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01083U -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 Google Patents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083U
KR20010001083U KR2019990011373U KR19990011373U KR20010001083U KR 20010001083 U KR20010001083 U KR 20010001083U KR 2019990011373 U KR2019990011373 U KR 2019990011373U KR 19990011373 U KR19990011373 U KR 19990011373U KR 20010001083 U KR20010001083 U KR 200100010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bar
chair
pivot
moving p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춘
Original Assignee
백남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춘 filed Critical 백남춘
Priority to KR2019990011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1083U/ko
Publication of KR200100010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083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등받이와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전면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 1수납공 및 제 2수납공; 상기 제 1수납공 및 제 2수납홈공 접철 가능하게 삽입된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 상기 제 1수납공 및 제 2수납공과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에 구비되어 상기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 상기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장치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에 접철 가능하게 겨드랑이 받침대를 설치하되, 이 겨드랑이 받침대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받치게 되는 제 1,2회동바를 높이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적절하게 조절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신체 조건을 갖는 사용자에 적합하게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겨드랑이 받침대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때 허리(척추)에 가해지는 체중을 분산시키게 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시켜 주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THE ARMPIT SUPPORT ATTACHMENT A CHAIR}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의 등받이에 접철 가능하게 겨드랑 이 받침대를 부설하여 사용자의 겨드랑이(어깨포함)를 받쳐주게 됨으로써 허리(척추)에 가해지는 체중의 부하를 감쇄시키게 되고, 허리(척추)를 일직선으로 유지시키게 됨으로써 의자에 앉은 자세를 바르게 하는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등을 기대게 되는 등받이와 하체가 받쳐지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등받이와 지지판의 양측에는 팔걸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팔을 편안하게 기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의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의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0)는 크게 등받이(200)와 지지판(300)으로 이루어진다.
등받이(200)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을 기대기가 용이하도록 제작되고, 수직을 유지하여 설치된다.
지지판(300)은 등받이(200)와 직교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받치게 된다.
그리고, 등받이(200)와 지지판(300)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팔을 기대게 되는 팔걸이(400)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지지판(300)의 하부에는 다수의 의자다리(310)가 구비되어 의자(10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등받이(200)와 지지판(300)에는 완충패드(500)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과 하체를 편안하게 받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의자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편안하게 의자(100)의 등받이(200)와 지지판(300)으로써 등과 하체를 기대게 되면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판(300)과 등받이(200) 양측에 구비된 팔거리(400)에 팔을 기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등받이(200)와 지지판(300)에는 완충패드(500)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의 등과 하체를 편안하게 지지하게 되고, 지지판(300)의 하부에는 다수의 의자다리(310)가 구비되어 의자(100)의 전체를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의자는 구조상으로 사용자의 등과 하체(힙)를 받쳐주도록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신체 하중이 허리로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되는 데, 이러한 신체 하중을 분산시키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가 발생되었으며, 특히 성장기의 유아 및 청소년 들에게는 성장에 저해 요소가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겨드랑이(어깨포함)를 확실하게 받쳐주게 됨으로써 허리(척추)에 가해지는 체중을 분산시키게 되어 허리(척추)에 무리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등받이와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전면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 1수납공 및 제 2수납공; 상기 제 1수납공 및 제 2수납공에 접철 가능하게 삽입된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 상기 제 1수납공 및 제 2수납공과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에 구비되어 상기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 상기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장치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제 1수납공 및 제 2수납공의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된 다수의 체결장홈; 상기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체결장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안내장공이 형성된 제 1이동핀 및 제 2이동핀; 상기 제 1이동핀 및 제 2이동핀의 상기 안내장공에 관통되어 상기 제 1이동핀 및 제 2이동핀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제 1이동핀 및 제 2이동핀이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핀; 상기 제 1이동핀 및 제 2이동핀을 탄력적으로 연결 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의 체결장홈 각각의 하부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가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제 1회동바 및 제 2회동바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삽지홈; 상기 삽지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이 돌출된 보조회동바; 상기 보조회동바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일단이 돌출되게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리게 되는 돌출핀; 상기 보조회동바의 삽입홈에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핀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2탄성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의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겨등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 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 B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겨드랑이 받침대가 접철되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 단면도.
도 7a,7b는 본 고안에 따른 겨드랑이 받침대가 높이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겨드랑이 받침대가 길이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의자 20 : 등받이
60 : 겨드랑이 받침대 61 : 끼움부재
62 : 끼움홈 63,64 : 제 1,2수납공
65,66 : 제 1,2회동바 70 : 높이조절장치
71 : 체결장홈 72,73 : 제 1,2이동핀
74 : 안내장공 75 : 고정공
76,96 : 제 1,2탄성부재 77 : 체결핀
90 : 길이조절장치 91 : 삽지홈
92 : 걸림홈 93 : 보조회동바
94 : 삽입홈 95 : 돌출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겨등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설치상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 B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겨드랑이 받침대가 접철되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 단면도이고, 도 7a,7b는 본 고안에 따른 겨드랑이 받침대가 높이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겨드랑이 받침대가 길이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자(10)는 크게 등받이(20)와 지지판(30)으로 이루어진다.
등받이(20)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을 기대기가 용이하도록 제작되고, 수직을 유지하여 설치된다.
지지판(20)은 등받이(30)와 직교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하체를 받치게 되며, 그리고 등받이(20)와 지지판(30)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팔을 기대게 되는 팔걸이(40)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지지판(30)의 하부에는 다수의 의자다리(31)가 구비되어 의자(1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등받이(20)와 지지판(30)에는 완충패드(50)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과 하체를 편안하게 받치게 된다.
한편, 의자(10)의 등받이(20)에는 사용자의 겨드랑이(어깨포함)가 받쳐지는 겨드랑이 받침대(6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겨드랑이 받침대(60)는 등받이(20)의 전면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 1,2수납공(63)(64)과, 제 1,2수납공(63)(64)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접철되는 제 1,2회동바(65)(6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수납공(63)(64)과 제 1,2회동바(65)(66)에는 제 1,2회동바(65)(66)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70)가 구비된다.
높이조절장치(70)는 제 1,2수납공(63)(64)의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된 다수의 체결장홈(71)과, 제 1,2회동바(65)(66)의 하부 양단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어 체결장홈(71)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제 1,2이동핀(72)(7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체결장홈(71)은 일측과 타측에 걸림부(71a)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 1,2수납공(63)(64)의 체결장홈(71) 하부에는 스토퍼(80)가 돌출 형성되어 제 1,2회동바(65)(66)가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스토퍼(80)는 제 1,2수납공(63)(64)의 체결장홈(71) 하부에 돌출 형성하되, 제 1,2회동바(65)(66)의 상하 이동시 간섭이 발생되는 않은 범위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2이동핀(72)(73)은 안내장공(74)이 각각 형성되고 제 1,2회동바(65)(66)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75)에 일단이 돌출되게 삽입되며, 타단이 제 1탄성부재(76)로써 탄력적으로 연결 지지 된다.
또한, 제 1,2이동핀(72)(73)의 안내장공(74)에 관통되게 제 1,2회동바(65)(66)의 일면으로부터 체결핀(77)을 삽입시켜 제 1,2이동핀(72)(73)이 제 1,2회동바(65)(66)의 고정공(7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동시에 제 1,2이동핀(72)(73)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제 1,2회동바(65)(66)의 내부에는 제 1,2회동바(65)(66)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장치(90)가 구비된다.
길이조절장치(90)는 제 1,2회동바(65)(66)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삽지홈(91)과, 삽지홈(9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이 돌출된 보조회동바(93)로 이루어진다.
또한, 삽지홈(91)의 양측에는 대향되게 걸림홈(92)이 형성되고, 걸림홈(92)에 걸리게 되는 돌출핀(95)이 보조회동바(93) 양측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된다.
돌출핀(95)은 보조회동바(93)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94)에 일단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제 2탄성부재(96)로써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제 1,2회동바(65)(66)의 걸림홈(92)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됨으로써 제 1,2회동바(65)(66)로부터 보조회동바(9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편안하게 의자(10)의 등받이(20)와 지지판(30)으로써 등과 하체를 기대게 되면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게 되고, 그리고 지지판(30)과 등받이(20) 양측에 구비된 팔거리(40)에 팔을 기대게 된다. 이때, 등받이(20)와 지지판(30)에는 완충패드(50)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의 등과 하체를 편안하게 지지하게 되고, 지지판(30)의 하부에는 다수의 의자다리(31)가 구비되어 의자(10)의 전체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서와 같이, 겨드랑이 받침대(6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의자(10)의 등받이(20) 전면에 형성된 제 1,2수납공(63)(64)으로부터 제 1,2회동바(65)(66)를 시계 방향으로 세우게 된다. 그러면, 제 1,2회동바(65)(66)가 제 1,2수납공(63)(64)의 체결장홈(71)에 탄력적으로 삽입된 제 1,2이동핀(72)(7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 1,2수납공(63)(64)의 하단에 제 1,2회동바(65)(66)가 걸리게 되어 하방으로 회동이 방지된다.
이때, 사용자가 양팔을 등받이(20)의 제 1,2회동바(65)(66) 양 외측으로 기대게 되면, 사용자의 겨드랑이(어깨포함)가 등받이(20)의 제 1,2회동바(65)(66)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몸전체, 즉 등과 하체가 등받이(20)와 지지판(30)에 밀착되어 허리(척추)에 가해지는 체중이 분산된다.
한편, 도 7a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신장, 즉 앉은 키에 따라 제 1,2회동바(65)(66)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 1,2회동바(65)(66)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 1,2회동바(65)(66)에 관통된 고정공(75) 내부에 일단이 돌출되고 타단이 제 1탄성부재(76)로써 탄력적으로 지지된 제 1,2이동핀(72)(73)이 고정공(75) 내부로 이동되어 1,2수납공(63)(64) 하단부의 체결장홈(7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제 1,2회동바(65)(66)의 일면 외부로부터 제 1,2이동핀(72)(73)의 안내장공(74)으로 관통되어 제 1,2이동핀(72)(73)을 고정시키는 체결핀(77)의 외경을 따라 제 1,2이동핀(72)(73)의 안내장공(75)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1,2이동핀(72)(73)의 타단을 지지하고 있는 제 1탄성부재(76)가 고정공(74) 내부에서 압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2회동바(65)(66)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2이동핀(72)(73)의 일단이 제 1,2수납공(63)(64) 일면에 밀착되면서 상방으로 이동되다가 다음 체결장홈(71)에 일치된다.
이때, 압축된 상태의 제 1탄성부재(76)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제 1,2이동핀(72)(73)의 안내장공(74)이 체결핀(77)을 따라 외측으로 신속하게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 1,2이동핀(72)(73)의 일단이 제 1,2회동바(65)(66)의 고정공(75)으로부터 돌출되어 체결장홈(71) 일측의 걸림부(71a) 내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된다.
도 7b에서와 같이, 제 1,2회동바(65)(66)를 내측방으로 밀게 되면 제 1,2이동핀(72)(73)이 체결장홈(71) 타측의 걸림부(71a)로 이동되어 제 1,2회동바(65)(66)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체결장홈(71)에 형성된 스토퍼(80) 상하면에 제 1,2회동바(65)(66)의 상하부가 걸리게 됨으로써 제 1,2회동바(65)(66)가 상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안정되게 받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제 1,2회동바(65)(66)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 1,2회동바(65)(66)의 삽지홈(91) 내부에 일단이 돌출되게 삽입된 보조회동바(93)를 외측방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면, 보조회동바(93)가 제 1,2회동바(65)(66)의 삽지홈(91)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외측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보조회동바(93)의 삽입홈(94)에 삽입된 제 2탄성부재(96)가 압축되면서 돌출핀(95)이 보조회동바(93)의 삽입홈(94) 내부로 이동된 상태로 보조회동바(93)가 외측방으로 이동되어 제 1,2회동바(65)(66)의 삽지홈(91)에 형성된 걸림홈(95)에 보조회동바(93)의 돌출핀(95)이 일치된다.
이와 동시에 제 2탄성부재(96)가 복귀되면서 돌출핀(95)이 외측방으로 신속하게 복귀되어 돌출핀(95)이 제 1,2회동바(65)(66)의 걸림홈(94)에 탄력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제 1,2회동바(65)(66)의 길이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받쳐주게 된다.
한편, 겨드랑이 받침대(60)의 사용이 완료되면, 제 1,2회동바(65)(66)의 삽지홈(91) 내부로 보조회동바(93)를 완전히 삽입시키고, 제 1,2회동바(65)(66)를 등받이(20)의 제 1,2수납공(63)(64) 하단으로 이동시킨 다음, 제 1,2회동바(65)(6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1,2수납공(63)(64) 내부에 완전히 수납시켜 보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의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에 의하면, 의자의 등받이에 수납 가능하게 겨드랑이 받침대를 설치하되, 이 겨드랑이 받침대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받치게 되는 제 1,2회동바를 높이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적절하게 조절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신체 조건을 갖는 사용자에 적합하게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겨드랑이 받침대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때 허리(척추)에 가해지는 체중을 분산시키게 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시켜 주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4)

  1. 등받이와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의 전면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 1수납공(63) 및 제 2수납공(64);
    상기 제 1수납공(63) 및 제 2수납공(64)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접철되는 제 1회동바(65) 및 제 2회동바(66);
    상기 제 1수납공(63) 및 제 2수납공(64)과 제 1회동바(65) 및 제 2회동바(66)에 구비되어 상기 제 1회동바(65) 및 제 2회동바(66)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70); 및
    상기 제 1회동바(65) 및 제 2회동바(66)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 1회동바(65) 및 제 2회동바(66)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장치(9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70)는
    상기 제 1수납공(63) 및 제 2수납공(64)의 양측에 대향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체결장홈(71);
    상기 제 1회동바(65) 및 제 2회동바(66)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75)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체결장홈(7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안내장공(74)이 형성된 제 1이동핀(72) 및 제 2이동핀(73);
    상기 제 1이동핀(72) 및 제 2이동핀(73)의 상기 안내장공(74)에 관통되어 상기 제 1이동핀(72) 및 제 2이동핀(73)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제 1이동핀(72) 및 제 2이동핀(73)이 상기 고정공(7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핀(77); 상기 제 1이동핀(72) 및 제 2이동핀(73)을 탄력적으로 연결 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76);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등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60)의 체결장홈(71) 하부에는 스토퍼(8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회동바(65) 및 제 2회동바(66)가 상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장치(90)는
    상기 제 1회동바(65) 및 제 2회동바(66)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걸림홈(92)이 형성된 삽지홈(91);
    상기 삽지홈(9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이 돌출된 보조회동바(93);
    상기 보조회동바(93)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94)에 일단이 돌출되게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걸림홈(92)에 걸리게 되는 돌출핀(95);
    상기 보조회동바(93)의 삽입홈(94)에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핀(95)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2탄성부재(96);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KR2019990011373U 1999-06-24 1999-06-24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KR200100010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373U KR20010001083U (ko) 1999-06-24 1999-06-24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373U KR20010001083U (ko) 1999-06-24 1999-06-24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083U true KR20010001083U (ko) 2001-01-15

Family

ID=5476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373U KR20010001083U (ko) 1999-06-24 1999-06-24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1083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1159A1 (en) * 2001-12-17 2003-06-26 Soo-Ho Bae Chair for spinal therapy
KR100435846B1 (ko) * 2002-05-08 2004-06-12 강직원 척추 교정용 의자
WO2015023089A1 (ko) 2013-08-14 2015-02-19 Moon Jae Hyun 척추 및 허리 보호를 위한 의자
KR101658486B1 (ko) * 2015-11-10 2016-09-21 정상재 스트레칭 기능을 가진 의자
GR1009743B (el) * 2019-03-29 2020-05-22 Νικολαος Βασιλειου Γεωργακοπουλος Μηχανισμος αποσυμπιεσης της σπονδυλικης στηλης του ανθρωπινου σωματος προσαρμοζομενος στις μασχαλες που μπορει να εγκατασταθει σε καθε τυπο και σχεδιο καθισματος καθως και σε καθισματα τροχοφορων οχηματων και σκαφω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1159A1 (en) * 2001-12-17 2003-06-26 Soo-Ho Bae Chair for spinal therapy
KR100435846B1 (ko) * 2002-05-08 2004-06-12 강직원 척추 교정용 의자
WO2015023089A1 (ko) 2013-08-14 2015-02-19 Moon Jae Hyun 척추 및 허리 보호를 위한 의자
KR101658486B1 (ko) * 2015-11-10 2016-09-21 정상재 스트레칭 기능을 가진 의자
GR1009743B (el) * 2019-03-29 2020-05-22 Νικολαος Βασιλειου Γεωργακοπουλος Μηχανισμος αποσυμπιεσης της σπονδυλικης στηλης του ανθρωπινου σωματος προσαρμοζομενος στις μασχαλες που μπορει να εγκατασταθει σε καθε τυπο και σχεδιο καθισματος καθως και σε καθισματα τροχοφορων οχηματων και σκαφω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7291C (en) Multi-position convertible therapeutic chair
US5813727A (en) Massaging chair
US20020158496A1 (en) Swingable chair back with top pivot
AU2001242093B2 (en) Chair and table assembly
US5149033A (en) Extremity support apparatus
AU2001242093A1 (en) Chair and table assembly
JP3059720B1 (ja) 椅 子
KR20010001083U (ko) 겨드랑이 받침대가 부설된 의자
JP3754623B2 (ja) シャワー用折畳み椅子
US5364166A (en) Arm rest for chairs, chaise lounges and the like
KR200377417Y1 (ko) 허리 젖힘 운동 겸용 의자
JP3100377B1 (ja) 椅 子
KR101814136B1 (ko) Pc방에 적합하도록 개선된 소파형 의자
CN211021767U (zh) 一种多功能头枕
JPH0626210Y2 (ja) 腰掛け装置
KR200298253Y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JP3049052B1 (ja) 折り畳み式のスイングチェアー
KR200342419Y1 (ko) 의자용 승강 팔걸이
KR200185889Y1 (ko) 의자용 팔걸이장치
CN219699441U (zh) 一种跪坐姿切换的椅子
KR200345226Y1 (ko) 발 받침대가 부착된 의자
CN221410822U (zh) 一种舒适座椅
CN222340861U (zh) 一种沙滩椅
CN219331144U (zh) 一种可变午睡床的办公椅
KR200170106Y1 (ko) 마사지용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6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