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32624A - 액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액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624A
KR20010032624A KR1020007005900A KR20007005900A KR20010032624A KR 20010032624 A KR20010032624 A KR 20010032624A KR 1020007005900 A KR1020007005900 A KR 1020007005900A KR 20007005900 A KR20007005900 A KR 20007005900A KR 20010032624 A KR20010032624 A KR 2001003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bolt
segmented
chamfer
de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데르스 카를손
에버트 스벤손
Original Assignee
스벤스카 익스펜더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벤스카 익스펜더 에이비 filed Critical 스벤스카 익스펜더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1003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62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16D1/087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axial keys and no other radial clamping
    • F16D1/0882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axial keys and no other radial clamping the key being axially tapered and tightening when loaded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Abstract

액슬(1) 고정장치의 각 단부에 설치된 한쌍의 고정러그(2)와 같은 장치는 축용도의 관통호올을 구비한다. 이 고정장치는 액슬의 각 단부 위치에 안내베벨(1a)과 적어도 하나의 평판챔퍼(3)를 갖추었다. 챔퍼(3)는 액슬의 종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며 액슬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평판챔퍼 사이에 원통형 액슬을 형성한다. 장치의 평판챔퍼(3)는 각 액슬단부의 평판챔퍼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되고 또한 액슬단부에서 안내베벨에 축방향으로 근접하여 연장된 섹션부, 시그먼트형 단부(4a)와 이것의 곡선을 따라 액슬의 외주부 밖으로 향하는 플랜지(4b)를 갖춘 몸체(4)를 포함한다. 몸체는 작용점이 원통형 중심부를 향하는 웨지(wedge)역할을 하도록 설계한다. 나사 요소부(5,6)를 이용하여 원통부를 향하는 축방향으로 각각의 몸체(4)에 동작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결과 각 호올내에 액슬(1)을 고정하게 된다.

Description

액슬 고정장치{DEVICE FOR THE ANCHORAGE OF AN AXLE}
US-A-1 493 063에 따른 공지된 기술은 본 발명과 적용예는 다르나, 액슬을 한 단부에서 대각선방향으로 분할하여 2개의 부분을 형성하고 이것이 서로에 대해 변위하도록 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외측단부에는 확대된 축방향 보어가, 내측단부에는 탭보어가 위치한다. 보울트가 간극을 두고 외측단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내측액슬부의 나사부와 상호작동되고 있다. 나사연결부가 꽉 조여지면, 분할선상의 외측단부가 내측액슬부까지 가압되고 그 결과 이들 부재는 주변부와 함께 쐐기식으로 결합된다.
또 다른 공지기술은 US-A-5 538 356에 개시되었는데, 액슬의 단부에는 테이퍼부와 중앙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는 경사면과 평면을 교대로 구비한다. 내부 경사 및 평면 웨지 요소부가 교대되는 일체형 칼라(collar)가 테이퍼 둘레에 설치되며 나사부 상의 너트에 의해 테이퍼부가 이동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액슬단부가 주변부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US-A-1 493 063의 방식에 따른 단점은 외측단부의 축방향 보어를 확대해야만 외측단부가 정상적인 작용을 위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기술의 또 다른 단점은 보울트를 나사조여서 웨지접속부의 동작을 중단할 때, 액슬단부가 축방향으로 주변부에서 이탈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액슬 단부의 강도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웨지각도가 필요하므로 상기 방법은 주변부에 긴 고정형 구멍이 있고 액슬의 직경이 비교적 작을 때에만 사용할 수 있다.
칼라의 일부를 이루는 내부경사진 웨지 요소부 때문에, US-A-5 538 356에 따른 두번째 해결방법은 조임기구를 이용하여 조임처리하는 것이 필수적이게 되고, 상기 요소부가 곡률반경이 서로다른 부재에까지 조여지도록 가압되면 기계적변형이 필수적으로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변형으로 부품간의 완전한 접촉이 불가능해지므로 칼라와 액슬 사이의 내부경사진 웨지 요소부가 놀아버리게 되는데 이것은 주기적으로 접속부를 다시 조여주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임처리는 또한 조임처리시 액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액슬의 양 단부에서도 동시에 실행되어야한다. 또한 이 방법은 액슬단부의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비교적 큰 축방향 돌출부가 고정러그 위에 있어서 액슬이 쉽게 손상되며 고정이 파손된다. 마지막으로 이 방법은 제작비용이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1의 전제부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액슬을 위한 관통호올이 형성된 한쌍의 고정러그와 같은 장치 내에서 그 단부가 고정되는 액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각 부품을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부품 배열도,
도 2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구비된 액슬관통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2개의 웨지 요소부를 이들 사이에 120°도로 배열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부품 배열도,
도 4는 도 1 혹은 도 2에 따른 장치의 단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외부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내부에 보울트 헤드가 감추어진 안내베벨에 둘러싸인 돌출부가 포함된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축방향 보어가 액슬의 전체길이를 통과하고, 상기 보어내에 배열되는 보울트가 액슬의 양단부에서 몸체에 대해 작용하는 것을 개시하는 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슬단부에 강도를 제공하고, 액슬을 위한 관통호올이 있는 한쌍의 고정러그와 같은 장치에 액슬의 단부가 앵커고정될 수 있는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며, 이 장치는 고정처리없이 한번에 한면을 수동으로 쉽게 조일 수 있고, 고정러그속에 위치하는 액슬이 갑자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제작과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저렴하다. 또한 액슬단부의 면이 넓고 아무 장애가 없어 문자마크 표시가 선명하게 부각될 수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1의 특징부에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더욱, 본 발명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청구범위 종속항에서 기술된 특징 중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조립과정에서 구성부품들의 기계적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조임처리를 특별한 조임기구없이 수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액슬과 몸체간의 편평활주면이 존재하므로, 조임처리 전과정에서 몸체와 액슬간의 완전접촉이 가능하다.
완전접촉이 이루어지므로 큰 웨지각도를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커지며 추후의 분해도 용이하다.
몸체의 시그먼트형 단부면 상의 플랜지가 물리적 고정부 역할을 하며 액슬이 고정러그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방지해준다.
후속분해과정에서, 한쪽면 상의 립(lip)이 고정러그에 대해 지지되면서 액슬로부터 강제 분리된다. 이 립은 또한 분해시 이 립을 그립고정하는 해체기구를 사용할 때 필요한 시설도 제공해준다.
또한 립으로 인해 단부면상 또는 고정러그상의 추가의 잠금장치는 불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측면의 축방향 돌출부를 최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다음의 첨부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전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에 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쓰기로 한다.
도 1은 원통형 액슬(1)에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액슬(1)은 액슬을 위한 관통호올이 형성된 한쌍의 고정러그(2)나 유사물(도 2 참조)에 그 단부가 고정되도록 설계된다. 액슬의 각 단부에 있는 안내베벨(1a)은 고정러그(2)속으로 액슬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액슬 양 단부의 챔퍼(3;chamfer)가 사실상 타원 시그먼트형상으로된 편평활주면으로서 액슬단부의 코드(chord)와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활주면은 액슬의 종축과 일정각도를 형성한다. 액슬단부의 평면챔퍼(3) 사이에는 원통형 액슬부가 존재한다. 액슬(1)이 고정러그(2)의 호올 속에 들어있을 때, 각 액슬단부의 평면챔퍼부에 상응하는 형상이고 또한 안내베벨(1a)에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연장되고 시그먼트형 단부(4a)에서 종결되는 섹션부를 구비한 몸체(4)가 상기 러그속에 삽입될 수 있다.
시그먼트형 단부의 곡선부에는 액슬의 외주부를 지나 방사형으로 외향하는 플랜지(4b)가 설치되며 이것은 정지부 역할을 하고 액슬이 고정된 뒤 축방향으로 고정러그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갖도록 설계된다. 몸체(4)는 또한 액슬의 원통형 중심부를 향하는 작용점(point)을 가진 웨지로서 작용하도록 설계된다. 액슬단부의 각 액슬 챔퍼의 바로 밑에는 탭이 있는 보어(5)가 존재한다. 보울트(6)은 탭보어부(5)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되며 이에 따라 보울트가 액슬단부쪽으로 나사조여질 때 보울트의 헤드(6a)가 몸체의 시그먼트형 단부면(4a)에 대해 가압되므로써 몸체(4)가 원통부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로써, 몸체는 액슬단부의 편평활주면 위를 이동하게 되며, 편평활주면이 쐐기작용에 의해 고정러그(2) 내로 앵커고정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액슬을 위한 관통호올을 구비한 한쌍의 고정러그(2)에 위치하는 액슬(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장치는 액슬의 단부에서 모두 동일하므로 하나의 액슬 단부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액슬의 단부에는 안내베벨(1a)과 챔퍼(3)가 있는데 챔퍼(3)는 편평활주면을 형성한다. 활주면은 액슬의 종축과 일정각도를 형성한다. 액슬 각 단부에 있는 평면챔퍼 사이에는 원통형 액슬부가 존재한다. 고정러그 호올에 액슬을 설치한 후 각 호올에 몸체(4)를 삽입하면 이 몸체는 축방향으로 액슬의 원통부쪽으로 연장되며 이 길이는 동일한 방향으로의 고정러그의 축방향 연장길이보다 짧다. 단면상에서 몸체(4)는, 각 액슬단부의 평면챔퍼부에 대응하는 웨지 형상부와 함께, 액슬단부에서 안내베벨(1a)에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연장되고 또한 액슬의 외주부 밖으로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플랜지(4b)에서 종결되는 섹션부를 구비하게 된다. 장치를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하면 플랜지(4b)가 정지부 역할을 하며 액슬이 축방향으로 고정러그(2)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슬단부의 챔퍼(3) 밑에는 축방향의 탭보어(5)가 존재한다. 보울트(6)는 탭보어(5)와 상호작용하여 보울트를 액슬단부를 향하여 나사조일때, 보울트의 헤드(6a)가 몸체의 단부(4a)에 대해 가압되며 이것을 매끄러운 활주면 위로 밀어올려 그 결과 액슬단부가 웨지작용에 의해 고정러그(2)속에 앵커고정된다.
도 3은 액슬 직경이 큰 경우, 액슬의 각 단부에 다수의 몸체(4)가 배치되는 방식을 보여준다. 상기 몸체는 도1 및 도 2와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는 방식대로 배치된다. 이 도면에서는 2개의 몸체(4)가 액슬의 각 단부에서 서로 120°각도로 배치되어 잠금력이 액슬단부 주변으로 균등하게 배분되고 있다.
도 4는 도 1 및 2에 따른 장치의 단부를 도시한다. 시그먼트형 단부(4a)가 여기에서 상세히 도시되었다. 시그먼트형 단부(4a)에는 액슬의 외주부 밖으로 방사상으로 외향하고 정지부 역할을 하는 플랜지(4b)가 구비된 곡선부가 있는데, 액슬이 축방향으로 고정러그(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액슬 단부에서 각 챔퍼의 코드 바로 밑에 축방향 탭보어(5)와 상호작용하는 보울트(6)가 구비되는데, 이 보울트의 헤드(6a)는 보울트(6)가 액슬단부 쪽으로 나사조여질때 몸체의 시그먼트형 단부면(4a)에 대해 가압되며, 그 결과 몸체(4)가 원통부쪽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액슬 단부가 고정러그 호올속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원주상에 형성된 안내베벨(1a)로 둘러싸인 돌출부가 액슬단부에 위치하고 돌출부내에는 도면에 도시된 6각형의 소켓 보울트 같은 보울트(6)의 헤드(6a)가 안착되어있다. 이것은 외부영향에 대한 보호기능을 보울트(6)에 추가로 부여할 수 있는 설계이다.
도 6은 액슬의 전체길이를 통과하고 각 평면챔퍼(3) 바로 밑의 각 액슬단부에서 종결되는 축방향 보어(5)가 액슬에 형성되어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것을 통과 연장되는 보울트(6)의 제1단부에는 헤드(6a)가 존재하는데, 이것은 몸체의 시그먼트형 단부(4a)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보울트의 다른편 단부에는 보울트상의 나사와 상호작용하는 너트(7)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것도 시그먼트형 단부(4a)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방식에 있어서, 몸체(4)는 보울트 접속부에 토션(torsion)이 가해지는 작용이 있을 때 원통부쪽으로 축방향으로의 이동동작을 부여받게 된다. 이 설계는 한쪽에서 보울트 접속부를 조여야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또는 보울트(6)가 2개의 너트(7)와 상호작용하는 스터드보울트로서 몸체의 시그먼트형 단부(4a)에 대하여 각각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 청구범위에서 정의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예를들어, 몸체의 시그먼트형 단부(4a)에서 보어(5)의 일부만 종결되고 그결과 더 큰 지지면을 갖는 보울트 헤드나 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고정러그속에 위치하는 액슬이 사고로 이탈할 수 없도록 하며 액슬단부의 면이 넓고 아무 장애가 없어 문자마크 표시를 선명하게 부각할 수 있고, 또한 제작과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저렴한 등의 여러 산업상의 유용점을 제공한다.

Claims (9)

  1. 액슬(1)을 위한 관통호올이 있는 한 쌍의 고정러그(2)와 같은 장치내에서 액슬의 단부가 고정되는 액슬 고정장치에 있어서,
    액슬의 각 단부에는 안내베벨(1a)과, 액슬의 종축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고 액슬 외측면에 연결되어 평면챔퍼 사이에 원통형 액슬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챔퍼(3)가 존재하며,
    각 평면챔퍼(3)상의 장치는, 액슬단부의 평면챔퍼부에 상응하는 형상부와 액슬단부에서 안내베벨에 축방향 인접하여 연장되는 섹션부 및 시그먼트형 단부(4a)를 가지는 몸체와, 시그먼트형 단부의 곡선을 따라 액슬의 외주부 밖으로 방사상으로 외향하는 플랜지(4b)로 이루어지고, 이 몸체(4)는 원통형 중심부를 향하는 작용점을 가진 웨지로서 작용하도록 설계되며,
    또한 나사 요소부(5,6)에 의해 원통부를 향해 각 몸체에 축방향의 동작을 부여하여 각 호올에 액슬(1)을 앵커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슬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10-30°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슬 고정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몸체(4)는 액슬(1)보다 강성의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슬 고정장치.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액슬의 각 단부에 2개의 챔퍼(3)가 서로 120°각도로 경사져 설치되고, 몸체(4)에는 각 챔퍼(3)를 위한 나사 요소부(5,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슬 고정장치.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나사 요소부는 각 몸체(4)와 액슬의 각 단부 사이에서 작용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슬 고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액슬의 각 단부에는 보울트(6)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나사 요소부로서의 축방향 탭보어(5)가 챔퍼(3)의 바로 밑에 존재하며, 각 보울트의 헤드(6a)는 각 몸체의 시그먼트형 단부(4a)에 대하여 지지되어서 토션동작이 각 보울트(6)에 가해질 때 원통형 부분쪽으로 몸체(4)에 축방향 동작이 부여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슬 고정장치.
  7.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액슬의 전체 길이를 통과하여 평면챔퍼(3) 바로 아래의 액슬의 각 단부에서 종결되는 축방향 보어(5)와 이것을 통과 연장되는 보울트(6)가 나사 요소부로서 제공되며, 보울트의 제1단부에는 제1몸체의 시그먼트형 단부(4a)에 대하여 지지되는 헤드(6a)가 있고 또 다른 단부에는 보울트의 나사부와 상호작용하고 제2몸체의 시그먼트형 단부(4a)에 대하여 지지되는 너트(7)가 구비되며, 보울트 접속부에 토션 가압동작이 가해질 때 몸체에 원통부쪽으로의 축방향 동작이 부여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슬 고정장치.
  8.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액슬의 전체 길이를 통과하고 평면챔퍼(3) 바로 아래의 액슬의 각 단부에서 종결되는 축방향 보어(5)와 이것을 통과 연장되는 스터드 보울트(6)가 나사 요소부로서 제공되며, 스터드 보울트 상의 나사부와 상호작용하는 제1너트(7)는 스터드 보울트의 제1단부에 위치하여 몸체의 시그먼트형 단부(4a)에 대하여 지지되며, 스터드 보울트 상의 나사부와 상호작용하는 제2너트(7)는 스터드 보울트의 또다른 단부에 위치하여 제2몸체의 시그먼트형 단부(4a)에 대하여 지지되고, 보울트 접속부에 토션 가압동작이 가해질 때 몸체(4)에 원통부쪽으로의 축방향 동작이 부여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슬 고정장치.
  9. 제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슬의 각 단부에는 원주상에 형성된 안내베벨에 의해 둘러싸인 돌출부가 존재하며 그 내부에 보울트 헤드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슬 고정장치.
KR1020007005900A 1997-12-30 1998-12-10 액슬 고정장치 KR200100326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4913-4 1997-12-30
SE9704913A SE508815C2 (sv) 1997-12-30 1997-12-30 Anordning för förankring av en axel
PCT/SE1998/002271 WO1999034120A1 (en) 1997-12-30 1998-12-10 Device for the anchorage of an ax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624A true KR20010032624A (ko) 2001-04-25

Family

ID=2040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900A KR20010032624A (ko) 1997-12-30 1998-12-10 액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042617A1 (ko)
JP (1) JP2002500321A (ko)
KR (1) KR20010032624A (ko)
AU (1) AU2192899A (ko)
SE (1) SE508815C2 (ko)
WO (1) WO1999034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4035C2 (sv) * 2000-03-09 2000-12-11 Svenska Expander Ab Anordning för förankring av en cylindrisk axel
CN112096750B (zh) * 2020-10-12 2025-01-14 唐山航翼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双层胀紧套的光滑长管内腔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175016C (no) * 1992-04-03 1994-08-17 Arne Aarre Anordning for opprettelse av en dreiebar sammenkobling av to relativt svingbare de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192899A (en) 1999-07-19
EP1042617A1 (en) 2000-10-11
SE9704913D0 (sv) 1997-12-30
SE9704913L (sv) 1998-11-09
SE508815C2 (sv) 1998-11-09
JP2002500321A (ja) 2002-01-08
WO1999034120A1 (en) 199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13539B (zh) 用于将第一组件附接到第二组件的装置
US4669911A (en) Clamping ring with variable bore size
US4407479A (en) Pipe hanger
US20090199365A1 (en) Stepped pin assembly for an axle and method therefor
WO1998011354A1 (en) Threaded fastener system
JP3902708B2 (ja) トルク角制限ホイールナット
AU7821401A (en) Fastener including a screw member and a securing ring
EP0566549B1 (en) A device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bearings
EP0156104B1 (en) A device for fastening a machine element
US4596477A (en) Device for fastening a machine element
JPS59131015A (ja) クランプ型車輪用フアスナ組立体
JP2004500519A (ja) 固定装置
KR20010032624A (ko) 액슬 고정장치
US7309187B2 (en) Releasable keyless bushing assembly
GB2274892A (en) Spacer washer for bolted joint
US6345929B1 (en) Device for the anchorage of an axle
US5795119A (en) Adjustable lock nut
KR20010077809A (ko) 풀림 방지 볼트 조립체
EP0324324B1 (en) A device for attachment of a machine member to a shaft
EP2462357B1 (en) Through pin assembly for an axle
RU2253050C1 (ru)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FI95337C (fi) Mekanismi kuvaputken kiinittämiseksi koteloonsa
GB2277570A (en) Lock washer
SU1820056A1 (en) Self-stopping nut
SU1224480A1 (ru)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