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13239A - 레일 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239A
KR20010013239A KR19997011230A KR19997011230A KR20010013239A KR 20010013239 A KR20010013239 A KR 20010013239A KR 19997011230 A KR19997011230 A KR 19997011230A KR 19997011230 A KR19997011230 A KR 19997011230A KR 20010013239 A KR20010013239 A KR 20010013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elastic intermediate
intermediate plate
elastic
recess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9997011230A
Other languages
German (de)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브루더미카엘
라브킨미카일
크라우제카를-하인즈
뵘에드가
메르크만게르하르트
슈보브페터
튀벨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푀닉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푀닉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푀닉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1001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23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E01B9/681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2Rail fastenings incorporating resilient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E01B9/681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1B9/683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yered or composi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E01B9/685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E01B9/686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texture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Moving Of Head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푸트와 콘크리트 침목형의 경질 지지체(6) 사이에 위치하고 레일 고정을 위한 스크류(7)에 대한 두 관통구를 가진 탄성 중간판(8)을 포함하는, 고정 철로와 같은 레일 상부 구조물용 레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택 해결책인 직렬 설치를 위해, 탄성 중간판(3)은, 추가 중간층이 레일 푸트 바로 아래 중간판 위에 놓이도록 탄성 중간층(1)과 결합되고, 그래서 중간층(1)은 레일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금속 기저판(2)에 의해 탄성 중간판(3)으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라 중간판(3)은 고무 혼합물로 만들어진 단일편 가황물로 구성되어 있고 신규한 돌출부(활성면)와 요부(비활성면)의 배열과 관련된 세 구조 영역을 갖고, 중앙 구역에 있는 비활성 표면은 양 측구역에 있는 그것보다 더 깊다. 본 발명은 또한 탄성 중간판(3)의 다른 구조적 특징에도 관계된 것이다.

Description

레일 장치{RAIL ARRANGEMENT}
본 발명은, 레일 푸트(rail foot)와 경질 지지체(예컨대 콘크리트 지지판, 강 침목, 콘크리트 침목) 사이에 있고 대체로 레일 고정 나사를 위한 두 관통구를 가진 탄성 중간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 상기 탄성 중간판은, 단일체 가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천연 고무(NR), 에폭시화 천연 고무(ENR), 이소프렌 고무(IR), 부타디엔 고무(BR), 아크릴레이트 고무(ACM),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또는 이들 수종 고무의 배합물, 특히 NR/SBR 배합물 또는 NR/BR 배합물에 기초한 고무 혼합물, 및 충진제, 연화제, 변질 방지제 및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 첨가제와 같은 통상적 혼합 성분들로 제조되어 있으며;
- 상기 탄성 중간판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평면의 상면을 갖고 있으며, 한편 그 하면은 주변 위요 연부를 갖고 있고, 그 연부에는 대체로 레일 횡방향으로 뻗는 적어도 하나의 홈 통로가 있고, 또한 그 연부는,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경면 대칭적 전체 구조를, 실제로는 레일 횡방향 및 레일 종방향으로 뻗는 중앙 평면에 관해 경면 대칭적 구조를 가진 돌출부들과 요부들로 된 계를 둘러싸고 있고, 또한 탄성 중간판의 하면은 대체로는 직접 경질 지지체 위에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 상기 탄성 중간판은 실질적으로 레일 종방향에 대해 평행으로 뻗는 세 구역을 갖고 있고, 중앙 구역은 돌출부와 요부로 된 그 계에 있어 같은 구조로 된 두 측 구역과는 다른 구조를, 실제로는 이 중앙 구역이 두 측구역 보다 큰 고무 탄성 변형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다른 구조를 갖고 있는, 고정된 철로와 같은 레일 상부 구조체를 위한 레일 장치(레일 배치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류의 레일 장치는 EP-A-0 541 884로부터 알려져 있다. 거기에서는 예컨대 탄성 중간판에 포켓 홀 또는 지그재그형 홈을 설치하고, 요부를 형성하는 이들 요소가 양 측구역 내에서 보다 중앙 구역 내에 더 자주 나타나도록 하여, 그 결과 중앙 구역이 양 측구역 보다 더 큰 고무 탄성 변형성을 갖게 할 것이 추천되어 있다.
철로를 통한 승객 장거리 교통의 대부분은, 이미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특히 프랑스, 일본 및 독일과 같은 여러 나라에 있어 소위 고속 선로에서 실현되고 있다. 사실 유럽 내 국내 고속 선로들을, 화물 원거리 수송을 동시에 고려한 가운데(철도의 승객 화물 혼합 이용), 한 국제 연결망으로 결합한다는 차원에서의 그런 철도의 신 건설에 의해, 이 발전은 더욱 계속 진척되고 있다.
전통적인 쇄석 노반과는 달리, 이 고속 선로를, 토루 위, 터널 내 및 교량 위에 있어 오직 소위 "고정 선로"로 구성해야만 보수비용이 정당화되어 보수 없는 장기간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제 최적한 주행 안락성, 선로 연도 사람들에 대한 작은 진동 및 소음 부담, 낮은 동적 차도 응력 및 차도의 높은 활용성을 달성하기 위해, 탄성 중간판에는 다음 요건이 설정되는 것으로, 즉:
- 정적 시컨트 계수(시컨트 강성) Cstat= 10 내지 30 kN/mm,
특히 15 내지 25 kN/mm
(하한 15 kN, 상한 50 kN).
동적 강성 계수 æ≤2.5, 특히 ≤1.5.
이들 요건은 피로 내성 및 내구성(수명)을 고려할 때 TPE 재료에 기초하여 성형체로 제조된 단일체 중간판으로서는 만족될 수 없다. TPE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구조 높이를 현저히 증가시키지 않고는 필요한 사용 수명에 걸쳐 Cstat와 적당한 동적 강성 계수에 관한 상기 설정이 달성될 수 없다. 이들 요건은, 오직 특히 탄성 중간판의 적합한 구조를 고려한 가운데 고무 종 NR, ENR, IR, BR, ACM, SBR, NR/SBR 또는 NR/BR을 사용하여 고무 혼합물로 제조된 가황물(가황 고무)과 조합함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중간판은 청구항 1의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구조적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것으로, 즉 이들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세 구역 내의 요부는 비활성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비활성면은 또한 바닥부를 형성하는데 그 바닥부는 폐쇄된 탄성 중간판의 상면에 대한 경계부가 되고 있으며, 중앙 구역 내의 비활성면은 두 측구역의 비활성면 보다 더 깊게 위치하며;
- 중앙 구역 내의 돌출부의 활성면은 각 측구역 내의 돌출부의 총 면적보다 더 작은 총 면적을 갖고 있으며;
- 양 측구역은 각각 중앙 구역 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청구항 2 내지 27에 언급되어 있다.
도 1은 탄성 중간층과 탄성 중간판으로 된 직렬 연결체를 포함하는 레일 장치를 나타내고(횡단면도),
도 2는 탄성 중간판의 하면을 나타내고(평면도),
도 3은 추가의 탄성 중간판의 하면을 나타내고(평면도),
도 4는 탄성 중간판의 구조 변수를 나타내고(평면도),
도 5는 도 3에 따른 탄성 중간판에서 측정된, 정적 시컨트 계수를 구하기 위한 힘-거리-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대한 부호의 설명.
1 탄성 중간층
2 레일 고정을 위한 기저판
3,3' 탄성 중간판
4 죄임 클램프
5 각도 안내판
6 콘크리트 침목 형태의 경질 지지체(콘크리트 바닥으로 단단히 주조된)
7 침목 나사
8 나사 못
9,9' 주변 위요 연부
10,10' 돌출부
11,11' 돌출부
12,12' 돌출부(부분 12a,12b; 12'a,12'b,12'c를 형성하면서 여러 부분에)
13,13' 돌출부
14,14' 요부
15,15' 요부
16,16' 레일 고정용 구멍
17,17' 홈 통로
18,18' 홈 통로
19 바닥부
20 상면
A 측구역
B 중앙 구역
X 중앙 평면(레일 횡방향)
Y 중앙 평면(레일 종방향)
u 중간판의 총 두께(활성면의 총 높이)
v 측구역(A) 내 비활성면의 깊이
v' 중앙 구역(B) 내 비활성면의 깊이
w 중앙 구역(B) 내 바닥부의 두께.
본 발명을 이하 개략적 도면을 참고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탄성 중간판(3)이 직렬 설치로 탄성 중간층(1)과 결합되어 있는, 상세하게는 중간판 상부의 추가 중간층이 레일 푸트의 바로 하부에 접하도록 되어 있는 레일 장치를 보여 주는데, 중간층(1)은 레일 고정부 역할을 하고 금속으로 된 기초 판(2)에 의해 중간판(3)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탄성 중간층(1)은 대략 레일 푸트와 유사한 폭을 갖고 있다. 탄성 중간판(3)은 중간층(1)에 비해 약 2 배의 소요 면적(부지)을 갖고, 이 두 탄성 중합체계의 총 두께에 관해서는 다음 값이 성립한다:
- 탄성 중간층(1): 최소 7 mm
- 탄성 중간층(3): 최소 10 mm.
직접 경질 지지체(6)(콘크리트 침목) 위에 놓여 있는 탄성 중간판(3)은, 여러 부분으로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들(7)을 위한 개구들을 갖고 있다.
직렬 설치 방식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상 예에서는 탄성 중간판(3)이 탄성 중간층(1) 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직렬 설치의 경우에는 (직렬 설치된 것들의) 합성 스프링 강성(탄성 강성)이 최소의 개별 스프링 강성 보다 항상 작은 것이 유리하다.
이제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중간판(3)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탄성 중간층(1)의 유리한 형상예들에 관해 조금 먼저 언급해야할 필요가 있겠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 즉,
- 중간층(1)은 중간판(3)과 같은 재료에 기초한 단일체 가황물로 구성되어 있다. 고무 성분은 45 내지 75 중량 %, 특히 55 내지 65 중량 %이다.
- 중간층(1)은 대체로 평면적인 상면을 갖고 있으며, 한편 그 하면은 주변 위요 연부를 갖고 그 연부(가장자리)에는 대체로 레일에 대해 횡방향으로 뻗는 적어도 하나의 홈 통로가 있으며, 그 연부는 대체로,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경면 대칭적 전체 구조, 상세하게는 레일 횡방향 및 레일 종방향으로 뻗는 중앙 평면에 관해 대칭적 구조를 가진 돌출부들과 요부들로 된 계를 위요하고 있다. 비활성 평면을 형성하는 요부들은 모두가 대체로 같은 깊이를, 예컨대 낮은 강성의 경우 3 mm의 같은 깊이를 갖는다. 돌출부의 활성면과 주변 위요 연부의 표면은 또한, 이들이 비부하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지지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중간층(1)의 경우 전체 돌출부의 총면적은 요부의 비활성 면의 총면적과 같거나 더 크다.
도 2에 따라서는, 탄성 중간판(3)은 세 구역(A 및 B)을 갖고 있고, 중앙 구역(B)은 돌출부와 요부로 된 계에 있어, 레일 횡방향과 레일 종방향으로 뻗는 중앙 평면(X 및 Y)에서 대체로 경면 대칭의 전체 구조인 가운데, 같은 구조인 두 측구역(A)과는 다른 구조를 갖고 있다.
주변 위요 연부(9)에는 레일 횡방향으로 뻗는 네 개의 홈 통로(18)가 있고, 그 홈 통로는 경우에 따라 침투되는 물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연부(9)는 또한 돌출부와 요부로 된 계를 둘러싼다. 그리고, 중앙 구역(B)의 영역 내에는 서로 분리 배치된 네 개의 돌출부(10)가 있다. 그 외에 중앙 구역(B)은 다시, 레일 종방향으로 뻗는 중앙 평면(Y)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 주변 위요형 연부(9)와 연결된 선반형의 두 돌출부(11)를 갖고 있다.
양 측 구역(A)은 각각 한 큰 기본 돌출부(12)를 갖고 있고, 그 돌출부는 레일 횡 방향으로 뻗는 중앙 평면(X)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주변 위요하는 연부(9)와 연결되어 있으며, 각 기본 돌출부에는 레일 고정용 나사를 위한 관통구(16)가 있다. 또한, 각 기본 돌출부에는 레일 종방향으로 뻗는 두 홈 통로(17)가, 실제로는 2 부분 기본 돌출부(12a 및 12b)를 형성하면서, 배치되어 있다. 기본 돌출부와 주변 위요 연부의 사이에는 추가의 돌출부(13)가 배치되어 있고 이 돌출부는 연부와 연결되어 있지 않고 레일 횡방향으로 그의 최대 길이 치수를 갖고 있다.
도 3은 변형된 탄성 중간판(3')을 표시하고 있다. 그것에 의하면, 중심부의 네 돌출부(10')의 활성 면적은 중앙 구역(B) 내의 선반형의 두 돌출부(11')와 마찬가지로, 도 2에 의한 실시예의 범주에서 보다 훨씬 작게 형성되어 있다. 동시에, 여기서는 요부(14')의 비활성 면적이 현저히 크게 되어 있다.
같은 구조의 두 측 구역(A) 내에 있어 돌출부 위요 배치가 어떻게 되어있는지에 관해 설명하면, 이 위요 배치는 첫째로는 관통구(16')를 가진 기본 돌출부(12')에 여기서는 총 5 개의 홈 통로(17')가 있는 것, 상세히는 5 부분으로 된 기본 돌출부(12'a,12'b 및 12'c)를 형성하면서 5 홈 통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두 번째로는, 기본 돌출부와 주변 위요 연부(9') 사이에 서로 분리 배치된 두 개의 돌출부(13')가 존재하는 것이 또한 특징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3 개의 돌출부(13')(점선 표시)가 존재할 수 있다. 측 구역(A) 내의 돌출부들(13')은 각각 대략 같은 크기의 활성 면적을 갖고, 그 면적은 다시 중앙 구역(B)의 각 돌출부(10')의 면적과 대략 같다.
도 2 및 3에 의한 탄성 중간판(3,3')은 다음의 구조적 특징을 갖고 있다:
- 세 구역(A,B) 내 요부(14,15 및 14',15')의 비활성면들은 동시에 탄성 중간판의 표면에 대한 폐쇄 경계부가 되고 있는 바닥부를 형성하는데, 중앙 구역(B) 내의 비활성면이 두 측구역(A)의 면 보다 깊게 위치해 있다. 이것에 관한 상세한 구조는 도 4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 중앙 구역(B) 내의 돌출부들(10,11 및 10',11')의 활성 면적은 각 측구역(A) 내의 돌출부들(12,13 및 12',13')의 면적보다 더 작은 총면적을 갖는다. 주변 위요 연부(9,9')는 이 면적 관찰에서는 고려에서 제외된다.
- 두 측구역(A)은 각각 중앙 구역(B)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데, 주변 위요 연부(9,9')는 면적 관찰에 산입된다.
- 세 구역(A,B) 내 모든 돌출부(10,11,12,13 및 10',11',12',13')의 활성면의 총 면적은 세 구역(A,B) 내 모든 요부(14,15 및 14',15')의 비활성면의 총 면적과 같거나 또는 작다.
- 중앙 구역(B)은, 레일 푸트의 폭 보다 작은 레일 횡방향의 폭을 갖는다.
- 돌출부(10,11,12,13 및 10',11',12',13')의 활성면 및 주변 위요 연부(9.9')의 표면은, 이들이 비부하 상태에서 하나의 사실상 평평한 지지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이제 도 2에 의한 탄성 중간판(3)에 따라 수 개의 구조 변수를 갖는다. 이것들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 돌출부(10 및 12b)의 활성면의 총 높이를 기준으로 한 판의 총 두께(u)는 적어도 10mm, 특히 10 내지 12mm이다.
- 측구역(A) 내 요부(15)의 비활성면의 최소 깊이(v)는 3 mm, 특히 4 mm이고, 실제로는 불변 깊이(모두가 같은 깊이)(v)의 경우 그렇다.
- 중앙 구역(B) 내 요부(14)의 비활성면의 최소 깊이(v')는, 측구역(A) 내에서의 최소 깊이 보다 적어도 1 mm, 특히 적어도 2 mm 더 크고, 실제로는 여기서도 역시 불변 깊이(v')의 경우 그렇다.
- 중앙 구역(B) 내의 요부(14)의 비활성면과 상면(20) 사이의 바닥부(19)의 최소 두께(w)는 2 mm, 특히 3 mm이다.
도 5는 도 3(점선의 제 3 돌출부(13')는 없는 경우)에 의한 탄성 중간판(3')의 측정 결과(세 측정치의 평균치)를 보여주는데, 종축에는 힘(kN) 또한 횡축에는 거리(mm)를 나타낸다. 이제 정적 시컨트 계수(Secant modulus)는 15kN(하한)과 50kN(상한) 사이의 범위에서 곡선으로부터 20.3 kN/mm로 계산된다.
상기 측정의 기초가 된 탄성 중간판은 55 내지 65 중량 %의 고무 함량을 가진 NR/SBR-배합물로 구성된 것이었다. 160 mm×290 mm의 판 치수의 경우 주변 위요 연부의 폭은 10 mm이었다. 구조 변수(u,v,v' 및 w)에 관해서는 다음 값들이 성립한다:
u = 10 mm
v = 6 mm
v' = 8 mm
w = 2 mm.
측정 결과가 나타내는 것처럼, 서두에서 요구된 정적 시컨트 계수(스프링 강성)가 달성된다.
더욱이, 추가의 연구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 중간판은 동적 강성 계수에 관해서도 서두에서 언급된 요구형을 만족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Claims (27)

  1. 레일 푸트와 경질 지지체(6) 사이에 있고 대체로 레일 고정 나사(7)를 위한 두 관통구(16,16')를 가진 탄성 중간판(3,3')을 포함하고 있으며,
    - 상기 탄성 중간판(3,3')은, 단일체 가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천연 고무(NR), 에폭시화 천연 고무(ENR), 이소프렌 고무(IR), 부타디엔 고무(BR), 아크릴레이트 고무(ACM),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또는 이들 수종 고무의 배합물, 특히 NR/SBR 배합물 또는 NR/BR 배합물에 기초한 고무 혼합물, 및 충진제, 연화제, 변질 방지제 및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 첨가제와 같은 통상적 혼합 성분들로 제조되어 있으며;
    - 상기 탄성 중간판(3,3')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평면의 상면(20)을 갖고 있으며, 한편 그 하면은 주변 위요 연부(9,9')를 갖고 있고, 그 연부에는 대체로 레일 횡방향으로 뻗는 적어도 하나의 홈 통로(18,18')가 있고, 또한 그 연부는,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경면 대칭적 전체 구조를, 실제로는 레일 횡방향 및 레일 종방향으로 뻗는 중앙 평면(X,Y)에 관해 경면 대칭적 구조를 가진 돌출부들(10,11,12,13;10',11',12',13')과 요부들(14,15;14',15')로 된 계를 둘러싸고 있고, 또한 탄성 중간판의 하면은 대체로는 직접 경질 지지체(6) 위에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 상기 탄성 중간판(3,3')은 실질적으로 레일 종방향에 대해 평행으로 뻗는 세 구역(A,B)을 갖고 있고, 중앙 구역(B)은 돌출부와 요부로 된 그 계에 있어 같은 구조로 된 두 측 구역(A)과는 다른 구조를, 실제로는 이 중앙 구역(B)이 두 측구역(A) 보다 큰 고무 탄성 변형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다른 구조를 갖고 있는, 고정된 철로와 같은 레일 상부 구조체를 위한 레일 장치에 있어서,
    - 세 구역(A,B) 내의 요부(14,15; 14',15')는 비활성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비활성면은 또한 바닥부(19)를 형성하는데 그 바닥부는 폐쇄된 탄성 중간판의 상면(20)에 대한 경계부가 되고 있으며, 중앙 구역(B) 내의 비활성면은 두 측구역(A)의 비활성면 보다 더 깊게 위치하며;
    - 중앙 구역(B) 내의 돌출부(10,11; 10',11')의 활성면은 각 측구역(A) 내의 돌출부(12,13: 12',13')의 총 면적보다 더 작은 총 면적을 갖고 있으며;
    - 양 측구역(A)은 각각 중앙 구역(B) 보다 큰 면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탄성 중간판(3,3')에 있어 한 구역(A,B) 내에서의 비활성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깊이(v,v')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탄성 중간층(3,3')에 있어 양 측구역(A) 내에 있는 비활성면(요부(15,15'))의 최소 깊이(v)는 3 mm, 특히 4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중간판(3,3')에 있어 중앙 구역(B) 내 비활성면(요부(14,14'))의 최소 깊이(v)는 양 측구역(A) 내에서의 그것보다 적어도 1 mm, 특히 적어도 2 mm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중간판(3,3')은 돌출부(10,11,12,13; 10',11',12',13')의 활성면의 총 높이를 기준으로 한 총 두께(u) 적어도 10 m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 mm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구역(B) 내의 비활성면(요부(14,14'))과 탄성 중간판(3,3')의 상면(20) 사이의 바닥부(19)의 최소 두께(w)는 2 mm, 특히 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중간판(3,3')에 있어 돌출부(10,11,12,13; 10',11',12',13')의 활성면과 주변 위요 연부(9,9')의 표면은, 이것들이 비부하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지지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 구역(A,B) 내의 모든 돌출부(10,11,12,13; 10',11',12',13')의 활성면의 총 면적은 세 구역(A,B) 내의 모든 요부(14,15; 14',15')의 비활성면의 총 면적과 같거나 또는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중간판(3,3')의 중앙 구역(B)은 중앙 구역의 내부에 배치되어 연부(9,9')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중앙 구역(B)은 서로 분리 배치된 네 돌출부(10,10')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중간층(3,3')의 중앙 구역(B)은, 레일 종방향으로 뻗은 중앙 평면(Y)의 영역에 배치되어 각각 주변 위요 연부(9,9')와 연결되어 있는 두 선반형 돌출부(11,11')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중간판(3,3')의 양 측구역(A)은 각각, 레일 횡방향으로 뻗은 중앙 평면(B)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주변 위요 연부(9,9')와 연결되어 있는 큰 기본 돌출부(12,12')를 갖고 있고, 각 기본 돌출부에는 대체로 레일 고정용 나사(7)를 위한 관통구(16,16')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기본 돌출부(12,12')에는 레일 종방향 및/또는 레일 횡방향으로 뻗은 적어도 하나의 홈 통로(17,17')가, 실제로는 다수 부분으로 된 기본 돌출부(12a,12b,12'a, 12'b,12'c)를 형성하는 가운데,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기본 돌출부(12,12')와 주변 위요 연부(9,9')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연부(9,9')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돌출부(13,13')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기본 돌출부(12)와 주변 위요 연부(9) 사이에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레일 횡방향으로 그의 큰 길이 치수를 가진 단지 하나의 돌출부(13)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기본 돌출부(12)와 주변 위요 연부(9') 사이에는 각각,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돌출부(13')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기본 돌출부(12')와 주변 위요 연부(9') 사이에 배치된 돌출부들(13')은 각각 대략 같은 크기의 활성면을 갖고 있고, 그 활성면은 바람직하게는 중앙 구역(B)의 중앙 영역에 있는 각 돌출부(10')의 활성면과 대략 같은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중간판(3,3')의 중앙 구역(B)은, 레일 푸트의 폭 보다 작은, 실제로는 레일 횡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판(3,3')의 고무 함량은 45 내지 75 중량 %, 특히 55 내지 6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중간판(3,3')이 추가의 탄성 중간층 없이 레일 푸트와 경질 지지체(6)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렬 연결의 범주 내에서 탄성 중간판(3,3')은 탄성 중간층(1)과 결합되어, 실제로는 중간판 상부의 추가의 중간층이 직접 레일 푸트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중간층(1)은 레일 고정 역할을 하는 금속제 기저판(2)에 의해 중간판(3,3')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추가의 탄성 중간층(1)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중간판(3,3')에서와 같은 재료에 기초한 단일체 가황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추가의 탄성 중간층(1)은 실질적으로 평면의 표면을 갖고 있고, 반면에 그의 하면은 대체로 레일 횡방향으로 뻗은 적어도 하나의 홈 통로가 있는 주변 위요 연부를 갖고 있으며, 그런데 그 연부는 실제로는 레일 횡방향 및 레일 종방향으로 뻗은 중앙 평면에 있어 바람직하게는 사실상 경면 대칭의 전체 구조를 가진 돌출부와 요부로 된 계를 둘러싸고 있으며, 비활성면을 형성하는 요부들은 전체가 실질적으로 같은 깊이를 갖고 있고, 또한 돌출부의 활성면과 주변 위요 연부의 표면은 이들이 비부하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지지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추가의 탄성 중간층(1)은 대체로 탄성 중간판의 총 두께(u) 보다 작은 7 mm의 총 두께의 경우 적어도 3 mm의 비활성면의 최소 깊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탄성 중간층(1)의 경우 전체 돌출부의 활성면의 총 면적은 모든 요부의 비활성면의 총 면적과 같거나 또는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26. 제 2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중간판(3,3')은 탄성 중간층(1)에 비해 약 2 배의 면적 수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27. 제 2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성 스프링 강성이 항상 최소의 개별 스프링 강성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장치.
KR19997011230A 1997-06-18 1998-05-28 레일 장치 Withdrawn KR200100132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5638.4 1997-06-18
DE19725638 1997-06-18
DE19744147.5 1997-10-07
DE19744147 1997-10-07
PCT/DE1998/001460 WO1998058125A1 (de) 1997-06-18 1998-05-28 Schienenanordn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239A true KR20010013239A (ko) 2001-02-26

Family

ID=2603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7011230A Withdrawn KR20010013239A (ko) 1997-06-18 1998-05-28 레일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471139B1 (ko)
EP (1) EP0990071B1 (ko)
JP (1) JP2002504203A (ko)
KR (1) KR20010013239A (ko)
CN (1) CN1107767C (ko)
AT (1) ATE239138T1 (ko)
AU (1) AU739329B2 (ko)
DE (2) DE19823812A1 (ko)
ES (1) ES2197484T3 (ko)
HU (1) HUP0004092A3 (ko)
WO (1) WO19980581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847B1 (ko) * 2002-01-02 2004-09-18 (주)석탑엔지니어링 콘크리트 도상 직결매립식 분기부 레일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9558B1 (en) * 1999-11-18 2003-09-16 Bum Chae Jung Support for supporting rail of railway
DE10048787B4 (de) 2000-09-29 2020-05-07 Bwg Gmbh & Co. Kg Lagerung für einen Gleisabschnitt
US7374109B2 (en) * 2006-04-06 2008-05-20 Crown Plastics Company Rail cushion assembly
GB2453575B (en) * 2007-10-11 2011-11-30 Pandrol Ltd Railway rail paid
DE102008028093A1 (de) * 2008-06-13 2009-12-17 Wirthwein Ag Stützpunkt und Befestigung für Schienen auf einer Holzschwelle
DE202008012236U1 (de) * 2008-07-09 2009-04-23 Vossloh-Werke Gmbh Winkelführungsplatte und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WO2012025146A1 (de) * 2010-08-24 2012-03-01 Vossloh-Werke Gmbh Unterlegplatte für ein schienenbefestigungssystem,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verfahren zum sanieren eines schienenbefestigungspunktes
PL2809846T3 (pl) * 2013-01-14 2016-03-31 Greenrail Group S R L Kompozytowy podkład kolejowy
WO2016094965A1 (en) * 2014-12-19 2016-06-23 Sys-Tek Engineering Pty Ltd Rail support system, components and method for control of noise and vibration from ballastless monorail or super narrow gauge railway track systems
CN105527166A (zh) * 2015-12-29 2016-04-27 北京交通大学 一种用于铁路扣件e型弹条受力状态测试的装置
DE102018117453A1 (de) * 2018-07-19 2020-01-23 Schwihag Ag Gleis- Und Weichentechnik Schienenbefestigungssystem
CN110004776A (zh) * 2019-04-09 2019-07-12 扬州华通橡塑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用缓冲橡胶垫及其制备方法
FR3147132A1 (fr) * 2023-03-27 2024-10-04 Vape Rail International En Abrege V.R.I. Semelles de rail fabriquées à partir d’un mélange-maître 100% recycl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2620A (en) * 1929-08-20 1931-02-17 Ralph J Wells Sleeper block for railway rails
US3351283A (en) * 1965-05-18 1967-11-07 Clouth Rhein Gummiwarenfabrik Sound-absorbent railway track
DE2717394C3 (de) * 1977-04-20 1980-10-16 Hoesch Werke Ag, 4600 Dortmund Höhen- und stufenlos seitenverstellbare federnde Schienenbefestigung
US4266719A (en) * 1978-06-30 1981-05-12 Clouth Gummiwerke Aktiengesellschaft Track mounting assembly and sound-damping system therefore
US4254908A (en) * 1979-08-20 1981-03-10 Tokai Rubber Industries, Ltd. Tie-pad assembly
GB2161524B (en) * 1984-07-13 1988-01-06 Pandrol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ail pads and rail assemblies including such pads
DE3720381A1 (de) * 1987-06-19 1989-01-05 Vossloh Werke Gmbh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eisenbahnschienen auf fester fahrbahn
GB2207693A (en) * 1987-08-06 1989-02-08 Costain Concrete Company Limit Concrete railway sleepers
OA09065A (en) * 1987-10-19 1991-10-31 Pandrol Ltd Fastening railway rails.
US5203502A (en) * 1989-06-09 1993-04-20 Mckay Australia Limited Ribbed elastomeric rail pad
ES2114884T3 (es) * 1991-11-15 1998-06-16 Porr Allg Bauges Superestructura de via con entreplaca.
DE4219472C2 (de) * 1992-06-13 2002-02-07 Hilti Ag Einrichtung zum Lagern von Schienen
FR2705108B1 (fr) * 1993-05-10 1995-08-04 Allevard Sa Dispositif de support et de calage d'un rail de chemin de fer.
AT404607B (de) 1993-06-30 1999-01-25 Porr Allg Bauges Gleisoberbau mit schienen
JPH08509533A (ja) 1994-02-19 1996-10-08 フェニック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弾性中間層、特にレール下敷きを製造するための混合ゴムの使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847B1 (ko) * 2002-01-02 2004-09-18 (주)석탑엔지니어링 콘크리트 도상 직결매립식 분기부 레일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97484T3 (es) 2004-01-01
EP0990071B1 (de) 2003-05-02
HUP0004092A3 (en) 2001-05-28
ATE239138T1 (de) 2003-05-15
DE59808177D1 (de) 2003-06-05
DE19823812A1 (de) 1998-12-24
WO1998058125A1 (de) 1998-12-23
CN1260850A (zh) 2000-07-19
HUP0004092A2 (hu) 2001-04-28
AU8431998A (en) 1999-01-04
JP2002504203A (ja) 2002-02-05
US6471139B1 (en) 2002-10-29
EP0990071A1 (de) 2000-04-05
CN1107767C (zh) 2003-05-07
AU739329B2 (en) 200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3239A (ko) 레일 장치
US3289941A (en) Railway track without ballast
US6283383B1 (en) Rail system
AU651720B2 (en) Shock absorber component
US8210444B2 (en) Direct fixation track-mounting assembly
EP0049879B1 (en) Railway sleeper cover
US6027034A (en) Superstructure construction
CA2920961A1 (en) Rail-mounting assembly
CN107805977A (zh) 用于无砟轨道的弹性套靴和弹性垫板组件和无砟轨道
US11248349B2 (en) Pad for a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y
KR100609258B1 (ko) 트랙의 섹션을 위한 지지장치
EP3612677B1 (en) System for fastening a rail, methods for producing a fastening and a support system for a rail and use of a rail fastening system
JP3068525B2 (ja) 軌道用タイパッド
HU223386B1 (hu) Alépítmény sínjárművek vágányaihoz
JPH0118641Y2 (ko)
JP3822420B2 (ja) 砂利道床用コンクリート製まくらぎ
JPH1150402A (ja) 軌道用タイパッド
GB2386882A (en) Rail Track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