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07121A - 스트로 지지구 - Google Patents

스트로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7121A
KR20010007121A KR1020000028520A KR20000028520A KR20010007121A KR 20010007121 A KR20010007121 A KR 20010007121A KR 1020000028520 A KR1020000028520 A KR 1020000028520A KR 20000028520 A KR20000028520 A KR 20000028520A KR 20010007121 A KR20010007121 A KR 20010007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support
container
inl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또신지
가쯔마사다까후미
Original Assignee
신지 세또
내프 엔터프라이즈 캄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1540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33562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08601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7350B2/ja
Application filed by 신지 세또, 내프 엔터프라이즈 캄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신지 세또
Publication of KR2001000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12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트로 지지구는,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용기 안에 삽입된 스트로를, 이 스트로의 상부가 용기의 입구부에 캡이 부착되기 전에는 입구부에서 돌출하고, 캡이 부착되면 캡의 내저면으로 눌러져서 용기 안에 수납되도록 지지되기 때문에, 용기의 입구부에 끼울 수 있는 큰 결합부를 가지며, 스트로 삽입용 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스트로를 삽입 지지하는 지지구멍이 형성된 스트로 지지부와, 이 스트로 지지부가 본체에 대하여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되도록 스트로 지지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탄성신축이 자유로운 실리콘 고무제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트로 지지구{Straw Holding Tool}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예를 들어 페트보틀 등의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용기 안에 삽입된 스트로(상하단이 개구하여 연통한 수지제의 가느다란 중공 파이프상의 음료빨대)의 지지구 등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로 지지구와, 이 스트로 지지구와 스트로의 조합품과, 스트로 지지구 및 스트로의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청량 음료수를 비롯하여 각종의 음료수가 상기와 같은 PET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용기에 주입되어져서 판매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500㎖용량의 음료수 용기가 갖고 다니기가 간편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용기용량의 음료수를, 예를 들어 자동차나 열차 등의 차내에서 마실 경우에는 음료수가 넘쳐 쏟아지지 않도록 스트로를 사용하는 일이 많으나 이러한 때에 용기의 입구부에 끼운 캡을 푼 다음에 개방된 입구부에 스트로를 넣고, 다 마신 후에 스트로를 뽑아내고 다시 캡을 끼우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음료수를 마실 때마다 스트로를 용기에 대하여 넣었다 뺐다하는 일이 매우 번거롭고, 무엇보다도 사용한 스트로의 보관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을 완료한 스트로는 적당한 수납케이스가 없기 때문에 한번 쓰고 나서 그대로 버리기 쉽고, 자원을 낭비하게 되고, 재활용(recycle)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로를 용기에 대하여 일일이 넣었다 뺐다 할 필요가 없고, 사용 스트로의 보관도 용이하고, 특히 차내와 같은 요동이 있는 장소에서도 사용하기가 적합한 스트로 지지구 및 이 스트로 지지구와 스트로의 조합품, 및 사용 완료한 스트로 지지구와 스트로를 효율적으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재활용이 가능하고, 자원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수납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트로 지지구의 평면도이고, 도1b는 오른쪽 절반부가 절단된 정면도이다.
도2는 PET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용기 안에 삽입된 스트로를, 캡이 끼워지기 전에 스트로의 상부가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스트로 지지구로 지지한 상태의 일부가 생략된 종단 정면도이고, 이 도면에서는 용기의 몸통부 길이의 일부가 생략되어 있다.
도3은 상기 용기 안에 삽입한 스트로를, 스트로의 상부가 캡이 끼워지면 용기 안에 수납되도록 스트로 지지구로 지지한 상태의 일부가 생략된 종단면도이다.
도4a, 도4b, 도4c, 도4d는 작용설명도이다.
도5는 스트로 지지구와 스트로를 1개씩 세트로 하여 포장체로 포장한 조합품을 표시하는 일부가 절단된 정면도이다.
도6은 스트로 지지구 및 스트로 수납케이스 및 이 케이스에 끼워진 캡의 일부가 생략되고 일부가 절단된 정단면도이다.
도7은 도6의 Ⅶ-Ⅶ선에 따른 수납케이스 등의 횡단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 스트로 지지구 2 : 본체
3 : 스트로 지지부 4 : 연결부
5 : 스토퍼부 6 : 결합부
7 : 구멍 8 : 스트로
10 : 용기 11 : 입구부
12 : 지지구멍 13 : 요홈
16 : 캡 17 : 암나사
18 : 수나사 19 : 리브
21 : 포장체 22 : 포장봉지
23 ; 판지 30 : 수납케이스
31 : 케이스본체 32 : 대경부분
33 : 소경부분 36 : 수나사
38 : 절취홈 40 : 부착링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 지지구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용기 안에 삽입된 스트로를, 이 스트로의 상부가 용기의 입구부에 캡이 끼워지기 전에는 입구부에서 돌출하고, 캡이 끼워지면 캡의 내저면으로 눌러져서 용기 안에 수납되도록 지지되기 때문에, 용기의 입구부에 끼울 수 있는 큰 결합부를 가지며, 스트로 삽입용 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스트로를 삽입 지지하는 지지구멍이 형성된 스트로 지지부와, 이 스트로 지지부가 본체에 대하여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되도록 스트로 지지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탄성신축이 자유로운 실리콘 고무제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실리콘 고무제 연결부가 얇고 가느다란 2개의 고무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고무부재의 각각 상단이 본체의 결합부의 내주측 하면에 서로 대향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단이 스트로 지지부의 외주측 상면에 서로 대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결합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부를 가지며, 결합부가 용기의 입구부에 끼워지면, 스토퍼부가 용기의 입구부의 상면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스트로 지지구의 전체가 탄성이 많은 고무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와 같이 스트로를 용기에 대하여 일일이 넣었다 뺐다 할 필요가 없고, 스트로를 사용할 경우에는 캡을 분리함으로써 연결부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원래와 같이 상부가 입구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하고, 또한 불사용시에는 용기 안에 수납하여 어느 경우에라도 효과적으로, 게다가 분실하지 않고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의 지지구와 스트로의 조합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용기 안에 삽입된 스트로를, 이 스트로의 상부가 용기의 입구부에 캡이 끼워지기 전에는 입구부에서 돌출하고, 캡이 끼워지면 캡의 내저면으로 눌러져서 용기 안에 수납되도록 지지하는 스트로 지지구와, 이 스트로 지지구에 의해 지지된 스트로를 세트로 하여 포장체로 포장한 것이므로, 스트로 지지구가 용기의 입구부에 끼워질 수 있는 큰 결합부를 가지며, 스트로 삽입용의 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스트로를 삽입 지지하는 지지구멍이 형성된 스트로 지지부와, 이 스트로 지지부가 본체에 대하여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스트로 지지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탄성신축이 자유로운 실리콘 고무제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에 있어서, 실리콘 고무제 연결부가 얇고 가느다란 2개의 고무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고무부재의 각각 상단이 본체의 결합부의 내주측 하면에 서로 대향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단이 스트로 지지부의 외주측 상면에 서로 대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포장체가 수지제의 투명한 포장봉지와 수납용 판지로 형성되고, 이 판지에 스트로 지지구가 보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스트로 지지구와 스트로를 판매하기 쉬운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 지지구 및 스트로의 수납케이스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의 입구부에 끼울 수 있는 크기의 결합부를 가지며, 스트로 삽입용의 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스트로를 삽입 지지하는 지지구멍이 형성된 스트로 지지부와, 이 스트로 지지부가 본체에 대하여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되도록 스트로 지지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탄성신축이 자유로운 실리콘 고무제 연결부를 구비하고,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용기 안에 삽입된 스트로를, 이 스트로의 상부가 용기의 입구부에 캡이 끼워지기 전에는 입구부에서 돌출하고, 캡이 끼워지면 캡의 내저면으로 눌러져서 용기 안에 수납되도록 지지하는 스트로 지지구 및 스트로를 수납하는 것이므로, 한쪽이 열려 있고, 타단은 닫혀진 중공 통 형태로 형성되고, 스트로를 그 일단 개구부에서 삽입하여 거의 전체를 덮을 수 있게 수납하는 합성수지제의 케이스 본체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 본체의 한쪽 개구부의 내경이 스트로 지지구의 결합부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스트로 지지구를 스트로 지지부 및 연결부가 케이스 본체 내에 위치하고, 결합부가 한쪽 개구부에 끼워지도록 수납됨과 동시에, 스트로 삽입용의 구멍을 이용하여 스트로를 수납하고, 또한 한쪽 개구부의 외면에 용기의 캡이 나사 결합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한쪽 개구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이 대경의 개구 가장자리의 원주방향으로 절취홈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사용 완료한 스트로 지지구 및 스트로를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고, 그 재활용이 가능하고, 자원 절약을 도모할 수 있고, 용기의 캡의 직경이 다소 다른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1 내지 도7를 참조하여 다음에 상술한다.
도1a, 도1b에 있어서, 1은 전체가 탄성이 풍부한 고무재에 의해 형성된 스트로 지지구로서, 본체(2)와 스트로 지지부(3)와 연결부(4)로 되어 있다. 본체(2)는 큰 직경의 스토퍼부(5)와, 스토퍼부(5)보다 작은 직경이고, 스토퍼부(5)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6)로 되어 있고, 결합부(6)의 중심부에는 스트로 삽입용 구멍(7)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멍(7)의 내경(D)은 도2와 같이 스트로(8)의 외경(d)보다 크고, 스트로(8)가 어느 정도의 유격을 갖고 삽입될 수 있도록 가장 적합한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멍(7)의 내경(D)을 소정의 직경으로 설정한 가장 큰 이유는, 특히 내용물로서 탄산음료를 용기 안에 충전할 경우, 모세관 현상에 의해 내용물이 분출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스트로 지지구(1)는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6)가 용기(500㎖용량의 음료수용)(10)의 입구부(11)에 끼워지고, 스토퍼부(5)가 입구부(11)의 상면에 놓여져 결합됨으로써 입구부(11)에 장착된다. 스토퍼부(5)의 결합에 의해 스트로 지지구(1)의 용기(10)내로의 탈락이 방지된다.
스트로(straw)(8)는 새커(sacker)라고도 부르며, 상하단이 개구되어서 연통한 수지제의 가느다란 중공파이프 형상의 음료흡인구이고, 도2 및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용기(10)는 전체가 PET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경량임과 동시에, 상표나 판매자 등을 기재한 부분이나 다음에 설명하는 캡을 제외하고 투명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용량 등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트로 지지부(3)는 그 중심부에 스트로(8)를 삽입 지지하는 지지구멍(12)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지구멍(12)의 내경(da)은 스트로(8)의 외경(d)과 같거나 이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이 구멍에 스트로를 삽입하면, 그 내면마찰저항에 의해 스트로(8)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결부(4)는 실리콘 고무제의 얇고 가느다란 2개의 탄성신축이 자유로운 고무부재(4a, 4b)에 의해 형성되고, 고무부재(4a, 4b)의 각 상단이 본체(2)의 결합부(6)의 내주측 하면으로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단이 스트로 지지부(3)의 외주측 상면에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상하부에 있어서 횡방향 간격을 동일하게 하여, 스트로 지지부(3)와 본체(2)를, 스트로 지지부(3)가 본체(2)에 대하여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되도록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도1a 및 1b에 있어서 13은 스토퍼부(5)의 상면에 형성된 고리형상의 요(凹)홈이다.
사용할 때에는, 스트로(8)를 스트로 지지구(1)의 본체(2)의 구멍(7)에 넣고, 스트로 지지부(3)의 지지구멍(12)에서 그 상부가 지지되도록 한 상태로 한 후, 도4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우선 스트로 지지구(1)를 본체(2)의 결합부(5)가 용기(10)의 입구부(11)에 결합되고, 스토퍼부(6)가 입구부(11)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장착한다. 장착되면, 스트로 지지구(1)는 결합부(5)의 끼움 결합으로 인해 간단하게는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 지지부(3)는 용기(10)의 입구부(11)와 어깨부(15)의 경계 부근까지 들어간 곳에 위치하고, 스트로(8)는 이 위치에서 그 상부가 입구부(11)로부터 돌출함과 동시에,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돌출한 상단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고무부재(4a, 4b)의 탄성 신축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트로(8)의 상부가 입구부(11)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 스트로(8)의 돌출한 상단부를 입에 물고 용기(10)안의 음료수를 흡인하여 음용한다.
음용하지 않을 때는, 캡(16)을,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암나사(17)가 입구부(11)의 숫나사(18)에 나사 결합하도록 하여 부착한다. 이 캡(16)의 부착에 의해 스트로(8)는 그 상단면이 캡(16)의 내저면으로 눌러져서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고, 용기(10)안으로 완전히 수납된다. 또한, 이 스트로(8)의 아래방향 이동에 의해 스트로 지지부(3)는 고무부재(4a, 4b)가 늘어나서 어깨부(15)의 가운데까지 오지만, 스트로(8)의 지지는 계속된다. 캡(16)이 완전히 부착된 상태에서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2)의 결합부(5)의 상면에 있어서, 고리모양의 요홈(13)의 바깥 쪽으로 캡(16)의 내저면에 설치한 리브(19)가 맞닿으며, 이것을 누른다.
다시 음용할 때는 캡(16)을 상기와 같이 나사결합을 풀어서 분리한다. 캡(16)을 분리하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8)는 연결부(4)의 고무부재(4a, 4b)가 탄성 복귀하려고 하는 힘에 의해 원래와 같이 상부가 입구부(11)에서 돌출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캡(16)의 결합, 분리에 의해 스트로(8)를 용기(10)의 입구부(11)로부터 돌출시키거나 용기(10)안으로 수납하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트로(8)를 매우 쉽게 사용할 수 있고, 그 분실의 염려도 없게 된다.
도5는 스트로 지지구(1)를 판매할 때, 스트로 지지구(1)와 스트로(8)를 1개씩 세트로 하여 포장체(21)로 포장한 조합품을 나타내고 있다. 포장체(21)는 수지제의 투명한 포장봉지(22)와 수납용의 판지(23)로 되어 있고, 판지(23)에 밝게 나타내지 않는 구멍에 스트로 지지구(1)의 본체(2)의 결합부(6)를 상기 입구부(11)의 경우와 같은 요령으로 끼우도록 하여 부착하고, 도시하지 않은 이면측에서 스트로 지지부(3)를 고무부재(4a, 4b)를 구부린 형태로 위치시켜 보관하고 있다. 스트로(8)는 포장봉지(22)의 한쪽으로 치우치게 수납되어 있다. 24는 걸이용 구멍이고, 점포에서 진열할 때, 예컨대 후크에 걸 수 있다. 판지(23)에는 도시를 생략했으나, 스트로 지지구(1)의 사용방법 등의 취급 설명서 등이 기재되어 있다. 스트로 지지구(1)는 스트로(8)와 이러한 조합품으로 하여 판매될 수 있다.
도6은 스트로 지지구(1) 및 스트로(8)의 수납케이스(30)를 나타낸다. 이 수납케이스(30)는 전체가 합성수지로 성형된 케이스 본체(3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31)는 한쪽이 열려 있고, 다른 쪽이 닫힌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트로(8)와 거의 같은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스트로(8)를 케이스 본체(31)의 한쪽 개구부로부터 눌러 넣어 거의 전체가 피복가능하게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31)의 한쪽 개구부는 다른 부분(작은 직경 부분)(33)보다도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이 대경(大徑)부분(32)에서 스트로 지지구(1)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케이스 본체(31)의 한쪽 개구부는 그 내경이 스트로 지지구(1)의 결합부(6)가 결합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스트로 지지구(1)를 결합부(6)가 케이스 본체(31)의 한쪽 개구부에 결합하고, 스토퍼부(5)가 케이스 본체(31)의 한쪽 개구부의 가장자리 윗쪽에 놓이도록 결합되는 것에 의해 수납된다. 이 때 스트로 지지부(3) 및 연결부(4)를 케이스 본체(31)의 대경부분(32)안에 위치시킨다. 스트로 지지구(1)는 스토퍼부(5)의 상기 결합에 의해 용기(10)안으로의 탈락이 방지된다. 스트로(8)는 스트로 삽입용 구멍(7)을 이용하여 대경부분(32) 및 다른 부분(33)안에 수납된다. 케이스 본체(31)의 한쪽 개구부는 그 외면에 용기(10)의 캡(16)이 나사 결합하여 부착가능한 수나사(36)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개구 가장자리의 원주방향으로 절취홈(38)이 소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 절취홈(38)은 용기(10)의 캡(16)의 직경이 다소 다른(작은)것이어도 부착할 수 있도록 한쪽 개구부의 구멍 가장자리에 있어서 이 홈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둘레 벽을 안쪽 방향으로 조여주는 역할을 부여한다.
도6에 있어서, 40은 케이스 본체(31)의 대경부분(32)과 인접하는 다른부분(33)의 외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세로방향 부착 링(ring)부이고, 수납 케이스(30)가 백(bag)에 들어가지 않을 경우나 백의 외측에 걸어두고 운반하고 싶은 경우에, 이 링부의 구멍에 끈을 통과시켜, 이 끈을 이용하여 백의 외측에 매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부착 링부(40)에 의한 높이의 늘어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 링부(40)의 최외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외경(r)은 대경부분(32)의 외경(R)보다 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부착 링부(40)를 2개 설치했으나, 1개만 설치해도 좋다.
상기와 같은 수납 케이스(30)는 스트로 지지구(1) 및 스트로(8)를 도6에서 캡(16)이 없는 상태의 케이스 본체(31)안에 수납하고, 도시 생략한 상품설명이 있는 판지에 올려진 다음 포장봉지에 넣어져서 판매하기 위한 유통과정에 들어간다. 이와 같이 포장된 상태에서 사용할 때에는, 수납 케이스(30)를 스트로 지지구(1) 및 스트로(8)와 함께 포장봉지에서 꺼낸 후, 판지의 상품설명에 따라 스트로 지지구(1) 및 스트로(8)를 케이스 본체(31)에서 분리함과 동시에, 스트로(8)를 스트로 지지구(1)의 스트로 삽입용 구멍(7)에서 빼낸다. 그런 다음, 스트로(8)를 스트로 지지구(1)의 아래쪽으로부터 스트로 지지부(3)의 지지구멍(12)으로 통과시키고, 다시 그 위의 구멍(7)에도 통과시키고, 스트로(8)의 상단이 스토퍼부(5)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하도록 한다. 그 다음에 이 스트로(8)를 하단측으로부터 용기(10)안에 그 입구부(11)의 개구부로부터 삽입함과 동시에, 스트로 지지구(1)의 결합부96)를 용기(10)의 입구부(11)에 결합시키고, 또한 스토퍼부(5)를 입구부(11)의 상면에 결합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스트로 지지구(1) 및 스트로(8)의 용기(10)로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가 도2에 도시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사용에 제공된다.
용기(10)안의 음료가 없게 되어 폐기할 때에는 사용 완료 스트로 지지구(1) 및 스트로(8)를 일단 용기(10)의 입구부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사용 완료 스트로 지지구(1) 및 스트로(8)를 그대로 수납 케이스(30)의 케이스 본체(31)안에 그 한쪽 개구부에 결합시키고, 스토퍼부(5)를 케이스 본체(31)의 한쪽 개구부의 입구 가장자리의 상면에 놓이도록 결합시켜 수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8)를 스트로 지지부(3)의 지지구멍(12)으로부터 뽑고, 스트로 삽입용 구멍(7)에만 삽입된 상태로 한 후 수납한다. 이것은 스트로 지지구(1)의 연결부(4)에 의한 탄성 신축작용이 불필요하게 움직임을 방지하면 캡(16)을 보다 부착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폐기할 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캡(16)을 케이스 본체(31)의 한쪽 개구부의 수나사(36)에 결합하여 부착한다. 이 부착에 의해 스트로(8)는 그 상단이 캡(16)의 내저면에서 눌러져서 아래로 이동되고, 케이스 본체(31)안으로 완전히 수납된다. 이러한 수납이 이루어질 때는 스트로 지지구(1)를 보관하는 작업으로 되고, 사용 완료한 스트로(8)의 음료 부착 부분을 가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손가락 등을 더럽히지 않게 된다.
사용 완료한 스트로 지지구(1) 및 스트로(8)는 상기와 같이 수납케이스(30)의 케이스 본체(31)안에 수납된 상태로 놓여져서, 스트로(8)에 부착된 음료가 누설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세로방향으로 유지하여 옮겨진다. 캡(16)의 부착이 완전히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 있으면 누설이 일어나지 않아, 가로 방향으로 유지하여 옮기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다시 사용할 때는 캡(16)을 상기 나사결합을 풀어서 케이스 본체(31)로부터 제거한 후, 스트로 지지구(1) 및 스트로(8)를 케이스 본체(31)에서 분리하여, 캡이 분리된 새로운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한다. 이 장착순서에 대하여는 앞에 기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사용을 완료한 스트로 지지구(1) 및 스트로(8)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고, 또 용기의 캡도 재활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줄여 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번 사용된 수납케이스(30)는 그대로 또는 씻어서 도시하지 않는 포장봉지 등에 수납하여 다음에 이용될 때까지 보관된다. 세정할 때도 수납케이스(30)의 전체 형상이 심플하기 때문에 간단하고 위생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다.
상기에 있어서 수납케이스(30)의 케이스 본체(31)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볍고, 게다가 어린아이들도 잡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행지나 음용 목적지 등지에서 구입한 음료수 용기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 케이스본체(31)는 적절한 강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소지하고 이동할 때에도 찌그러져서 변형되거나 하는 일이 없다. 그러므로 가운데 수납한 스트로(8)가 구부러지거나 꺾어지거나 하는 것도 아니며, 파손 등을 원인으로 하여 스트로(8)를 세정하기 어렵게 되어 비위생적으로 되는 것도 아니며, 스트로(8)의 형태를 항상 직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바람직한 일례에 대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고, 도면에 나타난 실시 형태 이외의 것이라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1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결부(4)의 구성 등에 대해서는 균등한 범위에서 다른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기에 있어서도 PET 등의 합성수지로 되어있는 용기(페트보틀)뿐만 아니라, 유리병 등과 같은 것이라도 좋다. 더욱이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수납케이스(30)도 바람직한 일례에 있어서 형상이나 구조 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로 지지구, 그 조합품 및 수납케이스는 스트로를 용기에 대하여 일일이 넣었다 뺐다 할 필요가 없고, 사용 스트로의 보관도 용이하고, 특히 차내와 같은 요동이 있는 장소에서도 사용하기가 적합한 스트로 지지구 및 이 스트로 지지구와 스트로의 조합품, 및 사용 완료한 스트로 지지구와 스트로를 효율적으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재활용이 가능하고, 자원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10)

  1.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용기 안에 삽입된 스트로를, 이 스트로의 상부가 용기의 입구부에 캡이 끼워지기 전에는 입구부에서 돌출하고, 캡이 끼워지면 캡의 내저면으로 눌러져서 용기 안에 수납되도록 지지하는 스트로 지지구에 있어서,
    상시 용기의 입구부에 끼울 수 있는 큰 결합부를 가지며, 스트로 삽입용 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스트로를 삽입 지지하는 지지구멍이 형성된 스트로 지지부와, 이 스트로 지지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스트로 지지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탄성신축이 자유로운 실리콘 고무제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제 연결부가 얇고 가느다란 2개의 고무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고무부재의 각 상단이 본체의 결합부의 내주측 하면에 서로 대향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단이 스트로 지지부의 외주측 상면에 서로 대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지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부를 가지며, 결합부가 용기의 입구부에 끼워지면, 상기 스토퍼부가 용기의 입구부의 상면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지지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 지지구의 전체가 탄성이 풍부한 고무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지지구.
  5.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용기 안에 삽입된 스트로를, 이 스트로의 상부가 용기의 입구부에 캡이 끼워지기 전에는 입구부에서 돌출하고, 캡이 끼워지면 캡의 내저면으로 눌러져서 용기 안에 수납되도록 지지하는 스트로 지지구와, 이 스트로 지지구에 의해 지지된 스트로를 세트로 하여 포장체로 포장한 스트로 지지구와 스트로의 조합품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 지지구가, 용기의 입구부에 끼워질 수 있는 큰 결합부를 가지며, 스트로 삽입용의 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스트로를 삽입 지지하는 지지구멍이 형성된 스트로 지지부와, 이 스트로 지지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트로 지지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탄성신축이 자유로운 실리콘 고무제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지지구와 스트로의 조합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가 수지제의 투명한 포장봉지와 수납용 판지로 형성되고, 이 판지에 스트로 지지구가 보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지지구와 스트로의 조합품.
  7.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용기 안에 삽입된 스트로를, 이 스트로의 상부가 용기의 입구부에 캡이 끼워지기 전에는 입구부에서 돌출하고, 캡이 끼워지면 캡의 내저면으로 눌러져서 용기 안에 수납되도록 지지하는 스트로 지지구와, 이 스트로 지지구에 의해 지지된 스트로를 세트로 하여 포장체로 포장한 스트로 지지구와 스트로의 조합품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 지지구가, 용기의 입구부에 끼워질 수 있는 큰 결합부를 가지며, 스트로 삽입용의 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스트로를 삽입 지지하는 지지구멍이 형성된 스트로 지지부와, 이 스트로 지지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트로 지지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탄성신축이 자유로운 실리콘 고무제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실리콘 고무제 연결부가 얇고 가느다란 2개의 고무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고무부재의 각 상단이 본체의 결합부의 내주측 하면에 서로 대향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단이 스트로 지지부의 외주측 상면에 서로 대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지지구와 스트로의 조합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가 수지제의 투명한 포장봉지와 수납용 판지로 형성되고, 이 판지에 스트로 지지구가 보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지지구와 스트로의 조합품.
  9. 용기의 입구부에 끼울 수 있는 크기의 결합부를 가지며, 스트로 삽입용의 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스트로를 삽입 지지하는 지지구멍이 형성된 스트로 지지부와, 이 스트로 지지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스트로 지지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탄성신축이 자유로운 실리콘 고무제 연결부를 구비하고,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용기 안에 삽입된 스트로를, 이 스트로의 상부가 용기의 입구부에 캡이 끼워지기 전에는 입구부에서 돌출하고, 캡이 끼워지면 캡의 내저면으로 눌러져서 용기 안에 수납되도록 지지하는 스트로 지지구 및 스트로의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한쪽이 열려 있고, 다른 쪽은 닫혀진 중공 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를 그 일단 개구부에서 삽입하여 거의 전체를 덮을 수 있게 수납하는 합성수지제의 케이스 본체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 본체의 한쪽 개구부의 내경이 스트로 지지구의 결합부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로 지지구를 스트로 지지부 및 연결부가 케이스 본체 내에 위치하고, 결합부가 한쪽 개구부에 끼워지도록 수납됨과 동시에, 스트로 삽입용의 구멍을 이용하여 스트로를 수납하고, 또한 한쪽 개구부의 외면에 용기의 캡이 나사 결합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지지구 및 스트로의 수납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한쪽 개구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이 대경의 개구 가장자리의 원주방향으로 절취홈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지지구 및 스트로의 수납케이스.
KR1020000028520A 1999-06-01 2000-05-26 스트로 지지구 KR200100071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54025 1999-06-01
JP11154025A JP2000335622A (ja) 1999-06-01 1999-06-01 ストロー保持具及び該保持具とストローの組合せ品
JP2000008601A JP3287350B2 (ja) 2000-01-18 2000-01-18 ストロー保持具及びストローの収納ケース
JP2000-8601 2000-0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121A true KR20010007121A (ko) 2001-01-26

Family

ID=2648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520A KR20010007121A (ko) 1999-06-01 2000-05-26 스트로 지지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1057747A3 (ko)
KR (1) KR200100071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0466B2 (en) 2019-02-05 2023-07-04 Ricky L. Meyers Disposable lid for facilitating holding of a detachable straw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07016368A (es) * 2005-06-24 2008-03-05 Wfcp Llc Bolsa parada flexible con montaje integral y popote interno.
CN103251279A (zh) * 2013-05-07 2013-08-21 吴江市董鑫塑料包装厂 一种旅行吸管
FR3044645B1 (fr) * 2015-12-08 2020-08-28 Tea And Bubbles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e boisson et ensembl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t une pail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1331A (en) * 1966-02-21 1966-12-13 Charles R Grisham Beverage containing and dispensing enclosure
US3307686A (en) * 1966-03-16 1967-03-07 Nicholas M Brecher Packaging and merchandising device
FR2242963A1 (en) * 1973-09-11 1975-04-04 Breard Philippe Sterile container for medical ligaments - security band terminates in bead locating in double recess on tube
AU1632183A (en) * 1982-07-29 1984-03-01 Owens-Illinois Inc. Parison for oriented plastic containers
JP2000005022A (ja) * 1998-06-18 2000-01-11 Purotekkusu Kk 飲料容器のストロー保持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0466B2 (en) 2019-02-05 2023-07-04 Ricky L. Meyers Disposable lid for facilitating holding of a detachable stra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57747A2 (en) 2000-12-06
EP1057747A3 (en) 2001-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4473A (en) Beverage container/drinking vessel
US3804952A (en) Dispensing package for feeding of infants
US6494332B1 (en) Stoppers for individual beverage containers
US20040159625A1 (en) Beverage bottle
WO1999037190A1 (en) Bottle convertible into drinking utensil
US20110303631A1 (en) Device for Attaching a Figurine onto a Beverage Bottle
US4265363A (en) Container with drinking tube
ES2325231T3 (es) Envase desechable para bebidas.
KR20010007121A (ko) 스트로 지지구
BG63429B1 (bg) Контейнер за напитки или други течности със сгъваем накрайник
KR200307714Y1 (ko) 스트로우내장형음료팩
CN100513267C (zh) 一种饮料包装装置
KR200385096Y1 (ko) 음료수 용기
KR100429708B1 (ko)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JP3287350B2 (ja) ストロー保持具及びストローの収納ケース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353874Y1 (ko) 페트음료병을 이용한 컵 겸용 병
KR100700039B1 (ko) 음료용 병
KR200231432Y1 (ko)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RU2276048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жидко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KR200350442Y1 (ko) 페트병
KR200398052Y1 (ko)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JP2000335622A (ja) ストロー保持具及び該保持具とストローの組合せ品
KR200323981Y1 (ko) 컵 겸용 병
KR200323811Y1 (ko) 다용도 병따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