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65882A - 휴대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렌즈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렌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5882A
KR20000065882A KR1019990012620A KR19990012620A KR20000065882A KR 20000065882 A KR20000065882 A KR 20000065882A KR 1019990012620 A KR1019990012620 A KR 1019990012620A KR 19990012620 A KR19990012620 A KR 19990012620A KR 20000065882 A KR20000065882 A KR 20000065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terminal
display
holder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해
Original Assignee
김종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해 filed Critical 김종해
Priority to KR1019990012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5882A/ko
Publication of KR2000006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8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magnify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통신용 단말기에 있어서, 노안등으로 인한 시력장애자가 별도로 안경을 끼지 아니하더라도 단말기의 디스플레이(Display)에 현출된 문자나 숫자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단말기에 렌즈를 부착하고 부착된 렌즈의 초점거리를 사용자가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렌즈시스템을 제공 하므로서 40대 이후의 노안 장애자가 일일이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렌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렌즈 장치{LENS SYSTEM FOR HAND PHONE DISPLAY}
본 발명은 휴대통신용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가 문자나 도식등의 통신수단으로 기능이 점차 다양화되고 있으나 단말기 기기의 소형화로 문자나 숫자를 나타내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대적으로 소형화되고 있으므로, 연령적으로 노안현상이 있는 사용자는 안경없이 숫자나 부호를 읽을 수 없는 불편이 있으므로, 단말기에 부착할 수 있는 렌즈와 렌즈의 초점거리를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므로서 40대이상의 노안 장애자가 통화시마다 일일이 안경(Reading class)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한다.
종래의 휴대통신용 단말기는 단말기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도 점차 소형화되고 있으므로 40대이후 발생하는 노안 장애자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현출된 문자나 숫자를 읽을 수 없으므로 단말기를 사용할 때마다 별도의 안경(Reading class)를 매번 착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위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커버를 렌즈형의 투명 프라스틱으로 제작하여 부착한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면과 렌즈간의 거리가 짧고 고정용이라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초점을 조절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현출한 문자나 숫자를 사용자의 시력에 적합하도록 사용자가 임의로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 가능하며 아울러 단말기의 디자인을 해하지 아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므로서, 40대이후의 시력장애자가 일일이 단말기를 사용할 때마다 안경(Reading class)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시키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렌즈를 접었을시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렌즈장치를 초점거리에 따라 뽑았을시의 작용 예시도
도3는 본 발명의 거치대를 뽑았을시의 텔레스콥형 거치대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렌즈수단
110 : 거치대
120 : 렌즈 고정 스위치
이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의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접었을시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을 초점거리에 따라 렌즈를 뽑았을시의 사용 예시도이며,
3도는 본 발명의 거치대를 뽑았을시의 텔레스콥(TELESCOPE)장치의 구조도이다.
도1과 도2에 의하는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동일하거나 더욱큰 크기의 렌즈수단(101)과, 렌즈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거치하며 필요시 사용자가 렌즈의 초점거리를 임의로 가변할 수 있는 렌즈 거치대(110)과, 렌즈를 눌러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고정스위치 수단(120)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에 나타난 문자나 숫자를 읽고자하면 렌즈거치대(110)를 단말기에서 뽑아 렌즈(10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문자나 숫자를 읽게된다.
이때, 초점거리가 맞지 않을 시에는 디스플레이와 거치대 간의 거리를 거치대(110)를 위로 올리거나 낮추어 렌즈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면간에 거리를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마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단말기를 사용하지 아니할 시에는 렌즈 거치대를 눌러 거치대가 단말기 속으로 내장되는 기술 구조이므로 렌즈와 디스플레이면을 일치시켜 부피를 줄일수 있을것이므로, 단말기의 용적을 크게 증가시키지 아니 하면서도 노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과 기능을 구현하게된 기술과 아이디어는 도 3에의하는 바와 같이 렌즈(101)의 위치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면에서 높였다가 낮추었다가 할 수 있게 하면서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단말기 속에 내장될 수 있는 렌즈 거치대(110)의 기술 구조에 기인한다.
본 발명에서 렌즈 거치대(110)는 렌즈의 좌우측에 접었다가 늘였다 할 수 있는 텔레스콥의 원리를 원용하여 텔레스콥형의 장치로 접었다가 늘였다하되, 원형이 아니라 구조를 판형으로 구성한 특징으로 인하여 2단이상으로 접거나 뽑을 수 있게 하므로서 비교적 낮은 구조의 단말기의 양측면에 내장할 수 있는 판형의 텔레스콥이 탄생된 것이다.
위와 같은 판형의 텔레스콥은 두게가 얇은것이므로 기존의 단말기의 좌우측면에 내장하거나 혹은 단말기용의 별도 케이스(플라스틱)의 디스플레이 부 좌우에 내장시켜 제작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뿐만아니라, 텔레스콥형의 거치대 하단에 소형 기어 모터(GEARED MOTOR) 수단을 부가할시 전동식 스위치의 조작으로 렌즈를 뽑았다 접었다 할 수 있는것이며, 렌즈 또한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적합한 도수의 렌즈로 갈아 끼울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장치로 인하여 40대 이상의 노안 장애자가 단말기를 사용할 때마다 별도의 Reading class를 착용해야할 불편이 해소되는 것이며, 전세계적으로 단말기 사용자의 반이상이 40대 이상의 연령층인 것을 감안 한다면 본 발명은 인류에 공헌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며, 또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를 도1에 의하는 바와 같이 기존의 단말기 뚜껑을 설계할 때 이 장치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부착하여 설계하게되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부를 약간 개조하는 것 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별도의 케이스가 불필요하며, 단말기의 크기나 디자인을 해하지 아니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휴대 통신용 단말기에 있어서,
    (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대하는 렌즈 수단과;
    (2) 렌즈수단이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며, 렌즈를 갈아 끼울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면과 렌즈간의 초점거리를 가변할 수 있는 판형의 텔레스콥 구조로된 렌즈 거치대와;
    (3) 렌즈를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고정 스위치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렌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렌즈 거치대를 뽑으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의 발광장치가 ON되고 거치대를 접으면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렌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렌즈 거치대에 전기적 발광수단을 부가하여 렌즈거치대를 뽑으면 동시에 전기적 발광수단이 ON되고, 거치대를 접으면 동시에 OFF되는 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렌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렌즈 거치대에 극소형 기어 모터(GEARED MOTOR)를 부가하여 스위치 조작으로 거치대를 뽑았다, 접었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렌즈 장치
KR1019990012620A 1999-04-09 1999-04-09 휴대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렌즈 장치 KR20000065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620A KR20000065882A (ko) 1999-04-09 1999-04-09 휴대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렌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620A KR20000065882A (ko) 1999-04-09 1999-04-09 휴대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렌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882A true KR20000065882A (ko) 2000-11-15

Family

ID=1957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620A KR20000065882A (ko) 1999-04-09 1999-04-09 휴대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렌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58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337B1 (ko) * 2001-04-30 2003-08-21 주식회사 팬택 듀얼 엘씨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엘씨디디스플레이 방법
KR100426365B1 (ko) * 2001-07-09 200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정보의 확대 표시가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0739220B1 (ko) * 2002-06-17 2007-07-18 주식회사 다안전자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337B1 (ko) * 2001-04-30 2003-08-21 주식회사 팬택 듀얼 엘씨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엘씨디디스플레이 방법
KR100426365B1 (ko) * 2001-07-09 200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정보의 확대 표시가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0739220B1 (ko) * 2002-06-17 2007-07-18 주식회사 다안전자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3825B1 (en) Case for spectacles
US20040229645A1 (en) Cellular phone and writing instrument in combination
KR20000065882A (ko) 휴대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렌즈 장치
RU62729U1 (ru) Портативное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экраном дисплея
KR200330219Y1 (ko) 휴대폰 거치대
JP2002323859A (ja) 携帯型機器表示部用拡大鏡
KR101413543B1 (ko) 거울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JP3078544U (ja) 携帯用電話機用拡大器具
KR20030019534A (ko) 돋보기가 장착된 핸드폰
CN218159195U (zh) 智慧政务服务自助一体机
KR200353864Y1 (ko) 이동통신기기용 화면확대장치
KR200420556Y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표시부 확대경
KR200323719Y1 (ko) 핸드폰 키 버튼에 나타나는 문자를 확대시켜 볼 수있도록 한 키 패드
JP2006238094A (ja) 拡大視器具
KR100631047B1 (ko) 돋보기패널을 구비한 이동통신장치
KR20230010449A (ko) 돋보기가 달린 휴대폰 케이스
JP3074808U (ja) 携帯電話機用の拡大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CN214896077U (zh) 一种带有云端存储数据功能的变焦眼镜
KR101589707B1 (ko) 펜 타입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JP3074064U (ja) 携帯電話機用の拡大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CN222380154U (zh) 带放大镜功能的密码键盘罩
CN220154851U (zh) 一种便携的手持pda终端
KR200410315Y1 (ko) 슬라이드커버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215679436U (zh) 一种可拆卸屏幕的扫描笔
CN208479684U (zh) 一种折叠式手机屏幕放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05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