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08783A - Method of changing layout in variable apartment house and method of laying pipes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of changing layout in variable apartment house and method of laying pipe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8783A
KR20010008783A KR1019990026773A KR19990026773A KR20010008783A KR 20010008783 A KR20010008783 A KR 20010008783A KR 1019990026773 A KR1019990026773 A KR 1019990026773A KR 19990026773 A KR19990026773 A KR 19990026773A KR 20010008783 A KR20010008783 A KR 20010008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pipe
toilet
typ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7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두환
방의택
윤영종
박치후
김승구
박명규
유동환
고재영
Original Assignee
오시덕
대한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시덕, 대한주택공사 filed Critical 오시덕
Priority to KR1019990026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8783A/en
Publication of KR20010008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783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실과 거실의 단순한 통합이나 분리는 물론 주방과 화장실을 포함하여 각 실의 크기 및 위치까지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아파트에 있어서 입주자의 생애주기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생활상을 고려한 가족구성단계를 초기 가족형, 성장기 가족형, 성숙기 가족형, 축소기 가족형으로 구분하여, 각 가족형에 따라 동일 주호 내의 주거공간에 대한 기본 평면유형으로서 원룸형, 2LDK형, 3LDK형, 2DK형을 제시함을 특징으로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면가변에 따라 화장실과 주방의 배수와 급수 및 급탕을 위하여 완전가변방식 또는 절충가변방식의 배관방법, 바닥난방방법, 전기와 통신등의 배관방법 등을 제시하여 실과 실의 단순한 통합이나 분리는 물론 각 실의 크기 및 위치까지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생애주기에 따른 각 가족형에 적합한 평면을 선택 가변함으로써 안락한 공간을 제공하며, 또한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시켜 재건축을 억제하고 환경공해방지는 물론 불필요한 이주를 막는데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mily composition step considering changing living condition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life cycle of the resident in a variable apartment that can change the size and location of each room, including the kitchen and toilet as well as simple integration or separation of the bedroom and living room The apartments are divided into early family type, growing family type, mature family type, and miniature family type, and the apartment type, 2LDK type, 3LDK type, and 2DK type are presented as basic plane types for residential spaces in the same house according to each family type. It provides a planar variable method of.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iping method of the fully variable or eclectic variable method, floor heating method,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for the drainag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of the toilet and kitchen according to the planar variable, simple integration of the room and the room. This allows you to change the size and position of each thread as well as to separate them. Therefore, by selecting and changing the appropriate plan for each family type according to the life cycle, it provides a comfortable space, and also extends the life of the building to suppress reconstruction,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revent unnecessary migration.

Description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 및 이를 위한 설비배관방법{METHOD OF CHANGING LAYOUT IN VARIABLE APARTMENT HOUSE AND METHOD OF LAYING PIPES THEREFOR}METHODS OF CHANGING LAYOUT IN VARIABLE APARTMENT HOUSE AND METHOD OF LAYING PIPES THEREFOR}

본 발명은 여러세대가 입주하게 되는 공동주택과 같은 동일 규모의 주호내에서 각 세대의 가족구성원이나 생활방식에 따라 가장 적합한 평면구조를 제시하고 또한 이주할 필요없이 입주자의 생애주기에 따라 평면배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 및 이를 위한 급배수와 전기 및 통신 등의 설비배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실과 거실의 단순한 통합이나 분리는 물론 주방과 화장실을 포함하여 각 실의 크기 및 위치까지 변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애주기에 맞춰 주생활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 및 이를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the most suitable fla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amily members or lifestyle of each household within the same size of house, such as multi-family housing, where multiple households are occupi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ar variable method of a variable apartment that can be easily changed, and a method of plumbing facilities such as water supply and drainage,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The size of each room including a kitchen and a bathroom as well as a simple integration or separation of a bedroom and a living room. And it relates to a planar variable method of the variable-type apartment that can facilitate the life of the house in accordance with the life cycle by changing the location and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same.

최근에, 주택난 해소를 위해 집단 주거시설인 아파트(apartment house)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아파트는 일반 단독주택에 비하여 생활이 편리하고 주변환경이 깨긋한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아파트를 포함하여 유사한 오피스텔이나 주상복합건물 등 각종 집단 주거용 건축물에 있어서는 대체로 세대마다 같은 면적과 같은 구조의 주거공간이 제공된다. 그런데, 같은 면적의 주거공간이라 할지라도, 입주자마다 가족구성이나 전통적인 생활방식 및 취향이 각기 다르므로, 세대별로 각 입주자의 특성, 특히 생애주기(life cycle)에 맞추어 이주할 필요없이 내부 구조를 바꿀 수 있는 이른 바 가변형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Recently, an apartment house, which is a group housing facility, has been widely used to solve housing shortages, and apartments have been preferred for various reasons, such as convenience of living and environment surrounding, compared to general single-family homes. In the case of various group residential buildings such as similar officetels or residential complexes including such apartments, residential spaces of the same area and structure are generally provided for each household. However, even in a residential space of the same area, each tenant has a different family composition, traditional lifestyle, and tastes, so that the internal structure can be changed without having to migrat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nant, especially the life cycle. There is a need for a so-called variable design.

이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적용되어 왔던 기존 가변형 주택을 살펴보면,In this regard, if you look at existing variable housing that has been applied so far,

같은 면적의 주거공간을 침실과 거실 등의 실 배치를 달리한 몇 개의 평면 모델을 제시하여 입주자의 선택에 따라 시공하여 주는 평면 주문형 주택이 있었으나, 이는 주호내 각 실의 적정한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예를 들면 거실과 침실을 트거나 구획하는 정도, 즉 단순한 실과 실의 통합 또는 분리에만 그친 소극적 평면 선택 방식이었으며;There were some flat custom houses that provided several flat models with different room layouts such as bedrooms and living rooms, according to the tenant's choice, but this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proper size of each room in the main lake. For example, it was a passive planar selection scheme that opened or partitioned the living room and bedroom, ie, only the integration or separation of the room and the room;

평면 주문형과 같이 몇 개의 평면 모델을 제시하면서 입주자의 선택에 따라 실의 개수를 달리 시공하되 추후에 입주자가 평면을 변경할 수 있게 부분적으로 경량의 가변벽체를 사용하는 융통형 주택은, 가변벽체의 가동성 한계로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Flexible houses that use light weight variable wall parts can be constru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nant's choice while presenting several flat models, such as plan-on-demand, and the tenant can change the plane later. Limitations fail to achieve effectiveness;

소규모 주택에서 점차 큰 규모의 주택으로 이전하기 보다는 인접해 있는 옆세대를 통합하도록 할 의도로 공급된 2호(戶) 1호화(化) 병합형 주택은 통합된 주택의 비효율적인 실 구성과 법적인 제약 그리고 규모 확장에 따른 가격부담 및 실수요자의 인식부족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현실성이 없으며;Rather than move from a smaller house to a larger one, the two-unit merger-type house, which is intended to unite adjacent neighboring households, is an inefficient construction of the integrated house and legal constraints. And unrealistic for various reasons, such as the price burden and lack of awareness of real users due to scale expansion;

골조와 화장실 및 배관이나 배선을 위한 덕트(duct) 등은 주택 공급자가 시공하고 내장의 평면 구성과 마감 공사는 입주자가 임의로 시행하는 골조와 내장 분리 공급형 주택은, 골조와 내장 공사의 시공주체가 달라 공사비 상승을 초래하고, 품질관리의 곤란과 하자 발생시의 책임소재 불분명으로 분쟁발생이 잦은 문제가 있고, 또 주호 밖 공용 부분에 대한 비성실 시공에 따른 조잡시공으로 입주자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리고,Frames and toilets and ducts for plumbing and wiring should be constructed by the housing supplier, and the flat structure and finishing work of the interior should be done by the tenant. In other words, the cost of construction has risen, the quality control and the unsatisfactory responsibility for defects have caused frequent disputes. Is; And,

주로 소형 평형에서 인접한 두 개의 작은 방을 칸막이 벽 대신 수납벽체형 가구를 이용하여 분리, 통합할 수 있게 하는 수납벽체형 주택은 구조체와 수납벽체형 가구와의 접합, 방음, 차광 등에 문제가 발생되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In the small flat, the two adjacent small rooms can be separated and integrated using the storage wall type furniture instead of the partition wall, causing problems such a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storage wall type furniture, soundproofing and shading. It is not working.

한편, 아파트와 같은 대규모 공동주택에 있어서, 종래에는 원가절감과 용적율 제고를 위하여 층고를 최대한 낮출 수 있는 철근콘크리이트 벽식구조방식으로 건조하여 왔고, 도 1a 및 1b와 같이 각 세대의 주거공간을 내력벽(9)으로 구획하고 있었다. 이러한 아파트 구조물에 있어서 내력벽(9)은 아파트 구조물을 지탱해 주는 것이므로 그 위치변경은 구조물 안전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평면을 가변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large multi-unit apartments, such as apartments, in the past, it has been built in a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floor height as much a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volume ratio, and as shown in Figures 1a and 1b the residential space of each generation We partitioned into (9). In such an apartment structure, the bearing wall 9 supports the apartment structure, and thus its position change is impossible for the safety of the structure. Therefore, there was a limit to varying planes.

이같은 철근콘크리이트 벽식구조의 아파트에 있어서의 평면가변을 위해, 종래에는 단지, 도 1a와 같은 평면구조에 있어서의 거실(1)과 작은방(4) 사이 또는 도 1b와 같은 평면구조에 있어서의 주방(5)과 작은방(3) 사이에 각각 제거가능한 비내력벽인 경량의 가변벽체(10,11)을 시공한 바 있다. 즉, 입주자가 필요에 따라 그 가변벽체(10,11)를 제거하여 주방(5)과 작은방(3) 또는 거실(1)과 작은방(4)을 통합하여 넓힐 수 있게 하는 정도의 단순한 실과 실의 통합 또는 분리만이 가능하였을 뿐, 사방이 내력벽(7)으로 둘러싸인 안방(2)과 화장실(6) 및 도 1a의 작은방(3)과 도 1b의 작은방(4) 등은 그 크기의 변경이 불가하였다.In order to change the plane in an apartment of such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conventionally, only the living room 1 and the small room 4 in the plane structure as shown in FIG. 1A or the plane structure as shown in FIG. Between the kitchen (5) and the small room (3) has been constructed of lightweight variable walls (10, 11), which are removable non-bearing walls, respectively. That is, a simple thread that allows the tenant to remove the variable walls 10 and 11 as needed to integrate and expand the kitchen 5 and the small room 3 or the living room 1 and the small room 4. Only the consolidation or separation of the yarns was possible, and the room 2 and the toilet 6 surrounded by the bearing wall 7 on all sides, the small room 3 of FIG. 1A and the small room 4 of FIG. Could not be changed.

이와같이 종래에는 실과 실의 단순한 통합이나 분리만이 가능하였을 뿐, 각 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었기 때문에, 도 1a 도 1b에 나타난 거실(1)과 전면발코니(7), 안방(2)과 전면발코니(7), 그리고 주방(5)과 후면발코니(8)를 불법 확장하는 사례가 발생하여, 법규를 위반하게 됨은 말할 것도 없고, 건축물의 구조 안전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같이 입주자가 살고 있던 집을 가변하는데는 법적, 구조적, 설비적으로 제한을 받음에 따라 부득이 다른 아파트로 자주 이주하게 되는 부작용도 초래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벽식구조에서는 내력벽이 지하의 기초구조물 상에 직접 시공되므로 각 주호주동의 지하공간을 주차장 등으로 활용수 없게 되는 공간 활용상의 단점도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only the simple integration or separation of the yarn and the yarn was possible, the position of each yarn could not be changed. Thus, the living room 1, the front balcony 7, the room 2 and the front balcony shown in FIG. (7) and the case of illegally expanding the kitchen (5) and the rear balcony (8) has occurred, not to mention the violation of the law, the problem of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building is occurring. Changing the house you lived in is restricted by legal,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which inevitably moves to another apartment. In addition, in the wall structure, the bearing wall is constructed directly on the basement structure of the basement, s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e space utilization that the underground space of each main building is not available as a parking lot.

종래에는 또한, 입주자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하는 평면 가변성을 위하여, 철골조 아파트를 구축, 평면의 보다 용이한 가변을 시도한 바 있다. 철골조 아파트는 내력벽 대신 강도있는 철골조로 보와 슬래브를 지지할 수 있어서 철근콘크리이트를 사용한 벽식구 아파트에 비하여 내부평면의 가변이 용이하고 지하공간을 주차장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보유한다.In the related art, steel framed apartments have been constructed for easier variability in planarity to meet the needs of the tenants. Steel-framed apartments can support beams and slabs with strong steel frames instead of bearing walls, which makes it easier to change the interior plane and utilize underground spaces as parking lots compared to wall-type apartments using reinforced concrete.

그러나, 철골조 아파트는 철근콘크리이트의 벽식구조 아파트에 비하여, 첫째, 철골자재비가 고가이며; 둘째, 철골기둥과 연결되는 철골 보의 높이가 높아지고 별도의 천장 설비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층고 증가에 의한 건설원가가 상승되며; 셋째, 내열성능이 철근콘크리이트에 비하여 떨어지므로 화재에 대한 안전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에서는 주로 업무용 빌딩에만 적용하고 있을 뿐, 일반 주거용 아파트에는 그 적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steel-framed apartments are, compared with reinforced concrete walled apartments, firstly, steel frame materials are expensive; Secondly, since the height of the steel beam connected to the steel column should be increased and a separate ceiling facility space should be secure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height of the floor; Thi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 resistance is lower than the reinforced concrete, so there is a lack of safety against fire. Accordingly, construction companies are mainly applying only to commercial buildings, and are avoiding the application to general residential apartments.

한편, 보다 효율적인 평면가변을 위해서는 침실과 거실의 단순한 통합이나 분리는 물론 주방과 화장실을 포함하여 각 실의 크기 및 위치까지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화장실과 주방의 급수와 배수, 난방, 그리고 전기와 통신 등 설비용 배관의 가변성 또한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for more efficient flatnes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ize and location of each room, including the kitchen and the bathroom, as well as the simple integration or separation of the bedroom and living room. Also, the variability of the pipe for the facility such as communication with.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설비배관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ventional facility piping system related to this is as follows.

화장실의 배수설비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변기(12)의 오수관(13)과 세면기(14)의 배수관(15) 및 바닥배수관(16) 등이 있으며, 각 배수관은 바닥슬래브(17)를 관통하여 아래층 화장실의 천장마감재(18) 사이의 공간을 따라 배관되고 수직덕트벽(19)을 관통하여 수직덕트 내부에 시공된 공통오수관(20) 및 공통배수관(21)에 각각 연결되어 있어 화장실의 위치변경이 곤란하였으며,As shown in Fig. 2, the toilet drainage system includes a sewage pipe 13 of the toilet 12, a drain pipe 15 of the wash basin 14, a bottom drain pipe 16, and the like, and each drain pipe includes a bottom slab 17. It is piped along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18 of the downstairs toilet and connected to the common sewage pipe 20 and the common drainage pipe 21 which are constructed inside the vertical duct by penetrating the vertical duct wall 19. It was difficult to change the location of

또한 주방의 배수설비의 경우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대(22) 밑의 배수연결구(23)에서부터 외부 수직덕트의 공통배수관(21)으로 연결되는 주방바닥배수관(24)이 바닥슬래브(17)상의 온돌층(25)에 매설되어 있어, 이 역시 그 위치변경이 곤란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kitchen drainage system,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kitchen floor drain pipe 24 connected to the common drain pipe 21 of the external vertical duct from the drain connector 23 under the sink 22 is bottomed. It is embedded in the ondol layer 25 on the slab 17, which also makes it difficult to change its position.

급수 및 급탕설비에 있어서는, 도 4a에서와 같이 화장실 및 주방의 각 시설물에 연결되는 급수 및 급탕의 바닥매설관(27)이 도 4b와 같이 바닥슬래브(17) 상의 온돌층(25)에 매설된 난방관(26) 밑으로 매설되어 있으며, 특히 화장실의 급수 및 급탕을 위해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돌층(25)에 매설된 바닥매설관(27)에서 벽체에 매설되는 벽체매설관(28)을 경유하여 세면기 등의 각 시설물에 연결되므로 사실상 그 위치변경이 불가하였다.In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facilities, as shown in FIG. 4A, the floor buried pipe 27 of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connected to each facility of the toilet and the kitchen is embedded in the ondol layer 25 on the floor slab 17 as shown in FIG. 4B. The wall buried pipe 28, which is buried under the heating tube 26, is buried in the wall in the floor buried pipe 27 buried in the ondol layer 25 as shown in FIG. It was connected to each facility such as washbasin through the system, so its location was virtually impossible to change.

다음, 난방시스템은 도 6과 같이 거실과 침실 및 주방에 대응하여 난방관 코일부(26a,26b,26c,26d,26e)을 구획하였으므로 내부의 벽체설치부분에 대응하는 비난방영역(29)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평면변경에 따라 그 비난방영역(29)을 거실이나 침실로 이용할 경우 난방에 문제가 된다.Next, since the heating system partitions the heating tube coil parts 26a, 26b, 26c, 26d, and 26e in response to the living room, the bedroom, and the kitchen as shown in FIG. It will exist. Therefore, when the non-banging room area 29 is used as a living room or a bedroom according to the plane change, there is a problem in heating.

한편, 천장측에 배선되는 전등용 전기설비에 있어서는,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주전선관(31)이 천장슬래브(30)에 완전매립되어 있고, 실별 전등(33)을 접속하기 위한 모든 분기전선관(31a) 및 분기접속박스(32)도 천장슬래브(30)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실의 위치나 크기가 변경될 때 분기전선관(31a)의 길이조정 및 분기접속박스(32)의 증개설이 거의 불가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electric equipment for electric lights wired to the ceiling side,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main electric wire tube 31 is completely embedded in the ceiling slab 30, and all the branch electric wire tubes for connecting the real lamps 33 are connected. Since the 31a and the branch connection box 32 are also embedded in the ceiling slab 30, it is almost im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ranch conduit 31a and enlarge the branch connection box 32 when the position or size of the seal is changed. It was.

또한 기타 전열용 전기설비 및 TV와 전화선을 위한 통신설비에 있어서는, 도 8a 및 도 8b와 같이 바닥슬래브(17)에 주전선관(35)을 묻고 실구분 벽체(34)에 연결전선관(36)을 상향으로 매설하여(단, 주방 후드용 전열 전선관의 경우는 천장슬래브에서 벽체로 하향배관함) 콘센트(37) 등의 전기나 통신기기의 각 접속기구로 배관되므로 이 역시 평면가변을 위해 벽체를 옮길 때 문제가 된다.In addition, in other electric heating facilities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for TV and telephone lines, the main wire pipe 35 is buried in the floor slab 17 and the connection wire pipe 36 is connected to the actual division wall 34 as shown in FIGS. 8A and 8B. Since it is buried upward (in the case of electric heating conduit for the kitchen hood, it is piped downward from the ceiling slab to the wall), it is piped to each connection device of the electrical or communication equipment such as the outlet 37. When it matters.

이와같이 종래에는 각종 설비용 배관시스템조차 평면가변에 큰 장애가 되고 있어 실질적인 평면가변이 어려웠던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ven in a conventional pipe system for various equipments, the planar variable becomes a big obstacle, and thus the planar variable is difficult.

이주할 필요없이 동일 주호 내에서 생애주기 변화에 따른 평면의 가변을 위해서는 생애주기 각 단계별 평면유형에서의 주거환경 요구와 생활방식의 특성을 고려하여 평면유형 상호간의 변경에 대한 호환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실과 실의 단순한 통합과 분리 뿐만 아니라 각 실의 크기나 위치변경이 용이한 구조시스템이 선행되어야 한다.In order to change the plane according to the life cycle change in the same issue without having to migrate,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plane types should b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lifestyle of the plane type at each stage of the life cycle. To this end, not only simple integration and separation of threads and threads, but also a structural system that is easy to change the size or position of each thread should be preceded.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형 아파트의 구조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주할 필요없이 입주자의 생애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가족구성원이나 주거환경 요구와 생활방식의 특성에 따라 동일 주호의 주거공간의 평면구조를 최적의 유형으로 가변할 수 있게 하는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o the structural system of the variable apartment, the plan structure of the residential space of the same main hous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members or the living environment requirements and lifestyle changes according to the life cycle of the tenant without having to migrate It is to provide a planar variable method of the apartment that can be changed to the optimum typ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주할 필요없이 생애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가족구성원이나 주거환경 요구와 생활방식의 특성에 따라 동일 주호의 주거공간의 평면구조를 최적의 유형으로 가변할 수 있게 하는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을 위하여 화장실과 주방의 급수 및 배수, 바닥난방, 그리고 전기와 통신선로의 배선 등 각종 설비용 배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mal type of flat structure of a residential space of the same main house according to the life cycle of the family member or the needs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style, which do not require migration. To provide a planar variable method, it is to provide piping methods for various facilities such as water supply and drainage of toilets and kitchens, floor heating, and wiring of electric and communication lines.

도 1a 및 1b는 종래의 전형적인 3LDK형 평면구조를 보인 평면도.Figure 1a and 1b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ypical 3LDK type planar structure.

도 2는 종래의 화장실 아래층 천장측에 시설된 오수 및 배수설비를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wage and drainage facilities installed on the ceiling side downstairs conventional toilet.

도 3a 및 3b는 종래의 주방 바닥 온돌층에 매설된 배수설비를 보인 평면도와 단면도.3a and 3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age facility embedded in a conventional kitchen floor ondol floor.

도 4a 및 4b는 종래의 화장실과 주방 바닥 온돌층에 매설된 급수 및 급탕배관설비를 보인 평면도와 단면도.Figure 4a and 4b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facilities buried in the floor on the floor of the conventional toilet and kitchen.

도 5는 종래의 화장실 벽체에 매설되는 급수 및 급탕을 위한 배관의 수직배관도.Figure 5 is a vertical piping diagram of the pipe for water supply and hot water embedded in a conventional toilet wall.

도 6은 종래의 바닥난방배관설비를 보인 평면도.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loor heating piping equipment.

도 7a 및 도 7b는 종래의 천장측 슬래브에 매설되는 전등용 전기배선설비를 보인 평면도와 단면도.7A and 7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ic wiring apparatus for a lamp embedded in a conventional ceiling-side slab.

도 8a 및 도 8b는 종래의 바닥 슬래브에 매설되는 전열용 전기배선설비와 TV 및 전화 등의 통신배선설비를 보인 평면도와 단면도.8A and 8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wiring equipment such as electric heating equipment and TV and telephone embedded in a conventional floor slab.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에 의해 여러 가지 평면구조가 적용되어 있는 가변형 아파트의 4호조합 주동건물을 보인 평면도.9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building No. 4 combination of the variable apartment is applied to the various planar structure by the planar variable method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내지 도 10g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에 의하여 생애주기 변화에 대응하여 계획된 가변평면중 초기 가족형에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원룸형 평면구조를 예시한 평면도.10A to 10G are plan views illustrating various one-room planar structures for providing the initial family type among the variable planes planned according to the life cycle change by the planar variable method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에 의하여 생애주기 변화에 대응하여 계획된 가변평면중 성장기 가족형에 제공하기 위한 2LDK형 평면구조를 예시한 평면도.Figure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2LDK type planar structure for providing to the growth type family type of the planar variable plan corresponding to the life cycle change by the planar variable method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에 의하여 생애주기 변화에 대응하여 계획된 가변평면중 성숙기 가족형에 제공하기 위한 3LDK형 평면구조를 예시한 평면도.1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3LDK-type planar structure for providing to a mature family type of the variable plan planned in response to a life cycle change by the planar variable method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에 의하여 생애주기 변화에 대응하여 계획된 가변평면중 축소기 가족형에 제공하기 위한 2DK형 평면구조를 예시한 평면도.Figure 1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2DK type planar structure for providing to the reducer family type of the variable plan in accordance with the life cycle change by the planar variable method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화장실의 완전가변방식 오수 및 배수설비를 보인 평면도와 단면도.14a to 14c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ully variable sewage and drainage system of the toilet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planar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 내지 도 15f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화장실의 절충가변방식 오수 및 배수설비를 보인 평면도와 단면도.15a to 15f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clectic variable sewage and drainage system of the toilet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planar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주방의 가변방식 배수설비를 보인 평면도와 단면도.16a and 16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riable drainage system of the kitchen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planar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하여 3LDK형 평면구조에 알맞게 절충가변방식으로 시공된 화장실 및 주방의 급수 및 급탕배관설비를 예시한 평면도.1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facility of a toilet and a kitchen constructed in an eclectic variable manner according to the 3LDK type flat structure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flat variable of th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하여 2LDK형 및 2DK형 평면구조에 알맞게 절충가변방식으로 시공된 화장실 및 주방의 급수 및 급탕배관설비를 예시한 평면도.1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lumbing system of a bathroom and a kitchen constructed in an eclectic variable manner according to a 2LDK type and a 2DK type planar structure by a facility piping method for a planar variable of a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하여 원룸형 평면구조에 알맞게 절충가변방식으로 시공된 화장실 및 주방의 급수 및 급탕배관설비를 예시한 평면도.1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facilities of the toilet and the kitchen constructed in an eclectic variable manner according to the one-room planar structure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flat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절충가변방식 급수 및 급탕배관설비의 당해층 바닥 온돌층에 설치되는 배관연결박스의 시공상태를 보인 단면도.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the pipe connection box installed on the floor ondol floor of the eclectic variabl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planar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절충가변방식 급수 및 급탕배관설비의 당해층 바닥 온돌층에 설치되는 배관연결박스의 박스몸체와 덮개를 분리한 사시도.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x body and a cover separated from the box body of the pipe connection box installed on the floor ondol floor of the eclectic variabl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planar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절충가변방식 급수 및 급탕배관설비의 당해층 천장 및 벽체에 대한 배관도를 나타낸 평면도.22 is a plan view showing a piping diagram for the ceiling and the wall of the floor of the eclectic variable typ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equipment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planar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절충가변방식 급수 및 급탕배관설비의 견양도.Figure 23 is a gyeonyangdo of the eclectic variable system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facility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planar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완전가변방식 급수 및 급탕배관설비가 무량판 천장측 슬래브와 마감재 사이에 노출배관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2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ully variable typ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facility exposed by a flat plate ceiling side slab and the finishing material exposed pipe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flat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완전가변방식 급수 및 급탕배관설비가 내부보가 있는 천장측 슬래브와 마감재 사이에 노출배관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2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ully variable typ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facilities exposed between the ceiling-side slab and the finishing material with the interior beams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planar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절충가변방식 급수 및 급탕배관설비가 내부보가 있는 바닥측 슬래브상의 온돌층에 배관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2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clectic variabl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facility by the piping system for the planar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iped to the ondol layer on the floor side slab with an internal beam.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바닥난방설비의 배관상태를 보인 평면도.27 is a plan view showing a piping state of the floor heating equipment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variable plan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바닥난방설비의 배관이 내부보가 있는 바닥측 슬래브상의 온돌층에 매설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2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pe of the floor hea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flat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ried in the ondol layer on the floor side slab with the internal beam.

도 29a 및 29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가변방식 전등용 전기설비를 위한 주전선관과 분기박스의 배치시스템을 보인 평면도와 단면도.29A and 29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ayout system of a main cable line and a branch box for an electric fixture for a variable type lamp according to a facility piping method for a plane variable of a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가변방식 전등용 전기설비 배선의 견양도.30 is a view of the electrical equipment wiring for the variable-type electric lamp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variable plan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1a 및 31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가변방식 전등용 전기설비를 위한 전기공통시설 연결 콘크리트매설 배관의 평면도와 단면도.31A and 31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buried concrete connection pipe for the electric common facility for the electric installation for the variable-type electric lamp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planar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가변방식 전등용 전기설비를 위한 전기공통시설 연결 콘크리트매설 배관의 견양도.Fig. 32 is a view of the electric common facility connection concrete buried concrete buried pipes for electric installations for the variable-type electric lamps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planar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3a 및 도 33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가변방식 전열용 전기설비 및 TV와 전화 등의 통신설비의 주전선관 및 분기박스 배치시스템을 보인 평면도와 단면도.33A and 33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electric conduit pipe and a branch box arrangement system of a variable type electric heating facility and a communication facility such as a TV and a telephone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changing the plane of a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에 의한 가변방식 전열용 전기설비 및 TV와 전화 등의 통신설비를 위한 견양도.34 is a view of the variable type electric heating equipment and the communication equipment such as TV and telephone by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flat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 코어 102 : 주거공간101: core 102: residential space

103 : 내부기둥 104 : 비내력벽103: inner pillar 104: non-bearing wall

111 : 거실 112 : 안방111: living room 112: the main room

115 : 주방 116 : 화장실115: kitchen 116: toilet

117 : 파우더룸 118 : 드레스룸117: Powder Room 118: Dressing Room

119 : 침대공간 120,127 : 대변기119: Bed space 120,127: Toilet bowl

122,128 : 오수관 123,133,139 : 배수관122,128: Sewage pipe 123,133,139: Drainage pipe

125 : 수직덕트 벽체 126 : 연결구125: vertical duct wall 126: connector

129 : 바닥슬래브 130 : 온돌층129 floor slab 130: ondol floor

132 : 세면기 138 : 주방 개수대132: wash basin 138: kitchen sink

140 : 급수,급탕관 141,142 : 연결박스140: water supply, hot water supply pipe 141,142: connection box

145 : 덮개 160 : 천장슬래브145 cover 160: ceiling slab

161 : 보 171 : 난방관161: Bo 171: heating tube

180,190 : 주전선관 181,191 : 분기박스180,190: Main line cable 181,191: Branch box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동일규모와 동일구조체의 주호 내에서 다양한 가족형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입주자의 가족구성원이나 생활방식 및 취향에 따라 복수의 생활상을 상정한 여러 가지 평면구조를 가족구성 단계별로 유형화하고, 특히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시켜 재건축의 추진을 억제하고 환경공해를 방지하며 불필요한 이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입주자의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구성원의 변화에 대응하여 그 유형화된 평면 상호간 변경이 가능토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애주기 변화에 대응한 주택평면계획프로그램(가족형·가족구성원·주거환경요구와 생활방식·평면유형·평면계획의 목표·평면기본구상)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accommodate a variety of family types within the same size of apartments and apartments of apartments, apartments are categorized into various stages of famil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amily members, lifestyles and tastes of the tenants. In particular, in order to prolong the lifespan of buildings, to suppress the promotion of reconstruction,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prevent unnecessary migration, they must be able to change their typed planes in response to changes in family members according to the life cycle of the tenant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housing plan plan (family type, family members, residential environment requirements and lifestyle, type of plan, plan objectives, and basic plan for responding to life cycle changes).

다음 표 1은 생애주기 변화에 따른 가족형과 가족구성원, 각 가족형의 주거환경 요구와 생활방식의 특성 그리고 적합한 평면유형을 보여준다.Table 1 below shows the family type and family members according to the life cycle chang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ifestyle of each family type, and the appropriate flat type.

가족형Family 가족구성원Family members 주거환경요구-생활방식Residential Environment Requirements-Lifestyle 초기가족형Initial family type 독신 또는 신호부부만의 초소형 가족Tiny family of single or signaling couples only 공실(公室) 면적 확보-공실중심생활-서구적,현대적 생활감각-거실 및 주방면적 확대Securing the vacancy area-Living vacant center life-Western and modern living sense-Expansion of living and kitchen area 성장기가족형Growth family type 젊은 부부와 어린 자녀를 포함한 4인 이하의 소가족Small families of four or fewer, including young couples and young children 사실(私室) 면적 확보-안방,침실 면적의 크기 선호-주방설비 수준 향상Secure fact area-Prefer size of bedroom and bedroom area-Improve kitchen facilities 성숙기가족형Mature family 중년부부와 성장한 자녀를 포함한 4인 이상의 중대형 가족A family of four or more, including middle-aged couples and grown children 사실(私室) 개수 확보-침실 크기보다 개수 중시-가족의 단란공간을 위한 넓은 거실 필요Secure fact counts-focus more on size than bedroom size-need a large living room for family reunions 축소기가족형Family type 노부부 중심의 소가족A small family centered on an elderly couple 안방 크기 확보-나이든 소가족-보수적 생활감각-안방중심 생활(부부공간 중시)Securing the size of the room-Small small family-Conservative sense of life-Life-centered life

다음 표 2는 평면유형별 평면계획 목표 및 평면기본 구상을 보여준다.Table 2 below shows the plan planning objectives and plan basic plans for each plan type.

즉, 입주자가 주택을 소유하여 생활하는 생애주기 변화에 따른 가족구성 단계를, 대체적으로 독신 또는 신혼부부의 1~2인으로 구성되는 초기 가족구성단계와, 결혼 후 어린 자녀를 1~2명을 두게 되는 성장기 가족구성단계, 부부와 둘 이상의 성장한 자녀를 포함한 4인 이상의 성숙기 가족구성단계, 그리고 성장한 자녀가 출가하여 가족이 주는, 특히 노년기에 접어든 노부부 중심의 소가족을 구성하는 축소기 가족구성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tage of famil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life cycle change in which the tenant owns the house, the initial stage of family composition consisting of one or two single or newly married couples, and one or two young children after marriage Growing stages of family maturity, family maturity stages of four or more persons, including married couples and two or more grown-up children, and scale-up family stages of small-family centering on elderly couples, especially elderly couples, whose families have grown up. Can be divided into

또한 각 가족형에 따른 주거환경의 요구와 생활방식의 특성을 고려할 때, 초기 가족형을 위한 평면으로서는 거실 확대 및 독립성을 확보하고 주방 확대, 그리고 화장,갱의 등을 위한 서비스실 확보가 원룸형이 적합하며, 특히 , 성장기 가족형에는 2LDK형을, 성숙기 가족형에는 3LDK형을, 그리고 축소기 가족형에는 2DK형의 평면유형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need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ifestyle of each family type, the one-room type is suitable for the expansion of the living room and independence as well as the expansion of the kitchen and the service room for the make-up and change.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growth type family type 2LDK type, mature family type 3LDK type, and the reduced family type 2DK type planar type is preferab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first object described above,

입주자의 생애주기 변화에 따라 생활상이 고려된 가족구성단계를 초기 가족형, 성장기 가족형, 성숙기 가족형, 축소기 가족형으로 구분하여, 각 가족형에 따라 동일 주호의 주거공간에 대하여 주택평면계획프로그램에 따라 원룸형, 2LDK형, 3LDK형, 2DK형으로 제시함을 특징으로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ife cycle of the tenants, the family composition stages considered life style are divided into early family type, growing family type, mature family type, and reduced family type, and one-room type according to the housing plan plan program for residential space of the same house according to each family type. , 2LDK type, 3LDK type, 2DK type is presented to provide a planar variable method of a variable apartment.

또한 본 발명은 생애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가족구성원이나 주거환경 요구와 생활방식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평면유형으로 가변하는 아파트의 평면가변 방법을 침실과 거실의 통합이나 분리는 물론 화장실과 주방을 포함하여 각 실의 위치와 크기까지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급수와 배수, 전기와 통신 등 각종 설비배관방법으로서, 화장실 배수설비 및 급수와 급탕을 위한 완전가변방식과 절충가변방식의 설비배관방법, 난방용 설비배관방법, 그리고 전기와 통신선로용 배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athroom and kitchen as well as the integration and separation of the bedroom and living room, the planar variable method of the apartment that is changed to the optimal flat type according to the family members or living environment needs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life cycle Various facilities piping method such as water supply and drainage,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that can change the location and size of each room, etc., fully variable and compromised system piping method for heating and drainage facilities,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and heating facility piping It provides a method, and a piping method for electric and communication lin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 및 이를 위한 설비용 배관방법과 관련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related to a planar variable method of a variable a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iping method for a facility theref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중,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변형 아파트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는 계단실과 엘리베이터 피트(pit)가 있는 코어(101)를 2개소 형성하고 각 코어 양측으로 1호의 세대별 주거공간(102)을 형성하는 2호 1코어(101)의 판상형 4호조합 주동형을 기준으로 한 철근콘크리이트 아파트 구조물(100)이다.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변형 아파트의 세대별 주거공간(102)은 중앙부에 내부기둥(103)만이 있는 하나로 통합된 실내를 제공하고, 각 실과 실은 제거가능한 비내력벽(104)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계단실과 엘리베이터 피트가 있는 코어(101)와의 경계 그리고 반대편 옆세대와의 경계부분은 전단벽(105)과 외부기둥(106)으로 구획된 것이다. 따라서 입주자는 옆세대나 위아래층과 무관하게 가족구성이나 생활방식 및 취향 등에 따라 상기 비내력벽(104)을 이용, 평면구성을 가변시켜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9 illustrates a variable apart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ich forms two cores 101 having a staircase room and an elevator pit, and has one residential space for each generation at both sides of each core ( It is a reinforced concrete apartment structure 100 based on the plate-shaped No. 4 combination main type of No. 1 core 101 forming No. 102. As shown in this figure, the residential space 102 of the variable apart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provides an integrated interior with only one inner pillar 103 in the center, and each chamber and the chamber are removable non-bearing walls 104. It is partitioned. The boundary between the staircase and the core 101 with the elevator pit and the opposite side generation is divided into a shear wall 105 and an outer pillar 106. Therefore, the tenant can effectively use the interior space by varying the planar configuration using the non-bearing wall 104 according to the family composition, lifestyle and taste, regardless of the next generation or up and down floor.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 즉 침실과 거실의 단순한 통합이나 분리는 물론 화장실 및 주방을 포함하여 각 실의 크기와 위치까지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구조시스템은 전술한 설출원 발명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order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tructural system of a variable apartment that allows the simple integration or separation of the bedroom and living room as well as the size and position of each room including the toilet and the kitchen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described snow-covering invention.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은 입주자의 생애주기의 변화에 따른 본 발명의 가변평면계획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분된 각 가족형에 적합한 평면유형을 보인다.10 to 13 show a planar type suitable for each family type divided by the variable plan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ife cycle of the tenant.

각 평면유형별로 설명하면, 먼저 도 10a 내지 10g는 주로 독신이나 신혼부부 등 초기가족형에 적합한 다양한 원룸형 구조를 보여준다. 원룸형에 있어서는 거실(111)과 안방(112)을 통합하여 주방(115)과 함께 단일의 넓은 생활공간을 확보하고, 내부기둥(103)을 중심으로 비내력벽(104)을 시공하여 화장실(116)을 구획한다. 바람직하게는 화장실(116)을 도 10a 내지 10c와 같이 대변기 및 세면기가 함께 구비된 통합화장실로 하되 화장대가 있는 파우더룸(117)이나 드레스룸(118)을 별도로 구획하여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거나, 또는 도 10d 내지 도 10g와 같이 대변기와 세면기가 분리된 화장실(116)과 파우더룸(117)으로 구분하고 필요에 따라 별도의 드레스룸(118)이나 침대공간(119)을 마련하는 것이다.Referring to each plane type, first, Figures 10a to 10g mainly shows a variety of studio-type structure suitable for the initial family type, such as singles or newlyweds. In the one-room type, the living room 111 and the inner room 112 are integrated to secure a single large living space together with the kitchen 115, and the non-bearing wall 104 is constructed around the inner pillar 103 to wash the toilet 116. ). Preferably, the toilet 116 is an integrated toilet equipped with a toilet and a wash basin, as shown in FIGS. 10A to 10C, but the powder room 117 or the dressing room 118 having a dressing table is separately partitioned to provide an independent space, or As shown in FIGS. 10d to 10g, the toilet and the washbasin are separated into a separate toilet 116 and a powder room 117, and a separate dressing room 118 or a bed space 119 is provided as necessary.

도 11은 주로 젊은부부와 어린 자녀 1~2인을 포함한 4인 이하의 성장기 가족형에 적합한 2LDK(방 2, 주방, 거실)형 구조를 보여준다. 이는 전술한 원룸형 구조로부터 내부기둥(103)과 접하도록 비내력벽(104)을 시공하여 거실(111)과 안방(112)을 분리하고, 화장실(116)을 안방(112)쪽으로 그 위치를 옮겨서 그 화장실(116) 후면측에 작은방(113)을 구획하면 된다. 즉, 신혼부부와 같은 초기가족형에서 늘어나는 어린 자녀 등의 가족 구성원에 대한 독립된 침실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으며, 부부와 어린 자녀가 함께 할 수 있는 거실(111)을 주방(115)과 별도로 꾸밀 수 있는 것이다.Figure 11 shows a 2LDK (room 2, kitchen, living room) structure suitable for the growing family type of four or less, including young couples and young children 1-2. This is to install the non-bearing wall 104 to contact the inner pillar 103 from the one-room structure described above to separate the living room 111 and the room 112, and to move the toilet 116 to the room 112 to the position 112 The small room 113 may be partitioned at the rear side of the toilet 116. That is, separate bedrooms for family members, such as young children, can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initial family type such as newlyweds, and the living room 111 for couples and young children can be decorated separately from the kitchen 115. will be.

도 12는 주로 자녀가 성장하게 되는 성숙기 가족형에 적합한 3LDK형(방3,거실,주방) 구조를 보인다. 이 구조는 전술한 2LDK형 구조로부터 주방(115)을 화장실(116) 후면측 작은방(113)쪽으로 그 위치를 옮겨서 비내력벽(104)으로 또다른 주방 옆의 작은방(114)을 꾸미는 것이다. 따라서 부부가 적어도 두명의 성장한 자녀에게 각각 독립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가족 전체의 단란 생활을 위한 거실(111)의 확보가 무난한 것이다.12 shows a 3LDK type (room 3, living room, kitchen) structure suitable for a mature family type in which a child is mainly grown. This structure moves the kitchen 115 from the above-described 2LDK type structure toward the small room 113 on the rear side of the toilet 116 to decorate the small room 114 next to the other kitchen by the non-bearing wall 104. Therefore, the couple can provide independent spaces to at least two grown children, respectively, and it is safe to secure the living room 111 for the whole life of the family.

도 13은 주로 성장한 자녀들이 차례로 독립 또는 출가하면서 가족이 줄어드는 축소기 가족형, 특히 노부부를 중심으로 한 소가족에 적합한 2DK형(방2,거실겸주방) 구조를 보인다. 이 구조는 전술한 3LDK형 구조로부터 거실(111)과 안방(112)을 그 사이의 비내력벽(104)을 제거하여 통합함으로써 생활공간을 확장하고, 주방(115)을 전술한 2LDK형 구조에서와 같이 확장하면서 화장실(116) 후면측의 작은방(113)을 서채나 서예 등취미공간으로 별도 사용하거나 통합함으로써 주방(115)과 침실을 연계시켜 노년 부부의 생활의 편리성을 높인다.FIG. 13 shows a 2DK type (room 2, living room and kitchen) structure suitable for small families, especially small-aged families, in which small children, mainly elderly couples, are reduced in size as the children grow independence or in turn. This structure expands living space by integrating the living room 111 and the room 112 by removing the non-bearing wall 104 therebetween from the above-described 3LDK-type structure, and the kitchen 115 in the above-described 2LDK-type structure. While expanding together, the small room 113 on the rear side of the toilet 116 is separately used or integrated as a calligraphy or calligraphy, such as a hobby space by connecting the kitchen 115 and the bedroom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elderly coupl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침실과 거실의 단순한 통합이나 분리뿐만 아니라 화장실과 주방을 포함하여 각 실의 크기와 위치변경까지 가능하여 생애주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한 평면유형들 상호간의 변경은 물론 예시되지 않은 다양한 유형의 평면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hanging the size and position of each room, including the bathroom and the kitchen, as well as the simple integration or separation of the bedroom and the living room. Of course, various types of planar spaces not illustrated can be constructed.

본 발명은 특히, 화장실 위치 및 크기 변경을 통해, 전술한 도 11 내지 도 13에 각각 도시된 2LDK형과 3LDK형 및 2DK형에 있는 화장실(116)을 제10a 내지 도 10c 처럼 욕조와 대변기 및 세면기가 함께 위치변경된 통합화장실로 꾸밀 수 있는 한편, 도 10d 내지 도 10g 및 처럼 대변기와 세면기가 분리된 화장실(116')과 파우더룸(117')으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0a 내지 10g는 원룸형이면서도 화장대 전용의 파우더룸(117)이나 세면기가 구비된 파우더룸(117'), 드레스룸(118), 그리고 보조침실로 사용할 수 있는 침대공간(119)을 확보하여 입주자 취향에 따라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또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는 평면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by chang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toilet, the toilet 116 in the 2LDK type and 3LDK type and 2DK type shown in Figs. 11 to 13,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10a to 10c tub and toilet and wash basin While it can be decorated with an integrated toilet that has been repositioned together, it can be separated into a toilet 116 ′ and a powder room 117 ′ separated from a toilet and a wash basin as shown in FIGS. 10D to 10G. On the other hand, Figure 10a to 10g is a one-room type, but the powder room 117 dedicated to the dressing table or powder room 117 'equipped with a washbasin, dressing room 118, and secures a bed space 119 tha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bedroom To create an atmosphere according to the tenants' tastes and to change the plane to provide an independent space,

또한 주방의 위치 및 크기 변경을 통해, 도 12에 도시된 3LDK형의 주방(115)을 제11에 도시된 2LDK형이나 도 13에 도시된 2DK형 및 도 10a 내지 도 10g의 원룸형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kitchen, the 3LDK-type kitchen 115 shown in FIG. 12 can be changed into the 2LDK-type shown in FIG. 11 or the 2DK-type shown in FIG. 13 and the studio type of FIGS. 10A to 10G. It is.

이처럼 침실과 거실의 단순한 통합이나 분리뿐만 아니라 화장실과 주방을 포함하여 각 실의 크기와 위치변경하는데 따른 급배수와 전기 및 통신을 위한 각종 설비의 배관방법은 다음과 같다.In this way, as well as the simple integration or separation of the bedroom and living room, as well as the plumbing method of the various facilities for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and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to change the size and location of each room, including the toilet and kitchen.

첫째, 화장실의 대변기 오수와 세면기 및 바닥배수를 위한 배수설비에는, 아래층 세대의 천장배관이 아닌 동일 세대의 당해층 배관을 하되, 오수 및 배수관을 노출배관하는 완전가변방식과 온돌층에 매설배관 및 평면가변에 따라 부분노출배관하는 절충가변방식이 있다. 여기서 평면가변 및 노출배관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거실 바닥과 화장실 바닥의 높이를 같게 하는 것이 좋다.First, the toilet for sewage, wash basin, and floor drainage in the toilet should be installed in the same household, not the ceiling pipe of the lower floor, but the fully variable method of exposing the sewage and drainage pipes and buried pipes on the floor. There is a compromise variable method of partial exposure piping according to the planar variabl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height of the living room floor and the bathroom floor the same to facilitate the change of the plane and the exposure pipe.

완전가변방식의 배수설비에 있어서는,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에 오수배출구(121)가 뒤쪽에 설치된 대변기(120)를 설치하고 대변기오수관(122)과 세면기배수관(123)을 벽에 접하여 바닥 위에 노출배관하고 그 주위에 미관을 고려하여 커버(124)를 씌운다. 평면가변에 따른 대변기 등 시설물의 위치변경시 그 노출배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수직덕트 벽체(125)에 2~3개소의 연결구(126)를 설치한다. 즉, 평면가변에 의한 대변기 등의 설치위치에 따라 연결구(126)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대변기오수관과(122) 세면기배수관(123)을 연결하고, 사용하지 않는 연결구는 별도의 차단마개로 막아두면 된다.In the fully variable drainage system, as shown in Figure 14a to 14c, the toilet 120 is installed in the toilet with a sewage discharge outlet 121 is installed in the toilet toilet pipe 122 and the basin drainage pipe 123 Exposed piping on the floor in contact with the wall and covers the cover 124 in consideration of the beauty. Whe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acility, such as a toilet in accordance with the planar variable to install the two or three connectors 126 in the vertical duct wall 125 to adjust the length of the exposed pipe. That is, if one of the connector 126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oilet due to the planar variable, and the toilet sewer pipe 122 and the basin drainage pipe 123 are connected, and the unused connector is blocked with a separate blocking plug. do.

절충가변방식 배수설비에 있어서는, 도 15a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오수배출구(128c)가 아래쪽에 설치된 대변기(127)를 사용하고 수평오수관(128b)을 바닥슬래브(129) 위의 온돌층(130)에 설치하되 대변기 오수배출구(128c)와 수평오수관(128b)과의 연결높이를 최소화하도록 90°단곡관(128a)를 매설한다. 여기서 원할한 배수기능을 유지하도록 바닥 슬래브(129) 일부분에 홈(131)을 형성하여 그 홈(131)에 오수관(128;128a,128b)을 매설하는 것이며, 또한 대변기(127) 위치를 다음에 설명되는 15e의 설치상태에서 도 15f의 설치상태로 180°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전술한 수직덕트의 크기를 조정하여 그 수직덕트 벽체(124a) 수평길이의 중앙부분에 상기한 수평관부(128b)를 설치하는 것이다.In the eclectic variable drainage system, a toilet 127 having a sewage outlet 128c generally used as shown in FIG. 15A is used, and the horizontal sewage pipe 128b is placed on the floor 130 above the floor slab 129. ), But the 90 ° bent pipe (128a) is buried to minimize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toilet sewage outlet (128c) and the horizontal sewage pipe (128b). Here, the groove 131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bottom slab 129 so as to maintain a desired drainage function, and the sewage pipes 128; 128a and 128b are embedded in the groove 131, and the toilet 127 is positioned next.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above-described vertical duct so that the 180 ° direction can be changed from the installation state of 15e to the installation state of FIG. 15f, the horizontal pipe portion 128b i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vertical duct wall 124a. To install.

절충가변방식에서의 세면기 배수를 위하여는, 도 15b 내지 도 1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된 수평배수관(133b)을 온돌층(130) 내부에 설치하고 세면기(132)와 수평배관(133b)을 연결하되, 세면기(132) 위치변경시는 벽체(124b) 하부와 온돌층(130) 위 코너부위에 배수관(133c)을 노출시공하여 온돌층(130)에 매설된 연결구(134)와 연결하고 그 주위에 커버(125)을 씌운다.For the wash basin drainage in the compromise variable method, as shown in Figure 15b to 15d, the main horizontal drain pipe 133b is installed in the ondol layer 130 and the wash basin 132 and the horizontal pipe 133b, When the wash basin 132 is changed in position, the drain pipe 133c is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l 124b and the corner of the ondol layer 130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34 embedded in the ondol layer 130 and covered around it. Cover (125).

둘째, 주방의 배수설비에 있어서는, 도 16a 및 도 16b와 같이 수직덕트 벽체(135)내부의 수직배수관(136)과 연결된 배수트랩(137)을 그 수직덕트 벽체(135)와 인접한 온돌층(130)에 매설하고, 주방 개수대(138)에 연결되어 있는 플렉시블(flexible) 배수관(139)을 주방 개수대(138)의 하부에 마련되는 공간(높이 약 15㎝)으로 노출 배관하여 배수트랩(137)에 연결하되 평면가변에 따른 주방 개수대(138)의 위치변경에 따라 그 플렉시블 배수관(139)의 길이를 조정케 하는 것이다.Second, in the drainage of the kitchen, as shown in Figure 16a and 16b, the drain trap 137 connected to the vertical drain pipe 136 in the vertical duct wall 135, the ondol layer 130 adjacent to the vertical duct wall 135 ) And piped to the drain trap 137 by exposing the flexible drain pipe 139 connected to the kitchen sink 138 to a space (about 15 cm in heigh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kitchen sink 138. The connection i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lexible drain pipe 139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kitchen sink 138 according to the variable plane.

셋째, 급수 및 급탕을 위한 급수,급탕설비에는, 주(main) 급수,급탕관을 천장배관하는 완전가변방식과 주 급수,급탕관을 온돌층 바닥배관 및 수직덕트 벽체내 천장까지 상향 벽배관하는 절충가변방식이 있다.Third, in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facilities for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a fully variable method of piping the main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es and the wall of the main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es to the ceiling of the ondol floor and the vertical duct wall. There is a trade-off.

완전가변방식의 급수,급탕설비에 있어서는, 도 24 및 도 25와 같이 주 급수,급탕관(140)을 천장슬래브(160)와 천장특(162)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고 화장실, 주방 등 물 사용공간의 위치변경에 따라 벽체매설 또는 벽체노출하향배관하여 세면기 등의 시설물에 연결하며, 슬래브가 무량판구조의 경우에는 도 24와 같이 천장슬래브(160) 하부에 급수,급탕관(140)을 시설하고, 내부보가 있는 슬래브가 설치된 경우에는 도 25와 같이 천장슬래브(160)의 보(161) 하단과 천장틀(162) 사이로 급수,급탕관(140)을 배관한다. 여기서 건출물 층고 및 보(161) 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그 천장슬래브에 넓은 보(wide beam)를 사용한다.In the fully variabl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facilities, as shown in FIGS. 24 and 25, the main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e 140 i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ceiling slab 160 and the ceiling special 162 and uses water such as a toilet and a kitche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pace, the wall is buried or piped down the pipe exposure and connected to the facilities such as washbasin, in the case of slab flat plate structure, water supply, hot water supply pipe 140 is installed below the ceiling slab 160 as shown in FIG. And, when the slab with the inner beam is installed, the water supply, hot water supply pipe 140 is pip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eam 161 and the ceiling frame 162 of the ceiling slab 160 as shown in FIG. Here, wide beams are used in the ceiling slab to minimize the height of the building and the height of the beams 161.

절충가변방식의 급수,급탕설비에 있어서는, 층고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술한 완전가변방식의 천장 배관시스템과 종래방식의 바닥배관 시스템을 조합한 방법으로 주 급수,급탕관을 온돌층에 바닥배관하고 바닥배관 끝부분에 연결박스를 설치하거나 바닥배관을 수직덕트 벽체의 상부 천장틀 내부까지 상향배관하고, 주방의 위치변경에 따라 바닥배관된 연결박스에서 분기하여 벽체를 따라 상향배관하여 주방 개수대측 급수전에 연결하고, 화장실의 위치변경에 따라 천장틀 내부공간에서 천장배관하고 이어 벽체를 따라 하향배관하여 세면기 등의 시설물에 연결한다.In the eclectic variabl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facilities, the main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es are bottomed on the ondol floor by combining the above-mentioned fully variable ceiling piping system and the conventional floor piping system in order to minimize the height of the floor. Install the connection box at the end of the pipe or pipe the floor pipe up to the inside of the upper ceiling of the vertical duct wall, branch from the connection box connected to the floor pip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kitchen, and pipe it upward along the wall to connect to the water supply side of the kitchen sink.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location of the toilet, the ceiling is pip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eiling frame, and then the pipe is piped downward along the wall and connected to facilities such as washbasin.

상기한 주 급수,급탕관을 바닥 온돌층 및 수직덕트 벽체에 배관하는 절충가변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방 급수 및 급탕의 경우, 주방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가변평면에 대응하는 급수, 급탕관 연결박스를 주방 개수대 변경위치 대응하여 온돌층 바닥에 2~3개소 설치하여 평면가변에 따라 도 17과 같이 3LDK형 평면에서는 주방 개수대(138) 하부의 온돌층 바닥에 설치된 급수, 급탕관(140)의 두 번째 연결박스(142)를 선택하여 배관을 연결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첫 번째 연결박스(141)는 도 20 및 도 21에 보인 바와 같이 연결박스(141) 속의 배관연결구(143) 끝에 누수되지 않도록 누수차단마개(144)를 끼우고 덮개(145)를 씌우며 그 위에는 바닥마감재(146)를 깔아서 추후 가변사용시 바닥마감재(146)와 덮개(145)를 열고 급수,급탕관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2LDK형 평면이나 원룸형 평면 또는 2DK형 평면의 주방에서는 엘리베이터 피트(101)의 벽측에 설치된 급수,급탕관(140)의 첫 번째 연결박스(141)를 선택하여 연결배관하고, 사용하지 않는 두 번째 연결박스(142)에 덮개를 덮어두는데, 바닥 온돌층에 내부보(wide beam)가 설치된 경우에는 도 26에 보인 바와 같이 온돌층에 위치하게 되는 내부보(161)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그 내부보(161) 상단으로 급수,급탕관(140)을 배관한다.In detail, the eclectic variable method of piping the main water supply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to the floor ondol layer and the vertical duct wall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of the kitchen water supply and the hot water supply, the water supply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corresponding to the variable plane can be changed so a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kitchen. In the 3LDK-type plane as shown in FIG. 17 by installing two or three places on the floor of the ondol floor in response to the changing position of the kitchen sink,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e 140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floor below the kitchen sink 138 according to the planar change. Select the second connection box 142 to connect the pipe used, the first connection box 141 is not used leaks at the end of the pipe connection 143 in the connection box 141 as shown in Figure 20 and 21 Insert the water leakage stopper 144 and cover the cover 145, and the bottom finishing material 146 is laid thereon to open the bottom finishing material 146 and the cover 145 for variable use and connect the water supply and the hot water pipe to be used. Can The lock. Referring to FIGS. 18 and 19, in the kitchen of the 2LDK type plane, the one-room type plane, or the 2DK type plane, the first connection box 141 of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e 140 installed on the wall side of the elevator pit 101 is selected. Connecting piping and covering the cover to the second connection box 142 that is not used, when the inner beam (wide beam) is installed on the floor ondol floor as shown in Fig. 26 Pip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e 140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beam 161 so as not to damage the 161.

절충가변방식에 의한 화장실의 급수,급탕설비에 있어서는 도 22 및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실의 주(main) 급수,급탕관을 온돌층 바닥배관된 부분(150)과 화장실용 수직덕트 벽체(124)에 상향 매설배관된 부분(151) 그리고 화장실 천장슬래브(160)와 천장틀(162) 사이로 배관된 부분(153)으로 연결배관으로 하고 화장실 위치변경에 따라 가변이 용이하도록 천장슬래브(160)와 천장틀(162) 사이에 배관된 천장배관(153)을 길이조정하여 하향 벽체매설하거나 노출배관하여 세면기구 등에 연결 사용한다.In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facilities of the toilet by the eclectic variable method, as shown in FIGS. 22 and 23, the main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es of the toilet are heated on the floor 150 and the vertical duct wall 124 for the bathroom. ) Upward buried portion 151 and the ceiling ceiling slab 160 and the ceiling frame 162 piped between the section 153 piped between the ceiling frame 162 as the connection pipe and ceiling slab 160 and the ceiling frame to be easy to change according to the toilet location change The ceiling pipe 153 piped between the (162) to adjust the length of the downward wall or exposed pipe to be used for washing equipment.

바닥난방을 위한 배관설비에 있어서는, 완전가변방식의 경우는 비난방부분이 없도록 바닥 전 부분에 난방배관을 하고, 절충가변방식의 경우는 도 27과 같이 평면가변에 대응할 수 있도록 비난방부분인 대변기 설치영역(170)을 제외한 화장실 바닥과 침실, 주방, 거실 등 바닥 전 부분에 난방관(171)을 배관하되, 바닥슬래브에 내부보가 있는 경우에는 도 28과 같이 온돌층에 있는 내부보(161)를 손상하지 않도록 내부보 상단으로 난방관(171)을 배관한다.In the plumbing system for floor heating, heating pipes are installed in the entire floor so that there is no blameable part in the case of the fully variable method, and in the case of the compromised variable method, the toilet is a bladder part so as to cope with the flat variable as shown in FIG. Plumb the heating tube 171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except the installation area 170 and the entire floor, such as the bedroom, kitchen, and living room, but if there is an inner beam on the floor slab, the inner beam 161 on the ondol floor as shown in FIG. Pipe the heating pipe 171 to the top of the inner beam so as not to damage.

한편, 당해층 전기 및 통신선로를 위한 배관(도 29a, 도 30, 도 31a, 도 32 및 도 34에서 전기통신배선관중 실선은 천장슬래브에 매설된 배선관을, 점선은 천장틀 내부에 노출된 분기배선관을 표시한다)에 있어서는, 도 29a 및 도 33a와 같이 천장을 몇 개의 구역(zone)으로 나누어 구역별로 전등용 전선, 전열용 전선, TV용 케이블, 및 전화선 등의 전기 및 통신선로용 전선관의 분기박스(181,191)를 천장슬래브에 용도별로 각각 설치하고 전기 및 통신선로의 세대별 인입 위치부터 상기 분기박스(181,191)까지의 주전선관(180,190)을 천장슬래브에 매설하고, 천장슬래브에 설치된 분기박스(181,191)에서부터 각종 접속기구(전등, 스위치, 콘센트 등)까지의 분기전선관(182,192)은 도 29b 및 도 33b와 같이 천장슬래브(160)와 천장틀(162) 사이 공간을 따라 노출배관하고 이어 가변벽체(104)에 하향매설 또는 노출배관하여 그 천장에 노출된 부분(182a,192a)과 가변벽체(104)에 매설 또는 노출된 부분(182b,192b)을 통해 전등(183)이나 전기스위치(184), 그리고 전열, TV, 전화 등의 콘센트(193)에 전선을 접속하되, 평면가변에 따라 그 배관길이를 조정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piping for the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lines of the floor (in Figure 29a, 30, 31a, 32 and 34, the solid line of the telecommunication wiring tube is a wiring pipe embedded in the ceiling slab, the dotted line is a branch exposed inside the ceiling frame) In the wiring tube), the ceiling is divided into several zones, as shown in Figs. 29A and 33A, for electric and communication lines such as electric wires for electric lights, electric wires for electric heating, TV cables, and telephone lines. Branch boxes (181, 191) of each installation in the ceiling slab for each purpose and the main wire pipe (180, 190) from the entry point of each generation of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lines to the branch boxes (181, 191) in the ceiling slab, branch installed in the ceiling slab Branch wire pipes 182 and 192 from boxes 181 and 191 to various connection devices (lights, switches, and outlets) are exposed and piped along the space between ceiling slab 160 and ceiling frame 162 as shown in FIGS. 29B and 33B. Wall ( Buried downwardly or exposed to the pipe 104 and exposed to the ceiling (182a, 192a) and the buried or exposed portion 182b, 192b buried in the variable wall 104 through the light (183) or electric switch 184, And while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to the outlet 193, such as heat transfer, TV, telephone, and the lik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pipe in accordance with the plane change.

천장슬래브(160)와 천장틀(162) 사이의 공간에 노출되는 분기전선관(182,192)을 줄이기 위하여 평면상 공통으로 사용이 가능한 시설(발코니전등배관 등)을 도 31a, 도 31b 및 도 32와 같이 일부의 전등(185)을 천장슬래브에 매설된 주전선관(180,190)에서 직접 분기하여 접속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branch wire pipes 182 and 192 exposed to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slab 160 and the ceiling frame 162, some facilities (such as a balcony lamp pipe)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a plane are shown in FIGS. 31A, 31B, and 32. The lamp 185 may be directly branched from the main wire pipe (180, 190) embedded in the ceiling slab.

3LDK형의 거실과 안방의 각 전등위치는 2LDK형과 동일하고, 2DK형과 원룸형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작은 방 전등은 2LDK형과 2DK형 및 원룸형에도 똑같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현관용 전등과 발코니 전등은 공통으로 사용가능하다.The lighting positions of 3LDK type living room and interior room are the same as 2LDK type, and can be used for 2DK type and studio type, and small flashlights can be used for 2LDK type, 2DK type and studio type. Balcony lights are available in common.

상기한 바와 같은 평면가변방법 및 설비배관방법은 여건에 따라 선택의 범위를 넓힐 수 있으며 앞에서 제시된 주택평면계획 프로그램에 의한 기준평면모델과 설비시스템을 적용시켜 도 9와 같은 3LDK형, 2LDK형, 2DK형, 원룸형의 가변형 평면을 개발하여 사용하므로써 입주자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평면을 가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lanar variable method and facility pip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can be expand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the 3LDK type, 2LDK type, 2DK as shown in FIG. 9 by applying the reference plane model and the facility system according to the housing plan planning program presented above. Residents can easily change the plane at a lower cost by developing and using the variable and one-room variable plane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 및 설비배관방법은, 거실과 침실의 단순한 통합이나 분리뿐만 아니라 화장실과 주방을 포함하여 각 실의 크기와 위치까지 입주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여 주며, 종래의 철근콘크리이트 벽식구조에서 적용하고 있는 층고범위 내에서 아파트 평면을 가변토록 하므로써 건설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시공자 및 입주자 모두에게 경제적이며, 구조체를 훼손하지 않고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주며, 세대 내부에의 실 구획 벽을 비내력벽이나 경량벽체를 사용하므로써 철근배근, 거푸집 설치와 해체, 콘크리이트 타설 및 양생의 공정이 감소되어 공사기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입주자가 평면을 변경하여 계속 사용하므로써 건물의 설비적, 사회적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으며, 잦은 재건축 추진억제로 아파트 철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산업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어 환경공해 요인을 줄여주고 또한 국가의 경제적 손실을 막아주며, 법적으로 개조가 가능한 가변시스템이므로 법에 저촉되지 않고도 평면을 변경할 수 있게 되며, 동일 주호 내에서 필요에 따라 내부평면을 개조하여 편리한 생활을 영위케 할 수 있어서 입주자의 이사 횟수를 줄여 이사에 따른 제경비 손실을 줄여주게 되고, 아파트 주동지하층을 지하주차장, 주민공동시설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주차용지확보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아파트 단지 내의 주차난 해소를 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lanar variable method and the facility piping method of the variable apar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hanged by the tenant to the size and location of each room including the bathroom and the kitchen as well as the simple integration or separation of the living room and the bedroom.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minimized by varying the floor plan of the apartment within the range of floor height applied in the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so it is economical for both the contractor and the tenant, and the structure can be changed without damaging the structure. It secures safety and reduces the construction period by reducing reinforcement, formwork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concrete placing and curing process by using non-bearing wall or lightweight wall for the actual partition wall inside the household. By changing the plane and using it continuously, It has the effect of prolonging the service life and reducing the amount of industrial waste generated by the demolition of apartments due to frequent restraint promotion, which reduce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factor and prevents the economic loss of the country, and can be legally modifi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lane without violating the law, and it is possible to make a convenient life by modifying the inner plane as necessary within the same house, thus reducing the loss of expenses due to moving by reducing the number of moving in tenants. The underground basement of the apartment can be used as an underground parking lot and community facilities, which can reduce the burden of securing the parking lot and solve the parking shortage in the apartment complex.

Claims (16)

입주자의 생애주기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생활상을 고려한 가족구성단계를 초기 가족형, 성장기 가족형, 성숙기 가족형, 축소기 가족형으로 구분하여, 각 가족형에 따라 동일 주호 내의 주거공간에 대한 기본 평면유형으로서 원룸형, 2LDK형, 3LDK형, 2DK형을 제시함을 특징으로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The family composition stage considering the changing liv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ife cycle of the tenants is divided into the early family type, the growing family type, the mature family type, and the reduced family type. , 2LDK type, 3LDK type, 2DK type is presented, the planar variable method of a variable apar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평면유형들 상호간을 내력벽 없는 가변벽체와 가변설비배관을 사용하여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The planar variabl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nar types are varied by using variable walls without bearing walls and variable facility piping. 제1항에 있어서, 2LDK형과 3LDK형 및 2DK형에 있는 화장실을 원룸형의 화장실과 같이 위치를 변경하고, 세면기가 구비된 파우더룸과 변기가 구비된 욕실공간으로 분리하여 변경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The variable apartment of claim 1, wherein the restrooms of the 2LDK, 3LDK, and 2DK types are changed like the one-room toilets, and separated into a powder room with a washbasin and a bathroom space with a toilet bowl. Planar Variable Method. 제1항에 있어서, 3LDK형의 주방을 2LDK형이나 2Dk형 및 원룸형 주방과 같이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방법.The planar variabl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3LDK type kitchen is changed to a 2LDK type, 2Dk type, and one-room type kitchen. 주방과 화장실의 배수와 급수 빛 급탕을 위하여, 아래층 세대의 천장배관이 아닌 동일 세대의 당해층 배관을 하되, 완전가변방식으로 노출배관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In order to drain kitchens and toilets and supply hot water light, plumbing pipes of the same generation, not ceiling piping of downstairs households, are exposed in a completely variable manner. 제5항에 있어서, 화장실에 오수배출구가 뒤쪽에 구비된 대변기를 설치하여 대변기오수관과 세면기배수관을 벽에 접하여 바닥 위에 노출배관하고, 그 주위에 커버를 씌우며, 대변기 등 시설물의 위치변경시 그 노출배관의 길이 조정 및 시설물을 위치변경할 수 있도록 수직덕트 벽체에 수개소의 연결구를 설치하여, 평면가변시 대변기 등의 설치위치에 따라 연결구중 하나를 선택하여 대변기오수관과 세면기배수관을 연결하고, 사용하지 않는 연결구는 별도의 차단마개로 막아두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The toile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toilet having a sewage discharge outle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toilet, and the toilet sewage pipe and the basin drain pipe are exposed to the wall and exposed to the floor, and a cover is disposed around the toilet. Install several connection ports on the vertical duct wall to adjust the length of the exposure pipe and to change the location of the facility.Select one of the connection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such as the toilet in case of planar change, and connect the toilet sewage pipe and the basin drain pipe. The fittings for the planar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is not blocked by a separate blocking plug. 제5항에 있어서, 급수 및 급탕용 주배관을 천장틀 내부 공간에 설치하고, 주방, 화장실 등 물 사용공간의 위치변경에 따라 벽체 매설 또는 노출 하향배관하여 각 시설물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The variable apartment of claim 5, wherein the main pipe for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eiling frame, and connected to each facility by laying down the wall or exposing the pipe downwar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water use space such as the kitchen and the toilet. Facility piping method for variable plane. 주방과 화장실의 배수와 급수 빛 급탕을 위하여, 동일 세대의 당해층 배관을 하되, 오수 및 배수관을 절충가변방식으로 온돌층에 매설배관 및 평면가변에 따라 부분노출배관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For the drainage of the kitchen and the toilet and the light supply of light, the same-generation pipes of the same household are installed, but the sewage and drainage pipes are installed in the ondol floor in an eclectic variable manner and partially exposed pipes according to the planar variable. Facility piping method for variable plane. 제8항에 있어서, 화장실에 하부에 오수배출구를 가지는 대변기를 설치하고, 바닥슬래브상의 온돌층에 수평관부과 단곡관부를 매설하여 그 대변기의 오수배출구와 연결하며, 대변기 위치를 180°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수직덕트의 크기를 조정하여 그 수직덕트 수평 벽체 길이의 중앙부분으로 상기한 수평관부를 설치하고, 오수의 원할한 배수기능을 위하여 수평관부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바닥슬래브의 일부분에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The toilet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toilet having a sewage outlet at the bottom of the toilet; and a horizontal pipe section and a short curved pipe section embedded in an ondol layer on the floor slab, connected to the sewage outlet of the toilet, and changing the toilet position by 180 °. Adjust the size of the vertical duct so that the horizontal duct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wall length of the vertical duct, and the groove is formed in a part of the concrete floor slab where the horizontal duct is installed for the smooth drainage function of sewag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flat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세면기의 배수관을 온돌층 내부에 설치하되, 세면기 위치변경시는 벽체 하부와 온돌층 위 코너부위에 그 배수관을 노출시공하여 온돌층에 매설된 연결구와 연결하고 그 주위에 커버를 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drainage pipe of the washbasin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ondol layer, when changing the washbasin, the drainage pipe is exposed at the corners of the lower part of the wall and on the ondol floor,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embedded in the ondol floor and covered around the cover.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flat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ing. 제8항에 있어서, 주방배수를 위하여 수직덕트 벽체 내부의 수직배수관에 연결된 배수트랩을 그 수직덕트 벽체와 인접한 온돌층에 매설하고, 주방 개수대에 연결되어 있는 가요성 배수관을 주방개수대 하부와 온돌층 위에 마련되는 공간으로 노출 배관하여 상기 배수트랩에 연결하되 평면가변에 따른 주방 개수대의 위치변경에 따라 그 배수관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The drainage trap connected to the vertical drainage pipe inside the vertical duct wall is embedded in the ondol floor adjacent to the vertical duct wall for the kitchen drainage, and the flexible drainage pipe connected to the kitchen sink is provided under the kitchen sink. Exposed piping to the space provided above is connected to the drain trap, the facility piping method for the flat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drain pip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change of the kitchen sink according to the plane variable. 제8항에 있어서, 급수 및 급탕을 위한 주배관을 온돌층 바닥배관과 수직덕트 벽체 상부 천장틀 내부까지 상향배관하고 주방의 위치변경에 따라 바닥배관의 연결박스에서 분기하여 벽체 상향배관하여 주방 개수대에 연결하고, 화장실의 위치변경에 따라 천장틀 내부공간에서 천장배관 및 벽체 하향배관하여 각 시설물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According to claim 8, The main pipe for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e up to the inside of the floor and the vertical duct wall ceiling frame, and branched from the connection box of the bottom pip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kitchen connected to the kitchen sink by connecting the wall upwards An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ocation of the toilet in the ceiling frame and the pipe down the ceiling pipe and plumbing method for the facility of the flat variable of the variable a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each facility. 제12항에 있어서, 주방의 급수 및 급탕을 위한 주배관을 주방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가변평면에 대응하는 급수,급탕배관 연결박스를 수개소에 설치하여 위치변경시 그 연결박스를 선택하여 배관을 연결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연결박스 속의 배관연결구 끝에는 차단마개를 끼우고 연결박스 덮개를 씌우며 그 위에 바닥마감재를 설치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boxes corresponding to the variable planes are installed at several places so that the main pipes for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of the kitchen can be changed. A pipe fitting method for changing the flatness of a variable a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pipe connector in the connection box that is used and not in use, inserts a stopper plug, covers the connection box cover, and installs a floor finishing material thereon. 제12항에 있어서, 화장실의 급수, 급탕을 위한 주배관을 온돌층 바닥배관에서 화장실용 수직덕트 벽체에 상향매설배관하여 화장실 천장틀 내부까지 배관하고, 화장실 위치변경에 따라 가변이 용이하도록 천장틀 내부공간의 천장배관 및 천장에서 하향벽체매설 또는 노출배관하여 각 시설물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ain pipe for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of the toilet is piped up from the floor of the underfloor to the vertical duct wall for the bathroom to the inside of the ceiling of the bathroom,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ceiling frame is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oilet position. Method for plumbing the plane of a variable a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to each facility by laying down or exposed pipes from the ceiling and ceiling. 바닥난방을 위한 난방관을 비난방 부분인 화장실의 대변기 설치영역을 제외한 화장실 바닥을 포함하여 침실과 거실 및 주방 전부분에 배관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A heating method for floor heating of a variable a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ing in the bedroom, living room and the entire kitchen, including the floor of the toilet excluding the toilet installation area of the toilet that is the non-heating part. 전기 및 통신선로를 위한 배관을 위하여, 천장을 몇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구역별로 전등용 전선, 전열용 전선, TV용 케이블, 및 전화선 등의 전기 및 통신선로용 전선관의 분기박스를 천장슬래브에 용도별로 각각 설치하고 전기 및 통신선로의 세대별 인입 위치부터 상기 분기박스까지의 주전선관을 천장슬래브에 매설하고, 천장슬래브에 설치된 분기박스에서부터 각종 접속기구까지의 분기전선관을 천장슬래브와 천장틀 사이 공간을 따라 노출배관하고 이어 가변벽체에 하향매설 또는 노출배관하여 그 천장에 노출된 부분과 가변벽체에 매설 또는 노출배관된 부분을 통해 전등이나 전기스위치, 그리고 전열, TV, 전화 등의 콘센트에 전선을 접속하되, 평면가변에 따라 그 배관길이를 조정하며, 천장틀 내부의 노출분기배관을 줄이기 위하여 평면상 공통으로 사용이 가능한 전기시설물의 연결배관을 주배관에서 분기하되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설배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아파트의 평면가변을 위한 설비배관방법.For plumbing for electrical and telecommunication lines, divide the ceiling into several sections and divide branch boxes of electrical and telecommunication line conduits such as electric wires, electric wires, TV cables, and telephone wires into the ceiling slabs. Install the main cables in the ceiling slab from the entry point of each generation of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lines to the branch box, and install the branch cables from the branch box installed in the ceiling slab to the various connecting devices along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slab and the ceiling frame. After the exposed pipes are laid down or exposed to the variable wall, the wires are connected to the light or electric switch and the outlets such as electric heating, TV and telephone through the exposed part of the ceiling and the parts buried or exposed to the ceiling. In order to reduce the exposure branch pipe inside the ceiling frame, the pipe l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lane change. The method of plumbing for the planar variable of the variable-type a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nched connection pipe of the electrical facility that can be used as a branch from the main pipe buried in the concrete slab.
KR1019990026773A 1999-07-03 1999-07-03 Method of changing layout in variable apartment house and method of laying pipes therefor KR200100087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773A KR20010008783A (en) 1999-07-03 1999-07-03 Method of changing layout in variable apartment house and method of laying pipe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773A KR20010008783A (en) 1999-07-03 1999-07-03 Method of changing layout in variable apartment house and method of laying pipes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783A true KR20010008783A (en) 2001-02-05

Family

ID=1959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773A KR20010008783A (en) 1999-07-03 1999-07-03 Method of changing layout in variable apartment house and method of laying pipe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878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00878B2 (en) Reusable worker housing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4341052A (en) Building utility core
US20100126082A1 (en) Prefabricated service pod
US4003182A (en) Building construction
CN210508509U (en) Same-floor drainage assembly type waterproof toilet system
US3855743A (en) Building construction
FI101493B (en) Building
RU2121032C1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multistorey residential building and multistorey residential building
KR20010008783A (en) Method of changing layout in variable apartment house and method of laying pipes therefor
US3605354A (en) Construction unit
CN111364800B (en) Corridor type small-dwelling house building design method, building and state conversion method
JP3182313B2 (en) Residential interior structure, interior wall structure and unit equipment room
JP2003056188A (en) Side corridor type multiple dwelling house
JPH08120955A (en) housing complex
JP2002317566A (en) Dwelling unit basic structure in apartment house and method for designing the same
JP2001123681A (en) Unit type kitchen and sanitary space facility
WO2001075249A1 (en) Floor-plan-variable collective house
NL1021464C2 (en)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involves wing of cell complex, which has great number of cells extending on opposite sides of passage, passage connects in middle with cross passage for connection of remaining part of cell complex
CN116065789A (en) Four-way integrated drainer and SI system using same as core
FI81420B (en) Method of installing heating, ventilation and sanitation fittings and ducting necessary for these, and mounting unit for implementing the method
RU15486U1 (en) RESIDENTIAL ROOM (OPTIONS), SEPARATE RESIDENTIAL PREMISES (OPTIONS), SEPARATE RESIDENTIAL PREMISES, SEPARATE APARTMENT (OPTIONS), RESIDENTIAL HOUSE SECTION (OPTIONS)
CN113622486A (en) Back of body examines formula bathroom water supply and drainage structure
CA2514436A1 (en) Reusable worker housing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JPH05187046A (en) Equipment unit for dwelling and method for executing construction in dwelling unit
JP2002054314A (en) Building structure of apartment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4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10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203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