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7994A - 그라인딩 판을 갖춘 신발류 장치와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그라인딩 판을 갖춘 신발류 장치와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67994A KR20000067994A KR1019997000529A KR19997000529A KR20000067994A KR 20000067994 A KR20000067994 A KR 20000067994A KR 1019997000529 A KR1019997000529 A KR 1019997000529A KR 19997000529 A KR19997000529 A KR 19997000529A KR 20000067994 A KR20000067994 A KR 200000679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plate
- sole
- shoe
- plate
- cav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511 endothel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3038 endothelium Anatomy 0.000 claims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55
- 210000000474 heel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459 calcaneu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397426 Centroberyx line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83 fri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4656 Contu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92 Nylon 6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7 cold ro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0 fin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1 gener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55 hallux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8 hot ro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31 third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85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0—Metal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27—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from a material having special colour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2—Supports for the shank or arch of the uppers
- A43B23/227—Supports for the shank or arch of the uppers fixed on the outside of the sho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5—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for grinding, i.e. sliding on the sole or a par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3/00—Wear-resisting attach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운동 목표를 위해 지지면 및 보행면(102) 상의 돌출부를 가로질러 슬라이딩하기 위한 저 마찰면(50)이 구비된 밑창(100)을 갖는 운동 신발류(40) 제품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케이트보드, 일렬 스케이트 및 스노우보드의 사용자들에 의해, 이들 장치의 형태가 사용자들이 파이프, 레일, 모서리면 등과 같은 지지면 상의 돌출부를 가로질러 전방으로 혹은 측면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함을 알게 되었다. 스케이트보딩의 경우, 이같은 슬라이딩은 2개의 인접 휠 사이의 휠 장착 프레임의 하부면을 예를 들어 파이프 레일에 붙여서 측면으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흔히 "그라인딩"으로 알려져 있는 이와 같은 동작은 스케이트의 휠을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휠 프레임의 하부면을 접촉시킨다. 이들 재료는 콘크리트 연석과 같은 연마성 표면을 가로질러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저 마찰계수 요건을 만족시킨다. 다른 한편, 러닝 슈즈와 같은 단단한 표면 운동화는 일반적으로 걷기 또는 달리기에는 도움이 되면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 마찰 완충 밑창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이유로, 현재 그라인딩은 스케이트보드, 일렬 스케이트, 스노우보드를 갖고 있는 사람들만의 독자적인 영역이 되고 있다. 불행히도 스케이트보드, 일렬 스케이트 및 스노우보드를 이용하여 그라인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고도의 기술을 가져야 한다. 또한, 스케이트보드, 일렬 스케이트 및 스노우보드가 상당히 대형이기 때문에, 이것을 들고 다니기에 불편하고, 사무실, 버스 등과 같은 일상적인 환경에서는 흔히 사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재미있고 신나지만, 그라인딩은 현재 제한적인 환경에서만 착용할 수 있는 전문적인 장비를 갖춘 상태에서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출원은 1996년 7월 23일에 출원된 가출원 제60/022,318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면서 1997년 2월 10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제08/799,062호의 일부 계속 출원에 대응하는 출원이다.
본 발명은 신발류 제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류의 일반적인 기능을 가지면서, 예를 들어, 파이프, 레일, 모서리면 등 위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된 신발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판이 구비된 왼발용 신발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2는 도2에 도시된 신발류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신발류 장치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판, 밑창 및 앵커 판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보행 중에 밑창 전체가 지면과 접촉하는 도1에 도시된 신발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보행 중에 밑창의 전방부만 지면과 접촉하는 도1에 도시된 신발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6은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판의 전방 단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판의 전방 단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판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판과 베이스 판 조립체의 제3 실시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10은 분명한 도시를 위해 2배 확대 도시한, 도9에 도시된 슬라이드 판이 구비된 신발류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구비된 그라인딩 신발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구비된 그라인딩 신발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가 구비된 그라인딩 신발류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가 구비된 그라인딩 신발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15는 도14에 도시된 그라인딩 신발류 장치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가 구비된 그라인딩 신발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가 구비된 그라인딩 신발류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가 구비된 그라인딩 신발류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가 구비된 그라인딩 신발류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가 구비된 그라인딩 신발류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가 구비된 그라인딩 신발류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22는 도17에 도시된 그라인딩 신발류 장치의 배후면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가 구비된 그라인딩 신발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가 구비된 그라인딩 신발 장치용 밑창의 사시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가 구비된 그라인딩 신발 장치용 사시도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구비된 신발 밑창의 사시도이다.
도27은 도26에 도시된 신발 밑창의 종축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지지면을 가로질러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며 다른 신발류 제품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저 마찰 슬라이딩면을 갖는 부재를 구비한 운동용 신발류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부재는 밑창의 저부면, 밑창의 측벽, 상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신발류 제품에 착탈식으로 부착된다. 신발류 제품은 걷기, 달리기, 점핑, 등산, 자전거 타기 등의 운동을 포함한 여러 가지 조합된 용도에 적합하지만, 이것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형태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그 안에 저 마찰 슬라이드 판이 수납되는 하향 개방 공동이 형성된 밑창에 장착되는 갑피(upper)를 포함하는 신발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판에 밑창 공동 내에 수납되는 상부면과 레일 등에 붙어서 미끄럼 이동하는 저부면이 형성된다. 패스너 장치가 슬라이드 판을 밑창 공동 내에 고정 및 보유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특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가 걷기, 달리기 및 작업 중에서와 같은 통상적인 활동 중에도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그라인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판이 오목한 공동을 구비한 신발 밑창, 일반적으로 완충식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지지 레일 등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작은 하향면을 제공하도록 신발 밑창의 저부면 내에 부착되는 슬라이드 판을 포함한다. 이하에 충분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디자인 및 형태들도 사용자의 정상적인 걷기 또는 달리기 사이클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편안함이나 지지력의 손실이 없다. 개시된 각 첨부 도면은 사용자의 왼발에 착용되는 신발류 제품을 도시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실시예는 모두 사용자의 오른발에도 착용되도록 되어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운동화(40), 즉 달리기 및 점핑과 관련한 활동에 적합하도록 설계 및 제조된 신발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달리기, 크로스 트레이닝, 에어로빅, 농구, 테니스, 스케이트보딩용 신발과 다른 유사한 신발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도시된 신발(40)은 왼쪽 신발이며, 일반적으로 밑창의 저부면(102)의 아치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공동(120)이 형성된 밑창(100)에 장착되는 갑피(110)를 포함한다. 갑피(110)는 가죽, 캔버스천, 플라스틱 또는 사용자의 발을 에워싸는 데 필요한 강도와 가요성을 제공하는 당해 분야의 공지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발 둘레에 고정되기 위해, 갑피(110)에 끈, 벨크로(상표명) 후크 앤드 루프식 패스너 또는 다른 편리한 패스너가 구비될 수 있다. 갑피(110)는, 실로 갑피를 밑창에 바느질하거나, 접착제 또는 에폭시를 이용하여 접합시키거나, 2개의 부분을 함께 직접 사출, 융합, 용접, 성형하거나, 이들 방법의 조합을 포함한 가능한 모든 방법에 의해 밑창(100)의 상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벽의 일부로 형성되는 호형 슬라이드 판(50)은, 공동(120)과 대략 일치하는 형상의 볼록한 상부면(54)과 하방을 대면하는 대략 반원통형 홈(52) 형상의 오목한 저부면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동(120) 내에 고정된다. 밑창(100)은, 슬라이드 판의 홈(52)의 최고점과 하부의 수평한 지지면(이하 "봉(rise)") 사이에서 측정하였을 때 바람직하게는 9 ㎜의 깊이에 슬라이드 판(50)이 보유되는 치수의 공동(120)이 형성될 수 있기에 충분한 두께로 이루어져야 한다. 약 6 내지 15 ㎜ 범위의 봉이 형성되었을 때 비교적 알맞은 신발(40)의 수직 프로파일이 형성되면서 그라인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충분한 곡률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신발의 아치부를 충분히 지지하게 됨을 알게 되었다(도1). 봉이 대략 13 ㎜로 더욱 높은 것이 이상적이지만, 이와 같이 높은 봉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의 지지력은 보다 얇은 밑창(100)과 신발의 낮은 전체 프로파일에 대한 선호에 밀리게 되었다. 밑창의 종축을 따라 측정하였을 때 두께가 약 27 ㎜ 내지 35 ㎜인 밑창(100)에, 9 ㎜의 슬라이드 판(50) 봉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깊이의 공동이 형성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사용자의 보행 사이클 중에 지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밑창(100)의 저부면(102)에는, 그라인딩뿐만 아니라 신발(40)(도1)의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걷기, 달리기, 점핑 등의 운동에 의해 임의의 걸음걸이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밑창(100)의 컵(104)에는 2개의 전방에 측방향으로 이격된 관통 보어(100)와, 컵의 표면으로부터 공동의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중심 설치되는 하나의 후방 관통 보어(119)가 더 형성되어 있다. 밑창(100)은 바람직하게는 소정 밑창 형상을 지닌 몰드부의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고무에 압력을 인가하면서 유리 전이 온도로 가열된 고무로부터 압축 성형된다. 가죽, 플라스틱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신발류 밑창에 매우 바람직한 특성인 내마모성과 비교적 높은 마찰계수에 기인하여 고무가 선호된다. 더불어, 고무는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며 걷기 또는 달리기 시에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더한다. 고무는 여러 가지 복잡한 형상과 임의의 소정 두께로 손쉽게 성형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어떠한 슬라이드 판 형상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고무는 경도를 달리하여 성형될 수 있으며 임의의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실제로 다양한 시장의 미적 감각과 패션 감각에 호응하는 임의의 표면 패턴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신발 밑창을 제조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다른 재료들은 일부 또는 대부분의 바람직한 특성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본 발명에 이상적으로 적합하지 못하게 하는 한가지 또는 두 가지의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가죽은 훌륭한 내마모성과 가요성을 제공하지만, 소정 두께로 형성하기에 난해하며, 비교적 낮은 마찰계수를 갖고, 가죽 밑창 내에 복잡한 형상의 중공 공동을 형성하는 것은 수공업자에게 무리한 요구일 수 있으며 노동 집약적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은 거의 모든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고 비교적 높은 내마모성을 가지나, 플라스틱 밑창은 가요성과 탄력이 떨어지고, 또 일반적으로 고무 밑창만큼 편안하지 못하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판(50)은, 평면도에서, 충격을 견딜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상당한 마모를 견딜 수 있는 본체를 제공하도록 대략 8 ㎜의 벽 두께를 갖는 원통형의 일부로 형성되는 4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진, 대체로 사다리꼴의 모놀리식 본체로 구성된다. 측면은 종방향 전후 방향으로 또는 전후 방향에서 최대 약 5 °으로 전방 및 측면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체로 직선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중앙부 측면은 종래의 신발 밑창의 중앙부 발등의 절결부롤 대체로 보족하도록 종방향으로부터 약 15 °의 각도로 전방 및 중앙으로 경사진다. 저부 홈(52)은 이 홈의 높이에서 이격되는 약 12 ㎝의 곡률 반경을 가지며 대향 측면에서 상방으로 전개되는 매끄러운 표면의 대체로 반원통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 형상의 슬라이드 판의 전방 및 후방 단부는, 밑창(100)의 저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 저부 보행면(102)을 포함하는 수평면 상에 수직으로 이격된 수평면 내에 설치되는 하향 단부(49)로 이어진다. 슬라이드 판(50)은 소정의 저 마찰계수 슬라이딩 특성 및 콘크리트와 같은 연마성 지지면을 가로지르는 반복적인 슬라이딩을 견딜 수 있는 높은 내마모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된다. 슬라이드 판은 수직 지지면의 연장 길이 상으로 그리고 일반적인 층계 난간과 같은 하향 경사면의 전체 길이 상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견딜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마찰계수는, 안내부의 전방측 모멘텀과 협동하는 힘이 중력에 의해 생성되어 레일, 콘크리트 연석 등의 마찰 저항을 극복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낮아야 한다. 또한, 선택한 재료는 명세서에 기재된 치수로 사출 성형하였을 때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라인딩 동작 중에 제어할 수 있어야 하는데, 슬라이딩 중의 부적절한 만곡은 슬라이드 판의 하부면에 인가되는 반작용으로부터의 피드백을 수용하여 그 방향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능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공지된 재료로는 듀폰으로부터 입수 가능한 수퍼터프 801 나일론이 있다. 가능한 공지의 다른 재료로는 나일론 6과 같은 다른 종류의 나일론, 피텍스(PTEX)와 같은 플라스틱, 경화 고무, 유리, 세라믹, 금속, 폴리에틸렌 및 합성물이 포함된다. 대체로 강성 슬라이드 판이 선호되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특성을 적절히 조절하여 다양한 그라인딩 면 또는 그라인딩 동작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보다 가요성이 큰 슬라이드 판을 구비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판(50)의 상부면(54) 형상은 곡률 반경이 더 큰 저부면의 경상(mirror image)과 근사하며, 상방을 향하여 볼록하고 대체로 반원통형이다. 그러나, 상부면(54)은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신발 밑창의 저부 내의 해당 공동 내에 수납될 수 있는, 실용성 또는 심미성을 고려한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당히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와 같은 실용성 면에서 고려해야 할 점 중 하나는 슬라이드 판의 상부면이 신발 밑창 내에 형성된 공동 내에 보족적으로 수납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동의 형태는 복잡한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밑창 내의 공동은 지지력, 안정감, 편안함 및 강도와 같은 밑창의 수행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볼록한 슬라이드 판 상부면은 밑창 내에 특별히 깊은 공동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밑창을 매우 두껍게 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매우 얇은 아치부는 매우 한정된 지지력을 제공하고 쉽게 손상되어 신발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다면형이면서 경사진 슬라이드 판 상부면은 밑창이 최종 조립에 사용되기 전에 추가의 제조 또는 마무리 공정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판 상부면 디자인은 전체적으로 두꺼운 밑창을 신발에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제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밑창의 아치부와 협동하여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편안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판(50)의 상부면(54)은 대향 측면에서 포물선 형상으로 상방으로 만곡된 말안장 형상으로, 이와 같은 판 위에 중심 위치되는 발을 보유하도록 협동하며 신발이 그 측면 위에 중첩되었을 때 지지면과 미끄럼 이동 접촉하기 위한 외부 대면 만곡 슬라이드 러너(51과 53)를 각각 형성하는 각 중앙부와 측면부 돌출 호형 고성능 레일(56과 58)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일은 상기 판의 주요 상부면 상으로 약 5 ㎜ 상향 돌출한다. 슬라이드 판의 후방 단부에 밑창 컵(104) 내의 앵커 보어(62)와 정렬된 관통 보어(62)가 구비되도록 구성된 중심 설치된 후방 돌출 후방 앵커 탭(60)이 구비된 장착 플랜지(55)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판에 상기 밑창(100) 내에 전방 보어(118) 아래에 정렬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된 종방향 슬라이드 관통 슬롯(66과 70)이 형성된 한쌍의 측면 설치 전방 부유 탭(64와 68)이 구비된 전방 돌출 장착 플랜지(57)가 전방 단부에 더 형성된다. 슬라이드 슬롯(66과 70)은 그 저부면 상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확대형 리세스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후방 및 전방 플랜지(55와 57)는 두께가 약 3 ㎜이고 장착 탭(60, 64 및 68)은 두께가 대략 6 ㎜이다.
역시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또한 중창 아래에 위치되며 대체로 수평하고 단단한 플라스틱 푸트 프레임(82) 형상으로서, 제비 꼬리 형상으로 후방 돌출된 뒤축부(85)를 갖는 앵커 판(80)을 포함한다. 평면도로 도시된 푸트 프레임(82)은, 발의 장심 아래 전방에 설치되고 2개의 전방 보스(89)의 중간 외측으로 그리고 측면 외측으로 튀어나온 넓고 비교적 두꺼운 전방 제어부(81)를 구비한다. 그런 다음 그 단부는 전방 그리고 측면 내측으로 만곡되어 얇고 둥근 전방 단부(92)를 형성한다. 푸트 프레임의 중간 및 측면 단부는 전방 제어부(8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어느 정도 제비 꼬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뒤축 뼈의 측면에 설치되는 대략 V자형의 후측 개방 노치(93)를 그 사이에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외측으로 확대되고 후방으로 돌출된 미부(90과 91)가 구비된 아치부(83)와 뒤축부(85)를 형성한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대부분의 사용자 신발 제어는 일반적으로 중앙 아치부(83) 상에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어를 돕기 위해, 푸트 프레임의 주 강도는, 발이 과도하게 볼록하게 만곡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라인딩 동작 중에 사용자를 지지하는 중간 발 부분(83)에 형성된다. 또한, 푸트 프레임(83)의 중간 발 부분 주위에서 삼각형을 이루는 3개의 보스(89)는 비틀림에 반작용하도록 협동한다. 푸트 프레임(82)은 주 폭(82)이 7.5 ㎝인 제어부(81)로부터 전방으로 대략 3.5 ㎝ 돌출하여 신발의 전방부에서의 가요성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둥근 전방 단부(9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판은 상기 제어부(81)로부터 약 5.5 ㎝로 뒤축부(85)를 위해 후방으로 측면에서 테이퍼진다. V자형 개방 노치(93)는 푸트 프레임 자체의 본체 내로 약 5.5 ㎝의 종방향 폭으로 절결되고 뒤축 뼈와 푸트 프레임 사이의 접촉을 막는 작용을 한다. 제어부(81)는 2 ㎜의 두께로 형성되고 푸트 프레임의 두께는 2개의 전방 보스(89)로부터 전방으로 점차 약 1 ㎜의 최소 두께로 테이퍼진다. 제어부(81)에 부유 탭(64와 68) 내에 형성된 보어(66과 70) 상에 정렬되는 2개의 측면 이격된 볼트 소켓(86과 88)이 형성되고, 뒤축부(85)에 앵커 탭(60) 상에 설치되는 중앙 볼트 소켓(84)이 형성된다. 푸트 프레임에, 각 보어(84, 86 및 88) 아래에 정렬되는 각 삽입 성형 나사식 관형 브래스 또는 스테인레스강 삽입체(87)를 각기 수용하는 상향 개방 소켓이 형성된 하방 연장 원통형 보스(89)가 형성된다.
또다시 도3을 참조하면, 푸트 프레임(82)은 볼트 소켓(84, 86 및 88)이 밑창(100) 내에 형성된 해당 전방 관통 보어(118)와 후방 관통 보어(119)와, 슬라이드 판 전방 및 후방 장착 탭(64, 68 및 60) 내에 형성된 해당 관통 보어(62)와 슬라이드 슬롯(66 및 70)과 동축으로 그 상부에 바로 설치된다.
도1, 도3,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판 관통 보어(62)와 슬라이드 슬롯(66과 70)과 함께 앵커 판 소켓(84, 86 및 88)은 신발(40) 내에 형성된 관통 보어(118 및 119)와 협동하여 버튼 헤드 숄더 스크류(99)를 수용함으로써 슬라이드 판(50), 신발(40) 및 푸트 프레임(82)을, 푸트 프레임(82) 내에 고정된 나사식 브래스 삽입체(87) 속에 패스너를 나사 체결함으로써 단정하고 흔들리지 않게 서로 고정시킨다. 스크류는, 4 또는 5 ㎜의 축 직경과, 대략 12 ㎜의 헤드 직경을 가지며, 슬라이드 판 탭(60, 64, 68)과, 신발 밑창(100) 및 보어(89)의 전체 높이에 따라 좌우되는 길이를 갖는 나일록(Nylock; 등록 상표) 자동 잠금식 스크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99)의 축은 전방 돌출 탭 슬롯(66과 70)을 통해 수용되며 각 보스(89)의 하부 단부 사이에 위치되고 각 버튼의 환형 숄더는 패스너의 헤드(96)를 잠근다.
숄더 스크류(99)는, 스크류가 완전히 조여졌을 때, 각 탭(64와 68) 내의 각 상부 확대형 리세스의 상부 저부면으로부터 약 1 ㎜ 이격되어 각 버튼 헤드(96)의 숄더가 세워지게 하는 스페이서로 작용할 만큼 충분히 길다. 다양한 길이 및/또는 탄성 중합체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스크류가 다양한 슬라이드 판 재료와 두께를 수용하도록 사용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그라인딩 면의 조건에 맞추어 슬라이드 판의 수행 특성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 슬라이드 판(50)을 선택하여 신발 밑창(100) 내의 공동(120) 내에 삽입하는데, 스크류(99)를 슬라이드 슬롯(66과 70) 및 관통 보어(62)를 통해, 신발 밑창 내에 형성된 관통 보어(118 및 119)를 통해, 브래스, 스테인레스강 또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앵커 판 나사식 삽입체(87) 속으로 나사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스크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선회시키기 위한 스크류드라이버 또는 다른 공구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의 헤드(96)의 상부면에는 결합 슬롯 또는 소켓이 구비된다. 이와는 달리 혹은 또한, 보다 강력하고, 보다 확실한 접합을 위해 슬라이드 판의 교체 가능성을 없애고 영구적인 형태로 슬라이드 판을 밑창 공동의 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에폭시와 같은 고강도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 판(50)은 다양한 용도에 맞도록 다양한 스타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신속 교체 부재는 변화하는 조건 및 표면에 맞도록 슬라이드 판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판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 연석 및 스틸 난간과 같은 다양한 표면에 맞게 다른 내마모 정도와 슬라이딩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스틸 난간 상에서의 그라인딩을 위해서는 특정 슬라이드 판을, 그리고 콘크리트 표면 상에서 그라인딩할 때는 내마모력을 높인 다른 슬라이드 판을 선택할 수 있게 되며, 오른쪽 신발에 임의의 유형의 슬라이드 판을 그리고 왼쪽 신발에 다른 유형의 슬라이드 판을 설치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판(50)에는 다양한 하방 대면 부재가 형성될 수 있어서, 스틸 난간에 적합한 슬라이드 판은 측벽(56과 58)이 보다 높으면서 슬라이딩면(52)이 보다 좁은 특징을 갖는 한편, 콘크리트 연석에 적합한 슬라이드 판은 양측면의 측벽이 낮으면서 슬라이딩면이 보다 넓고 평평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슬라이드 판은 사용자의 패션 감각에 맞게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 슬라이드 판에 다양한 색상의 층을 형성하여 판의 마모 정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슬라이드 판 교체 시기를 결정하는 것을 돕게 할 수 있다.
사용 중에, 사용자가 그라인딩 운동에 참여하길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신발을 신고 일반적인 방식으로 걷거나 뛸 수 있다. 슬라이드 판은 밑창(100)의 저부면으로부터 충분히 상방으로 오목하기 때문에 지지면과의 접촉이 감소된다.
도4와 도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보도(101)나 운동장을 걷거나 뛸 때, 사용자의 신발과 푸트 프레임(82)의 밑창(100)은 매 발걸음을 취할 때마다 휘어져서 사용자의 발의 휨을 수용하고, 각 밑창의 저부면(102)은 이와 같은 운동을 수용하도록 반복적으로 신축하게 된다. 직립 인간의 정상적인 걸음걸이에 있어서 우선 신발의 뒤축을 접촉시킨 후 발의 볼(ball)을 전방으로 구른 다음, 뒤축을 들어올리기 때문에, 이에 수반되는 밑창의 휘어짐은 대부분 발의 전방 척골 지역에 집중된다.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 판(50)을 후방 돌출 장착 탭(60)을 통해 밑창의 뒤축부에 고정시키고, 뒤축을 발의 볼에 대하여 상승시킬 때 뒤축이 상방 및 후방으로 견인되어 대략 호형으로 만곡될 때 밑창이 구부러지면서 부유 탭이 긴 슬라이드 슬롯(66과 70)을 통해 스크류 상에서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 판의 전방부가 전방 스크류(99)에 대하여 부유하게 함으로써 이와 같은 휨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스크류의 숄더는 스크류 헤드(96)가 전방 장착 탭(64와 68) 내의 상부 확대형 리세스의 저부와 접촉하지 않게 함으로써, 슬라이드 판(50)의 마모와 찢김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류 헤드(96)는 슬라이드 판(50) 내의 상부 확대형 보어로서 그라인딩 면과 접촉하여 연마되지 않으므로, 슬라이드 판을 교체하면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판은 신발의 밑창이 대다수의 신발류의 전형적인 방식으로 지지면을 따라 기능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자신의 정상적인 걸음걸이를 바꾸게 하지 않으며, 걷기와 달리기의 기본적인 기능을 없애고 기능을 좁힌 스키 부츠와 같은 다른 전문화된 신발류 제품과는 다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걷기, 달리기 및 슬라이딩의 구별되는 기능에 동일하게 적절하며, 2개의 활동을 기능성이나 편안함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무리 없이 결합시킨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푸트 프레임(82)의 가요성을 발가락(92) 쪽으로 제어부(81)의 전방으로 점차 증가시키면 편안한 걷기 또는 달리기를 위해 슬라이드 판(50)의 전방으로 밑창(100)의 휨을 분포시키고, 밑창이 주로 판(50)의 전방 단부 바로 앞의 가로선을 따라서만 구부러지는 경향을 방지함으로써 밑창이 과도하게 휘어지는 경향을 피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작용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지역에 취약적인 금을 형성하여 파편이 유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푸트 프레임은 밑창의 후방으로 휨을 분포시킴으로써 정상적인 걷기와 달리기 걸음을 수용하면서도 슬라이드 판(50)의 후측에 취약적인 금이 형성되는 경향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플러그(452) 상부에 위치된 뒤축 뼈 아래의 V자형 개구(93)(도26)는 밑창(100)에 대한 뒤축 뼈의 직접적인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타박상 및 상해를 최소화한다.
상당한 힘으로 난간, 파이프 또는 유사한 긴 표면 위에 뛰어 오르는 과감한 그라인딩 동작 등과 관련한 고도의 운동 기술에 있어서 운동 선수의 착지력은 운동 선수 몸무게의 수 배, 즉 운동 선수 몸무게의 8배를 넘는 사실을 알 것이다. 운동 선수가 예를 들어 파이프 위에 뛰어 오를 때,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판(50)의 하향 개방 홈(52) 내에 수용되며, 대부분의 운동 선수는 초기 충격이 후방 장착 플랜지(55) 구역 중 판의 중앙 후방 단부 상에 수용되는 자세로 착지하길 원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판(50)은 이와 같은 충격을 견딜 수 있을만큼 충분히 구조적으로 견고하며, 또한 하부 파이프의 표면 상에서 측면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판으로부터 초래되는 마모를 견딜 수 있다. 또한, 운동 선수의 충격에 의한 힘이 신발 밑창과 발이 말안장 형상의 판 내에 측면 중심 위치에 보다 확고히 끼워지도록 상방으로 말린 측면 단부가 말안장 형상의 판(50)을 통해 아래로 힘을 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운동 선수가 파이프를 따라 글라이딩 동작을 수행하고 있을 때, 운동 선수는 곡예 동작을 제어 또는 실행하기 위해 발을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슬라이드 판(50)과의 확고한 결합을 유지하면서 비틀림 힘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발로부터 신발 밑창을 통해 슬라이드 판(50)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푸트 프레임은 수직력을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분배시키는 역할을 한다.
착용자가 몸을 구부린 자세를 필요로 하는 동작을 취하는 경우, 착용자는 깊숙히 무릎을 구부리고 중앙에 한쪽 무릎을 위치시켜 수평으로부터 75 ° 또는 80 °에 이르는 측면 경사 자세로 슬라이드 판(50)을 기울인다. 이러한 동작 중에, 호형 중앙 레일(56)은 사용자의 발에 위치되는 하중 전체를 받고, 외향 러너(53)는 하부 파이프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다시 판이 파이프의 상부 중심에 위치되도록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8), 슬라이드 판(250)은 하방을 대면하고 오목하며 대체로 반원통형인 홈(252)과 각 상부 말단부에서 호형 보유 레일(257과 259)로 이어지는측면에 설치된 호형 측벽(256과 258)을 구비하는 4개의 측면, 일반적으로 사다리꼴 모놀리식 본체(254)로 형성된다. 상기 판의 전방 말단부에, 각기 긴 슬롯(266과 270)을 포함하는 한쌍의 측면 이격된 전방 평면 탭(264와 268)이 구비된 곡선 장착 플랜지가 형성된다. 판의 후측 말단부에는 관통 보어(262)가 포함된 중앙 후방 돌출 앵커 탭(260)이 마련된 곡선 장착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의 본체에는, 각 상단부가 호형 레일(256과 258)의 상단부와 평면을 이루는 측면 돌출 내측 리브(272)와 외측 리브(274)를 형성하는 직사각형 리브 망이 형성된다. 종방향 리브(276)는 각 측면 내측 리브(272)로부터 각 측면 외측 리브(274)를 통해 연장된다. 내측 리브(272)와 측면 레일(256 및 258)의 사이에는 사용자가 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직사각형 상부 개방형 보관 격실(278)이 형성된다.
도9와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 장치(130)는 신발류 제품의 밑창 내에 형성된 상보적 형상의 공동 내에 장착되는 베이스 판(14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판(140)은, 각 커플링 핀(146)이 수용될 수 있도록 측면에 정렬되고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한쌍의 원통형 장착 배럴(142와 143)이 구비된 오목한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대체로 직사각형인 판(141)으로 구성된다. 배럴(143)에 핀(146) 끝의 각 나사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부가 구비된다. 핀에는 보유 헤드(148)가 각각 형성된다.
베이스 판(140)은,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및 합성물을 포함하여 바람직한 강도와 경량 특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재료로 성형될 수 있다. 구성 재료에 따라, 베이스 판의 평면 연장부를 소정의 원통형으로 고온 또는 저온 압연시키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베이스 판(140)의 단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원통형 배럴(14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베이스 판(140)은 선택된 구성 재료의 강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의 두께로 만드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9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판(130)은, 베이스 판(140)의 하부면과 대체로 상보적인 형상으로 된 상부면을 갖는 볼록한 반원통형 판(132)으로, 평면도에서는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판(140)의 장착 단부에 해당하는 슬라이드 판(130)의 2개의 대향 단부에, 그 사이로 미끄럼 이동 수용되도록 인접한 베이스 판 원통형 배럴(142와 14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 배럴(134)에 의해 형성되며 중앙에 설치되고, 상방으로 말린,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장착 탭이 각각 설치된다.
슬라이드 판(130)의 하향면에는 지지면에 붙어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하향 오목 반원통형 하부면이 마련되도록 마찰이 크고 내마모성이 큰 층(136)이 설치된다. 그라인딩 동작 중에 발생되는 전단력을 견딜 수 있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로 저 마찰 층은 화학적 접합 등에 의해 슬라이드 판에 부착된다. 저 마찰 층의 하부면에 매끄럽고, 연속적인 형태, 혹은 이와는 다르게 총 슬라이딩 면적을 줄여서 전체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리브 또는 다른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전체 슬라이드 판(130)은 베이스 판(140)에 직접 부착될 수 있기에 충분한 강도와 기계적 세기를 나타내는 저 마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작동 중에 베이스 판(140)은 신발의 밑창 내에 형성된 상보적 형상의 공동 내에 고정된다. 베이스 판(140)은 화학적 접합 또는 기계적 패스너를 포함하는 임의의 실용 가능한 수단에 의해 밑창(149)에 직접 고정되거나,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도3에 도시된 앵커 판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판(140)을 밑창(149)에 장착하기 위해 4개의 스크류(131)를 사용한다. 베이스 판(140)에, 슬라이드 판이 베이스 판에 부착되었을 때 슬라이드 판(130)과 지지면과의 접촉이 감소되기에 충분한 깊이로 밑창 공동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정상적인 걸음걸이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이다.
그후 사용자는 소정의 저 마찰 층(136)이 구비된 슬라이드 판(130)을 선택하여, 슬라이드 판 장착 배럴(134)이 한쌍의 해당 베이스 판 장착 배럴(142와 143) 사이에 설치되도록 슬라이드 판을 베이스 판(140)에 인접하여 장착한 후, 나사식 패스너(146)에 의해 슬라이드 판을 베이스 판에 고정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저 마찰 층은 다양한, 재료, 색상, 크기 및 하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형상에 의하면 사용자는 어느 때라도 원하면 슬라이드 판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패스너는 자동 잠금식 스크류가 바람직하며, 이로써 신발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이 스크류를 헐겁게 하여 결국에는 장착 탭(134와 142)으로부터 방출시키는 일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판(130)이 신발에 확고하게 장착됨으로써, 착용자는 자신의 걸음걸이로 길, 거리, 또는 경로를 걷거나 뛸 수 있으며, 커브, 레일 등을 만났을 때는 여러 가지 그라인딩 동작 중 하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형상에서는 모든 그라인딩 부재가 신발 내부의 외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추가의 완충 재료가 신발 안창 위에 위치되어 그라인딩 동작 중에 사용자의 편안함과 안전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판이 비교적 소형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슬라이드 판을 가방 또는 심지어 코트나 바지 주머니에 간편하게 지니고 다니면서 그라인딩 조건에 따라 이들을 교체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라인딩의 선택 기회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판에 리브(457)가 구비된 하향 홈(452)이 형성되어 지지면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줄이고 이로써 마찰 저항 수준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는 다르게,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홈(552)에, 슬라이드 판(5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리브를 형성하는 상보적 형상의 긴 슬라이딩 부재(555)를 수납 및 고정시키는 홈(555)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표면적을 줄이고 전체 마찰 저항을 저하시킨다. 홈(559)의 단면은 슬라이딩 부재(555) 내에 형성된 해당 네크부를 잡아서 슬라이딩 부재가 빠져 나오지 않도록 양 측면에서 2개의 리지가 협동하는 협소한 개구를 포함하는 대체로 오메가(Ω)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긴 슬라이딩 부재(555)는 마모되었을 때 홈(559)으로부터 당겨냄으로써 간단히 쉽게 교체될 수 있으므로, 착탈식 슬라이드 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긴 슬라이딩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슬라이드 판과 함께 형성하도록 협동하는 신발의 밑창 내에 직접 형성되는 상보적 형상의 홈에 수납될 수 있다. 지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중에 이와 같은 다른 디자인의 긴 슬라이딩 부재를 고정된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슬라이딩면이 슬라이딩 부재를 분리시켜서 하부 밑창과 접촉하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납 홈이 형성되는 밑창 재료는 슬라이딩 동작 중에 가해지는 전단력을 견딜 수 있을만큼 충분한 강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어느 형상에 있어서나, 리브는 약 3 ㎜로 이격되어야 한다. 홈이 형성된 슬라이드 판을 이용하는 추가적인 장점은 이와 같은 슬라이딩 부재가 설치된 신발류는 슬라이딩 부재가 너무 많이 마모되었을 때는 완전히 그라인딩 장치로서 기능하지 않게 된다는 것인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면은 신발의 마찰이 큰 밑창과 직접 접촉하게 되어 그에 의해서는 전혀 슬라이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긴 슬라이딩 부재가 설치된 신발류는 슬라이딩 부재를 교체할 필요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내장된 경고 기구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이 구비된 신발류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13에 도시된 바, 신발의 밑창(189)에 밑창의 호형 구역을 가로질러 측면으로 연장되는 공동(190)이 형성되며 각각에 협소한 스템 수납 채널(186과 187)이 구비된, 타원형으로 중앙에 설치되는 전방 및 후방 중앙 탭 포켓(180과 18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 판(191)은 밑창 공동(190)의 형상과 일치하는 상부 볼록면을 갖는 본체로 형성되며, 각 스템(186과 187)에 의해 슬라이드 판의 전방 및 후방 단부로부터 이어진 중앙에 설치되는 종방향으로 돌출된 장착 탭(182와 183)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탭은 상부 확대형 패스너 보어(184)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판(191)은 공동(190) 내에 장착되며, 장착 탭(182와 183)과 해당 스템(186과 187)은 상보적 형상의 전방 및 후방 탭 포켓(180과 181)과 해당 채널(186과 187) 내에 수납된다. 보어(184) 내에 패스너(188)가 수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판(191)을 밑창(189) 또는 그 상부의 앵커 판에 연결시킴으로써 공동(190) 내에 고정시킨다.
슬라이드 판(191)의 장착 탭(182와 183)은 스템(186과 187)보다 단면이 크므로, 장착 탭이 밑창(189) 내의 해당 공동 내에 설치되는 경우, 슬라이드 판(191)은 안정된 형태로 제자리에 고정되어 진동이나 충격에 흔들리지 않는다. 안정성이 더해졌음에도 불구하고,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 판(130)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슬라이드 판 형상을 특징짓는 제거 및 교체의 용이성은 여전히 보유한다. 슬라이드 판(191)은 각 단부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장착 탭(182 또는 183)을 구비하거나, 이와는 달리 하나의 단부에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착 탭이 부착될 수도 있다. 장착 탭(182와 183)을 슬라이드 판(150)에 부착시키는 스템(186과 187)은 보행 또는 달리기 중의 걸음걸이에 의해 밑창 저부면(185)에 발생되는 반복되는 신장에 맞추어 팽창 수축하는 가요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14와 도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신발 밑창(160)의 저부에 형성되는 상보적 형상의 공동(168) 내에 수납되며 평면도에서 대체로 직사각형인 오목한 슬라이드 판(165)이 사용된다. 상기 공동은 호형으로 오목하며, 신발의 압축 가능한 밑창 아래에서 측면으로 돌출하고, 전방 및 후방 말단부는 각기 압축 가능한 수직 단부벽(163과 164)으로 이어진다. 슬라이드 판(165)의 전방 및 후방 단부(161과 162)는 모떼기되어 공동(168) 내에 보족적으로 수납되도록 각각 상방 및 전방과 상방 및 후방으로 경사져서 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는 벽(163과 164)이 판의 단부(161과 162)를 각각 파지하여 판을 제위치에 확고히 보유한다. 이리하여 슬라이드 판은 슬라이드 판과 공동의 각 전후방 단부 사이에 억지 끼움됨으로써 공동 내에 보유된다. 공동(168)은 판이 그 안에 수납될 수 있을 정도로 밑창(160) 내에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판과 공동 사이의 상대 길이는 신발에 인가되는 정상적인 휨이 발가락 또는 뒤축이 상향 만곡되게 하도록 판이 그 안에 파지되어 보유되도록 정해지고, 공동의 길이는 벽(163과 164)을 정렬시켜 각 단부(161과 162)를 방출시킬 만큼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지 않는다. 슬라이드 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간단히 발가락 부분과 뒤축을 잡고 벽(163과 164)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의 단부가 판의 단부(161과 162)로부터 해제될 때까지 상방으로 밑창을 극도로 볼록한 형태로 만곡시킨다.
그라인딩용 신발의 상기 실시예는 단일 부재로 사용자가 지지면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며, 어떠한 기계적인 또는 접착성 패스너도 사용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신발은 경량이며 편안하고, 사용자는 어떠한 종류의 공구도 지니고 다닐 필요가 없이도 원하는 경우 어느 때라도 슬라이드 판을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가 갖는 복잡하지 않은 특징은 제조 상의 장점으로 이어지는데, 그 이유는 슬라이드 판과 밑창의 단순한 디자인은, 사출 성형, 스탬핑 및 기계 가공을 포함한 다양한 제조 공정을 통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신발에 형성되는 혹은 적합한 슬라이딩면 또는 슬라이딩 부재에 관해서만 설명되었으나,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장치가 모든 유형의 신발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딩면과 슬라이딩 부재는 샌달, 부츠, 신발, 슬리퍼, 양말, 스케이트 등의 인간의 발에 부착되는 임의의 착용 장치 또는 제품에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 마찰계수 면을 가지며 신발류 제품 또는 사용자의 맨발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장치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도16에 도시된 그라인딩 샌달은 마찰계수가 작은 슬라이드 판(202)을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는 중앙 곡선 하향 개방 리세스가 형성된 완충 밑창(200)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판은 본 명세서의 앞부분에서 설명한 형태를 포함한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임의의 방법을 통해 밑창에 고정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식 패스너(99)를 삽입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밑창(200)은 밑창이 끼워진 신발류 제품의 형상을 따르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걷거나 달릴 때의 걸음걸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와는 달리 그라인딩 동작 중에 보다 증진된 지지력을 제공하는 단단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샌달은, 외주연 자유 단부가 중첩되는 관계로 밑창의 상측 좌단부 및 우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2개의 측면 설치된 발등 플랩(210과 212)을 포함한다. 외주연 자유 단부에, 이 2개의 플랩을 상호 확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협동하는 상보적인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 끈 또는 지퍼와 같은 패스너(211과 213)가 설치된다. 플랩은 발가락 구역을 개방된 채로 남겨 두거나 밑창의 발 앞부분 둘레를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무지 시트 재료로 구성되거나 공기 순환 및 심미성을 위해 형성되는 임의의 소정 형상 및 크기의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플랩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는 그라인딩 동작 중에 가해지는 격렬함을 견딜 수 있기에 충분한 인장 강도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플라스틱, 천, 가죽 및 고무를 포함한다. 반원통형 뒤축 컵(204)은 뒤축의 외주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상승하고, 그 자유 말단부에 설치되는 상보적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와 같은 장착 패스너가 구비된 2개의 얇은 스트랩(206과 208)이 그 대향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전방 플랩(210 또는 212) 중 하나에는 단부가 개방된 원통형 길이를 갖는 관형 부재(216)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축은 플랩의 후방 단부와 평행하고, 얇은 스트랩 중 하나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사용 시, 본 실시예에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신발류 제품의 바닥 아래 또는 사용자의 맨발 아래에 설치되는 밑창(200)이 위치되고, 그런 다음 2개의 플랩(210과 212)은 사용자의 발 앞부분에서 여유 있게 상호 고정된다. 얇은 스트랩(206 또는 208)은 발목 구역에 인접한 사용자의 발 둘레를 감싸며, 하나의 스트랩이 플랩 중 하나의 후방 단부에 접착된 관형 부재(216)의 길이부를 통해 끼워져서, 2개의 스트랩은 상호 사용자의 발 둘레에 확고히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장치는 전방부에서나 뒤축부에서나 사용자의 신발류 제품 또는 맨발 주위에 확고하게 고정되고, 2개의 구역은 얇은 스트랩을 관형 부재의 길이부를 통해 플랩을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서로에 대하여 인장되어 보유되고, 이로써 그라인딩 동작 중에 사용자가 경험하는 지지력이나 안정감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는, 쉽게 작은 공간 내에 보관하여 지닐 수 있도록 간편한 크기이면서 최소의 노력과 시간을 소모하여 신속하게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게 준비될 수 있는 신발을 마련함으로써, 사무실 복장 규칙이나 안전 요건에 기인하여 슬라이딩면이 설치되지 않은 신발류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조차도 그라인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특정 신발류 제품의 밑창을 측면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오목한 슬라이딩면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그라인딩 요건에 의해 부과되는 것외에는 슬라이딩면의 형태에 제한이 없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딩면의 형상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밑창을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과 길이 방향 모두로 가로지를 수 있다. 도17에 도시된 신발에, 밑창(239)의 아치부를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슬라이딩면(230)과 중간 발가락 구역으로부터 중간 뒤축 구역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밑창의 호형 지역에서 폭 방향 슬라이딩면(230)과 교차하는 슬라이딩면(232)을 포함하는 오목한 슬라이드 판(231)이 설치된다. 노출된 밑창 저부면의 나머지 부분에 일반적인 걸음걸이 중에 지면과 붙는 마찰이 큰 동일 평면의 표면(233)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판(231)은, 슬라이드 판에 형성된 상부 확대형 보어(229)를 관통하여 밑창 내에 고정된 삽입체와 나사 체결되는 나사식 패스너(228)에 의해 신발의 밑창(239)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신발은 사용자가 측면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돌출부를 따라 슬라이딩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와는 다르게, 사용자는 한 발은 비스듬한 자세로 붙이고 다른 발은 전방을 향한 자세로 붙여서, 슬라이딩 동작을 방해받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다른 자세로 바꿀 수 있는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한다.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신발은 후방을 향해서도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다.
도18을 참조하면, 이상 설명한 십자형 슬라이드 판의 변형예는 길이 방향 슬라이드면(234)이 밑창(239')을 가로질러 대각선으로 형성되고 엄지발가락 구역으로부터 외측 뒤축 구역까지 연장되며 밑창의 아치부에서 폭 방향 슬라이딩면(230')과 교차하는 슬라이드 판(236)을 포함한다. 이와는 다르게, 길이 방향 슬라이딩면은 외측 발가락 구역으로부터 내측 뒤축 구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들 변형예는 전술한 자세 전환 시에 사용자가 경험하는 발목 비틀림 정도가 상이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생리학적 필요뿐 아니라 소정 용도에 가장 적절한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십자형 슬라이드 판의 다른 실시예가 도19에 도시된 바, 슬라이드 판(237)에는 발의 장심이 아닌 볼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폭 방향 슬라이드면(23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사용자가 보도 그라인딩 동작 중에 자신의 발의 볼에 의해 자신의 체중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발의 장심에 받는 응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점은 인구의 대다수가 장심이 변형되거나 다른 발 질환을 앓고 있는 것을 고려한 점에서 중요하다.
도20은 발을 지지하고 지속적인 보행 또는 달리기 걸음걸이 중에 지면에 붙게 하는 데 필요한 마찰이 큰 표면(233')은 최소화하면서 신발 밑창의 슬라이딩 지역을 최대화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돌출된 마찰이 큰 지면 결합 지역(233')은 발의 뒤축, 볼 및 발가락 구역에 마련되고 신발 저부면의 나머지 부분은 오목한 저 마찰 슬라이드 판(250)으로 덮여 있다. 이러한 형태는 사용자가 지지면을 가로질러 슬라이딩하면서 자신의 발을 여러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면을 가로질러 슬라이딩하면서 지지면을 가로질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능력은 사용자에게 현저히 증진된 유연성을 부여하여, 어떠한 자세에서든지 불균일한 슬라이딩면의 각 부분에 가장 적절하게 신속히 전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과 흥겨움을 더한다.
본 발명이 신발류 제품의 밑창의 저부면 상에 슬라이딩면을 제공하는 데에만 국한되지 않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저 마찰 슬라이딩면은 도21과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의 측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도면에서 밑창(239")의 저부에 오목한 슬라이드 판(236')이 구비된 신발 장치는 밑창의 측벽을 따라 부착되는 저 마찰 슬라이드 부재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는 밑창의 발가락 구역의 외주연 둘레에 부착되는 측면 슬라이드 부재(244)와, 밑창의 뒤축 구역의 외주연 둘레에 부착되는 측면 슬라이드 부재(242)를 포함한다. 이와는 다르게, 발가락과 뒤축 측면 슬라이드 부재(244와 242)는 전체 신발 밑창(239")의 측벽에 겹쳐지는 단일 연속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슬라이딩 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저부 슬라이딩 부재의 교체 가능성을 가져야 하며, 신발 밑창(239")의 측벽에 확고하게 그러나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고정 방법은, 측면 슬라이딩 부재(242와 244)에 형성된 관통 보어를 통과하여 밑창의 측벽 내에 장착된 삽입체의 내측 나사부와 나사 체결하는 나사식 패스너(240)를 사용하는 것이다. 측면 슬라이딩 부재 내의 보어는 패스너의 헤드를 수용하고 패스너의 헤드가 지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확대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스너의 헤드에, 헥스 렌치 또는 스크류드라이버 등의 공구와 패스너와 회전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공동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조업자의 상표명 또는 로고가 형성될 수도 있다. 패스너 헤드의 외관이 사용자에게 맞지 않는 경우에는, 리세스에 끼워서 헤드를 덮는 불투명한 플러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마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 또한 지지면으로부터 오목해야 하며, 그 노출 측면 상에 상표명 또는 로고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일록과 같은 자동 잠금식 스크류가 본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다른 고정 방법은 신발 밑창(239")의 측벽 내에 형성된 상보적 형상의 수납 챔버와 잠금식으로 결합하는 측면 슬라이딩 부재(242와 244)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후크 탭을 사용한다. 이 탭은 측면 설치 중에 슬라이딩 부재가 밑창의 측벽에 대하여 가압되었을 때 구부러질 수 있을만큼 충분한 가요성을 갖지만, 또한 슬라이딩의 예상 수명 동안에 인가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기계적 강성을 지녀야 한다. 슬라이딩 부재를 제거해야 할 경우, 스크류드라이버 또는 그와 유사한 물체를 슬라이딩 부재 내부면과 밑창의 측벽 사이에 삽입하여 수납 챔버로부터 후크 탭을 떼어낸다.
전술한 그라인딩 신발의 형태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발의 저부 및 측면 슬라이딩면 모두를 V자형 홈 등의 다면 지지면에 붙여서 이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발가락 또는 뒤축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그라인딩 동작을 개발할 수 있는 보다 많은 창의적인 자유를 허용한다. 또한, 측면 슬라이딩면은 사용자가 보도 등의 평평한 지지면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여, 지지면에 돌출부가 반드시 구비될 필요가 없게 하여 실질적으로 충분한 굳기와 강도를 지닌 임의의 표면까지로 그라인딩 가능성 범위를 크게 확장시킨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는 착탈 가능한 슬라이드 판을 포함하지만, 각 패스너를 해제하여 슬라이드 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스크류드라이버, 칼 또는 동전 같은 기본적인 공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판을 제거 및 교체하는 데 아무런 공구도 전혀 필요로 하지 않고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는 고정 시스템을 사용하는 슬라이드 판 형상에 대한 필요를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고정 시스템이 도23에 도시된 바, 신발은 아치부 내에서 하방 대면하며 그 안에 슬라이드 판(350)이 수용되는 공동이 형성되는 밑창(351)에 부착되는 갑피(376)를 갖는다. 슬라이드 판은 하향 오목 원통형 저 마찰 홈(352)을 가지며, 측면에 설치되는 상방으로 말린 플랜지(356)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는 수평한 슬롯(361)이 관통해 있는, 중심에 설치되는 상향 탭(360)을 포함한다.
끈(370)으로 된 루프가 각 슬롯(361)을 통과하여 각 탭(360) 상에 인장되어 보유된 삼각형 부재(375)를 통과한다.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373)가 설치된 스트랩(374)도 각 삼각형 부재(375)를 통과하여 끈을 신발의 양 측면에 결합시킨다. 후크 앤드 루프가 설치된 한쪽 뒤축 스트랩(372)은 양 삼각형 부재를 통과하여 신발의 후방을 둘레를 거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삼각형 부재(375)는 각기 부재의 일 측면과 결합되는 3개의 스트랩(370, 372 및 374)을 수용한다.
사용할 때, 사용자는 끈 루프(370)와 삼각형 부재(375)가 영구적으로, 혹은 이와는 달리 착탈식으로 이에 부착된 소정 특성의 슬라이드 판(350)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슬라이드 판(350)을 밑창(351)의 공동 내에 위치시키고, 스트랩(374)을 각 삼각형 부재(375)와 신발 끈을 통해 묶고, 각 부재를 통해 신발의 후방 둘레에 뒤축 스트랩(372)을 묶은 다음, 3개의 스트랩의 장력을 조정하여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를 결합하여 슬라이드 판을 밑창 공동 내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형상은 슬라이드 판(350)의 신속한 제거와, 거의 마찬가지로 신속한 설치를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가 그라인딩용 신발류를 착용할 수 없거나 착용하지 못하는 환경에 있을 때 대단히 유용하다. 또한, 슬라이드 판을 제거하기 위해 임의의 공구에 대한 필요가 없어지며,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판 이용의 간편함을 더욱 크게 한다.
여러 가지 이용 가능한 신속 해제 기구 중 한가지인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속 해제식 슬라이드 판이 구비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밑창(399)의 컵(379)은, 밑창의 상단부 상으로 상승하고 신발의 갑피 외측 측면에 설치되는 상방으로 말린 플랜지가 형성된 상부 장착 앵커 판(392)을 수용한다. 마운트(390)는 각 플랜지(393)의 상단부 상에 형성되고 내측 깔쭉부가 있는 직립 슬롯을 형성하는 브리지(39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 판(380)에 측면 설치되는 상방으로 말린 플랜지(386)로부터 상향 연장된 탭(396)이 형성된다. 각 탭(396)에 개구 내에 보유되어 개구의 일단부에서 탭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직사각형 개구와 돌기(397)가 형성된다. 돌기(397)에 마운트(390)의 내측 깔쭉부와 결합할 수 있는 크기의 외부를 향한 톱니(398)가 구비된다.
사용할 때, 사용자는 슬라이드 판(380)의 탭(396)을 슬라이드 판이 신발 밑창(399)의 공동 내에 완전히 수납될 때까지 해당 마운트(390)를 통해 삽입한다. 돌기 톱니(398)가 통과할 때 마운트(390)의 내측 깔쭉부에 의해 클릭 소리가 나면, 사용자는 슬라이드 판(380)이 적절히 삽입되어 신발에 고정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신발에 마운트(390)를 고정시키기 위해 앵커 판(392)을 사용하는 것은 마운트를 신발의 갑피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신발 갑피에 부당하게 응력이 가해지거나 조기에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유용하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 판은 신발에 매우 쉽게 부착될 수 있으며, 일단 각 탭(396)의 상단부가 해당 마운트(390) 속에 삽입되면, 사용자는 간단히 신발을 신고 신발이 슬라이드 판 상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하면 된다. 최대로 삽입되면, 돌기(397)는 돌기 톱니(398)와 결합하여 이를 고정시키는 내측 깔쭉부에 의해 마운트(390) 내에 고정된다. 슬라이드 판(380)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한 손의 손가락으로 각 돌기(397)의 자유단을 가압한 후에 슬라이드 판을 당겨서 밑창(399)으로부터 아래로 당겨 내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형상은 사용자로 하여금 한 손으로 각 슬라이드 판을 신속한 동작으로 삽입 및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본 형상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이점으로는 마운트 앵커 판(392)의 상방으로 말린 플랜지(393)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적인 측면 지지 형상에 있는데, 이는 밑창(399)의 상부를 지나 연장됨으로써 사용자의 발이 그 사이에 수용 및 지지될 수 있는 말안장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가 신발류의 측면 및 저부면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판에만 국한되지 않고, 신발의 갑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다른 실시예는 그 안에 슬라이드 판(400)을 수용하는 공동이 형성된 밑창(401)에 부착된 갑피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판에 하향, 대략 원통 형상의, 오목한, 저 마찰 홈(402)과, 측면에 설치되는, 상방으로 말린 플랜지(403)가 형성된다. 각 플랜지(403)에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405)가 설치된 스트랩(404)이 부착된다. 갑피의 발등 형상과 대략 유사한 형상을 갖는 발등 슬라이드 판(410)은 신발의 발등 상에 위치된다. 발등 슬라이드 판(410)에 저 마찰, 평평한 표면의 돌출부(412)가 가요성 기판(411)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끈 루프(406)가 발등 슬라이드 판(410)의 각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D자형 링(408)을 통과한다.
사용할 때 사용자는 슬라이드 판(400)과 발등 슬라이드 판(410)을 선택한 후, 슬라이드 판은 밑창 공동 내에 위치시키고 발등 슬라이드 판은 신발의 발등 지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이들을 자신의 신발에 장착하고, 그런 다음 슬라이드 스트랩(404)을 D자형 링(408)을 통해 묶고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410)를 조여서 2개의 슬라이드 판을 신발에 확고하게 고정시킨다. 사용자의 매 걸음마다 판의 가요성 기판(411)이 오목한 형상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발등 슬라이드 판(410)을 덧붙인다고 해도 사용자의 정상적인 걸음걸이를 방해하지 않는다. 그라인딩 동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모든 그라인딩 동작뿐만 아니라, 신발의 갑피에 슬라이딩 표면을 부착시킴으로써 가능한 새로운 동작까지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뒤쪽 무릎을 파이프 레일의 높이로 또는 그 아래로 구부림으로써 앞쪽 신발의 슬라이드 판(400)과 뒤쪽 신발의 발등 슬라이드 판(410)을 파이프 레일에 붙일 수 있게 된다. 발등 슬라이드 판(410)이 앞서고 슬라이드 판(400)이 그 뒤에 있는 경우에는 자세가 역전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2개의 레일 사이에서 비스듬한 자세를 취하면서 한쪽 신발의 슬라이드 판(400)을 한쪽 레일에 붙이고 다른 쪽 신발의 발등 슬라이드 판(410)을 다른 쪽 레일에 붙임으로써 동시에 2개의 레일을 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 발등 슬라이드 판의 구비는 사용자의 운동 흥미 정도를 높이며 가능한 동작 범위를 넓힌다.
도26과 도27에 도시된 신발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그라인딩 신발의 또다른 실시예는 후방 말단부에 상향 개방된 대략 반원통 형상의 뒤축 포켓(451)이 구비되고 전방 말단부에는 상향 개방된 전방부 포켓(453)이 구비된 신발 밑창(449)을 포함한다. 각 포켓(451과 453) 내에 충격의 효과적인 흡수를 위해 폐형 포옴 구조물로 이루어진, 각기 상보적인 형상의 충격 흡수 삽입 패드(452와 450)가 수용된다. 밑창(499)에 중앙에 그리드(459)가 형성되어 있어서 아치부를 경량으로 구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사용 중에 슬라이드 판은 상부가 밑창에 부착된 상태로 밑창(449)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사용자는 그라인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이 신발류 제품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슬라이딩 부재를 제공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저 마찰면이 구비된 신발류 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출 성형 공정 중에 밑창과 일체로 슬라이딩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밑창의 특정 지역에 저 마찰 재료를 소결시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영구적이고, 제거될 수 없는 슬라이딩면을 사용하는 것은 예상되는 신발류 제품의 수명 동안에 연마성 표면을 가로지르는 반복적인 슬라이딩을 견딜 수 있기에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재료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느냐에 크게 좌우된다. 이와 같은 재료는 가공이 난해하고 고가인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본 명세서에 게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착탈식 슬라이드 부재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장치는 걷기 또는 달리기와 같은 통상적인 목적에 적합한 신발을 착용한 사람이 지지면 상의 돌출부에 붙여서 소정 형상으로 신발에 형성된 저 마찰면으로 상기 돌출부를 가로질러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라인딩으로 알려진 곡예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저 마찰 슬라이딩면은 신발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슬라이딩 부재에 부착되며, 모든 유형 및 스타일의 운동, 작업 또는 리크리에션 신발류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별히 중요한 특징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면이 신발류의 통상적인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며 이와 같은 슬라이딩면이 설치된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가 자신의 정상적인 걷기 또는 달리기 걸음걸이를 조정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장치는 전문적인 장비로부터 통상의 신발류에 이르기까지에 적합하며, 이로써 이와 같은 신발류의 유용성을 넓히고 이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재미를 더욱 즐길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자인 및 제조에 있어서의 심미적 및 실용적 선택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장과 소비자에게 호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도시 및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모든 개조와 그 균등물도 본 발명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75)
- 파이프 레일, 연석 단부 등을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한 신발류 장치에 있어서,소정 두께를 갖는 밑창 상에 장착되는 갑피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두께 미만의 깊이를 갖는 하향 개방 공동이 형성된 신발과,상기 레일에 붙여서 슬라이딩하기 위한 소정 마찰계수의 하향 개방 홈이 저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동 내에 수납되는 슬라이드 판과,상기 슬라이드 판을 상기 공동 내에서 신발에 체결하는 패스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전방부와 뒤축부를 가지며,상기 갑피는 밑창의 뒤축부 상에 장착되는 대략 U자 형상의 뒤축부와, 밑창 전방부에 장착되는 측면 대향 플랩을 포함하고 내부에 신발류 제품을 수용 및 고정시키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고,상기 슬라이드 판의 상부면은 상기 소정 형상에 상보적으로 맞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패스너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 판을 밑창에 연결시키는 앵커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에 가로 정점 주위로 대칭인 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로 정점으로부터 양 전방 및 후방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하향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운동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내의 밑창에 장착되는 베이스 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 장치가 상기 슬라이드 판을 베이스 판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장치는 슬라이드 판의 한쪽 단부를 밑창에 고정시키는 패스너 부재와, 슬라이드 판과 밑창 사이의 상대 운동을 위해 슬라이드 판의 다른 쪽 단부를 밑창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최하부 지역을 갖는 보행면이 저부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공동은 상기 최하부 지역 위로 소정 높이까지 상기 밑창 내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고,슬라이드 판은 전체 높이가 상기 소정 높이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충격 흡수 패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방부 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충격 흡수 패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뒤축 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충격 흡수 패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방부 포켓과 뒤축 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충격을 흡수하는 중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상에 설치되는 긴 앵커 판을 더 포함하고,패스너는 슬라이드 판을 밑창과 앵커 판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앵커 판은 뒤축부 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뒤축부 상의 중심에 설치된 중앙 절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앵커 판은 뒤축부로부터 전방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앵커 판은 발가락 부분에 둥근 전방 단부를 형성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앵커 판은 전방부쪽으로 돌출되고 전방으로 가면서 단면이 얇아지도록 테이퍼지는 단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에 이 슬라이드 판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다른 쪽 측면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지역을 갖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밑창에 그 측면으로부터 중앙까지 종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일부를 이루는 공동이 형성되고,슬라이드 판의 상기 상부면은 반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의 상기 상부면은, 종방향 단면은 대략 원의 일부로 이루어진 형상이면서 종방향 중앙 평면으로부터 측면 중앙에서 상방으로 만곡되어 말안장 형상을 이루는 복합 만곡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은 중앙부와 측면부 측면에서 상방으로 말려 측면 및 중앙 슬라이드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밑창은 공동 상에 설치되는 완충 재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은 상부면 상에 돌출 보강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리브와 슬라이드 플랜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은폐 격실을 형성하도록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패스너 장치는 상기 공동 속에 슬라이드 판을 접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밑창 내에 설치되어 그에 고정되는 앵커 판을 더 포함하고,상기 슬라이드 판에 후방 앵커 보어와 적어도 하나의 전방 길이 방향 돌출 슬롯이 형성되고,패스너 장치는 상기 보어를 통과하여 상기 앵커 판에 고정되는 볼트와 상기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앵커 판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대략 반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종방향 단면이 곡선이며 밑창의 중앙부 측면으로부터 측면부 측면까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횡방향 단면이 곡선이며 밑창의 저부면을 가로질러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은 상기 홈에 하방 돌출 리브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약 3 ㎜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판은 상기 홈에 상기 리브를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는 긴 슬롯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내에서 밑창에 장착되며 측면부의 대향 측면 상에 측면으로 돌출된 앵커 배럴들이 형성된 베이스 판을 더 포함하고,슬라이드 판의 대향 측면 상에 상기 슬라이드 판이 상기 공동 내에서 베이스 판에 인접하여 설치되었을 때 앵커 배럴과 정렬되는 패스너 배럴이 형성되고,상기 패스너 장치는 앵커 및 패스너 배럴에 수용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은 그 측면부와 중앙부 측면에서 상방으로 말려 그 안에 슬롯이 형성된 패스너 탭을 형성하고,패스너 장치는 상기 각 슬롯에 연결되고 갑피의 뒤축 둘레로 연장되는 뒤축 스트랩과 상기 신발과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등 스트랩을 구비한 하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밑창의 저부면을 가로질러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슬라이드 판에 상기 밑창의 저부면을 가로질러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 마찰 하향 개방 홈이 상보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발등 상에 설치되며 소정의 마찰계수를 갖는 상향 돌출부가 형성되고, 슬롯이 형성된 탭이 측면에 설치된 가요성 발등 판과,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판의 중앙부와 측면부 측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탭을 더 포함하고,패스너 장치는 슬라이드 판과 발등 판을 신발에 고정시키기 위해 각 슬롯에 연결되는 하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에 상기 홈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경계선 내에서 평면 교차하는 경사진 전방 및 후방 단부가 형성되고,패스너 장치는 경사진 단부와 맞물려 상기 슬라이드 판을 그 안에 보유하도록 상기 공동 내에 형성된 상보적으로 경사진 전방 및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밑창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 외향 개방 공동이 더 형성되고,각 측면 공동 내에 수용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적어도 하나의 외향 개방 표면이 형성된 슬라이드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패스너 장치는 신발에 장착되며 내부 래치 기구가 형성된 래치 부재를 포함하고,슬라이드 판에는 상기 래치 기구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려지도록 래치 부재 내에 수용되는 측면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말린 탭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이 밑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이 밑창을 따라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이 밑창을 가로질러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판은 별개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파이프 레일 등을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한 신발의 밑창의 저부면의 상승 아치부에 부착되는 슬라이드 판에 있어서,상기 밑창과 결합되도록 대략 상기 아치부 아래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그 저부면에 신발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가로 정점을 중심으로 상승된 하향 개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과 붙어서 슬라이딩하기 위한 저 마찰계수의 본체와,상기 아치부 하부 중심에 상기 가로 정점이 위치된 상태로 상기 본체가 제위치에 보유되도록 슬라이드 판을 상기 신발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 상에 마련되는 패스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긴 레일 등 위에서 슬라이딩하기 위한 신발류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밑창 상에 지지되는 갑피를 갖는 신발을 제조하는 단계와,소정 형상을 갖는 하향 곡선 공동이 형성된 밑창을 성형하는 단계와,슬라이드 판을 제조하는 단계와,상기 슬라이드 판에 상기 공동 내에 보족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상부를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슬라이드 판에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작은 하향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공동 내에 슬라이드 판의 상부를 삽입하는 단계와,신발에 슬라이드 판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과 슬라이드 판의 일 단부 사이에서의 상대 운동을 허용하도록 슬라이드 판을 신발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의 상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슬라이드 판이 신발에 고정되었을 때 신발에 측면 지지력을 제공하는 상방으로 말린 플랜지가 형성되도록 측면부 대향 측면을 상방으로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신발을 제조하는 단계는 베이스 판을 선택하여 이를 밑창의 저부면에 끼워 넣는 단계를 포함하고,신발에 슬라이드 판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슬라이드 판을 베이스 판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9항에 있어서,베이스 판 선택 단계는 대향 측면 상에 앵커 배럴이 형성된 베이스 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슬라이드 판 제조 단계는, 슬라이드 판이 상기 공동 내에서 베이스 판에 인접하여 설치되었을 때 앵커 배럴과 정렬되는 패스너 배럴이 대향 측면 상에 구비된 슬라이드 판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베이스 판에 슬라이드 판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앵커와 패스너 배럴을 통해 볼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신발 제조 단계는 앵커 판을 선택하여 이를 밑창의 상부면 상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신발에 슬라이드 판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슬라이드 판을 앵커 판과 밑창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 제조 단계는 보강 리브가 구비된 슬라이드 판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에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홈에 돌출 리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신발 제조 단계는 전방부와 뒤축부를 갖는 밑창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갑피에 뒤축부의 외주연에 장착된 뒤축 컵과, 신발 내에 신발류 제품이 수용 및 고정되도록 상기 전방부에 장착되는 상호 결합 측면 대향 플랩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공동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을 제조하는 단계는, 공동에 밑창의 저부면 아래에서 평면 교차하는 전방 및 후방 경사 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슬라이드 판 제조 단계는 슬라이드 판에 공동의 경사 단부와 맞물려져서 슬라이드 판을 상기 공동 내에 보유하도록 상보적인 형상의 전방 및 후방 경사 단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밑창을 갖춘 신발을 제조하는 단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 외향 개방 공동이 구비된 밑창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측면 슬라이드 판을 제조하는 단계와,소정 마찰계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외향 개방면을 갖는 측면 슬라이드 판을 성형하는 단계와,각 측면 공동 내에 측면 슬라이드 판 중 하나를 삽입하는 단계와,상기 측면 공동 내에 측면 슬라이드 판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 제조 단계는 슬라이드 판의 중앙부와 측면부 측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그 안에 슬롯이 구비된 탭을 갖춘 슬라이드 판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가요성 발등 판을 제조하는 단계와,상기 발등 판에 소정 마찰계수를 갖는 상향 돌출부와 그 안에 슬롯이 구비된 측면 설치 탭을 형성하는 단계와,하네스를 선택하는 단계와,갑피의 발등 상에 발등 판을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하네스를 각 슬롯 내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발등 판을 신발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판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슬라이드 판에 스트랩을 고정시키고 이 스트랩을 상기 신발 둘레에 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신발 제조 단계는 신발에 내부 래치 기구가 형성된 래치 부재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슬라이드 판 제조 단계는 슬라이드 판에 측면에 설치되는 상방으로 말린 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슬라이드 판 고정 단계는 상기 래치 기구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탭을 래치 부재 속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47항에 있어서, 밑창에 슬라이드 판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슬라이드 판의 일 단부를 밑창에 고정시키고 상기 슬라이드 판과 밑창 간의 상대 이동을 위해 슬라이드 판의 대향 단부를 밑창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파이프 레일 등을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한 신발류 장치에 있어서,소정 두께를 가지며 높은 가로 정점을 중심으로 상승된 저부면을 갖는 하향 개방 홈이 형성된 아치부 아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부분을 갖는 슬라이드 판을 포함하는 신발 밑창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판은 상기 소정 두께 미만의 소정 수직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밑창은 마찰계수가 큰 밑창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판은 별개의 플라스틱 판 형상으로 되고, 상기 판을 밑창에 고정시키기는 패스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판은 폭 방향으로 길며, 상기 홈은 이 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지역을 갖는 반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62항에 있어서, 밑창은 뒤축에 완충 안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이 밑창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62항에 있어서, 밑창은 완충 안창 내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66항에 있어서, 안창 내피가 밑창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소정 형상의 상부면을 갖는 슬라이드 판을 장착하기 위한 그라인딩 신발에 있어서,소정 두께를 가지며 이 소정 두께 미만의 깊이를 갖는 하향 개방 공동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판의 소정 형상을 보족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밑창에 장착되는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신발.
-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의 저부면 상에 보행면에 위치되는 대체로 평평한 뒤축면과 전방면이 형성되고,하향 개방 공동은 최하부 지역이 상기 보행면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되기에 충분한 거리로 상기 판에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신발.
-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판이 상기 공동 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판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신발.
-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신발의 전방/후방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최상부 지역을 형성하도록 그 형상이 대체로 반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신발.
-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판을 신발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신속하게 결합 또는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긴 물체 상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신발류 장치에 있어서,상기 물체에 붙어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중심부가 상승된 하향 개방 홈이 저부면에 형성되고, 상부면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판과,상기 소정 형상을 보족적으로 수용하도록 오목한 하향 개방 공동이 형성된 밑창 상에 장착되는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과,상기 신발에 슬라이드 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패스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판에 소정 수직 프로파일이 형성되고,상기 공동은 상기 수직 프로파일보다 깊은 깊이로 상기 슬라이드 판의 하부 지역을 그 안에 수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판은 대체로 아치부 아래에 설치되며 가로 방향으로 돌출된 중앙 정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231896P | 1996-07-23 | 1996-07-23 | |
US60/022,318 | 1996-07-23 | ||
US08/799,062 US5970631A (en) | 1996-07-23 | 1997-02-10 | Footwear for grinding |
US08/799,062 | 1997-02-1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7994A true KR20000067994A (ko) | 2000-11-25 |
Family
ID=26695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7000529A Withdrawn KR20000067994A (ko) | 1996-07-23 | 1997-07-09 | 그라인딩 판을 갖춘 신발류 장치와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3) | US5970631A (ko) |
EP (1) | EP0936884B1 (ko) |
JP (1) | JP2002501396A (ko) |
KR (1) | KR20000067994A (ko) |
CN (1) | CN1180735C (ko) |
AT (1) | ATE318528T1 (ko) |
AU (1) | AU3656097A (ko) |
CA (1) | CA2261881A1 (ko) |
DE (1) | DE69735365D1 (ko) |
TW (1) | TW371263B (ko) |
WO (1) | WO1998003092A2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5376B1 (ko) * | 2004-09-30 | 2005-01-13 | 주식회사 학산 | 후족 통제형 고기능성 안창 |
KR100719951B1 (ko) * | 2007-02-23 | 2007-05-18 | 주식회사 보스인터내셔널 | 복합기능을 가지는 신발 아웃솔 |
KR100872850B1 (ko) * | 2004-11-05 | 2008-12-11 | 한스산업 주식회사 | 비계작업용 안전화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95920B1 (en) * | 1996-07-23 | 2001-03-06 | Artemis Innovations Inc. | Grinding footwear apparatus with storage compartment |
US6357145B1 (en) | 1996-07-23 | 2002-03-19 | Artemis Innovations, Inc. |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grind shoe apparatus |
US6195918B1 (en) * | 1996-07-23 | 2001-03-06 | Artemis Innovations Inc. | Grinding apparatus with flexible plate |
DE29613508U1 (de) | 1996-08-03 | 1996-10-02 | Backhausen, Marc, 34119 Kassel | Schuh-Slide-Pad |
FR2774870B1 (fr) * | 1998-02-16 | 2000-05-05 | Salomon Sa | Chaussure comportant un insert grind |
EP0956786A3 (en) * | 1998-05-05 | 2000-04-12 | BENETTON GROUP S.p.A. | Sports shoe, particularly for performing stunts |
JP3396637B2 (ja) * | 1998-11-05 | 2003-04-14 | 株式会社アシックス | 靴底におけるシャンクの支持構造 |
US6061930A (en) * | 1998-11-25 | 2000-05-16 | Salomon S.A. | Gliding shoe |
KR100403713B1 (ko) | 1999-04-01 | 2003-10-30 | 힐링 스포츠 리미티드 | 지표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신발류 |
US7063336B2 (en) | 1999-04-01 | 2006-06-20 | Heeling Sports Limited | External wheeled heeling apparatus and method |
US6698769B2 (en) | 1999-04-01 | 2004-03-02 | Heeling Sports Limited | Multi-wheel heeling apparatus |
US6401366B2 (en) * | 1999-04-16 | 2002-06-11 | Nike, Inc. | Athletic shoe with stabilizing frame |
US6226897B1 (en) * | 1999-06-02 | 2001-05-08 | Vans, Inc. | Sports shoe interface |
USD426948S (en) * | 1999-12-07 | 2000-06-27 | Artemis Innovations Inc. | Grind plate |
FR2803493B1 (fr) * | 2000-01-07 | 2002-04-19 | Salomon Sa | Chaussure de glissade |
USD440386S1 (en) | 2000-01-21 | 2001-04-17 | Artemis Innovations Inc. | Low profile grind plate |
US6247251B1 (en) | 2000-01-28 | 2001-06-19 | Artemis Innovations Inc. | Grind plate with removable inserts |
USD439097S1 (en) | 2000-02-14 | 2001-03-20 | Caroline Gibson | Floor mat |
FR2813508B1 (fr) * | 2000-09-07 | 2002-11-29 | Creations Jean Pierre | Chaussure avec semelle munie d'un cambrion adapte aux besoins de l'utilisateur |
US6866273B2 (en) | 2000-12-08 | 2005-03-15 | The Burton Corporation | Sliding device |
US6467198B1 (en) | 2000-12-13 | 2002-10-22 | Artemis Licensing Inc. | High flex grinding shoe |
US6470599B1 (en) * | 2001-04-23 | 2002-10-29 | Young Chu | Climbing shoe with concave sole |
CN2520912Y (zh) | 2002-01-16 | 2002-11-20 | 东莞上安鸿运动器材厂 | 独轮步行滑行多功能鞋 |
WO2003063628A1 (en) * | 2002-02-01 | 2003-08-07 | Heeling Sports Limited | Grind rail apparatus |
US6764082B2 (en) * | 2002-02-20 | 2004-07-20 | Mearthane Products Corporation | Shoes for walking and rolling |
US6968637B1 (en) * | 2002-03-06 | 2005-11-29 | Nike, Inc. | Sole-mounted footwear stability system |
US6863284B2 (en) * | 2002-07-19 | 2005-03-08 | Andreas C. Wegener | In-line skate assembly with backslide plate |
US8191285B2 (en) * | 2003-09-11 | 2012-06-05 | Perron Jr J Edward | Soccer shoe component or insert made of one material and/or a composite and/or laminate of one or more material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soccer shoe |
US7487604B2 (en) * | 2002-09-11 | 2009-02-10 | Perron Jr J Edward | Soccer shoe component or insert made of one material and/or a composite and/or laminate of one or more material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soccer shoe |
US20050160630A1 (en) * | 2002-09-11 | 2005-07-28 | Perron J. E.Jr. | Soccer shoe component or insert made of one material and/or a composite and/or laminate of one or more material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soccer shoe |
US6788200B1 (en) * | 2002-10-21 | 2004-09-07 | Mitchell W Jamel | Footwear with GPS |
US6826851B2 (en) * | 2002-10-24 | 2004-12-07 | G. Paul Nelson, Jr. | Angled heel/shoes/low-friction coalescent dance shoes |
US7328527B2 (en) * | 2003-08-27 | 2008-02-12 | Reebok International Ltd. | Shoe strap changing system |
US6922916B1 (en) | 2003-09-04 | 2005-08-02 | Nike, Inc. | Footwear with outsole wear indicator |
EP1673725A4 (en) | 2003-10-14 | 2008-02-06 | Amfit Inc | METHOD FOR DETECTING AND SUPPORTING A 3D CONTOUR |
WO2005102091A1 (en) * | 2004-04-23 | 2005-11-03 | Global Networking (G.N.I.) Inc. | Improvements in a convertible shoe |
EP1796796B1 (en) | 2004-08-04 | 2015-07-01 | Heeling Sports Limited | Motorized transportation apparatus and method |
DE102004045176B4 (de) | 2004-09-17 | 2011-07-21 |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 Blase |
DE102005014709C5 (de) | 2005-03-31 | 2011-03-24 |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 Schuh |
USD550435S1 (en) * | 2005-06-02 | 2007-09-11 | Wolverine World Wide, Inc. | Footwear sole |
US7474206B2 (en) * | 2006-02-06 | 2009-01-06 | Global Trek Xploration Corp. | Footwear with embedded track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
US20070241887A1 (en) * | 2006-04-11 | 2007-10-18 | Bertagna Patrick E | Buoyant track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
US7594666B2 (en) | 2006-06-13 | 2009-09-29 | Sunshine Distribution, Inc. | Skate assembly |
GB0625184D0 (en) * | 2006-12-18 | 2007-01-24 | Macgregor Elizabeth Y | Dance shoe |
US8075456B2 (en) * | 2007-02-19 | 2011-12-13 | Fugitt Nathan B | Squat training device |
US8035560B1 (en) | 2007-11-20 | 2011-10-11 | Adrian Glodz | System and apparatus for tracking a person or an animal |
US8631590B2 (en) * | 2008-06-04 | 2014-01-21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for soccer |
US8077030B2 (en) * | 2008-08-08 | 2011-12-13 | Global Trek Xploration Corp. | Tracking system with separated tracking device |
US8333024B2 (en) * | 2008-10-08 | 2012-12-18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for dancing |
US8516723B2 (en) | 2008-10-08 | 2013-08-27 | Nike, Inc. | Midfoot insert construction |
US8225532B2 (en) | 2009-02-12 | 2012-07-24 | Pepper Gate Footwear, Inc. | Shoe and removably securable shoe insert |
US20100280516A1 (en) * | 2009-04-30 | 2010-11-04 | Jeffrey Taylor | Accessory Device for an Orthopedic Fixator |
KR101252287B1 (ko) * | 2010-08-18 | 2013-04-05 | (주)인투스에이치씨앤 |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
USD638616S1 (en) * | 2010-11-09 | 2011-05-31 | Deckers Outdoor Corporation | Footwear outsole |
US8844167B2 (en) * | 2011-07-18 | 2014-09-30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cord elements |
EA201490485A1 (ru) | 2011-08-24 | 2014-06-30 | Унилевер Н.В. | Частицы для доставки полезного агента, включающие декстран |
US20130118036A1 (en) * | 2011-11-10 | 2013-05-16 | Deckers Outdoor Corporation | Footwear outsole inlcuding gripping tread |
USD730639S1 (en) * | 2011-12-15 | 2015-06-02 | Pirelli & C. S.P.A. | Pair of shoe soles |
USD727006S1 (en) * | 2012-04-18 | 2015-04-21 | Steven Sashen | Sandal sole |
USD666394S1 (en) * | 2012-04-27 | 2012-09-04 | Deckers Outdoor Corporation | Footwear outsole |
US10945485B2 (en) | 2012-08-03 | 2021-03-16 | Heeling Sports Limited | Heeling apparatus |
CN102871288A (zh) * | 2012-10-25 | 2013-01-16 | 仇宝清 | 一种改进的新型高跟鞋 |
USD781039S1 (en) * | 2013-01-09 | 2017-03-14 | Kimberly Shane | Shoe sole |
USD719328S1 (en) * | 2013-01-09 | 2014-12-16 | Kimberly Shane | Shoe sole |
DE102013202485B4 (de) | 2013-02-15 | 2022-12-29 | Adidas Ag | Ball für eine Ballsportart |
US20140259791A1 (en) * | 2013-03-15 | 2014-09-18 | Michael D. Stull | Ladder climbing shoes |
US9380827B1 (en) * | 2013-05-16 | 2016-07-05 | Propet Global Limited | Post-operative sho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
TW201404326A (zh) * | 2013-09-30 | 2014-02-01 | kun-zhong Liu | 免縫鞋面的製造方法 |
US9999274B2 (en) * | 2013-10-10 | 2018-06-19 | Cole Haan Llc | Shoe having multiple sole members |
US9930934B2 (en) * | 2014-07-03 | 2018-04-03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with a segmented plate |
US9974356B2 (en) * | 2014-08-06 | 2018-05-22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with arcuate underside cavity insert |
USD731769S1 (en) * | 2014-10-23 | 2015-06-16 | Skechers U.S.A., Inc. Ii | Shoe outsole periphery and bottom |
US9596906B2 (en) * | 2015-04-23 | 2017-03-21 | Action Sports Equipment, Inc. | Article of footwear with concave portion |
EP3313225B1 (en) * | 2015-06-26 | 2021-08-11 | Spraino IP ApS | A sport shoe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nkle injuries |
USD819945S1 (en) * | 2015-09-02 | 2018-06-12 | Strategic Partners, Inc. | Outsole |
USD850067S1 (en) | 2015-09-09 | 2019-06-04 | Cubism Inc. | Shoe sole |
US20170086530A1 (en) * | 2015-09-24 | 2017-03-30 | Robert A. Locker | Ultra light all-purpose breathable shoe |
USD795545S1 (en) * | 2015-11-14 | 2017-08-29 | Converse Inc. | Shoe outsole |
US9750304B2 (en) * | 2015-12-30 | 2017-09-05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having talonavicular support |
USD794288S1 (en) * | 2016-03-11 | 2017-08-15 | Nike, Inc. | Shoe with illuminable sole light sequence |
CN109275985A (zh) * | 2018-10-26 | 2019-01-29 | 鲁晨 | 圆头平底玉蝶恋花绣花鞋的制作方法 |
US11388949B2 (en) * | 2018-12-03 | 2022-07-19 | Cole Haan Llc | Shoe having a concave outsole |
US11564450B2 (en) * | 2019-01-11 | 2023-01-31 | Boot Bam,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boot comfort and style |
CN210611192U (zh) * | 2019-04-03 | 2020-05-26 | 霍尼韦尔国际公司 | 具有阻力元件的鞋类外底 |
US11638460B2 (en) * | 2020-08-10 | 2023-05-02 | Crank Brothers, Inc. | Mountain bike shoe sole with improved access for the pedal |
KR102445409B1 (ko) * | 2020-12-04 | 2022-09-20 | (주)메이저스포츠산업 | 슬라이딩 및 논슬라이딩이 가능한 슈즈 |
USD935158S1 (en) * | 2021-01-28 | 2021-11-09 | Huaian Balu International Trade Co., Ltd | Sole |
EP4552522A1 (fr) * | 2023-11-09 | 2025-05-14 | Pascal Chenut | Semelle de marche pour chaussure à stabilisation par patins |
Family Cites Families (7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984989A (en) * | 1934-12-18 | Pedal attachment for dancing | ||
US117176A (en) * | 1871-07-18 | Improvement in hollow-grate feed-water heaters | ||
US132474A (en) * | 1872-10-22 | 1872-10-22 | Improvement in the modes of securing taps on boots and shoes | |
US202191A (en) * | 1878-02-18 | 1878-04-09 | Improvement in tap-soles for boots and shoes | |
US234030A (en) * | 1880-08-23 | 1880-11-02 | Shank support and protector for boots and shoes | |
US579577A (en) * | 1896-06-04 | 1897-03-30 | Ladder-gripping attachment for boots or shoes | |
US702476A (en) * | 1902-01-07 | 1902-06-17 | Joseph Hazzard Price | Shoe-protector. |
US881079A (en) * | 1906-11-01 | 1908-03-03 | Friedrich Wilhelm Jolitz | Instep-protector. |
US892152A (en) * | 1907-06-08 | 1908-06-30 | William Adalbert Harman | Foot-guard. |
US875560A (en) * | 1907-08-14 | 1907-12-31 | Elbert Vaughan | Shoe-protector. |
US966821A (en) * | 1910-01-15 | 1910-08-09 | Anna S Gaw | Sliding-sole. |
US1051880A (en) * | 1912-08-07 | 1913-02-04 | Columbus Walter Glenn | Instep-plate for shoes. |
US1056091A (en) * | 1912-11-01 | 1913-03-18 | Theodore Dickson | Shoe-protector. |
US1260901A (en) * | 1915-10-28 | 1918-03-26 | Colbert G Hayhurst | Detachable wearing-plate for shoes. |
US1189329A (en) * | 1916-01-29 | 1916-07-04 | Daniel E Winagle | Shoe-protector. |
GB117176A (en) * | 1917-09-04 | 1918-07-11 | William Henry Frankland | Improvements in Metal Welded Boots and Shoes. |
GB150512A (en) * | 1919-08-02 | 1920-09-09 | Ellen Allen | Improvements in the manufacture of boots and shoes |
US1428232A (en) * | 1920-04-05 | 1922-09-05 | Holmen Jacob | Shoe guard |
GB216903A (en) * | 1923-06-01 | 1925-01-29 | Walter Morrison | Improvements in supports for the waists and heels of women's boots and shoes |
US1592692A (en) * | 1923-11-06 | 1926-07-13 | Fahrlender Grayce | Shoe protector |
US1702591A (en) * | 1926-04-07 | 1929-02-19 | Brown Lee Schaefer | Arch support |
US1636909A (en) * | 1927-03-12 | 1927-07-26 | Haney William John | Metal dancing-shoe sole |
US1866006A (en) * | 1931-12-21 | 1932-07-05 | Frank O Bergstrand | Coasting attachment for shoes |
US2114461A (en) * | 1936-07-15 | 1938-04-19 | Agosta Corrado | Tap for tap dancing shoes |
US2113477A (en) * | 1937-02-25 | 1938-04-05 | Gilman Max Carl | Tap dancing device |
US2138823A (en) * | 1937-05-08 | 1938-12-06 | Werkman Theodore | Flexible arch support |
US2476806A (en) * | 1945-12-29 | 1949-07-19 | Jr Francis L Brandt | Heel brace |
US2490469A (en) * | 1946-08-23 | 1949-12-06 | Harry C Pittman | Ladderman's shoe insert |
US2484935A (en) * | 1947-09-05 | 1949-10-18 | Thor Melanchton Peterson | Sole protector |
US2572671A (en) * | 1949-03-21 | 1951-10-23 | Everett R Shaw | Dance gliding device |
US2723467A (en) * | 1954-05-13 | 1955-11-15 | William M Cassidy | Removable tap for shoes |
US2897609A (en) * | 1956-03-19 | 1959-08-04 | Lawrence E Bodkin | Storage shoe heel |
FR1194886A (fr) * | 1958-04-15 | 1959-11-13 | Pièce de renfort du genre cambrion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 |
US3027661A (en) * | 1960-02-01 | 1962-04-03 | Riedell Shoes Inc | Shoe sole construction |
US3032894A (en) * | 1961-06-21 | 1962-05-08 | Stephen J Kennedy | Anti-personnel mine protective shank |
US3176416A (en) * | 1964-06-03 | 1965-04-06 | Henry A Seegert | Golf overshoe |
US3486250A (en) * | 1968-03-05 | 1969-12-30 | Russell W Purtle | Shoe attachment |
US3789523A (en) * | 1972-10-16 | 1974-02-05 | R Rubin | Golf shoe |
US3934359A (en) * | 1974-08-19 | 1976-01-27 | Lawrence Peska Associates, Inc. | Reinforcing elements for shoe soles and heels |
US4316334A (en) * | 1980-03-27 | 1982-02-23 | Hunt Helen M | Athletic shoe including stiffening means for supporting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metatarsal bone |
CA1138194A (en) * | 1980-06-02 | 1982-12-28 | Dale Bullock | Slider assembly for curling boots or shoes |
CA1239017A (en) * | 1983-03-24 | 1988-07-12 | Garry E. Wright | Curling slider |
US4496025A (en) * | 1983-05-16 | 1985-01-29 | Gattman John W | Foot support for ladder |
US4783910A (en) * | 1986-06-30 | 1988-11-15 | Boys Ii Jack A | Casual shoe |
US4691453A (en) * | 1986-09-08 | 1987-09-08 | Salustiano Tifre | Space skating shoe |
US4843741A (en) * | 1987-02-20 | 1989-07-04 | Autry Industries, Inc. | Custom insert with a reinforced heel portion |
GB2210771B (en) * | 1987-10-13 | 1991-04-03 | Dunlop Ltd | Footwear reinforcement |
US4841648A (en) * | 1988-02-29 | 1989-06-27 | Shaffer David E | Personalized insole kit |
US4977691A (en) * | 1988-08-23 | 1990-12-18 | Spenco Medical Corporation | Shoe insole with bottom surface compression relief |
US5056240A (en) * | 1989-05-22 | 1991-10-15 | Sherrill William T | Overshoes for protecting clean floors from soiled shoes or boots |
US5134791A (en) * | 1990-04-06 | 1992-08-04 | B. B. Walker Company | Footwear with arch support |
DK0563202T3 (da) * | 1990-12-20 | 1997-09-29 | Jack Goldberg | Forbedringer ved fodtøj |
US5319866A (en) * | 1991-08-21 | 1994-06-14 | Reebok International Ltd. | Composite arch member |
US5410821A (en) * | 1992-01-21 | 1995-05-02 | Hilgendorf; Eric | Shoe with interchangable soles |
US5513449A (en) * | 1992-02-03 | 1996-05-07 | Kaepa, Inc. | Cheerleader shoe |
US5249376A (en) * | 1992-11-16 | 1993-10-05 | Michael Capria | Shoe heel with rollers |
US5388350A (en) * | 1992-12-31 | 1995-02-14 | Parker, Jr.; Bill H. | Roller shoe construction |
USD352818S (en) | 1993-04-07 | 1994-11-29 | Darrell Bailey | Recreational ski shoe |
US5507106A (en) * | 1993-06-18 | 1996-04-16 | Fox; Marcus | Exercise shoe with forward and rearward angled sections |
US5398970A (en) * | 1993-07-28 | 1995-03-21 | Tucky; Edward W. | Shoes for walking and roller skating |
US5425186A (en) * | 1994-04-15 | 1995-06-20 | Hoyt; David | Overshoe with an accordian type sole |
US5459946A (en) * | 1994-07-18 | 1995-10-24 | Rayow; Robert | Tap dance shoe and method for attaching tap to dance shoe |
IL111172A (en) * | 1994-10-04 | 1998-06-15 | Yitzchak Zohar | Shoes for reducing stress in feet |
US5716623A (en) * | 1994-12-07 | 1998-02-10 | Immunex Corporation | Isolated Herpesvirus saimiri proteins that bind MHC Class II molecules |
SE9503299L (sv) * | 1995-09-25 | 1996-09-23 | Nordiska Dental Ab | Tandborr |
US5682685A (en) * | 1995-10-12 | 1997-11-04 | Ballet Makers Inc. | Dance shoe sole |
US5655316A (en) * | 1995-12-11 | 1997-08-12 | Raymond Hwang | Shoe with weighing and step counting means |
US5638614A (en) * | 1995-12-18 | 1997-06-17 | Hardy; Chris | Shoe protector and floor covering aid |
US5716723A (en) * | 1996-03-07 | 1998-02-10 | Van Cleef; James Gresham | Glow in the dark shoe sole |
WO1998001051A1 (en) * | 1996-07-10 | 1998-01-15 | Daley Peter A | Grinding apparatus and associated footwear |
DE29613508U1 (de) * | 1996-08-03 | 1996-10-02 | Backhausen, Marc, 34119 Kassel | Schuh-Slide-Pad |
-
1997
- 1997-02-10 US US08/799,062 patent/US5970631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7-09 KR KR1019997000529A patent/KR20000067994A/ko not_active Withdrawn
- 1997-07-09 DE DE69735365T patent/DE69735365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7-09 CA CA002261881A patent/CA2261881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7-07-09 EP EP97933355A patent/EP093688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7-09 CN CNB971975663A patent/CN1180735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7-09 AU AU36560/97A patent/AU3656097A/en not_active Abandoned
- 1997-07-09 WO PCT/US1997/011973 patent/WO1998003092A2/en active IP Right Grant
- 1997-07-09 US US08/890,595 patent/US6006451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7-09 JP JP50698398A patent/JP2002501396A/ja not_active Ceased
- 1997-07-09 AT AT97933355T patent/ATE318528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7-11 TW TW086109772A patent/TW371263B/zh active
-
1999
- 1999-06-15 US US09/333,612 patent/US615815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5376B1 (ko) * | 2004-09-30 | 2005-01-13 | 주식회사 학산 | 후족 통제형 고기능성 안창 |
KR100872850B1 (ko) * | 2004-11-05 | 2008-12-11 | 한스산업 주식회사 | 비계작업용 안전화 |
KR100719951B1 (ko) * | 2007-02-23 | 2007-05-18 | 주식회사 보스인터내셔널 | 복합기능을 가지는 신발 아웃솔 |
WO2008102986A1 (en) * | 2007-02-23 | 2008-08-28 | Boss International Co., Ltd | Shoe outsole with multi-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970631A (en) | 1999-10-26 |
AU3656097A (en) | 1998-02-10 |
CN1180735C (zh) | 2004-12-22 |
ATE318528T1 (de) | 2006-03-15 |
DE69735365D1 (de) | 2006-04-27 |
JP2002501396A (ja) | 2002-01-15 |
US6006451A (en) | 1999-12-28 |
EP0936884B1 (en) | 2006-03-01 |
US6158150A (en) | 2000-12-12 |
CN1228682A (zh) | 1999-09-15 |
WO1998003092A3 (en) | 1998-03-19 |
EP0936884A2 (en) | 1999-08-25 |
WO1998003092A2 (en) | 1998-01-29 |
EP0936884A4 (en) | 2000-03-08 |
CA2261881A1 (en) | 1998-01-29 |
TW371263B (en) | 1999-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00067994A (ko) | 그라인딩 판을 갖춘 신발류 장치와 그 제조 방법 | |
US6115946A (en) | Method for making footwear grinding apparatus | |
US12150522B2 (en) | Footwear with stabilizing sole | |
US6195918B1 (en) | Grinding apparatus with flexible plate | |
US6195920B1 (en) | Grinding footwear apparatus with storage compartment | |
US5331752A (en) | Skate with detachable shoe | |
US8578633B2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improved stability and balance | |
US5794362A (en) | Size adjustable athletic boot | |
US5410821A (en) | Shoe with interchangable soles | |
US6772541B1 (en) | Footwear securement system | |
US6901686B2 (en) | Devices and systems for dynamic foot support | |
US20090049711A1 (en) | Overshoe For Running | |
US20100031533A1 (en) | Footwear sole with a removable heel insert | |
US6826851B2 (en) | Angled heel/shoes/low-friction coalescent dance shoes | |
EP0819390A1 (en) | Mother-and-daughter shoe means | |
AU775756B2 (en) | Footwear securement system | |
KR100467334B1 (ko) | 기능성 신발 | |
MXPA99000845A (en) | Footwear apparatus with treatment plate and method for factory | |
KR100822049B1 (ko) |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 |
KR200305807Y1 (ko) | 기능성 신발 | |
KR200426711Y1 (ko) |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 |
KR200335415Y1 (ko) | 등산용 아이젠 | |
KR20040035033A (ko) | 기능성 신발 | |
CA2733867A1 (en) | Thong sandal with clea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901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