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13804A -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804A
KR20010013804A KR1019997011822A KR19997011822A KR20010013804A KR 20010013804 A KR20010013804 A KR 20010013804A KR 1019997011822 A KR1019997011822 A KR 1019997011822A KR 19997011822 A KR19997011822 A KR 19997011822A KR 20010013804 A KR20010013804 A KR 20010013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encoding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005B1 (ko
Inventor
고하시야스오
구로마루순이치
도지마마사요시
후지모토히토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3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00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2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easuring the fullness of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화상 데이터의 입력 개시로부터, 부호화 처리 개시까지의 지연이 작고, 부호화 처리를 위해 화상 데이타의 일시 축적에 이용하는 일시 기억 수단의 기억 용량이 작으며, 부호화 처리의 정체 등의 경우에도, 화상 데이타의 파기의 가능성이 낮고, 화질 열화가 적은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처리의 상황에 대응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플래그 생성부를 구비함으로써, 일시 기억 수단에 대한 입출력을 단위량마다 실행하여, 제어 정보에 따라서 화상 데이타의 저장과,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동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데이타는, 본래 아날로그 데이터이지만, 이것을 디지탈화하는 것에 의해, 각종의 복잡한 신호 처리나, 데이터 압축 등이 가능하므로, 화상 디지탈화의 기술은 중요한 위치 분야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는, 아날로그 화상 데이타를 입력하여, 디지탈 변환, 및 압축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여, 기록 또는 전송을 하는 것으로, 디지탈화된 화상 데이타를 메모리 등의 고속의 기억 장치에 일시 축적하여, 압축 부호화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일시 축적을 동반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예로서는, 특허 출원 평성 7-273461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화상 프레임 메모리라고 불리는 메모리에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일시 축적하는 것이다.
도 10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는, A/D 변환부(1001), 화상 입력 제어부(1002), 메모리 제어부(1003), 부호화부(1004), 입력 화상 메모리(1005), 및 레이트 버퍼(1006)를 구비한 것으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S1051를 장치 입력으로 하고, 부호화 데이터 S1057를 장치 출력으로 하는 것이다. 또, 도 10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신호는 처리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파선으로 나타낸 신호는 제어를 위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A/D 변환부(1001)는, 입력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S1051에 대하여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처리를 실행하여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2를 생성한다. 화상 입력 제어부(1002)는, 입력한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2에 대하여, 그 유효·무효를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061를 생성한다. 메모리 제어부(1003)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메모리로의 저장과 판독을 제어한다. 부호화부(1004)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5에 대하여 소정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여, 부호화 데이터 S1056를 생성한다.
입력 화상 메모리(1005)는, 압축 부호화 처리의 작업을 위해,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4를 일시 축적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입력 화상 메모리는, 각각이 소정의 양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축적하는, 복수개 영역으로 분할되어 관리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입력 화상 메모리(1005)는, 각각이 1 프레임(1 화면 상당)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제 1 영역(1005a)과, 제 2 영역(1005b)의 두개의 영역을 갖는 것으로 한다.
레이트 버퍼(1006)는, 해당 화상 처리 장치로부터의 장치 출력 S1057가 일정한 레이트로 출력되도록, 부호화부(1004)가 생성한 부호화 데이터 S1056를 일시 축적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해당 화상 처리 장치의 장치 입력인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S1051가 입력되면,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S1051는 A/D 변환부(1001)에 입력되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처리된다. A/D 변환부(1001)는, 생성한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2를 화상 입력 제어부(1002)에 출력한다. 입력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S1051는, 표시되어야 할 화상의 부분에 상당하는 유효 영역의 신호와, 그 밖의 무효 영역의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화상 입력 제어부(1002)는, 입력한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2에 대하여, 그 유효·무효를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061를 생성하여,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3와,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061를 모두, 메모리 제어부(1003)에 출력한다.
메모리 제어부(1003)는, 화상 입력 제어부(1002)로부터 입력하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061와, 후술하는 부호화부(1004)로부터 입력하는 화상 입력 요구 신호 S1053에 따라서,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3를 입력 화상 메모리(1005)에 저장한다. 여기서는, 부호화부(1004)가 부호화 처리의 실행가능한 상태로 되어, 부호화 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요구를 나타내는 화상 입력 요구 신호 S1063를 메모리 제어부(1003)에 출력한 경우에, 메모리 제어부(1003)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3가 유효한 것을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061에 따라서, 입력 화상 메모리의 제 1 영역(1005a)에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3를 저장하는 것으로 한다.
제 1 영역(1005a)에, 소정의 양만큼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3가 저장되었으면, 메모리 제어부(1003)는, 부호화부(1004)가 부호화 처리를 개시하도록, 부호화 개시 신호 S1062를 생성하여, 부호화부(1004)에 출력한다. 여기서는 메모리 제어부(1003)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단위가 1 프레임분만큼 저장되었을 때에, 신호 생성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부호화부(1004)는, 메모리 제어부(1003)로부터 부호화를 지시하는 부호화 개시 신호 S1062를 입력할 때까지는,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것이며, 해당 신호를 입력하였으면, 메모리 제어부(1003)를 거쳐서, 제 1 영역(1005a)에 저장되어 있던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5를 입력하여,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부호화 처리는, 소정의 방식에 따라서 실행된다. 예컨대, 1 프레임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소정의 크기를 갖는 블럭으로 분할하여, 그 블럭을 단위로 하여 실행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블럭의 크기는, 8×8 화소, 혹은 16×16 화소의 크기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화소란,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구성하는 이산적인 단위 데이터로서, 화상의 휘도나 색을 나타내는 화소값을 갖는 것이다.
부호화부(1004)는,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여 생성한 부호화 데이터 S1056를 레이트 버퍼(1006)에 출력하고, 레이트 버퍼(1006)에 있어서 일시 유지된 부호화 데이터 S1056는, 해당 화상 처리 장치의 장치 출력 S1057로서 장치 외부에 출력되어, 전송 등이 되는 것으로 된다. 한편, 부호화 처리에 따라 부호화부(1004)는, 다음에 부호화 처리해야 할 1 프레임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입력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 입력 요구 신호 S1063를 생성하고, 이 신호 S1063를 메모리 제어부(1003)에 출력한다.
메모리 제어부(1003)에 있어서는, 화상 입력 요구 신호 S1063과,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3이 유효한 것을 나타내는 입력 허가 신호 S1061에 따라서,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3을 입력 화상 메모리(1005)에 저장한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1 프레임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축적되는 것으로 되지만, 메모리 제어부(1003)는, 앞서 저장한 제 1 영역(1005a)과 상이한 제 2 영역(1005b)에 대하여 저장 처리를 실행한다.
제 2 영역(1005b)에,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단위인 1 프레임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3가 저장되었으면, 메모리 제어부(1003)는, 부호화 처리를 개시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부호화 개시 신호 S1062를 생성하여, 부호화부(1004)에 출력한다. 부호화부(1004)는, 이전의 1 프레임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영역(1005a)에 저장되어 있던 것)의 부호화 처리를 종료하여, 메모리 제어부(1003)로부터 부호화를 지시하는 부호화 개시 신호 S1062를 입력하였으면, 메모리 제어부(1003)를 거쳐서, 제 2 영역(1005b)에 저장되어 있던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5를 입력하여,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고, 레이트 버퍼(1006)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입력 화상 메모리(1005)가 갖는 제 1 영역(1005a)과 제 2 영역(1005b)에 대하여, 교대로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저장이 실행되어, 교대로 판독되고 부호화부(1004)에 있어서 부호화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도 11은, 이러한 처리가 순조롭게 실행되고 있는, 통상 상태의 처리 상황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화상 입력 요구 신호 S1063」는, 부호화부(1004)로부터 메모리 제어부(1003)에 출력되는 신호 S1063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Hi 상태는, 부호화부(1004)에 있어서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요구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061」은, 화상 입력 제어부(1002)가 생성하여 메모리 제어부(1003)에 출력하는 신호 S1061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Hi 상태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유효하고, 메모리에 저장해야 할 것임을 나타낸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내는「화상 데이타 저장」은,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054가 저장되는, 입력 화상 메모리(1005)의 영역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제어부(1003)의 제어에 따라서,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입력 화상 메모리(1005)가 갖는 영역중, 제 1 영역(1005a)(도면중에서는 메모리 (1)로 표기)와, 제 2 영역(1005b)(도면중에서는 메모리 (2)로 표기)에 교대로 저장되는 것으로 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부호화 개시 신호 S1062」는, 메모리 제어부(1003)로부터 부호화부(1004)에 출력되는 신호 S1062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Hi 상태는, 부호화 처리를 개시해야 할 것을 나타낸다. 「부호화 처리」는, 부호화부(1004)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력 화상 메모리(1005)가 갖는 영역중, 제 1 영역(1005a)(도면중에서는 메모리 (1)로 표기), 또는 제 2 영역(1005b)(도면중에서는 메모리 (2)로 표기)에 저장된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부호화 처리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입력 요구 신호 S1063의 Hi 상태에 대응하여, 타이밍 t110로부터,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061가 Hi 상태인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화상 데이타 저장」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영역에 저장된다. 그리고, 동 도면에 나타내는 부호화 개시 신호 S1062의 Hi 상태에 대응하여, 타이밍 t111로부터, 제 1 영역으로부터의 판독이 실행되어, 부호화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이것과 함께, 「화상 데이타 저장」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영역으로의 저장이 실행된다. 마찬가지로 타이밍 t112으로부터는, 제 1 영역으로의 저장과, 제 2 영역으로부터의 판독이 실행되어, 동 도면의「화상 데이타 저장」과「 부호화 처리」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영역에 저장이 실행되고 있는 타이밍에 있어서는, 다른쪽의 영역으로부터 판독이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어떠한 원인으로 에러가 발생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통상 상태의 처리를 실행할 수 없게 된 경우의 처리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도 12의 타이밍도이다. 이 경우에도, 타이밍 t120까지는 도 11에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가 실행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의「부호화 처리」에서는, 타이밍 t120 이후에 실행되었던, 제 2 영역(1005b)(도 1)에 저장된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부호화 처리가 장시간을 요하였기 때문에, 부호화 처리의 종료가 타이밍 t121로 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입력 화상 메모리(1005)의 제 2 영역(1005b)에 대해서는, 타이밍 t121에 이를 때까지,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판독이 실행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본래(통상 상태의 처리가 되어 있으면) 실행되어야 했던, 동 도면「화상 데이타 저장」에 나타내는 제 2 영역으로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저장은 실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동 도면「화상 데이타 저장」의 파선부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장되지 않은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파기되는 것으로 되어, 부호화 처리의 대상으로는 안된다.
타이밍 t122의 부호화 처리의 종료 이후에, 또한 통상 상태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고, 이렇게 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입력 화상 메모리(1005)가 갖는 영역에 대하여, 교대로 저장 처리와 판독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저장 처리와, 부호화 처리를 각각의 타이밍으로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부호화 처리의 지체 등에 대해서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파기함으로써 대응을 도모하는 것이다. 전술한 특허 출원 평성 7-273461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에 있어서도, 상기의 예와 마찬가지의 메모리 관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우선, 이러한 화상 처리 장치의 용도로서, 텔레비젼 전화 시스템 등에 있어서 이용하는 경우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장치 사이에 있어 감시 용도로 이용하는 경우 등에는, 실시간성이 요구되게 된다. 이러한 용도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디오 카메라 등으로부터의 화상을 취입하여 처리 대상으로 하고, 처리후에 출력한 부호화 데이터가 전송 등이 되어, 재생중에 복호화 처리후에 출력 화상으로 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아날로그 화상 데이타의 입력으로부터, 출력 화상 데이타의 표시까지 사이의 지연이 큰 경우에는, 카메라에 촬영되는 실제의 화상과, 표시 화상과의 움직임 사이에 시간차가 발생하는 것에 의해, 부자연스러운 화상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입력 화상 메모리에 대한 입출력의 제어에 대응하기 위해서, 부호화부(1004)에 있어서는, 부호화 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소정의 양(상기의 예에서는 1 프레임분)만큼 저장된 후에, 부호화 개시 신호 S1062에 대응하여 부호화 처리를 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도 11 참조).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신호 입력과 부호화 처리 개시 사이의 지연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용도로 응용한 경우에 양호한 화상 표시를 하기 어려운 것이, 제 1 문제점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에러 처리를 위해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무조건 파기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데이터 결핍이 생기기 때문에, 부호화 처리의 지체가 빈번하게 있는 경우에는 화질의 열화로 이어지는 것이 제 2 문제점이었다.
또한, 입력 화상 메모리(1005)를, 저장이 실행되는 영역과, 판독이 실행되는 영역으로 분할하여 관리함으로써, 처리 대상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에는, 이것에 따라 유지 용량을 큰 것으로 할 것이 필요하여, 대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것은 비용 향상으로 이어지게 되어, 보급을 위해 염가의 장치를 제조하기 어려운 점이 제 3 문제점으로 되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신호 입력의 개시로부터 부호화 처리 개시까지의 지연 시간을 저감하여, 실시간성의 용도에 알맞은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호화 처리의 지연 등이 있는 경우에도, 데이터가 파기되는 양을 저감하여, 화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탈 데이터의 일시 유지를 위한 메모리의 필요량을 저감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호화 처리 개시까지의 지연 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화상 처리 방법, 부호화 처리의 지연 등에 대하여도, 데이터의 파기를 저감할 수 있는 화상 처리 방법, 및 데이터의 일시 유지를 위한 메모리의 필요량을 저감할 수 있는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 범위 제 1 항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는, 입력한 화상 데이타를 일시 기억 수단에 저장하여, 해당 저장한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한 화상 데이타의, 상기 일시 기억 수단으로의 저장을 제어하는 화상 입력 제어 수단과, 상기 화상 입력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화상 데이타의 상기 일시 기억 수단으로의 저장을 실행하여, 소정의 양인 단위 저장량만큼 저장한 경우에, 그것을 나타내는 저장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제어 수단과,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저장한 화상 데이타를 판독하여, 소정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고, 소정의 양인 단위 처리량만큼 부호화 처리한 경우에, 그것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이 생성하는 저장 정보와, 상기 부호화 수단이 생성하는 처리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화상 입력 제어 수단이 저장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 1 제어 정보와, 상기 부호화 수단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 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 정보 생성 수단은, 저장 정보와, 처리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처리의 상황에 대응하여, 저장과 부호화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청구 범위 제 2 항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는, 청구 범위 제 1 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제 1 제어 정보로서, 상기 입력한 화상 데이타의 저장을 정지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저장 정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제어 정보로서, 상기 부호화 처리를 정지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부호화 정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화상 처리의 상황에 대응하여, 저장을 정지시킴으로써, 이미 저장한 데이터의 보호를 도모하여, 부호화를 정지시킴으로써, 부호화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저장되기까지의 대기를 도모한다.
청구 범위 제 3 항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는, 청구 범위 제 1 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제 1 제어 정보로서, 상기 입력한 화상 데이타의 저장을 정지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저장 정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제어 정보로서,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한 상기 단위 처리량의 화상 데이타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연속하여 실행할 수 있는 회수를 나타내는 연속 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화상 처리의 상황에 대응하여, 저장을 정지시킴으로써, 이미 저장한 데이터의 보호를 도모하여, 저장의 상태에 따른 연속한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청구 범위 제 4 항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는, 청구 범위 제 1 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저장 정보를 계수하여, 해당 계수의 결과를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저장 정보 계수 수단과, 상기 처리 정보를 계수하여, 해당 계수의 결과를 처리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처리 정보 계수 수단과, 상기 저장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허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처리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금지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 처리 제어 수단과, 상기 가산 허가 신호, 또는 상기 가산 금지 신호에 따라서, 저장 정보 계수값에 대하여, 소정의 값을 가산 처리하여,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을 생성하는 저장 정보 계수값 변경 수단과, 상기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부터, 상기 처리 정보 계수값을 감산하여,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생성하는 부호화가능 단위수 생성 수단과,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1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제어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2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제어 정보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저장 정보와 처리 정보로부터, 부호화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의 저장 상태를 나타내는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취득하고, 해당 부호화가능 단위수에 대응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과 부호화를 제어한다.
청구 범위 제 5 항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는, 청구 범위 제 1 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저장 정보를 계수하여, 해당 계수의 결과를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저장 정보 계수 수단과, 상기 처리 정보를 계수하여, 해당 계수의 결과를 처리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처리 정보 계수 수단과, 상기 저장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허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처리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금지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 처리 제어 수단과, 상기 가산 허가 신호, 또는 상기 가산 금지 신호에 따라서, 저장 정보 계수값에 대하여, 소정의 값을 가산 처리하여,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을 생성하는 저장 정보 계수값 변경 수단과, 상기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부터, 상기 처리 정보 계수값을 감산하여,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생성하는 부호화가능 단위수 생성 수단과,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1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제어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2 제어 정보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저장 정보와 처리 정보로부터 부호화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의 저장 상태를 나타내는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취득하고, 해당 부호화가능 단위수에 대응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과 연속한 부호화 처리를 제어한다.
청구 범위 제 6 항에 관한 화상 처리 방법은, 입력한 화상 데이타를 일시 기억 수단에 저장하여, 해당 저장한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한 화상 데이타의, 상기 일시 기억 수단으로의 저장을 제어하는 화상 입력 제어 단계와, 상기 화상 입력 제어 단계에 있어서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화상 데이타의 상기 일시 기억 수단으로의 저장을 실행하여, 소정의 양인 단위 저장량만큼 저장한 경우에, 그것을 나타내는 저장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저장한 화상 데이타를 판독하고, 소정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여, 소정의 양인 단위 처리량만큼 부호화 처리하는 경우에, 그것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부호화 단계와, 상기 기억 제어 단계에 있어서 생성된 저장 정보와, 상기 부호화 단계에 있어서 생성된 처리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화상 입력 제어 단계에 있어서의 저장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 1 제어 정보와, 상기 부호화 단계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 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 정보 생성 단계에 있어서는, 저장 정보와, 처리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처리의 상황에 대응하여, 저장과 부호화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청구 범위 제 7 항에 관한 화상 처리 방법은, 청구 범위 제 6 항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로서, 상기 입력한 화상 데이타의 저장을 정지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저장정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제어 정보로서, 상기 부호화 처리를 정지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부호화 정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화상 처리의 상황에 대응하여, 저장을 정지시킴으로써, 이미 저장한 데이터의 보호를 도모하여, 부호화를 정지시킴으로써, 부호화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저장되기까지의 대기를 도모한다.
청구 범위 제 8 항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는, 청구 범위 제 6 항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로서, 상기 입력한 화상 데이타의 저장을 정지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저장 정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제어 정보로서, 상기 부호화 단계에 있어서의 상기 단위 처리량의 화상 데이타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연속하여 실행할 수 있는 회수를 나타내는 연속 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화상 처리의 상황에 대응하여, 저장을 정지시킴으로써, 이미 저장한 데이터의 보호를 도모하여, 저장의 상태에 따른 연속한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청구 범위 제 9 항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는, 청구 범위 제 6 항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저장 정보를 계수하여, 해당 계수의 결과를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저장 정보 계수 단계와, 상기 처리 정보를 계수하여, 해당 계수의 결과를 처리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처리 정보 계수 단계와, 상기 저장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허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처리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금지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 처리 제어 단계와, 상기 가산 허가 신호, 또는 상기 가산 금지 신호에 따라서, 저장 정보 계수값에 대하여, 소정의 값을 가산 처리하여,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을 생성하는 저장 정보 계수값 변경 단계와, 상기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부터, 상기 처리 정보 계수값을 감산하여,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생성하는 부호화가능 단위수 생성 단계와,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1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제어 정보 생성 단계와,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2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제어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저장 정보와 처리 정보로부터, 부호화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의 저장 상태를 나타내는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취득하고, 해당 부호화가능 단위수에 대응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과 부호화를 제어한다.
청구 범위 제 10 항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는, 청구 범위 제 6 항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저장 정보를 계수하여, 해당 계수의 결과를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저장 정보 계수 단계와, 상기 처리 정보를 계수하여, 해당 계수의 결과를 처리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처리 정보 계수 단계와, 상기 저장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허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처리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금지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 처리 제어 단계와, 상기 가산 허가 신호, 또는 상기 가산 금지 신호에 따라서, 저장 정보 계수값에 대하여, 소정의 값을 가산 처리하여,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을 생성하는 저장 정보 계수값 변경 단계와, 상기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부터, 상기 처리 정보 계수값을 감산하여,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생성하는 부호화가능 단위수 생성 단계와,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1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제어 정보 생성 단계와,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상기 제 2 제어 정보로 하는 제 2 제어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저장 정보와 처리 정보로부터, 부호화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의 저장 상태를 나타내는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취득하고, 해당 부호화가능 단위수에 대응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과 연속한 부호화 처리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한 화상 데이타를 일시 기억 수단에 저장하여, 해당 저장한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플래그 생성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가 처리 대상으로 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플래그 생성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10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 및 도 1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는, 플래그 생성부를 구비하여, 제어용의 플래그를 이용하여 화상 처리를 제어하여, 메모리를 관리하는 것이다.
도 1은, 아날로그 화상 데이타를 입력하여, 디지탈 변환, 및 압축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본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는, A/D 변환부(101), 화상 입력 제어부(102), 메모리 제어부(103), 부호화부(104), 입력 화상 메모리(105), 레이트 버퍼(106), 및 플래그 생성부(107)를 구비한 것으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S151를 장치 입력으로 하고, 부호화 데이터 S157를 장치 출력으로 하는 것이다. 또, 도 1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신호는 처리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파선으로 나타낸 신호는 제어를 위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A/D 변환부(101)는, 입력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S151에 대하여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처리를 실행하여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2를 생성한다. 화상 입력 제어부(102)는, 입력한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2에 대하여, 그 유효·무효를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화상 입력 제어부(10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유효 영역/무효 영역의 구분에 따라서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를 생성하지만, 이것에 덧붙여 후술하는 플래그 생성부(107)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플래그 S162를 참조하는 것으로, 에러 플래그 S162가 무효인(Lo 상태) 경우에는, 「유효임」을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를, 에러 플래그 S162가 유효인 (Hi 상태)경우에는, 「무효임」을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를 생성하는 것이다.
메모리 제어부(103)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메모리로의 저장과 판독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메모리 제어부(103)는, 입력 화상 메모리(105)로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저장과 판독을 소정의 양을 단위로 하여 관리하고, 단위분의 저장이 종료하였으면, 그것을 나타내는 기입 종료 신호 S164를 생성하여, 이것을 플래그 생성부(107)에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메모리 제어부(103)는, 화상 입력 제어 수단(화상 입력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서,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일시 기억 수단(입력 화상 메모리(105))로의 저장을 실행하고, 소정의 양인 단위 저장량만큼 저장한 경우에, 그것을 나타내는 저장 정보(기입 종료 신호 S164)를 생성하는 기억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부호화부(104)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5에 대하여 소정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여, 부호화 데이터 S156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부호화부(104)는, 후술하는 플래그 생성부(107)로부터 입력되는 엠프티 플래그 S165를 참조하는 것으로, 엠프티 플래그 S165가 Lo 상태인 경우에는,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고, 엠프티 플래그 S165가 Hi 상태인 경우에는,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부호화부(104)는, 소정의 양을 단위로 하여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단위분의 부호화 처리가 종료하였으면, 그것을 나타내는 부호화 종료 신호 S166를 생성하여, 이것을 플래그 생성부(107)에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부호화부(104)는, 일시 기억 수단(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한 화상 데이타를 판독하고, 소정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여, 소정의 양인 단위 처리량만큼 부호화 처리한 경우에, 그것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부호화 종료 신호 S166)를 생성하는 부호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입력 화상 메모리(105)는, 압축 부호화 처리의 작업을 위해,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4를 일시 축적한다. 본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경우와 같이 특정의(종래 기술의 예에서는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관리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용량은, 소정의 양(여기서는 1 프레임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양이면 충분하다. 레이트 버퍼(106)는, 해당 화상 처리 장치로부터의 장치 출력인 부호화 데이터 S157가 일정한 레이트로 출력되도록, 부호화 데이터 S156를 일시 축적한다.
플래그 생성부(107)는, 메모리 제어부(103)로부터 입력하는 단위량마다의 기입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와, 부호화부(104)로부터 입력하는 단위량마다의 부호화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계수하고, 해당 계수의 결과에 근거하여, 메모리로의 데이터 입출력의 제어에 이용하는 플래그(엠프리 플래그와 에러 플래그)를 생성한다. 따라서, 플래그 생성부(107)는, 기억 제어 수단(메모리 제어부(103))가 생성하는 저장 정보(기입 종료 신호 S164)와, 부호화 수단(부호화부(104))가 생성하는 처리 정보(부호화 종료 신호 S166)에 근거하여, 화상 입력 제어 수단(화상 입력 제어부(102))가 저장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 1 제어 정보(에러 플래그)와, 부호화 수단(부호화부(104))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 2 제어 정보(엠프티 플래그)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2는, 플래그 생성부(107)(도 1 참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그 생성부(107)는, 기입 블럭 카운터(201)와, 판독 블럭 카운터(202)와,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와, 선택기(204)와, 가산기(205)와, 감산기(206)와, 제 1, 및 제 2 비교부(207, 및 208)와, 에러 플래그 유지부(209)와, 엠프티 플래그 유지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기입 블럭 카운터(201)는, 메모리 제어부(103)(도 1 참조)로부터 입력되는 기입 종료 신호 S164를, 후술하는 슬라이스를 단위로서 계수하여, 그 계수값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산기(205)에 출력한다. 계수는 14진법에 따라서 실행되어, 계수값이「14」에 이른 경우, 다음 기입 종료 신호 S164를 입력하였으면, 계수값을「0」으로 하여, 후술하는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를 세트 상태로 한다. 또한, 화상 입력 제어부(102)(도 1 참조)로부터, 초기화를 지시하는 카운터 리세트 신호 S163a를 입력한 경우에도, 계수값을「0」으로 한다. 따라서, 기입 블럭 카운터(201)는, 저장 정보(기입 종료 신호 S164)를 계수하여, 해당 계수의 결과를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 하여 유지하는 저장 정보 계수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판독 블럭 카운터(202)는, 부호화부(104)(도 1 참조)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종료 신호 S166를, 후술하는 슬라이스를 단위로서 계수하여, 그 계수값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산기(206)에 출력한다. 계수는 14진법에 따라서 실행되어, 계수값이「14」에 이른 경우, 다음 부호 종료 신호 S164를 입력하였으면, 계수값을「0」으로 하여, 후술하는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를 리세트 상태로 한다. 따라서, 판독 블럭 카운터(202)는, 처리 정보(부호화 종료 신호 S165)를 계수하여, 해당 계수의 결과를 처리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처리 정보 계수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는, 기입 블럭 카운터(201)의 계수 동작이「15」에 상당한 경우, 즉, 기입 블럭 카운터의 계수값이「14」에 도달하고, 다음에 기입 종료 신호를 입력하여 「0」이 된 경우에 세트되고, 판독 블럭 카운터(202)가「15」를 계수한 경우, 즉, 판독 블럭 카운터의 계수값이「14」에 도달하고, 다음에 부호화 종료 신호를 입력하여 「0」이 된 경우에 리세트된다. 그리고, 세트 상태이면 Hi 상태의, 리세트 상태이면 Lo 상태의 신호 S253를 선택기(204)에 출력한다.
선택기(204)는, 값「0」(신호 S254a), 및 값「15」(신호 S254b)를 입력하고,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S253에 근거하여,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것을 가산기(205)에 출력한다. 선택기(204)에 있어서의 선택은, 신호 S253이 Lo 상태인 경우에는「0」을, Hi 상태인 경우에는「15」를 선택하는 것이다.
가산기(205)는, 기입 블럭 카운터(201)에 있어서의 계수값(신호 S251)과, 선택기(204)가 출력하는 값(신호 S256)을 가산하여, 그 결과(신호 S256)를 감산기(206)에 출력한다. 감산기(206)는, 가산기(205)가 출력하는 가산 결과(신호 S256)로부터, 판독 블럭 카운터(202)의 계수값(신호 S252)을 감산한다. 감산기(206)는, 감산에 의해 취득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 S257를, 제 1, 및 제 2 비교부(206, 및 207)에 출력한다. 따라서,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 선택기(204), 및 가산기(205)는, 저장 정보(기입 종료 신호 S164)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허가 신호를 출력하고, 처리 정보(부호화 종료 신호 S165)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금지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 처리 제어 수단과, 가산 허가 신호, 또는 가산 금지 신호에 따라서, 저장 정보 계수값(기입부 블럭 카운터(201)의 계수값)에 대하여, 소정의 값(신호 S255)을 가산 처리하고,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신호 S256)을 생성하는 저장 정보 계수값 변경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감산기(206)는,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신호 S256)으로부터, 상기 처리 정보 계수값(신호 S252)을 감산하여, 부호화가능 단위수(신호 S257)를 생성하는 부호화가능 단위수 생성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제 1, 및 제 2 비교부(207, 및 208)는, 각각 값「0」 및「15」를 나타내는 신호 S256a, 및 S256b를 입력하고, 비교부(206)는 신호 S256a와 S257를, 비교부(207)는 신호 S256b와 S257를 비교하여, 각각 양자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비교부(206)는, 비교 결과에 따라서, 신호 S256a와 S257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 S259를 생성하여, 에러 플래그 유지부(209)에 출력한다. 비교부(207)는, 비교 결과에 따라서, 신호 S256b와 S257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 S260를 생성하여, 엠프리 틀래그 유지부(210)에 출력한다.
에러 플래그 유지부(209)는, 비교부(206)로부터 입력된 신호 S259가「일치」를 나타내는 경우, 즉, 신호 S257가 값「15」인 경우에 세트되고, 화상 입력 제어부(102)(도 1 참조)로부터, 에러 리세트 신호 S163b가 입력된 경우에는 리세트된다. 에러 플래그 유지부(209)로부터는, 세트 상태에서는 Hi 상태의, 리세트 상태에서는 Lo 상태의 에러 플래그 S162가, 화상 입력 제어부(102)에 출력된다(도 1 참조).
엠프티 플래그 유지부(210)는, 비교부(207)로부터 입력된 신호 S260가「일치」를 나타내는 경우, 즉, 신호 S257가 값「0」인 경우에, Hi 상태의 엠프티 플래그 S165를 생성한다. 엠프티 플래그 S165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호화부(104)에 출력된다.
따라서, 제 1 비교부(207)와, 에러 플래그 유지부(209)는, 부호화가능 단위수(신호 S257)를 제 1 소정의 값(신호 S258a)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Hi 상태의 에러 플래그 S162)를 생성하는 제 1 제어 정보 생성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 1 비교부(208)와, 엠프티 플래그 유지부(210)는, 부호화가능 단위수(신호 S257)를 제 2 소정의 값(신호 S258b)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어 정보(Hi 상태의 엠프티 플래그 S165)를 생성하는 제 2 제어 정보 생성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Hi 상태의 에러 플래그 S162는, 입력한 화상 데이타의 저장을 정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저장 정지 정보로서 이용되고, Hi 상태의 엠프티 플래그 S165는, 부호화 처리를 정지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부호화 정지 정보로서 이용된다.
도 3은, 본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포맷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A/D 변환부(10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이산적인 단위 디지탈 데이터로서, 화상에 있어서의 휘도 신호나 색차 신호를 나타내는 화소값을 갖는 화소의 배열로서,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52 화소 × 240 화소가 1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다. 도 3b는, 부호화부(104)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의 처리 단위인, 부호화 블럭을 나타내는 것으로, 부호화 블럭은 16 × 16 화소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1 프레임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수평 방향으로 22개, 수직 방향으로 15개의 부호화 블럭을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도 3c는,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입출력의 단위로 되는 슬라이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1 슬라이스는, 부호화 블럭의 수평 방향 1열의 배열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 22 부호화 블럭, 수직 방향 1 부호화 블럭이 1 슬라이스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1 프레임은 15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슬라이스를 단위로 하여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대한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입출력을 관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위 저장량, 단위 처리량도 1 슬라이스로 된다.
이하에, 도 1, 및 도 2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시스템 리세트가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플래그 생성부(107)(도 1 참조)가 갖는 기입 블럭 카운터(201)(도 2 참조), 및 판독 블럭 카운터(도 2 참조)은 계수값이 0으로 되고,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도 2 참조), 및 에러 플래그 유지부(209)(도 2 참조)는 리세트의 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는 플래그 생성부(107)로부터 출력되는 에러 플래그 S162는 무효 상태, 즉 Lo 상태로 되어 있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플래그 생성부(107)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하는 것으로 된다. 기입 블럭 카운터(201)로부터 가산기(205)에 대해서는, 값 0을 나타내는 신호 S251가 출력된다. 이 경우에는,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는 리세트 상태이기 때문에, 신호 S253는 Lo 상태로 되고, 선택기(204)에 있어서는 값 0이 선택되어, 값 0을 나타내는 신호 S255가 가산기(205)에 출력된다. 가산기(205)에 있어서는 신호 S251(값 0)과 신호 S255(값 0)이 가산되어, 가산 결과인 값 0을 나타내는 신호 S256가 감산기(206)에 출력된다. 한편, 판독 블럭 카운터로부터는, 계수값 0을 나타내는 신호 S252가 감산기(206)에 출력된다. 감산기(206)는, 신호 S256(값 0)로부터 신호 S252(값 0)를 감산하여, 얻어진 결과인 값 0을 나타내는 신호 S257를 비교부(207, 및 208)에 출력한다.
비교부(207)는, 신호 S257(값 0)과, 정수 15를 나타내는 신호 S258a와의 비교를 실행하여, 양 신호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에러 플래그 유지부(209)에 대한 세트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에러 플래그 유지부(209)는 리세트 상태 그대로이고, 출력되는 에러 플래그 S162는 Lo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
한편 비교부(208)에 있어서는, 신호 S257(값 0)과, 정수 0을 나타내는 신호 S258b와의 비교를 실행하여, 양 신호가 일치하기 때문에, 엠프티 플래그 유지부(210)에 대하여「일치」를 나타내는 신호 S260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엠프티 플래그 유지부(210)는 Hi 상태의 엠프티 플래그 S165를 출력한다.
엠프티 플래그 S165가 Hi 상태인 것은,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는, 부호화 대상으로 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엠프티 플래그 S165는, 도 1에 있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호화부(104)에 입력되고, 부호화부(104)는, 엠프티 플래그 S165가 Hi 상태인 경우에는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소정량의 데이터가 저장될 때까지는, 부호화부(104)는 대기 상태에 있는 것으로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화상 처리 장치의 장치 입력인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S151가 입력되면,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S151는 A/D 변환부(101)에 입력되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처리된다. A/D 변환부(101)는, 생성한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2를 화상 입력 제어부(102)에 출력한다. 화상 입력 제어부(102)는, 플래그 생성부(107)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플래그 S162를 판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러 플래그 S162가 무효 상태(Lo 상태)이기 때문에, 화상 입력 제어부(102)는, 입력한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2에 대응하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를, 유효를 나타내는 것으로서(Hi 상태로서) 생성하여,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3과,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를 모두, 메모리 제어부(103)에 출력한다.
메모리 제어부(103)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가 유효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2를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한다.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입력 화상 메모리에 대한 입출력은, 슬라이스(도 3c 참조)를 단위로서 실행되는 것이며, 메모리 제어부(103)는, 1 슬라이스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입력 화상 메모리에 대하여 저장하였으면, 기입 종료 신호 S164를 생성하여, 이것을 플래그 제어부(107)에 출력한다.
플래그 생성부(107)에 있어서는, 기입 종료 신호 S16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입 블럭 카운터(201)에 입력되어, 기입 블럭 카운터(201)는, 그 유지하는 계수값을 1만큼 증가시키는 카운트업 동작을 실행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기입 블럭 카운터(201)의 계수값은 0으로부터 1로 변화하기 때문에, 기입 블럭 카운터(201)로부터 가산기(205)에 대해서는, 값 1을 나타내는 신호 S251가 출력된다.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는 리세트 상태 그대로 있기 때문에, 리세트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S253에 따라서 선택기(204)에 있어서는 값 0이 선택되어, 값 0을 나타내는 신호 S255가 가산기(205)에 출력된다. 가산기(205)에 있어서는 신호 S251(값 1)과 신호 S255(값0)이 가산되어, 가산 결과인 값 1을 나타내는 신호 S256가 감산기(206)에 출력된다. 한편, 판독 블록 카운터는 계수값 0 그대로이고, 값 0을 나타내는 신호 S252가 감산기(206)에 출력된다. 감산기(206)는, 신호 S256(값 1)으로부터 신호 S252(값 0)을 감산하여, 얻어진 결과인 값 1을 나타내는 신호 S257를 비교부(207, 및 208)에 출력한다.
비교부(207)는, 신호 S257(값 1)과, 정수 15를 나타내는 신호 S258a와의 비교를 실행하여, 양 신호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에러 플래그 유지부(209)에 대한 세트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에러 플래그 유지부(209)는 리세트 상태 그대로이고, 출력되는 에러 플래그 S162는 Lo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
한편 비교부(208)에 있어서는, 신호 S257(값 1)과, 정수 0을 나타내는 신호 S258b와의 비교를 실행하여, 양 신호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되었기 때문에, 엠프티 플래그 유지부(210)에 대하여「불일치」를 나타내는 신호 S260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엠프티 플래그 유지부(210)는 Lo 상태의 엠프티 플래그 S165를 출력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화부(104)는, Lo 상태의 엠프티 플래그 S165를 입력되는 것으로 되고, Lo 상태의 엠프티 플래그 S165는,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는 부호화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검출하였으면,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된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메모리 제어부(103)를 거쳐서 부호화부(104)에 의해 판독되고, 부호화부(104)는 입력한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5를 부호화 처리하고, 부호화 데이터 S156를 생성하여, 이것을 레이트 버퍼(106)에 출력한다. 레이트 버퍼(106)로부터는, 일정 레이트로 부호화 데이터 S157가 해당 화상 처리 장치의 장치 출력으로서 외부에 출력된다.
한편, 부호화부(104)는, 1 슬라이스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에 대한 부호화 처리가 종료하였으면, 그것을 나타내는 부호화 종료 신호 S166를 생성하여, 이것을 플래그 생성부(107)에 출력한다. 플래그 생성부(107)에 있어서는, 부호화 종료 신호 S16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독 블럭 카운터(202)에 입력되고, 판독 블럭 카운터(202)는, 그 유지하는 계수값을 1만큼 증가시키는 카운트업 동작을 실행한다.
이것 이후, 화상 입력 제어부(102)는 에러 플래그 S162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러 플래그가 Lo 상태인 동안에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계속 저장된다. 한편, 부호화부(104)는, 슬라이스 단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부호화 처리할 때마다, 엠프티 플래그 S165의 상태를 확인하여, Lo 상태이면,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된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판독하여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플래그 생성부(107)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기입 블럭 카운터(201)는, 메모리 제어부(103)(도 1 참조)로부터 출력되는 기입 종료 신호 S164를 입력할 때마다, 카운트업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계수값이 14에 도달하고, 또한 기입 종료 신호 S164를 입력한 경우에는,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에 대하여 세트 상태를 지시하여, 자신의 계수값을 0으로 한다. 즉,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는, 기입 블럭 카운터(201)에 있어서의 계수값이, 1 프레임을 구성하는 슬라이스수인 15(도 3c 참조)에 상당한 경우에 세트 상태로 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판독 블럭 카운터(202)는, 부호화부(104)(도 1 참조)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종료 신호 S166를 입력할 때마다, 카운트업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계수값이 14에 도달하고, 또한 부호화 종료 신호 S166을 입력한 경우에는,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에 대하여 리세트 상태를 지시하여, 자신의 계수값을 0으로 한다. 즉,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는, 판독 블럭 카운터(202)에 있어서의 계수값이, 1 프레임을 구성하는 슬라이스수인 15(도 3c 참조)에 상당한 경우에 리세트 상태로 되는 것이다.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가 세트 상태가 된 경우, 신호 S253가 Hi 상태로 되기 때문에, 선택기(204)는 값 15를 나타내는 신호 S254b를 선택하여, 값 15를 나타내는 신호 S255를 가산기(205)에 출력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가산기(205)에 있어서, 기입 블럭 카운터(201)의 계수값에 값 15가 가산되어, 그 결과 S256가 감산기(206)에 출력되는 것으로 된다.
감산기(206)에 있어서 취득되는 결과는,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가 리세트 상태이면,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된 슬라이스수」(S251 = S256)와, 「부호화부(104)에서 부호화 처리된 슬라이스수」(S252)의 차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한편,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가 세트 상태이면,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된 슬라이스수 + 15」(S251 + 15 = S256)과, 「부호화부(104)에서 부호화 처리된 슬라이스수」(S252)의 차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차분이 값 0으로 되는 경우에는 엠프티 플래그 S165가 Hi 상태로 되어, 부호화부(104)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를 정지하는 것으로 된다. 한편, 차분이 값 15로 되는 경우에는, 에러 플래그 S162가 Hi 상태로 되어, 화상 입력 제어부(102)가 무효를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를 생성함으로써,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입력 화상 메모리로의 저장이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는, 도 1에 있어서 화상 입력 제어부(102)가 생성하여, 메모리 제어부(103)에 출력하는 신호로서, Hi 상태는「유효임」을 나타내고,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입력 화상 메모리(105)로의 저장을 지시하는 것으로 되며, Lo 상태는「무효임」을 나타내고,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입력 화상 메모리(105)로의 저장을 지시하지 않은 것으로 된다.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3」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과 함께 메모리 제어부(103)에 출력되는, 슬라이스 단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의「기입 블럭 카운터(201)」는, 도 2에 있어서, 기입 블럭 카운터(201)가 유지하는 계수값을 나타낸다. 기입 블럭 카운터(201)는, 도 1에 나타내는 메모리 제어부(103)가 출력하는, 슬라이스 단위로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저장이 실행된 것을 나타내는, 기입 종료 신호 S164를 계수하는 것으로, 계수값은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된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슬라이스수에 상당한다.
도 4, 및 도 5의「캐리 플래그(S253)」는, 도 2에 있어서,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가 세트 상태인지, 리세트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신호 S253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S253는 세트 상태이면 Hi 상태의, 리세트 상태이면 Lo 상태의 신호로 되어, 선택기(204)의 선택을 제어하는 신호로 된다.
도 4, 및 도 5의「엠프티 플래그 S165」는, 도 1에 있어서, 플래그 생성부(107)가 생성하여, 부호화부(104)에 출력하는 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Hi 상태는,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는, 부호화 대상으로 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부호화부(104)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의 정지를 지시하는 것이다. Lo 상태는,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는, 부호화 대상으로 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부호화부(104)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의「에러 플래그 S162」는, 도 1에 있어서, 플래그 생성부(107)가 생성하여, 화상 입력 제어부(102)에 출력하는 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Hi 상태는,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있어서의 오버플로우를 나타내고, 화상 입력 제어부(102)에 대하여「무효임」을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의 생성(입력 화상 메모리(105)로의 저장의 정지)를 지시하는 것이다. Lo 상태는,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있어서의 저장이 가능하는 것을 나타내고, 화상 입력 제어부(102)에 대하여「유효임」을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의 생성(입력 화상 메모리(105)로의 저장의 실행)을 지시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의 「판독 블럭 카운터(202)」는, 도 2에 있어서, 판독 블럭 카운터(202)가 유지하는 계수값을 나타낸다. 판독 블럭 카운터(202)는, 도 1에 나타내는 부호화부(104)가 출력하는, 슬라이스 단위로의 부호화 처리가 실행된 것을 나타내는, 부호화 종료 신호 S166를 계수하는 것으로, 계수값은 부호화 처리된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슬라이스수에 상당한다.
도 4, 및 도 5의「부호화 처리(104)」는, 부호화부(104)에 있어서의 슬라이스를 단위로 하는 부호화 처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부호화 처리에 요하는 시간은, 화상의 성질에 의해 크게 상이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 슬라이스의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긴 경우에도, 짧은 경우에도 있게 된다.
이하에, 도 4의 타이밍도에 따라서, 본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처리를 설명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타이밍 t40까지는, 화상의 유효 영역이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화상 입력 제어부(102)는, Lo 상태의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를 출력하여,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저장은 실행되지 않는다. 타이밍 t40으로부터, 1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3가 입력되어 처리 대상으로 된다. 화상 입력 제어부(102)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에러 플래그 S162가 Lo 상태이므로,「유효임」을 나타내는 Hi 상태의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를 생성하기 때문에,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3는,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된다.
그리고, 1 슬라이스분이 저장될 때마다, 메모리 제어부(103)로부터 플래그 생성부(107)에 대하여, 기입 종료 신호 S164가 출력되기 때문에, 플래그 생성부(107)가 갖는 기입 블럭 카운터(201)는, 신호 S164에 대응한 카운트업 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서는, 1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구성하는 슬라이스(0∼14의 15 슬라이스)가 입력될 때마다, 계수값은 14까지 증가하는 것이다.
1 슬라이스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3가 저장된 타이밍 t41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입 블럭 카운터(201)의 계수값이 0으로부터 1로 변화함으로써, 엠프티 플래그가 Hi 상태로부터 Lo 상태로 변화한다. 따라서, 엠프티 플래그가 Lo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한 부호화부(104)는,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된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판독하여,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1 슬라이스분의 부호화 처리가 종료할 때마다, 부호화 종료 신호 S166가 출력되어, 플래그 생성부(107)가 갖는 판독 블럭 카운터(202)는, 신호 S166에 대응한 카운트업 동작을 실행한다.
타이밍 t41∼t42의 동안에는, 부호화 처리가 신속히 실행되고, t42의 직후에는, 부호화 처리의 대상으로 되어야 할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아직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되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 이른다. 이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감산기(206)가 출력하는 신호 S257의 값이 0으로 되기 때문에, 비교부(208)에 있어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엠프티 플래그가 Hi 상태로 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호화부(104)는, 부호화를 정지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는, 다음 슬라이스가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되었으면, 엠프티 플래그 S165가 Lo 상태로 복귀하여, 다시 부호화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것이다.
타이밍 t43까지,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는, 1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3가 저장된다. 이 때, 기입 블럭 카운터(201)에 있어서는, 계수값 14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 기입 종료 신호 S164를 입력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하는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를 세트 상태로 하여, 자신의 계수값을 0으로 한다. 이에 따라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가 출력하는 신호 S253이 Hi 상태로 되어, 가산기(205)에 있어서, 기입 블럭 카운터(201)의 계수값에 값 15가 가산되는 것으로 된다.
타이밍 t44에 있어서, 2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3가 입력된다. 여기서는 에러 플래그 S162는 Lo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화상 입력 제어부(102)는, 「유효임」을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를 출력하기 때문에, 메모리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입력된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최초의 슬라이스는, 1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부호화 처리 완료된 슬라이스에 중복 기입되어 저장된다. 후속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3의 슬라이스도, 각각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중복 기입되어 저장된다. 이 후, 타이밍 t45에 있어서, 부호화부(104)에서는, 1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부호화 처리가 종료한다. 이 때의 부호화 종료 신호 S166를 입력한 판독 블럭 카운터(202)(계수값 14)는, 도 2에 도시하는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를 리세트하여, 자신의 계수값을 0으로 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신호 S253는, Lo 상태로 되어, 가산기(205)에서는 기입 블럭 카운터(201)에 대한 가산값이 값 15로부터 값 0으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1 프레임분의 용량인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있어서, 1 프레임분의 데이터가 저장된 상태에 도달하더라도, 후속의 1 프레임의 데이터는 슬라이스 단위로 중복 기입되어 처리되는 것으로 되어,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경우와 같이, 곧 1 프레임분이 파기되는 것은 아니다. 즉,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라면, 도 4에 나타내는 예라면 2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부호화 처리되지 않고 폐기되는 것으로 되지만, 본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이러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폐기되지 않고 부호화 처리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단지, 본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도, 에러 플래그를 이용한 제어에 따라서,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파기하는 경우에는 있다. 도 5는 이러한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타이밍 t50로부터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3의 i 프레임째가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되어, 그 후 부호화부(104)가 부호화 처리를 개시한다. 타이밍 t51에 있어서, i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3의 저장이 종료한다. 도 4에 나타내는 경우와 같이,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가 출력하는 신호 S253가 Hi 상태로 되고, 타이밍 t52로부터는,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i + 1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중복 기입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된다. 타이밍 t53에 있어서는, i + 1 프레임째의 11 슬라이스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할 것으로 되지만, 이 시점에서는 i 프레임째의 11 슬라이스째의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처리가 종료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2에 있어서는, 기입 블럭 카운터의 계수값 11과 선택기(204)로부터 출력되는 값 15가 가산기(205)에서 가산되어, 값 26(신호 S256)이 감산기(206)에 출력된다. 한편 판독 블럭 카운터(202)의 계수값은, 값 11로 되어, 값 11을 나타내는 신호 S252가 감산기(206)에 출력된다. 감산기(206)가 취득하는 결과는 26 - 11 = 15로 되고, 값 15의 신호 S257가 비교부(207)에 출력되기 때문에, 에러 플래그 S162는 Hi 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러 플래그 S162가 Hi로 되기 때문에, 화상 입력 제어부(102)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161을「무효임」을 나타내는 Lo 상태로 하기 때문에, 이 후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되는 일없이, 파기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부호화 처리가 종료하지 않고 있는 i 프레임째의 11 슬라이스째 이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중복 기입되는 일없이, 유지된다.
타이밍 t54에 있어서는, 화상 입력 제어부(102)는, 플래그 생성부(107)에 대하여, 카운터 리세트 신호 S163를 출력한다. 도 2에 나타내는 기입 블럭 카운터(201)는, 신호 S163a에 대응하여, 계수값을 0으로 한다.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슬라이스수는, i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구성하는 슬라이스중, 부호화 처리가 이루어질 수 없는 나머지의 슬라이스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타이밍 t55는, 통상적으로 처리가 되어 있었다고 한 경우에, i + 1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저장이 종료하려던 타이밍이다. 이 시점에서,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입력 제어부(102)는, 플래그 생성부(107)에 대하여, 에러 리세트 신호 S163를 출력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러 리세트 신호 S163b는 에러 플래그 유지부(209)에 입력되어, 에러 플래그 유지부(109)의 상태는 세트 상태로부터 리세트 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플래그 생성부(107)로부터 출력되는 에러 플래그는 Hi 상태로부터 Lo 상태로 된다.
또한, 타이밍 t56에서는, 판독 블럭 카운터(202)가 계수값 14를 유지한 상태에서, 부호화 종료 신호 S166가 입력되어,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를 리세트 상태로 변경하여, 자신의 계수값을 0으로 한다. 따라서, 캐리 플래그 유지부(20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S253는 Hi 상태로부터 Lo 상태로 되어, 도 2에 나타내는 가산기(205)에 있어서는, 값 0이 가산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신호 S256과, 신호 S252는 모두 값 0으로 되어, 신호 S257이 값 0으로 되기 때문에, 엠프티 플래그 S165가 Hi 상태로서 출력된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여 부호화부(104)는 부호화 처리를 정지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속의 데이터가 저장될 때까지는 부호화 처리를 정지하는 기간으로 된다.
타이밍 t57에 있어서는, i + 2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53가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되기 때문에, 도 2에 있어서, 기입 블럭 카운터(201)의 계수값이 0로부터 1로 변경되어, 신호 S257의 값도 0으로부터 1로 변화함으로써, 엠프티 플래그 S165는 Lo 상태로 되어 출력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엠프티 플래그 S165가 Lo 상태로 되는 타이밍 t57 이후는 부호화부(104)에 의한 부호화 처리가 재개되어, i + 2 프레임째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실행된다.
본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스 단위로의 중복 기입 저장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부호화 처리의 지연이 일어난 경우에도 2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파기를 실행하지 않은 것이지만,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연이 커져서, 슬라이스 단위로 중복 기입 저장을 실행하면 i 프레임째의 미처리 데이터에 영향이 미치게 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를 실행하여 i + 1 프레임째의 데이터를 부호화 처리의 대상으로 하지 않고, i 프레임째의 데이터를 보호하고, 이어서 i + 2 프레임째의 데이터를 처리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내부에 있어 캐리 플래그를 유지하여, 에러 플래그와 엠프티 플래그를 생성하는 플래그 생성부(107)를 구비함으로써, 부호화부(104)는 엠프티 플래그의 상태에 대응하여 부호화 처리를 개시하기 때문에,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있어서, 1 슬라이스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저장된 후에 부호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1 프레임분(도 3에 나타내는 화상 포맷에서는 15 슬라이스분)의 데이터 저장을 요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와 비교하여, 부호화 처리 개시까지의 지연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실시간성의 용도에 알맞은 것으로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 1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지연 시간의 비교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조건에 따라서, 처리의 대상을 NTSC 방식(1 라인 = 약 63.5 us)으로 하고, 입력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사이즈는 1 프레임이 352 화소 x 240 화소(352 화소× 240 라인), 본 실시예 1의 처리 단위로 되는 슬라이스 사이즈에 대해서는, 1 슬라이스가 352 화소 × 16 화소(352 화소 × 16 라인)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입력 화상 메모리에 있어서의 1 프레임분의 화상 데이타의 저장에 요하는 시간은, 240라인 × 63.5 us로 되어, 약 1ms를 요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1 프레임 저장까지 부호화를 개시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 취입의 개시로부터 부호화 개시까지의 지연 시간은, 상기의 약 15ms로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입력 화상 메모리에 있어서의 1 슬라이스분의 화상 데이타의 저장에 요하는 시간은, 16 라인 × 63.5 us로 되어, 약 1 ms를 요하는 것으로 된다. 이 약 1ms가 부호화 개시까지의 지연 시간으로 되어, 종래의 기술에 의한 경우보다 지연을 크게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대하여, 슬라이스 단위의 관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메모리 용량은 1 프레임분을 저장하기에 충분한 양이면 무방하고, 적어도 2 프레임분의 용량을 요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와 비교하여, 소용량이므로, 장치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플래그 생성부(107)가 캐리 플래그를 유지함으로써,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대하여, 슬라이스 단위로의 중복 기입 처리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부호화 처리가 지연된 경우에도, 프레임 파기를 실행할 가능성을 저감하여, 화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어용의 플래그를 이용하여 화상 처리를 제어하는 것이나, 본 실시예 1에서 이용하는 엠프티 플래그 대신에, 블럭 단위 잔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실시예 2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는, A/D 변환부(601), 화상 입력 제어부(602), 메모리 제어부(603), 부호화부(604), 입력 화상 메모리(605), 레이트 버퍼(606), 및 플래그 생성부(607)를 구비한 것으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S651를 장치 입력으로 하고, 부호화 데이터 S657를 장치 출력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 2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부호화부(604)는, 루프 설정부(6041), 및 인터럽트 처리부(6042)를 내포하는 것이다. 또, 실시예 1의 도 1과 마찬가지로, 실선으로 나타낸 신호는 처리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를, 파선으로 나타낸 신호는 제어를 위한 신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화상 입력 제어부(602)는, 입력한 디지탈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그 유효·무효를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 2의 화상 입력 제어부(60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유효 영역/무효 영역 별로 화상 입력 허가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실시예 1의 입력 화상 제어부(102)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플래그 생성부(607)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플래그를 참조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러 플래그가 무효인(Lo 상태) 경우에는, 「유효임」을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를, 에러 플래그가 유효인(Hi 상태) 경우에는, 「무효임」을 나타내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를 생성한다.
부호화부(604)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소정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부호화부(604)가 내포하는 루프 설정부(6041)는, 후술하는 플래그 생성부(607)로부터 입력하는 블럭 잔수 S665에 근거하여, 연속 실행하는 부호화 처리의 수를 나타내는 루프수를 설정한다. 부호화부(604)가 내포하는 인터럽트 처리부(6042)는, 플래그 생성부(607)로부터 입력하는 에러 플래그에 대응하여, 루프 설정부(6041)가 유지하는 루프수의 재설정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 2의 부호화부(604)는, 입력하는 블럭 잔수 S665의 값이 0이면,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값이 0이 아니면, 루프 설정부(6041)에 있어서의 루프수에 상당하는 슬라이스수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연속 부호화 처리하는 것이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부호화부(104)와 마찬가지로, 1 슬라이스의 부호화 처리가 종료할 때마다, 플래그 생성부(607)에 대하여 부호화 종료 신호 S666를 출력한다.
플래그 생성부(607)는, 메모리 제어부(603)로부터 입력하는 슬라이스 단위의 기입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와, 부호화부(604)로부터 입력하는 슬라이스 단위의 부호화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계수하고, 해당 계수의 결과에 근거하여, 메모리로의 데이터 입출력의 제어에 이용하는 플래그(블럭 잔수와 에러 플래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플래그 생성부(607)는, 부호화 수단(부호화부(604))에 의한 단위 처리량(1 슬라이스)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연속하여 실행할 수 있는 회수를 나타내는 연속 처리 정보(블럭 잔수)를 생성하는 것이다.
A/D 변환부(601), 메모리 제어부(603), 입력 화상 메모리(605), 및 레이트 버퍼(606)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참조 부호(101, 103, 105, 및 107)와 마찬가지이다.
도 7은, 플래그 생성부(607)(도 6 참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그 생성부(607)는, 기입 블럭 카운터(701)와, 판독 블럭 카운터(702)와, 캐리 플래그 유지부(703)와, 선택기(704)와, 가산기(705)와, 감산기(706)와, 제 1, 및 제 2 비교부(707, 및 708)과, 에러 플래그 유지부(709)와, 블럭 잔수 유지부(710)를 구비하고 있다. 블럭 잔수 유지부(710)는, 감산기(705)로부터 출력되는 결과를, 부호화 처리의 대상으로 할 수 있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양을 슬라이스 단위로 나타내는 블럭 잔수(m)으로서 유지한다.
기입 블럭 카운터(701), 판독 블럭 카운터(702), 캐리 플래그 유지부(703), 선택기(704), 가산기(705), 감산기(706), 제 1, 및 제 2 비교부(707, 및 708), 그리고 에러 플래그 유지부(709)는,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참조 부호(201∼209)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 2의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3에 나타내는 화상 데이타를 처리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스템 리세트가 이루어지고, 플래그 생성부(607)(도 6 참조)가 갖는 기입 블럭 카운터(701)(도 7 참조), 및 판독 블럭 카운터(도 7 참조)는 계수값이 0으로 되어, 캐리 플래그 유지부(703)(도 7 참조), 및 에러 플래그 유지부(709)(도 7 참조)는 리세트 상태로 된다. 따라서, 에러 플래그 S662는 무효 상태, 즉 Lo 상태로 되어 출력된다. 또한, 기입 블럭 카운터(201)의 계수값이 0이기 때문에, 신호 S751, S756, 및 S757는 그 어느것도 값 0으로 된다. 따라서, 블럭 잔수 유지부가 유지하는 블럭 잔수 m은 0으로 되어, 값 0을 나타내는 신호 S665가 부호화부(604)에 출력된다. 그리고, 블럭 잔수 S665가 입력된 부호화부(604)는, 그 값이 0이기 때문에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화상 처리 장치의 장치 입력인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S651가 입력되면,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S651는 A/D 변환부(601)에 입력되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처리된다. A/D 변환부(601)는, 생성한 디지탈 화상 데이타 S652를 화상 입력 제어부(602)에 출력한다. 화상 입력 제어부(602)는, 에러 플래그 S162가 무효 상태(Lo 상태)이기 때문에, 입력한 디지탈 화상 데이타 S652에 대응하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661를, 유효를 나타내는 것으로서(Hi 상태로서) 생성하고, 디지탈 화상 데이타 S653과,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661를 모두, 메모리 제어부(603)에 출력한다. 메모리 제어부(603)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661가 유효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 S652를 입력 화상 메모리(605)에 저장하여, 1 슬라이스의 저장이 이루어졌으면, 기입 종료 신호 S664를 플래그 생성부(607)에 출력한다.
도 7에 나타내는, 플래그 생성부(607) 내부에 있어서, 기입 블럭 카운터(201)의 계수값이 0으로부터 1로 되기 때문에, 신호 S751, S756, 및 S757는 값 0으로부터 값 1을 취하는 것으로 되어, 블럭 잔수 m도 0으로부터 1로 변화한다. 신호 S665는 값 1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부호화부(604)에 출력된다. 따라서, 부호화부(604)는,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여, 1 슬라이스분의 부호화 처리가 종료하였으면, 부호화 종료 신호 S666을 플래그 생성부(607)에 출력한다.
부호화부(604)에 있어서는, 0 이외의 값(m)인 블럭 잔수를 나타내는 신호 S665를 입력하였으면, 값 m을 루프수로서 내포하는 루프 설정부(6041)에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1 슬라이스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에 대한 부호화 처리가 종료하였으면, 루프수를 1만큼 감하여, 루프수가 0에 이를 때까지는, 블럭 잔수를 나타내는 신호 S665를 검출하는 일 없이, 다음 1 슬라이스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계속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루프수가 0으로 된 경우에는, 신호 S665의 검출을 실행하고, 블럭 잔수 m을 취득하여, 루프수를 설정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플래그 생성부(607)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신호 S757는, 기입 블럭 카운터(701)의 계수값인(캐리 플래그가 리세트 상태의 경우) 저장된 슬라이스수와, 판독 블럭 카운터(702)의 계수값인 부호화 처리된 슬라이스수와의 차분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값이 블럭 잔수 m으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블럭 잔수 m에 상당하는 슬라이스수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부호화 처리가 되도록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존재하기 때문에, 부호화부(704)는, 블럭 잔수를 새로이 검출하는 일 없이, 블럭 잔수 m에 상당하는 슬라이스수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연속 판독하여 부호화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부호화부(104)는, 1 슬라이스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부호화 처리할 때마다, 엠프티 플래그의 상태를 검출해야 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 2의 부호화부(604)는, 블럭 잔수를 나타내는 신호 S665에 대한 검출 처리는, 루프수가 0으로 되었을 때뿐이고, 검출의 빈도가 작아져서, 보다 효율적인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 이후, 화상 입력 제어부(602)는 에러 플래그 S662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러 플래그가 Lo 상태인 동안에는,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입력 화상 메모리(605)에 계속 저장된다. 한편, 부호화부(60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저장과, 부호화 처리에 대응하여, 플래그 생성부(607)의 기입 블럭 카운터(701)와 판독 블럭 카운터(702)의 계수값은 갱신되어, 차분을 나타내는 신호 S757의 값이 블럭 잔수 m으로 된다. 또한, 캐리 플래그 유지부(703)의 세트·리세트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행되는 것이며, 세트 상태에 있어서는, 가산기(705)에 있어서 기입 블럭 카운터(701)의 계수값에 15가 더해지게 된다. 또한, 신호 S757의 값이 15로 된 경우에는, 에러 플래그 S662가 Hi 상태로 되고, 입력 제어부(602)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를「무효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는 것에 의해,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입력 화상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예 2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블럭 잔수 m」은, 도 7의 블럭 잔수 유지부(710)에 유지되고, 도 6에 있어서 플래그 생성부(607)로부터 부호화부(604)에 출력되는 신호 S665의 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의「화상 입력 허가 신호 S661, 「디지탈 화상 데이타 S653」,「기입 블럭 카운터(701)」,「캐리 플래그 S753」,「에러 플래그 S662」,「판독 블럭 카운터(702)」,「부호화 처리(604」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4, 및 도 5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이하에, 도 8의 타이밍도에 따라서, 본 실시예 2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처리를 설명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타이밍 t80까지는, 화상의 유효 영역이 입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화상 입력 제어부(602)는, Lo 상태의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661를 출력하여, 디지탈 화상 데이타의 저장은 실행되지 않는다. 타이밍 t80으로부터, 1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 S653가 입력되어, 처리 대상으로 된다. 화상 입력 제어부(602)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에러 플래그 S662가 Lo 상태이므로,「유효임」을 나타내는 Hi 상태의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661를 생성하기 때문에, 디지탈 화상 데이타 S653는, 입력 화상 메모리(605)에 저장된다. 그리고, 1 슬라이스분이 저장될 때마다, 메모리 제어부(603)로부터 플래그 생성부(607)에 대하여, 기입 종료 신호 S664가 출력되어, 플래그 생성부(607)가 갖는 기입 블럭 카운터(701)는, 신호 S664에 대응한 카운트업 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서는, 1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구성하는 슬라이스(0∼14의 15 슬라이스)가 입력될 때마다, 계수값은 14까지 증가하는 것이다.
타이밍 t81에 있어서, 블럭 잔수 m은 값 0으로부터 값 1로 된다. 신호 S665를 입력한 부호화부(604)는, 내포하는 루프 설정부(6041)에 루프수 1을 설정하여, 1 슬라이스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루프수를 1만큼 감하기 때문에 루프수는 1로부터 0으로 변경된다. 부호화부(604)는, 루프수가 0으로 되었기 때문에, 타이밍 t82에서 신호 S665를 검출하여, 블럭 잔수 m을 취득한다.
부호화 처리가 신속히 실행되어, 타이밍 t83에서는 블럭 잔수 m이 0으로 된다. 신호 S665를 검출하여 블럭 잔수 m을 취득한 부호화부(604)는, 그 값이 0이므로, 부호화 처리를 정지한다. 부호화부(604)에 의한 부호화 처리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럭 잔수 m이 0으로부터 1로 된 후,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 S665를 검출함으로써 재개된다.
타이밍 t84에 있어서, 부호화부(604)는 블럭 잔수 m = 3를 취득한다. 여기서 루프 설정부(6041)에는, 루프수 3이 설정된다. 그리고 부호화부(604)는,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된 디지탈 화상 데이타 S163의 1 슬라이스분(1 프레임째의 7 슬라이스째)를 부호화 처리하여, 루프수를 1 감하여 2로 한다. 부호화부(604)는 신호 S665를 검출하는 일 없이, 다음 1 슬라이스분(8 슬라이스째)를 부호화 처리하여, 루프수를 1로 한다. 루프수는 0이 아니기 때문에, 다시 부호화부(604)는, 신호 S665를 검출하는 일 없이, 다음 1 슬라이스분(9 슬라이스째)를 부호화 처리하여, 루프수를 0으로 한다. 루프수가 0으로 되었기 때문에, 부호화부(604)는, 신호 S665를 검출하여, 블럭 잔수 m으로서 값 6을 취득한다. 루프수가 6으로 설정되어,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타이밍 t85에서는, 기입 블럭 카운터(701)의 계수값 14의 상태에서, 기입 종료 신호 S663을 입력하기 때문에, 캐리 플래그 유지부(703)는 세트 상태로 되어, 신호 S753는 Hi로 된다. 이에 따라, 플래그 생성부(607) 내부에 있어서, 기입 블럭 카운터(701)의 계수값에 15가 가산되는 것으로 되는 것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1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에 대한 부호화 처리가 종료하고 있지 않고, 거기에 2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입력된 경우에도, 슬라이스 단위로 중복 기입하여 저장하고,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와 같이 2 프레임째의 데이터를 파기하는 것은 아니다.
이 후 타이밍 t86에 있어서는, 판독 블럭 카운터(702)가 계수값 14의 상태에서 부호화 종료 신호 S666를 입력하기 때문에, 캐리 플래그 유지부(703)가 리세트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신호 S753는 Lo 상태로 된다.
본 실시예 2의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러 플래그를 이용한 제어에 따라서,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파기하는 경우가 있고, 도 9는 이러한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타이밍 t90로부터 디지탈 화상 데이타 S653의 i 프레임째가 입력 화상 메모리(605)에 저장되어, 그 후 부호화부(604)가 부호화 처리를 개시한다. 타이밍 t91에 있어서, i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 S653의 저장이 종료한다. 도 8에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캐리 플래그 유지부(703)가 출력하는 신호 S753가 Hi 상태로 되고, 타이밍 t92로부터는, 도 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i + 1 프레임째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중복 기입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된다. 타이밍 t93에 있어서는, i + 1 프레임째의 11 슬라이스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할 것으로 되지만, 이 시점에서는 i 프레임째의 11 슬라이스째의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처리가 종료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러 플래그 S662가 Hi 상태로 되고, 화상 입력 제어부(602)는, 화상 입력 허가 신호 S661를「무효임」을 나타내는 Lo 상태로 하기 때문에, 디지탈 화상 데이타 S653는, 입력 화상 메모리(105)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된다. 따라서, 부호화 처리가 종료하지 않고 있는 i 프레임째의 11 슬라이스째 이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중복 기입되는 일없이, 유지된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카운터 리세트 신호 S663a가 출력되기 때문에, 기입 블럭 카운터(701)의 계수값은 값 0으로 되고, 도 7에 있어서, 신호 S751가 0, 가산기(705)에 있어서, 값 15를 가산하여 얻어진 신호 S756는 값 15로 된다. 감산기(206)에는, 판독 블럭 카운터(702)의 계수값 11이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 S757의 값은 감산 결과인 4로 되어, 블럭 잔수 m도 값 4로 된다.
Hi 상태의 에러 플래그 S66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호화부(604)가 내포하는 인터럽트 처리부(6042)에도 출력되기 때문에, 인터럽트 처리부(6042)는, 블럭 잔수 m을 나타내는 신호 S665를 입력하여 블럭 잔수 m을 취득한다. 부호화부(604) 내부에 있어서는, 블럭 잔수 m을 이용하여, 루프 설정부(6041)가 유지하는 루프수의 재설정이 실행된다. 블럭 잔수 m은, 입력 화상 메모리(605)에 저장되어, 부호화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i 프레임째의 슬라이스의 수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 후 부호화부(604)는, 해당 슬라이스의 수만큼 부호화 처리를 연속 실행하여, 타이밍 t95에 있어서, i 프레임째의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처리가 완료하는 것으로 된다.
한편, 타이밍 t94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러 리세트 신호 S663b(도 7 참조)에 의해서, 에러 플래그 유지부(709)가 리세트 상태로 되어, 에러 플래그 S662(도 9 참조)는 Lo 상태로 된다.
연속 부호화 처리를 종료한 부호화부(604)가 신호 S665에 의해 검출하는, 타이밍 t95에 있어서의 블럭 잔수 m은 값 0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호화부(604)는 부호화 처리를 정지한다. 그 후 i + 2 프레임째의 1 슬라이스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 S653가 저장된 타이밍 t96에 있어서는, 블럭 잔수 m이 값 1로 되기 때문에, 부호화 처리는 재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2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부호화부(604)가 루프 설정부(6041)와, 인터럽트 처리부(6042)를 내포하여, 플래그 생성부(607)가, 에러 플래그와 블럭 잔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하고, 부호화부(604)는 블럭 잔수 m의 값에 대응하여 부호화 처리를 개시하기 때문에, 입력 화상 메모리(605)에 있어서, 1 슬라이스분의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저장된 후에 부호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1 프레임분(도 3에 나타내는 화상 포맷에서는 15 슬라이스분)의 데이터 저장을 요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와 비교하여, 부호화 처리 개시까지의 지연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실시간성의 용도에 알맞은 것으로 된다.
또한, 입력 화상 메모리(605)에 대하여, 슬라이스 단위의 관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메모리 용량은 1 프레임분을 저장하기에 충분한 양이면 무방하고, 적어도 2 프레임분의 용량을 요하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상 처리 장치와 비교하여, 소용량이므로, 장치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플래그 생성부(607)가 캐리 플래그를 유지함으로써, 입력 화상 메모리(605)에 대하여, 슬라이스 단위로의 중복 기입 처리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부호화 처리가 지연된 경우에도, 프레임 파기를 실행할 가능성을 저감하여, 화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는, 부호화부(604)는, 그 내포하는 루프 설정부(6041)가 유지하는 루프수만큼은, 신호 S665의 검출 처리를 실행하는 일없이 부호화 처리를 연속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1 슬라이스분의 부호화 처리마다 엠프티 플래그의 검출을 실행하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처리의 효율이 향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쌍방도, 도 3에 나타내는 포맷의 화상 데이타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수평 352 화소 × 수직 288 화소, 수평 176 화소 × 수직 144 화소, 수평 704 화소 × 수직 240 화소, 수평 704 화소 × 수직 480 화소, 또는 수평 1020 화소× 수직 1152 화소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처리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블럭으로서, 8 화소 × 8 화소의 블럭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경우에는, 실시예 1, 및 2에서 도시하였던, 선택기(204, 또는 704)에 입력하는 정수를 나타내는 신호의 값과, 비교기(207, 또는 707)에 입력하는 기준값을 변경함으로써, 대응가능하고,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처리 대상으로 하는 화상 데이타는, 휘도 데이터, 색차 데이터, RGB 데이터 등을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또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 개시까지의 지연 시간을 저감하기 때문에, 텔레비젼 전화나 카메라 디스플레이 감시 용도 등의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도, 보다 양호한 표시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데이타에 대한 부호화 처리시에 화상 데이타를 일시 축적하는 기억 장치로서, 비교적 소용량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비용이 저렴한 화상 처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호화 처리의 지연에 대응하기 위한 화상 데이타의 파기의 가능성을 저감하여, 파기의 정도가 낮게 되는 것에 의하여 화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입력한 화상 데이타를 일시 기억 수단에 저장하여, 상기 저장한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한 화상 데이타의, 상기 일시 기억 수단으로의 저장을 제어하는 화상 입력 제어 수단과,
    상기 화상 입력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화상 데이타의 상기 일시 기억 수단으로의 저장을 실행하여, 소정의 양인 단위 저장량만큼 저장한 경우에, 그것을 나타내는 저장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제어 수단과,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저장한 화상 데이타를 판독하고, 소정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여, 소정의 양인 단위 처리량만큼 부호화 처리한 경우에, 그것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이 생성하는 저장 정보와, 상기 부호화 수단이 생성하는 처리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화상 입력 제어 수단이 저장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 1 제어 정보와, 상기 부호화 수단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 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제 1 제어 정보로서, 상기 입력한 화상 데이타의 저장을 정지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저장 정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제어 정보로서, 상기 부호화 처리를 정지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부호화 정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제 1 제어 정보로서, 상기 입력한 화상 데이타의 저장을 정지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저장 정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제어 정보로서,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한 상기 단위 처리량의 화상 데이타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연속하여 실행할 수 있는 회수를 나타내는 연속 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저장 정보를 계수하여, 상기 계수의 결과를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저장 정보 계수 수단과,
    상기 처리 정보를 계수하여, 상기 계수의 결과를 처리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처리 정보 계수 수단과,
    상기 저장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허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처리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금지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 처리 제어 수단과,
    상기 가산 허가 신호, 또는 상기 가산 금지 신호에 따라서, 저장 정보 계수값에 대하여, 소정의 값을 가산 처리하고,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을 생성하는 저장 정보 계수값 변경 수단과,
    상기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부터, 상기 처리 정보 계수값을 감산하여,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생성하는 부호화가능 단위수 생성 수단과,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1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제어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2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제어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저장 정보를 계수하여, 상기 계수의 결과를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저장 정보 계수 수단과,
    상기 처리 정보를 계수하여, 상기 계수의 결과를 처리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처리 정보 계수 수단과,
    상기 저장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허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처리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금지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 처리 제어 수단과,
    상기 가산 허가 신호, 또는 상기 가산 금지 신호에 따라서, 저장 정보 계수값에 대하여, 소정의 값을 가산 처리하여,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을 생성하는 저장 정보 계수값 변경 수단과,
    상기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부터, 상기 처리 정보 계수값을 감산하여,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생성하는 부호화가능 단위수 생성 수단과,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1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제어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2 제어 정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입력한 화상 데이타를 일시 기억 수단에 저장하여, 상기 저장한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한 화상 데이타의, 상기 일시 기억 수단으로의 저장을 제어하는 화상 입력 제어 단계와,
    상기 화상 입력 제어 단계에 있어서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화상 데이타의 상기 일시 기억 수단으로의 저장을 실행하여, 소정의 양인 단위 저장량만큼 저장한 경우에, 그것을 나타내는 저장 정보를 생성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상기 일시 기억 수단에 저장한 화상 데이타를 판독하고, 소정의 부호화 처리를 실행하여, 소정의 양인 단위 처리량만큼 부호화 처리한 경우에, 그것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부호화 단계와,
    상기 기억 제어 단계에 있어서 생성된 저장 정보와, 상기 부호화 단계에 있어서 생성된 처리 정보에 따라서, 상기 화상 입력 제어 단계에 있어서의 저장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 1 제어 정보와, 상기 부호화 단계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 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로서, 상기 입력한 화상 데이타의 저장을 정지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저장 정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제어 정보로서, 상기 부호화 처리를 정지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부호화 정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로서, 상기 입력한 화상 데이타의 저장을 정지해야 할 것을 나타내는 저장 정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제어 정보로서, 상기 부호화 단계에 있어서의 상기 단위 처리량의 화상 데이타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연속하여 실행할 수 있는 회수를 나타내는 연속 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저장 정보를 계수하여, 상기 계수의 결과를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저장 정보 계수 단계와,
    상기 처리 정보를 계수하여, 상기 계수의 결과를 처리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처리 정보 계수 단계와,
    상기 저장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허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처리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금지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 처리 제어 단계와,
    상기 가산 허가 신호, 또는 상기 가산 금지 신호에 따라서, 저장 정보 계수값에 대하여, 소정의 값을 가산 처리하여,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을 생성하는 저장 정보 계수값 변경 단계와,
    상기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부터, 상기 처리 정보 계수값을 감산하여,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생성하는 부호화가능 단위수 생성 단계와,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1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제어 정보 생성 단계와,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2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제어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저장 정보를 계수하여, 상기 계수의 결과를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저장 정보 계수 단계와,
    상기 처리 정보를 계수하여, 상기 계수의 결과를 처리 정보 계수값으로서 유지하는 처리 정보 계수 단계와,
    상기 저장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허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처리 정보의 계수 처리가 소정의 회수만큼 실행된 경우에, 가산 금지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 처리 제어 단계와,
    상기 가산 허가 신호, 또는 상기 가산 금지 신호에 따라서, 저장 정보 계수값에 대하여, 소정의 값을 가산 처리하여,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을 생성하는 저장 정보 계수값 변경 단계와,
    상기 처리후 저장 정보 계수값으로부터, 상기 처리 정보 계수값을 감산하여,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생성하는 부호화가능 단위수 생성 단계와,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제 1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제어 정보 생성 단계와,
    상기 부호화가능 단위수를 상기 제 2 제어 정보로 하는 제 2 제어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KR1019997011822A 1997-06-16 1998-06-11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60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58843 1997-06-16
JP15884397 1997-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804A true KR20010013804A (ko) 2001-02-26
KR100360005B1 KR100360005B1 (ko) 2002-11-07

Family

ID=1568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82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0005B1 (ko) 1997-06-16 1998-06-11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90378B1 (ko)
EP (1) EP0989753A4 (ko)
KR (1) KR100360005B1 (ko)
CN (1) CN1144466C (ko)
CA (1) CA2293458C (ko)
TW (1) TW509849B (ko)
WO (1) WO1998058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4336B2 (en) 2001-07-26 2005-08-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rea expansion apparatus, area expansion method, and area expansion program
JP2003046938A (ja) * 2001-07-30 2003-02-14 Fujitsu Ltd 半導体装置
JP2005012494A (ja) * 2003-06-19 2005-01-13 Olympus Corp 画像処理装置
US7719579B2 (en) * 2005-05-24 2010-05-18 Zoran Corporation Digital camera architecture with improved performance
TWI349259B (en) * 2006-05-23 2011-09-21 Au Optronics Corp A panel module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US7812827B2 (en) * 2007-01-03 2010-10-12 Apple Inc. Simultaneous sensing arrangement
JP2009135836A (ja) * 2007-11-30 2009-06-18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ジタル画像無線伝送装置及びその画像データ処理方法、ディジタル画像無線受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画像無線送受信システム
CN101521829B (zh) * 2009-01-23 2014-01-08 浙江大学 一种深度图像序列处理的方法及装置
JP2012138661A (ja) * 2010-12-24 2012-07-19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6212345B2 (ja) * 2013-10-02 2017-10-1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CN112945283B (zh) * 2021-02-05 2022-11-04 浙江禾川科技股份有限公司 绝对编码器的圈数解码方法、装置、系统
CN114347679B (zh) * 2021-12-31 2022-11-29 东莞市启思达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变精度的信号处理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67970A (en) 1986-06-10 1990-04-17 Ichiro Tamitani Real-time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typically executing interframe coding
JP3138264B2 (ja) * 1988-06-21 2001-02-2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H0477119A (ja) 1990-07-17 1992-03-11 Fujitsu Ltd 発生情報制御式画像符号化装置
JP3114228B2 (ja) 1991-04-26 2000-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処理装置
JPH0591494A (ja) 1991-09-26 1993-04-09 Sony Corp 高能率符号化装置
US5499327A (en) * 1992-01-20 1996-03-12 Canon Kabushiki Kaisha Multi-window system which can overlay-display a dynamic image in a specific window
US5544329A (en) 1992-07-31 1996-08-06 Grumman Aerospace Corporation Interface system with memory map locations for holding flags indicating a priority for executing instructions held within messages received by the interface
JP3307703B2 (ja) 1993-01-26 2002-07-2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画像圧縮・伸長装置
US5592641A (en) 1993-06-30 1997-01-0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ly locking write access to blocks in a memory array using write protect inputs and block enabled status
JPH07220091A (ja) * 1994-02-04 1995-08-1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H089368A (ja) 1994-06-21 1996-01-12 Sony Corp 画像処理装置
JPH0816538A (ja) 1994-06-29 1996-01-19 Fujitsu Ltd プロセッサ間通信方式
US5969828A (en) * 1997-03-12 1999-10-19 Minolta Co., Ltd. Digital copying machine, image reading device used in said digital copying machin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ed in thes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58495A1 (en) 1998-12-23
EP0989753A1 (en) 2000-03-29
CA2293458C (en) 2004-11-16
CA2293458A1 (en) 1998-12-23
CN1144466C (zh) 2004-03-31
TW509849B (en) 2002-11-11
US6690378B1 (en) 2004-02-10
CN1260936A (zh) 2000-07-19
KR100360005B1 (ko) 2002-11-07
EP0989753A4 (en) 200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7262B2 (en) Moving image 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macro block which is intra-coded or inter-coded
KR100360005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JP4280353B2 (ja) 符号化装置、画像処理装置、符号化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511669A (ja) 映像データストリームの適応的符号化方法と装置
CN101064849A (zh) 动态图像编码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20050089232A1 (en) Method of video compression that accommodates scene changes
JP2002534919A (ja) テクスチャマッピングエンジンにおける動き補償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3426668B2 (ja) 動画像符号化方法
WO2022116824A1 (zh) 视频解码方法、视频编码方法、相关设备及存储介质
JPH0759096A (ja) ビデオエンコーダ及びデコーダ
US20080031335A1 (en) Motion Detection Device
WO2025001955A1 (zh) 视频编码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7324065B2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撮像装置、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493942B (zh) 動畫像編碼方法、動畫像編碼裝置及動畫像編碼程式
JP2702139B2 (ja) 動画像の予測符号化方式
JPH0221776A (ja) 予測性静止画像エンコーダ・デコーダ
JP5867050B2 (ja) 画像処理装置
US20250133217A1 (en) Method for analysing the change in a video stream for limited-rate and low-latency video coding, and associated device
KR100672376B1 (ko) 움직임 보상 방법
JP2000013802A (ja) フレーム間予測を用いた映像信号符号化装置
JPH06311533A (ja) 動き補償装置
JPH10126784A (ja) 選択的な画素探索を利用したグリッド移動方法および装置
JPH06233277A (ja) 画像符号化装置
JPH04336896A (ja) 動画像蓄積装置
JPH0898177A (ja) 画像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