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13121A - 지폐처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처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121A
KR20010013121A KR19997011101A KR19997011101A KR20010013121A KR 20010013121 A KR20010013121 A KR 20010013121A KR 19997011101 A KR19997011101 A KR 19997011101A KR 19997011101 A KR19997011101 A KR 19997011101A KR 20010013121 A KR20010013121 A KR 20010013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optical sensor
determination value
sensor
output le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9997011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다시게루
이시다다케시
사카모토유이치
Original Assignee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filed Critical 오까다 마사하루
Publication of KR2001001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12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7Apparatu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or by means responsive to positio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광센서(12)의 출력에서 지폐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값을 지폐삽입시의 대기상태에서의 광센서(12)의 출력에 따라서 결정하고, 메모리(15)에 기억하고, 이 판정값에 따라 지폐의 존재를 검지한다.

Description

지폐처리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APER MONEY}
자동판매기 등의 각종 자동서비스기기에 사용되는 지폐처리장치는 지폐삽입구에서 삽입된 지폐를 반송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벨트를 사용해서 장치내를 반송해서 지폐식별센서의 배치위치를 통과시키고, 이 지폐식별센서의 출력에 따라서 진권이라 판정된 지폐를 일시 보류(에스크로)하고, 그 후에 반환명령이 발행된 경우는 일시 보류한 지폐를 반송모터를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지폐삽입구로 반환하고, 수금명령이 발행된 경우에는 일시 보류한 지폐를 적재기(스태커)에 축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지폐처리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동일 도면에 있어서, 지폐처리장치(50)은 지폐삽입구(51), 지폐반송로(52), 적재기(53), 셔터(54), 셔터모터(55), 지폐반송벨트(56), 풀리(57) 및 (58), 입구센서(59), 광센서(60), 자기센서(61), 지폐통과센서(62)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지폐처리장치(50)에 지폐(70)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우선 지폐(70)을 지폐삽입구(51)에서 삽입한다. 지폐(70)이 삽입되면 입구센서(59)가 이것을 검지해서 셔터모터(55)를 구동시키고 셔터(54)를 개방한다. 셔터(54)가 개방되면 지폐(70)은 도시하지 않은 반송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풀리(57) 및 (58)에 걸려 있는 지폐반송벨트(56)에 의해 지폐반송로(52)내를 반송된다. 지폐반송로(52)내를 반송되는 지폐(70)은 광센서(60) 및 자기센서(61)을 통과할 때 각 센서의 출력에 의해 그의 진위가 판정된다.
광센서(60) 및 자기센서(61)을 통과한 지폐(70)은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위치에서 그의 반송이 정지되어 일시 보류(에스크로)된다. 이 때, 지폐(70)이 위권이라 판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한 반환명령이 발행된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모터를 역회전시키고 지폐(70)을 지폐삽입구(51)에서 배출한다. 한편, 지폐(70)이 일시 보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입할 상품의 선택(자동판매기의 경우) 등을 실행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지폐(70)을 수금해서 축적하는 수금처리를 개시하고, 이것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반송모터가 정회전해서 지폐(70)을 반송하여 적재기(53)에 축적한다.
그러나, 광센서(60)의 출력에서는 삽입된 지폐(70)의 진위 뿐만 아니라 그 존재의 유무를 판정하고 있고, 입구센서(59), 지폐통과센서(62) 등의 출력과 함께 지폐반송로(52) 내에서의 지폐(70)의 위치를 검지하고, 이 검지결과에 따라서 각 제어가 실행되고 있다.
도 9는 지폐처리장치(50)으로 지폐(70)이 삽입되었을 때의 각 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지폐(70)이 지폐삽입구(51)에 삽입되면,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입구센서(59)가 지폐(70)을 검지하고, 이것에 따라서 반송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정회전하고, 지폐(70)의 반송을 개시한다. 지폐(70)이 지폐반송로(52)내를 반송되면 광센서(60)이 이것을 검지하고, 다음에 지폐통과센서(62)가 (70)을 검지한다. 반송되고 있는 지폐(70)이 광센서(60)의 위치를 통과하고, 일시 보류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반송모터가 정지한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서 수금명령이 발행되면 반송모터가 재차 정회전해서 지폐(70)을 적재기(53)에 축적한다.
또, 지폐(70)이 일시 보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에서 반환명령이 발행되면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모터가 역회전하고, 지폐(70)은 지폐삽입구(51)의 방향으로 반송되고, 광센서(60), 입구센서(59)의 위치를 순차 통과해서 지폐삽입구(51)에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지폐처리장치(50)에서는 각 센서의 출력에 따라서 각 부의 제어를 실행하고 있으므로, 각 센서의 출력에 따라서 이상상태를 검지할 수도 있다.
도 10은 이상상태의 검지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지폐의 역류검지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지폐(70)이 일시 보류된 후 축적되는 과정에서 본래 지폐를 검지하는 일이 없는 광센서(60)이 지폐를 검지한 것에 의해, 지폐(70)에 대한 부정한 빼냄이 실행된 것으로 해서 반송모터를 정지시키고 빼냄에 대한 처리가 실행된다.
또, 도 10의 (b)는 지폐걸림 검지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이것은 지폐(7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반송모터가 정회전해서 지폐(70)을 반송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센서(60)이 지폐(70)을 계속해서 검지하고 있는 것에 의해 지폐걸림이 발생한 것으로 해서 반송모터를 정지시키고 지폐걸림에 대한 처리가 실행된다.
그러나, 광센서(60)의 출력레벨은 오염 등에 의해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지폐처리장치(50)은 자동판매기 등에서 사용되므로, 그 설치장소나 환경에 따라 광센서(60)에 오염이 축적되고 그의 출력레벨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통상(오염이 적은 상태)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레벨을 갖는 광센서(60)이 오염의 축적에 의해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시의 출력레벨이 지폐(70)의 유무의 판정값(스레쉬홀드레벨)에 가까워지면, 그 판정결과는 불안정하게 되고, 대기시에는 비교적 안정되어 있던 경우에도 지폐(70)이 삽입되어 통과한 후에 지폐(70)을 검지해 버리는 등의 불안정한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광센서(60)의 출력레벨이 이와 같은 상태로 되면 본래 존재하지 않는 지폐를 검지하게 되고, 각 센서의 출력이 도 10에 도시한 지폐의 역류나 지폐걸림이 발생한 경우와 동일하게 되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가 이상정지 등의 처리를 실행하는 즉 오동작을 일으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사용되는 광센서가 오염의 축적에 의해 그의 출력레벨이 불안정하게 되어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오동작은 상품판매 기회의 일실(逸失)(자동판매기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경우)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불신감이나 트러블의 원인으로도 되어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등의 각종 자동서비스기기에 사용되는 지폐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센서의 오염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지폐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의 제어계통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광센서(12)의 대기레벨과 판정값의 1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지폐처리장치(1)의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위권반환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수금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반환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지폐처리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지폐의 일시 보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지폐처리장치(50)으로 지폐(70)이 삽입되었을 때의 각 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이상상태의 검지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오염에 의한 광센서의 출력레벨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발명의 개시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센서의 오염에 의한 오검지의 발생율을 저감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지폐처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의 제1의 발명에서는 적어도 1개의 광센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지폐의 유무에 따라서 삽입된 지폐의 위치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지폐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삽입된 지폐를 반송해서 받아들이거나 또는 반환하는 지폐처리방법에 있어서, 지폐가 삽입될 때마다 상기 지폐를 판정하는 판정값을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설정한 판정값과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삽입된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정값은 상기 지폐가 삽입되기 직전의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1의 발명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판정값을 제1 판정값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지폐가 삽입될 때마다 설정되는 판정값을 제2 판정값으로 하고, 지폐가 삽입되고 있지 않은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제1 판정값과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고, 지폐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판정값과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4의 발명에서는 적어도 1개의 광센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지폐의 유무에 따라서 삽입된 지폐의 위치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지폐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삽입된 지폐를 반송해서 받아들이거나 또는 반환하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지폐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는 입구센서, 상기 입구센서에 의해 지폐의 삽입이 검지될 때마다 상기 지폐를 판정하는 판정값을 설정하는 설정수단,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판정값을 기억하는 기억수단 및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판정값과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을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비교수단에 의한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삽입된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5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지폐가 삽입되기 직전의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에 따라서 상기 판정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6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미리 설정된 판정값을 제1 판정값으로서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판정값을 제2 판정값으로서 기억하고, 상기 비교수단은 상기 입구센서가 지폐의 삽입을 검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1 판정값과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입구센서가 지폐의 삽입을 검지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2 판정값과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방법 및 장치의 1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의 제어계통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지폐처리장치(1)은 제어부(CPU)(10)과 입구센서(11), 광센서(12), 자기센서(13), (지폐)통과센서(14), 메모리(15), 구동회로(16), 지폐반송모터(17), 동기신호발생부(18), 구동회로(19), 셔터모터(20), 구동회로(21), 적재모터(22)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또, 지폐처리장치(1)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지폐처리장치(50)(도 7 참조)과 마찬가지의 구성이고, 입구센서(11)과 광센서(12), 자기센서(13), 통과센서(14)는 각각 입구센서(59), 광센서(60), 자기센서(61), 지폐통과센서(62)에 대응한다.
메모리(15)는 입구센서(11)과 광센서(12), 자기센서(13), 통과센서(14)의 각 센서의 출력에서 지폐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값 등을 기억하고 있다. 지폐반송모터(17)은 삽입된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지폐반송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이고, 구동회로(16)은 지폐반송모터(17)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이고, 동기신호발생부(18)은 지폐반송모터(17)의 회전과 동기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 동기신호발생부(18)이 발생하는 동기신호는 반송된 지폐의 거리를 나타내는 값으로도 되므로, 동기신호를 계수한 값과 각 센서의 출력에 의한 지폐의 존재위치가 다른 경우에 지폐걸림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셔터모터(20)은 도시하지 않은 셔터를 구동하는 동력이고, 구동회로(19)는 그의 구동회로이다. 적재모터(22)는 일시 보류된 지폐를 도시하지 않은 적재기에 축적하기 위한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는 동력이고, 구동회로(21)은 그의 구동회로이다.
그리고, 이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광센서(12)의 출력에서 지폐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값(스레쉬홀드레벨)을 2가지 설정한다. 판정값 중 한쪽은 미리 설정한 절대레벨인 제1 판정값이고, 다른쪽은 지폐가 삽입되기 직전의 광센서(12)의 대기(출력)레벨에 따라서 결정되는 제2 판정값이다.
도 2는 광센서(12)의 대기레벨과 판정값의 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일 도면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판정값은 미리 설정한 절대레벨이고, 제2 판정값에는 대기레벨에서 일정비율만큼 변화한 값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도 3∼도 6을 참조해서 지폐처리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도 6은 지폐처리장치(1)의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지폐처리장치(1)은 전원이 투입되면 우선 대기상태로 된다(스텝101). 여기에서 입구센서(11)이 지폐를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스텝102에서 NO) 광센서(12)가 제1 판정값으로 지폐를 검지하면(스텝103에서 YES), 지폐처리장치(1)은 이상(異常) 정지한다(스텝 104). 이 이상정지는 지폐가 지폐삽입구를 통과하지 않은 채로 검지된 원인이 전회의 전원 차단시(정전에 의한 전원차단을 포함한다)에 있어서의 지폐걸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광센서(12)는 전원이 투입되고 나서 대기상태를 거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2 판정값을 설정할 수 없으므로 절대레벨인 제1 판정값에 의해 지폐의 검지를 실행하고 있다. 또, 실제로는 지폐걸림이 발생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광센서(12)가 제1 판정값에 의해 지폐를 검지했다고 하면 이것은 광센서(12)의 오염에 의한 오검지이고, 광센서(12)가 대기상태에서 오검지를 일으킬 정도로 오염되어 있으면 청소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이상정지를 하게 된다. 단, 광센서(12)의 출력이 불안정한 경우의 허용범위로서 소정 시간 이상 연속해서 제1 판정값에 의해 지폐가 검지되지 않으면, 지폐의 걸림은 없고, 광센서(12)의 오염도 허용범위내인 것으로 해서 이상정지를 실행하지 않고 다음의 처리로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광센서(12)가 지폐의 존재를 검지하지 않은 채로(스텝 103에서 NO), 입구센서(11)이 지폐의 삽입을 검지하면(스텝102에서 YES), 제어부(10)이 광센서(12)의 대기상태에서의 출력레벨(대기레벨)을 메모리(15)에 기억하고(스텝105), 이것에 따라서 제2 판정값을 결정한다(스텝106).
제2 판정값을 결정하면 제어부(10)은 구동회로(19)를 동작시키고 셔터모터(20)을 동작시켜 도시하지 않은 셔터를 개방하고, 구동회로(16)을 동작시켜 지폐반송모터(17)을 구동하고, 삽입된 지폐의 반송을 개시한다(스텝107). 지폐의 반송이 개시되면 제어부(10)은 광센서(12)의 출력과 제2 판정값에 따라서 검지되는 지폐의 통과를 대기하고(스텝108에서 NO), 지폐의 통과가 검지되면(스텝108에서 YES) 구동회로(16)을 거쳐서 지폐반송모터(17)을 정지시켜 지폐의 반송을 정지하고, 구동회로(19)를 거쳐서 셔터모터(20)을 동작시켜 셔터를 닫는다(스텝109).
이 반송이 정지한 상태는 지폐를 일시보류(에스크로)하고 있는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삽입된 지폐의 진위가 판정된다(스텝110). 진위의 판정은 스텝(107)∼(109)에서 설명한 지폐반송시의 광센서(12)와 자기센서(13)의 출력에 따라서 실행되고, 지폐가 위권이라고 판정되면(스텝110에서NO) 후술하는 위권반환처리가 실행된다(스텝111).
한편, 지폐가 진권이라고 판정되면 제어부(10)은 사용자조작에 따른 수금명령 또는 반환명령이 발행되는 것을 대기하지만(스텝112, 114, 116의 각 스텝에서 NO), 그 동안에 광센서(12)의 출력과 제2 판정값에 따라서 지폐의 역류가 검지되면(스텝112에서 YES), 지폐의 부정한 빼냄이 실행된 것으로 해서 빼냄검지처리인 이상정지가 실행된다(스텝113). 또한, 여기에서는 빼냄검지처리로서 이상정지를 실행하고 있지만, 그밖에
1) 셔터모터(20)을 재동작시키고 셔터를 닫는 방향으로 재구동하는 것
2) 일시 보류된 지폐를 강제적으로 축적(수금)하는 것
3) 일시 보류된 지폐의 상당액을 투입금액에서 강제적으로 감액하는 것
4) 일정시간 동안 지폐의 받아들임을 강제적으로 금지시키는 것 등의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또, 지폐의 역류가 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스텝112에서 NO) 수금명령이 있으면(스텝114에서 YES) 후술하는 수금처리가 실행되고(스텝115), 반환명령이 있으면(스텝116에서 YES) 후술하는 반환처리가 실행된다(스텝117).
다음에, 스텝(111)의 위권반환처리를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위권반환처리가 개시되면(스텝201) 제어부(10)은 구동회로(19)를 동작시키고 셔터모터(20)을 동작시켜 도시하지 않은 셔터를 개방하고, 구동회로(16)을 동작시켜 지폐반송모터(17)을 구동(역회전)하고, 일시 보류되어 있는 지폐의 지폐삽입구 방향으로의 반송을 개시한다(스텝202). 지폐의 반송이 개시되면, 제어부(10)은 광센서(12)의 출력과 제2 판정값에 따라서 검지되는 지폐의 통과를 대기하고(스텝203에서 NO), 지폐의 통과가 검지되면(스텝203에서 YES) 구동회로(16)을 거쳐서 지폐반송모터(17)을 정지시켜 지폐의 반송을 정지하고(스텝204), 반환된 지폐를 사용자가 수취한 것을 입구센서(11)의 출력에서 검지하면 구동회로(19)를 거쳐서 셔터모터(20)을 동작시켜 셔터를 닫고,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스텝205).
다음에, 스텝(115)의 수금처리를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수금처리가 개시되면(스텝301) 제어부(10)은 구동회로(16)을 동작시켜 지폐반송모터(17)을 구동(정회전)하고, 일시 보류되어 있는 지폐의 적재기방향으로의 반송을 개시한다(스텝302). 지폐의 반송이 개시되면 제어부(10)은 광센서(12)의 출력과 제2 판정값에 따라서 검지되는 지폐의 통과를 대기하지만(스텝303, 305에서 NO), 그 동안에 광센서(12)의 출력과 제2 판정값에 따라서 지폐의 역류가 검지되면(스텝303에서 YES) 지폐의 부정한 빼냄이 실행된 것으로 해서 빼냄검지처리인 이상정지가 실행된다(스텝304). 또한, 여기에서의 빼냄검지처리도 상술한 스텝113에서의 빼냄검지처리와 마찬가지로 이상정지 이외의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또, 지폐의 역류가 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스텝303에서 NO) 광센서(12)의 출력과 제2 판정값에 따라서 지폐의 통과가 검지되면(스텝305에서 YES) 구동회로(16)을 거쳐서 지폐반송모터(17)을 정지시켜 지폐의 반송을 정지하고(스텝306), 구동회로(21)을 거쳐서 적재모터(22)를 동작시켜 지폐를 도시하지 않은 적재기에 수납해서 축적하고(스텝307)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스텝308).
다음에, 스텝(117)의 반환처리를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위권반환처리가 개시되면(스텝401) 제어부(10)은 구동회로(19)를 동작시키고 셔터모터(20)을 동작시켜 도시하지 않은 셔터를 개방하고, 구동회로(16)을 동작시켜 지폐반송모터(17)을 구동(역회전)하고, 일시 보류되어 있는 지폐의 지폐삽입구 방향으로의 반송을 개시한다(스텝402). 지폐의 반송이 개시되면 제어부(10)은 광센서(12)의 출력과 제2 판정값에 따라서 검지되는 지폐의 통과를 대기하고(스텝403에서 NO), 지폐의 통과가 검지되면(스텝403에서 YES) 구동회로(16)을 거쳐서 지폐반송모터(17)을 정지시켜 지폐의 반송을 정지하고(스텝404), 반환된 지폐를 사용자가 수취한 것을 입구센서(11)의 출력에서 검지하면 구동회로(19)를 거쳐서 셔터모터(20)을 동작시켜 셔터를 닫고,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스텝405).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는 광센서에 의해 지폐의 유무를 검출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입구센서나 통과센서에 광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오염에 의한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센서의 출력에서 지폐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값을 미리 설정한 제1 판정값 및 지폐삽입시의 대기상태에서의 광센서의 출력에 따라서 결정되는 제2 판정값의 2종류로 설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판정값에 의해 전원투입시의 지폐걸림과 광센서의 오염의 한계를 검지할 수 있고, 제2 판정값에 의해 오검지를 하는 일 없이 삽입된 지폐에 대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제2 판정값은 지폐가 삽입될 때마다 결정되므로, 기온이나 온도의 변화에 의한 결로나 흐려짐 등의 축적되지 않는 일시적인 오염에 대해서도 오검지를 하는 일 없이 지폐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또 이 일시적인 오염에 의해 설정된 제2 판정값은 설정이 실행된 시점에서 삽입된 지폐에 대해서만 유효하므로, 다음회 이후에 삽입되는 지폐의 검지정밀도를 떨어뜨리는 일도 없다.

Claims (6)

  1. 적어도 1개의 광센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지폐의 유무에 따라서 삽입된 지폐의 위치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지폐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삽입된 지폐를 반송해서 받아들이거나 또는 반환하는 지폐처리방법에 있어서,
    지폐가 삽입될 때마다 상기 지폐를 판정하는 판정값을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설정한 판정값과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삽입된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값은 상기 지폐가 삽입되기 직전의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판정값을 제1 판정값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지폐가 삽입될 때마다 설정되는 판정값을 제2 판정값으로 하고,
    지폐가 삽입되고 있지 않은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제1 판정값과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고,
    지폐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판정값과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방법.
  4. 적어도 1개의 광센서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지폐의 유무에 따라서 삽입된 지폐의 위치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지폐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삽입된 지폐를 반송해서 받아들이거나 또는 반환하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지폐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는 입구센서,
    상기 입구센서에 의해 지폐의 삽입이 검지될 때마다 상기 지폐를 판정하는 판정값을 설정하는 설정수단,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판정값을 기억하는 기억수단 및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판정값과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을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비교수단에 의한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삽입된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지폐가 삽입되기 직전의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에 따라서 상기 판정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미리 설정된 판정값을 제1 판정값으로서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판정값을 제2 판정값으로서 기억하고,
    상기 비교수단은 상기 입구센서가 지폐의 삽입을 검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1 판정값과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을 비교하고, 상기 입구센서가 지폐의 삽입을 검지한 상태에서는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3 판정값과 상기 광센서의 출력레벨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KR19997011101A 1998-04-01 1999-03-30 지폐처리방법 및 장치 Ceased KR200100131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872098A JP3806506B2 (ja) 1998-04-01 1998-04-01 紙幣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1998-88720 1998-04-01
PCT/JP1999/001623 WO1999050798A1 (fr) 1998-04-01 1999-03-30 Procede et appareil de traitement de papier-monna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121A true KR20010013121A (ko) 2001-02-26

Family

ID=1395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7011101A Ceased KR20010013121A (ko) 1998-04-01 1999-03-30 지폐처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37356B1 (ko)
EP (1) EP0987658B1 (ko)
JP (1) JP3806506B2 (ko)
KR (1) KR20010013121A (ko)
CN (1) CN1139048C (ko)
AU (1) AU731646B2 (ko)
CA (1) CA2291609C (ko)
DE (1) DE69911341T2 (ko)
WO (1) WO1999050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1980B (en) * 2003-03-14 2006-02-15 Int Currency Tech Power control circuit for use in a vending machine
ES2228259B1 (es) * 2003-06-17 2006-01-16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Dispositivo de control de corriente para su uso en una maquina expendedora.
JP4332379B2 (ja) * 2003-07-29 2009-09-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4630977B2 (ja) * 2004-09-09 2011-02-09 旭精工株式会社 メダル貸出装置におけるメダル貸出方法
JP2009042921A (ja) * 2007-08-07 2009-02-26 Mamiya Op Co Ltd 紙葉類識別機の調光処理方法
DE102009035183A1 (de) * 2009-07-29 2011-02-10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dokumenten
JP4861460B2 (ja) * 2009-09-10 2012-01-2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リーダのカード引抜き防止方法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カードリーダ
JP2012062184A (ja) * 2010-09-17 2012-03-29 Seiko Epson Corp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21039408A (ja) * 2019-08-30 2021-03-1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処理システム、紙幣処理結果同期方法、および紙幣処理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4274A (en) * 1983-10-03 1988-11-15 Kabushiki Kaisha Nippon Coinco Bill device
JPS61229183A (ja) * 1985-04-04 1986-10-1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鑑別装置
JPH0682406B2 (ja) 1989-01-23 1994-10-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データ補正方法
JPH0790949B2 (ja) * 1989-05-16 1995-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用紙検知装置
JPH06111096A (ja) 1992-09-28 1994-04-22 Toshiba Corp 紙葉類判別装置
JPH06139427A (ja) 1992-10-29 1994-05-20 Toyo Commun Equip Co Ltd 複数の光学系を有する紙幣等の識別判定装置に おけるデータ補正方法
US5289011A (en) * 1992-11-30 1994-02-22 Xerox Corporation Sensor control system and method compensating for degradation of the sensor and indicating a necessity of service prior to sensor failure
JP3118099B2 (ja) * 1992-12-03 2000-12-18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JP3105679B2 (ja) * 1992-12-25 2000-11-06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識別装置
GB2279480B (en) * 1993-06-25 1997-04-09 Counchine 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security feature detectors
JP3105725B2 (ja) 1993-12-27 2000-11-06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識別装置
KR0164259B1 (ko) * 1994-03-10 1999-03-20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처리장치
JPH07252021A (ja) * 1994-03-17 1995-10-03 Tec Corp シート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50798A1 (fr) 1999-10-07
CA2291609C (en) 2002-07-02
EP0987658A1 (en) 2000-03-22
CN1139048C (zh) 2004-02-18
CA2291609A1 (en) 1999-10-07
EP0987658A4 (en) 2000-11-08
CN1262759A (zh) 2000-08-09
JPH11288478A (ja) 1999-10-19
DE69911341D1 (de) 2003-10-23
AU2960499A (en) 1999-10-18
AU731646B2 (en) 2001-04-05
JP3806506B2 (ja) 2006-08-09
EP0987658B1 (en) 2003-09-17
DE69911341T2 (de) 2004-06-24
US6437356B1 (en) 200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1008A (en) Fail safe document dispensing system
EP1688892B1 (en) Bill discrimination apparatus
KR20010013121A (ko) 지폐처리방법 및 장치
JPH04308992A (ja) 硬貨処理装置
JPH11224362A (ja) 紙幣取扱装置
JP5176518B2 (ja) 紙幣識別装置
JP3112222B2 (ja) 紙幣処理装置
JP3626289B2 (ja) 貨幣処理装置
JP2002150362A (ja) 紙幣識別機の保守時期通知装置
JPH0615159U (ja) 紙幣搬送機構
JP3225990B2 (ja) 紙幣処理装置
JPH10269400A (ja) 紙幣識別装置
JP2914083B2 (ja) 紙幣識別装置
JPH0462697A (ja) 紙幣識別装置
KR19990026174A (ko) 자동판매기의 지폐걸림 방지 제어 방법
KR20000014487A (ko) 지폐의 이권종 판별기능을 갖춘 계수기
JPH04264997A (ja) 紙幣識別装置
JP2680486B2 (ja) 紙幣計数機
JP3025771B2 (ja) 紙幣取引装置
JPH02230493A (ja) 媒体搬送方式
JP3418642B2 (ja) 紙幣鑑別装置
JPH10232961A (ja) 識別装置
JPS5872289A (ja) 紙幣識別装置の制御方式
JPS5843089A (ja) 紙幣識別機の紙幣搬送制御装置
JPS59109989A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10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5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40419

Appeal identifier: 2002101002400

Request date: 2002062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6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6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1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620

Effective date: 20040419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4041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20620

Decision date: 20040419

Appeal identifier: 2002101002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