수평으로 제공되는 분할벨트(27)의 상태를 나타내며, 분할벨트(27)는 하부통로의 상부 가장자리에 붙어있다. 버클(26)이 앞면이 열려있는 전방 부재(10A)에 제공된다. 도 14에 나타낸 것처럼, 분할벨트(27)는 전방 부재(10A)를 둘러 감싸고 있고 의복의 가슴부위에 버클(26)에 의해 조절가능하게 고정된다. 클립(19)은 하부통로의 양쪽면에 대응하는 등 부재의 일부분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동 보호복은 상기한 것처럼 제조된다.
그러므로, 차량에 아이를 태우기 위해, 차량용 아동 보호복을 아이에게 입히고, 그 후 의복의 높이를 높이 조절 장치로 아이의 신체의 키에 따라 조절한다. 허리벨트를 아이의 허리부분을 차량용 의복의 바디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단단히 조인다. 가랑이 벨트를 아이의 어깨와 가랑이 사이에 있는 부분에 차량용 의복을 단단히 고정하기 위하여 단단히 조인다.
그 후 등 부재와 외포부 사이에 시트벨트가 통과되고, 시트벨트에 미끄러지게 지지된 금속 자물쇠가 시트 또는 차량 바디에 고정된 암 금속 자물쇠로 포함된다. 시트벨트는 클립에 의해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차량용 의복을 입은 사람이 차량의 시트에 앉아서, 그것이 시트벨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클립을 조사함으로써 시트벨트가 등 부재와 외포부 사이에 정확히 통과되는지 그리고 적절히 설치되었는지 확인될 수 있다.
차량용 의복을 입은 사람은 수직 보강벨트가 고정된 등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벨트에 의해 시트에 결합된다. 차량에 대해 사고발새으로 인한 충격이 보호복을 입은 사람에게 가해질때, 수직 보강벨트가 고정된 시트벨트를 포함하는 등 부재로 인해 시트벨트는 사람이 앞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가랑이 벨트로 인해, 사람의 신체의 더 윗부분으로 안전복의 상부가 상향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필요 이상의 힘이 클립에 가해질때, 시트벨트는 그것으로부터 풀리고, 그래서 시트벨트는 수직강하벨트가 고정된 등 부재를 단단히 유지한다.
즉, 차량의 시트벨트가 안전복 및 사람이 그 안전복을 입으며 그것에 의해 사고가 발생했을때 사람이 앞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발명의 효과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아동 보호복(10)은 몸에 잘 맞고, 아동 보호복을 입은 아동의 상당한 정도의 움직임의 자유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아동 보호복을 입은 아동이 시트위에 앉아있는 차량이 어떤 물체와 충돌했을때, 사람을 앞으로 날아가게 하는 관성력이 사람에게 작용하지만 등 부재와 외포부 사이에 삽입된 시트벨트는 어깨 벨트가 고정된 등 부재를 포함하여 거기에 연결된 차량용 아동 보호복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아동 보호복을 입은 사람 및 거기에 연결된 사람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보호복을 입은 사람은 앞으로 튀어나가지 않게되고, 보호복 전체로서 전방 부재는 보호복을 입은 사람을 유지하고, 유지력은 사람의 신체 일부에 집중되지 않는다.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의 등 부재(10B)가 내포부 및 외포부(10B1,10B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트벨트(C)와 함께 내포부와 외포부(10B1,10B2)의 이중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보호복을 입은 아동의 가슴은 통상의 여행조건에서는 압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의복은 입기에 편하다.
등 부재(10B)의 내포부 및 외포부(10B1,10B2)가 각각의 말단부에서 함께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될때, 차량용 아동 보호복(10)을 입은 아동의 신체는 위기시에 위복, 아동용 시트(1) 또는 시트(A)로부터 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더욱이, 등 부재에 제공되는 클립으로 인해, 시트벨트의 설치조건이 눈으로 확인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의복을 입은 아동이 시트벨트가 설치중일때 뿐만 아니라 시트벨트가 설치된 후에 움직일때, 시트벨트의 본 설치조건의 정확성이 쉽게 확인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클립은 지지부재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그 각각은 두 위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움직이고, 돌출부를 가지지 않으므로, 클립이 보호복에 부착될때 클립은 아동에게 신체적 불편감을 주지 않는다. 클립은 또한 아동에게 안전하다.
더욱이, 차량용 아동 보호복을 입은 아동이 타고있는 차량이 어떤 물체와 충돌할때, 아동 보호복을 입은 아동을 앞으로 날아가게 하는 관성력이 아이에게 작용한다. 그러나, 등 부재와 외포부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시트벨트가 어깨벨트가 고정되는 등 부재를 포함하여 거기에 연결된 보호복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보호복을 입은 사람 및 거기에 연결된 사람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따라서, 차량용 보호복을 입은 사람은 앞으로 튀어나가지 않는다. 더욱이, 보호복 전체로서 전방 부재는 차량용 보호복을 입은 사람을 유지하고, 유지력은 사람의 신체 일부에 집중되지 않는다. 이것은 차량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외포부가 등 부재의 하부에서 형성될때, 사용자의 길이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여 충격이 사용자에게 가해질때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게 보호된다. 분할벨트가 외포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붙어 있을때, 전방 부재로 연속적으로 뻗어있으며 버클에 의해 보호복의 가슴부분을 단단히 죄고, 충격은 좀더 믿을 수 있게 처리될 수 있다.

Claims (12)

  1. 자동차의 시트에 직접 앉은 아이가 착용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에 있어서, 아동 보호복의 등 부재가 내포부 및 외포부의 이중으로 되어있고, 그 사이에 시트벨트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
  2. 제 1 항에 있어서, 내포부 및 외포부가 등 부재의 하부 말단에서 각각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
  3. 제 1 항에 있어서, 내포부 및 외포부의 연결 또는 분리가 그것 둘다를 통해 삽입되는 스트링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
  4.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벨트가 삽입될 수 있는 내포부와 외포부의 상호 중첩된 부분이 등 부재의 하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
  5. 제 4 항에 있어서, 파티션 벨트가 외포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봉합하여 부착되고, 전방 부재에 연속으로 둥글게 봉합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
  6. 시트벨트가 삽입되는 슬릿을 가진 아동용 시트를 매개로 해서 자동차의 시트에 앉은 아이가 착용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에 있어서, 보호복의 등 부재가 내포부 및 외포부의 이중으로 되어있고, 슬릿을 매개로 해서 시트벨트가 내포부와 외포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
  7.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벨트가 내포부와 외포부 사이에 올바르게 삽입되고 적절히 설치될때 소정수준의 힘으로 시트벨트를 고정하도록 적용되는 클립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
  8.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립이 지지부재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탄성부재가 두 위치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
  9.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부재 및 탄성부재가 그것의 선단에 매직 테이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
  10. 제 1 항에 있어서, 의복이 전방 부재의 허리부분으로부터 등 부재의 외포부의 허리부분까지 뻗어있는 의복의 일부에 부착된 수직 보강벨트; 전방 부재 및 등 부재의 외포부의 허리부분에 고정된 탈착가능하게 걸어 맬수 있는 길이 조절 가능한 허리벨트; 및 한쪽 말단부에서 전방 부재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쪽 말단부에서 등 부재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보호복을 입은 사람의 다리를 그것의 둥글게 된 부분에 삽입하게 하는 두개의 길이 조절 가능한 가랑이 벨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
  11. 제 10 항에 있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기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방 부재의 상부에 해당하는 수직 보강벨트 부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
  12.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랑이 벨트가 패드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추가로 제공되는 벨트형 패드부재를 가지며, 벨트형 패드부재는 그것의 한쪽 말단부에 두 측면에서 반대방향으로 뻗어있는 돌출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돌출부재를 버클에 접어포개어 버클을 감싼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동 보호복.
KR1020007009201A 1999-05-13 1999-12-17 차량용 아동 보호복 KR20010034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68716A JP2000238563A (ja) 1998-12-22 1999-05-13 シートベルト装着可能なチャイルドシートとチャイルド用保護服
JP99-168716 1999-05-13
JP31137899A JP2001151074A (ja) 1999-09-16 1999-11-01 安全被服
JP99-311378 1999-11-01
PCT/JP1999/007113 WO2000069291A1 (fr) 1999-05-13 1999-12-17 Vetement de protection d'enfant pour vehic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513A true KR20010034513A (ko) 2001-04-25

Family

ID=2649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201A KR20010034513A (ko) 1999-05-13 1999-12-17 차량용 아동 보호복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14578B1 (ko)
EP (1) EP1147717A1 (ko)
KR (1) KR20010034513A (ko)
CN (1) CN1302188A (ko)
AU (1) AU1688800A (ko)
TW (1) TW474872B (ko)
WO (1) WO20000692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7401B2 (ja) * 2000-05-11 2004-08-25 宏 神木 チャイルドシート
US6902193B2 (en) 2000-09-29 2005-06-07 Hoon Y. Kim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US6820902B2 (en) * 2000-09-29 2004-11-23 Hyun S. Kim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GB0323291D0 (en) * 2003-10-04 2003-11-05 Thomson Hugh Vehicle safety jacket
US6862751B1 (en) 2003-12-04 2005-03-08 April Wattenbarger Go-kart chest protector
US7131703B1 (en) 2004-08-31 2006-11-07 Colleen E Sheridan Portable restraining child safety vest for vehicles
US7401859B2 (en) * 2004-09-28 2008-07-22 Kim Hoon Y Deformable restraint guide for use with child restraint system
US7703150B2 (en) * 2005-07-22 2010-04-27 Wagner Julie G Child's vest
GB0617956D0 (en) * 2006-09-12 2006-10-18 Dark Stuart Safety device
USD550427S1 (en) * 2006-11-27 2007-09-11 Donnie Ray Moore Tee shirt
US8627514B1 (en) 2007-03-23 2014-01-14 Spartan Tactical Concepts, LLC Vehicle ready modular light weight load bearing equipment apparatus
US8438811B1 (en) * 2007-03-23 2013-05-14 Addison L. Woodard Vehicle ready modular light weight load bearing equipment apparatus
WO2011055988A2 (ko) * 2009-11-06 2011-05-12 Kim Dai-Gil 유아용 차량안전벨트 보조구
KR101242100B1 (ko) * 2010-06-08 2013-04-12 주식회사 프로모텍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호대가 결합된 안전벨트
US8491058B2 (en) * 2011-03-21 2013-07-23 Ellen K. Siegel Portable restraining passenger safety vest for vehicles
US8910315B1 (en) * 2012-02-14 2014-12-16 Ravi Lorenzo Stephens Garment to assist a person in carrying objects
KR101468516B1 (ko) * 2013-07-25 2014-12-04 주식회사 써드아이 안전조끼 겸용 차량 시트용 안전벨트 구조체
WO2015030668A1 (en) * 2013-08-30 2015-03-05 Ab Germa Protection arrangement for vehicle transport of infants
US20150069812A1 (en) * 2013-09-12 2015-03-12 Taesoo Kim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with six restraint points
CN103536105A (zh) * 2013-10-28 2014-01-29 江苏堂皇集团有限公司 一种婴儿靠垫
CN105077743A (zh) * 2014-05-04 2015-11-25 西华大学 儿童专用乘车安全背心
GB2521884B (en) 2014-05-08 2015-12-02 Cath Davis A device for use with a safety harness
CN104044546B (zh) * 2014-06-27 2016-09-1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安全服
GB2536913A (en) * 2015-03-31 2016-10-05 Osei-Owusu Paul Child safety harness
CN105083207A (zh) * 2015-07-16 2015-11-25 苍安国 一种穿戴式机动车儿童乘员约束装置
US20170106789A1 (en) * 2015-10-14 2017-04-20 Catherine Holdbrook-Smith Alert Assembly
JP6837078B2 (ja) * 2016-04-21 2021-03-03 アイエイチシー デザイン エルエルシー ハーネスシステム用衣類
BR102016009502A2 (pt) * 2016-04-28 2018-02-14 Dos Santos Tavares Marcelo Cinto de segurança para passageiros de embarcações que viajam em pé
CN106740650A (zh) * 2016-11-21 2017-05-31 范书锋 座椅安全衣
CN106942805A (zh) * 2017-05-11 2017-07-14 石婷婷 一种多功能儿童安全防护服
IL255869B (en) * 2017-11-22 2020-03-31 Danniel Turjeman A device for restraining a passenger in a car
US10933785B2 (en) * 2018-08-21 2021-03-02 Robert Kukielka Portable hi-back car seat/restraint system/seat pad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WO2022231565A1 (en) * 2021-04-26 2022-11-03 Harvest Morgan A child safety harness
EP4380708A1 (en) * 2021-08-02 2024-06-12 Universal City Studios LLC Riding harness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6349A (en) * 1924-07-14 1927-02-01 Cagle Dora Baby holder
US2908324A (en) * 1957-01-10 1959-10-13 Ford Motor Co Seat vest jacket
US3524679A (en) * 1968-04-15 1970-08-18 Peugeot Individual restraining device for a vehicle user
US3827716A (en) * 1973-04-11 1974-08-06 D Harney Safety vest
FR2277703A1 (fr) * 1974-07-09 1976-02-06 Gannac Jean Philippe Harnais de securite destine aux enfants transportes en automobile
JPS5110725A (ja) 1974-07-16 1976-01-28 Tokyo Shibaura Electric Co Karaaterebijonjuzosochi
JPS6385609A (ja) 1986-09-30 1988-04-1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光フアイバアレイ
JPS6385609U (ko) * 1986-11-19 1988-06-04
US4759569A (en) * 1987-03-23 1988-07-26 Potter Cyril S Jacket with safety harness for use with transport vehicle
US4848793A (en) * 1987-08-17 1989-07-18 T & H, Inc. Child's safety restraining vest
US5161258A (en) * 1990-12-06 1992-11-10 Coltrain Lori A Garment for restraining a child in a vehicle
US5429418A (en) * 1993-03-17 1995-07-04 Carol A. Lipper Child safety restraint system and method therefore
US6035440A (en) * 1998-09-17 2000-03-14 Guardian Fall Protection, Inc. Safety v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2188A (zh) 2001-07-04
WO2000069291A1 (fr) 2000-11-23
US6314578B1 (en) 2001-11-13
EP1147717A1 (en) 2001-10-24
AU1688800A (en) 2000-12-05
TW474872B (en) 200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4513A (ko) 차량용 아동 보호복
US6902193B2 (en)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US6820902B2 (en)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US4951965A (en) Vehicle seat belt retainer for a child
TWI531493B (zh) Children with seats
US5178439A (en) Child safety belt sleeve
JP2004090907A (ja) 自動車用子供座席
WO1996013401A1 (en) Seat belt pillow
KR20160055238A (ko) 6점 구속 방식의 개선된 보조 구속 시스템
CN109561739A (zh) 用于安全带系统的服装
US5624136A (en) Safety system attached to seat belt in a motor vehicle
PT1690754E (pt) Dispositivo de fixação a um cinto de segurança de um veículo
EP0832014B1 (en) Safety belt restraint device
JP2001151074A (ja) 安全被服
JP2001158323A (ja) 車輌用着衣
JP2002125718A (ja) バックルの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人体保護服
GB2417224A (en) Coupling device for child safety harness
JP2000225918A (ja) 安全保護服
JP2000328319A (ja) 人体保護服
JP2000238563A (ja) シートベルト装着可能なチャイルドシートとチャイルド用保護服
KR200195725Y1 (ko) 안전피복
JP6643463B2 (ja) シートベルト用補助具
KR200245737Y1 (ko) 자동차의 유아용 보호구
CN216861240U (zh) 一种便携式儿童乘车安全坐垫
JPH10157564A (ja) 子供用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