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75723A - 계면활성제 - Google Patents

계면활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723A
KR20000075723A KR1019997007792A KR19997007792A KR20000075723A KR 20000075723 A KR20000075723 A KR 20000075723A KR 1019997007792 A KR1019997007792 A KR 1019997007792A KR 19997007792 A KR19997007792 A KR 19997007792A KR 20000075723 A KR20000075723 A KR 20000075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long chain
alkenyl
group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네일 마이클 카핀터
스티븐 죤 안데르슨
리챠드 로버트 테노어
피터 글린 히버트
Original Assignee
앤쥼 쉐이크 바쉬어+마틴 험프리스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쥼 쉐이크 바쉬어+마틴 험프리스,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피엘씨 filed Critical 앤쥼 쉐이크 바쉬어+마틴 험프리스
Publication of KR20000075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72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65/26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l groups
    • C08G65/2609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l groups containing aliphatic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65/3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carboxyl groups, or halides, or esters thereof
    • C08G65/3324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carboxyl groups, or halides, or esters thereof 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C09K23/42Ethers, e.g. polyglycol ethers of alcohols or phen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smetics (AREA)
  • Polyethe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Paper (AREA)

Abstract

화학식 R2·[(AO)n·R3]m의 화합물, 상기에서 R2가 히드록시 및(또는) 아미노 및(또는) 아미도기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m개의 활성 수소를 가지는 군의 잔기이며, AO가 알킬렌옥시이며, n이 2 내지 200이며; R3가 알케닐 숙신산 및 임의로 다른 산의 잔기를 포함하며 m이 2 내지 10 이나 m이 2일 때, 정의에서 다른 제한이 있는 상기 화합물은 수성계에서 유용한 증점제 및(또는) 분산제이다. 또한 증점제로서의 상기 물질(m이 20인 경우 일부의 제한없이)의 용도 또한 청구한다.

Description

계면활성제{Surfactants}
본 발명은 치환된 숙신산의 유도체 및 예를 들면 샴푸, 특히 아기용 샴푸에 사용된 세제용 계면활성제와 같은 다른 계면활성제를 상당량 포함하는 특히 개인용 위생 조성물에서 특히 증점제로서의 상기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EP 0107199 B에서는 산성 조건 하에서 유용한 계면활성제로서 치환된 숙신산의 몇몇 유도체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공개된 PCT 출원 제 WO 94/00508 A에서는 알킬(알케닐) 치환 숙신산 알킬렌 옥시드 에스테르 및 아미드에 기초한 계면활성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후에 공개된 PCT 출원에서는 다양한 최종 용도 적용에서 이런 류의 계면활성제 군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WO 95/06070 A에서는 수중 유적형(oil in water) 유화 중합반응에서 유화제로, WO 95/06096 A에서는 소위 경질 표면 세정시 세제로, WO 95/22896 A에서는 농약 제제 중의 유화제로 그리고 WO 95/22897 A에서는 농약 제제 중의 보조제로.
알킬 또는 알케닐 숙신산과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의 폴리알킬렌 옥시드 유도체와의 에스테르는, 상기 에스테르는 알케닐 숙신산 에스테르기를 포함하여 둘이상 특히 셋이상의 에스테르기가 있으며, 특히 셋이상의 알킬 또는 알케닐 숙신산 에스테르기가 있는 것으로, 매우 유용한 증점성 및(또는) 분산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R2·[(AO)n·R3]m(I)
상기 식에서:
R2는 히드록시기 및(또는) 아미노기 및(또는) 아미도기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m개의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잔기이며;
AO는 사슬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는 알킬렌 옥시드 잔기이고;
각 n은 2 내지 200이며;
m은 2 내지 10이고;
각 R3는 H, 히드로카르빌, 특히 C1내지 C22알킬 또는 알케닐, 화학식
OC·(HR)C·C(HR1)·COY를 갖는 장쇄 알킬(알케닐) 숙신산 아실기
(여기서, 숙신산 잔기의 R 및 R1중 하나는 C8내지 C22알케닐 또는
알킬이며 다른 하나는 수소이고, Y는 M이 수소, 금속, 암모늄, 아민,
특히 알킬아민(알카놀아민을 포함함), 오늄, 히드로카르빌, 바람직
하게는 C1내지 C22히드로카르빌,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킬, 특히 C1
내지 C22알킬인 OM기이거나; 또는 Y는 R4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치환된 히드로카르빌, 예를 들면 치환된 알킬, 특히
히드록시 치환 히드로카르빌, 특히 폴리히드록시 히드로카르빌, 예를
들면 히드록시 치환 및특히 폴리히드록시 치환 알킬기를 포함하는
히드로카르빌기, 특히 알킬기인 NR4R5임.)이거나;
또는 장쇄 아실기 -OC·R6(여기서, R6는 장쇄 히드로카르빌기, 특히 C8
내지 C22알킬 또는 알케닐기임)이거나;
또는 단쇄 아실기 -OC·R7(여기서, R7은 단쇄 히드로카르빌기이며,
특히 C1내지 C7알킬 또는 알케닐기임)이거나;
상기에서 R3기의 적어도 둘,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셋이 장쇄
아실기이며, 장쇄 아실기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둘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셋이 장쇄 알케닐 또는 알킬 숙신산
기(들)이며;
다만 상기 R1이 에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이고, m이 2이고 두개의 R2모두가 알킬(알케닐) 숙신산인 경우에, 지표 n의 총합은 120이상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학식(Ia)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R2·[(AO)n·R3]m(Ia)
상기 식에서:
R2는 히드록시기 및(또는) 아미노기 및(또는) 아미도기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m개의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잔기이며;
AO는 에틸렌 옥시드 잔기 또는 에틸렌 옥시드 잔기의 몰 함량이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인 에틸렌 옥시드 잔기 및 프로필렌 옥시드
잔기의 혼합물을 나타내며;
각 n은 10 내지 200으로 지표 n의 총합이 120이상이며;
m은 2 내지 10이며;
각 R3는 H; 히드로카르빌; 특히 C1내지 C22히드로카르빌, 더욱 특별하게는
C1내지 C22알킬 또는 알케닐;
화학식 -OC·(HR)C·C(HR1)·COY를 갖는 장쇄 알킬(알케닐) 숙신산
아실기(여기서, 숙신산 잔기의 R 및 R1중 하나는 C8내지 C22알케닐
또는 알킬이며 다른 하나는 수소이고, Y는 M이 수소, 금속, 암모늄,
아민, 특히 알킬아민(알카놀 아민을 포함함)인 OM기이거나, 또는 Y는
R4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치환된 히드로카르빌,
예를 들면 치환된 알킬, 특히 히드록시 치환 히드로카르빌, 특히 폴
리히드록시 히드로카르빌, 예를 들면 히드록시 치환 및 특히 폴리
히드록시 치환 알킬기를 포함하는 히드로카르빌기, 특히 알킬기인
NR4R5임.);
장쇄 아실기 -OC·R6(여기서 R6는 장쇄 히드로카르빌기이며, 특히 C8
내지 C22알킬 또는 알케닐기임)이며; 또는
단쇄 아실기 -OC·R7(여기서 R7은 단쇄 히드로카르빌기이며, 특히 C1
내지 C7알킬 또는 알케닐기임)이며;
상기에서 R3기의 적어도 둘,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셋이 장쇄
아실기이며, 장쇄 아실기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둘 및
특히 적어도 셋이 장쇄 알케닐 또는 알킬 숙신산기(들)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그 자체 외에, 관련 화합물(본 출원인의 선행 출원인 WO 94/00508 A의 청구 범위에 속하는 몇몇 화합물을 포함함)도 증점제로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II) 화합물의 증점제로서의 용도를 포함한다:
R12·[(AO2)n2·R13]m2(II) 여기서:
R12는 히드록시기 및(또는) 아미노기 및(또는) 아미도기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m개의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히드로카르빌 잔기이며;
AO2는 사슬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는 알킬렌 옥시드 잔기이고;
각 n2는 10 내지 200으로 지표 n2의 총합이 50이상이며;
m2는 2 내지 10이며; 그리고
각 R13은 H, 히드로카르빌, 특히 C1내지 C22알킬 또는 알케닐,
화학식 -OC·(HR10)C·C(HR11)·COY2를 갖는 장쇄 알킬(알케닐) 숙신산
아실기(여기서, 숙신산 잔기의 R10및 R11중 하나는 C8내지 C22알케닐
또는 알킬이며 다른 하나는 수소이고, Y2는 M2가 수소, 금속, 암모늄,
아민, 특히 알킬아민(알카놀 아민을 포함함), 알킬, 특히 C1내지 C22
알킬인 OM2기이거나; 또는 Y2는 R14및 R15가 각각 독립적인 수소, 또는
치환된 히드로카르빌, 예를 들면 치환된 알킬, 특히 히드록시 치환
히드로카르빌, 특히 폴리히드록시 히드로카르빌, 예를 들면 히드록시
치환 및 특히 폴리히드록시 치환 알킬기를 포함하는 히드로카르빌기,
특히 알킬기인 NR14R15임.)이거나;
또는 장쇄 아실기 -OC·R16(여기서 R16는 장쇄 히드로카르빌기이며,
특히 C8내지 C22알킬 또는 알케닐기임)이거나;
또는 단쇄 아실기 -OC·R17(여기서 R17은 단쇄 히드로카르빌기이며,
특히 C1내지 C7알킬 또는 알케닐기임)이며;
상기에서 R13기의 적어도 둘이 장쇄 아실기이며 장쇄 아실기의 적어도 하나 가 장쇄 알케닐 또는 알킬 숙신산기이다.
본 발명의 및 본 발명에 사용된 화합물은 다양한 계, 특히 수성 상을 포함하는 계(그러나 대개 배타적인 수성의 연속 상만은 아님)에서 증점제로 작용함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증점제로써, 특히 수중 유적형 및 유중 수적형(water in oil) 유화액, 수성 용액 및 수성계의 고체 분산액 중의 증점제로써, 그리고 유화제로써, 특히 다른 계면활성제와 더불어 공유화제로써 또는 유화 안정화제로써 상기에 정의된 것같은 화학식(I) 화합물의 용도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특히 상기에 정의된 것같은 화학식(Ia) 화합물의 증점제로서의 용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점제로써 상기에 정의된 것같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중 유적형 및 유중 수적형 유화액, 수성 용액 및 수성계의 고체 분산액을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계가 효과적인 증점화를 이룰 수 있을 정도로 상기에 정의된 것같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Ia)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특히 수중 유적형 및 유중 수적형, 수성 용액 및 수성계의 고체 분산액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및 본 발명에 사용된 화합물은 세정 용품, 특히 샴푸 및 이와 유사한 제품에서 다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계를 증점화시키는 데 유용하다. 통상적인 증점제, 특히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디스테아레이트, 예로 PEG 6000 디스테아레이트로 증점화된 통상적 샴푸, 특히 아기용 샴푸같은 부드러운 샴푸는 거의 뉴톤 흐름 특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이들은 실질적으로 층밀림이 얇아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샴푸는 비교적 저점도를 갖도록 제조되며 이로인해 취급이 곤란해지고 그 결과 이들을 양손으로 문질렀을 때 ‘겔-볼(gel-ball)’효과를 나타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증점제는 상당한 얇은 층밀림을 보여주며 이것은 샴푸 제제가 보다 고점도를 갖도록 제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결과적으로 취급은 더욱 용이해지나 이들의 층밀림이 얇기 때문에 손이나 머리에서 문질렀을 때 ‘볼-업(ball-up)’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및 본 발명에 사용된 화합물은 다양한 계, 특히 수성 상의 고체 분산액을 포함하는 것들에서 분산제로써 작용함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산제로써, 특히 수성 상 중의 고체, 특히 수성 상 중의 안료 고체에 대한 분산제로써 상기에 정의된 것같은 화학식(I)의 화합물의 용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제로써 상기에 정의된 것같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성계의 고체 분산액을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특히 수성 상의 고체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정도로 상기에 정의된 것같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Ia)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의 수성 분산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도 중에서, 특히 본 발명은 증점제로써 상기에 정의된 것같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II)의 화합물(화학식(I) 또는 화학식(Ia)의 화합물을 포함함)을 포함하는 특히 수중 유적형 및 유중 수적형 유화액, 수성 용액 및 수성계의 고체 분산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및 본 발명에 사용된 화합물은 적어도 개념적으로는 본 발명의 “코어 기”로 간주될 수 있는 R2또는 R12기로부터 제조된다. 이러한 코어 기는 히드록시기 및(또는) 아미노기 및(또는) 아미도기의 적어도 m개의 활성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m개의 활성 수소 원자를 제거한 후의) 화합물의 잔기이다. 이것은 보통 임의로 치환된 히드로카르빌기, 특히 C3내지 C30히드로카르빌 화합물의 잔기이다. 가장 간단한 코어 기로는 에틸렌 글리콜기(-O·C2H4·O-)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기(-O·C3H6·O-)가 가능하며, 이 경우, AO(또는 AO2)기가 에틸렌옥시기 또는 프로필렌옥시기일 때, 코어 기는 (관념적으로) 사슬에 따라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기 중 어느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편리하게는 사슬의 중심에 가까운 상기(또는 임의의) 기가 이 경우에 코어 기로 간주될 것이며 이 경우에 (추가 양쪽 말단의 아실기가 치환된 숙신산일 때), 본 발명의 화합물 중에서 에틸렌옥시 및 프로필렌옥시기의 총수는, 비록 그 숫자가 본 발명의 방법 및 용도상의 것보다 작을 수 있지만, 적어도 120이다. 그러나, 코어 기는 때로 적어도 3개의 활성 수소 원자가 제거된 잔기일 수 있다.
코어 기의 예로는 적어도 두개의 활성 수소 원자 제거 후의 다음 화합물의 잔기가 포함된다:
1. 글리콜 및 폴리글리세롤, 특히 디글리세롤 및 트리글리세롤;
2. 트리- 및 보다 높은 폴리메틸올 알칸,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 에탄,
트리메틸올 프로판 및 펜트에리스리톨;
3. 당, 특히 비-환원성 당, 예를 들면 소르비톨 및 만니톨, 당의 에테르화
유도체, 예를 들면 소르비탄(소르비톨의 고리형 탈수소-에테르), 당의
부분적 알킬 에테르, 예를 들면 메틸 글루코스 및 알킬(다-)당류, 및
당의 에테르 올리고머/폴리머, 예를 들면 덱스트린, 당의 에스테르화
유도체, 예로 라우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스테아르산 및 베헨산과
같은 지방산의 에스테르, 소르비탄 및 소르비톨의 에스테르(그 자체로
계면활성제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것이 에틸렌 옥시드로 알콕실화될
때, 에톡실화의 적어도 일부분이 지방 산 잔기와 소르비톨 잔기 사이로
효과적으로 삽입되게 하는 널리 알려진 계면활성제의 폴리소르베이트
기를 형성함), (일반적인 합성 조건 하에서 좀 더 안정적이고 산화에 덜
민감하며 상당히 덜 착색된-산화성 분해로부터 주로 야기되는 색임-
생성물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환원성 당 보다 바람직한 비-
환원성 당임):
4. 폴리히드록시 카르복실산, 특히 시트르산 및 타르타르산;
5. 디- 및 폴리-기능성 아민을 포함하는 아민, 특히 알킬 디아민, 예를
들면 에틸렌 디아민(1,2-디아미노에탄)을 포함하는 알킬아민;
6. 아미노-알코올, 특히 에탄올아민, 2-아미노에탄올,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7. 카르복실산 아미드, 예를 들면 우레아, 말론아미드 및 숙신아미드; 및
8. 아미도 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숙신암산(succinamic acid).
지표 m은 코어 기의 기능성의 측도이며 일반적으로 알콕실화 반응은 코어 기를 유도시킨 분자로부터 이 분자 중의 모든 활성 수소 원자를 대체할 것이다(물론, 특정 부위에서의 반응은 적절히 방어하여 억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형성된 화합물 중의 폴리알킬렌 옥시드 사슬의 종결화 히드록시기는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아실 화합물 및 (필요하다면) 다른 화합물과 반응하기에 유용하다(아래 참조). 지표 m은 일반적으로 2 내지 10의 범위이며, 더욱 통상적으로는 2 부터이며 특히 3 내지 6이다.
알킬렌 옥시드기 AO 및 AO2는 일반적으로 화학식 -(CmH2mO)-기를 가지며 여기서 m은 2, 3 또는 4이며,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 즉 에틸렌옥시기(-C2H4O-) 또는 프로필렌옥시기(-C3H60-)이며 알킬렌 옥시드 사슬을 따라 상이한 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슬은 단일중합성 에틸렌 옥시드 사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슬은 프로필렌 글리콜 잔기의 단일중합성 사슬이거나,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잔기 모두를 포함하는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사슬일 수 있다. 보통, 에틸렌 및 프로필렌 옥시드 단위의 공중합성 사슬을 사용할 경우, 사용되는 에틸렌 옥시드 단위의 몰 비율은 적어도 50%이며 더욱 일반적으로는 적어도 70%일 것이다.
특히 수성계 중의 증점제로 사용하기 위해, 폴리알킬렌 옥시드 사슬 중의 알킬렌 옥시드 잔기의 수, 즉 각 매개 변수 n 및 n2의 값은 일반적으로 15 내지 150이며, 특히 20 내지 120이며, 특별히는 50 내지 100이다. 실제로, 본 발명의 및 본 발명에 사용된 화합물에서, 총 알콕실화도는 만족스러운 증점화 특성에 대한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화합물은 지표 n의 총합이 30 내지 300이며, 특히 50 내지 250이며, 특별히는 80 내지 200인 것들을 포함한다.
분산제, 특히 수성계의 안료와 같은 고체 분산액으로 사용하기 위해, 폴리알킬렌 옥시드 사슬 중의 알킬렌 옥시드 잔기의 수, 즉 각 매개변수 n 또는 n2의 값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100이며, 특히 20 내지 80이며, 특별히는 40 내지 70이다. 총 알킬화도(모든 지표 n 및 n2의 총합)는 일반적으로 30 내지 300이며, 특히 50 내지 250이며, 특별히는 80 내지 200이다.
임의의 구체적인 생성물에서, 지표 n 또는 n2 값은 상이한 분자 중의 동일 치환기 및 상이한 치환기 사이에서 사슬 길이의 통계적 변화를 포함하는 평균 값이다. 주로 수성계의 증점제로 사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및 본 발명에 사용된 화합물은 적어도 4000D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는 많아야 약 8000D이다. 분산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자량은 1000 내지 4000D가 일반적이다.
R3내지 R13기는 폴리알킬렌 옥시드 사슬의“종결화기”이다. 실용적인 증점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개의 종결화기가 아실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개의 종결화기가 상기에서 정의된 것같은 화학식 (I), (Ia) 또는 (II)를 갖는 알킬(알케닐) 숙신산기이다. R3내지 R13기가 상기에서 정의된 것같은 알킬(알케닐) 숙신산기일 경우, 특히 C8내지 C22알킬 또는 알케닐기인 R 또는 R1중 하나는 C16또는 이 보다 긴 기이다. 분산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개의 종결화기가 상기에서 정의된 것같은 화학식 (I), (Ia) 또는 (II)를 갖는 알킬(알케닐) 숙신산기이다. R3내지 R13기가 상기에서 정의된 것같은 알킬(알케닐) 숙신산기일 경우, 특히 C8내지 C22알킬 또는 알케닐기인 R 또는 R1중 하나는 C12내지 C18기이다.
종결화기의 수는 아실기 수를 초과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잔여 종결화기는 수소 원자 또는 히드로카르빌기, 특히 알킬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정의된 것같은 화학식 (I), (Ia) 또는 (II)를 갖는 알킬(알케닐) 숙신산 종결화기 내에서, Y 및 Y2기는 히드로카르빌기, 특히 알킬기일 수 있다. 적절한 상기 히드로카르빌기에는 주로 화합물의 친수성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폴리알킬렌 옥시드 사슬에 대해 사슬 종결 캡으로 작용하는 저급 알킬기, 예로 C1내지 C6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또는 에틸기 및 고급 알킬 또는 알케닐기, 예로 C8내지 C22및 특히 C16이상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 예를 들면 라우릴, 올레일 및 스테아릴기 또는 천연 지방 또는 오일로부터 또는 석유 화학 합성 중에 증류 컷으로부터 유도된 혼합 알킬(알케닐)기가 포함된다.
특히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용도가 개인 위생용일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및 본 발명에 사용된 화합물 중에 유리(반응하지 않은) 무수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무수물과의 에스테르 반응이 쉽게 수행된다는 점에서, 잉여 유리 무수물은 기명 생성물에 남아있는 유용한 반응 수소가 하나도 없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편리한 방법으로는, 특히 소규모일 경우, 반응 완료에 상응하는 무수물의 화학 양론비보다 약간 적게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특히 목적하는 분자의 숙신산 에스테르 기능기의 수가 3개 이상일 때 특히 유용하다(이에 대해 하기 실시예 중 일부 참조 가능). 실험실적 규모일 경우, 무수물의‘부족액(shortfall)’은 일반적으로 약 5%(몰)정도이며 통상 약 1 내지 3%(몰)이다. 공업적인 규모로 생산할 경우, 반응이 거의 화학 양론적 균형을 이루도록 유도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보다 쉬우며‘부족액’은 필요하지 않거나 일반적으로 약 1%(몰)이하이다.
R3기에 대해 분자 중의 아실 잔기의 수가 m보다 상당히 작은 경우, 이러한 기들의 분포는 코어 기의 특성 및 코어 기의 알콕실화 정도 및 이의 효과에 의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코어 기가 펜타에리스리톨로부터 유도되는 경우, 코어 잔기의 알콕실화는 일반적으로 활성 수소가 제거될 수 있는 4개의 유용한 부위로부터 고루 분포할 것이며, 말단의 히드록시 기능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아실기의 분포는 의도하는 랜덤 분포에 가까워질 것이다. 그러나, 코어 기가 화합물, 예를 들면 소르비톨 또는 소르비탄으로부터 유도될 경우 및 활성 수소 원자가 동등하지 않을 경우, 일반적으로 알콕실화로부터 폴리알킬렌옥시 사슬에 대해 동등하지 않은 사슬 길이가 형성될 것이다. 이것은 몇몇 사슬의 길이가 짧아서 다른 (보다 긴) 사슬이 “짧은 사슬”종결화 히드록시기에서의 에스테르화를 비교적 어렵게 만드는 상당한 입체 효과를 미치는 결과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에스테르화는 바람직하게는“긴 사슬”종결화 히드록시기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최종 결과는 일견하여 “랜덤”하지 않는 통계적 분포가 될 것이다.
또한 Y 및 Y2기는 치환기가 수소 또는 치환된 히드로카르빌, 예를 들면 치환된 알킬, 특히 히드록시 치환 히드로카르빌, 특히 폴리히드록시 히드로카르빌, 예를 들면 히드록시 치환 및 특히 폴리히드록시 치환 알킬기를 포함하는 히드로카르빌기, 특히 알킬기인 NR4R5또는 NR14R15아미도기일 수도 있다. 이들 기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알킬기일 때, 이것(이들)은 분자에서 제 2 소수성(들)으로 작용하는,저급 알킬기, 예를 들면 C1또는 C6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또는 에틸기, 또는 고급 알킬기, 예를 들면 C8내지 C22알킬기, 예를 들면 라우릴, 올레일 및 스테아릴기 또는 천연 지방 또는 오일로부터 또는 석유 화학 합성 중의 증류 컷으로부터 유도된 혼합 알킬기일 수 있다.
이들 치환기 중 하나 이상이 폴리히드록시 치환 히드로카르빌기인 경우, 특히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7의 선형 탄소 사슬 및 사슬 탄소 원자에 직접 부착된 적어도 3개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히드록시 알킬기이다. 상기 기는 치환기, 특히 알콕시기, 예를 들면 추가의 히드록시기 또는 폴리알킬렌 옥시드 사슬의 에테르화에 의한 알콕시기를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는 기본 사슬의 치환기에 상기 히드록시기를 포함하여 적어도 3개의 유리 히드록시기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기는 열린 사슬 테트라톨, 펜티톨, 헥시톨 또는 헵티톨기 또는 상기 기의 무수 유도체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는 환원성 당, 특히 글루코스 또는 프럭토스같은 단당류, 말토스 또는 팔리토스같은 이당류 또는 보다 높은 올리고당의 잔기 또는 이들로부터 유도된 잔기이다. 상기 기가 단당류의 잔기 또는 단당류로부터 유도된 잔기일 경우, 당 유도 기 또는 잔기는 보통 열린 사슬 물질로 존재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가 존재할 때, 이는 제 2 친수성을 형성할 것이고, 이와 같을 때, 이런 기의 친수성을 부당하게 감소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기의 열린 사슬 형태는 일반적으로 가장 친수성 형태이며 그러므로 의도하는 형태인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만약 합성 방법이 상기 기의 에테르화반응을 촉진시키는 비교적 높은 온도 또는 다른 조건에 노출시키는 것이라면, 필요할 경우 초기 고리형 에테르 기능기를 포함하는 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기가 우연히 생성될 수도 있다. 이런 기가 올리고당의 잔기 또는 올리고당으로부터 유도된 잔기일 경우, 이는 당 또는 올리고당 치환기를 갖는 열린 사슬 단-당류 유도 기 또는 잔기로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유용한 상기 기로는 글리코스로부터 유도된 것이며 예로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갈락토스로부터 유도된 잔기에 상응하는 잔기로 화학식 -CH2·(CHOH)4CH2OH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아미도기는 편하게 글리카민기로 명명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는 아미드는 글리카미드로 명명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는 글루코스로부터 유도될 것이며 이에 상응하는 아민 또는 아미드는 글루카민 또는 글루카미드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아미도기와 함께, 임의의 치환되지 않은 히드로카르빌기로서 특히 단쇄 또는 장쇄 알킬기가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에서, R/R1알킬(알케닐)기가 C8내지 C18알케닐 또는 알킬기인 것들이 특히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수중 유적형 분산액 또는 유화액의 증점제로써의 사용에 있어, R/R1이 C12, 특히 C14내지 C18알케닐 또는 알킬기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R 내지 R1기가 알케닐기인 화합물은 상기 기가 알킬기인 것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R 또는 R1기가 알케닐기, 특히 C8내지 C22알케닐기, 특히 C14내지 C20알케닐기인 화합물은 본 발명의 특수한 일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R2, AO, n 및 m이 상기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화학식 R2.[(AO)n.H]m을 갖는 알콕실화된 다가 알코올과 알킬(알케닐) 숙신산 무수물 및 임의로 R6가 상기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화학식 H2OC·R6의 지방산의 반응 유도체를, 생성물에서 의도하는 ASA 및 임의적인 지방산 잔기의 수에 상응하는 몰비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알킬(알케닐) 숙신산 무수물 및 그 전구체인 수산기 시약 사이의 반응은 촉매가 있든 없든 수산기 시약을 알킬(알케닐) 숙신산 무수물에 접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200℃ 이하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며 심지어 100℃ 이하에서 이루어진다. 보통 이 반응물은 적어도 대략 화학 양론 비로 사용될 것이다. 특히 화학 양론비로 사용될 경우, 보통 추가의 정제가 필요하지 않아 보이나, 필요하다면 이를 수행할 수 있다.
아실 잔기가 분자 내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다른 아실 잔기가 아세트산과 같이 비교적 휘발성 산이기 때문에, 이는 보통 적당한 히드록시 전구체와 이에 상응하는 산 또는 반응 유도체, 예를 들면 아실 할로겐화물, 예를 들면 염화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 같은 단쇄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또는 혼합 무수물 사이의 반응에 의해 유도될 것이다. 촉매가 있든 없든, 보통 1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지방 산 및 히드록시 전구체 간의 직접적인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응 유도체를 사용하는 합성은 보통 더 온화한 조건 하에서 가능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생성물은 합성 과정 동안 알킬(알케닐) 숙신산 무수물 고리 개구의 2개의 감지기에 상응하는 이성질체의 혼합물이다. 일반적으로 알케닐 또는 알킬 사슬은 이성질체 비율이 보통 약 60:40인 이성질체 비율에 거의 입체 효과를 끼치지 않는 것 같으며, 주요 이성질체는 알케닐 또는 알킬기로부터 떨어져 있는 무수물 카르보닐기에 대한 친핵적 공격으로부터 야기된다(아마도 입체 장애 때문).
알케닐 숙신산 무수물 전구체는 말레산 무수물을 탄소수 6 내지 22, 특히 8 내지 18을 갖는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과량의 올레핀, 예를 들면 50 내지 200% 과잉의 올레핀과 150 내지 400℃,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50℃의 온도 범위에서 반응시키고, 예를 들면 진공 하에서 적절히 행해지는 증류에 의해 과량의 올레핀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어떠한 촉매도 필요하지 않지만 항산화제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수물은 공지되어 시판되는 물질이다. 상기에 기술된 것같이 바람직한 알케닐 숙신산 무수물에서, 보통 이중 결합은 알케닐 치환기의 2-번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어서, R 또는 R1기가 알킬기인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알킬 숙신산 무수물을 만들기 위해 불포화 생성물 중 하나를 수소화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중간체인 알케닐 숙신산 무수물을 수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수물의 수소화는 수소화 촉매, 예를 들면 라니 니켈(Raney nickel) 또는 Pd/C 촉매로 행해진다. 15 내지 100℃의 온도 및 200 바(bar) (절대압력) 이하의 압력이 사용될 수 있으며 만약 필요하다면 용매가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알케닐 숙신산 무수물에 대한 수소화 반응은 5 바 (H2압력) 및 60℃에서 예를 들면 약 6시간 동안에 걸쳐 Pd/C 촉매의 5 중량%를 사용하여 순액체에서 행해질 수 있다.
합성에 사용되는 알콕실레이트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알콕실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 형 화합물에 대해, 이러한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코어 기를 생성시키는 화합물은 의도하는 바와 같이 직접 알콕실화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톨 및 에틸렌 옥시드의 폴리에톡실레이트의 직접 합성은 실용적이지 않은 데, 이는 펜타에리스리톨이 용해되기 위해서는 200℃ 이상으로 가열될 필요가 있으며 이런 온도에서 직접 에톡실화하는 것은 위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적절한 용매, 예를 들면 디메틸 글리옥심에서 에톡실화반응을 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으며 또는(및 특히 용매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펜타에리스리톨의 히드록시기 몰 당 옥시프로필렌 잔기 약 1몰(실제로 보통 펜타에리스리톨 몰 당 프로필렌 옥시드 약 3 내지 3.5몰을 첨가한다)을 첨가하기 위해 펜타에리스리톨을 우선 (통상적인 염기 촉매화 조건 하의 약 200℃에서)프로폭실화할 수 있다. 이렇게 적당하게 프로폭실화된 물질은 보통 실온 또는 초실온(약 150℃ 이하 및 보통 약 130℃)에서 액체이며 이어 통상적으로 에톡실화될 수 있다. 전체 에톡실화 비율이 펜타에리스리톨 몰 당 약 10 옥시에틸렌 잔기 이상일 경우, 초기 프로폭실화의 효과는 그다지 생성물의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또다른 접근으로는 물질이 알콕실화되기 위한 운반체로써 용매 또는 희석액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적절한 용매는 알콕실화 반응 조건에서 불활성이며 반응 온도에서 액체로 남아 있으며 디메틸 글리옥심(디글림)과 같은 물질을 포함한다. 공업적인 규모의 뱃치 생산에서, 선행 뱃치의 일부분(“힐(heel)”)은 다음 뱃치 원료에 대한 용매/희석액으로써 보유될 수 있다. 보통, 뱃치 작업 과정에서, 최초 뱃치로는 용매를 사용하고 그 다음 뱃치로는 생성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할 필요를 급속히 줄이기 위해 이전 뱃치로부터 얻은 힐을 사용한다. 유사하게 연속 공정에서는, 특히 비교적 과량의 시약 및 생성물이 포함된 반응 용기에 시약을 연속적으로 투입할 경우 및 이로부터 생성물이 연속적으로 없어지는 경우, 공정은 용매(때로는 기구의 특정된 총 용적보다 훨씬 작게)를 사용하여 개시된 후 반응 혼합물이 다른 원료에 대한 용매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분산력 및(또는) 증점화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수성 배지 중의 안료 및 유사 고체를 분산시키는 데, 그리고 분산액 및(또는) 용액 및(또는) 유화액을 증점화하는 데 계면활성제로써 사용하기에 적절하게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양한 계, 특히 수성계에서 증점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은 수중 유적형의 유화액 계에서 증점제로서의 용도를 포함하다. 예로는 샴푸, 액체 비누 및 세정제 용품 및 화장용 용품의 개인 위생용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화액, 특히 수성의 수중 유적형 및 유중 수적형 및 수중 유적형 유화액 계에서 증점제로써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산제용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양은 사용된 물질 및 필요한 유화액의 농도에 의존하지만, 보통 유화액 분산 상의 0.2 내지 10 중량%, 더욱 일반적으로는 0.05 내지 5 중량% 및 특히 0.1 내지 2.5 중량%의 범위일 것이다. 다른 최종 용도 적용으로는 증점화된 계면활성제 제제가 포함된다. 우선, 이러한 계는 아민 옥시들 증점제를 사용하여 증점화되며 본래의 장소에서 니트로사민을 형성할 어떠한 가능성도 없애기 위해 보충제를 사용했다. 본 발명의 및 본 발명에 사용된 화합물은 어떠한 질소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런 원료로부터의 니트로사민 형성에 대한 어떠한 위험성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질소를 포함하는 경우 조차도, 이는 보통 니트로사민기로의 전환 가능성이 쉽지 않은 아미드기이기 때문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 및 특성 및 그의 최종 용도 및 본 발명의 방법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모든 비율 및 퍼센트는 다른 특별한 지시가 없으면 중량에 대한 것이다.
약어(코어 잔기를 공급하는 화합물에 대하여)
PE 펜타에리스리톨
트리-글리(tri-gly) 트리글리세롤
에스 디암(eth diam) 에틸렌 디아민
합성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에서, 에스테르기의 수가 정수가 아닌 경우, 생성 화합물은 x(비-정수)-(알케닐 숙신산)에스테르로 기술된다.
물질
트윈 20(Tween 20) 폴리소르베이트 20
미라놀(Miranol) C2M 수성 디소듐 코코암포이아세테이트,
38% 활성
스테올(Steol) CS-330 수성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29.1% 활성
도우실(Dowcil) 200 퀀터늄-15
SLES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CDMO N,N-디메틸-코코일아민 옥시드
PEG 디스테아레이트 스테판(Stepan)사로부터 얻은
상표명이 케스코(Kessco)인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6000 디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TR92 티옥시드(Tioxide) Ltd로부터 얻은
TR92 등급 티타늄 디옥시드
아를라톤(Arlatone) 1489 ICI 계면활성제로부터 얻은 소듐 코실
이세티오네이트 및 데실 글루코시드
계면활성제의 수성 용액
텐시오마일드(Tensiomild) HM 힉손 만로(Hickson Manro)사로부터
얻은 디소듐 라우레스 술포숙시네이트
텐고베타인(Tengobetain) L7 골드슈미트(Goldschmidt)사로부터
얻은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저마벤(Germaben) II 슈톤(Sutton) 실험실로부터 얻은
방부제
G 1821 ICI 계면활성제로부터 얻은 PEG 6000
디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크로틱스(Crothix) 크로다(Croda)사로부터 얻은 적절한
증점제 ‘펜타에리스리톨 에톡실레이트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히드록시 값은 ISO 4327의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되며 결과는 mg(KOH 당량)g(실험된 제품)-1로서 인용된다.
일반적으로 점도는 브룩플리드(Brookflied)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며 각각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것같이 행한다.
합성 실시예 SE1 내지 SE38
SE1-펜타에리스리톨 48-에톡실레이트의 디-(도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디메틸글리옥심(디글림-불활성 반응 희석액; 328g) 중의 펜타에리스리톨(175g; 1.28mol)의 슬러리를 11 오토클레이브에 놓고, 칼륨 메톡시화물(1.24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진공 탈기하고 80℃에서 진공 스크립했다. 혼합물을 125℃로 가열하고 프로필렌 옥시드(246,3g; 4.25mol)을 약 1.5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혼합물을 125℃에서 철야 반응하게 했다. 이어서 반응하지 않은 프로필렌 옥시드를 제거하기 위해 80℃에서 15분간 혼합물을 진공 스크립하고 유리 증류 플라스크에 옮긴 뒤 디글림을 100℃에서 진공 증류에 의해 제거하였다. 생성물은 약 3.3 프로필렌 옥시드 단위(펜타에리스리톨 3.3PO)로 농축시킨 펜타에리스리톨 423.3g(이론 수율의 약 100%)이었다.
펜타에리스리톨 3.3PO(480.5g; 1.46mol) 및 수산화칼륨(수성 용액의 45 중량%인 5.22g; 2.35mol)을 21 오토클래이브에 충진하고 진공 탈기시켰으며 건조 질소로 세척하면서 110℃, 0.5바(250kPa 절대압력)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건조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35℃로 가열했으며 점진적으로 오토클레이브에 투입된 기체상의 에틸렌 옥시드(1025g; 23.3mol)와 반응시켰다. 반응 후반기에, 생성물의 990.7g이 방출되었으며 빙초산으로 중화되었다. 이러한 생성물은 대략 펜타에리스리톨 3.3PO+16EO에 상응하는 약 1027의 평균 분자량을 제공하는 218.6mg(KOH)·g-1의 히드록시 값을 가졌다. 수산화 칼륨(2.34g)을 오토클래이브에 남아있는 생성물(계산에 의해 514.8g; 0.5mol)에 첨가하고 상기에 기술된 것같이 반응 혼합물을 건조시키고 상기에 기술된 것처럼 추가의 에틸렌 옥시드(701g; 15.9mol)와 반응시켰다. 이런 생성물의 일부분(913.6g)을 방출하고 빙초산으로 중화시켰다. 이러한 생성물은 대략 펜타에리스리톨 3.3PO+48EO에 해당하는 약 2410의 평균 분자량을 제공하는 93.1mg(KOH)·g-1의 히드록시 값을 가졌다. 오토클래이브에 남아있는 생성물은 다른 펜타에리스리톨 알콕실화 산물,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톨 3.0PO+89EO, 펜타에리스리톨 3.3PO+135EO 및 펜타에리스리톨 3.3PO+158EO를 형성하기 위해 유사한 형태로 반응될 수 있다.
도데세닐 숙신산 무수물(18.1g; 68mmol)을 펜타에리스리톨 48-에톡실레이트 (81.9g; 34mmol)에 첨가하고, 상기에 기술한 것같이 패들 교반기로 구동하는 모터, 질소 라인(불활성 기체를 제공함) 및 낙하 퓨널이 장착된 3개의 목이 있는 250ml 플라스크에서 제조하며, 반응 혼합물을 이론 수율의 100%인 100g의 수율로 펜타에리스리톨 48-에톡실레이트의 디-(도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를 형성하기 위해 100℃까지 가열하며 이 온도에서 6시간 동안 보관했다. 반응은 FT-IR 및 GLC를 사용하여 계측했다. 상기 에스테르 산물(추가 정제 없음)의 C13및 H1NMR 스펙트라는 무수물 기능기가 없음을 지시하면서 이로부터 구조를 확인했으며 상기 생성물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표제 에스테르였다.
SE1a-펜타에리스리톨 48-에톡실레이트의 디-(도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더욱 간편화된 방법으로는, 1:2의 몰비로 에톡실레이트된 펜타에리스리톨 및 도데세닐 숙신산 무수물을 약 6시간 동안 약 100℃ 오븐에서 가열시켜 밀봉시킨 병에 놓았다. 이후, 반응이 완성되었으며 생성물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되는 것과 완전 동일한 것이었다. 하기에 기술된 소규모의 화합물 제조에 대해서는, 이러한 간편화된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SE2-SE20 펜타에리스리톨 에톡실레이트의 추가의 알케닐 숙신산 에스테르
상기 표제 화합물은 합성 실시예 SE1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으나, 하기에 기록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시약의 비율을 변화시키고 SE1에 사용된 도데세닐 숙신산 무수물 대신 이에 상응하는 알케닐 숙신산 무수물로 치환시켰다. 트리글리세롤이 액체일 때, 펜타에리스리톨에 대해 사용되었던 두 단계 기술을 사용할 필요없이 알칼리 촉매 하에서 에틸렌옥시드와 직접 반응시킴으로써 에톡실화시킬 수 있다.
생성물은 모두 액체 또는 부드러운 고체로써 정량적인 수율로 얻어졌다. 상기 화합물의 동정은 C13및 H1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시예의 생성물로는 (m값이 비-정수인 화합물은 x(비-정수)-(알케닐 숙신산) 에스테르로 표시되었음)
SE2-펜타에리스리톨 48-에톡실레이트의 3,9-(도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3-펜타에리스리톨 158-에톡실레이트의 디-(도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4-펜타에리스리톨 158-에톡실레이트의 3,9-(도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5-펜타에리스리톨 48-에톡실레이트의 디-(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6-펜타에리스리톨 48-에톡실레이트의 3,9-(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7-펜타에리스리톨 158-에톡실레이트의 디-(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8-펜타에리스리톨 158-에톡실레이트의 3,9-(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9-트리글리세롤 89-에톡실레이트의 트리-(테트라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10-트리글리세롤 89-에톡실레이트의 4,9-(테트라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11-트리글리세롤 135-에톡실레이트의 트리-(테트라데세닐 숙신산)에스테르
SE12-트리글리세롤 135-에톡실레이트의 4,9-(테트라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13-트리글리세롤 169-에톡실레이트의 트리-(테트라데세닐 숙신산)에스테르
SE14-트리글리세롤 169-에톡실레이트의 4,9-(테트라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15-트리글리세롤 89-에톡실레이트의 트리-(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16-트리글리세롤 89-에톡실레이트의 4,9-(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17-트리글리세롤 135-에톡실레이트의 트리-(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18-트리글리세롤 135-에톡실레이트의 4,9-(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19-트리글리세롤 169-에톡실레이트의 트리-(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20-트리글리세롤 169-에톡실레이트의 4,9-(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가 있다.
SE21 글리세롤 120-에톡실레이트의 2,9-(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상기 표제 화합물은 SE1의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으나, 상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펜타에리스리톨-48 에톡실레이트 대신 글리세롤 120-에톡실레이트로 치환하고 SE1에 사용된 도데세닐 숙신산 무수물 대신 옥타데세닐 숙신산 무수물로 치환하였으며 시약의 몰 비를 변화시켰다. 중간체인 글리세롤 120-에톡실레이트는 약 120℃의 알칼리 촉매 하에서 글리세롤과 에틸렌 옥시드의 직접 반응에 의해 제조되었다. 생성물은 정량적인 수율로 부드러운 고체(약 60℃에서 녹음)로 얻어졌다. 상기 생성물의 동정은 C13및 H1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SE22 내지 SE29-소르비톨 에톡실레이트의 (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상기 표제 화합물은 SE1의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으나, 상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펜타에리스리톨 에톡실레이트 대신 소르비톨 80-에톡실레이트 및 소르비톨 180-에톡실레이트로 치환하고 SE1에 사용된 도데세닐 숙신산 무수물 대신 옥타데세닐 숙신산 무수물로 치환하고 시약의 몰 비를 변화시켰다. 생성물은 정량적인 수율로 부드러운 고체로 얻어졌으며 이들 각각의 동정은 C13및 H1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들 실시예의 생성물로는:
SE22 소르비톨 90-에톡실레이트의 트리-(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23 소르비톨 90-에톡실레이트의 헥사-(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24 소르비톨 180-에톡실레이트의 트리-(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25 소르비톨 180-에톡실레이트의 헥사-(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26 소르비톨 130-에톡실레이트의 트리-(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27 소르비톨 130-에톡실레이트의 헥사-(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28 소르비톨 220-에톡실레이트의 트리-(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29 소르비톨 220-에톡실레이트의 헥사-(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가 있다.
실제로, 상기 예들에서, 에톡실레이트가 각각의 소르비톨 에톡실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PEG)의 혼합물로 되도록 에톡실화반응 전에 소르비톨을 용해시키기 위해 물을 사용했다. 표시된 에톡실화의 정도는 사용된 소르비톨에 기초하여 에톡실화에 사용된 에틸렌 옥시드 총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사실상, 에스테르 산물은 소르비톨 에톡실레이트 숙신산 트리- 또는 헥사-에스테르 및 이에 상응하는 PEG 숙신산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이다.
SE30 내지 SE35-에틸렌 디아민 PO/EO 블록 폴리알콕실레이트의 다양한 에스테르
상기 표제 화합물은 SE21의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지만 상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글리세롤 에톡실레이트 대신 에틸렌 디아민 PO/EO(94/90) 블록 폴리알콕실레이트로 치환하고 SE21에 사용된 도데세닐 숙신산 무수물 대신 적절한 알케닐 숙신산 무수물로 치환하고 시약의 몰 비를 변화시켰다. 중간체인 블록 폴리알콕실레이트는 상기 94몰 PO 응축액을 제조하기 위해 촉매로 KOH를 사용하여 약 125℃에서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프로폭실레이트(각 아미노 활성 수소 상에 농축된 1PO 단위)와 프로필렌 옥시드를 반응시키고 이어서 블록 폴리알콕실레이트를 생성시킬 수 있는 정도로 에틸렌 옥시드를 반응 혼합물에 투입함으로써 제조했다. 상기 표제 화합물은 (알콕실레이트에 기초하여) 정량적인 수율로 부드러운 고체로 얻어졌으며 이들 각각의 동정은 C13및 H1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들 실시예의 생성물에는:
SE30 에틸렌 디아민 PO/EO(94/90) 블록 폴리알콕실레이트의 3,9-(옥타
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31 에틸렌 디아민 PO/EO(94/140) 블록 폴리알콕실레이트의 3,9-(옥타
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32 에틸렌 디아민 PO/EO(94/180) 블록 폴리알콕실레이트의 3,9-(옥타
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33 에틸렌 디아민 PO/EO(94/90) 블록 폴리알콕실레이트의 3,9-(헥사
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34 에틸렌 디아민 PO/EO(94/140) 블록 폴리알콕실레이트의 3,9-(헥사
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35 에틸렌 디아민 PO/EO(94/180) 블록 폴리알콕실레이트의 3,9-(헥사
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가 있다.
SE36-SE39 글리세롤 에톡실레이트의 다양한 알케닐 숙신산 에스테르
상기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SE1에 기술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으나, 상기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SE1에서 사용된 펜타에리스리톨-48 에톡실레이트 대신 적절한 글리세롤 에톡실레이트를 사용하고 또한 적절한 알케닐 숙신산 무수물을 사용하였으며 시약의 몰비를 조정하였다. 중간체인 글리세롤 에톡실레이트는 약 120℃의 알칼리 촉매 하에서 글리세롤 및 에틸렌 옥시드의 직접 반응에 의해 제조되었다. 생성물은 정량적인 수율로 부드러운 고체(약 60℃에서 녹음)로 생성되었으며 이들의 동정은 C13및 H1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들 실시예의 상기 표제 화합물에는:
SE36 글리세롤 44-에톡실레이트의 2,9-(도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37 글리세롤 61-에톡실레이트의 2,9-(도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38 글리세롤 61-에톡실레이트의 2,9-(테트라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39 글리세롤 61-에톡실레이트의 2,9-(옥타데세닐 숙신산)에스테르가 있다.
SE40 및 SE41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알케닐 숙신산 디에스테르
상기 표제 화합물은 실시예 SE1의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으나, 상기 목적하는 표제 화합물을 얻기 위해 SE1에 사용된 펜타에리스리톨-48 에톡실레이트 대신 언급된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사용하고 SE1에 사용된 도데세닐 숙신산 무수물 대신에 옥타데세닐 숙신산 무수물을 사용하고 몰비를 조정했다. 생성물 모두는 정량적인 수율로 액체 또는 부드러운 고체로 얻어졌다. 상기 생성물의 동정은 C13및 H1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SE40 PEG 4500의 디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SE41 PEG 5000의 디옥타데세닐 숙신산 에스테르
응용 실시예 AE1 내지 AE9
다음의 조성을 갖는 샴푸를 제조했다:
재료 중량비
트윈 20 10.0
미라놀 C2M 13.2
스테올 CS-330 17.2
이온화된 물 57.0
도우실 200 0.1
합계 97.5
상기 기재의 pH는 7 내지 7.5 사이로 조정했다. 상기 기재에 2.5 중량비의 증점제를 첨가하고 이어서 그 혼합물의 pH를 50% 수성 시트르산으로 6 내지 7로 조정했다. 실험 시료를 25℃ 수조에서 (적어도) 24시간 동안 보관했다. 이어서 브룩필드 모델 LVDV1 점도계를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했다. AE1 내지 AE9에 대한 증점제는 SE1 내지 SE8 및 SE21의 것들로부터 선택되어졌다. PEG 디스테아레이트 2.5중량비(3번 실험의 평균치)를 사용하여 비교실시예 AEC1을 포함시켰다. 증점제의 구조 및 점도 측정의 결과는 아래 표 A1에 나타나있다.
AE 번호 증점제 점도(mPa·s)
SE 번호 ASA 에스테르 번호 코어 EO 번호
AEC1 - - - - - 175
AE1 SE1 C12 2 PE 48 13.7
AE2 SE2 C12 3.9 PE 48 199.2
AE3 SE3 C12 2 PE 158 158
AE4 SE4 C12 3.9 PE 158 21
AE5 SE5 C18 2 PE 48 13.5
AE6 SE6 C18 3.9 PE 48 19.7
AE7 SE7 C18 2 PE 158 116
AE8 SE8 C18 3.9 PE 158 12700
AE9 SE21 C18 2.9 글리세롤 120 66.0
응용 실시예 AE10 내지 AE21
에톡실레이트화된 트리글리세롤 증점제의 알케닐 숙신산 에스테르의 추가 세트를 상기 응용 실시예 AE1에서 기술된 것처럼 실험했다. 증점제의 구조 및 점도 결과는 아래 표2에 나타나있다.
AE 번호 증점제 점도(mPa·s)
SE 번호 ASA 에스테르 번호 코어 EO 번호
AE 10 SE 9 C14 3 트리-글리 89 58.9
AE 11 SE 10 C14 4.9 트리-글리 89 89.2
AE 12 SE 11 C14 3 트리-글리 135 744
AE 13 SE 12 C14 4.9 트리-글리 135 288.6
AE 14 SE 13 C14 3 트리-글리 169 39.3
AE 15 SE 14 C14 4.9 트리-글리 169 357
AE 16 SE 15 C18 3 트리-글리 89 99.9
AE 17 SE 16 C18 4.9 트리-글리 89 4180
AE 18 SE 17 C18 3 트리-글리 135 52
AE 19 SE 18 C18 4.9 트리-글리 135 2468
AE 20 SE 19 C18 3 트리-글리 169 67.6
AE 21 SE 20 C18 4.9 트리-글리 169 3402
응용 실시예 AE22 내지 AE29
소르비톨 에톡실레이트의 알케닐 숙신산 에스테르 한 세트를 상기 응용 실시예 AE1 내지 AE9에 대해 기술된 것처럼 증점제로 실험했다. 증점제의 구조 및 점도 결과는 하기 표 A3에 나타내고 있다.
AE 번호 증점제 점도(mPa·s)
SE 번호 ASA 에스테르 번호 EO 번호
AE 22 SE 22 18 3 90 23
AE 23 SE 23 18 6 90 94.5
AE 24 SE 24 18 3 180 29.7
AE 25 SE 25 18 6 180 257
AE 26 SE 26 18 3 130 34
AE 27 SE 27 18 6 130 554
AE 28 SE 28 18 3 220 40
AE 29 SE 29 18 6 220 1198
응용 실시예 AE30 내지 AE35
에틸렌 디아민 알콕실레이트의 알케닐 숙신산 에스테르 한 세트를 상기 응용 실시예 AE1 내지 AE9에 대해 기술된 것처럼 증점제로써 실험하였다. 증점제의 구조 및 점도 결과는 하기 표 A4에 나타나있다.
AE 번호 증점제 점도(mPa·s)
SE 번호 ASA 에스테르 번호 코어 PO 번호 EO 번호
AE30 SE30 C18 3.9 에스 디암 94 90 19.6
AE31 SE31 C18 3.9 에스 디암 94 140 105.3
AE32 SE32 C18 3.9 에스 디암 94 180 86.6
AE33 SE33 C16 3.9 에스 디암 94 90 379
AE30a SE30 C18 3.9 에스 디암 94 90 1115
AE34 SE34 C16 3.9 에스 디암 94 140 1265
AE31a SE31 C18 3.9 에스 디암 94 140 3960
AE35 SE35 C16 3.9 에스 디암 94 180 1503
AE32a SE32 C18 3.9 에스 디암 94 180 3230
응용 실시예 AE36 내지 AE40
수성 제제에서의 본 발명 화합물의 증점화 특성을 일반적인 아민 옥시드 계면활성제 증점제와 비교하였다. 실험된 제제에는 재료의 증점화 특성에 대한 낮은 내지는 적절한 전해질 농도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염화 나트륨을 포함시켰다. 사용된 기초 제제는 아래와 같았다:
재료 중량비
SLES 15
증점제 45
소금 변화가능 0, 1 또는 2
물 80.5
유사한 대조용 제제는 AEC2로써 제조되었으나 CDMO 15 중량비 및 물 66 중량비를 포함한다. 증점화의 구조 및 사용된 염의 양 및 점도 실험 결과는 아래 표 A5에 나타나있다.
AE 번호 증점제 점도(mPa·s)
SE 번호 ASA C 번호 에스테르 번호 코어 EO 번호 소금 양(g)
0 1 2
AEC2 - - - - - 12 150 320
AE36 SE18 C18 4.9 트리-글리 135 10200 3400 21600
AE37 SE20 C18 4.9 트리-글리 169 252000 - -
AE38 SE14 C14 4.9 트리-글리 169 3200 6000 6400
AE39 SE2 C12 3.9 PE 48 40 20 40
AE40 SE4 C12 3.9 PE 158 840 * *
*-2 상들
응용 실시예 AE41 내지 AE47
본 발명의 다양한 화합물을 수성 제제 중의 이산화 티타늄 안료를 분산시키기 위한 그들의 능력에 대해 실험했다. 이 안료 제제는 다음 조성을 갖는다:
재료 중량비
TR32 65
물 35
분산제 1.5
상기 색소 분산액의 점도는 6rpm(0.1Hz)에서 브룩필드 LVT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결과는 아래 표 A6에 나타나있다.
AE 번호 분산제 점도(mPa·s)
SE 번호 ASA C 번호 에스테르 번호 코어 EO 번호
AE41 SE36 C12 2.9 글리세롤 44 100
AE42 SE37 C12 2.9 글리세롤 61 49
AE43 SE38 C14 2.9 글리세롤 61 12
AE44 SE39 C18 2.9 글리세롤 61 12
응용 실시예 AE45 내지 AE47
다양한 PEG 디에스테르를 샴푸 제제의 증점제로 실험했다. 실험한 제제는 부드러운 샴푸 제제를 기초로 하였으며 PEG 6000 디스테아레이트(AEC3) 0.5중량%로 샴푸 기재를 증점화시켜 제조된 샴푸를 PEG 디스테아레이트(AEC4)로 증점된 유사한 샴푸 제제를 사용한 시판 가능한 적절한 샴푸와 비교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증점화된 샴푸의 점도는 10 내지 100s-1의 범위에서 다양한 전단 속도로 측정했다. 사용된 재료는 표 A7a에 나타나 있으며, 표 A7b 중의 측정된 제제의 점도 및 10s-1의 전단 속도에서 측정된 점도의 퍼센트 값으로써의 점도가 아래 표 A7c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데이타는 본 발명의 및 본 발명에 사용된 화합물이 비교될 만한 첨가 수준에서 보다 높은 점도를 제공함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인 증점제(PEG 6000 디스테아레이트)보다 층밀림이 더 얇아짐을 나타내고 있다.
AE 번호 증점제 양(샴푸 기재의 중량%)
SE 번호 ASA C 번호 에스테르 번호 코어
AEC3 PEG 디스테아레이트 0.5
AEC4 PEG 디스테아레이트 (알려지지 않음)
AE45 SE40 C18 2 PEG 4500 0.5
AE46 SE41 C18 2 PEG 5000 1
AE47 SE41 C18 2 PEG 5000 2.5
AE 번호 점도(mPa·s)
전단 속도(s-1)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AEC3 2310 2286 2236 2162 2117 2047 2007 1943 1864 1817
AEC4 877.9 868.1 850 849.1 845.3 820.7 811 802.9 800.8 791.1
AE48 3588 3526 3417 3251 3077 2908 2767 2602 2505 2398
AE49 3960 3345 3234 3133 2972 2789 2684 2537 2432 2324
AE50 4242 3982 3867 3738 3569 3445 3310 3188 3100 3013
AE 번호 낮은 전단 점도의 퍼센트 값으로서의 점도
전단 속도(s-1)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AEC3 100 99 96.8 93.6 91.6 88.6 86.9 84.1 80.7 78.8
AEC4 100 98.9 96.8 96.7 96.3 93.5 92.4 91.5 91.2 90.1
AE48 100 98.3 95.2 90.6 85.8 81 77.1 72.5 69.8 66.8
AE49 100 84.5 81.7 79.1 75.1 70.4 67.8 64.1 61.4 58.7
AE50 100 93.9 91.2 88.1 84.1 81.2 78 75.2 73.1 71
응용 실시예 AE48
샴푸 기재/샤워겔 형 조성물은 하기 제제에서 다양한 증점제를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재료 중량비
아를라톤 1489 10
텐시오마일드 HM 20
텐고베타인 L7 10
저마벤 II 2
증점제 2
물 100 까지
SE7 증점제를 시판 가능한 PEG 6000 디스테아레이트인 G 1821 및 시판 가능한 적절한 테트라스테아레이트 증점제와 비교했다. 결과는 하기 표 A9에 제시하고 있다.
AE 번호 분산제 점도(mPa·s)
SE 번호 ASA C 번호 에스테르 번호 코어 EO 번호
AEC5 G 1821(PEC 6000 디스테아레이트) 200
AEC6 크로틱스(펜타에리스리톨 에톡실레이트 테트라스테아레이트) 35000
AE48 SE7 18 3.9 PE 158 65000

Claims (13)

  1.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R2·[(AO)n·R3]m(I)
    상기 식에서,
    R2는 히드록시기 및(또는) 아미노기 및(또는) 아미도기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m개의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잔기이며;
    AO는 사슬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는 알킬렌 옥시드 잔기이고;
    각 n은 2 내지 200이며;
    m은 2 내지 10이고;
    각 R3는 H, 히드로카르빌, 화학식 OC·(HR)C·C(HR1)·COY를 갖는 장쇄 알킬
    (알케닐) 숙신산 아실기(여기서, 숙신산 잔기의 R 및 R1중 하나는 C8
    내지 C22알케닐 또는 알킬이며 다른 하나는 수소이고, Y는 M이 수소,
    금속, 암모늄, 아민, 특히 알킬아민(알카놀아민을 포함함), 오늄,
    히드로카르빌인 OM기이거나; 또는 Y는 R4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로카르빌기, 특히 알킬인 NR4R5임.)이거나; 또는
    장쇄 아실기 -OC·R6(여기서, R6는 장쇄 히드로카르빌기임)이거나;
    또는 단쇄 아실기 -OC·R7(여기서 R7은 단쇄 히드로카르빌기임)이며;
    상기에서 R3기의 적어도 둘이 장쇄 아실기이며, 장쇄 아실기의 적어도
    하나가 장쇄 알케닐 또는 알킬 숙신산기(들)이며;
    다만, 상기 R1이 에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이고, m이 2이고, 두개의 R2기 모두가 알킬(알케닐) 숙신산기인 경우에, 지표 n의 총합은 120이상이다.
  2. 하기 화학식(Ia)의 화합물.
    R2·[(AO)n·R3]m(Ia)
    상기 식에서:
    R2는 히드록시기 및(또는) 아미노기 및(또는) 아미도기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m개의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잔기이며;
    AO는 에틸렌 옥시드 잔기 또는 에틸렌 옥시드 잔기의 몰 함량이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인 에틸렌 옥시드 잔기 및 프로필렌 옥시드
    잔기의 혼합물을 나타내며;
    각 n은 10 내지 200으로 지표 n의 총합이 120이상이며;
    m은 2 내지 10이며;
    각 R3는 H; 히드로카르빌;
    화학식 -OC·(HR)C·C(HR1)·COY를 갖는 장쇄 알킬(알케닐) 숙신산
    아실기(여기서, 숙신산 잔기의 R 및 R1중 하나는 C8내지 C22알케닐
    또는 알킬이며 다른 하나는 수소이고, Y는 M이 수소, 금속, 암모늄,
    아민인 OM기이거나, 또는 Y는 R4및 R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
    드로카르빌기인 NR4R5임.)이거나;
    장쇄 아실기 -OC·R6(여기서, R6는 장쇄 히드로카르빌기임); 또는
    단쇄 아실기 -OC·R7(여기서, R7은 단쇄 히드로카르빌기임)이며;
    상기에서 R3기의 적어도 둘이 장쇄 아실기이며, 장쇄 아실기의 적어도
    하나가 장쇄 알케닐 또는 알킬 숙신산기(들) 화합물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3기의 적어도 둘이 장쇄 아실기이고 장쇄 아실기의 적어도 둘이 장쇄 알케닐 또는 알킬 숙신산기(들)인 화합물.
  4. 제3항에 있어서, R3기의 적어도 셋이 장쇄 아실기이고 장쇄 아실기의 적어도 셋이 장쇄 알케닐 또는 알킬 숙신산기(들)인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가 히드로카르빌기일 때는, 이 기는 C1내지 C22알킬 또는 알케닐기이며 R3가 장쇄 알킬(알케닐) 숙신산 아실기일 때는, R4및 R5중 하나가 폴리히드록시 치환 알킬기인 화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R4및 R5중 하나가 열린 사슬 테트라톨, 펜티톨, 헥시톨 또는 헵티톨기 또는 상기 기의 무수 유도체인 화합물.
  7. 제 5항에 있어서, R4및 R5중 하나가 글루코스, 프럭토스, 말토스 또는 팔리토스의 잔기 또는 이들로부터 유도된 잔기인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2기가 글리세롤 또는 폴리글리세롤; 트리- 또는 보다 고급의 폴리메틸올 알칸; 당; 에테르화된 당; 당의 부분적 알킬 에테르; 당의 에테르 올리고머/폴리머; 당 에스테르; 폴리히드록시 카르복실산; 아민; 아민-알코올; 카르복실산 아미드; 아미도 카르복실산의 잔기인 화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2기가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트리글리세롤, 트리메틸올 에탄, 트리메틸올 프로판, 펜트에리스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소르비탄, 메틸 글루코스, 덱스트린, 소르비탄의 라우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 에스테르 또는 소르비톨,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에틸렌 디아민 2-아미노에탄올,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우레아, 말론아미드, 숙신아미드, 또는 숙신암산(succinamic acid)의 잔기인 화합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이 3 내지 6인 화합물.
  11. 하기 화학식(II)의 화합물.
    R12·[(AO2)n2·R13]m2(II)
    상기 식에서,
    R12는 히드록시기 및(또는) 아미노기 및(또는) 아미도기로부터 유도된 적어도
    m개의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히드로카르빌 잔기이며;
    AO2는 사슬에 따라 변화될 수도 있는 알킬렌 옥시드 잔기이고;
    각 n2는 10 내지 200으로, 지표 n2의 총합이 50이상이며;
    m2는 2 내지 10이고;
    각 R13은 H, 히드로카르빌, 화학식 -OC·(HR10)C·C(HR11)·COY2를 갖는 장쇄
    알킬(알케닐) 숙신산 아실기(여기서, 숙신산 잔기의 R10및 R11
    하나는 C8내지 C22알케닐 또는 알킬이며 다른 하나는 수소이고, Y2
    M2가 수소, 금속, 암모늄, 아민 특히 알킬아민, 알킬인 OM2기이거나;
    또는 Y2는 R14및 R15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로카르빌인
    NR14R15임)이거나; 또는
    장쇄 아실기 -OC·R16(여기서, R16은 장쇄 히드로카르빌기임)이며; 또는
    단쇄 아실기 -OC·R17(여기서 R17은 단쇄 히드로카르빌기임)이며;
    상기에서 R13기의 적어도 둘이 장쇄 아실기이며 장쇄 아실기의 적어도 하나가 장쇄 알케닐 또는 알킬 숙신산기인 상기 화합물이 증점화에 효과적인 양으로 수성 상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계의 증점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화학식(II)의 화합물이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과 같은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인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수성계가 수중 유적형(oil-in-water) 유화액, 유중 수적형(water-in-oil) 유화액, 수성 용액 또는 수성계 내의 고체 분산액인 방법.
KR1019997007792A 1997-02-27 1998-02-24 계면활성제 Ceased KR200000757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704126.3A GB9704126D0 (en) 1997-02-27 1997-02-27 Surfactants
GB9704126.3 1997-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723A true KR20000075723A (ko) 2000-12-26

Family

ID=1080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792A Ceased KR20000075723A (ko) 1997-02-27 1998-02-24 계면활성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20020013494A1 (ko)
EP (1) EP0963245A1 (ko)
JP (1) JP2001513768A (ko)
KR (1) KR20000075723A (ko)
CN (1) CN1126589C (ko)
AR (1) AR011450A1 (ko)
AU (1) AU739995B2 (ko)
BR (1) BR9807759A (ko)
CA (1) CA2280769A1 (ko)
GB (1) GB9704126D0 (ko)
ID (1) ID23170A (ko)
IL (1) IL131358A0 (ko)
NZ (1) NZ337178A (ko)
TR (1) TR199902076T2 (ko)
TW (1) TW418221B (ko)
WO (1) WO1998037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25416D0 (en) * 1999-10-28 1999-12-29 Avecia Ltd Polyester association thickeners
GB0020414D0 (en) * 2000-08-18 2000-10-04 Avecia Ltd Dispersions containing polyether dispersants
DE10211801B4 (de) 2002-03-16 2004-09-30 Clariant Gmbh Kosmetische und 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einen oxalkylierten Polyglycerinester
GB0329178D0 (en) * 2003-12-17 2004-01-21 Ici Plc Surfactant
CN101505862B (zh) * 2006-08-22 2013-05-29 路博润有限公司 新颖的分散剂
US7820758B1 (en) * 2007-11-13 2010-10-26 O'lenick Kevin A Polymeric glycerin surfactants
JP5526317B2 (ja) * 2008-04-17 2014-06-18 株式会社ダイセル 温度感受性高分子化合物及び温度感受性薬剤放出システム
CN102711837B (zh) * 2009-11-18 2016-10-19 尼克塔治疗公司 盐形式的多-臂聚合物-药物偶联物
JP5876467B2 (ja) 2010-03-17 2016-03-02 クローダ,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ポリマー界面活性剤
US20120116044A1 (en) * 2010-11-09 2012-05-10 Basf Se Polyetherester polyols
CA2823476A1 (en) * 2012-09-17 2014-03-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urfactant compositions and use for aqueous compositions
CN105579509A (zh) * 2013-09-04 2016-05-11 海名斯精细化工公司 Ici增稠剂组合物及用途
CN105683342B (zh) 2013-10-29 2019-06-04 禾大公司 包含羟基羧酸衍生的摩擦改进剂的润滑剂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4619A (en) * 1953-10-19 1954-04-06 Wyandotte Chemicals Corp Polyoxyalkylene compounds
JPS6031802B2 (ja) * 1978-03-22 1985-07-24 日清製油株式会社 化粧料
JPS54160314A (en) * 1978-06-07 1979-12-19 Nisshin Oil Mills Ltd:The Esterification product and cosmetic
JPS5579313A (en) * 1978-12-08 1980-06-14 Nisshin Oil Mills Ltd:The Cosmetic
US4659492A (en) * 1984-06-11 1987-04-21 The Lubrizol Corporation Alkenyl-substituted carboxylic acylating agent/hydroxy terminated polyoxyalkylene reaction products and aqueous systems containing same
JPH03275787A (ja) * 1990-03-24 1991-12-06 Sanyo Chem Ind Ltd 水系増粘剤
GB9213571D0 (en) * 1992-06-26 1992-08-12 Ici Plc Surfact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01598A (en) 1998-09-18
NZ337178A (en) 2002-09-27
WO1998037957A1 (en) 1998-09-03
IL131358A0 (en) 2001-01-28
AU739995B2 (en) 2001-10-25
GB9704126D0 (en) 1997-04-16
TW418221B (en) 2001-01-11
TR199902076T2 (xx) 1999-12-21
US20030153787A1 (en) 2003-08-14
CN1248927A (zh) 2000-03-29
JP2001513768A (ja) 2001-09-04
CN1126589C (zh) 2003-11-05
EP0963245A1 (en) 1999-12-15
ID23170A (id) 2000-03-23
AR011450A1 (es) 2000-08-16
US20020013494A1 (en) 2002-01-31
CA2280769A1 (en) 1998-09-03
BR9807759A (pt) 200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2787C2 (ru) Соединения и композиции с полиглицерином
EP0770594B1 (de) Esterquats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oberflächenaktiven Mitteln, insbesondere zur Haar- und Körperpflege
US6573375B2 (en) Liquid thickener for surfactant systems
US4614622A (en) Polyoxyalkylene ethers of glycerin or 1,2-propanediol, esterified with fatty acid and/or isostearic acid, their synthesis and use as thickening or solubilizing agents
KR20000075723A (ko) 계면활성제
JPH0224398A (ja) 界面活性剤水溶液
JP4121149B2 (ja) 乳化剤
JP2007023055A (ja) 界面活性剤系用の液体増粘剤
EP1993506B1 (en) Low-odor dimethicone copolyol sulfosuccinate surfactant compositions
AU2012219866B2 (en) Polymers based on glyceryl carbonate
DE19622214A1 (de) Hydroxycarbonsäureester
JP3525848B2 (ja) アニオン性界面活性剤及び洗浄剤組成物
JP7389687B2 (ja) 界面活性剤組成物及び洗浄剤組成物
DE10042374A1 (de) Verwendung von Betainestern als Verdickungsmittel
MXPA99007953A (en) Surfactants
JP2022152308A (ja) 化粧用親水性有効成分の吸着促進剤およびそれを含む吸着促進剤組成物
WO2022114218A1 (ja) 化合物、その前駆体化合物、界面活性剤組成物、及び洗浄剤組成物
EP0770620A1 (de) Glucoquats und ihre Verwendung als oberflächenaktive Mittel insbesondere zur Haar- und Körperpflege
EP3670485A1 (en) Novel ethoxylates from renewable sources
MXPA98001150A (en) Oxides of polyhydroxyalyl-amidoam
PL215601B1 (pl) Sposób otrzymywania niejonowego surfaktanta o sterycznie specyficznej strukturze amfifilowej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