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1은 전기 영동(SDS-PAGE)후의 아크릴아미드 겔에 관해서 이미징·분석기(FUJI BAS2000)를 이용하여 검출한 프린터 타출도(打出圖)이며, 마우스 OHP106의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인 서열 번호 1, 4, 7, 10 또는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그 상동체, 그 서열의 단편 및 그 상동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cDNA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열 번호 2, 5, 8, 11 또는 14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 혹은 3, 6, 9, 12 또는 15 중에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갖는 cDNA 및 서열 번호 2, 5, 8, 11 또는 14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 혹은 서열 번호 3, 6, 9, 12 또는 15 중에 표시되는 염기 서열에 선택적으로 하이브리드화하는 단편을 갖는 cDNA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화하는 cDNA에는 상기 서열의 상보 서열도 포함된다.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인 서열 번호 1, 4, 7, 10 또는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란, 일반적으로 생산시의 폴리펩티드의 90% 이상, 예컨대, 95, 98 또는 99%가 서열 번호 1, 4, 7, 10 또는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임을 의미한다.
서열 번호 1, 4, 7, 10 또는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폴리펩티드의 상동체란, 일반적으로 20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0개 이상, 예컨대 40, 60 또는 100개의 연속된 아미노산 영역에서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또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상동성이 있는 것으로서, 그와 같은 상동체는 이하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로서 기재된다.
더욱이, 서열 번호 1, 4, 7, 10 또는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의 단편, 또는 이들의 상동체의 단편이란, 10개 이상의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15개 이상의 아미노산 예컨대 20, 25, 30, 40, 50 또는 60개 아미노산 부분을 의미한다.
서열 번호 2, 5, 8, 11 또는 14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 혹은 3, 6, 9, 12 또는 15 중에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갖는 cDNA에 선택적으로 하이브리드화하는 cDNA란, 일반적으로 20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0개 이상, 예컨대 40, 60 또는 100개의 연속된 염기 서열 영역에서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또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상동성이 있는 것으로, 그와 같은 cDNA는 이하 본 발명의 cDNA로서 기재된다.
서열 번호 2, 5, 8, 11 또는 14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 혹은 3, 6, 9, 12 또는 15 중에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갖는 cDNA의 단편이란, 10개 이상의 염기, 바람직하게는 15개 이상의 염기, 예컨대 20, 25, 30 또는 40 염기 부분을 의미하며, 그와 같은 단편도 본 발명의 cDNA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cDNA로 이루어진 복제 또는 발현 벡터를 포함한다. 벡터로는 예컨대, ori 영역과, 필요에 따라 상기 cDNA의 발현을 위한 프로모터, 프로모터의 제어 인자 등으로 이루어진 플러스미드, 바이러스 또는 파지 벡터가 있다. 벡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택적 마커 유전자, 예컨대 암피실린 내성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벡터는 시험관내에 있어서, 예컨대 cDNA에 대응하는 mRNA의 제조, 숙주 세포의 형질 전환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 번호 2, 5, 8, 11 또는 14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 혹은 3, 6, 9, 12 또는 15 중에 표시되는 염기 서열, 또는 이들의 오픈 리딩 프레임을 갖는 cDNA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cDNA를 복제 또는 발현시키기 위한 벡터로 형질 전환된 숙주 세포도 포함한다. 세포로는 예컨대 세균, 효모, 곤충 세포 또는 포유 동물 세포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발현시키기 위한 조건하에서 본 발명의 숙주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의 제조 방법도 포함한다. 배양은,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가 발현되어 숙주 세포로부터 제조되는 조건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cDNA는 상기와 같은 벡터의 안티센스 영역에 삽입함으로써 안티센스 mRNA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안티센스 mRNA는 세포 중의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의 레벨을 제어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의 모노클로날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의 모노클로날 또는 폴리클로날 항체의 제조 방법도 포함한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또는 그 단편을 항원으로서 이용하여, 통상의 하이브리드화 기술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폴리클로날 항체는 숙주 동물(예컨대, 래트나 토끼 등)에게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접종하여, 면역 혈청을 회수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그 항체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담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도 포함한다.
(1)의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서열 번호 1, 4, 7, 10 또는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 이외에, 그 일부가 결손된 것(예컨대, 서열 번호 1, 4, 7, 10 또는 13 중, 생물 활성의 발현에 필수적인 부분만으로 이루어지는 폴리펩티드 등), 그 일부가 다른 아미노산과 치환된 것(예컨대, 물성이 유사한 아미노산으로 치환한 것) 및 그 일부에 다른 아미노산이 부가 또는 삽입된 것도 포함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하나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코돈은 1∼6 종류(예컨대, Met는 1종류, Leu는 6종류) 존재한다. 따라서,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바꾸지 않고서 cDNA의 염기 서열을 바꿀 수 있다.
(2)에서 특정되는 본 발명의 cDNA는 (1)의 서열 번호 1, 4, 7, 10 또는 13으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모든 염기 서열군을 포함한다. 염기 서열을 바꿈으로써, 폴리펩티드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경우가 있다.
(3)에서 특정되는 cDNA는 (2)로 표시되는 cDNA의 한 형태이며, 천연형 서열을 나타낸다.
(4)로 표시되는 cDNA는 (3)에서 특정되는 cDNA에 천연의 비번역 부분을 가한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 번호 3, 6, 9, 12 또는 15 중에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갖는 cDNA의 작제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서 행해진다.
시크널 서열 트랩(SST)용 cDNA 라이브러리의 작제:
(1) 대상이 되는 세포로부터 mRNA를 단리하여, 특정 제한 효소(효소 I) 부위를 연결한 랜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이본쇄 cDNA를 합성하는 단계,
(2) 크기별로 분획한 후, 효소 I과는 다른 특정한 제한 효소(효소 II) 부위를 포함하는 어댑터를 연결하는 단계,
(3) 효소 I 부위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와 효소 II 부위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이하, PCR이라 약기함)을 수행하여, 증폭된 cDNA를 효소 I-효소 II로 분해한 후, 재차 분획하는 단계,
(4) 얻어진 cDNA 단편을, 시그널 서열을 삭제한 공지의 막 단백질 등의 유전자의 상류에 연결하여, 진핵 세포 발현 플러스미드 벡터에 짜넣은 후, 형질 전환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각 공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공정 (1)에서는 대상이 되는 세포로부터, Chomcynski, P 등의 방법[Anl. Biochem. 162, 156(1987)에 기재]에 준하여 전체 mRNA의 단리가 행해진다. 또한 mRNA의 정제는 0ligo(dT) 컬럼 등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대상이 되는 세포로는 op/op 신생 마우스 두개관(頭蓋冠)에서 유래하는 스트로마 세포주 OP9 세포(H.Kodama. et. al., Exp.Hematol, 22, 979-984, 1994)와 공생 배양하여 혈액 세포로 분화 유도한 마우스 ES(Embryonic Stem) 세포주 D3(T.C.Doetschman. et.al., J.Embryol. Exp. Morphol., 87, 27, 1985) 등이 있다.
이어서 (효소 I) 부위를 연결한 랜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1본쇄 cDNA를 합성한 후, Gublerr & Hoffman의 방법에 의해 2본쇄 cDNA를 합성한다.
공정 (2)는 T4cDNA 폴리머라제로 말단을 평활화하여, 효소 II 어댑터를 연결하고, 아가로스 전기 영동에 의해 400∼600 bp의 cDNA로 분획함으로써 행해진다. 랜덤 프라이머에 연결되는 제한 효소(효소 I) 부위와 공정 (2)에서 이용되는 제한 효소(효소 II) 부위는 서로 다른 것이라면 무엇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효소 I로서 SalI, 효소 II로서는 EcoRI가 이용된다.
공정 (3)에서는 PCR에 의해 cDNA의 증폭을 행한다. 증폭된 cDNA는 효소 I-효소 II로 분해하여, 아가로스 전기 영동에 의해 300∼800 bp의 cDNA로 분화된다.
공정 (4)는 진핵 세포 발현용 플러스미드 벡터에 시그널 서열을 제거한 공지된 막 단백질 등의 유전자(리포터 유전자라 함)와, 그 상류에 공정 (3)에서 얻은 cDNA 단편을 도입하여 형질 전환시키는 공정이다. 진핵 세포 발현용 플러스미드 벡터로는 여러 가지 것이 알려져 있지만, 예컨대, pcDL-SRα나 pcEV-4가 이용된다.
또, 리포터 유전자로는 각종의 가용성 분비 단백질 및 막 단백질의 성숙 단백질 부분의 유전자가 이용된다. 또한, 이들 리포터 유전자는 항체법 등의 어떠한 방법으로 그 발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 여기서는 인간 IL-2 수용체 α 유전자가 이용된다. 형질 전환을 위한 숙주 대장균주는 이미 많은 것이 알려져 있고, 어느 것을 이용하더라도 좋지만, DH5의 콤피텐트 세포가 바람직하다. 형질 전환체는 통상의 방법으로 배양되어, 본 발명의 cDNA 라이브러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cDNA 라이브러리 작제 방법에서, 라이브러리 중에 단백질의 N 말단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단편을 포함할 가능성은 높지만, 모든 클론이 시그널 펩티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또 전부가 미지의(신규) 시그널 서열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단편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이 방법을 수행한 후에 미지의 시그널 서열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단편을 스크리닝할 필요가 있다.
즉, cDNA 라이브러리를 적당한 크기의 푸울(pool)로 세분화하여, 발현계에 도입한다. 폴리펩티드를 생산하기 위한 발현계로는 포유 동물 세포(예컨대, 원숭이 COS-7 세포, 차이니즈 햄스터 CHO 세포, 마우스 L 세포 등)가 있다. 형질감염은 예컨대 DEAE-덱스트란법에 의해서 행해진다. 배양후,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의 유무를 판정한다.
리포터 유전자는 시그널 서열이 다른 분비 단백질에 고유한 것이라도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리포터 유전자가 발현되었다고 하는 것은 라이브러리 중에 어떠한 분비 단백질의 시그널 서열이 들어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양성을 나타내는 푸울에 대해서는 더욱 세분화하여, 단일 클론을 얻을 때까지 발현과 판정을 반복한다.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의 판정은 리포터 유전자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형광 표지 항체법, 효소 표지 항체법(ELISA법), 방사성 표지 항체법(RIA법) 등에 의해 행해진다. 여기서는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 표지한 항인간 Tac에 의한 형광 표지 항체법이 이용된다.
이어서, 단리된 양성 클론에 관해서, 염기 서열을 결정하여, 데이터 베이스와의 상동성 검색을 행한다. 미지의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것이 분명해진 cDNA에 관해서는 그것을 프로브로 하여 전장(全長) cDNA 라이브러리 혹은 게놈 라이브러리와 하이브리드화시킴으로써, 혹은 적당한 염기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포유류에서 유래하는 cDNA 라이브러리, 혹은 mRNA로부터 PCR법에 의해, 전장 클론을 단리하여 전장의 염기 서열을 결정할 수 있다.
양성 클론의 염기 서열이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가 확정되면 포유류에 존재하는 본 발명의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cDNA 혹은 본 발명 단백질의 상동체 및 서브셋을 암호화하는 cDNA를 얻을 수 있다. 적당한 상기 마우스 염기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포유류에서 유래하는 cDNA 라이브러리 혹은 mRNA로부터 PCR법에 의해, 혹은 적당한 상기 마우스 염기 서열의 단편을 프로브로 하여 하이브리드화시킴으로써, 포유류 cDNA 라이브러리 혹은 그 게놈 라이브러리로부터, 포유류형의 상기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cDNA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서열 번호 2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 혹은 서열 번호 3 중에 표시되는 염기 서열로 표시되는 마우스 OHP106의 염기 서열이 확정된 후, 마우스 신장 cDNA 라이브러리에서 유래한 마우스 OHP106의 염기 서열의 오픈 리딩 프레임 내에 22 bp의 삽입 서열을 갖는 클론인 마우스 OHP106K를 발견했으며, 또 인간 자궁 cDNA 라이브러리에서 유래한 마우스 OHP106의 염기 서열과 높은 상동성을 지니고, 마우스 OHP106의 인간 대응부라고 생각되는 약 550 bp의 클론, 인간 OHP106을 발견했다. 또한 마우스 13.5, 14.5일 태아 cDNA 라이브러리 및 인간 태아 간장, 비장 cDNA 라이브러리에서 유래한 마우스 OHP106과 유의 수준의 상동성을 보이는 클론인 마우스 OHP106H 및 인간 OHP106H를 발견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cDNA가 SST에 의해 얻어진 cDNA 단편의 염기 서열(또는 그 상동 서열)을 포함하고 있으면 시그널 서열을 암호화하고 있게 되기 때문에, 그 cDNA가 전장 또는 거의 전장임은 분명하다(시그널 서열은 예외 없이 단백질의 N 말단에 존재하므로, cDNA의 오픈 리딩 프레임의 5' 말단에 암호화되고 있음).
또한, 상기 cDNA를 프로브로 하여 노던(Northern) 해석에 의해서 전장임을 확인해도 좋다. 하이브리드화한 밴드로부터 얻어지는 mRNA의 크기와 그 cDNA의 크기를 비교하여, 거의 같으면 그 cDNA는 거의 전장이라고 생각된다.
서열 번호 2, 5, 8, 11 또는 14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 혹은 3, 6, 9, 12 또는 15 중에 표시되는 염기 서열이 일단 확정되면, 그 후에는 화학 합성에 의해서, 혹은 그 염기 서열의 단편을 화학 합성하여, 이것을 프로브로서 하이브리드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cDNA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cDNA를 함유하는 벡터 cDNA를 적당한 숙주에 도입하여, 이것을 증식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cDNA를 필요량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취득하는 방법으로는
(1) 생체 또는 배양 세포로부터 정제 단리하는 방법,
(2) 펩티드 합성하는 방법, 또는
(3)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공업적으로는 (3)에 기재한 방법이 바람직하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폴리펩티드를 생산하기 위한 발현계(숙주-벡터계)로는, 예컨대 세균, 효모, 곤충 세포 및 포유 동물 세포의 발현계가 있다.
예컨대, 대장균으로 발현시키는 경우에는 성숙 단백질 부분을 암호화하는 cDNA의 5' 말단에 개시 코돈(ATG)을 부가하고, 얻어진 cDNA를 적당한 프로모터(예컨대, trp 프로모터, lac 프로모터, λPL 프로모터, T7 프로모터 등)의 하류에 접속하여, 대장균 내에서 기능하는 벡터(예컨대, pBR322, pUC18, pUC19 등)에 삽입하여 발현 벡터를 작제한다.
다음에, 이 발현 벡터로 형질 전환시킨 대장균(예컨대, E. Coli DH1, E. Coli JM109, E. Coli HB101주 등)을 적당한 배지로 배양하여, 그 균체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폴리펩티드를 얻을 수 있다. 또, 박테리아의 시그널 서열(예컨대, pelB의 시그널 서열)을 이용하면, 페리플라즘 중에 목적으로 하는 폴리펩티드를 분비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폴리펩티드와의 융합 단백질을 생산할 수도 있다.
또, 포유 동물 세포에서 발현시키는 경우, 예컨대 서열 번호 3, 6, 9 또는 12 중에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적당한 벡터(예컨대,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파필로머바이러스 벡터, 왁시니아바이러스 벡터, SV40계 벡터 등) 중의 적당한 프로모터(예컨대, SV40 프로모터, LTR 프로모터, 메탈로티오네인 프로모터 등)의 하류에 삽입하여 발현 벡터를 작제한다. 다음에, 얻어진 발현 벡터로 적당한 포유 동물 세포(예컨대, 원숭이 COS-7 세포, 중국산 햄스터 CHO 세포, 마우스 L 세포 등)를 형질 전환시켜, 형질 전환체를 적당한 배지에서 배양함으로써 그 배양액 중에 목적으로 하는 폴리펩티드가 분비된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얻어진 폴리펩티드는 일반적인 생화학적 방법에 의해 단리 정제할 수 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및 그것을 암호화하는 cDNA는 1 이상의 효과 혹은 생물 활성(이하에 열거하는 분석에 관련되는 것을 포함함)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에 관해서 기술되는 효과 또는 생물 활성은 그 단백질의 투여 혹은 사용에 의해, 또는 그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cDNA의 투여 혹은 사용(예컨대, 유전자 요법이나 cDNA 도입에 알맞은 벡터)에 의해 제공된다.
[시토킨 활성 및 세포 증식/분화 활성]
본 발명의 단백질은 시토킨 활성 및 세포 증식(유도 또는 저해)/분화 활성(유도 또는 저해)을 보일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어떤 세포 집단에 다른 시토킨의 생산을 유도 또는 억제한다고 생각된다. 모든 기지의 시토킨을 포함한, 현재 발견되고 있는 대부분의 단백질성 인자는 인자에 의존한 하나 이상의 세포 증식 분석법으로, 활성을 보여 왔기 때문에, 이들 분석법은 시토킨 활성의 편리한 확인법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단백질의 활성은 많은 종래의 인자 의존성의 세포주의 세포 증식 분석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증명될 수 있다.
[면역 자극/억제 활성]
본 발명의 단백질은 면역 자극 활성 및 면역 억제 활성을 보인다고 생각된다. 또, 어떤 단백질은, 예컨대 T 림프구 및 B 림프구 혹은 어느 한쪽의 성장 및 증식을 제어(자극 혹은 억제)하거나, 유사하게 NK 세포나 다른 집단의 세포 상해성 활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여러 가지 면역 부전 및 질환(중증합병형 면역결핍(SCID)을 포함함)의 치료에 효과를 보인다고 생각된다. 이들 면역 부전은 유전성인 경우도 있고, 예컨대 HIV와 같은 바이러스나, 마찬가지로 세균이나 곰팡이의 감염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자가 면역 질환으로부터 연유될 가능성도 있다. 보다 특수한 경우에 HIV,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viruses),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es), 마이코박테리아(mycobacteria), 리슈마니아(leishmania), 말라리아(malaria) 및 칸디다(candida)와 같은 여러 가지 곰팡이 감염을 포함한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혹은 다른 감염에 의한 감염증의 원인을, 본 발명의 단백질을 이용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물론,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단백질은 면역 시스템이 증대하고 있음이 일반적으로 시사되는 장소, 즉 암 치료 부분에 있어서 효과를 보인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단백질은 알레르기 반응 및 천식이나 다른 호흡기계 질환과 같은 상황의 치료에 효과를 보인다고 생각된다. 면역 억제가 요구되는 다른 상태(예컨대, 천식이나 관련 호흡기 질환을 포함함)에도 본 발명의 단백질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단백질은 예컨대, 패혈병성 쇼크 혹은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SIRS)과 같은 감염, 염증성 대장염, 클론병에 관련되거나, IL-11에 의해 효과가 증명된 TNF나 IL-l과 같은 시토킨의 과잉 생산으로부터 연유되는 만성 혹은 급성의 염증을 억제할 가능성도 있다.
[조혈 세포 제어 활성]
본 발명의 단백질은 조혈 세포의 제어와, 이에 따른 골수구형 세포 혹은 림프구형 세포의 결핍에 대한 치료에도 효과를 보인다고 생각된다. 콜로니 형성 세포 혹은 인자 의존성 세포주의 원조하에서의 극히 약한 생물 활성에서조차도 조혈 세포의 제어에 관계됨을 시사한다. 그 생물 활성이란, 다음에 예로 든 전부 혹은 그 어느 것으로 비유되는 것에 관계되는 것이다. 적혈구 전구 세포만의 성장 및 증식을 지지, 혹은 다른 시토킨과의 조합, 또 그것이 시사하는 유효성, 예컨대 여러 가지 빈혈의 치료, 혹은 적혈구 전구 세포 및 적혈구 혹은 그 어느 쪽인가의 생산을 자극하는 방사선 요법/화학 요법과 조합한 사용; 과립구 및 단구/대식세포와 같은 골수구의 성장 및 증식을 지지(즉, 고전적인 CSF 활성), 화학 요법에 따른 골수 억제를 막기 위한 화학 요법과의 병용; 거핵구의 성장 및 증식 및 그것에 이어지는 혈소판의 성장 및 증식의 지지, 그것에 의하여 혈소판 감소증과 같은 여러 가지 혈소판 장해의 방어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혈소판 수혈시 혹은 상보적인 일반적 사용; 상기 조혈 세포의 몇가지 혹은 모든 세포로 성숙 가능한 조혈 간세포의 성장 및 증식의 지지, 이에 따른 여러 가지 간세포 장해(한정되지는 않지만, 재생 불량성 빈혈 및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을 포함한, 이식으로 일반적으로 치료되는 것)에 치료적 효과를 발견할 수 있고, 정상 세포 혹은 유전자 요법을 위해 유전적으로 조작된 세포를 시험관내 혹은 생체외(즉, 골수 이식에 동반함) 어느 쪽에서, 방사선 요법/화학 요법후의 간세포 분획의 재구축을 행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단백질은 기타의 방법 중에서,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직 생성/수복 활성]
본 발명의 단백질은 손상 치유 및 조직 수복과, 화상, 절개 및 궤양의 치료와 같이, 뼈, 연골, 힘줄, 인대 및 신경 조직 성장 혹은 재생 중 어느 것에 사용된다고 생각된다.
뼈를 정상적으로 형성하지 않는 환경에서의 연골 및 뼈 혹은 어느 하나의 성장을 유도하는 본 발명의 단백질은 인간 및 다른 동물의 골절 및 연골 손상 혹은 결손의 치유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단백질을 사용하고 있는 제제는 개방 골절과 마찬가지로 폐쇄 골절의 정복(整復), 또 인공 관절 고정의 개량에도 예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뼈 형성제에 의해 유도된 신생 골형성은 선천성, 외상성, 암 절제술에 의해 유발된 두개 안면의 결손의 수복에 공헌한다. 또한, 미용 성형 외과 분야에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단백질은 치근막증의 치료 및 다른 치아의 수복에도 사용된다고 생각된다. 그와 같은 약품은 뼈 형성 세포를 끌어 당겨, 그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여, 그 전구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환경을 제공한다고 생각된다. 이 발명의 단백질은 뼈 및 연골 혹은 어느 하나의 수복을 자극하는 것을 통해서, 또는 염증이나 염증 과정에서 개재되는 조직 파괴(콜라게나아제 활성이나 파골 세포의 활성)의 과정을 저지함으로써, 골다공증 및 골관절염의 치료에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단백질에 기인한다고 생각되는 조직 재생 활성의 다른 카테고리는 힘줄/인대 형성이다. 본 발명의 단백질은 힘줄/인대형 조직 혹은 다른 조직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환경에서 그와 같은 조직 형성을 유도하는 것이지만, 인간 및 다른 동물에 있어서의 힘줄/인대의 열상(裂傷), 기형 및 다른 힘줄/인대의 장해의 치유에 적용할 수 있다. 힘줄/인대형 조직을 유도하는 단백질을 사용하고 있는 제제는 뼈 혹은 다른 조직으로의 힘줄/인대의 고정의 개량, 및 힘줄/인대 조직의 결손의 수복에서의 사용은 물론, 힘줄 혹은 인대 손상의 방어에 대한 예방적 사용도 생각된다. 본 발명의 구성물에 의해 유도되는 신생 힘줄/인대형 조직 형성은 선천성, 외상 혹은 다른 기원의 힘줄 혹은 인대 결손의 수복에 공헌한다. 또, 힘줄이나 인대의 첨부 또는 수복이라고 하는 미용 성형 외과에서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구성물은 힘줄/인대 형성 세포를 유인하고 그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여, 그 전구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환경을 제공한다고 생각된다. 또는, 조직 수복을 다하기 위해서 생체내에의 반환에 대비하여 생체외로 힘줄/인대 세포나 그 전구 세포를 유도한다. 본 발명의 구성물은 건염(腱炎), 수근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및 다른 힘줄 혹은 인대 결손의 치료에도 유효하다. 상기 구성물에는 적당한 매트릭스 및 캐리어와 마찬가지로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서열터링(Sequestering)제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단백질은 신경 세포의 증식과 신경 및 뇌 조직의 재생, 즉 신경 세포 혹은 신경 조직의 변성, 죽음, 혹은 외상을 포함한 기계적 및 외상적 장해와 마찬가지로 중추 및 말초 신경계 질환 및 신경병의 치료에 대하여도 효과를 보인다고 생각된다. 보다 특이적으로는, 어떤 단백질은 말초 신경 장해, 말초 신경증 및 국소적 신경증과 같은 말초 신경계의 질환 및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톤병, 근위축성 측삭증(amyotropic lateral) 및 샤이 드레거(Shy-Drager) 증후군과 같은 중추 신경계 질환의 치료에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서 치료될 수 있는 조건에는 척수 장해, 두부(頭部) 외상 및 뇌졸중 등의 뇌혈관 질환과 같은 기계적 및 외상적 장해를 포함한다. 화학 요법 혹은 다른 치료로부터 기인하는 말초 신경증도 본 발명의 단백질을 이용하여 치료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백질은 예컨대 췌장, 간장, 창자, 신장, 피부, 내피를 포함하는 장기, 평활, 골격 혹은 심장 근육 및 혈관 내피를 포함하는 혈관 조직과 같은 기타 조직을 생성하는 활성 또는 그와 같은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활성을 보일 가능성도 기대된다. 요구되는 효과의 일부는 정상 조직을 재생시키는 섬유성 반흔(scarring)의 저해에 의해서도 담당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단백질은 소화관 보호 또는 재생 및 폐나 간장의 섬유화, 여러 가지 조직의 재환류 손상, 및 전신성 시토킨 장해에 기인하는 상태에 대한 치료에도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액티빈/인히빈 활성]
본 발명의 단백질은 액티빈/인히빈에 관련된 활성을 보인다고 생각된다. 액티빈은 여포 자극 호르몬(FSH)의 방출을 자극하는 활성이 그 특징이지만, 인히빈은 여포 자극 호르몬(FSH)의 방출을 저해하는 활성이 그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백질은 단독 혹은 인히빈 a과(科) 구성원과의 헤테로이량체로 포유류 동물의 암컷의 수정율을 감소시키고, 수컷의 정자 형성을 감소시키는 인히빈의 활성에 기초한 피임 조절제로서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충분량의 기타 인히빈의 투여에 의해서, 포유 동물의 불임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백질은 인히빈 b 그룹의 다른 단백질 서브유닛과의 동종이량체 혹은 헤테로이량체로, 전뇌하수체의 세포로부터 FSH 방출을 자극하는 액티빈 분자의 활성에 기초한 치료적인 불임 유도로서 유효하다고 생각된다(미국 특허 4,798,885 참조).
본 발명의 단백질은 소, 양, 및 돼지와 같은 가축 일생의 출산 능력 가능한 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해서, 성적으로 미숙한 포유류 동물에 있어서의 임신 개시를 빠르게 하는 데에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주화성/화학 운동성 활성]
본 발명의 단백질은 예컨대, 단구, 호중구, T 세포, 마스트 세포, 호산구 및 내피 세포 혹은 그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포유 동물의 세포에 대하여, 예컨대 케모킨으로서 기능하는 주화성(走化性)/화학 운동성 활성을 갖는다고 생각된다. 주화성/화학 운동성 단백질은 반응이 요구되는 부위에, 요구되는 세포 집단을 고정화 또는 유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주화성/화학 운동성 단백질은 국소적인 감염과 마찬가지로, 창상 및 다른 외상의 치료에 특별한 우위성을 제공한다. 예컨대, 림프구, 단구, 혹은 호중구를 종양 혹은 감염 부위로 끌어 당기는 것은 종양 혹은 감염 부위에 대한 면역 반응을 개선하는 결과가 된다고 생각된다.
단백질이나 펩티드는 만약 그것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특수한 세포 집단에 대하여 지시된 방향 혹은 운동 자극이 가능하면, 그와 같은 세포 집단에 대한 주화성 활성을 유지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단백질이나 펩티드는 세포의 지시된 운동을 직접적으로 자극하는 활성을 유지한다. 특별한 단백질이 있는 집단의 세포에 대하여 주화성 활성을 유지하는지의 여부는 어떤 기지의 세포 주화성의 분석법에 그와 같은 단백질 혹은 펩티드를 사용하더라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응혈 및 혈전 활성]
본 발명의 단백질은 응혈 혹은 혈전 활성도 보인다고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그와 같은 단백질은 여러 가지 응고 장해(혈우병과 같은 유전성 장해를 포함함)의 치료에 유효다고 예측된다. 또는 외상, 수술 혹은 다른 원인에 의해 생긴 창상의 치료에 있어서의 응고 및 다른 응혈 사상(事象)을 촉진시키는 것이 예상된다. 본 발명의 단백질은 혈전 형성의 용해 또는 저해 및 혈전 또는 졸중 등으로부터 생기는 상태의 치료 및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수용체/리간드 활성]
본 발명의 단백질은 수용체, 수용체/리간드 혹은 수용체/리간드의 억제제나 작용물질로서의 활성을 보일 가능성도 있다. 그와 같은 수용체 및 리간드의 예로서, 시토킨 수용체 및 그 리간드, 수용체 키나제 및 그 리간드, 수용체 포스파타아제 및 그 리간드, 세포간 상호 작용에 관련된 수용체(Selectin, Integurin 및 그 리간드, 수용체 키나제 등의 세포 접착 분자를 포함함) 및 그 리간드와 항원 제시, 항원 인식 및 세포성 및 액성 면역 반응의 발달에 관련된 수용체/리간드의 조합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체 및 리간드는 그 상호 작용에 대한 가능한 펩티드 또은 소분자인 억제제의 스크리닝에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단백질(수용체 및 리간드의 단편을 포함하지만, 제한되는 것은 아님)은 그 자체 수용체/리간드의 상호 작용의 억제제로서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그 밖의 활성]
본 발명의 단백질(폴리펩티드)은 이하에 나타내는 부가적인 활성 또는 효과의 하나 이상을 보인다고 생각된다.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및 다른 기생충을 포함하는 감염성 물질을 살상한다; 신장, 체중, 털의 색, 눈의 색, 피부 또는 다른 조직의 색소 침착, 또는 예컨대, 흉부 증량이나 감량 등의 기관의 크기 등의 신체적 특징을 억제 혹은 촉진하는 효과를 미치게 한다; 식이 지방, 단백질 혹은 탄수화물의 분해에 효과를 미치게 한다; 식욕, 성욕, 스트레스, 인식(인식 장해), 우울병, 폭력 행동을 포함하는 행동 특징에 효과를 미치게 한다; 진통 효과나 기타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미치게 한다; 배성(胚性) 간세포의 조혈계 이외의 다른 계통에의 분화 및 증식을 촉진한다; 효소의 경우 그 효소의 결실을 보충하고, 또 관련 질환을 치료한다.
상기 활성을 갖는 단백질은, 예컨대 B 세포, T 세포, 비만 세포의 증식 또는 세포사, 면역 글로블린의 클래스 스위치 촉진에 의한 클래스 특이적 유도, B 세포의 항체 생산 세포에의 분화, 과립구 전구 세포의 증식 또는 분화, 세포사, 단구·대식세포 전구 세포의 증식 또는 분화, 세포사, 호중구, 단구·대식세포, 호산구, 호염기구의 증식 또는 기능 항진, 세포사, 거핵구 전구 세포의 증식 또는 세포사, 호중구 전구 세포의 증식 또는 분화, 세포사, B 또는 T 전구 세포의 증식 또는 분화, 세포사, 적혈구의 생산 촉진, 적혈구,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단구·대식세포, 비만 세포, 거핵구 전구 세포의 증식 지지, 호중구, 단구·대식세포, B 세포 또는 T 세포의 유주(遊走) 촉진, 흉선 세포의 증식 또는 세포사, 지방 세포의 분화 억제, 천연 킬러 세포의 증식 또는 세포사, 조혈 간세포의 증식 또는 세포사, 간세포 및 각종 조혈 전구 세포의 증식 억제, 간엽계 간세포로부터의 골아 세포, 연골 세포에의 분화 촉진 또는 증식, 세포사, 혹은 파골 세포의 활성화나 단구에서 파골 세포로의 분화 촉진에 의한 골 흡수의 촉진 작용을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만으로, 또 리간드 수용체 사이의 결합을 통해, 혹은 다른 분자와 상승적으로 작용함으로써 갖는다고 생각된다.
또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신경계에도 작용하는 것이 예측되기 때문에, 각종 신경 전달 물질 작동성 신경 세포에의 분화 및 이들의 생존 유지 또는 세포사, 그리아 세포의 증식 촉진 또는 세포사, 신경 돌기의 신전(伸展), 신경절 세포의 생존 유지 또는 세포사, 성상세포의 증식이나 분화 촉진 또는 세포사, 말초 신경의 증식이나 생존 유지, 세포사, 스완 세포의 증식 또는 세포사, 운동 신경의 증식 또는 생존 유지, 세포사의 작용도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초기 배의 발생 과정에 있어서, 외배엽 유도 작용에 의한 표피, 뇌, 등뼈, 신경의 기관 형성, 중배엽 유도 작용에 의한 배색(背索) 결합 조직(뼈, 근육, 힘줄), 혈구 세포, 심장, 신장, 생식소의 기관 형성 혹은 내배엽 유도 작용에 의한 소화기계 장기(위, 창자, 간장, 췌장), 호흡기계(폐, 기관)의 형성에 촉진적 또는 억제적으로 작용한다고 생각되는 동시에, 생체에 있어서도 상기 기관의 증식 혹은 증식 억제 작용을 갖는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그 자체로, 면역계 또는 신경계 혹은 골대사 기능의 저하 또는 항진에 관한 질환, 또는 조혈계 세포의 발육 부전 또는 이상 증식, 예컨대, 염증성 질환(류마티즘, 궤양성 대장염 등), 골수 이식후의 조혈 간세포의 감소증, 암, 백혈병에 대한 방사선 조사 또는 화학 요법제 투여후의 백혈구, 혈소판, B 세포 또는 T 세포의 감소증, 빈혈, 감염증, 암, 백혈병, AIDS, 골대사 이상(골다공증 등), 각종 변성 질환(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등) 혹은 신경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약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기대된다.
또,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외배엽, 중배엽 또는 내배엽에서 유래하는 기관의 분화 또는 증식 작용을 갖는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각 기관(표피, 뼈, 근육, 힘줄, 심장, 신장, 위, 창자, 간장, 췌장, 폐, 기관 등)의 조직 수복제로서 이용되는 것도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의 폴리클로날 항체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이용하여, 생체에 있어서의 그 폴리펩티드의 정량을 행할 수 있어, 이에 의해 그 폴리펩티드와 질환과의 관계 연구 혹은 질환의 진단 등에 이용할 수 있다. 폴리클로날 항체 및 모노클로날 항체는 그 폴리펩티드 혹은 그 단편을 항원으로서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작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바람직하게는 그 세포밖 도메인의 폴리펩티드)를 이용함으로써, 예컨대 친화 컬럼을 제작하여, 본 폴리펩티드와 결합하는 이미 알려진 또는 미지의 단백질(리간드)의 동정, 정제 또는 유전자 클로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바람직하게는 그 막 관통 영역 또는 세포내 도메인의 폴리펩티드)를 이용하여, 예컨대 웨스트-웨스턴법에 의해, 또는 그 cDNA(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펩티드의 막 관통 영역 또는 세포내 도메인을 암호화하는 cDNA)를 이용하여, 예컨대 효모2-하이브리드법에 의해 상기 폴리펩티드와 세포질 내에서 상호 작용하는 하류의 시그널 전달 분자의 동정, 유전자 클로닝을 행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이용함으로써, 본 폴리펩티드 수용체 작용물질, 길항물질 및 수용체-시그널 전달 분자 사이의 저해제 등의 스크리닝을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cDNA는 많은 유용성이 기대되는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생산할 때의 중요하고 또 필수적인 주형이 될 뿐만 아니라, 유전병의 진단이나 치료(유전자 결손증의 치료 또는 안티센스 cDNA(mRNA)에 의해서 폴리펩티드의 발현을 정지시킴에 따른 치료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cDNA를 프로브로 하여 게놈(genomic) cDNA를 분리할 수 있다. 같은 식으로, 본 발명 cDNA와 상동성이 높은 인간의 관련 폴리펩티드의 유전자, 또 마우스 이외의 생물에 있어서의 본 발명 폴리펩티드와 상동성이 높은 폴리펩티드의 유전자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의약품에의 적용]
상기한 질환에 적응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혹은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에 대한 항체는 통상, 전신적 또는 국소적으로, 일반적으로는 경구 또는 비경구의 형태로 투여한다. 경구 투여, 정맥내 투여 및 뇌실내 투여가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연령, 체중, 증상, 치료 효과, 투여 방법, 처리 시간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성인 1인당 1회 100 ㎍ 내지 100 mg의 범위에서, 1일 1회 내지 수회 경구 투여하거나, 또는 성인 1인당 1회 10 ㎍ 내지 100 mg의 범위에서, 1일 1회 내지 수회 비경구 투여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투여량은 여러 가지의 조건에 따라 변동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한 범위를 넘어서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을 투여할 때에는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조성물, 액체 조성물 및 그 밖의 조성물, 비경구 투여를 위한 주사제, 외용제, 좌제 등으로서 이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조성물에는 정제, 환제, 캡슐제, 산제, 과립제 등이 포함된다. 캡슐에는 연질 캡슐 및 경질 캡슐이 있다.
이러한 고체 조성물에 있어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물질이, 적어도 하나의 불활성 희석제(예컨대, 락토스, 만니톨, 글루코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미결정 셀룰로오스,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든,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등)와 혼합된다.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불활성인 희석제 이외의 첨가물, 예컨대 윤활제(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 붕괴제(섬유소글리콜산칼슘 등), 안정화제(인간 혈청 알부민, 락토스 등), 용해 보조제(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등)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정제 또는 환제는 필요에 따라 백당, 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등의 위용성 혹은 장용성 필름으로 피막하더라도 좋고, 또 2 이상의 층으로 피복해도 좋다. 또한 젤라틴과 같은 흡수될 수 는 물질의 캡슐도 포함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탁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엘릭시르제 등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불활성 희석제(예컨대, 정제수, 에탄올 등)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조성물은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 습윤제, 현탁제와 같은 보조제, 감미제, 풍미제, 방향제, 방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경구 투여를 위한 그 밖의 조성물로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며, 그 자체 공지의 방법에 의해 처방되는 스프레이제가 포함된다. 이 조성물은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 아황산수소나트륨과 같은 안정제와 등장성을 부여하는 안정화제, 염화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혹은 시트르산과 같은 등장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스프레이제의 제조 방법은 예컨대, 미국 특허 제2,868,691호 및 미국 특허 제3,095,355호 명세서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주사제로는 무균의 수성 또는 비수성의 용액제, 현탁제, 유탁제를 포함한다. 수성 또는 비수성의 용액제, 현탁제로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활성 물질이, 적어도 하나의 불활성인 희석제와 혼합된다. 수성의 희석제로는 예컨대 주사용 증류수 및 생리 식염수가 있다. 비수성의 희석제로는 예컨대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유, 에탄올과 같은 알콜류, 폴리솔베이트 80(등록 상표) 등이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방부제, 습윤제, 유화제, 분산제, 안정화제(예컨대, 인간 혈청 알부민, 락토스 등), 용해 보조제(예컨대,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등)과 같은 보조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자들은 ES 세포의 분화 유도시에 생산되어, 초기 발생 및 초기 조혈에 관여하는 신규 분비 단백질을 발견하기 위해, SST법을 이용하여 예의 검토했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배반포기의 다능성 분화능을 갖는 내부 세포괴에서 유래하는 세포인 ES 세포로부터 혈구 세포로 분화 유도를 행하는 배양계(T. Nakano, et. al., Seience, 265, 1098-1101, 1994 참조)에 착안하여, 분비 단백질이나 막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클로닝할 수 있는 SST와 조합하여, OHP106이라 명명된 신규 인자(폴리펩티드) 및 이들을 암호화하는 cDNA, 나아가 신규 OHP106 관련 인자군 및 이들을 암호화하는 cDNA를 발견하는 데에 성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핵산 서열 데이타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기지의 핵산 서열에 대하여 BLASTN 및 FASTA에 의해, 또 아미노산 서열 데이타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기지의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하여 BLASTX, BLASTP 및 FASTA에 의해 검색한 결과,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마우스 OHP106 및 그것을 암호화하는 핵산 서열과 일치하는 서열은 없었다. 또, 소수성 플롯에 의한 해석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막 관통 영역을 갖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신규의 분비 단백질임이 판명되었다.
즉, 본 발명은
(1) 서열 번호 1, 4, 7, 10 또는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폴리펩티드,
(2) 상기 (l)에 기재한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cDNA,
(3) 서열 번호 2, 5, 8, 11 또는 14로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갖는 cDNA,
(4) 서열 번호 3, 6, 9, 12 또는 l5 중에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갖는 cDNA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중, 특별히 기재가 없으면, Molecular Cloning(Sambrook, J., Fritsh, E.F. 및 Maniatis. T. 저서,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에서 1989년에 발간) 또는 Current Protocol in Molecular Biology(F. M. Ausubel등 편저, John Wiley & Sons, Inc.에서 발간)의 기재에 준하여 행했다. 키트 등의 상품을 사용한 경우에는 거기에 첨부된 사용 방법에 따라서 행했다.
[세포의 조제]
처음에 마우스 ES(Embryonic Stem) 세포주 D3(T. C. Doetschman. et. al., J. Embryol. Exp. Morphol., 87, 27. 1985 참조)을 DMEM, 15% FCS, LIF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마이토마이신 C 처리한 Embryonic Fibroblast 세포 상에서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여 배양을 행했다. 10cm 디쉬 내에 전면배양한 op/op 신생 마우스 두개관에서 유래하는 스트로마 세포주 OP9 세포(H. Kodama, et. al., Exp. Hematol, 22, 979-984, 1994 참조) 상에 트립신 처리하여 단일하게 만든 ES 세포 1×105개/웰을 균일하게 되도록 감아, a-MEM, 20% FCS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37℃, 5% CO2로 배양을 행하여, 혈액 세포에의 분화 유도를 행했다(T. Nakano, et. al., Science, 265, 1098-1101, 1994 참조). 2일째에 배양액을 반량 교환한 후, 5일째에 모든 세포를 회수했다.
[poly(A)+RNA의 조제]
TRIzol 시약(TRIzol Reagent. 등록 상표. GIBCOBRL사에서 판매)을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여, 0ligotex-dT30〈Super〉(등록 상표, 다까라슈조에서 판매)를 이용하여 poly(A)+RNA를 정제했다.
[포유 동물 세포 시그널 서열 트랩(SST) cDNA 라이브러리의 조제]
이 mRNA를 주형으로 하여 SalI 부위를 연결한 랜덤 9량체: 5'-GAGACGGTAATACGATCGACAGTAGGTCGACNNNNNNNNN-3'(서열 번호 16)을 프라이머로 하여 역전사 효소 SuperScript(등록 상표, GIBC0BRL에서 판매)를 이용하여 1본쇄 cDNA를 합성하여, Gublerr & Hoffman 등의 방법에 의해 2본쇄 cDNA를 합성했다. 이어서 DNA 결찰 키트 Ver.2(ligation kit Ver.2, 상품명, 다까라슈조에서 판매)를 이용하여 2본쇄 cDNA의 양단에 EcoRI 어댑터: 5'-CCGCGAATTCTGACTAACTGATT-3'(서열 번호 17) 및 3'-CAGGCGCTTAAGACTGATTGACTAA-5'(서열 번호 18)를 결합한 후, 아가로스 전기 영동에 의해 400∼600 bp의 cDNA를 잘라내어 분획하고, 정방향 프라이머: 5'-CCGCGAATTCTGACTAACTGATT-3'(서열 번호 19)과 역방향 프라이머: 5'-GACGGTAATACGATCGACAGTAGG-3'(서열 번호 20)을 이용하여, 95℃에서 30초, 55℃에서 1분, 72℃에서 1분, 25 사이클의 조건으로 PCR를 행하여, cDNA를 증폭했다. 그 cDNA를 EcoRI와 SalI로 분해한 후, 아가로스 전기 영동에 의해 400∼600 bp의 cDNA를 잘라내어 분획하고, pUC-SRa-Tac(국제 공개 번호 96/01843호 명세서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음)의 EcoRI/SalI 부위에 연결하여, 대장균 DH5a로 형질 전환시켜, 동물 세포 SST용의 cDNA 라이브러리를 얻었다.
[SST에 의한 스크리닝]
일본 특허 공개 평6-315380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행했다. 상기 라이브러리의 콜로니 4,500개를 125 푸울(약 36 콜로니/푸울)로 세분화했다. 각 푸울마다 플러스미드를 조제하여, DEAE-덱스트란(dextran)법을 이용하여 Cos7 세포로 형질감염시켰다. 48 시간후, 세포를 디쉬로부터 떼어내어, 플루오레세인·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 라벨링한 항인간 Tac 항체(FITC-conjugated Monoclonal Mouse AntiHuman Interleukin-2 Receptor Clone ACT-1. DAKO에서 판매)를 이용하여 세포 표면의 Tac에 대한 형광 염색을 행하고, 형광 현미경하에서 양성을 보이는 푸울을 선택했다. 또한 양성 푸울의 콜로니를 세분화하여, 단일 클론을 얻을 때까지 같은 방법을 반복했다.
[SST 양성 클론의 염기 서열의 결정]
이어서 각 양성 클론의 삽입체 cDNA의 염기 서열을 결정했다. 염기 서열의 결정은 DNA 서열 결정 키트(DNA Sequencing kit)(Dye Terminator Cycle Sequencing Ready Reaction)(상품명, Applied Biosystems Inc.에서 판매)를 이용한 형광 다이 터미네이터 사이클 서열법으로 반응을 행하여, 자동 cDNA 서열기 373(Applied Biosystems Inc.)로 판독하였다(이하, 염기 서열 결정은 전부 이 방법으로 행함). 얻어진 염기 서열에 관해서 데이타 베이스와의 상동성 검색을 행한 결과, 시그널 서열을 갖는 기지의 단백질이 7 클론(Apolipoprotein E, Osteopontin 등의 분비 단백질과 PTPase-kappa 등의 막 단백질), 신규 클론이 17 클론 있는 것이 분명해졌다.
[전장 cDNA의 클로닝 및 염기 서열의 결정]
신규 17개 클론 중에서 OHP106이라 명명된 삽입체 길이 444 bp의 클론에 착안하여, 3'RACE(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법에 의해 전장 cDNA를 단리했다. 3'RACE법은 3'RACE 시스템(상품명, GIBCOBRL사에서 판매)의 방법에 준하여 행했다. 상기한 전체 mRNA를 주형으로 하여 3'RACE 어댑터 프라이머: 5'-GGCCACGCGTCGACTAC(T)17-3'(서열 번호 21)을 이용하여 1본쇄 cDNA를 합성했다. 이어서 1본쇄 cDNA를 주형으로 하여 OHP106 F2 프라이머: 5'-CTCCCATATTGACTGAATCTGAGAAGC-3'(서열 번호 22)과 유니버셜 암플리피케이션(Universal Amplification) 프라이머: 5'-GGCCACGCGTCGACTAC-3'(서열 번호 23)을 이용하여 95℃에서 30초, 60℃에서 30초, 72℃에서 1분, 30 사이클의 조건으로 PCR를 행했다. 또한 이 PCR 용액을 주형으로 하여 OHP106 F1 프라이머: 5'-AGTGGTTCTGCAACTCCTCC-3'(서열 번호 24)와 Universal Amplification 프라이머: 5'-GGCCACGCGTCGACTAC-3'(서열 번호 25)으로 재차 같은 조건으로 PCR를 행하여, 약530 bp의 cDNA가 특이적으로 증폭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 cDNA를 pGEM-T(상품명, Promega에서 판매)에 연결하여, 대장균 DH5a로 형질 전환하여 플러스미드를 조제했다. 이어서 5' 말단과 3' 말단의 염기 서열을 결정하여, 5'측에 F1 프라이머의 서열과 3'측에 poly(A)+서열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계속해서 전장의 염기 서열을 결정하여, 서열 번호 3 중에 표시되는 염기 서열을 얻었다. 또한 오픈 리딩 프레임을 결정하여, 서열 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번역 영역 및 서열 번호 1로 표시되는 추정 아미노산 서열을 얻었다.
핵산 서열 데이타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이미 알려진 핵산 서열에 대하여 BLASTN 및 FASTA에 의해, 또 아미노산 서열 데이타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기지의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하여 BLASTX, BLASTP 및 FASTA에 의해 검색한 결과,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마우스 OHP106 및 그것을 암호화하는 핵산 서열과 일치하는 서열은 없었다. 또한 얻어진 아미노산 서열의 소수성 플롯에 의한 해석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막 관통 영역을 갖지 않는 것이 예상되었다. 이들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는 신규의 분비 단백질임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BLASTX, BLASTP 및 FASTA는 클론, 마우스 OHP106(서열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25∼l53 사이의 영역)과 닭의 백혈병 바이러스에서 유래하는 암 유전자 myb에 의해서 발현이 유도되는 Chicken MD-1(Pir Accession S42854의 아미노산 서열 28∼154 사이의 영역)(O. Burk et. al., EMB0 J, 10, 3713-3719 참조)의 사이에 의미 있는 상동성이 있음을 나타냈다. 이들의 상동성에 기초하여, 마우스 OHP106은 적어도 Chicken MD-1과 관련된 활성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던 해석]
미분화 상태의 ES 세포 및 상기한 분화 유도를 행한 ES 세포로부터 조제한 poly(A)+RNA를 l% 아가로스 전기 영동에 걸어, 나일론막으로 전달했다. 이어서 랜덤 프라이머 DNA 라벨링 키트(Random Primer DNA Labeling kit)(상품명, 다까라슈조에서 판매)를 이용하여 마우스 OHP106 cDNA를32P-dCTP로 라벨하고, 50% 포름아미드, 5×SSPE 0.1% SDS, 2×Denhaldts, 0.1 mg/ml 연어 정액(salmon sperm) DNA 중 42℃에서 15시간 나일론막과 하이브리드화시켰다. 0.2×SSC, 0.1% SDS, 65℃에서 프리의32P-dCTP를 제거한 후, 48시간 노광하여, BAS2000(후지 필름)을 이용하여 해석을 행했다. 그 결과, 분화 유도를 행한 ES 세포의 mRNA에만 600 bp 부근에 밴드가 인정되었다. 이로부터 서열 번호 3 중에 나타내어진 cDNA는 거의 전장이라는 것과 마우스 OHP106의 mRNA는 분화 유도시에 발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우스 OHP106 관련 유전자의 염기 서열의 결정]
마우스 OHP106의 염기 서열의 오픈 리딩 프레임 내에 22 bp의 삽입 서열을 갖는 마우스 신장 cDNA 라이브러리에서 유래하는 클론(cloneID 520548)을 IMAGE Consortium에서 구입하여, 마우스 OHP106K라 명명했다. 마우스 OHP106과 같은 방법으로 전체 염기 서열을 결정하여, 서열 번호 6 중에 표시되는 서열을 얻었다. 또한 오픈 리딩 프레임을 결정하여, 서열 번호 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번역 영역 및 서열 번호 4로 표시되는 추정 아미노산 서열을 얻었다.
또한 마우스 OHP106의 염기 서열의 일부와 상동성을 갖는 인간 임신 자궁 cDNA 라이브러리에서 유래하는 클론(CloneID 489463)을 IMAGE Consortium사에서 구입하여, 인간 OHP106이라 명명했다. 마우스 OHP106과 같은 방법으로 전체 염기 서열을 결정하여, 서열 번호 9로 표시되는 서열을 얻었다. 또한 오픈 리딩 프레임을 결정하여, 서열 번호 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번역 영역 및 서열 번호 7로 표시되는 추정 아미노산 서열을 얻었다.
또한 마우스 OHP106의 아미노산 서열의 일부와 의미 있는 상동성을 갖는 마우스 13.5, 14.5일 태아 cDNA 라이브러리에서 유래하는 클론(ClineID 402964) 및 인간 태아 간장, 신장 cDNA 라이브러리에서 유래하는 클론(CloneID 111816)을 IMAGE Consortium사에서 구입하여, 각각 마우스 OHP106H 및 인간 OHP106H이라 명명했다. 마우스 OHP106과 같은 방법으로 전체 염기 서열을 결정하여, 서열 번호 12 중 및 15 중에 표시되는 서열을 얻었다. 더욱이 오픈 리딩 프레임을 결정하여, 서열 번호 11 및 1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번역 영역 및 서열 번호 10 및 13으로 표시되는 추정 아미노산 서열을 얻었다. 상동성 검색의 결과, OHP106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영역은 마우스-인간 사이에 있어서 cDNA 레벨에서 76%, 아미노산 레벨에서 64% 일치하고 있었다. 또한 OHP106H의 마우스-인간 사이의 상동성은 cDNA 레벨에서 77%, 아미노산 레벨에서 67% 일치하고 있었다. 또한 인간 OHP106-OHP106H의 상동성은 cDNA 레벨에서 49%, 아미노산 레벨에서 23% 일치하고 있었다.
[포유 동물 세포를 이용한 마우스 OHP106 융합 단백질의 발현]
OHP106의 번역 개시점 ATG를 포함하는 XbaI-마우스 OHP106F 프라이머: 5'-CGTCTAGACGGAGATATTAAATCATGTTGC-3'(서열 번호 26)과 번역 종지점 TGA를 포함하는 XbaI-FLAG-마우스 OHP106H 프라이머: 5'-CGTCTAGATCACTTGTCATCGTCGTCCTTGTAGTCATTGACATCACGGCGGTGAATGAT-3'(서열 번호, 27) 또는 동일한 XbaI-마우스 OHP106F 프라이머와 번역 종지점 TGA를 포함하는 XbaI-6His-마우스 OHP106H 프라이머: 5'-CGTCTAGATCAGTGATGGTGATGGTGATGATTGACATCACGGCGGTGAATGAT-3'(서열 번호 28)의 조합으로 3'RACE시에 조제한 1본쇄 c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를 행하여, 증폭된 cDNA를 XbaI로 분해한 후, 포유 동물 세포용 발현 벡터 pEF-BOS(S. Mizushima et. al. Nucleic Acid Res., 18. 5322)의 XbaI 부위에 연결하여, OHP106 단백질의 C 말단에 FLAG(AspTyrLysAspAspAspAspLys로 이루어지는 펩티드) 또는 6개의 His 잔기를 태그로서 붙인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벡터를 구축했다. 플러스미드를 조제하여 삽입체 cDNA의 염기 서열에 이변이 없음을 확인했다.
얻어진 플러스미드를 리포펙틴(상품명, CIBC0BRL에서 판매)를 이용하여 Cos7 세포에 도입했다. 24시간후 무혈청 배지로 교환하여 72시간 배양을 행했다. 세포 상청을 회수한 후 센트리플렙 10(상품명, Amicon사에서 판매)으로 약 10배에 농축하여, SDS-PACE를 행했다. 단백질을 아크릴아미드겔에서 이모비론-P(PVDF막, 상품명, 미리포아사에서 판매)로 전달하고, FLAG 융합 단백질은 항FLAG M2 모노클로날 항체(이스트만 코댁사에서 판매)와 서양 산규 페록시다아제 결합 프로틴 A를 이용하고, 또 6×His 잔기 융합 단백질은 서양 산규 페록시다아제 결합 Ni-NTA(상품명, QIAGEN에서 판매)를 이용하여 발색시켜, 마우스 OHP106 융합 단백질의 발현을 검출했다.
[포유 동물 세포를 이용한 마우스 OHP106 및 그 관련 유전자(이하 마우스 OHP106 등이라 약기함)의 단백질 발현]
얻어진 마우스 OHP106 등의 전장 cDNA를 포유 동물 세포용 발현 벡터 pED6(Kaufman et al., Nucleic Acids Res. 19, 4485-4490(1991) 참조)의 XhoI(또는 EcoRI)-NotI 부위에 연결하여, 마우스 OHP106 등의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벡터를 구축했다. 얻어진 플라스미드를 리포펙틴(상품명, GIBCOBRL에서 판매)을 이용하여 Cos7 세포에 도입했다. 24 시간 후에 Met 및 Cys가 없는 배지로 교환한 후,35S-Met 및35S-Cys를 첨가하여 5시간 배양했다. 세포 상청을 회수한 후, 센트리콘 10(상품명, Amicon에서 판매)으로 약 10배로 농축하여, SDS-PAGE를 행했다. 아크릴아미드겔을 건조시킨 후, 마우스 OHP106 등의 단백질 발현을 BAS2000을 이용하여 검출했다. 즉, 이미징 플레이트(후지(Fuji) 이미징·플레이트 TYPE-III)에 노광하여, 이미징 분석기(후지(Fuji1) 이미징·분석기 BAS2000 시스템)로 판독, 해석하여, 프린터(Fuji Pictrography 3000)로 타출했다. 일례로서 마우스 OHP106H의 발현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벡터 pED6만을 도입한 Cos7 세포와 비교하여 마우스 OHP106H cDNA를 도입한 Cos7 세포의 상청에만 20 kDa 부근에 밴드가 인정되어, 마우스 OHP106H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quence Listing〈110〉 ONO Pharmaceutical Co., Ltd.
〈120〉 Novel polypeptide, cDNA coding the polypeptide and use thereof
〈130〉 ONF-2793PCT
〈150〉 JP 9-274673
〈151〉 1997-10-7
〈160〉 28
〈210〉 1
〈211〉 160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
Met Leu Pro Phe Ile Leu Phe Ser Thr Leu Leu Ser Pro Ile Leu Thr
-16 -15 -10 -5
Glu Ser Glu Lys Gln Gln Trp Phe Cys Asn Ser Ser Asp Ala Ile Ile
1 5 10 15
Ser Tyr Ser Tyr Cys Asp His Leu Lys Phe Pro Ile Ser Ile Ser Ser
20 25 30
Glu Pro Cys Ile Arg Leu Arg Gly Thr Asn Gly Phe Val His Val Glu
35 40 45
Phe Ile Pro Arg Gly Asn Leu Lys Tyr Leu Tyr Phe Asn Leu Phe Ile
50 55 60
Ser Val Asn Ser Ile Glu Leu Pro Lys Arg Lys Glu Val Leu Cys His
65 70 75 80
Gly His Asp Asp Asp Tyr Ser Phe Cys Arg Ala Leu Lys Gly Glu Thr
85 90 95
Val Asn Thr Ser Ile Pro Phe Ser Phe Glu Gly Ile Leu Phe Pro Lys
100 105 110
Gly His Tyr Arg Cys Val Ala Glu Ala Ile Ala Gly Asp Thr Glu Glu
115 120 125
Lys Leu Phe Cys Leu Asn Phe Thr Ile Ile His Arg Arg Asp Val Asn
130 135 140
〈210〉 2
〈211〉 480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2
atgttgccat ttattctctt ttcgacgctg ctttctccca tattgactga atctgagaag 60
caacagtggt tctgcaactc ctccgatgca attatttcct acagttattg tgatcacttg 120
aaattcccta tttcaattag ttctgaaccc tgcataagac tgaggggaac caatggattt 180
gtgcatgttg agttcattcc aagaggaaac ttaaaatatt tatatttcaa cctattcatc 240
agtgtcaact ccatagagtt gccgaagcgt aaggaagttc tgtgccatgg acatgatgat 300
gactattctt tttgcagagc tctgaaagga gagactgtga atacatcaat accattctct 360
ttcgagggaa tactatttcc taagggccat tacagatgtg ttgcagaagc tattgctggg 420
gatactgaag aaaagctctt ctgtttgaat ttcaccatca ttcaccgccg tgatgtcaat 480
〈210〉 3
〈211〉 608
〈212〉 DNA
〈213〉 Mus musculus
〈220〉
〈221〉 CDS
〈222〉 (23)..(502)
〈220〉
〈221〉 sig peptide
〈222〉 (23)..(70)
〈220〉
〈221〉 mat peptide
〈222〉 (71)..(502)
〈400〉 3
aaagtatcgg agatattaaa tc atg ttg cca ttt att ctc ttt tcg acg ctg 52
Met Leu Pro Phe Ile Leu Phe Ser Thr Leu
-16 -15 -10
ctt tct ccc ata ttg act gaa tct gag aag caa cag tgg ttc tgc aac 100
Leu Ser Pro Ile Leu Thr Glu Ser Glu Lys Gln Gln Trp Phe Cys Asn
-5 1 5 10
tcc tcc gat gca att att tcc tac agt tat tgt gat cac ttg aaa ttc 148
Ser Ser Asp Ala Ile Ile Ser Tyr Ser Tyr Cys Asp His Leu Lys Phe
15 20 25
cct att tca att agt tct gaa ccc tgc ata aga ctg agg gga acc aat 196
Pro Ile Ser Ile Ser Ser Glu Pro Cys Ile Arg Leu Arg Gly Thr Asn
30 35 40
gga ttt gtg cat gtt gag ttc att cca aga gga aac tta aaa tat tta 244
Gly Phe Val His Val Glu Phe Ile Pro Arg Gly Asn Leu Lys Tyr Leu
45 50 55
tat ttc aac cta ttc atc agt gtc aac tcc ata gag ttg ccg aag cgt 292
Tyr Phe Asn Leu Phe Ile Ser Val Asn Ser Ile Glu Leu Pro Lys Arg
60 65 70
aag gaa gtt ctg tgc cat gga cat gat gat gac tat tct ttt tgc aga 340
Lys Glu Val Leu Cys His Gly His Asp Asp Asp Tyr Ser Phe Cys Arg
75 80 85 90
gct ctg aaa gga gag act gtg aat aca tca ata cca ttc tct ttc gag 388
Ala Leu Lys Gly Glu Thr Val Asn Thr Ser Ile Pro Phe Ser Phe Glu
95 100 105
gga ata cta ttt cct aag ggc cat tac aga tgt gtt gca gaa gct att 436
Gly Ile Leu Phe Pro Lys Gly His Tyr Arg Cys Val Ala Glu Ala Ile
110 115 120
gct ggg gat act gaa gaa aag ctc ttc tgt ttg aat ttc acc atc att 484
Ala Gly Asp Thr Glu Glu Lys Leu Phe Cys Leu Asn Phe Thr Ile Ile
125 130 135
cac cgc cgt gat gtc aat tagaatatgc tgaatacaca cacacacaca 532
His Arg Arg Asp Val Asn
140
cacacacaca cacacatatg tatatatata tttttttacc ccaaaaaaaa aaaaaaaaaa 592
aaaaaaaaaa aaaaaa 608
〈210〉 4
〈211〉 114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4
Met Leu Pro Phe Ile Leu Phe Ser Thr Leu Leu Ser Pro Ile Leu Thr
-16 -15 -10 -5
Glu Ser Glu Lys Gln Gln Trp Phe Cys Asn Ser Ser Asp Ala Ile Ile
1 5 10 15
Ser Tyr Ser Tyr Cys Asp His Leu Lys Phe Pro Ile Ser Ile Ser Ser
20 25 30
Glu Pro Cys Ile Arg Leu Arg Gly Thr Asn Gly Phe Val His Val Glu
35 40 45
Phe Ile Pro Arg Gly Asn Leu Lys Tyr Leu Tyr Phe Asn Leu Phe Ile
50 55 60
Ser Val Asn Ser Ile Glu Leu Pro Lys Arg Lys Glu Val Leu Cys His
65 70 75 80
Gly His Asp Asp Asp Tyr Ser Phe Cys Arg Ala Leu Lys Gly Gly Tyr
85 90 95
Ala Ile
〈210〉 5
〈211〉 342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5
atgttgccat ttattctctt ttcgacgctg ctttctccca tattgactga atctgagaag 60
caacagtggt tctgcaactc ctccgatgca attatttcct acagttattg tgatcacttg 120
aaattcccta tttcaattag ttctgaaccc tgcataagac tgaggggaac caatggattt 180
gtgcatgttg agttcattcc aagaggaaac ttaaaatatt tatatttcaa cctattcatc 240
agtgtcaact ccatagagtt gccgaagcgt aaggaagttc tgtgccatgg acatgatgat 300
gactattctt tttgcagagc tctgaaagga ggatatgcta tt 342
〈210〉 6
〈211〉 630
〈212〉 DNA
〈213〉 Mus musculus
〈220〉
〈221〉 CDS
〈222〉 (23)..(364)
〈220〉
〈221〉 sig peptide
〈222〉 (23)..(70)
〈220〉
〈221〉 mat peptide
〈222〉 (71)..(364)
〈400〉 6
aaagtatcgg agatattaaa tc atg ttg cca ttt att ctc ttt tcg acg ctg 52
Met Leu Pro Phe Ile Leu Phe Ser Thr Leu
-16 -15 -10
ctt tct ccc ata ttg act gaa tct gag aag caa cag tgg ttc tgc aac 100
Leu Ser Pro Ile Leu Thr Glu Ser Glu Lys Gln Gln Trp Phe Cys Asn
-5 1 5 10
tcc tcc gat gca att att tcc tac agt tat tgt gat cac ttg aaa ttc 148
Ser Ser Asp Ala Ile Ile Ser Tyr Ser Tyr Cys Asp His Leu Lys Phe
15 20 25
cct att tca att agt tct gaa ccc tgc ata aga ctg agg gga acc aat 196
Pro Ile Ser Ile Ser Ser Glu Pro Cys Ile Arg Leu Arg Gly Thr Asn
30 35 40
gga ttt gtg cat gtt gag ttc att cca aga gga aac tta aaa tat tta 244
Gly Phe Val His Val Glu Phe Ile Pro Arg Gly Asn Leu Lys Tyr Leu
45 50 55
tat ttc aac cta ttc atc agt gtc aac tcc ata gag ttg ccg aag cgt 292
Tyr Phe Asn Leu Phe Ile Ser Val Asn Ser Ile Glu Leu Pro Lys Arg
60 65 70
aag gaa gtt ctg tgc cat gga cat gat gat gac tat tct ttt tgc aga 340
Lys Glu Val Leu Cys His Gly His Asp Asp Asp Tyr Ser Phe Cys Arg
75 80 85 90
gct ctg aaa gga gga tat gct att tagaaaatat gagactgtga atacatcaat 394
Ala Leu Lys Gly Gly Tyr Ala Ile
95
accattctct ttcgagggaa tactatttcc taagggccat tacagatgtg ttgcagaagc 454
tattgctggg gatactgaag aaaagctctt ctgtttgaat ttcaccatca ttcaccgccg 514
tgatgtcaat tagaatatgc tgaatacaca cacacacaca cacacacaca cacacatatg 574
tatatatata tttttttacc ccaaaaaaaa aaaaaaaaaa aaaaaaaaaa aaaaaa 630
〈210〉 7
〈211〉 16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7
Met Leu Pro Phe Leu Phe Phe Ser Thr Leu Phe Ser Ser Ile Phe Thr
-16 -15 -10 -5
Glu Ala Gln Lys Gln Tyr Trp Val Cys Asn Ser Ser Asp Ala Ser Ile
1 5 10 15
Ser Tyr Thr Tyr Cys Asp Lys Met Gln Tyr Pro Ile Ser Ile Asn Val
20 25 30
Asn Pro Cys Ile Glu Leu Lys Gly Ser Lys Gly Leu Leu His Ile Phe
35 40 45
Tyr Ile Pro Arg Arg Asp Leu Lys Gln Leu Tyr Phe Asn Leu Tyr Ile
50 55 60
Thr Val Asn Thr Met Asn Leu Pro Lys Arg Lys Glu Val Ile Cys Arg
65 70 75 80
Gly Ser Asp Asp Asp Tyr Ser Phe Cys Arg Ala Leu Lys Gly Glu Thr
85 90 95
Val Asn Thr Thr Ile Ser Phe Ser Phe Lys Gly Ile Lys Phe Ser Lys
100 105 110
Gly Lys Tyr Lys Cys Val Val Glu Ala Ile Ser Gly Ser Pro Glu Glu
115 120 125
Met Leu Phe Cys Leu Glu Phe Val Ile Leu His Gln Pro Asn Ser Asn
130 135 140
〈210〉 8
〈211〉 480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8
atgttaccat ttctgttttt ttccaccctg ttttcttcca tatttactga agctcagaag 60
cagtattggg tctgcaactc atccgatgca agtatttcat acacctactg tgataaaatg 120
caatacccaa tttcaattaa tgttaacccc tgtatagaat tgaaaggatc caaaggatta 180
ttgcacattt tctacattcc aaggagagat ttaaagcaat tatatttcaa tctctatata 240
actgtcaaca ccatgaatct tccaaagcgc aaagaagtta tttgccgagg atctgatgac 300
gattactctt tttgcagagc tctgaaggga gagactgtga atacaacaat atcattctcc 360
ttcaagggaa taaaattttc taagggaaaa tacaaatgtg ttgttgaagc tatttctggg 420
agcccagaag aaatgctctt ttgcttggag tttgtcatcc tacaccaacc taattcaaat 480
〈210〉 9
〈211〉 539
〈212〉 DNA
〈213〉 Homo sapiens
〈220〉
〈221〉 CDS
〈222〉 (22)..(501)
〈220〉
〈221〉 sig peptide
〈222〉 (22)..(69)
〈220〉
〈221〉 mat peptide
〈222〉 (70)..(501)
〈400〉 9
aagctttgga gatattgaat c atg tta cca ttt ctg ttt ttt tcc acc ctg 51
Met Leu Pro Phe Leu Phe Phe Ser Thr Leu
-16 -15 -10
ttt tct tcc ata ttt act gaa gct cag aag cag tat tgg gtc tgc aac 99
Phe Ser Ser Ile Phe Thr Glu Ala Gln Lys Gln Tyr Trp Val Cys Asn
-5 1 5 10
tca tcc gat gca agt att tca tac acc tac tgt gat aaa atg caa tac 147
Ser Ser Asp Ala Ser Ile Ser Tyr Thr Tyr Cys Asp Lys Met Gln Tyr
15 20 25
cca att tca att aat gtt aac ccc tgt ata gaa ttg aaa gga tcc aaa 195
Pro Ile Ser Ile Asn Val Asn Pro Cys Ile Glu Leu Lys Gly Ser Lys
30 35 40
gga tta ttg cac att ttc tac att cca agg aga gat tta aag caa tta 243
Gly Leu Leu His Ile Phe Tyr Ile Pro Arg Arg Asp Leu Lys Gln Leu
45 50 55
tat ttc aat ctc tat ata act gtc aac acc atg aat ctt cca aag cgc 291
Tyr Phe Asn Leu Tyr Ile Thr Val Asn Thr Met Asn Leu Pro Lys Arg
60 65 70
aaa gaa gtt att tgc cga gga tct gat gac gat tac tct ttt tgc aga 339
Lys Glu Val Ile Cys Arg Gly Ser Asp Asp Asp Tyr Ser Phe Cys Arg
75 80 85 90
gct ctg aag gga gag act gtg aat aca aca ata tca ttc tcc ttc aag 387
Ala Leu Lys Gly Glu Thr Val Asn Thr Thr Ile Ser Phe Ser Phe Lys
95 100 105
gga ata aaa ttt tct aag gga aaa tac aaa tgt gtt gtt gaa gct att 435
Gly Ile Lys Phe Ser Lys Gly Lys Tyr Lys Cys Val Val Glu Ala Ile
110 115 120
tct ggg agc cca gaa gaa atg ctc ttt tgc ttg gag ttt gtc atc cta 483
Ser Gly Ser Pro Glu Glu Met Leu Phe Cys Leu Glu Phe Val Ile Leu
125 130 135
cac caa cct aat tca aat tagaataaat tgagtattta aaaaaaaaaa aaaaaaaa 539
His Gln Pro Asn Ser Asn
140
〈210〉 10
〈211〉 162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0
Met Asn Gly Val Ala Ala Ala Leu Leu Val Trp Ile Leu Thr Ser Pro
-19 -15 -10 -5
Ser Ser Ser Asp His Gly Ser Glu Asn Gly Trp Pro Lys His Thr Ala
1 5 10
Cys Asn Ser Gly Gly Leu Glu Val Val Tyr Gln Ser Cys Asp Pro Leu
15 20 25
Gln Asp Phe Gly Leu Ser Ile Asp Gln Cys Ser Lys Gln Ile Gln Ser
30 35 40 45
Asn Leu Asn Ile Arg Phe Gly Ile Ile Leu Arg Gln Asp Ile Arg Lys
50 55 60
Leu Phe Leu Asp Ile Thr Leu Met Ala Lys Gly Ser Ser Ile Leu Asn
65 70 75
Tyr Ser Tyr Pro Leu Cys Glu Glu Asp Gln Pro Lys Phe Ser Phe Cys
80 85 90
Gly Arg Arg Lys Gly Glu Gln Ile Tyr Tyr Ala Gly Pro Val Asn Asn
95 100 105
Pro Gly Leu Asp Val Pro Gln Gly Glu Tyr Gln Leu Leu Leu Glu Leu
110 115 120 125
Tyr Asn Glu Asn Arg Ala Thr Val Ala Cys Ala Asn Ala Thr Val Thr
130 135 140
Ser Ser
〈210〉 11
〈211〉 486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1
atgaatggtg tcgcagctgc cctccttgtg tggattctga cttctccgag cagcagtgac 60
catggcagcg aaaatggttg gcccaagcac acggcctgca acagtggggg cttggaagta 120
gtctaccaga gctgtgatcc cttacaggat tttggccttt ccattgacca gtgttccaag 180
cagatccaat caaatctcaa cattagattt ggcatcattc tgagacagga tatcagaaag 240
ctgtttctgg acataactct gatggcaaaa ggctcttcta ttctgaacta ctcctatccc 300
ctttgtgagg aggaccagcc caagttctca ttctgtggaa gaagaaaagg agaacagata 360
tactatgccg gccctgtcaa taaccctgga cttgatgttc cacagggaga atatcagctc 420
ttgctggaac tgtacaatga aaaccgtgct actgtggctt gtgccaatgc cactgtcacc 480
tcctcc 486
〈210〉 12
〈211〉 996
〈212〉 DNA
〈213〉 Mus musculus
〈220〉
〈221〉 CDS
〈222〉 (91)..(576)
〈220〉
〈221〉 sig peptide
〈222〉 (91)..(147)
〈220〉
〈221〉 mat peptide
〈222〉 (148)..(576)
〈400〉 12
gcggcacgag gactccttca gggggaggac gagcttcgga ggtcttttta ttgggctggc 60
ttaccattgg gcacacacaa ccccctcgcc atg aat ggt gtc gca gct gcc ctc 114
Met Asn Gly Val Ala Ala Ala Leu
-19 -15
ctt gtg tgg att ctg act tct ccg agc agc agt gac cat ggc agc gaa 162
Leu Val Trp Ile Leu Thr Ser Pro Ser Ser Ser Asp His Gly Ser Glu
-10 -5 1 5
aat ggt tgg ccc aag cac acg gcc tgc aac agt ggg ggc ttg gaa gta 210
Asn Gly Trp Pro Lys His Thr Ala Cys Asn Ser Gly Gly Leu Glu Val
10 15 20
gtc tac cag agc tgt gat ccc tta cag gat ttt ggc ctt tcc att gac 258
Val Tyr Gln Ser Cys Asp Pro Leu Gln Asp Phe Gly Leu Ser Ile Asp
25 30 35
cag tgt tcc aag cag atc caa tca aat ctc aac att aga ttt ggc atc 306
Gln Cys Ser Lys Gln Ile Gln Ser Asn Leu Asn Ile Arg Phe Gly Ile
40 45 50
att ctg aga cag gat atc aga aag ctg ttt ctg gac ata act ctg atg 354
Ile Leu Arg Gln Asp Ile Arg Lys Leu Phe Leu Asp Ile Thr Leu Met
55 60 65
gca aaa ggc tct tct att ctg aac tac tcc tat ccc ctt tgt gag gag 402
Ala Lys Gly Ser Ser Ile Leu Asn Tyr Ser Tyr Pro Leu Cys Glu Glu
70 75 80 85
gac cag ccc aag ttc tca ttc tgt gga aga aga aaa gga gaa cag ata 450
Asp Gln Pro Lys Phe Ser Phe Cys Gly Arg Arg Lys Gly Glu Gln Ile
90 95 100
tac tat gcc ggc cct gtc aat aac cct gga ctt gat gtt cca cag gga 498
Tyr Tyr Ala Gly Pro Val Asn Asn Pro Gly Leu Asp Val Pro Gln Gly
105 110 115
gaa tat cag ctc ttg ctg gaa ctg tac aat gaa aac cgt gct act gtg 546
Glu Tyr Gln Leu Leu Leu Glu Leu Tyr Asn Glu Asn Arg Ala Thr Val
120 125 130
gct tgt gcc aat gcc act gtc acc tcc tcc tgagcatggt ctgcaaggaa 596
Ala Cys Ala Asn Ala Thr Val Thr Ser Ser
135 140
atgcacagta aactcaatct caggggaccc caaggtccct ggactcacct agctgcaaga 656
accactgata accaagagag gctttacaaa gaaatttctt gtgggtcact cttccgatct 716
tagctccagg gacagatgtt cccagaccca acagatgtaa taaaccctca aaaactatct 776
atttctgagg accctgagta gtcttgaagc cctattgtag tacctctcct tatgtaatta 836
cgtttcatca aagctacttc cttgcctgct ccttagcaac acttccttga agttgcctgg 896
gatgtaaaaa ataaaataaa ataaaataaa ataaaataaa ataaaataaa atgaaatgaa 956
aaataaataa aaaaaaaaaa aaaaaaaaaa aaaaaaaaaa 996
〈210〉 13
〈211〉 16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3
Met Lys Gly Phe Thr Ala Thr Leu Phe Leu Trp Thr Leu Ile Phe Pro
-20 -15 -10 -5
Ser Cys Ser Gly Gly Gly Gly Gly Lys Ala Trp Pro Thr His Val Val
1 5 10
Cys Ser Asp Ser Gly Leu Glu Val Leu Tyr Gln Ser Cys Asp Pro Leu
15 20 25
Gln Asp Phe Gly Phe Ser Val Glu Lys Cys Ser Lys Gln Leu Lys Ser
30 35 40
Asn Ile Asn Ile Arg Phe Gly Ile Ile Leu Arg Glu Asp Ile Lys Glu
45 50 55 60
Leu Phe Leu Asp Leu Ala Leu Met Ser Gln Gly Ser Ser Val Leu Asn
65 70 75
Phe Ser Tyr Pro Ile Cys Glu Ala Ala Leu Pro Lys Phe Ser Phe Cys
80 85 90
Gly Arg Arg Lys Gly Glu Gln Ile Tyr Tyr Ala Gly Pro Val Asn Asn
95 100 105
Pro Glu Phe Thr Ile Pro Gln Gly Glu Tyr Gln Val Leu Leu Glu Leu
110 115 120
Tyr Thr Glu Lys Arg Ser Thr Val Ala Cys Ala Asn Ala Thr Ile Met
125 130 135 140
Cys Ser
〈210〉 14
〈211〉 486
〈212〉 DNA
〈213〉 Homo sapiens
〈400〉 14
atgaagggtt tcacagccac tctcttcctc tggactctga tttttcccag ctgcagtgga 60
ggcggcggtg ggaaagcctg gcccacacac gtggtctgta gcgacagcgg cttggaagtg 120
ctctaccaga gttgcgatcc attacaagat tttggctttt ctgttgaaaa gtgttccaag 180
caattaaaat caaatatcaa cattagattt ggaattattc tgagagagga catcaaagag 240
ctttttcttg acctagctct catgtctcaa ggctcatctg ttttgaattt ctcctatccc 300
atctgtgagg cggctctgcc caagttttct ttctgtggaa gaaggaaagg agagcagatt 360
tactatgctg ggcctgtcaa taatcctgaa tttactattc ctcagggaga ataccaggtt 420
ttgctggaac tgtacactga aaaacggtcc accgtggcct gtgccaatgc tactatcatg 480
tgctcc 486
〈210〉 15
〈211〉 877
〈212〉 DNA
〈213〉 Homo sapiens
〈220〉
〈221〉 CDS
〈222〉 (16)..(501)
〈220〉
〈221〉 sig peptide
〈222〉 (16)..(75)
〈220〉
〈221〉 mat peptide
〈222〉 (76)..(501)
〈400〉 15
cggcacgagc ccacc atg aag ggt ttc aca gcc act ctc ttc ctc tgg act 51
Met Lys Gly Phe Thr Ala Thr Leu Phe Leu Trp Thr
-20 -15 -10
ctg att ttt ccc agc tgc agt gga ggc ggc ggt ggg aaa gcc tgg ccc 99
Leu Ile Phe Pro Ser Cys Ser Gly Gly Gly Gly Gly Lys Ala Trp Pro
-5 1 5
aca cac gtg gtc tgt agc gac agc ggc ttg gaa gtg ctc tac cag agt 147
Thr His Val Val Cys Ser Asp Ser Gly Leu Glu Val Leu Tyr Gln Ser
10 15 20
tgc gat cca tta caa gat ttt ggc ttt tct gtt gaa aag tgt tcc aag 195
Cys Asp Pro Leu Gln Asp Phe Gly Phe Ser Val Glu Lys Cys Ser Lys
25 30 35 40
caa tta aaa tca aat atc aac att aga ttt gga att att ctg aga gag 243
Gln Leu Lys Ser Asn Ile Asn Ile Arg Phe Gly Ile Ile Leu Arg Glu
45 50 55
gac atc aaa gag ctt ttt ctt gac cta gct ctc atg tct caa ggc tca 291
Asp Ile Lys Glu Leu Phe Leu Asp Leu Ala Leu Met Ser Gln Gly Ser
60 65 70
tct gtt ttg aat ttc tcc tat ccc atc tgt gag gcg gct ctg ccc aag 339
Ser Val Leu Asn Phe Ser Tyr Pro Ile Cys Glu Ala Ala Leu Pro Lys
75 80 85
ttt tct ttc tgt gga aga agg aaa gga gag cag att tac tat gct ggg 387
Phe Ser Phe Cys Gly Arg Arg Lys Gly Glu Gln Ile Tyr Tyr Ala Gly
90 95 100
cct gtc aat aat cct gaa ttt act att cct cag gga gaa tac cag gtt 435
Pro Val Asn Asn Pro Glu Phe Thr Ile Pro Gln Gly Glu Tyr Gln Val
105 110 115 120
ttg ctg gaa ctg tac act gaa aaa cgg tcc acc gtg gcc tgt gcc aat 483
Leu Leu Glu Leu Tyr Thr Glu Lys Arg Ser Thr Val Ala Cys Ala Asn
125 130 135
gct act atc atg tgc tcc tgactgtggc ctgtagcaaa aatcacagcc 531
Ala Thr Ile Met Cys Ser
140
agctgcatct cgtgggacct ccaagctcct ctgactgaac ctactgtggg aggagaagca 591
gctgatgaca gagagaggct ctacaaagaa gcgcccccaa agagtgcagc tgctaatttt 651
agtcccagga ccagacatcc ccagactcca cagatgtaat gaagtccccg aatgtatctg 711
tttctaagga gcctcttggc agtccttaag cagtcttgag ggtccatcct ttttctctaa 771
ttggtcgcct cccaccagac tcacctgctt ttcaactttt taggagtgct tcctcacagt 831
taccaagaat aaagaaagct ggccaccaaa aaaaaaaaaa aaaaaa 877
〈210〉 16
〈211〉 4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1〉 difference
〈222〉 (32)..(40)
〈223〉 SalI-randam 9mer to synthesize a single strand cDNA
〈400〉 16
gagacggtaa tacgatcgac agtaggtcga cnnnnnnnnn
〈210〉 17
〈211〉 23
〈212〉 DNA
〈213〉 Unknown
〈220〉
〈223〉 EcoRI adapter
〈400〉 17
ccgcgaattc tgactaactg att
〈210〉 18
〈211〉 25
〈212〉 DNA
〈213〉 Unknown
〈220〉
〈223〉 EcoRI adapter
〈400〉 18
aatcagttag tcagaattcg cggac
〈210〉 19
〈211〉 23
〈212〉 DNA
〈213〉 Unknown
〈220〉
〈223〉 Forward primer
〈400〉 19
ccgcgaattc tgactaactg att
〈210〉 20
〈211〉 24
〈212〉 DNA
〈213〉 Unknown
〈220〉
〈223〉 Reverse primer
〈400〉 20
gacggtaata cgatcgacag tagg
〈210〉 21
〈211〉 34
〈212〉 DNA
〈213〉 Unknown
〈220〉
〈223〉 3'Race adapter primer
〈400〉 21
ggccacgcgt cgactacttt tttttttttt tttt
〈210〉 22
〈211〉 27
〈212〉 DNA
〈213〉 Mus musculus
〈220〉
〈223〉 OHP106F2 primer
〈400〉 22
ctcccatatt gactgaatct gagaagc
〈210〉 23
〈211〉 17
〈212〉 DNA
〈213〉 Unknown
〈220〉
〈223〉 Universal Amplification primer
〈400〉 23
ggccacgcgt cgactac
〈210〉 24
〈211〉 20
〈212〉 DNA
〈213〉 Mus musculus
〈220〉
〈223〉 OHP106F1 primer
〈400〉 24
agtggttctg caactcctcc
〈210〉 25
〈211〉 17
〈212〉 DNA
〈213〉 Unknown
〈220〉
〈223〉 Universal Amplification primer
〈400〉 25
ggccacgcgt cgactac
〈210〉 26
〈211〉 30
〈212〉 DNA
〈213〉 Mus musculus
〈220〉
〈223〉 XbaI-mouse OHP106F primer
〈400〉 26
cgtctagacg gagatattaa atcatgttgc
〈210〉 27
〈211〉 59
〈212〉 DNA
〈213〉 Mus musculus
〈220〉
〈223〉 XbaI-FLAG-mouse OHP106H primer
〈400〉 27
cgtctagatc acttgtcatc gtcgtccttg tagtcattga catcacggcg gtgaatgat
〈210〉 28
〈211〉 53
〈212〉 DNA
〈213〉 Mus musculus
〈220〉
〈223〉 XbaI-6His-mouse OHP106H primer
〈400〉 28
cgtctagatc agtgatggtg atggtgatga ttgacatcac ggcggtgaat g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