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64597A - 개질된알루미노실리케이트 - Google Patents

개질된알루미노실리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4597A
KR20000064597A KR1019980707274A KR19980707274A KR20000064597A KR 20000064597 A KR20000064597 A KR 20000064597A KR 1019980707274 A KR1019980707274 A KR 1019980707274A KR 19980707274 A KR19980707274 A KR 19980707274A KR 20000064597 A KR20000064597 A KR 20000064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luminosilicate
zeolite
modified
alkali me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4891B1 (ko
Inventor
피터 윌럼 아펠
데오도러스 요한스 코넬리스 아트
캐롤린 안젤라 랜서리
티오 얀 오싱가
Original Assignee
로드니 브이 테이트
크로스필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드니 브이 테이트, 크로스필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로드니 브이 테이트
Publication of KR2000006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8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02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8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4Silicon containing, e.g. silica, silex, quartz or glass beads
    • C11D3/1246Silicates, e.g. diatomaceous earth
    • C11D3/128Aluminium silicates, e.g. zeoli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제올라이트 P형 입자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상에 침착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를 함유하는 분말 형태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액체 운반 용량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세제 제제에서의 제올라이트 P의 유용성은 예를 들면, 유럽 특허 출원 제0384070호(유니레버)에서 알려졌다.
제올라이트 P 부류는 입방 형상(B 또는 Pc로도 명명됨) 또는 정방정계 형상(P1으로도 명명됨)일 수 있나, 이들 형태에 국한되지는 않는 일련의 합성 제올라이트 상들을 포함한다. 도날드 더블유 브렉(Donald W Breck) 著 "제올라이트 분자 시브"[미국 플로리다주 소재의 로버트 이 크리저(Robert E Krieger)가 1974 및 1984년에 발행]에서는 제올라이트 P 부류의 구조 및 특성을 제공한다. 제올라이트 P 부류는 하기와 같은 전형적인 산화물 식을 갖는다:
M2/nO·Al2O3·1.80-5.00SiO2·5H2O
상기 식 중, M은 본 발명에서는 알칼리 금속인 n가 양이온, 즉 리튬, 칼륨, 나트륨, 세슘 또는 루비듐이며, 나트륨 및 칼륨이 바람직하고, 나트륨은 상업적인 방법에서 보통 사용되는 양이온이다.
따라서, 나트륨이 주 양이온으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특정한 잇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또다른 알칼리 금속이 소량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현재, 칼슘 결합 용량(Calcium Binding Capacity), 효과적인 칼슘 결합 용량(Calcium Effective Binding Capacity) 및 칼슘 흡수 속도 등의 세제 특성이 정상(top)인 세제 조성물에서 사용된 제올라이트계는 농축 세제 조성물 에서 그들을 빌더(builder)로서 유용하게 할 수 있는 다른 특성을 발휘한다.
이러한 농축 제제에서 빌더로서 사용되기 위한 능력은 오일 흡수도로서 지칭되기도 하는 액체 운반 용량(Liquid Carrying Capacity)에 직접 관련된다. 액체 운반 용량이 높을수록 세제 조성물을 더욱 더 농축시킬 수 있다.
게다가, 과거에는 분말 세제 조성물을 분무 건조법으로 제조하였으나, 비분무 건조 방법으로서 알려진 새로운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졌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빌더의 액체 운반 용량이 더욱 더 중요하다.
현재, 건조 상태에 의존하여 특정 제품의 액체 운반 용량은 큰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유럽 특허 공고 번호 제0384070호에서 개시된 제올라이트 P는 건조 조건에 좌우되는 액체 운반 용량이 50-65 % 내지 100-110 %일 수 있으며, 저 수치는 분무 건조법, 터보 건조법, 플래시 건조법 또는 플래싱 건조법과 같은 산업적인 건조 조건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유럽 특허 공고 번호 제0384070호에 기술된 제올라이트 P의 액체 운반 용량으로 인하여 제올라이트 P가 이미 농축 세제 조성물 중에서 빌더로서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적인 건조 조건의 경우에는 액체 운반 용량을 더욱 더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다른 면에서, 부식을 피하고, 세탁물에서의 표백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침착 방지제로서 작용하기 위하여 세제 조성물에 실리케이트계를 첨가하는 것이 특히 유용함에도 불구하고, 세제 조성물 중에 실리케이트계를 사용하는 것은 여러 이유로 인해 급격히 줄어들었다.
첫째로, 주요한 세제 조성물은 빌더로서 제올라이트 A(예컨대, 크로스필드 리미티드로부터 시판되는 도우실((Doucil) P)를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현재, 제올라이트 A와 실리케이트를 함께 건조시킬 때, 직물 상에 잔류하게 되는 큰 덩어리의 불용성 물질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번째로, SiO2:Na2O 몰비가 1.6 내지 3.2인 나트륨 실리케이트계는 알칼리성으로 인하여 자극제로서 분류되기 때문에 안정성을 이유로 회피된다. 그 비율이 3.3 이상인 실리케이트계는 안정하나 쉽게 용해될 수 없으며, 비율이 1.6 이하에서는 부식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이 없이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를 세제 조성물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이제, 본 발명자들은 제올라이트 P형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및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의 특정 조합이 한편으로는 제올라이트의 액체 운반 용량을 급격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더이상 자극적이지 않고 상당한 정도로 직물 상에 잔류물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시험 및 정의>
i) 중량 평균 입도(d50)
"d50"이란 양은 입자의 50 중량%까지가 그 숫자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나타내며, 마이크로메리틱스(Micromeritics) 제품인 5100형 세디그라프(Sedigraph:상표명)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ii) pH
탈이온수 중의 제올라이트(건조 고상물 기준)의 5 % 분산액을 제조한 후 오리온 9173b pH-전극을 사용하는 오리온 EA940 이온 분석기로 pH를 측정하였다.
iii) CEBC(효과적인 칼슘 결합 용량)
세탁액 환경에서 칼슘 이온 흡수의 실질적인 척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배경(background) 전해액 존재 중에서 CEBC를 측정하였다. 먼저 각 제올라이트 시료를 염산나트륨 포화 용액에 대해 일정한 중량으로 균형을 맞추고 물 함량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균형을 맞춘 시료를 1 gdm-3(건량)에 해당하는 양으로 물(1 cm3)에 분산시키고, 얻어진 분산액(1 cm3)을 0.01 M NaCl 용액(50 cm3)과 0.05 M CaCl2(3.923 cm3)으로 이루어진 교반 중인 용액에 주입하여 전체 체적이 54.923 cm3인 용액을 만들었다. 이것은 200 mg CaO/ℓ 농도, 즉 Si:Al 비가 1.00인 제올라이트를 취할 수 있는 이론적인 최대량(197 mg)보다 조금 큰 농도에 해당하였다. Ca+2이온 선택적인 전극을 사용하여 Ca+2이온 농도에서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15 분 후에 최종 기록치를 취하였다. 온도를 처음부터 끝까지 25 ℃로 유지하였다. 측정한 Ca+2이온 농도를 초기 농도에서 감하여 CaO(mg)/제올라이트(g)(건량 기준)로서 제올라이트 시료의 효과적인 칼슘 결합 용량을 얻었다.
iv) LCC(액체 운반 용량)
ASTM 스패출라 러브-아웃법(spatula rub-out method)를 기초로 LCC를 결정하였다(미국의 시험 물질 표준법 D281). 이 시험은, 스패출라로 절단시킬 때 깨지거나 분리되지 않을 페이스트와 같은 딱딱한 퍼티(putty)가 형성될 때까지 평활한 표면 상에서 스패출라로 문질러서 비이온계 물질(신퍼로닉(Synperonic) A3, ICI사 제품)을 미립자상 제올라이트와 혼합하는 원리를 기초로 한다. 이어서 사용된 비이온계 물질의 중량을 하기 식에 대입한다:
LCC = [(흡수된 비이온계 물질(g))/제올라이트의 중량(gms)] x 100
= 비이온계 물질(g)/제올라이트(100 g)
v) 그리트
여기에서는 그리트를 45 ㎛ 시브 상에 남겨진 입자의 백분율로서 정의한다. 제올라이트를 비이커 중에서 물로 슬러리화하고, 15 분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시빙기(sieving machine)(Mocker사 제품)에 놓는다.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기기를 물(수압 4 바)로 연속적으로 플러시한다.
시브를 기기로부터 제거하고, 오븐에서 건조(90 ℃, 15 분)시키고 잔류물의 양을 측정한다.
그리트(%) = 잔류물/제올라이트의 중량(건량 기준)
<발명의 일반적인 기술>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제올라이트 P형 입자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상에 침착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를 함유하는 분말 형상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 P형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에서는 알루미늄에 대한 규소의 비율은 1.33을 넘지 않는, 바람직하게는 1.07 보다 크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효과적인 칼슘 결합 용량은 최소한 140 mg CaO/제올라이트(g)(건량 기준)이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상에 침착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를 가짐으로써, 세제 조성물에 도입될 때 2개의 생성물이 고르게 분포되고 세제 조성물 중에서 알루미노실리케이트/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량비가 국소 변동이 없는 것을 뜻하는 2개 생성물의 완벽하게 균일한 혼합물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pH는 10 내지 12이다. 상기의 비교적 낮은 알칼리도는 제품을 자극적이지 않게 한다. 또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와 알루미노실리케이트가 고르게 분포된다는 사실은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특히 안전하게 만드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량비에서의 국소 변동으로 인하여 pH 변동이 발생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형상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0 내지 25 중량% 물, 바람직하게는 최대 12 중량% 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제올라이트 P형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65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7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 중량%(건량 기준) 및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건량 기준)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 P형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량비는 100/20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100/15 내지 100/3,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0 내지 100/5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SiO2: Na2O 몰비가 1.6 내지 4인 나트륨 실리케이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평균 중량 입도는 1 ㎛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6 ㎛,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내지 5 ㎛이다. 이러한 입도 분포는 직물 상에 잔류물이 생기지 않게 하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양호한 세제 특성을 발휘하며, CEBC는 전형적으로 110 내지 160 mg/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g)(건량 기준),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55 mg CaO/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g)(건량 기준)이다.
각종 다른 첨가제를 본 발명의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에 첨가할 수 있으며,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통상 상기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0.3 내지 5.0 중량%의 농도(건량 기준)로 포스포네이트계, 아미노 카르복시레이트계, 폴리카르복시레이트계, 시트레이트계,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 유효량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표준 과립화/응집화 방법에 따라 추가로 과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20 내지 46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40 % 고상물을 포함하는 제올라이트 P형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슬러리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를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추가로 건조시키는,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SiO2:Na2O 몰비가 1.6 내지 4인 나트륨 실리케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분말 형태로서 존재할 수 없는 용액으로서 첨가된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용액을 예를 들면, 유럽 특허 공개 번호 제565,364호의 실시예 11에서와 같이 얻은 미건조된 제올라이트 P의 슬러리에 첨가한다. 미건조된 제올라이트 P는 세척하고 여과한 후 건조하기 전에 얻은 제올라이트 P로서 이해한다.
유럽 특허 공개 번호 제565,364호에서 개시된 방법에서 얻은 필터 케이트를 빨리 건조시킬 때, 제올라이트 P의 평균 입도가 약 3 ㎛에서 약 1 ㎛로 감소한다는 것이 주지되어 왔다. 이제는, 적어도 3-4 %의 나트륨 실리케이트를 건조 전에 첨가한다면, 생성물의 평균 입도가 변하지 않고 남아있다. 이러한 거동으로부터, 모든 선행 기술에서는 입도가 감소할 때 액체 운반 용량이 증가한다고 교시하고 있으나, 입도가 클수록 목적 생성물(본 발명의 개질된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액체 운반 용량이 증가한다는 놀라운 결과에 이른다.
상기 물질을 밀링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액체 운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를 건조 과정 동안에 도입한다. 이렇게 건조시킴으로써,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성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모든 물리적 형태, 예를 들면 분말형, 액체형, 겔형 및 고체 바형의 세제 조성물 중에 세정 빌더용으로 통상 사용된 농도로 혼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물질은 단 하나의 세정 빌더로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제올라이트 A 또는 제올라이트 P와 같은 다른 빌더 재료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결정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빌더는 물론, 다른 무기 또는 유기 빌더가 존재할 수 있다. 존재할 수 있는 무기 빌더는 나트륨 카르보네이트, 무정형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및 나트륨 오르토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및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등의 포스페이트 빌더를 포함한다.
조성물 중의 세정 빌더의 총량은 적당하게는 20 내지 80 중량%일 것이고, 이는 본 발명의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물질에 의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물질은 필요하다면, 다른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 A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 중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총량은 예컨대, 5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에 이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유기 빌더는 폴리아크릴레이트계와 같은 폴리카르복시레이트 중합체 및 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 시트레이트계, 글루코네이트계, 옥시디숙시네이트계, 글리세롤 모노-, 디- 및 트리숙시네이트계, 카르복시메틸옥시숙시네이트계, 카르복시메틸옥시말로네이트계, 디피콜리네이트계, 히드록시에틸이미노디아세테이트계, 알킬- 및 알케닐말로네이트계 및 숙시네이트계 등의 단량체 폴리카르복시레이트계; 및 술폰화 지방산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유기 빌더는 적당하게는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 시트레이트계; 및 적당하게는 0.5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 아크릴계 중합체, 더욱 특히 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이다.
무기 및 유기 빌더 모두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염, 특히 나트륨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오르토포스페이트 및 피로포스페이트와 같은 무기 포스페이트 빌더를 함유하지 않거나 그 농도가 줄어든 세제 조성물에 특히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은 또한 필수 성분으로서 비누성 및 비비누성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 양쪽성계 및 쌍극성 이온계 세제-활성 화합물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세제-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많은 적당한 세제-활성 화합물은 구입가능하며 문헌[예를 들면, "Surface-Active Agents and Detergents", I 및 II권, Schwartz, Perry 및 Berch 著]에서 충분히 기술되어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세제-활성 화합물은 비누, 및 비비누성 음이온계 및 비이온계 합성 화합물이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의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들은 알킬벤젠 술포네이트계, 특히 알킬 쇄의 길이가 C8-C15인 선형 알킬벤젠 술포네이트계; 1차 및 2차 알킬술페이트계, 특히 C8-C151차 알킬 술페이트계;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계; 올레핀 술포네이트계; 알킬 크실렌 술포네이트계; 디알킬 술포숙시네이트계; 및 지방산 에스테르 술포네이트계를 포함한다. 나트륨염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1차 및 2차 알코올 에톡시레이트계, 특히 알코올 1몰당 평균 1 내지 20몰의 산화에틸렌으로 에톡시화된 C8-C20지방족 알코올계, 및 더욱 특별히는 알코올 1몰당 평균 1 내지 10몰의 산화에틸렌으로 에톡시화된 C10-C151차 및 2차 지방족 알코올계를 포함한다. 비에톡시화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알킬폴리글리코시드계, 글리세롤 모노에테르계, 및 폴리히드록시아미드계(글루카미드)를 포함한다.
세제-활성 화합물(계면활성제), 및 존재량의 선택은 세제 조성물의 의도된 용도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접시 세척기의 경우 비교적 저 농도의 저발포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직물 세탁 조성물에서는, 세수 제품(handwashing product)의 경우 및 상이한 유형의 세착기에서 사용하도록 의도된 제품의 경우 숙련된 제조자에게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상이한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다.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의 총량은 또한 의도된 최종 용도에 의존할 것이며, 예를 들면 접시 세척기용 조성물 중에서는 0.5 중량% 만큼 낮거나, 예를 들면 직물 손세탁용 조성물에서는 60 중량% 정도로 높을 수 있다. 직물의 세탁기용 조성물에서는 5 내지 40 중량%의 양이 일반적으로 적절하다.
대부분의 자동 직물 세탁기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세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음이온계 비비누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또는 임의의 비율로 둘을 조합한 것을 경우에 따라 비누와 함께 포함한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비누 및 고급 에톡시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기재 분말 중에 포함될 수 있다. 저급 에톡시화 계면활성제는 후첨가되는 것이 보다 적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함유 세제 조성물은 또한 적당하게는 표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용액 중에서 과산화수소를 생성할 수 있는 퍼옥시 표백 화합물, 예를 들면 무기 또는 유기 퍼옥시산, 및 알칼리 금속 퍼보레이트계, 퍼카르보네이트계, 퍼포스페이트계, 퍼실리케이트계 및 퍼술페이트계와 같은 무기 과산염 함유 조성물에 특히 관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더욱 특별히는 나트륨 퍼카르보네이트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표백 성분은 변함없이 후투여된다.
나트륨 퍼카르보네이트는 습기로 인한 탈안정화에 대한 보호용 코팅물을 가질 수 있다. 나트륨 메타보레이트 및 나트륨 실리케이트 함유 보호용 코팅물을 갖는 나트륨 퍼카르보네이트는 영국 특허 제2 123 044B호(Kao)에서 개시되어 있다.
나트륨 퍼카르보네이트와 같은 퍼옥시 표백 화합물은 적당하게는 5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나트륨 퍼카르보네이트와 같은 퍼옥시 표백 화합물은 낮은 세탁 온도에서의 표백 활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표백 활성화제(표백 전구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표백 전구체는 적당하게는 1 내지 8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표백 전구체는 퍼옥시카르복실산 전구체, 더욱 특히는 퍼아세트산 전구체 및 퍼옥시벤조산 전구체; 및 퍼옥시카르본산 전구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특히 바람직한 표백 전구체는 N,N,N',N'-테트라아세틸 에틸렌디아민(TAED)이다.
표백 안정화제(중금속 금속이온봉쇄제(sequestrant))도 존재할 수 있다. 적당한 표백 안정화제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EDTA) 및 EDTMP인 디퀘스트(Dequest, 상표) 등의 폴리포스포네이트계를 포함한다.
알칼리 금속 탄산염,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 등의 기타 물질이 본 발명의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 중에 존재하여 세정성을 증가시키고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탄산나트륨은 적당하게는 1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탄산나트륨을 거의 또는 전혀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탄산나트륨은 기재 분말 중에 포함되거나, 또는 후투여되거나 또는 양자일 수 있다.
기재 분말 중에 소량의 분말 구조화제, 예를 들면 지방산(또는 지방산 비누), 당,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말레에이트 중합체를 혼입하여 분말 유동을 개량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분말 구조화제는 적당하게는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지방산 비누이다.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는 기타 물질은 셀룰로스계 중합체와 같은 재침착 방지제; 오염 이형 중합체; 형광물질; 황산나트륨과 같은 무기염; 필요에 따라 거품 조절제 또는 거품 촉진제; 단백질 가수분해 및 지질 가수분해 효소; 염료; 착색 얼룩(coloured speckles); 향료; 발포물 조절제; 및 직물 유연화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함유 세제 조성물을 임의의 적당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세제 분말은 적당하게는 상용가능한 열-비민감성 성분의 슬러리를 분무 건조한 후 슬러리를 통하여 가공하기에 부적당한 성분 상에 분무하거나 또는 성분을 후투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함유 세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비분무 건조(타워 없음) 공정에 의해 제조한다. 기재 분말은 혼합하고 과립화하여 제조하고, 이어서 다른 성분을 함께 혼합한다(후투여한다).
기재 분말은 적당하게는 고속 혼합기/제립기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고속 혼합기/제립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EP 340 013A, EP 367 339A, EP 390 251A 및 EP 420 317A(유니레버)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서술>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서 추가로 기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제 조성물에서 특히 유용한 제올라이트 P형의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유럽 특허 공개 번호 제565,364호의 실시예 11에 따라서 얻은 제올라이트 P를 제조하였다. 세척 및 36 % 건조 고상물이 되게 여과한 후이나 건조 전에, 제올라이트 슬러리에 나트륨 실리케이트 용액(SiO2:Na2O 몰비가 2)(43 % 건조 고상물)을 첨가하여 제올라이트 P/나트륨 실리케이트 중량비가 10:1(건량 기준)를 얻었다. 얻어진 슬러리를 잘 혼합한 후 직접 가열된 공기(공기의 CO2함량은 약 2.2 중량%)를 사용하여 VOMM 건조기(VOMM Impianti사 제품)에서 건조하여 90 % 건조 고상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최종 슬러리의 제올라이트 P/나트륨 실리케이트 중량비(나트륨 실리케이트 첨가후)가 100:7.5(건량 기준)인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유럽 특허 공개 번호 제565,364호의 실시예 11에 따라서 얻은 제올라이트 P를 제조하였다. 세척 및 35 % 건조 고상물이 되게 여과한 후이나 건조 전에, 제올라이트 슬러리에 나트륨 실리케이트 용액(SiO2:Na2O 몰비가 2)(43 % 건조 고상물)을 첨가하여 제올라이트 P/나트륨 실리케이트 중량비가 10:1(건량 기준)를 얻었다. 이 슬러리를 여과하여 40.9 % 건조 고상물(d.s.)을 얻었다.
다음으로 얻어진 필터케이크를 중합체 용액(Narlex MA340, 네셔널 스타치 제품, 40 % d.s.)과 혼합하여 나트륨 실리케이트/중합체 중량비가 20:2:1에 도달하게 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물질을 실험실용 유체층 건조기(Retsch 제품)에서 건조하여 90 % 건조 고상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유럽 특허 공개 번호 제565,364호의 실시예 11에 따라서 얻은 제올라이트 P를 제조하였다. 세척 및 35 % 건조 고상물이 되게 여과한 후이나 건조 전에, 제올라이트 슬러리에 나트륨 실리케이트 용액(SiO2:Na2O 몰비가 2)(43 % 건조 고상물)을 첨가하여 제올라이트 P/나트륨 실리케이트 중량비가 100:8(건량 기준)를 얻었다. 이 슬러리를 여과하여 39.8 % 건조 고상물(d.s.)을 얻었다.
다음으로 얻어진 필터케이크를 중합체 용액(Narlex MA340, 네셔널 스타치 제품, 40 % d.s.)과 혼합하여 나트륨 실리케이트/중합체 중량비가 100:8:4에 도달하게 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물질을 실험실용 유체층 건조기(Retsch 제품)에서 건조하여 90 % 건조 고상물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4에서 얻은 생성물의 특징은 하기와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d50(㎛) 3.12 2.8 2.8 2.8
pH 11.3 11.1 11.7 11.7
CEBC 134 142 137 131
LCC(%) 83 82 72 73
그리트(%) 0.27 0.13 0.01 0.01

Claims (10)

  1. 제올라이트 P형 입자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상에 침착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를 함유하는 분말 형상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제올라이트 P형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65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7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 중량%(건량 기준) 및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건량 기준으로 상기 제올라이트 P형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의 중량비가 100/20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100/15 내지 100/3,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0 내지 100/5의 범위 내에 있는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가 SiO2:Na2O 몰비가 1.6 내지 4인 나트륨 실리케이트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량 평균 입도가 1 ㎛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6 ㎛,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내지 5 ㎛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효과적인 칼슘 결합 용량(Calcium Effective Binding Capacity(CEBC))이 110 내지 160 mg CaO/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g)(건량 기준),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55 mg CaO/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g)(건량 기준)인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포네이트계, 아미노 카르복시레이트계, 폴리카르복시레이트계, 시트레이트계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효량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가 10 내지 12 사이에 있는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9. 20 내지 46 % 고상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 고상물을 함유하는 제올라이트 P형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슬러리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를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추가로 건조시키는,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건조 과정 동안 개질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순환시키는 방법.
KR10-1998-0707274A 1996-03-15 1997-03-07 개질된알루미노실리케이트 Expired - Fee Related KR100464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605533.0 1996-03-15
GBGB9605533.0A GB9605533D0 (en) 1996-03-15 1996-03-15 Modified aluminosilicate
PCT/EP1997/001208 WO1997034980A1 (en) 1996-03-15 1997-03-07 Modified aluminosilic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597A true KR20000064597A (ko) 2000-11-06
KR100464891B1 KR100464891B1 (ko) 2005-02-28

Family

ID=1079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2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4891B1 (ko) 1996-03-15 1997-03-07 개질된알루미노실리케이트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448218B2 (ko)
EP (1) EP0892843B1 (ko)
JP (1) JP4110541B2 (ko)
KR (1) KR100464891B1 (ko)
CN (1) CN1137976C (ko)
AT (1) ATE332957T1 (ko)
AU (1) AU725258B2 (ko)
BR (1) BR9708055A (ko)
CA (1) CA2247222A1 (ko)
CZ (1) CZ294911B6 (ko)
DE (1) DE69736323T2 (ko)
ES (1) ES2268726T3 (ko)
GB (1) GB9605533D0 (ko)
HU (1) HU223053B1 (ko)
NO (1) NO984226L (ko)
PL (1) PL186173B1 (ko)
WO (1) WO1997034980A1 (ko)
YU (1) YU381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18596T1 (de) * 2001-03-29 2006-03-15 Topotarget As Succinimid- und maleimidderivate und ihre verwendung als katalytische inhibitoren der topoisomerase ii
CN1295312C (zh) * 2005-09-26 2007-01-17 江南大学 一种用凹凸棒粘土合成洗涤助剂的方法
CN104649291B (zh) * 2014-11-21 2017-01-18 中国铝业股份有限公司 一种沸石制备方法
DE102015014816B4 (de) * 2015-11-14 2018-01-18 Audi Ag Kupplungselement zum Verbinden fluidführender Leitungen sowie entsprechende Kupplungs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0347A (en) * 1971-06-24 1973-06-19 Grace W R & Co Acid stable molecular sieve products
US4265777A (en) * 1980-04-17 1981-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luminosilicate detergency builder and an unsaturated fatty acid soap
JPS5738317A (en) * 1980-08-12 1982-03-03 Toyo Soda Mfg Co Ltd Zeolite powder with high fluidity and its manufacture
DE3360741D1 (en) * 1982-02-08 1985-10-17 Union Carbide Corp Zeolite-containing deterge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GB9119958D0 (en) 1991-09-18 1991-10-30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DE4309656A1 (de) 1993-03-25 1994-09-29 Henkel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instteiligen zeolithischen Alkalimetallaluminiumsilicaten
PL179903B1 (pl) * 1993-11-24 2000-11-30 Unilever Nv Ziarnista, suszona nierozpylowo kompozycja detergentowa PL
ES2134830T3 (es) 1993-12-10 1999-10-16 Procter & Gamble Estabilizacion de ingredientes sensibles a la oxidacion en composiciones detergentes de percarbonato.
GB2287949A (en) * 1994-03-31 1995-10-04 Procter & Gamble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GB2287948B (en) * 1994-03-31 1998-04-08 Procter & Gamble Detergent composition
GB9605534D0 (en) * 1996-03-15 1996-05-15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6097A (en) 1997-10-10
ES2268726T3 (es) 2007-03-16
JP2000506922A (ja) 2000-06-06
NO984226L (no) 1998-09-15
CZ293898A3 (cs) 1999-05-12
DE69736323T2 (de) 2007-08-30
EP0892843A1 (en) 1999-01-27
CA2247222A1 (en) 1997-09-25
CN1213396A (zh) 1999-04-07
BR9708055A (pt) 1999-07-27
NO984226D0 (no) 1998-09-14
KR100464891B1 (ko) 2005-02-28
AU725258B2 (en) 2000-10-12
WO1997034980A1 (en) 1997-09-25
YU38198A (sh) 1999-09-27
CZ294911B6 (cs) 2005-04-13
PL186173B1 (pl) 2003-11-28
GB9605533D0 (en) 1996-05-15
JP4110541B2 (ja) 2008-07-02
ATE332957T1 (de) 2006-08-15
CN1137976C (zh) 2004-02-11
US20010009895A1 (en) 2001-07-26
HU223053B1 (hu) 2004-03-01
HUP9902096A3 (en) 2001-11-28
HUP9902096A2 (hu) 1999-10-28
US6448218B2 (en) 2002-09-10
EP0892843B1 (en) 2006-07-12
DE69736323D1 (de) 2006-08-24
PL328970A1 (en) 199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9125A (en) Process for preparing a phosphate-reduced granular detergent
JPH0649879B2 (ja) 洗剤組成物、その成分、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291869A2 (de) Phosphatfreies Waschmittel mit reduzierter Inkrustierungstendenz
GB2174712A (en) Detergent adjuvant granules
JPH05202398A (ja) 洗剤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DE2412839B2 (de) Verfahren zum Waschen von Textilien, sowie Mittel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NO153338B (no) Partikkelformig blekemiddel og anvendelse derav
US4397777A (en) Heavy duty laundry detergent
KR950008984B1 (ko) 입자상 표백 세제 조성물
KR100464891B1 (ko) 개질된알루미노실리케이트
JPH04342798A (ja) 洗剤組成物
US5854198A (en) Particulate aluminosilicate-built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cogranules of zeolite map and alkali metal silicate
JP2002502457A (ja) 粒状洗剤
AU619597B2 (en) A composition for softening fabrics
WO1994025558A1 (de) Pulverwaschmittel mit silikatischem builder, spezieller tensidkombination und lipase
JP3297383B2 (ja) 洗浄剤組成物
DE19936614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schmittels
GB2274849A (en) Detergent bars containing enzymes.
KR900004541B1 (ko) 세제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HU217767B (hu) Eljárás detergens kompozíció előállítására
CA1057618A (en) Particulate hydroxyalkyl iminodicarboxylate detergent compositions
JPH09227896A (ja) 漂白洗剤組成物
DE9018184U1 (de) Gerüststoff für Waschmittel
CA2105017A1 (en) Dry bleach composition with improved dispersibility
EP0769045A1 (de) Waschmittel mit cellul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3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