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68849A - 냉각 시스템용 냉각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시스템용 냉각 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849A
KR20000068849A KR1019997003702A KR19997003702A KR20000068849A KR 20000068849 A KR20000068849 A KR 20000068849A KR 1019997003702 A KR1019997003702 A KR 1019997003702A KR 19997003702 A KR19997003702 A KR 19997003702A KR 20000068849 A KR20000068849 A KR 20000068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oling
valve
fluid
cool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앵거에지디오
Original Assignee
엠프레사 브라질리에라 데 콤프레소레스 에스.아.-엠브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프레사 브라질리에라 데 콤프레소레스 에스.아.-엠브라코 filed Critical 엠프레사 브라질리에라 데 콤프레소레스 에스.아.-엠브라코
Publication of KR2000006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84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3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 F25B41/3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via 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각 시스템용 냉각 회로 장치는 콘덴서(4)의 출구와 상기 회로의 증발기(8) 입구 사이에 액화 온도의 변화에 반비례하는 방식으로 허메틱 압축기(1)가 작동하는 동안 그의 단면이 변하는 냉각 유체 통로(22)를 포함하는, 냉각 유체 제어 밸브(20)를 포함하며, 시스템의 공칭 액화 온도에 해당하는 온도를 갖도록 증발기(8)로 공급되는 액화된 냉각 유체를 허용한다.

Description

냉각 시스템용 냉각 회로 장치{ A refrigeration circuit arrangement for a refrigeration system }
종래의 냉각 시스템에 있어서, 냉각 회로는 본질적으로 순차적으로, 허메틱 압축기, 콘덴서, 캐필러리 튜브와 같은 감압 장치, 및 증발기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에서, 저압 냉각 가스를 흡인하는 허메틱 압축기는 나중에 고압하에서 가열된 가스로서 콘덴서로 펌핑된다. 콘덴서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가스는 주위로 열을 잃고, 액화된다.
콘덴서로부터, 캐필러리 튜브에서 그의 압력이 감소된 후, 냉각 액체는 증발기로 유도되어, 새로운 주기를 다시 시작하도록 압축기에 의해 흡인되기 전에 다시 가스 상태로 된다.
가스가 증발기를 통과하는 동안 액체 상태로부터 가스 상태로의 냉각 유체의 변화는 증발기에 놓여진 환경으로부터 열을 제거하여, 관련된 냉각 회로에 냉각 제품의 내부 환경을 냉각시킨다.
냉각 회로에서, 증발기내 온도는 압축기 압력 및 콘덴서 압력을 캐필러리 튜브에 의해 조절하여, 시스템의 주어진 평균 작동 상태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정밀한 구성에 따라, 캐필러리 튜브는 몇몇 단계(시작, 작동 제어 및 중단)에서 최적화되는 시스템의 작동을 피한다. 캐필러리 튜브의 치수는, 작업의 최적의 포인트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캐필러리 튜브의 최적화는 냉각 회로에 제공된 냉각 제품의 설치 위치의 실온, 냉각 캐비넷의 온도 및 상기 냉각 회로의 콘덴서 온도의 함수이다. 이들 온도 각각은 냉각 시스템 안쪽의 압력 및 압축기내의 로드에 해당한다. 실온의 저하는 시스템의 모든 압력의 감소를 일으킨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는 저량의 가스를 펌프하여, 효율이 감소된다. 실온의 상승은 압축기의 로드 증가를 의미하며, 나중에 추가의 용량을 요구하여 시스템에서 냉각 가스의 펌핑을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용량은 압축기 온도의 상승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압축기의 유효 수명을 감소시키고 밸브 파손 또는 심지어 모터 단선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외부적으로 냉각된 환경으로의 실온 상승의 또다른 결과는 압축기에 의해 펌프되고 콘덴서로 향하는 가스의 액화 온도의 상승이다. 액화 현상은 콘덴서와 외계 사이의 열 교환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실온 상승은 냉각 유체의 액화 온도 상승을 의미한다. 액화된 냉각 유체는 높은 온도에서 증발기로 유도되어, 증발 효율을 감소시키고 외계의 냉각으로 증발기가 열을 교환한다.
또한, 종래의 냉각 회로 장치에서, 증발기의 온도가 예정된 값에 이르고 압축기가 턴오프 될 때, 액화된 유체는 콘덴서가 위치된 시스템의 고압부에 존재하고, 증발기를 갖춘 상기 시스템의 저압부로 이동한다. 증발기로 액화된 냉각 유체의 상기 이동은 각 콘덴서에서 중단되어 상기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 증가, 냉각 시스템의 효율이 감소된다.
상기 문제점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은 다양한 속도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캐필러리 튜브가 일정한 제한이 있고 로터의 회전 증가에 따라 흡입 압력의 감소가 있기 때문에 상기 방법의 효과가 완벽하지는 않고, 결과적으로 압축기의 효율 감소 및 회전 증가에 비례하지 않는 매스 흐름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콘덴서(condenser), 증발기(evaporator) 및 상기 증발기로의 냉각 유체 흐름 제한기를 포함하는 가스 펌핑 회로에 장착된 허메틱 압축기를 포함하는 형태의 냉각 시스템용 냉각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구성된, 냉각기와 같은, 냉각 제품용 냉각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도 1의 냉각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 유체 흐름 제어 밸브를 개략적으로 수직 단면을 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 시스템용 냉각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압축기를 작동시키는데 동작 상태의 제한없이 압축기로부터 최대 효율을 얻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목적은 공칭 액화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증발기에 액화된 유체 흐름의 일정한 조절을 허용하고, 냉각하에서 외계의 냉각 필요성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압축기로 부과되는 로드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는 냉각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압축기가 중단될 때 콘덴서로부터 증발기로 가열된 냉각 유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냉각 회로에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허메틱 압축기, 압축기의 방출구에 연결된 입구, 및 출구를 갖춘 콘덴서; 콘덴서의 출구에 연결된 입구, 및 출구를 갖춘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용 냉각 회로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장치는 콘덴서의 출구와 증발기의 입구 사이에 허메틱 압축기가 작동하는 동안 액화 온도의 변화에 반비례하는 방식으로 단면이 변화하는 냉각 유체 통로를 갖춘 냉각 유체 흐름 제어 밸브를 포함하여, 시스템의 공칭 액화 온도에 해당하는 온도를 갖도록 증발기에 액화된 냉각 유체 공급을 허용하며, 상기 냉각 유체 통로는 허메틱 압축기가 턴오프될 때 콘덴서와 증발기 사이에 유체 수송을 완전치 차단하여 그의 단면이 폐쇄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냉각 시스템은 방출구(2)와 흡입구(3)를 갖춘 허메틱 압축기(1); 허메틱 압축기(1)의 방출구(2)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가스 유체 입구(5), 및 캐필러리(capillary) 튜브(7)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액화된 유체 출구(6)를 갖춘 콘덴서(4); 및 캐필러리 튜브(7)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액화된 유체 입구(9), 및 허메틱 압축기(1)의 흡입구(3)와 유체가 통하는 가스 출구(10)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에서, 저압 냉각 가스는 허메틱 압축기(1)에 의해서 흡인되어 고압 가열 가스 상태로 콘덴서(4)로 펌프되어, 상기 가스가 액화되는 경우 주위로 열을 잃게 된다. 액화현상(Condensation) 콘덴서(4)와 외부 환경 사이의 열 교환에 의해 일어난다.
캐필러리 튜브(7) 지나는 액화 유체의 통로는 유체가 증발기(8)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가스의 압력을 감소시켜 냉각기의 내부 환경으로 열 교환후 저압 가스 형태로, 새로운 주기를 시작할 수 있도록 압축기에 의해 흡인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콘덴서(4) 내에서의 열 교환 효율은 예정된 액화 공칭 온도와 압축기(1)에 의해 콘덴서(4)로 펌프되는 가스의 액화현상이 효과적으로 발생하는 온도 사이의 차이로 인해 감소된다. 또한 상기 구성은 상술된 것처럼, 압축기 오버로드(overload)의 결함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냉각 회로는 콘덴서(4)의 액화된 유체 출구(6)와 증발기(8)의 액화된 유체 입구(9) 사이에, 냉각 유체 흐름 제어 밸브(20)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20)는 냉각 유체 흐름의 최소 및 최대 값 사이에서, 허메틱 압축기(1)가 작동하는 동안 콘덴서(4)로부터 증발기(8)로의 액화된 유체의 흐름비를 자동적으로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허메틱 압축기(1)가 턴오프되면 흐름을 중단시킨다. 상기 압축기의 턴-오프는, 예를 들어, 상기 허메틱 압축기(1)가 결정된 온도 상태가 그 안에 제공된 온도 센서에 의해 증발기(8)에서 탐지되면서 형성되고 유지되는 일시적인 턴-오프 동작 상태를 갖는 형태인 경우, 증발기(8)에서 온도의 함수로서 일어난다.
본 발명의 밸브(20)는 콘덴서(4)의 냉각 유체의 액화 온도의 편차에 반비례하게, 증발기(8)에서 액화된 냉각 유체의 흐름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실온 및 캐비넷 최적의 온도 상태로, 냉각 시스템의 최적 작동 조건을 고려하여 한정되는 공칭 액화 온도에 근접한 냉각 온도에 이를 수 있도록 증발기(8)로 액화된 냉각 유체가 전도되는 것을 허용한다.
1 이상의 회전 속도를 갖는 온/오프 형태의 압축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속도 압축기에서, 요구되는 액화 온도가 공칭 액화 온도보다 높을 경우, 증발기(8)로 액화된 유체의 최소 흐름비 값이 달성된다. 상기 최소 흐름비 상태는 밸브(20) 상류의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달성되며, 상기 압력 증가는 콘덴서(4)에서 냉각 회로의 냉각 매스(mass)의 양에 비례로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밸브(20)는 예를 들어 증발기(8)에 장착되고 냉각 유체 통로(22)를 한정하는 밸브통(21)을 포함하고, 그의 단면은 허메틱 압축기(1)가 작동하는 동안 콘덴서(4)내에서 냉각 유체의 액화 온도와 반비례하게 변화하여, 시스템의 공칭 액화 온도에 근접한 온도를 만들도록 액화된 냉각 유체를 증발기(8)로 공급하는 것을 허용한다.
냉각 유체 통로(22)는 예를 들어 증발기(8)의 온도의 함수로서, 허메틱 압축기(1)가 턴오프되면 폐쇄된다.
또한 밸브통(21)은 증발기(8)에 액화된 유체 입구(9)와 유체가 영구적으로 통하는 개구부(23)를 포함한다.
밸브통(21) 안쪽에는, 허메틱 압축기(1)가 턴오프되는 경우 밀폐 수단(25)에 대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밸브 시트(seat)(24)를 한정하며, 상기 밀폐 수단(25)은 냉각 유체 통로(22)와 효과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밸브(20) 상류 액화 압력 및 밸브(20) 하류 흡입 압력을 동시에 직접 받는다.
상기 냉각 유체 통로(22)의 완전 폐쇄 조건 사이에서 냉각 유체 통로(22)의 단면의 변화는 밸브 시트(24)상에 위치된 밀폐 수단(25)으로 형성되고, 공칭 액화 온도에 근접한 온도에 해당하는 각 개방 상태 조건은 허메틱 압축기(1)가 작동하는 동안 밀폐 수단(25) 너머로 동시적으로 작동하는 액화 및 흡입 압력 사이의 균형에서 이루어진다.
액화 압력은 콘덴서(4)에서 가스 형태로 냉각 유체를 변환시키는데 필요하고 흡입 압력은 압축기의 작동에 의해 얻어진다.
냉각 유체 통로(22)의 완전 개방 상태 및 각각의 개방 상태 사이에서 밀폐 수단(25)의 변위는 액화 및 흡입 압력에서 야기되는 힘의 함수로서 정의되며 냉각 유체 통로(22)의 단면 변형을 일으킨다.
밀폐 수단(25)은 액화 압력에 사용되고 상부 밸브(20)를 한정하는 밀폐부 및 , 밸브 시트 하부에 위치된 추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역은 흡입 압력에 민감하며, 상기 추진부는 냉각 유체 통로(22)의 폐쇄 상태로 밀폐 수단(25)에 일정하게 힘을 가해 스프링 부재(26)에 의해 밸브통(21)에 연결된다.
도면에 따라, 밀폐 수단(25)의 추진부는 스프링 부재(26)에 장착되고 밀폐 수단(25)의 단부 안쪽으로 그의 밀폐부에 대해 변위되는, 환형의 연결 수단(29)에 의해 스프링 부재(26)에 조절식으로 연결되어, 밀폐 수단의 작동인 연속적인 완충 조절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구성 선택에 따라, 밀폐 수단(25)이 밸브 시트(24)를 통해 밸브(20)에 제공되어, 밸브 시트(24)의 윤곽과 매치되는 윤곽의 밀폐부가 끝에 위치되고 이어서 추진부가 밸브통(21) 안쪽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내부적으로 밸브통(21)은 냉각 유체 통로에 대한 챔버(27)를 한정하고 밸브 시트(24)를 통해 콘덴서(4)의 액화된 유체 출구(5) 및, 연속적으로 개구부(23)를 통해 증발기(8)의 액화된 유체 입구(9)와 연통한다.
상기 구성에서, 스프링 부재(26)는 밸브 시트(24) 맞은편의 냉각 유체 통로에 대해 챔버(27)의 벽을 한정하는 칸막이벽 형태이다.
냉각 가스를 흡입하는 허메틱 압축기(1)의 작동은 스프링 부재(26)상에서 작동하는 밸브통(21)의 상기 챔버(27)에서 서브-압력(sub-pressure)을 일으켜, 밀폐 수단(25)과 밸브 시트(24) 사이의 상대 위치의 변화를 일으킨다.
냉각 유체 통로(22)는 밸브 시트(24)와 밀폐 수단(25) 사이에 형성된 환형 공간에 의해 정의된다.
도시된 구성 형태에서, 냉각 유체 통로(22)의 단면의 변화는 증발기(8)의 열적 변화의 함수로, 이하 설명되는 것처럼, 밸브(20) 안쪽으로 제공되고, 밀폐 수단(25) 너머에서 작동하는 민감한 유체 온도 변화의 수축 및 팽창 상태를 결정한다.
스프링 부재(26)는 밸브통(21)에 장착되어, 냉각 유체 통로(22)의 폐쇄 상태로 밀폐 수단(25)을 연속적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라, 스프링 부재(26)는 허메틱 압축기(1)가 턴오프되는 경우 형성되는 밀폐 및, 냉각 유체의 통로에 대해 챔버(27)에서 흡입이 일어날 때 스프링 부재(26)의 탄성 변형에 의해 얻어지는 다수의 유체 통로 상태가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스프링 부재(26)는 증발기(8)에서 온도 변화의 함수로서, 증발기(8)에서 온도 변화에 민감한 유체를 함유하고, 상이한 휨(bending) 상태에서 스프링 부재(26)를 가압하는, 냉각 유체의 통로에 대한 챔버(27) 및 허메틱 챔버(18)로 밸브통(21)을 가로로 분할한다.
열적으로 민감한 부재는 증발기(8)에서 열적 변화에 대응하는 특성의 함수로서, 압축기(1)가 비작동 상태에 이르면, 상기 열적으로 민감한 유체는 스프링 부재(26)의 밀폐 위치를 확보하여, 열적으로 민감한 유체의 연속적인 수축은 증발기(8)에서 온도가 저하될 때 밀폐 위치를 향하고, 증발기(8)에서 온도가 저하될때는 분리 위치를 향하게 작용한다.
밸브통(21) 안쪽으로 스프링 부재(26)의 공급은 챔버(27) 및 밸브통(21)의 허메틱 챔버(28)와 거의 같은 영역을 한정한다.
스프링 부재(26)는 밀폐 수단(25)의 추진부 및 밸브통(21)에 부착되어, 허메틱 압축기(1)가 작동하는 동안 냉각 유체 통로(22)의 완전 폐쇄 상태로 밀폐 수단(25)을 연속적으로 가압한다. 각각 스프링 부재(26)의 유체 통과 위치는 상기 스프링 부재(26) 너머로 작동하는 힘 사이의 차이의 함수로서 얻어지며, 특히 힘은 액화 및 흡입 압력에 의해 야기되고, 바람직한 구성적 작동에 따라, 힘은 온도 변화에 민감한 유체에서 작용하는 온도 변화에 의해 발생한다.
도시된 구성에서, 스프링 부재(26)의 밀폐 위치는 흡입 압력이 0일 경우 달성되고, 예를 들어 열적으로 민감한 유체의 수축은 나중에 힘이 밸브 시트(24)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도록 상기 스프링 부재(26)상에 힘을 산출하여, 압축기(1)가 다시 턴온 될 때까지 밸브 시트(24)상에 밀폐부가 위치되는 상태로 밀폐 수단(25)을 유도하고 유지한다.
스프링 부재(26)의 각각 유체 통과 위치는 상기 스프링 부재를 밸브 시트(24)에 근접하도록 대응하게 휨으로써 달성되며, 밀폐 수단(25)을 밸브 시트(24)에 대해 밀폐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상기 결정된 속도 또는 적어도 2 이상의 동작 속도를 갖는 온/오프형 압축기에 대해, 증발기(8)내의 온도가 허메틱 압축기(1)의 발동작용에 대한 결정된 값에 이르게 되면, 후반 작동은 냉각 회로의 저압측에 위치된 흡입 압력을 생성하고 밀폐 수단(25)의 추진부 너머로 작동하여, 밸브 시트(24)로부터 멀어지도록 밀폐부를 가압한다.
상기 압축기에서 흡입은 허메틱 압축기(1)가 작동하는 동안 일정하다. 상기 경우에, 상기 밀폐 수단(25) 너머로의 압력 변화는 콘덴서(4) 안쪽으로 액화된 냉각 유체의 압력 및 액화 온도의 함수이다.
다양한 속도의 압축기에서, 허메틱 압축기(1)의 작동 중단시에, 증발기(8) 안쪽의 낮은 온도는 압축기의 회전 속도 감소 및 흡입 압력에서의 감소를 일으킨다. 증발기(8)에서 액화된 유체의 흐름 변화는 챔버(27) 안쪽의 흡입 압력으로부터 야기되는 힘의 합과 액화된 냉각 유체내 액화 온도 및 액화 압력의 상태로부터 야기된다.
압축기가 작동하는 동안, 흡입 압력이 허메틱 압축기(1)의 상기 밸브 및 흡입 입구(10) 사이에 유체 수송을 통해 밸브통(21)의 챔버(27)에 형성된다. 상기 흡입 압력은 밸브통(21)의 밸브 시트(24)를 향하여 구부러지도록 스프링 부재(26)를 가압하여, 챔버(27)내 체적을 감소시키고 비례적으로 허메틱 챔버(28)를 확장시키며, 상기 동작은 밸브 시트(24)로부터 공간을 둔 위치로 밀폐 수단(25)을 이끌어 공칭 액화 온도에 근접하고 증발기(8)의 증발 효율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액화 온도로 증발기(8)를 액화된 냉각 유체가 통과하는 양을 결정한다.
도시된 것처럼 밀폐 수단 및 밀폐 수단 시트에 따라, 냉각 유체 통로를 통해 흐르는 액화된 유체 흐름은 밀폐 수단(25)의 밀폐부의 외측 표면과 밸브 시트(24)의 환형 표면 사이에 공간을 두도록 비례한다. 허메틱 압축기(1)의 동작의 함수로서 그리고 압축기가 작동하는 동안 존재하는 흡입 압력의 함수로서, 밀폐 수단(25)은 밸브 시트(24)에 대한 그의 밀폐부의 밀폐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다.
콘덴서(4)로 펌프되는 유체의 액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밀폐 수단의 밀폐부 너머로 압력이 증가하여, 밸브 시트(24)를 향하는 근사 위치로 유도되어 냉각 유체 흐름 제어 밸브(20) 및 증발기(8)를 통과하는 냉각 유체의 흐름을 제한한다.
밀폐 수단(25) 너머로 최대 압력 조건은 냉각 유체 흐름 제어 밸브(20)를 통해 냉각 유체 흐름의 최대값을 통해 결정한다. 증발기(8)로 유체의 제한은 냉각 회로의 저압측에서 매우 작은 냉각 가스 체적으로 압축기의 흡입을 일으킬 수 있다. 매스 흐름의 감소는 허메틱 압축기(1)상에 오버로드를 피할 수 있다.
증발기(8)에서 냉각 유체 흐름의 제한시에 증가로, 콘덴서(4)내에 유체가 확립되고, 그안에 압력 및 상기 유체의 액화현상을 일으키는, 콘덴서(4) 외측 환경으로 상기 유체의 열 교환을 허용하는 온도까지 온도를 상승시킨다. 액화된 냉각 유체가 그의 온도를 저하시킬 때까지 제한은 유지되어, 밀폐 수단(25) 너머로 압력을 감소시키고 밸브 시트(24)로부터의 분리를 허용한다. 상기 분리로, 냉각 유체 통로(22) 및, 증발기(8)로 액화된 유체 흐름 단면이 단계적으로 증가한다. 밀폐 수단(25) 너머 압력 변화는 상기 흐름을 자동적으로 연속적으로, 허메틱 압축기(1)가 작동하는 동안 증발기(8)로의 냉각 유체 흐름을 제어하여, 콘덴서(4)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주로 외측 온도가 공칭 액화 온도를 능가하는 경우, 허메틱 압축기(1) 너머의 로드(load)를 완화시킨다.
상술된 장치의 구조적 특성은 허메틱 압축기(1)를 재가동할 때 발생하는 밸브 시트(24)로부터 밀폐 수단이 분리되도록 한정된다. 허메틱 압축기(1)가 작동하는 동안 증발기(8)내의 온도 변화에 따른 스프링 부재(26)의 운동은 밀폐 수단(25) 너머로 힘 성분을 결정한다.

Claims (10)

  1. 허메틱 압축기(1), 압축기(1)의 방출구에 연결된 입구, 및 출구를 갖춘 콘덴서(4); 상기 콘덴서(4)의 출구에 연결된 입구, 및 출구를 갖춘 증발기(8)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용 냉각 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콘덴서(4)의 출구와 증발기(8)의 입구 사이에, 허메틱 압축기(1)가 작동하는 동안 액화 온도의 변화에 반비례하는 방식으로 단면이 변화하는 냉각 유체 통로(22)가 제공된 냉각 유체 흐름 제어 밸브(20)를 포함하여 증발기에 공급되는 액화된 냉각 유체가 시스템의 공칭 액화 온도에 해당하는 온도를 갖도록하며, 상기 냉각 유체 통로는 허메틱 압축기가 턴오프될 때 그의 단면이 폐쇄되어 콘덴서와 증발기 사이의 유체 수송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20)에는 냉각 유체 통로(22)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밸브(20) 상류의 액화 압력 및 밸브(20) 하류의 흡입 압력을 동시에 직접받는 밀폐 수단(25)이 포함되며, 상기 밀폐 수단(25)은 상기 압력들부터 야기되는 힘의 작용에의해, 냉각 유체 통로(22)의 완전 폐쇄 상태와 액화된 냉각 유체의 공칭 액화 온도를 이루는 상태 사이에서 냉각 유체 통로(22)의 상기 단면 변화를 허용하도록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냉각 유체 통로(22)가 밸브 시트(24)와 밀폐 수단(25) 사이에 형성된 환형 공간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밸브(20)는, 냉각 유체를 통과시키는 챔버(27)를 한정하고, 밸브 시트(24)를 통해 콘덴서(4)의 출구와 통하며, 증발기의 입구와 일정한 유체 소통 관계를 가지는 개구부(23)가 제공된 밸브통(21)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밀폐 수단(25)은 밸브 시트(24) 상류에 위치하는 밀폐부 및 밸브 시트 하류에 위치하는 추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부는 냉각 유체 통로(22)가 폐쇄 상태에 있도록 밀폐 수단(25)을 연속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26)에 의해 밸브통(21)과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 부재(26)는 허메틱 압축기(1)가 턴오프될 때 달성되는 밀폐 위치, 및 챔버(27) 내에서 냉각 유체의 통과를 위한 흡입이 있을 때 스프링 부재(26)의 탄성 변형에 의해 달성되는 복수개 이상의 유체 통과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26)가 밸브 시트(24)에 대향되는 상기 챔버(27)의 벽을 한정하는 격벽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26)가 밸브통921)을, 냉각 유체의 통과를 위한 챔버(27), 및 증발기(8)의 온도 변화에 민감한 유체를 함유한 허메틱 챔버(28)로 분리하도록 상기 밸브통(21)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열에 민감한 유체가 스프링 부재(26)에서 작동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26)를 증발기(8)의 온도가 저하될 때는 밀폐 위치로 밀어내고, 증발기(8)의 온도가 상승할 때는 스프링 부재(26)를 각각의 유체 통과 위치로 유도하도록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밸브통(21)이 허메틱이고 액화된 유체의 입구에 인접한 증발기(8)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밀폐 수단(25)의 추진부가 스프링 부재(26)에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 장치.
KR1019997003702A 1997-08-28 1998-08-28 냉각 시스템용 냉각 회로 장치 KR200000688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9702803A BR9702803A (pt) 1997-08-28 1997-08-28 Arranjo para circuito de refrigeração de sistema de refrigeração
BRPI9702803-7 1997-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849A true KR20000068849A (ko) 2000-11-25

Family

ID=406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702A KR20000068849A (ko) 1997-08-28 1998-08-28 냉각 시스템용 냉각 회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934494B1 (ko)
JP (1) JP2001505296A (ko)
KR (1) KR20000068849A (ko)
CN (1) CN1237240A (ko)
AT (1) ATE252714T1 (ko)
BR (1) BR9702803A (ko)
DE (1) DE69819127D1 (ko)
WO (1) WO1999011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5003B2 (en) 2007-10-05 2011-02-2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ibration protection in a variable speed compressor
US8539786B2 (en) 2007-10-08 2013-09-2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verheat of a compressor
US8418483B2 (en) 2007-10-08 2013-04-1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parameters for a refrigeration system with a variable speed compressor
US8459053B2 (en) 2007-10-08 2013-06-1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Variable speed compressor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S9541907B2 (en) 2007-10-08 2017-01-1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parameters for a refrigeration system with a variable speed compressor
JP7349706B2 (ja) * 2019-07-04 2023-09-25 株式会社不二工機 パワーエレ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膨張弁
US11206743B2 (en) 2019-07-25 2021-12-21 Emerson Climate Technolgies, Inc. Electronics enclosure with heat-transfer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0763A (en) * 1965-11-19 1967-05-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ntrols for refrigeration systems
US3638446A (en) * 1969-06-27 1972-02-01 Robert T Palmer Low ambient control of subcooling control valve
US5245836A (en) * 1989-01-09 1993-09-21 Sinvent As Method and device for high side pressure regulation in transcritical vapor compression cycle
US5201190A (en) * 1992-02-24 1993-04-13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Refrigerator with subcooling flow control valve
EP0762064A1 (de) * 1995-09-08 1997-03-12 Fritz Ing. Weider Durchsatzregelung für das Kältemittel einer Wärmepumpe und 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7240A (zh) 1999-12-01
BR9702803A (pt) 1999-05-18
DE69819127D1 (de) 2003-11-27
JP2001505296A (ja) 2001-04-17
EP0934494B1 (en) 2003-10-22
ATE252714T1 (de) 2003-11-15
EP0934494A1 (en) 1999-08-11
WO1999011987A1 (en) 199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006B1 (ko) 초 임계 증기 압축 장치
US6672090B1 (en) Refrigeration control
EP0921364B1 (en) Pulsed flow for capacity control
RU21026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авления в транскритическом парокомпрессионном цикле
EP2307825B1 (en) Refrigeration system
JPS6325388A (ja) 冷却装置
CA2344782C (en) Boosted air source heat pump
US6945062B2 (en) Heat pump water heating system including a compressor having a variable clearance volume
USRE30499E (en) Injection cooling of screw compressors
US5071321A (en) Variable displacement refrigerant compressor passive destroker
EP1954992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optimizing the cooling load of an economized vapor compression system
KR20000068849A (ko) 냉각 시스템용 냉각 회로 장치
US200800347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apacity self-modulation in a comrpessor
WO2018090894A1 (zh) 压缩机组件及其控制方法和制冷/制热系统
JPH062968A (ja) 冷媒流れ切換装置及び冷蔵庫
US4017286A (en) Heat pump suction line vent
US3715894A (en) Air conditioning bypass control
JP2516986B2 (ja) 車両空調用冷凍回路
US5088303A (en) Migration blocking valve in a refrigerating system
US4025239A (en) Reciprocating compressors
JP3481243B2 (ja) 小型冷凍システム用始動装置
EP0009145B1 (en) Refrigerant compressor capacity control apparatus
KR960002567B1 (ko) 냉동회로
US3702066A (en) Automatic expansion valve, in line, piloted
KR820000586Y1 (ko) 개량된 왕복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5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