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70176A - 식품 정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품 정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176A
KR20000070176A KR1019997006402A KR19997006402A KR20000070176A KR 20000070176 A KR20000070176 A KR 20000070176A KR 1019997006402 A KR1019997006402 A KR 1019997006402A KR 19997006402 A KR19997006402 A KR 19997006402A KR 20000070176 A KR20000070176 A KR 20000070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s
channel
channels
receiving end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로포드폴
Original Assignee
콜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콜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70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17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5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removing incorrectly orient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9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feeding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식품 정리장치(16)가 복수의 개별 채널(34)들을 가지는데, 그 안에서 식품들이 정리된다. 장치의 일단은 식품에 대해 미끄럼을 주도록 높이가 올려져 있으며 채널들은 장치의 일단(30)에서 타단(32)로 가면서 한 점으로 집중되는 형태를 하고 있다. 식품이 채널을 따라 아래로 미끄러지면서, 이는 마구잡이 위치에서 질서정연한 수직 배치로 방향이 맞춰진다.

Description

식품 정리 시스템 및 방법 {FOODSTUFF COLLATING SYSTEM AND METHOD}
당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종류의 정리 배열법이 알려져 있으나, 현존하는 배열법의 주된 단점들 중의 하나는 노동강도와 더불어 실현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궁극적으로 포장될 물품들을 취급하는 데에는 수 명의 직원이 필요한데, 이는 건강표준에 관련한 분규 뿐만 아니라 손상된 상품 측면에서 종종 어려움을 유발한다. 그 이상의 한계도 추가적인 직원 투입이 전체 공정에 노동비용을 상승시킨다는 사실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만약 노동강도가 매우 적게 들고 제품을 포장하는 직원과 제품 사이의 접촉을 줄이면서 흐트러진 물품들을 정렬상태로 정리하는 방법이 있다면, 이는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흐트러진 물품들을 정리하는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들을 깔끔한 정렬상태로 배열 및/또는 정리하는 장치와 이 장치를 채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분류, 수집 및 포장절차를 전반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3-3 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4는 도 2의 4-4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 내에서 유사한 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흐트러진 물품들을 정렬상태로 정리하기 위한 개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품들의 방향을 맞추기에 적당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데, 이 장치는:
채널수단들 각각이 물품들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단과 물품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단을 가지며, 채널수단들은 물품들을 미끄럼 가능하게 수납하며, 채널수단들의 각 채널은 폭 치수를 가지는데, 그 폭 치수가 수납단에서 방출단으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며, 수납단이 방출단보다 더 높이 위치하여, 물품들이 비교적 마구잡이 형태로 수납단에서 수납되어 방출단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수송되었을 때, 채널들이 물품들의 방향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무질서한 형태에서 서로에 대해 정렬되게 맞추어 주는, 복수의 채널수단을 구비한다.
이 배열법에서 채널의 수는 임의로 채택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요소들 중에서도 포장될 물품의 부피에 의존하게 될 것이다. 본 장치의 수납단에서 방출단까지 제품의 빠른 수송을 보장하도록 낮은 마찰계수를 가진 적당한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지 채널의 재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경사효과"를 제공하도록 수납단은 방출단에 비해 높은 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는 물품이 채널을 따라 아래로 미끄러지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채널을 만들기에 적절한 재질에는 식품업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고 필요한 정도의 마찰을 제공하는 알루미늄, 테프론(상표명), 적당한 플라스틱이나 기타 적당한 금속이 포함된다. 그 이상의 특징으로서, 채널들의 온도는 정리될 제품의 종류에 따라 조절(가열, 냉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품들을 분류하고 포장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데, 이 장치는: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수단과;
채널들의 각 채널이 물품들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단과 배열상태로 물품들을 방출하기 위한 대향 방출단을 가지며, 채널들이 물품들을 미끄럼 가능하게 수납하며, 각 채널은 폭 치수를 가지는데, 그 폭 치수는 수납단에서 방출단으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며, 수납단이 방출단에 대해 더 높은 위치에 있는, 복수의 분리된 채널들을 구비하여, 물품들이 서로에 대해 마구잡이로 위치한 무질서 상태에서 물품들이 규칙적인 배열상태에 있는 질서정연한 상태로 가도록 물품들의 방향을 맞춰주기 위한 방향 맞춤수단과;
방향이 맞춰진 물품들의 배열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수단을;
조합하여 구비한다.
예컨대, 채널에 대해 대체로 수평위치에 있는 감자파이를 채널 내에서 수직방향을 향하는 위치로 재위치시키기 위해, 채널들은 펙(peg)들, 캠(cam)들 또는 어떤 추가 부품들을 그 최상 모서리들에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채널들의 최상 모서리에 직물을 제공하거나 다른 마찰계수를 주도록 최상 모서리 부근에 다른 재질을 갖게 함으로써 간단히 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제품의 방향이 어떻게 마구잡이로 되어 있어도 물품을 재위치시키는 모서리 부분에 의해 그 방향이 바로 잡히는 것을 보장해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채널들은 자신들과 접촉하는 물품에 대해 자기-정렬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흐트러진 물품을 비교적 무질서한 상태로부터 정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데, 그 방법은:
수납단에서 방출단으로 가면서 그 폭이 좁아지며, 수납단이 방출단에 대해 높은 위치에 있으며, 물품들을 미끄럼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채널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채널들에 대해 임의의 방향으로 수납단에서 물품들을 도입하고, 물품들의 방향을 점진적으로 맞추도록 물품들을 각각의 채널을 따라 아래로 미끄러뜨리는 단계와;
정렬상태로 물품들을 방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기술하였으므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첨부도면에 대해 언급하기로 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개략적인 형태로 분류, 수집 및 포장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물품들, 본 예와 같이 파이들은 타원체형이거나 직사각형일 수 있는데, 이들은 통상적으로 전 공정작업(도시생략)으로부터 냉각터널 컨베이어 내로 방출된다. 냉각터널은 전체적으로 번호 10으로 표시된다. 물품들은 냉각터널(10)에서 분배 컨베이어(12)로 보내지게 되는데, 이는 파이들을 폭방향에서 길이방향 배열로 맞추어준다. 컨베이어 라인(12)에서, 검수자들(12)은 통상적으로 품질확인을 목적으로 파이들을 검사하여 깨졌거나 품질이 열등한 파이들을 제거한다. 다음에 파이들은, 전체적으로 번호 16으로 표시되며 이하에 훨씬 상세히 논의될 정리장치로 보내진다. 그 다음, 파이들은 컨베이어(18)를 경유하여 정리장치(16)에서 포장기(20)로 운반되는데, 포장기는 상자(22)에 파이들을 채우기 위해 시간순서로 상자(22)들을 수납한다. 채워진 상자(24)들은 다음에, 예컨대 압축 포장기(26)로 보내진다. 지금까지 전체적인 공정순서를 설명하였으므로, 이제 도 2, 3 및 4에 가장 잘 도시된 정리장치(16)에 대해 상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도 2는 명확성을 위해 부품들이 제거된 정리장치(16)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리장치는 수납단(30)과, 이에 대향하며 번호 32로 표시되는 방출단을 포함한다. 정리장치(16)는, 서로로부터 일정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수납단(30)에서 방출단(32)까지 연장된 복수의 개별 채널(34)들을 포함한다. 채널(34)들의 각각은 도 2에서 전체적으로 번호 36으로 표시된 폭 치수를 가지는데, 폭 치수는 수납단(30)에서 방출단(32)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여 전체 장치(16)가 수납단에서 방출단으로 가면서 한 곳으로 집중되는 형태를 하고 있다. 이러한 집중형태에서, 어떤 채널 안에서건 폭 치수는 인접 채널에 대해 상대적으로 일정한 값을 갖는다.
도 3은 도 2의 3-3 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대체적으로 톱니형태로 된 채널(34)들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채널은 거의 수직인 제1 벽(38)과 경사방향의 벽(40)을 포함하는데, 이 방향은 수직벽(38)에 대한 것이다. 경사벽(40)은 거의 수평인 바닥벽 부분(42)에서 끝나고 더 나아가서는 제2 수직벽(44)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부분벽(42)에 대해 대략 90°를 이루며 벽(38)과 평행으로 이격된 관계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수납단과 그로부터 약간 떨어진 곳에서는, 채널들이 수직벽(38/44)과 경사벽(40)으로 시작된다. 채널(34)들 사이의 간격은 파이(P)의 길이보다는 작지만, 파이(P)의 폭보다는 크다.
단부(32)에 근접한 곳에서는 대체로, 각 채널(34)에 있는 경사벽(40)이 거의 수직이다. 이러한 것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각진 벽(40)에서 그의 거의 수직방향으로의 이행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 진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이(P)는 정리장치(16)를 따라서 이동하는데, 이는 대체로 기울어진 형태에서 수직으로 방향맞춤된 배치로 이동된다. 도 1에서 전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상자(22)를 연속적으로 채우기 위해 파이(P)를 단부(32)에서 정렬상태로 배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정리장치(16), 더 상세히는, 단부(30)는 단부(32)에 대해 약간 높여져 있다. 그 높여진 각도는 수평면에 대해 약 20°에서 약 40°사이이거나 그 이상일 수 있다. 이렇게 높여주면, 이는 파이(P)들이 단부(30)에서 단부(32)로 채널들을 따라 미끄러져 내리는 데 도움을 준다.
작동에 있어서, 파이(P)들은 대체로 서로에 대해 다양한 방향으로 장치(16)의 수납단에 들어간다. 이는 대개 임의의 방향이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하나의 파이가 채널(34)들 사이에 있는 반면에 다른 것은 채널을 가로지른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널(34)들의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이렇게 무질서한 배치는 파이(P)를 채널(34) 안으로 떨어뜨리는 것만으로도 간단히 해결된다. 파이가 경사진 장치(16)를 따라 내려가면서, 이는 채널(34)의 형태에 의해 자동적으로 옆으로 돌려 놓여지게 된다. 채널을 가로질러 놓여진 파이들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실히 한 쪽으로 방향맞춤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벽들(38 및 40)의 정점 또는 연결점에 작은 펙(46)들이 채용될 수도 있다. 펙(46)들을 제공함으로써, 만약 물품이 채널을 가로질러 있거나 정점들에 얹혀 있다면, 펙들은 도 3에 도시된 형태, 다시 말해 파이가 채널(34) 내에서 세워지는 형태로 재방향맞춤 또는 재위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펙(46)들이 없을 경우 파이(P)를 채널(34) 안으로 적절히 배치시키는 것을 유도하기 위해 채널(34)들의 상부 모서리들이 다른 계수를 가진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음은 명백히 가상된다. 위치를 정하는 데 있어서 다른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는데, 이는 채널(34)들을 진동시키는 수단, 그 중에서도 특히 캠(cam)이 달린 내부 표면들 같은 것이다.
도 3은 파이(P)가 채널(34)의 진로를 나아가면서 이루는 그 자세의 점진적 변화를 쇄선으로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절차에서 필요과잉 인력의 문제를 경감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포장될 제품에 직원이 과도하게 손대는 것을 방지한다.
비록 감자파이가 물품으로 지정되었지만 본 장치 및 방법론이 포장될 수 있는 어떤 물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숙련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전술되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청구되고 설명된 발명의 사상, 속성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도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룬다는 것은 당 업계의 숙련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취급 기술분야에 응용성을 갖는다.

Claims (18)

  1. 모서리들과 대체로 둥근 반대쪽 단부들을 가지는 물품들의 방향을 맞춰주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수단들을 구비하되, 각 채널수단이 물품들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단과 물품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단을 가지며, 채널수단들이 미끄럼 가능하게 물품들을 수납하고, 채널수단들의 각 채널이 폭 치수를 가지며, 그 폭 치수가 수납단에서 방출단으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며, 수납단이 방출단보다 높이 위치하여, 물품들이 비교적 마구잡이 형태로 수납단에서 수납되어 미끄럼 가능하게 방출단으로 수송되었을 때, 채널들이 물품들의 방향을 서로에 대해 비교적 무질서한 형태에서 서로에 대해 정렬되게 맞추어 주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수단이 저 마찰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 마찰 물질이 스테인레스 스틸, 테프론(상표명), 플라스틱 및 알루미늄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수단이 복수의 개별적이고 이격된 채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적이고 이격된 채널들의 각 채널이 폭 치수를 가지며, 상기 폭 치수는 상기 수납단에서 상기 방출단으로 가면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적이고 이격된 채널들의 각 채널이 최상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모서리는 상기 모서리에 닿는 물품을 상기 채널 안으로 재위치시키기 위한 재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물품의 분류 및 포장 장치에 있어서,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수단과;
    채널들의 각 채널이 물품들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단과 배열상태로 물품들을 방출하기 위한 대향 방출단을 가지며, 채널들이 물품들을 미끄럼 가능하게 수납하며, 각 채널은 폭 치수를 가지는데, 그 폭 치수는 수납단에서 방출단으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며, 수납단이 방출단에 대해 더 높은 위치에 있는, 복수의 분리된 채널들을 구비하여, 물품들이 서로에 대해 마구잡이로 위치한 무질서 상태에서 물품들이 규칙적인 배열상태에 있는 질서정연한 상태로 가도록 물품들의 방향을 맞춰주기 위한 방향 맞춤수단과;
    방향이 맞춰진 물품들의 배열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수단을;
    조합하여 구비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단에서 상기 방출단으로 가면서 상기 채널수단들이 폭에 있어서 한 곳으로 집중되는 형태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분류 및 포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단에 가까운 각 채널은 각진 벽, 바닥벽 및 상기 경사벽에 대해 수직인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분류 및 포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은 상기 바닥벽에 대해 약 25°에서 약 85°까지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분류 및 포장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병렬로 나란히 놓여진 채널들이 공통 수직벽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분류 및 포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의 각각의 각 벽은 상기 모서리에 닿는 물품을 상기 채널 안으로 재위치시키기 위한 재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분류 및 포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위치수단이 상기 채널과 다른 마찰계수를 가지는 상기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분류 및 포장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위치수단이 상기 채널에서의 물품 재위치를 위해 상기 모서리에 연결된 펙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분류 및 포장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단에 가까운 곳에서 상기 각 채널의 상기 각진 벽이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분류 및 포장장치.
  16. 수납단에서 방출단으로 가면서 채널들의 폭이 좁아져 있으며, 수납단이 방출단에 대해 높은 위치에 있으며, 물품들을 미끄럼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채널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채널들에 대해 임의의 방향으로 수납단에서 물품들을 도입하고, 물품들의 방향을 점진적으로 맞추도록 물품들을 각각의 채널을 따라 아래로 미끄러뜨리는 단계와;
    정렬상태로 물품들을 방출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흐트러진 물품들을 비교적 무질서한 상태로부터 정리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물품의 자세를 대체로 수평자세로부터 상기 방출단에서는 거의 수직자세로 점차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방향맞춤된 물품들을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06402A 1997-01-15 1997-12-12 식품 정리 시스템 및 방법 Ceased KR200000701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11397P 1997-01-15 1997-01-15
US60/036,113 1997-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176A true KR20000070176A (ko) 2000-11-25

Family

ID=2188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402A Ceased KR20000070176A (ko) 1997-01-15 1997-12-12 식품 정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205749B1 (ko)
EP (1) EP0956252A1 (ko)
JP (1) JP2001508014A (ko)
KR (1) KR20000070176A (ko)
CN (1) CN1244849A (ko)
AU (1) AU723573B2 (ko)
CA (1) CA2274253C (ko)
NZ (1) NZ336193A (ko)
WO (1) WO1998031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1618A1 (en) * 1997-01-15 1998-07-23 Colt Technologies Inc. Foodstuff collating system and method
FR2778647B1 (fr) * 1998-05-14 2000-06-23 Admv Sa Mecanisme d'orientation et de distribution automatique de pieces
US6446416B1 (en) * 1999-11-03 2002-09-10 R. A. Jones & Co. Inc. Vertical insert bucket
WO2001076774A1 (en) * 2000-04-07 2001-10-18 S.E.D. Nominee Pty Ltd A processing apparatus for measuring individual items
US6551048B1 (en) * 2000-07-12 2003-04-2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Off-load system for semiconductor devices
JP4767569B2 (ja) * 2005-03-30 2011-09-07 株式会社ニチレイフーズ 冷凍食品用起立整列装置
US7464803B2 (en) * 2006-07-24 2008-12-16 Eastman Kodak Company Orientating apparatus
CN103754599B (zh) * 2013-12-23 2016-09-28 大连隆正光饰机制造有限公司 一种金银币坯饼直立装置
US10926962B2 (en) * 2019-03-07 2021-02-23 Raytheon Company Flexible feeding tray and system for singulating bulk objects
WO2021077549A1 (zh) * 2019-10-24 2021-04-29 广东嘉士利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向饼干夹心机供料的供料系统
CN111558545A (zh) * 2020-04-20 2020-08-21 王俊道 一种贴有标签的试管样本自动分拣入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1378A (en) * 1967-01-31 Food handling apparatus
US2186652A (en) * 1937-11-26 1940-01-09 Ind Ceramic Products Inc Vibratory aligner
US2250427A (en) * 1939-08-28 1941-07-22 Pilade L Vannucci Can aligner
US2775334A (en) * 1953-11-24 1956-12-25 United Can And Glass Company Can unscrambler
CH489392A (de) * 1967-01-13 1970-04-30 Rose Forgrove Ltd Einrichtung zum Zusammenfassen runder Tabletten in Rollenform
US3528213A (en) * 1967-09-27 1970-09-15 Lynch Corp Conveying system
US3469672A (en) * 1967-09-27 1969-09-30 Lynch Corp Vibratory grouping apparatus
US3608271A (en) * 1968-09-12 1971-09-28 Broach Systems Inc Coin wrapping machine
US3752293A (en) * 1970-12-17 1973-08-14 Lynch Machinery Article grouping system
US4105108A (en) * 1977-03-11 1978-08-08 Lauer George E Apparatus for orienting halved fruit cut side up
US4146123A (en) * 1977-07-28 1979-03-27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tick aligning and conveying method and apparatus
US4163487A (en) * 1978-06-27 1979-08-07 Northern Telecom Limited Contact pin feeding and orienting apparatus
US4339027A (en) * 1980-11-10 1982-07-13 Lauer George E Apparatus for orienting halved fruit cut side down
SE458353B (sv) * 1987-03-26 1989-03-20 Akerlund & Rausing Licens Ab Maskin foer foerpackning av platta, osymmetriska foeremaal
US5123516A (en) * 1991-02-15 1992-06-23 Carrier Vibrating Equipment, Inc. Article conveying and orienting apparatus
US5201398A (en) * 1991-06-04 1993-04-13 Clugston Charles M Apparatus for unscrambling sealed containers
WO1998031618A1 (en) * 1997-01-15 1998-07-23 Colt Technologies Inc. Foodstuff collat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06890A (en) 1999-12-28
US6205749B1 (en) 2001-03-27
CA2274253A1 (en) 1998-07-23
EP0956252A1 (en) 1999-11-17
WO1998031618A1 (en) 1998-07-23
NZ336193A (en) 1999-09-29
JP2001508014A (ja) 2001-06-19
AU5470898A (en) 1998-08-07
CA2274253C (en) 2004-03-09
AU723573B2 (en) 2000-08-31
CN1244849A (zh) 200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0176A (ko) 식품 정리 시스템 및 방법
US45002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ylindrical articles into a single line
KR950007561B1 (ko) 물품 분배 콘베이어 장치
HU192367B (en) Method and filling apparatus and filling channel for filling rod-shaped objects into cylindrical containers
US200201154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and collating crimped sausages
US7222719B2 (en) Container transport and organizing apparatus for use in manufacturing operations and method thereof
US6206171B1 (en) Foodstuff collating system and method
JP3379912B2 (ja) 物品の整列供給装置
US5193329A (en) Automatic tray loading mechanism
US4247245A (en) Method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mixed cargo
US5641073A (en) Aligning of elongated objects
MXPA99006573A (en) Foodstuff collating system and method
NL20223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and Transporting Objects
JP3706402B2 (ja) 長物野菜の箱詰装置
JP4112698B2 (ja) 物品搬送供給装置
JP6840430B2 (ja) 振分け装置
JPH06284850A (ja) 麺受取装置
US12180008B2 (en)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food products and heat treatment apparatus
JPH01303214A (ja) チップ状部品供給用ホッパ装置
KR101947329B1 (ko) 만두 이송 장치
JP3076728B2 (ja) 物品整列搬送装置
US6547059B2 (en) Conveyor row former for objects having uneven cross section widths
JP6699453B2 (ja) 被載置物降ろし装置、被載置物の降ろし方法、及びトレー
WO2020090046A1 (ja) 搬送装置及び炉システム
JPH06219539A (ja) コンベ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11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