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29112A -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 - Google Patents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112A
KR20010029112A KR1019990041743A KR19990041743A KR20010029112A KR 20010029112 A KR20010029112 A KR 20010029112A KR 1019990041743 A KR1019990041743 A KR 1019990041743A KR 19990041743 A KR19990041743 A KR 19990041743A KR 20010029112 A KR20010029112 A KR 20010029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ignal
output
vco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장옥
Original Assignee
김종수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1999004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9112A/ko
Publication of KR20010029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11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안테나의 일단에 연결되어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를 매칭시키는 매칭 회로와, 상기 매칭회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매칭 회로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일단에 연결되어 수신 모드 또는 송신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시켜 복조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시켜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및 송신부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피엘엘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에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무선 데이터의 수신 또는 송신시 필터를 공용함으로써 회로의 구성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HALF DUPLEX RADIO COMMUNICATION DEVICE WITH COMMON FILTER}
본 발명은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데이터의 수신 또는 송신시 하나의 필터를 공용하여 회로를 간략화시키는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PF(10)와, 스위치(20)와, 수신부(30)와, 송신부(40)와, PLL(50)로 구성된다.
먼저 BPF(Band Pass Filter)(10)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거나 출력되는 신호중 일정 대역 신호만을 필터링하도록 안테나(ANT)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치(20)는 시스템의 RX 모드와 TX 모드에 따라 접점이 변경되어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를 특정 방향으로 전송하도록 BPF(10)의 일단에 연결된다.
또한 수신부(30)는 RX 필터(31)와, 버퍼 앰프(32)와, 믹서(33)와, RX VCO(34)와, 복조부(35)로 구성된다. RX 필터(31)는 안테나(ANT)와, BPF(10)와, 스위치(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스위치(20)의 a접점에 연결된다. 버퍼 앰프(32)는 RX 필터(31)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시스템에 필요한 소정 크기로 증폭하도록 RX 필터(31)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믹서(33)는 버퍼 앰프(32)의 출력 신호와 RX VCO(34)의 출력 신호를 믹싱하여 IF(중간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도록 버퍼 앰프(32)와 RX VCO(34)의 각 출력단에 연결된다. RX VCO(Voltage Controlled Oscilator)(34)는 PLL(50)의 제어 전압에 따라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PLL(50)의 제어 전압 출력단에 연결된다. 복조부(35)는 믹서(33)에서 출력되는 IF 신호를 복조하도록 믹서(33)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한편 송신부(40)는 TX VCO(41)와, TX 필터(42)와, 파워 앰프(43)로 구성된다. TX VCO(41)는 PLL(50)의 제어 전압에 따라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발진 주파수를 변경시키도록 PLL(50)의 제어 전압 출력단 및 오디오 입력단에 연결된다. TX 필터(42)는 TX VCO(41)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를 필터링시키도록 TX VCO(41)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파워 앰프(43)는 TX 필터(42)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를 증폭시키도록 TX 필터(42)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스위치(20)의 b접점에 출력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PLL(50)는 RX VCO(34)와 TX VCO(41)에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제어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이 RX 모드이면 스위치(20)는 a접점으로 연결되므로 안테나(ANT)를 통해 입력된 무선 데이터는 BPF(10)에서 소정 대역의 신호만 필터링되어 스위치(20)를 거쳐 수신부(30)의 RX 필터(31)로 입력된다.
그러면 RX 필터(31)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신호는 수신부(30)의 버퍼 앰프(32)를 통해 증폭되어 수신부(30)의 믹서(33)로 입력된다. 한편, PLL(50)의 제어 전압에 따라 수신부(30)의 RX VCO(34)에서는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여 믹서(33)로 입력한다.
그리하여 믹서(33)에서는 중간 주파수인 IF 신호가 생성되고, 생성된 IF 신호는 복조부(35)를 통해 복조된 후 오디오 신호가 추출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시스템이 TX 모드이면 스위치(20)는 b접점으로 연결되므로 송신부(40)의 TX VCO(41)에서 출력된 발진 주파수는 송신부(40)의 TX 필터(42)와 파워 앰프(43)를 거치면서 필터링과 증폭된 후 스위치(20)와 BPF(10)를 통해 안테나(ANT)로 방사된다.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PF(10)와, 스위치(20)와, 수신부(30)와, 송신부(40)와, PLL(50)로 구성된다.
먼저 BPF(Band Pass Filter)(10)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거나 출력되는 신호중 일정 대역 신호만을 필터링하도록 안테나(ANT)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치(20)는 시스템의 RX 모드와 TX 모드에 따라 접점이 변경되어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를 특정 방향으로 전송하도록 BPF(10)의 일단에 연결된다.
또한 수신부(30)는 버퍼 앰프(36)와, RX 필터(31)와, RF 앰프(32)와, 믹서(33)와, RX VCO(34)와, 복조부(35)로 구성된다. 버퍼 앰프는 스위치(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 크기로 증폭하도록 스위치(20)의 a접점에 연결된다. RX 필터(31)는 안테나(ANT)와, BPF(10)와, 스위치(20)와 버퍼 앰프(36)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도록 버퍼 앰프(36)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RF 앰프(32)는 RX 필터(31)에서 필터링된 RF 신호를 시스템에 필요한 소정 크기로 증폭하도록 RX 필터(31)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믹서(33)는 RF 앰프(32)의 출력 신호와 RX VCO(34)의 출력 신호를 믹싱하여 IF(중간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도록 RF 앰프(32)와 RX VCO(34)의 각 출력단에 연결된다. RX VCO(Voltage Controlled Oscilator)(34)는 PLL(50)의 제어 전압에 따라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PLL(50)의 제어 전압 출력단에 연결된다.
한편 송신부(40)는 TX VCO(41)와, 드라이브 앰프(42)와, 파워 앰프(43)와, TX 필터(44)로 구성된다. TX VCO(41)는 PLL(50)의 제어 전압에 따라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발진 주파수를 변경시키도록 PLL(50)의 제어 전압 출력단 및 오디오 입력단에 연결된다. 드라이브 앰프(42) 및 파워 앰프(43)는 TX VCO(41)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를 증폭시키도록 TX VCO(41)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TX 필터(42)는 파워 앰프(43)를 통해 출력되는 TX VCO(41)의 발진 주파수를 필터링시키도록 파워 앰프(43)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PLL(50)는 RX VCO(34)와 TX VCO(41)에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제어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이 RX 모드이면 스위치(20)는 a접점으로 연결되므로 안테나(ANT)를 통해 입력된 무선 데이터는 BPF(10)에서 소정 대역의 신호만 필터링되어 스위치(20)를 거쳐 수신부(30)의 버퍼 앰프(36)로 입력된다.
그러면 버퍼 앰프(36)에서 증폭된 신호는 RX 필터(31)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되어 수신부(30)의 RF 앰프(32)를 통해 증폭되어 수신부(30)의 믹서(33)로 입력된다. 한편, PLL(50)의 제어 전압에 따라 수신부(30)의 RX VCO(34)에서는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여 믹서(33)로 입력한다.
그리하여 믹서(33)에서는 중간 주파수인 IF 신호가 생성되고, 생성된 IF 신호는 복조부(35)를 통해 복조된 후 오디오 신호가 추출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시스템이 TX 모드이면 스위치(20)는 b접점으로 연결되므로 송신부(40)의 TX VCO(41)에서 출력된 발진 주파수는 송신부(40)의 드라이브 앰프(42)와 파워 앰프(43)를 거치면서 증폭된 후 TX 필터(42)에서 필터링되어 스위치(20)와 BPF(10)를 통해 안테나(ANT)로 방사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에서는 송수신 주파수는 동일하나 RX 모드와 TX 모드에서 각각 전용 필터를 사용하므로 회로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필터를 이용하여 RX 모드나 TX 모드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회로의 구성을 간략하게 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 회로도
도 2는 일반적인 종래의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130 : 스위치 30 : 수신부
40 : 송신부 50 : PLL
100 : 필터부 110 : 매칭 회로
120 : 공용 필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특징은,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안테나의 일단에 연결되어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를 매칭시키는 매칭 회로와, 상기 매칭회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매칭 회로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시키는 공용 필터와, 상기 공용 필터의 일단에 연결되어 RX 모드 또는 TX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시켜 복조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시켜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및 송신부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PLL로 이루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에 하나의 필터를 RX 모드와 TX 모드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어 회로의 구성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참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 회로도이다.
도 3을 보면, 먼저 필터부(100)는 매칭 회로(110)와, 공용 필터(120)와, 스위치(130)로 구성된다.
매칭 회로(110)는 안테나(ANT)를 통해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를 매칭시키도록 안테나(ANT)의 일단에 연결된다.
공용 필터(120)는 매칭 회로(110)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시키도록 매칭 회로(110)의 일단에 연결된다.
스위치(130)는 RX 모드 또는 TX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도록 필터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수신부(30)는 필터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시킨 후 복조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버퍼 앰프(32)와, 믹서(33)와, RX VCO(34)와, 복조부(35)로 구성된다. 버퍼 앰프(32)는 스위치(130)를 통해 입력되는 공용 필터(120)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시스템에 필요한 소정 크기로 증폭하도록 스위치(130)의 a접점에 연결된다. 믹서(33)는 버퍼 앰프(32)의 출력 신호와 RX VCO(34)의 출력 신호를 믹싱하여 IF 신호를 출력하도록 버퍼 앰프(32)와 RX VCO(34)의 각 출력단에 연결된다. RX VCO(34)는 PLL(50)의 제어 전압에 따라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PLL(50)의 제어 전압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송신부(4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필터부(100)를 통해 필터링시킨 후 안테나(ANT)를 통해 출력하도록 TX VCO(41)와, 파워 앰프(43)로 구성된다. TX VCO(41)는 PLL(50)의 제어 전압에 따라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발진 주파수를 변경시키도록 PLL(50)의 제어 전압 출력단 및 오디오 입력단에 연결된다. 파워 앰프(43)는 공용 필터(120)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를 증폭시키도록 TX VCO(41)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스위치(130)의 b접점에 출력단이 연결된다
한편 PLL(50)는 RX VCO(34)와 TX VCO(41)에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제어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의 작용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이 RX 모드에서는 스위치(130)는 a접점으로 연결되므로 안테나(ANT)를 통해 입력된 무선 데이터는 필터부(100)의 매칭 회로(110)에서 매칭된 후 필터부(100)의 공용 필터(120)를 통해 필터링된다.
그리고 공용 필터(120)에서 필터링된 신호는 수신부(30)의 버퍼 앰프(32)를 통해 증폭되어 믹서(33)로 입력되고, PLL(50)의 제어 전압에 따라 RX VCO(34)에서는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여 믹서(33)로 입력한다.
한편 믹서(33)에서는 중간 주파수인 IF 신호가 생성되고, 생성된 IF 신호는 복조부(35)를 통해 복조된 후 오디오 신호가 추출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시스템이 TX 모드이면 스위치(130)는 b접점으로 연결되므로 송신부(40)의 TX VCO(41)에서 출력된 발진 주파수는 파워 앰프(43)를 거치면서 증폭된 후 스위치(130)를 통해 공용 필터(120)에서 필터링된 후 안테나(ANT)로 방사된다.
<제 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 회로도이다.
도 4를 보면, 먼저 필터부(100)는 매칭 회로(110)와, 공용 필터(120)와, 스위치(130)와, 버퍼 앰프(140)와, 파워 앰프(150)로 구성된다.
매칭 회로(110)는 안테나(ANT)를 통해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를 매칭시키도록 안테나(ANT)의 일단에 연결된다.
공용 필터(120)는 매칭 회로(110)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시키도록 매칭 회로(110)의 일단에 연결된다.
스위치(130)는 RX 모드 또는 TX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도록 필터의 일단에 연결된다.
버퍼 앰프(140)는 스위치(130)를 통해 입력되는 공용 필터(120)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시스템에 필요한 소정 크기로 증폭하도록 스위치(130)의 a접점에 연결된다.
파워 앰프(150)는 송신부(40)의 드라이브 앰프(42)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를 증폭시키도록 송신부의 드라이브 앰프(42)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수신부(30)는 필터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시킨 후 복조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RF 앰프(32)와, 믹서(33)와, RX VCO(34)와, 복조부(35)로 구성된다. RF 앰프(32)는 필터부(100)의 버퍼 앰프(140)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필터부(100)의 버퍼 앰프(140)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믹서(33)는 RF 앰프(32)의 출력 신호와 RX VCO(34)의 출력 신호를 믹싱하여 IF 신호를 출력하도록 RF 앰프(32)와 RX VCO(34)의 각 출력단에 연결된다. RX VCO(34)는 PLL(50)의 제어 전압에 따라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PLL(50)의 제어 전압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송신부(4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필터부(100)를 통해 필터링시킨 후 안테나(ANT)를 통해 출력하도록 TX VCO(41)와, 드라이브 앰프(42)로 구성된다. TX VCO(41)는 PLL(50)의 제어 전압에 따라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발진 주파수를 변경시키도록 PLL(50)의 제어 전압 출력단 및 오디오 입력단에 연결된다. 드라이브 앰프(42)는 공용 필터(120)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를 증폭시키도록 TX VCO(41)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필터부(100)의 파워 앰프(150)의 입력단에 출력단이 연결된다.
한편 PLL(50)는 RX VCO(34)와 TX VCO(41)에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제어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이 RX 모드에서는 스위치(130)는 a접점으로 연결되므로 안테나(ANT)를 통해 입력된 무선 데이터는 필터부(100)의 매칭 회로(110)에서 매칭된 후 필터부(100)의 공용 필터(120)를 통해 필터링된다.
그리고 공용 필터(120)에서 필터링된 신호는 버퍼 앰프(140)를 통해 증폭된 후 수신부(30)의 RF 앰프(32)에서 재차 증폭되어 믹서(33)로 입력되고, PLL(50)의 제어 전압에 따라 RX VCO(34)에서는 소정의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여 믹서(33)로 입력한다.
한편 믹서(33)에서는 중간 주파수인 IF 신호가 생성되고, 생성된 IF 신호는 복조부(35)를 통해 복조된 후 오디오 신호가 추출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시스템이 TX 모드이면 스위치(130)는 b접점으로 연결되므로 TX VCO(41)에서 출력된 발진 주파수는 송신부(40)의 드라이브 앰프(42)를 거치면서 증폭된 후 필터부(100)의 파워 앰프(150)에서 재차 증폭되어 스위치(130)를 통해 공용 필터(120)에서 필터링된 후 안테나(ANT)로 방사된다.
따라서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에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무선 데이터의 수신 또는 송신시 필터를 공용함으로써 회로의 구성을 간략화시킨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에 하나의 필터를 구비하고, RX 모드나 TX 모드에서 필터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회로의 구성을 간략화시키므로 제작 비용을 절감시킨다.

Claims (1)

  1. 반이중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안테나의 일단에 연결되어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를 매칭시키는 매칭 회로와, 상기 매칭회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매칭 회로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시키는 공용 필터와, 상기 공용 필터의 일단에 연결되어 RX 모드 또는 TX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시켜 복조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시켜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및 송신부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PLL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
KR1019990041743A 1999-09-29 1999-09-29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 Ceased KR20010029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743A KR20010029112A (ko) 1999-09-29 1999-09-29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743A KR20010029112A (ko) 1999-09-29 1999-09-29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112A true KR20010029112A (ko) 2001-04-06

Family

ID=1961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743A Ceased KR20010029112A (ko) 1999-09-29 1999-09-29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91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098B1 (ko) * 2008-02-21 2010-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시분할 방식의 무선 통신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9799A (en) * 1991-01-25 1994-06-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ignal oscillation method for time-division duplex radio transceive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5511236A (en) * 1993-12-07 1996-04-2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Half duplex RF transceiver
JPH08307396A (ja) * 1995-04-28 1996-11-22 Victor Co Of Japan Ltd Ss方式無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9799A (en) * 1991-01-25 1994-06-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ignal oscillation method for time-division duplex radio transceive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5511236A (en) * 1993-12-07 1996-04-2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Half duplex RF transceiver
JPH08307396A (ja) * 1995-04-28 1996-11-22 Victor Co Of Japan Ltd Ss方式無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098B1 (ko) * 2008-02-21 2010-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시분할 방식의 무선 통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0686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i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ystems
US6473600B1 (en) Mobile phone with increased transmitter efficiency employing two transmit antennas
US20060145781A1 (en) Dual band full duplex mobile radio
KR100889562B1 (ko) 모바일 rfid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을 위한 전력증폭기 공유 시스템
JP3734839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20040078699A (ko) 모바일 멀티모드 단말기와 그 단말기에 사용하기 위한송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288196B1 (ko) 광대역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의 발진 방지 고주파 송신 제어 장치
KR20000066554A (ko) 컴퓨터와 텔레비젼 무선 송수신장치
JPH09275356A (ja) 複数モード移動無線装置
KR20010029112A (ko) 공용 필터를 구비하는 반이중 무선통신장치
KR100365731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7412B1 (ko) 시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저출력 스위치를 이용한무선 송수신 스위칭 회로
KR200410863Y1 (ko) 자동 채널 설정 가능한 무선 마이크 시스템
KR100677851B1 (ko) 혼합기와 대역통과여파기에 의해 송수신경로가 설정되는무선통신 송수신장치 및 그를 이용한 송신주파수의진폭편이변조와 수신주파수 변환방법
EP0963053A2 (en) Bidirectional filter for half duplex single sideband transceiv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3102731B2 (ja) 無線送受信機
KR100208192B1 (ko) 이중대역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42596B1 (ko) 송수신 전력 세기에 따라 안테나 선택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KR200380075Y1 (ko) 혼합기와 대역통과여파기에 의해 송수신경로가 설정되는무선통신 송수신장치
KR200334855Y1 (ko) 시분할 이중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종단장치
KR20010011052A (ko) 무선 전화기에서 무전기 겸용 휴대장치
CN113437992A (zh) 射频收发电路
KR100349116B1 (ko) 수신감도를개선한무선송수신기
JPS639702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アンテナ切替方式
KR20010056860A (ko) 단일클럭을 이용한 베이스 밴드를 포함하는 고주파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3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10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