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01981U - 부재맞춤 기준선 - Google Patents

부재맞춤 기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981U
KR20010001981U KR2019990012501U KR19990012501U KR20010001981U KR 20010001981 U KR20010001981 U KR 20010001981U KR 2019990012501 U KR2019990012501 U KR 2019990012501U KR 19990012501 U KR19990012501 U KR 19990012501U KR 20010001981 U KR20010001981 U KR 200100019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line
member registration
block
abacus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86742Y1 (ko
Inventor
황인우
정종열
이석문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9-0012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742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9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9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74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 B63B2241/20Designs or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블록에 대한 부재를 조립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고도의 품질향상을 위해 취부 위치를 정확히 표기할 수 있고, 각 부재의 절단 및 마킹시 캐드(CAD) 시스템으로 모든 부재 맞춤을 위한 표준 기준선이 자동 표기되도록 고안한 부재 맞춤 기준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주판에 기준점을 설정하고 그 기준점을 중심으로 부재맞춤 기준선과 부재맞춤 삼각점을 마킹하는 블록에 표시되는 부재맞춤 기준선에 있어서, 상기 부재맞춤 기준선은 주판의 상부에 설정되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150mm 거리마다 표시되어 스티프너, 판계라인 및 곡외판 작업시 주판에 부재맞춤 기준선이 마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맞춤 기준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재맞춤 기준선{Cutmark line marking a block}
본 고안은 선박의 블록을 조립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고도의 품질향상을 위해 취부 위치를 정확히 표기할 수 있고, 각 부재의 절단 및 마킹시 캐드(CAD) 시스템으로 모든 부재 맞춤을 위한 표준 기준선이 자동 표기되도록 고안한 부재 맞춤 기준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는, 다수의 블록을 제작하고 각각의 블록을 용접하여 선박을 건조하게 되는데, 상기 각각의 블록에 대한 제조시 부재에 대한 취부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도록 블록에는 부재맞춤을 위한 표준 기준선을 마킹하게 되고, 그 표준 기준선을 기점으로 하여 많은 부재들을 결합 및 절단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부재 맞춤 기준선을 적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의 다른 부재 맞춤 기준선을 적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블록을 구성하는 주판(10)에는 다수의 기준점(+)(12)이 표시되고 상기 기준점(12)을 기준으로 하여 부재맞춤 기준선(14)이 표시된다.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주판(10)에는 다수개의 기준점(+)(12)이 표시되고 상기 기준점(12)을 기준으로 부재맞춤 기준선인 삼각점(16)이 표시된다.
전술한 일반적인 부재 맞춤 기준선을 블록의 주판에 표시하는 경우는, 기준점을 설정하는데 있어 정확한 측정과 함께 그 자리에 정확하게 부재 맞춤 기준선을 마킹할 수 없어 부재에 대한 취부작업후 또 다시 재작업을 시행하게 되므로 작업에 대한 비용이 상승할뿐만 아니라 재작업이 빈번하게 시행되는 관계로 연속작업을 진행할 수 없어 후 공정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록에 대한 취부작업시 취부작업에 대한 단순화를 얻을 수 있도록 부재 맞춤 기준을 마킹할 수 있고, 또한 블록에 대한 부재를 탑재시 재절단 작업을 방지할 수 있어 블록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비용절감을 얻을 수 있는 부재 맞춤 기준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주판에 기준점을 설정하고 그 기준점을 중심으로 부재맞춤 기준선과 부재맞춤 삼각점을 마킹하는 블록에 표시되는 부재맞춤 기준선에 있어서, 상기 부재맞춤 기준선은 주판의 상부에 설정되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150mm 거리마다 표시되어 스티프너, 판계라인 및 곡외판 작업시 주판에 부재맞춤 기준선이 마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맞춤 기준선을 제공한다.
도 1a는 종래의 부재 맞춤 기준선을 적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종래의 다른 부재 맞춤 기준선을 적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부재 맞춤 기준선을 적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본 고안의 부재 맞춤 기준선을 내부재 스티프너에 적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c는 본 고안의 부재 맞춤 기준선을 판계작업시 적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d는 본 고안의 부재 맞춤 기준선을 곡외판 작업에 적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N/C(수치제어)에 의한 부재맞춤 기준선을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30: 주판 34: 기준점(+)
38: 부재맞춤 기준선 40: 스티프너
44: 판계라인 48: 종부재
50: 횡부재
본 고안의 도면에 의거하여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고안의 부재 맞춤 기준선을 적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부재 맞춤 기준선을 내부재 스티프너에 적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c는 본 고안의 부재 맞춤 기준선을 판계작업시 적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d는 본 고안의 부재 맞춤 기준선을 곡외판 작업에 적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주판(30)에는 기준점(+)(34)을 주판의 상부 및 외측에 설정한 후 기준점(34)으로부터 150mm 거리에 부재 맞춤 기준선(38)을 표시한다. 상기 부재맞춤 기준선(38)은 기준점(34)으로부터 정확하게 150mm 거리에 표시되므로 모든 부재에 확대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주판(30)의 상부 또는 외측에는 다수의 기준점(+)(34)을 설정한 후 그 주판(30)의 상부에 스티프너(40)를 설치한 후 용접작업을 시행한다. 상기 주판(30)에 스티프너(40)를 설치하는 경우 부재맞춤 기준선(38)을 기준점(34)마다 150mm 거리로 마킹한다.
도 2c에서 알 수 있듯이, 주판(30)에 대한 판계작업을 시행하는 경우는 주판(30)의 중간부에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판계라인(44)을 150mm 거리로 마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판계라인(44)을 설정하므로 간단하게 판계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2d에서 알 수 있듯이, 주판(30)에는 그 상부에 종부재(48)를 설치하고 상기 종부재(48)에 횡부재(50)를 결합하는 경우에도 150mm 거리로 부재맞춤 기준선(38)을 마킹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N/C(수치제어)에 의한 부재맞춤 기준선을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주판(30)에는 다수의 부재맞춤 기준선(38)이 표시되는데, 이때는 수치제어에 의해서 부재맞춤 기준선(38)이 마킹되는 관계로 정확하게 주판(30)의 상부에 부재맞춤 기준선이 마킹되게 된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부재 맞춤 기준선을 적용하게 되면, 무형적으로는 블록에 대한 취부작업의 단순화를 얻을 수 있어 조립정도 및 품질향상을 얻을 수 있고, 블록에 대한 여러 부재들의 탑재작업시 재작업을 방지할 수 있어 후 공정을 연속적으로 시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형적으로는 절단 및 마킹 작업을 캐드상에서 정확하게 시행할 수 있어 현장에서 사용되는 부재들의 시수절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주판에 기준점을 설정하고 그 기준점을 중심으로 부재맞춤 기준선과 부재맞춤 삼각점을 마킹하는 블록에 표시되는 부재맞춤 기준선에 있어서, 상기 부재맞춤 기준선(38)은 주판(30)의 상부에 설정되는 기준점(34)을 기준으로 150mm 거리마다 표시되어 스티프너(40), 판계라인(44) 및 곡외판 작업시 주판에 부재맞춤 기준선이 마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맞춤 기준선.
KR20-1999-0012501U 1999-06-30 1999-06-30 부재맞춤 기준선 Expired - Fee Related KR200386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501U KR200386742Y1 (ko) 1999-06-30 1999-06-30 부재맞춤 기준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501U KR200386742Y1 (ko) 1999-06-30 1999-06-30 부재맞춤 기준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981U true KR20010001981U (ko) 2001-01-26
KR200386742Y1 KR200386742Y1 (ko) 2005-06-16

Family

ID=4368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501U Expired - Fee Related KR200386742Y1 (ko) 1999-06-30 1999-06-30 부재맞춤 기준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7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24B1 (ko) * 2011-03-11 2013-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곡블록 내부재 취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2338B1 (ko) * 2011-09-29 2016-10-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행 탑재가 용이한 스티프너-브래킷 배치 구조를 갖는 데크 하우징 구조물 및 그것의 탑재 공법
KR101662337B1 (ko) * 2011-09-29 2016-10-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행 탑재가 용이한 스티프너-브래킷 설치 구조를 갖는 데크 하우징 구조물 및 그것의 탑재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742Y1 (ko)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5403B (zh) 造船过程中快速检测定位合拢精度的方法
CN110355819B (zh) 一种蒙皮与骨架连接结构的制孔方法
CN108747041B (zh) 一种三维激光切割板件的基准校正方法
CN111731450B (zh) 一种使用胎架基准线控制船体分段尺寸的方法
CN112962831A (zh) 基于机器人的内墙现浇模板快速安装方法
KR200386742Y1 (ko) 부재맞춤 기준선
JP3091424B2 (ja) 穿孔装置
CA2469249C (en) Building framework,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components used in the framework
CN111645827A (zh) 一种船体构件快速定位方法
CN210756083U (zh) 带调整支承的主端梁组合工装
CN114939790B (zh) 一种船名标志的设计施工方法
CN211332882U (zh) T梁伸缩缝预埋钢筋定位胎膜架工装
CN101844279B (zh) 用于大型钢结构件法兰精确连接的制作工艺
JPS61195407A (ja) 数値制御デ−タ処理方法
CN117607254A (zh) 一种按需求对厚板材选形加工的定位超声检测方法
JPS61121838A (ja) エレベ−タ部品の取付位置決め方法
US10987781B2 (en) Clamping device for clamping at least two components to be joined together and a method for designing the same
CN209156863U (zh) 用于模具的三销定位机构
KR200270581Y1 (ko) 타이어 성형공정에 사용되는 카메라의 센터링장치
JP4506995B2 (ja) 横架材等構造部材の一次加工材在庫と二次加工用墨付け
KR200460300Y1 (ko) 앵글 파트 스크랩 툴
JP2008163550A (ja) 建築用パネル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建築用パネル材
US20210364189A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N119682934A (zh) 船舶分段装配方法
KR200284903Y1 (ko) 배관의 플랜지 볼트구 중심마킹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63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0122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1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30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409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506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