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는 적어도 힙부를 커버하고, 고부를 보유하는 의류에 있어서,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피하여 비교적 좁은 폭으로 되어 있는 둔부의 후중심을 따라서 적어도 허리근방에서 둔렬부를 경유하여 크러치부까지 커버하여 후중심에서 맞추어 접속되어 있는 좌우 2매의 후중심신경(A)이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커버하는 한편 힙의 주요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적어도 횡방향으로 신축성을 보유하는 신경(B)에 맞추어 접속하고 있고, 상기한 후중심신경(A)은 신경(B)와 접속라인을 따른 방향으로 늘어남이 없는지 또는 늘어남이 적고 적어도 둔렬 근방에 있어서 좌우의 후중심신경(A)는 후중심을 정점으로 하여 그 단면형상이 인체피부측을 향하여 볼록의 대략 V 자형상의 입체형상을 보유한다.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에 있어서는, 후중심에서 맞추어 접속되어 있는 2매의 후중심신경(A)이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커버하는 한편 힙의 주요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적어도 횡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경(B)에 맞추어 접속되어 있고, 상기한 후중심신경(A)은 신경(B)과 접속라인에 따른 방향으로 늘어남이 없는지 또는 늘어남이 작기 때문에 후중심신경(A)과 신경(B)과의 접속라인부분에서의 접속라인방향으로의 늘어남이 멈추어지고, 후중심신경(A)과 신경(B)과의 사이에 부자연스러운 주름이 발생하는 일 없이, 힙의 풍만한 정점을 커버하는 한편 힙의 주요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적어도 횡방향으로 신축성을 보유하는 신경(B)이 힙의 풍만함의 자연스런 아름다운 곡선을 조형하고, 상기한 접속라인방향으로 늘어남이 적고 늘어남이 없는 후중심신경(A)에 의해 상기한 신경(B)에서 힙부의 풍만함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힙 좌우 2개의 풍만함사이의 곡부가 아름답게 표현되고, 따라서 힙 좌우 2개의 풍만함의 자연스런 아름다운 곡선이 보다 한층 강조되는 동시에 힙부접속라인이 힙의 풍만함의 정점근방을 통하여 있지 않기 때문에 접속라인이 겉옷에 라인모양으로 반영하는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없고, 적어도 착용자의 둔렬 근방에 있어서 좌우 후중심신경(A)은 후중심을 정점으로 하여 그 단면형상이 인체피부측에 향하여 볼록의 대략 역 V자형상의 입체형상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둔부중앙을 입체적으로 완전하고 계곡모양으로 오목한 모양으로 마무리할 수 있는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의 바람직한 형태는 다음과 같다.
(2) 후중심신경(A)과 신경(B)과의 접속라인을 따라서 힙의 풍만한 정점보다 거의 하측의 부분에 개더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1)항에 기재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
상기,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후중심신경(A)과 신경(B)와의 접속라인을 따라서 힙의 풍만함의 정점보다 거의 하측 부분에 개더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2개 힙의 풍만함의 곡선이 보다 입체적으로 아름답게 표현이 적합하다.
(3) 후중심신경(A)의 봉제 전의 형상이 신경(B)과 맞추어 접속되는 측의 가장자리 라인의 형상이 거의 직선형상이고, 이 라인에 따른 방향으로 늘어남이 없는지 또는 늘어남이 적고, 후중심측 가장자리 라인의 형상이 후중심측으로 향하여 오목이고, 특히 둔렬근방의 곡율이 작은 후중심신경(A)이고, 신경(B)의 봉제 전의 둔부근방의 후중심측 가장자리 라인 형상이 후중심측으로 향해서 볼록모양의 곡선라인인 상기(1)항에 기재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
이 본발명의 적합한 형태에 있어서는 후중심신경(A)의 종방향으로 늘어남이 없는지 또는 늘어남이 적은 포를 그 늘어남이 없는지 또는 늘어남이 적은 방향을 따라서 신경(B)의 봉제 전의 둔부근방의 후중심측의 가장자리에서 그 가장자리 라인의 형상이 후중심측으로 향하여 볼록형상 곡선라인을 보유하는 신경(B)에 봉제되는 것에 의해 이 양자의 접속라인을 따른 방향에는 늘어남이 멈추어지고 또는 늘어남이 억제되기 때문에 상기한 신경(B)에서 힙부의 풍만함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힙좌우 2개의 풍만함사이의 곡부가 아름답게 표현되고, 따라서, 힙 좌우 2개의 풍만함의 자연스런 아름다운 곡선이 보다 한층 강조되는 동시에 후중심신경(A)의 후중심측 가장자리 라인의 형상이 후중심측으로 향하여 오목으로 있어서 특히 둔렬근방 곡율이 작은 후중심신경(A)이고, 이러한 좌우의 후중심신경(A)이 상기한 후중심측 가장자리에서 맞추어서 접속되고 이 접속라인이 후중심이 되기 때문에 이 후중심신경(A)의 곡율이 작은 부분만큼, 좌우의 뒤 중심신경(A)이 뒤 중심에서 서로 맞추어서 접속될 때에 그 단면형상이 후중심을 정점으로 하여 인체피부측으로 향하여 볼록에 의해 각도 좁은 대략 역V자형상의 입체형상을 보유하는 모양으로 용이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동시에 둔부중앙을 입체적으로 완전하고, 집어 넣은 모양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를 제공 가능하여 적합하다.
(4)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피하여, 힙부외측주위에 힙업용 맞대기 포가 설치되는 상기한(1)항 기재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
이러한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후중심신경(A)에 의해 신경(B)에서 힙부의 풍만함의 처짐을 방지하는 작용으로 하는 동시에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피하여 힙부외측주위에 힙업용 맞대기 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보다 한층 힙을 아름답게 업할 수 있고, 게다가 힙업용 맞대기 포는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피하여 힙부외측주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맞대기 포 가장자리 라인이 겉옷에 라인모양을 반영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없어서 적합하다.
(5) 신경(B)의 적어도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커버하는 한편 힙의 주요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부분이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성 있는 츠웨이편지(編地)인 상기한 (1)항 기재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
이러한 본발명의 적합한 형태에 있어서는 신경(B)의 적어도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커버하는 한편 힙의 주요부분을 커버하고 있는부분이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성 있는 츠웨이편지로 하는 것에 의해 힙 좌우 2개의 곡선을 보다 자연스러운 아름다운 곡선으로 마무리하는 일이 가능한 동시에 힙을 커버하는 이 부분이 보다 운동 추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힙의 움직임에 따른 옷이 어긋나 올라가는등을 방지하여 바람직하다.
(6) 가로세로 양 방향으로 신축성 있는 츠웨이편지가 츠웨이라세르편지인 상기(5)항 기재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
이러한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츠웨이라세르편지는 의류의 힙부를 적절한 신축력으로 감싸는 동시에 힙 좌우 2개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보다 아름답게 실현할 수 있는 한편, 보다 운동추종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나 옷이 밀려 올라가는등을 방지할 수 있다.
(7) 복부를 커버하는 의류본체포의 전부중앙신경, 또는 이 부분에 맞대기포로서 이용되는 복부압박포가 늘어남이 거의 없는 포인지 또는 긴박력이 강한 신축성 포로 이루어진 상기한 (1)항 기재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해 상기한 작용에 부가하여 복부의 팽출을 억제하고, 복부형상을 교정하는 기능도 가미한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 적합하다.
(8) 의류가 거들, 셔츠, 스패츠, 수영복, 리어타드에서 선택된 의류인 상기한 (1)∼(7)항중 어느하나 기재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
이러한 본발명의 적합한 형태에 의해 이들 의류는 인체에 직접 접하여 착용되던가 혹은, 인체 피부측 근방 위치에 타이트하게 밀착되는 의류이기 때문에 상술한 기능이 효율 좋게 발휘되고, 인체 힙의 형상을 용이하게 교정하는 일이 보다 적합하다.
본발명은 적어도 힙부를 커버하고, 고부를 보유하는 의류로 힙형상을 교정하는 기능을 부여하고 싶은 의류에 적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거들, 셔츠, 스패츠, 보디슈트, 수영복, 리어타드등을 들 수 있다.
본발명의 의류는 이들의 구체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상기 구체적으로 예시한 의류는 피부에 직접 접촉되던지, 피부에 가까운 부분에 착용되고, 혹은 비교적 타이트하게 설계되어 있는 의류이고, 따라서 의류에서의 작용이 효율 좋은 인체에 작용하고,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기능이 유효하게 발휘되고, 힙의 모양을 아름답게 교정하는 기능이 효율좋게 발휘되는 의류에 적합하다.
이하, 본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발명 의류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지만 본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발명의 적어도 힙부를 커버하고, 고부를 보유하고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의 일례의 거들의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2는 그 뒤측에서 본 사시도, 도3은 이 거들의 주요구성부편의 전개도이다.
또한, 전개도에 있어서는 바느질대를 기재하면 복잡하게 되고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느질대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1,1'은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피하여 비교적 좁은 폭으로 되어 있어서 둔부의 후중심을 따라서 적어도 허리근방에서 둔렬부를 경유하여 크러치부까지 커버하고, 후중심에서 맞추어 접속하고 있는 좌우 각각의 후중심신경(A)을 나타낸다.
후중심신경(A) 1,1'의 생지로서는 도3의 전개도에 나타내는 신경(B)와 맞추어 접속하고 있는 측의 가장자리의 라인(A-B내지 A'-B')의 형상이 거의 직선형상이고 이 라인(A-B내지 A'-B')을 따른 방향에 늘어남이 없는지 또는 늘어남이 적고, 후중심측 가장자리의 라인(D-E-F-G)내지(D'-E'-F'-G')의 형상이 후중심측을 향하여 오목으로 있어서 특히 둔렬근방(E-F내지 E'-F')의 곡율이 작게 되어 있다. 2,2'는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커버하는 한편 힙의 주요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적어도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보유하는 신경(B)를 나타내고 있고, 이 열은 신경(B)2,2'의 후면측에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피하여, 힙부외측주위에 힙업용의 맞춤포(3),(3')가 덧대어 있다. 7,7'의 쇄선은 힙업용의 맞춤포(3),(3')의 상측 가장자리의 라인을 나타낸 것이다. 힙업용 맞춤포(3),(3')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존재한쪽이 힙업효과를 보다 적합하게 발휘가능하여 적합하다. 특히 이 형태는 힙업용의 맞춤포로서는 탄성섬유를 실질상 함유하지 않은 적어도 대략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성 포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방향의 한계신도가 120%∼250%보다 적합하게는 150%∼220%의 포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한층 적합하다.
그리고 후중심신경(A)은 1,1'의 A-B 라인과 A'-B'라인이 신경(B)2,2'의 H-I라인과 H'-I' 라인과에 각각 맞추어 접속하고, 접속라인 12,12'(도2참조)가 형성된다. 후중심신경(A)1,1'는 그 A-B라인과 A'-B' 라인의 형상이 거의 직선모양이고, 이 라인을 따른 방향으로 늘어남이 없는지 또는 늘어남이 적은 생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신경(B)2,2'와 봉합되어 맞추어 접속한 경우에도 접속라인(12),(12')을 따른 방향에는 늘어남이 멈춰지고 또는 신축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기 때문에 상기한 후중심신경(A)1,1'에서의 힙부의 팽팽함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힙좌우 2개의 풍만함사이의 곡부가 아름답게 표현되고, 따라서, 힙의 좌우 2개의 풍만함의 자연스러운 곡선이 보다 한층 강화된다.
또한, 후중심신경(A)1,1'은 후중심측의 라인D-E-F-G와 D'-E'-F'-G'의 라인이 상호 맞추어 접속된다.
맞추어 접속가능한 접속 라인이 접속라인4(도2참조)이고, 후중심선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가 된다. 도3의 전개도에 나타내듯이 후중심측의 라인(D-E-F-G내지 D'-E'-F'-G')의 형상이 후중심측을 향하여 오목하고 특히 착용자의 둔렬근방부분(E-F내지 E'-F')의 곡율이 작아지게 된다.
이것을 넓혀서 상호 서로 접속시키기 때문에 이 부분은 그 단면형상이 후중심을 정점으로 하여 신체피부측에 향하여 볼록의 역V자형상의 입체형상을 갖는 모양이 된다. 도2의 X-X'단면의 단면도를 도4로서 나타낸다.
도4에서도 명확하듯이 후중심신경(A) 1,1'은 후중심의 접속라인(4)에 있어서, 위로 볼록의 대략 역V 자형상의 입체형상을 보유하는 모양으로 되어 있는것을 알 수 있다.
이 후중심신경(A)의 후중심측 라인(D-E-F-G내지 D'-E'-F'-G')의 곡율이 작은 부분일수록 서로 맞추어 접속될 때에 그 단면형상이 후중심을 정점으로 하여 인체피부측에 향하여 볼록 각도의 좁은 역V 자형상의 입체형상을 보유하는 모양으로 용이하게 형성가능하다.
따라서, 이 예의 경우는 도3에서 판단하여 E-F와 E'-F'의 라인의 곡율이 작기 때문에 이 부분이 인체피부측에 향하여 볼록 각도의 좁은 역 V 자형상의 입체형상을 보유하는 모양이 된다.
일반적으로 둔렬(5)의 근방에 상당하는 부분에 있어서 각도의 좁은 역V자 형상의 입체형상을 보유하는 모양이 되는 일이 적합하다.
이와같이 후중심신경(A)1,1'이 서로 맞추어 접속한 때에 그 단면형상이 후중심을 정점으로하여 인체피부측에 향하여 볼록의 역V자모양의 입체형상을 보유하는 모양으로 용이하게 끝마침할 수 있고, 둔부중앙을 입체적으로 완전하게 골모양으로 오목한 형상을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고, 아름다운 힙형상의 우수한 의류가 제공가능하다. 또한, 1a,1'a로 표시한 부분은 크러치가 되는 부분이다. 또한, 도1과 도2에서 표시한 11은 허리밴드이고, 본발명의 본질적인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도3의 전개도에 있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따라서, 도3은 간단하게 거들의 구성부편의 전개도로 하지 않고 거들의 주요구성부편의 전개도로 한 것이다.
후중심신경(A)1,1'을 구성하는 포지는 상술한 A-B및 A'-B'라인방향으로 늘어나지 않거나 늘어남이 적은 포가 이용되고, 따라서 그것과 직각방향에는 신축성에 있어서도 비신축성이어도 좋다.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섬유등의 탄성섬유를 함유한 교편종편물(交編縱編物), 예를 들면 사틴조스팬딕스편물이 나 스팬조 파워네트편물이 적합한 소재의 대표예이고, 사틴조스팬딕스편물이 특히 적합하다.
또한 도1∼3에 나타낸 거들의 경우에는 힙의 풍만한 정점을 커버하는 한편 힙의 주요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적어도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보유하는 신경(B)2,2'는 후부에서 협부까지를 커버하고 있고, 접속라인(10),(10')에서 전부중앙신경(8)에 봉제되어 맞추어 접속되어 있다.
전부중앙신경(8)도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의류횡방향에 신축성의 포지를 이용하는 것이 거들을 착용하거나, 벗는경우에 용이하게 가로로 넓혀져 착탈가능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게다가 착용중에는 가로방향의 신축성이 보다 신체에 맞게 착용가능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물론 가로,세로양방향으로 신축성의 츠웨이스트레치성 생지를 이용해도 좋다.
이 점은 신경(B)2,2'의 생지에 대해서도 같다.
이 생지로서는 적어도 의류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생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성있는 츠웨이편지를 이용하는 것이 힙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나타내고, 옷이 어긋나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보다 적합하고, 특히 가로세로 양 방향으로 대단히 좋게 신축하는 유연한 신축성편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표적으로 츠웨이라세르생지가 가장 적합하다.
또한 이 예는 신경(B)2,2'와 전부중앙신경(8)이 접속라인(10),(10')에서 맞추어 접속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접속라인(10),(10')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신경(2),(2')과 전부중앙신경(8)이 접속라인 없는 일체의 연속한 신경(B)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또한 도1∼3에 표시한 거들의 구체예는 전부중앙신경(8)의 표측에 적어도 의류가로방향에는 신축성이 없는지 신축성의 작은 포 또는 신축성은 있지만 긴박력 큰 포로 이루어진 복부압박포(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중심신경(A)1,1'은 힙의 풍만한 정점을 피하여 둔부 후중심을 따라서 비교적 가는폭으로 되어 있으면 좋고, 따라서 허리 거의 하측근방에서 위에 대해서는 힙의 풍만함을 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넓은 폭으로 되어도 좋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후중심신경(A)1,1' 과 신경(B)2,2'와의 접속라인(12),(12')을 따라서 힙의 풍만함의 정점보다 거의 하측의 신경(B)2,2'부분에 개더(6),(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형태로 개더(6),(6')가 설치된 것에 의해 좌우2개의 힙을 꽉 감싸고, 좌우 2개의 힙의 풍만한 곡선이 보다 입체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다.
본발명의 의류를 구성하는 각부분의 구성재료로 본발명의 본질부분과 그다지 관계없는 부분의 생지는 본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침해하지 않는 한 통상사용되고 있는 소재등 임의의 소재가 채용 가능하다.
통상, 이들 생지로서는, 복부압박기능이 필요한 경우의 전부중앙신경의 생지는 통상 작아도 의류가로방향에는 늘어남이 없는지 또는 늘어남이 작은 생지나 신축성은 있지만 긴박력 강한 생지가 사용되고 있는지, 전부중앙신경의 생지로서는 적어도 의류횡방향으로 신축하는 생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그 맞춤 포로서는 적어도 의류횡방향에는 늘어남이 없는지 또는 늘어남이 적은 생지 또는 긴박력 강한 생지가 이용된다. 복부압박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맞춤포를 이용하지 않아도 좋고, 전부중앙신경의 생지로서 적어도 의류횡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생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유방컵의 부분이나, 그 외 부분에 대해서는 그것에 어울리는 각종 생지가 이용되지만, 그 외의 주요부분의 신경을 구성하는 생지는 폴리우레탄등의 탄성섬유를 함유한 적어도 의류횡방향으로 신축성을 보유하는 생지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와같이 하는 것이 의류의 착탈시에 의류를 용이하게 가로방향으로 넓혀서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착탈이 용이하고 또한 신체에 잘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형태인 적어도 의류횡방향으로 신축성을 보유하는 생지는 의류의 종류나 이용하는 부분에 의해서도 다르고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섬유등의 탄성섬유함유 라세르편물인 폴리우레탄 섬유함유 파워네트나, 폴리우레탄섬유등의 탄성섬유함유 저지(jersey)편물인 폴리우레탄 섬유함유 츠웨이저지편물 혹은, 폴리우레탄 섬유등의 탄성섬유함유베아무명, 폴리우레탄섬유등의 탄성섬유함유 비신축(stretchless)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파워네트의 종류로서 예를 들면 플랜파워네트, 사틴파워네트, 츠웨이저지, 저지, 토리스킨(토부주식회사 상표)등을 들수 있다.
다음에 도5, 도6을 이용하여 본발명의 적어도 힙부를 커버하고, 고부를 보유하고,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의 일 예의 롱타입의 거들로의 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는 롱타입거들의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6은 그 후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3에서 설명한 거들에 비해서 각이 길게 된 것만으로 본질적인 부분은 도1∼도3에서 설명한 거들과 실질적으로 동일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있다. 즉,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피하여 비교적 가는폭으로 되어 있고 둔부 후중심을 따라서 적어도 허리부근방에서 둔렬부를 경유하여 크러치부까지 커버하고 후중심에서 맞추어 접속되어 있는 좌우 각각의 후중심신경(A)1,1'의 적어도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커버하는 한편 힙의 주요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적어도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보유하는 신경(B)으로 접속구조등은 실질적으로 도1∼도3에 나타낸 거들의 경우와 동일하다.
좌우 각각의 후중심신경(A)1,1'의 전개도도, 도3에 나타낸 전개도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고, 둔렬근방 단면의 단면도의 모양도 실질적으로 도4와 거의 같다. 또한, 도5,도6에 있어서는 신경(B)이 도1∼도3과 같이 신경(B)2,2'와 전부중앙신경(8)이 접속라인(10),(10')에서 맞추어 접속되어 있는 형식이 아니라, 즉, 신경(2),(2')과 전부중앙신경(8)이 접속라인 없는 일체의 연속한 신경(B)으로 하여 전부중앙신경도 겸하고 있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의 접속라인은 좌우 각각 통상 크기 대퇴의 내측에 크기대퇴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된(도시하지 않음)통형상으로 되어 좌우 각부(18),(18')를 형성하는 동시에 앞중심라인을 따라서 복부중앙에서 맞추어 접속되어 있다.(이 접속라인은 복부압박포(9)의 후면측에 가려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신경(B)2,2'의 생지에 대해서는 도1∼도3에 나타낸 예와 같이 적어도 의류가로방향에 신축성을 보유하는 생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로 세로양방향으로 신축성 있는 츠웨이편지를 이용하는 것이 힙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나타내고, 옷이 밀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에 보다 적합하고, 특히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대단히 좋은 늘어남이 유연한 신축성편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는 도1∼도3에 나타낸 거들의 예와 같이 신경(B)2,2'의 후면측에 힙의 풍만한 정점을 피하여 힙부외측주위에 힙업용 맞춤포(3),(3')가 덧대어 있다.
7,7'의 쇄선은 힙업용 맞춤포(3),(3') 상측 가장자리라인, 17,17'의 쇄선은 힙업용 맞춤포(3),(3')의 상하측 가장자리라인, 17,17'의 쇄선은 힙업용 맞춤포 (3),(3')의 하측가장자리 라인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이 힙업용 맞춤포로서는 탄성섬유를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은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의 포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방향의 한계신도가 120%∼250%보다 적합하게는 150%∼220%의 포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후중심신경(A)1,1'와 신경(B)2,2'와의 접속라인12,12'를 따라서 힙의 풍만한 정점보다 거의 하측의 신경(B)2,2'부분에 개더가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개더를 설치도 좋은 것은 상술한 것과 같다.
이 롱타입 거들에 있어서는, 후중심근방에서 주름등이 발생하지 않고, 힙좌우 2개의 풍만함 사이의 곡부가 깨끗하고 아름답게 나타나고, 힙부의 풍만한 자연스러운 아름다운 곡선을 표현할 수 있고, 힙부접속라인이 겉옷에 라인모양으로 반영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없이 복숭아의 분할면같은 아름다운 힙 형상으로 조형할 수 있는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7,도8을 이용하여 본발명의 적어도 힙부를 커버하고, 고부를 보유하며,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의 일예의 보디슈트의 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7은 보디슈츠의 앞측에서 본 사시도,
도8은 그 후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어느 것도 본질적이 아닌 부분은 일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1∼도3에서 설명한 거들에 비해서 상반신부가 위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만으로 본질적인 부분은 도1∼도3에서 설명한 거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있다. 즉, 이 보디슈트에 있어서는 힙의 풍만한 정점을 비하여 비교적 가는 폭으로 되어 있고 둔부의 후중심을 따라서 적어도 허리근방에서 둔렬부를 경유하여 크러치부까지 커버하고, 후중심에서 맞추어 접속되어 있는 좌우 각각의 후중심신경(A)1,1'가 더욱이 허리보다 상부에 넓혀서 배중부(30),(30')를 형성하는 신경과 일체로 되어 있지만, 허리근방에서 밑 부분은 도1∼도3에 나타낸 후중심신경(A)1,1'와 본질적으로 같다.
또한 적어도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커버하는 한편 힙의 주요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적어도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보유하는 신경(B)으로의 접속구조등은 실질적으로 도1∼도3에 나타낸 거들의 경우와 같다.
좌우 각각의 후중심신경(A)1,1'의 착용자의 둔렬 근방 단면의 단면도의 모양도 실질적으로 도4와 거의 같은 모양이 된다.
또한 도1∼도3에 있어서는 신경(B)2,2'가 양각 앞측의 어깨부분까지 늘어나 있지만 도7∼도8의 경우에는 신경(B)2,2'는 나머지 앞측까지 늘어나 있지 않고, 어깨를 커버하는 정도에 있는 점이 다르지만,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커버하는 한편 힙의 주요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적어도 가로방향에 신축성을 보유하는 신경인 것은 본질적으로 같다. 그리고 도7∼도8의 보디슈트의 경우 전부중앙신경(8)은 도1∼도3의 거들의 전부중앙신경(8)에 비해서 보다 넓고 전부 거의 전체를 커버하고, 유방컵부(20),(20') 밑에 도달하는 부근까지 넓게 커버하고 있고, 또한, 이 예는 복부압박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이 다르지만, 복부압박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상술한 것과 같다.
이 신경(B)2,2'의 생지에 대해서는 도1∼도3에 나타낸 예와 같이 적어도 의류가로방향에 신축성을 보유하는 생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로세로양방향으로 신축성있는 츠웨이편지를 이용하는 것이 힙의 자연스러운 곡선미를 나타내고, 옷이 엇갈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면에서도 보다 적합하고, 특히 가로세로 양 방향으로 대단히 좋게 늘어나는 유연한 신축성편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는 도1∼도3에 나타낸 거들의 예와 같고 신경(B)(2),(2')의 후면측에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피하여 힙부외측주위에 힙업용 맞춤포(3),(3')가 덧대어 있다.
7,7'의 쇄선은 힙업용의 맞춤포(3),(3')의 상측 가장자리 라인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이 형태는 힙업용 맞춤포로서는 탄성섬유를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은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의 포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고, 더욱 적합하게는 그 길이방향의 한계신도가 120%∼250%보다 바람직하게는 150%∼220%의 포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이 보디슈트의 예에 있어서는 도1∼2에 나타낸 거들과 같게 후중심신경(A)1,1'과 신경(B)2,2'의 접속라인(12),(12')을 따라서 힙의 풍만함의 정점보다 거의 하측의 신경(B)2,2'부분에 개더(6),(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7∼8에 있어서 31,31'은 스트랩(strap)을 나타내고 있다.
이 보디슈트에 있어서도, 둔부 후중심근방에서 주름등의 발생이 없고, 힙좌우 2개의 풍만함 사이의 곡부가 깨끗하고 완전하게 표현되고, 힙부의 풍만함의 자연스런 아름다운 곡선이 표현 가능하고, 힙부접속라인이 겉옷에 라인모양으로 반영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없고 복숭아의 분할면같은 아름다고 완전한 힙 형상으로 조형 가능한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에 있어서는 상술한 모양으로 힙업용 맞춤포를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고 특히 이 모양은 힙업용 맞춤포로서는 탄성섬유를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은 대략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의 포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대략 길이방향의 한계신도가 120%∼250%보다 바람직하게는 150%∼220%의 포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힙업용 맞춤포로서 상술한 형태인 탄성섬유를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은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의 포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맞춤포는 의류본체생지의 신축성포에 의해 힙업기능을 보조하지만, 탄성섬유를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긴체력이 너무 강하지 않고, 따라서 인체의 움직임에도 용이하게 추종하기 쉽고 적절한 신축파워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형변형을 발생하기 어렵고, 저항감이나 답답한 느낌이 적어서 착용감이 양호하여 용이하게 늘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착용시는 용이하게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적합하게는 그 대략 길이방향의 한계신도가 120%∼250%보다 바람직하게는 150%∼220%의 포를 이용하는 것이 의류의 착탈시에 무리없이 늘어나서 착탈가능하기 때문에 의류의 착탈이 용이하고 게다가 착용상태에 있어서도 좋은 신축파워가 발현되기 때문에 저항감이나 답답한 느낌이 적고 따라서 착용감이 양호하여 인체의 움직임에도 용이하게 추종(追從)하기 쉽고, 형변형을 발생하기 어려운 점이 바람직하게 발휘되어 보다 적합하다. 또한, 상기한 맞춤포는 바람직하게는 그 양단과 상측의 가장자리는 의류본체 생지에 봉제되어 있지만, 그 하측 가장자리가 의류본체생지에 봉제되어 있지 않는지 또는 그 하측 가장자리는 의류본체 생지의 옷단을 젖혀 봉제되어 있는 구조를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맞춤포 하측의 가장자리가 상당히 자유도(自由度)를 갖게 되기 때문에 맞춤포의 전(全)주위가 본체생지에 완전하게 봉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착용시에 본체생지와의 신도차(伸度差)등에 의해 구부러짐이 발생하기 쉬운점을 완화가능하여 본체생지에 주름등이 발생할 염려가 없이 착용시의 외관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힙업기능을 보유하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이 형태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한 맞춤포는 적어도 그 양단과 상측 가장자리는 본체생지에 봉제되어 있기 때문에 맞춤포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 본체생지에 봉제하지 않고 양단부만을 봉제하여 부착된 형식에 비해서 착용시에 맞춤포가 꼬이거나, 소정의 위치에서 어긋날 염려가 없이 착용이 용이한 힙업기능을 보유하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기때문에 적합하다,
상술한, 대략 띠형상으로 탄성섬유를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고,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보유하는 본발명에서 이용하는 적합한 힙업용의 맞춤포는 탄성섬유를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편조직(編組織) 또는 직조직(織組織)에 의해 생지의 신축성을 부여하고 있는 편물 혹은 직물이 이용된다.
탄성섬유를 함유하고 있는 신축성의 편물 또는 직물은 적어도 탄성섬유의 소재자체의 신축성을 상당히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생지와 맞춤포의 양방에 이용하면 신축파워는 상당히 강하게 되지만, 상기한 적합한 맞춤포는 탄성섬유를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고, 편조직 또는 직조직에 의해 생지의 신축성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그 조직이 늘어날 때까지는 비교적 저항감이 작고 용이하게 늘어난다. 이러한 편물이나 직물의 특색으로서 편조직 또는 직조직에 의해 신축성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편조직 또는 직조직이 늘어나면 그것 이상은 늘어나지 않게 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늘어나지 않을때까지의 한도까지 신도를 한계신도로 칭하고 있다. 따라서, 본발명에서 상술한 이러한 맞춤포는 한계신도에 달할때까지는 저항감이 작고 용이하게 늘어나지만 한계신도에 도달한 시점에서 그것 이상 늘어나지 않는 성질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맞춤포는 그 한계신도에 도달하기 전의 상태의 신축성을 활용하게 된다.
여기에서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은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보유하고 있으면 다른 방향에도 신축성을 보유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하는 의미이고, 또한 탄성섬유를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으면 탄성섬유의 본래 갖는 소재의 신축성을 이용 가능한 정도에는 탄성섬유가 함유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것이고, 통상은 탄성섬유가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신축성 포를 이용하지만 탄성섬유의 본래 갖는 소재의 신축성이 발휘되는 정도는 아니고, 탄성섬유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포와 거의 동등정도의 거동을 나타내는 범위까지는 탄성섬유가 소량함유되어 있어도 실질상 탄성섬유를 함유하지 않은 포와 동등정도로 취급하고 있기 때문에 지장이 없는 의미이다.
이러한 모양은 맞춤포로서 이용하는 한계신도를 보유하는 생지의 소재로서는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섬유, 폴리아미드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아크릴섬유, 폴리염화비닐덴섬유, 비니론섬유, 목면 그 외의 각종 천연섬유등, 그 타 섬유자체에 큰 탄성을 갖지 않는 각종 섬유에서 제조되는 적어도 한방향으로 신축성 편물 또는 직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탄성섬유를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은 저지, 트루넷, 심플렉스저지(simplex jersey), 스므스(환편의 일종)등의 편물이 적합한 맞춤포이다.
한계신도가 120%∼250%는 당해 맞춤포에 응력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당해 맞춤포의 길이(원래 길이A)에 대해서 당해 맞춤포에 응력을 주어 늘이고, 당해 맞춤포가 한계신도에 이를 때의 길이(신장시 길이B)가 원래 길이(A)의 120%∼250%로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수식으로 나타내면,
한계신도(%) = (B/A)× 100으로 나타낸다.
한계신도를 갖는 생지인지 아닌지는 늘이는 목적방향으로 그 생지를 인장하고, 어느 길이까지는 용이하게 늘이는 것이 가능하지만, 어느 길이에 다다르면 돌연 늘이는 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조사할 수 있다.
한계신도의 측정방향으로서는 시험편을 폭5cm, 둘레길이 20cm의 바퀴형상의 봉제(2본침 오버의 봉제법, 봉제폭:5mm폭, 봉제한 운침수:20침)하고, 바퀴형상시험편의 주위의 어느 1점(X)과 그것과 직경방향 반대측 점(Y)의 양단에서 접어서 반분의 길이10cm의 2종 시험편으로 한다. 인스트론형 정속신장형인장시험기(도율제작소제 오토그래프AG-500D)를 이용하여, 그 시험편장착을 위한 시험편 인장용의 치구봉에 부착하고(시험편 바퀴 중에 2본의 인장용 치구봉을 집어넣어 X점과 Y점에서 바퀴를 당겨 걸쳐 치구봉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당긴다) 인장속도30±2cm/min에서 인장시험기를 조작하고, 인장이 한계에 달할때까지 하중을 가하여 한계신도를 측정한다.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에는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1)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에 있어서는 후중심에서 맞추어 접속되어 있는 좌우 2매의 후중심신경(A)이,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커버하는 한편 힙의 주요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적어도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경(B)에 맞추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후중심신경(A)은 신경(B)과 접속라인을 따른 방향으로 늘어나지 않는지 또는 늘어남이 적기 때문에 후중심신경(A)과 신경(B)과의 접속라인부분에서의 접속라인방향으로의 늘어남이 멈추어지고, 후중심신경(A)과 신경(B)과의 사이에 구김이 발생하지 않고,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커버하는 한편 힙의 주요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적어도 가로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경(B)이 힙의 풍만함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운 곡선을 조형하고, 상기 접속라인방향으로 늘어남이 적은지 또는 늘어남이 없는 후중심신경(A)에 의해 상기 신경(B)에서 힙부의 풍만함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힙좌우 2개의 풍만함 사이의 곡부가 아름답게 표현되고, 따라서 힙좌우 2개 풍만함의 자연스런 아름다운 곡선이 보다 한층 강조되는 동시에 힙부 접속라인이 힙의 풍만함 정점근방을 통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접속라인이 겉옷에 라인모양으로 반영하는등의 문제가 발생할 걱정 없고, 또한 적어도 착용자의 둔렬근방에 있어서 좌우의 후중심신경(A)은 후중심을 정점으로 하여 그 단면형상이 인체피부측에 향하여 볼록의 대략 역V자형상의 입체형상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둔부중앙을 입체적으로 완전하고, 곡부모양에 오목한 모양으로 마무리할 수 있는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2) 또한,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에 있어서, 후중심신경(A)과 신경(B)과의 접속라인을 따라서 힙의 풍만함의 정점보다 거의 하측 부분에 개더가 설치되어 있는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후중심신경(A)과 신경(B)과의 접속라인을 따라서 힙의 풍만함의 정점보다 거의 하측 부분에 개더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2개의 힙의 풍만함의 곡선이 보다 입체적으로 아름답게 표현되는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3) 또한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에 있어서, 후중심신경(A)의 봉제전의 형상이 신경(B)과 맞추어 접속되는 측의 가장자리 라인 형상이 거의 직선형상이고 이 라인을 따른 방향으로 늘어남이 없는지 또는 늘어남이 적고, 후중심측 가장자리의 라인형상이 후중심측으로 향하여 오목으로 있어서 특히 착용자의 둔렬근방의 곡율이 작은 후중심신경(A)이고, 신경(B)의 봉제 전 둔부근방의 후중심측의 라인 가장자리의 형상이 후중심측으로 향하여 볼록형상의 곡선라인인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후중심신경(A)의 세로방향으로 늘어남이 없는지 또는 늘어남이 적은 포를 그 늘어남이 없는지 또는 늘어남이 적은 방향을 따라서 신경(B)의 봉제 전의 둔부근방의 후중심측의 가장자리에서 그 라인의 형상이 후중심측으로 향하여 볼록형상의 곡선라인을 갖는 신경(B)에 봉제되는 것에 의해 이 양자의 접속라인을 따른방향에는 늘어남이 멈추어지고 또는 늘어남이 억제되기 때문에 상기한 신경(B)에서의 힙부의 풍만함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힙좌우2개의 풍만함사이의 곡부가 깨끗하게 표현되고 따라서, 힙좌우 2개의 풍만함의 자연스런 아름다운 곡선이 보다 한층 강조되는 동시에, 봉제전의 후중심신경(A)의 후중심측 가장자리의 라인형상이 후중심으로 향해서 오목이고 특히 착용자의 둔렬근방 곡율이 작은 후중심신경(A)이고, 이러한 좌우 후중심신경(A)이 상기한 후중심측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맞추어 접속되어 이 접속라인이 후중심으로 되기 때문에 이 후중심신경(A)의 곡율이 작은 부분만큼 서로 맞추어 접속된때에 그 단면형상이 후중심을 정점으로하여 인체피부측으로 향하여 볼록의 각도의 좁은 대략 역V자형상의 입체형상을 갖는 모양으로 용이하게 마무리할 수 있고, 둔부 중앙을 입체적으로 완전하고, 곡형상으로 오목한 모양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또한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에 있어서,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피하여, 힙부외측 주위에 힙업용의 맞춤포가 설치되는 본발명의 적합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후중심신경(A)에 의해 신경(B)에서 힙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작용과 동시에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피하여 힙부외측 주위에 힙업용 맞춤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보다 한층 힙을 아름답게 업할수 있고, 게다가 힙업용 맞춤포는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피하여, 힙부외측주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맞춤포의 가장자리 라인이 겉옷에 라인모양으로 반영하는등의 문제가 발생할 걱정이 없어서 바람직하다.
(5) 또한,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에 있어서, 신경(B)의 적어도 힙의 풍만함의 정점을 커버하는 한편 힙의 주요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부분이 가로 세로 양방향으로 신축성있는 츠웨이편지인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힙 좌우 2개의 곡선을 보다 자연스런 아름다운 곡선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힙을 커버하는 이 부분이 보다 운동추종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힙의 운동에 따라 옷이 엇갈려 올라가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6) 또한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에 있어서 가로세로 양 방향의 신축성 있는 츠웨이편지가 츠웨이라세르편지인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하는 것에 의해 츠웨이라세르편지는 의류의 힙부를 적절한 긴축력으로 감싸는 동시에, 힙좌우 2개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보다 깨끗하게 표현할 수 있고, 보다 운동추종이 우수하기 때문에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이나 옷이 엇갈려 올라가는등을 방지할 수 있다.
(7) 또한,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에 있어서 복부를 커버하는 의류본체포의 전부중앙신경, 또는 이 부분에 맞춤부로서 이용되는 복부압박포가, 늘어남이 거의 없는 포인지, 또는 긴박력 강한 신축성포로 이루어진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해, 상기 작용에 부가하여 더욱이 복부의 팽출을 억제하고, 복부형상을 교정하는 기능도 가미한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8) 또한, 본발명의 힙형상을 교정하는 의류에 있어서, 의류가 거들, 셔츠, 스패츠, 보디슈트, 수영복, 리어타드에서 선택된 의류인 본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해 이들 의류는 인체에 직접 접하여 착용되는지 혹은 인체의 피부측에 가까운 위치에 타이트하게 착용되는 의류이기 때문에 상술한 기능이 효율좋게 발휘되고, 인체 힙의 형상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