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62266A - 흡수제품 및 생리대 - Google Patents

흡수제품 및 생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266A
KR20000062266A KR1019997005623A KR19997005623A KR20000062266A KR 20000062266 A KR20000062266 A KR 20000062266A KR 1019997005623 A KR1019997005623 A KR 1019997005623A KR 19997005623 A KR19997005623 A KR 19997005623A KR 20000062266 A KR20000062266 A KR 20000062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ed
absorbent
topsheet
window
absorbent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8583B1 (ko
Inventor
리너드케이시수잔
브루스앤홀랜드
브라운파멜라진
크레이그스테파니
커크브라이드타나마리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riority to KR1019997005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583B1/ko
Publication of KR2000006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보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접합되는 요소를 갖고 획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신체측 측면에 비접합 윈도우를 갖는, 생리대, 팬티 라이너, 성인용 실금 제품 등과 같은 흡수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 흡수제품은 복수의 개별적인 접합 영역에서 하측의 액체 투과성 또는 흡수 층에 융합되는 상면시트를 포함한다. 이 흡수제품은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제품의 영역으로 둘러싸인, 접합 영역이 거의 없는 비접합 윈도우를 갖는다.

Description

흡수제품 및 생리대{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생리형, 소변 및 대변과 같은 신체 배설액을 ??수하도록 구성된 모든 방식의 다양한 흡수제품이 물론 널리 공지되어 있다. 흡수제품은 다수의 물질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액체 투과성 층과 흡수 층과 액체 불투과성 층을 구비한다. 또한 이들 층 사이에는 추가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그러한 추가의 층은 각종 상이한 목적을 가질 수 있다.
흡수제품의 층은 접착제, 권축(crimping), 융합 및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다른 방법과 같은 어떤 종래의 수단에 의하여 주변부가 서로 고착되어 있다. 이 흡수제품은 그 주변부에 액체 불투과성 결합제를 가질 수 있으며, 많은 경우에는 그러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것은 흡수제품의 기능에 간섭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면들 사이에서도 층들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자주 있을 것이다. 이 층들의 면간 부착은 어떤 기술적인 문제를 제공한다. 그것은 상부의 액체 투과성 층과 흡수성 층을 부착시키는 것이 소망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주변부에서 층들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수단을 이용할 수는 없는데, 그 이유는 흡수성 층으로의 액체의 흐름을 봉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다르는 다수의 시도가 있었다. 그러한 시도중 하나로서 고온 용융성 접착제 및 다른 비수계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그러한 접착제는 신체 배설액과의 접촉시 잘 용해되지 않을 것이다. 아래쪽에 놓여 있는 층으로의 액체 흐름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도로서 접착제를 대단히 얇은 층으로 또는 특정 패턴으로 도포하는 시도도 있었따. 1986년 3월 4일자로 미네톨라 등(Minetola et al.)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73,986 호에는 접착제를 도포하는 하나의 바람직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미네톨라 등의 특허에 개시된 방식으로 도포된 접착제가 상당히 훌륭하하게 작용하는데에도 불구하고, 흡수성 제품의 층의 면들을 고착시키기 위한 방법을 개량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그러한 층의 면들을 고착시키기 위한 방법을 개량하고자 노력하는 주 이유는 많은 경우에 이 접착제가 초기에는 충분히 기능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접착성이 약화되어 액체 흡수성 층이 분리되어지는 것이다. 이 문제는 흡수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할 때 특히 명백하다. 이 문제는 액체 투과성 층이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일 때에는 더 심화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소유하고 있는 특허에 따라 제작된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이 대단히 훌륭하게 작용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들을 그 아래의 층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플라스틱 필름은 아주 얇아서, 그들이 분리되었을 때 착용자 신체의 갈라져 있는 틈새(예를 들면 착용자 엉덩이 사이의 공간)로 이동하는 일이 자주 있다. 이것은 대단히 불편하고 자극적이다. 그것의 플라스틱 조성으로 인해서, 이들 경우중 일부는 액체 투과성 층이 착용자 피부로 고르게 점착될 수도 있다. 접착제는 착용자의 신체 근방에서 필름에 끈적끈적한 표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액체 투과성 층이 착용자의 피부에 달라 붙게 될 수도 있다.
천공 필름이 흡수성 층으로부터 분리되면, 배설분비물이 제품의 상면에서 종방향 에지를 따라 이탈될 수도 있다. 더구나, 배설분비물이 스며들도록 필름과 접촉하고 있는 하측의 흡수성 층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면, 배설분비물이 필름을 계속 관통하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것은 흡수성 코어를 위한 에어펠트 배트를 갖는 두꺼운 패드의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그러한 두꺼운 패드의 흡수성 코어는 처음 젖게 되었을 때 제품의 중앙이 쭈글쭈글해지거나 주름이 잡히는(또는 횡방향으로 모임) 경향이 있다. 이 분리되어 모인 성형 필름은 하측의 흡수성 물질 없이 종방향 에지 근방에 있는 패드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제품의 상부에서 종방향 에지를 따라 유출 또는 누설될 가능성이 증가될 것이다.
각종 상이한 목적으로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함께 고정된 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는 특허가 여러개 있다. 가라미(Karami)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3,965,906 호 및 제 4,184,902 호, 버터워드(Butterworth)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391,861 호, 매튜스(Matthews)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397,644 호, 겔러트(Gellert)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475,911 호, 가라미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젝 4,726,976 호, 게벨(Gebel)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752,349 호, 반 곰펠(Van Gompel)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753,840 호, 윌하이트 2세(Willhite, Jr.)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823,783 호, 폭스만(Foxman)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844,965 호, 및 수키에니크(Sukiennik)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08,026 호에는 그러한 노력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의 대부분은 부직물질과 같은 흡수성 물질 또는 액체 투과성 물질상에 천공 성형 필름을 융합하는 것을 개시하지 안고 있다. 그러한 특허는 또한 획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신체측 측면에 비접합 윈도우를 갖는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도 개시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층 사이, 특히 최상측 액체 흡수성 층 사이의 결합이 개선된 흡수제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층들 사이, 특히 최상측 액체 투과성 층들 사이에, 사용기간이 길어져도 부착을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바람직하지 않은 권축에 대하여 더욱 제어된 저항을 구비하는 결합을 갖는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수성 층으로의 액체의 획득에 간섭하지 않는 방식으로 결합하는 액체 투과성 층을 갖는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의 설명을 읽으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보존성을 제공하기 위한 결합 영역과, 획득성이 개선되도록 신체측 측면에 비접합 윈도우를 갖는, 기저귀, 생리대, 팬티 라이너, 성인용 실금 제품 등과 같은 흡수제품이 제공된다.
흡수제품은 천공된 열가소성 필름과 같은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와, 상면시트에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와, 흡수성 코어와, 적어도 하나의 획득 요소를 구비하는 생리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는 상면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된다. 획득 요소는 섬유상 부직 웨브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질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획득 요소는 상면시트와 흡수성 코어의 사이에 위치된 별도의 요소일 수도 있고, 또는 상면시트의 일부 또는 흡수성 코어의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면시트와 획득 요소는 면 대 면 접촉 관계로 배치되며, 상면시트의 면은 분리된 결합 영역에서 획득 요소의 면에 고착된다. 분리된 결합 영역은 융합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영역은 서로 이격되고 생리대의 액체 수납 구역내의 비접합 윈도우를 제외한 생리대의 신체측 면의 거의 전부에 걸쳐서 분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획득 요소가 결합되어 있는 상면시트와 배면시트는 생리대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함께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것 중에서도 특히 상면시트와 획득 요소의 부착에 의해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상면시트와 획득 요소의 면들의 융합은 비록 사용기간이 길어져도 상기 요소를 부착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유지되는 결합은 하측의 흡수성 층을 천공된 필름 상면시트와 일정하게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액체가 하측의 층으로 흡수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결합되지 않은 윈도우는 액체가 하측의 층내로 획득되는 것에 간섭하지 않는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 라이너, 성인용 실금 제품 등과 같은 흡수제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획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신체측 측면에 비접합 윈도우를 갖고 보존성이 개선된 생리대 등과 같은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생리대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생리대의 2-2선 횡단면도이다.
도 3은 플랩중 하나의 중앙부를 통한 도 1의 3-3선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보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결합된 요소를 갖고 획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신체측 측면에 비접합 윈도우를 갖는, 생리대, 팬티 라이너, 실금 제품 등과 같은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리대(2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대(20)는 하나의 흡수성 수단(또는 "본체부")(22) 및 2개의 선택적인 플랩(2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대(20)는 2개의 표면, 즉 신체측 표면 또는 "신체 표면"(20A)과 의복측 표면(20B)을 갖는다. 신체측 표면(20A)은 착용자 신체의 근방에 착용되도록 의도된다. 의복측 표면(20B)은 생리대(20)의 착용시 착용자 속옷 근방에 위치되도록 의도된다.
생리대(20)는 2개의 중앙선, 즉 주 종방향 중앙선(L)과 주 횡방향 중앙선()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종방향"이란 용어는 생리대(20)의 착용시 생리대(20)의 평면에 있어서 서 있는 착용자를 좌측과 우측 신체의 절반으로 양분하는 수직 평면과 대체로 정렬된 (예를 들면 수직 평면에 거의 평행한)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횡방향"또는 "측방향"이란 용어는 상호 교환가능한 것으로서, 종방향에 대체로 수직한 생리대(20)의 평면내에 놓이는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도 1은 플랩(24)을 제외한 생리대의 부분을 포함하는 생리대(20)의 본체부(22)를 도시한다. 본체부(22)는 그의 주변부(30)를 함께 형성하는 2개의 이격진 종방향 에지(26)와 2개의 이격진 횡방향 에지(또는 "단부")(28)를 갖는다. 또한 본체부(22)는 제 1 단부 영역(32)과 제 2 단부 영역(34)으로 지정된 2개의 단부 영역을 갖는다. 이 두 개의 단부 영역(32, 34) 사이에는 중앙 영역(36)이 배치된다. 단부 영역(32, 34)은 중앙 영역(36)의 에지로부터 본체부의 길이의 약 1'8 내지 약 1'3로 종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생리대의 하나의 중앙 영역과 2개의 단부 영역의 특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1987년 9월 1일자로 히긴스(Higgins)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690,680 호에 포함된다. 생리대(20)는 주 종방향 중앙선(L)의 적어도 일부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종방향 중앙 영역(16)과, 종방향 중앙 영역(16)의 횡방향 외측에 놓이는 종방향 측부 영역(18)을 갖는다.
생리대(20)의 본체부(22)는 임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비교적 두꺼운 것, 중간 두께의 것, 비교적 얇은 것, 심지어는 아주 얇은 것(또는 "초박형")도 가능하다. 오스본(Osborn)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50,264 호와 제 5,009,653 호에 기술된 바와 "초박형"생리대(20)는 약 3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한 생리대(20)의 실시예는 초박형 생리대의 일예로서 의도된다. 생리대(20)의 본체부(22)는 착용자가 편안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비교적 가요성일 수도 있다. 그러나, 도시한 생리대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특정 구성 또는 유형을 갖는 흡수제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리대(20)의 본체부(22)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생리대의 본체부(22)는 적어도 4개의 주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38)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0)와, 이들 사이에 위치된 흡수성 코어(42)와, 저겅도 하나의 획득 구성요소(44)를 구비한다. 획득 구성요소(44)는 상면시트(38)와 흡수성 코어(42)의 사이에 위치된 분리된 요소일 수도 있고, 또 복합 상면시트의 일부 또는 흡수성 코어(42)의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생리대(20)의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에 기술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어떤 적절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면시트(38)는 액체(예를 들면 생리형 및/또는 소변)가 두께를 통하여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이다. 상면시트(38)는 가급적 착용자의 피부에 잘 부합하고 느낌이 부드러우며 비자극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상면시트(38)는 직물 및 부직물; 천공된 성형 플라스틱 필름,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및 하이드로폼된 열가소성 필름과 같은 중합체성 물질, 다공성 망상 포움; 망상 열가소성 필름; 열가소성 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적절한 직물 및 부직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천연섬유(나무 또는 목면 섬유), 합성섬유(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올레핀 섬유와 같은 중합체 섬유), 또는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시트의 바람직한 유형은 천공된 성형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다. 천공된 성형 필름은 신체 배설분비물에 대하여 투과성이기 때문에 상면시트용으로 바람직하고, 적절히 천공된다면 액체가 착용자의 피부로 역류하여 그것을 다시 적시는 것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신체와 접촉하고 있는 성형 필름의 표면은 건조상태로 유지되므로, 신체의 더럽혀짐을 감소시켜서 착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느낌을 준다. 1975년 12월 30일자로 톰슨(Thompson)에게 특허된 "두께가 경사진 흡수성 구조체"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3,929,135 호와; 1982년 4월 13일자로 물란(Mullane) 등에게 특허된 "내변형성 상면시트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이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324,246 호와; 1982년 8월 3일자로 라델(Radel) 등에게 특허된 "섬유형 특성을 나타내는 탄성 플라스틱 웨브"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342,314 호와; 1984년 7월 31일자로 아(Ahr) 등에게 특허된 "무광택 가시 표면과 의류형의 감촉 자국을 나타내는 거시적으로 팽창된 3차원 플라스틱 웨브"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463,045 호와; 1988년 10월 25일자로 팔룸보(Palumbo)에게 특허된 "흡수성의 위생적인 생리용품용 커버링 구조체와 그러한 커버링을 갖는 흡수제품"이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780,352 호와; 1991년 4월 9일자로 바이어드(Biard)에게 특허된 "다층 중합체 필름"이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006,394 호와; 1995년 5월 31일자로 오울레테(Ouellette) 등이 출원한 "표면 에너지 구배를 나타내는 유체 이동 웨브"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출원 제 08/442,935 호(1996년 1월 11일자로 공개된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 WO 96/00548 호)에 적절한 성형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면시트(38)의 신체측 표면은 액체가 상면시트를 통하여 보다 빨리 이동할 수 있도록 친수성이다. 이것은 생리혈 유체가 흡수성 코어내로 흘러서 그 내로 흡수되지 않고 그 반대로 상면시트로부터 흐를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상면시트(38)의 신체측 표면은 그것을 표면 활성제로 처리함으로써 친수성으로 만들 수 있다. 상면시트를 계면 활성제로 처리하는 적절한 방법이 오스본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50,254 호에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면시트(38)는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가 생리대 위에 DRI-WEAVE 상면시트로서 판매하고 있는, 라델 등의 미국 특허 제 4,342,314 호와; 아 등의 미국 특허 제 4,463,045 호에 따라 제조된 천공된 성형 필름을 포함한다. 그러한 천공된 필름은 미국 인디애나주 테레 소재의 트레데가 필름 프로덕츠(Tredegar Film Products)로부터 제품 번호 제 X-5652 호로서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조중 천공된 필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수지가 그 내에 표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시트(38) 아래에는 획득 요소(또는 "획득 층")(44)가 놓인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층"또는 "웨브"라는 용어는 단일의 펼쳐진 시트, 접힌 시트, 물질의 스트립, 비결합 또는 결합 섬유, 물질의 다층 또는 적층체, 또는 이들 물질의 다른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2개의 용어는 따라서 단일의 펼쳐진 층 또는 물질 시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획득 요소(44)는 상면시트(38)를 통하여 액체를 흡인하는 생리대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면시트(38) 아래에 보이드 용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획득 요소(44)는 생리대(20)가 개선된 내권축성을 갖도록 측방향 압축력에 대하여 복원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획득 요소(44)는 액체 투과성이어야 한다. 또한 획득 요소(44)는 유연하고 느낌이 부드럽고 착용자의 피부에 대하여 무자극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획득 요소(44)는 신체측 면(또는 측면)과 의복측 면을 갖는다. 획득 요소(44)는 어떠한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획득 요소(44)는 생리대(20)의 본체부(22) 위에 놓이는 상면시트(38) 부분과 마찬가지로, 약간 오목한 측부 에지를 갖는 레이스 트랙의 형상이다. 그러한 획득 요소(44)의 치수는 상면시트(38) 만큼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획득 요소(44)는 상면시트(38)가 융합될 수 있는, 상기 목적에 적합한 임의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획득 요소(44)는 예를 들면 직물 또는 부직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섬유 또는 이들 물질의 다른 요소는 합성 물질이나 부분적으로 합성 물질 또는 부분적으로 천연 물질일 수 있다. 적절한 합성 섬유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점성 레이온 또는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 섬유를 들 수 있다. 적절한 천연 섬유로는 목면, 셀룰로우스 또는 다른 천연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획득 요소(44)는 가교결합된 셀룰로우스 섬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획득 요소(44)는 부직물의 겨우에 다수의 상이한 프로세스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들 프로세스로는 공기 적층(air laid), 습윤 적층, 멜트 블로운, 스펀본디드, 카디드, 열접합, 공기 통과 접합, 분말 접합, 라텍스 접합, 용제 접합, 스펀레이스드(spunlaced)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획득 요소(44)는 2개의 부직물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적층체의 최상측 층(또는 "2차 상면시트")(46)은 미국 와싱톤주 와셔우갈 소재의 파이버웨브 노스 아메리카(Fiberweb, North America)에서 구입할 수 있는 제품 번호 제 065MLPV60U (또는 "P-9") 호의 19g/yd2(22.5 g/m2) 스펀본디드 폴리프로필렌 부직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의 하측 층(또는 "3차 상면시트")(48)은 분말 접합 및 라텍스 접합을 이용하여 열적으로 접합된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은 약 77%의 셀룰로우스 섬유, 약 20%의 분말 접합제 및 약 3%의 라텍스 접합제(웨브의 각 측면에 1.5% 분사됨)를 포함하며, 약 50g/yd2(약 60g/m2)의 기본 중량을 갖는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 기술한 모든 비율을 중량을 나타낸다.) 그러한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은 캐나다 브라티쉬 콜롬비아 델타 소재의 머핀 하이지닉 프로덕츠 리미티드(Merfin Hygienic Products, Ltd.) 에서 제품 번호 제 90830X312 호로서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2개의 부직 층은 스펀본드된 폴리프로필렌 부직물상에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을 용착함으로써 함께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펀본드된 물질은 이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프로세스 에이드(process aid) 또는 캐리어 웨브로서 사용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스펀본드된 폴리프로필렌 부직물은 보다 크거나 보다 작은 기본 중량을 가질 수도 있고, 또 공기 적층식 티슈, 습윤 적층식 티슈, 또는 전술한 임의의 물질로 대체될 수도 있다. 폴리프로필렌 부직물 대신에 습윤 적층식 티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완성품에서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이 습윤 적층식 티슈 층의 위에 놓일 수 있도록 적층체의 방향이 역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꺼운 생리대의 경우에는 전술한 획득 요소중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하나의 바람직한 두꺼운 생리대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밀도 라텍스 접합의 공기 적층식 물질이 전체 획득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즉 3차 상면시트가 필요하지 않다). 이 목적에 적합한 저밀도 라텍스 접합의 공기 적층식 물질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마운트 홀리 소재의 워키소프트 유에스에이(Walkisoft, USA)로부터 구입한 제품 번호 제 FG413MHB 호로서 알려져 있는 약 80g/m2의 기본 중량을 갖는 물질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면시트(38)를 획득 요소(44)에 융합되는 것으로서 대체로 기술하고 있다. 이것은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행해졌다.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동시에 기술하는 것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는 것이 더 쉽다.) 상면시트(38)가 하나 이상의 다른 하측의 요소에 융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장 넓은 의미로서, 상면시트는 하측의 제 2 요소에 융합된 제 1 요소를 포함한다. 제 2 요소는 별도의 요소일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제 2 요소가 상면시트의 일부, 코어의 일부, 어떤 다른 요소의 일부와 같은 다른 요소의 일부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다른 변형예에 있어서는, 획득 요소(44) 전체가 생략될 수도 있다. 획득 요소(44)가 코어(42)의 일체적 층으로 된 실시예나 전체가 생략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면시트(38)가 흡수성 코어(42)의 일부에 융합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획득 요소(44)가 없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면시트(38)가 융합될 수 있는 적어도 어떤 유형의 섬유(바람직하게는 합성 섬유)로 흡수성 코어(42)를 구성할 수도 있다. 융합을 촉진하기 위해서 흡수성 코어(42)의 신체측 표면 근방에 충분한 양의 상기 섬유가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로서, 흡수성 코어(또는 다른 하측의 요소)가 분말 접합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면시트(38)는 흡수성 코어(42)(또는 그러한 하측의 요소)내의 분말 접합제에 융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획득 요소(44)는 천공 성형 필름(38)과 부직 적층체인 획득 요소(44)의 면을 융합 접합시킴에 의해서 천공 성형 필름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요소는 하나의 표면 영역을 가로질러 접합되는데, 이 표면 영역은 생리대(20)의 신체측 측면(20A) 상에 "접합 영역"(50)을 형성한다.
상면시트(38)와 부직 적층체(44)는 복수의 이산된 접합영역(또는 "접합부")(52)에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접합부(52)가 이격 및 이산되지 않도록 그들을 서로 접촉시키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접합 영역은 생리대(20)의 신체측 측면(20A)위에 이격 분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그의 일부 예외로서 생리대의 액체 수납 구역내에 비접합 윈도우(54)가 형성된다].
이산된 접합 영역은 융합 접합부(5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합은 열 및/또는 압력 접합, 초음파 접합, 동적인 기계식 접합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역회전 로울 사이에서 접합되도록 요소들을 이동시키는 것, 앤빌상에 물질을 배치하는 것, 물질을 플래튼으로 누르는 것, 진공 압력을 인가하는 것 등과 같은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상면시트(38)를 획득 요소(44)에 융합하는데에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하기 특허의 적어도 일부에 기술되어 있다: 섀퍼(Schaefer) 의 미국 특허 제 4,430,148 호와; 키비트(Kievit) 등의 미국 특허 제 4,515,595 호와; 퍼슨(Persson) 등의 미국 특허 제 4,531,999 호와; 라쉬(Lash)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710,189 호와 제 4,808,252 호와; 윌하이트 2세(Willhite, Jr.) 등의 미국 특허 제 4,823,783 호와; 볼(Ball)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854,984 호와 제 4,919,756 호와; 1992년 9월 14일자로 크리(Cree) 등이 출원한 특허된 미국 특허출원 제 07/944,764 호(이 특허출원은 1993년 6월 24일에 국제 특허출원 제 WO 93/11725 호로서 공개됨).
융합 접합은 어떤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개별적인 융합 접합부(5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부(52)는 많은 상이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접합 패턴을 도시한다. 패턴을 만드는 개별적인 접합부(52)는 임의의 평면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접합부(52)가 직선 또는 곡선, 원,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형 등과 같은 기하학적인 형상 또는 불규칙 형상의 형태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융합 접합부(52)는 복수의 원형 접합부를 포함한다. 융합 접합부(52)는 어떤 적절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고, 적절한 밀도의 범위 내에서 생리대의 신체측 측면(20A)을 가로질러 분배될 수도 있다. 융합 접합부(52)는 약 1mm 이상 약 3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한 생리대(20)에 있어서, 융합 접합부는 직경이 약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합 접합부(52)는 생리대(20)의 전체 표면적의 약 5% 내지 약 10%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약 7%를 덮는 것이다.
원형 접합부(52)는, 생리대의 액체 수납구역에 있는 비접합 윈도우(54)를 제외하고는 바람직하게는 생리대의 전체 신체측 표면(20A)위에 분산배치되는 일 패턴으로 배열된다. 액체 수납구역은 착용자 회음영역의 아래에 놓이는 생리대 부분이다. 비접합 윈도우(54)의 영역은 적어도 착용자 회음영역 만큼 크거나 또는 그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영역은 횡방향으로는 폭이 약 1cm 이상이고 종방향으로는 길이가 약 5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비접합 윈도우(54)의 크기가 이 비접합 윈도우(54)의 영역에서 그내의 접합 부족으로 인하여 천공 필름(38)을 하측의 획득 요소로부터 약간 분리시킬 수 있을 만큼 큰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한 생리대(20)에 있어서는, 비접합 윈도우(54)가 종방향 및 횡방향 중앙선 주변에 중심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특히 생리대가 횡방향 중앙선 둘레에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는 비접합 윈도우(54)가 횡방향 중앙선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편위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접합 윈도우(54)가 폐쇄형의 기하학적 모양(56)의 구성으로 배열된 다수의 융합 접합제(52)로 규정된다. 이 폐쇄형의 기하학적 모양(56)은 비접합 윈도우(54)의 둘레에 다수의 대향하는 오목한 내향 곡선으로 배열된 복수의 융합 접합부(52)로 형성된다. 이 모양의 가장 좁은 지점에서 그것의 폭 또는 횡방향 치수는 약 0.75인치(약 1.9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모양의 길이 또는 종방향 치수는 생리대(20)의 종방향 중앙선을 따라 측정할 때 약 3.5인치(약 8.9cm)인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형 기하학적 모양을 형성하는 곡선은 한쌍의 오목한 종방향 선(56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오목한 종방향 선(56A)은 각기 2열의 접합부를 포함하고, 인접한 열내의 접합부(52)는 평행한 형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접합부(52)는 밀접하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과적으로 종방향으로는 액체가 스며들지만 횡방향으로는 배설분비물, 특히 생리혈에 대한 흐름 장벽을 제공하여, 생리혈이 생리대(20)의 종방향 측부 에지(26)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접합 윈도우(54)를 둘러싸는 폐쇄형 기하학적 모양의 단부는 첨두 형상의 모양을 형성하는 곡선(56B)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두 형상의 모양을 포함하는 2개의 원호의 교차점은 생리대의 종방향 중앙선을 따라 놓인다. 첨두 형상의 모양을 형성하는 이들 곡선(56B)이 대체로 2열의 접합부를 포함하지만, 이들 접합부가 정확히 평행한 패턴으로 배치되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폐쇄형 기하학적 모양(56)의 종방향 및 횡방향 외측에 위치된 접합부(52)도 있다. 이 융합 접합부는 비접합 윈도우(54)를 둘러싸고 있어야만 한다. 이 융합 접합부(52)는 생리대(20)의 제 1 단부 영역(32)과 제 2 단부 영역(34)과 종방향 측부 영역(18)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접합 윈도우(54) 외측의 융합 접합부(52)는 생리대의 신체측 측면(20A)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분산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후자의 접합부(52)는 다수의 적절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접합부는 "누빈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접합부(52)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모양(57A)으로 배열된 복수의 원형 접합부를 포함하는 패턴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아몬드 형상의 모양(57A)을 형성하는 접합부는 모양(57B)을 형성하는 복수의 접합부를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둘러싸인 모양(57B)은 변형된 다이아몬드 형상에서부터 타원 형상까지 다양할 수 있다. 종방향 측부 영역(18)에는, 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다이아몬드 형상의 모양중 일부만이 존재한다. 처리상의 이유로, 누빈 패턴의 접합부가 접합부의 반경을 삼제곱근으로 곱한 것과 동일한 거리만큼 종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방향에 있어서는 이들이 적절한 간격으로 있을 수 있다.
또한 획득 요소(44)는 접착제로 상면시트(3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 접착제가 상면시트(38)와 획득 요소(44) 사이의 전체 접촉면을 가로질러 분산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비접합 윈도우(54)의 영역에 있어서는 접착제가 이들 2개의 구성요소 사이에 도포되지 않는다.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가 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습윤 강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습윤 강도 접착제는 액체의 존재시 그의 접합 능력을 보유할 수 있는 것이다. 습윤 강도 접착제는 1995년 10월 24일자로 드라구(Dragoo)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460,622 호에 기술되어 있다.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에, 이 접착제는 액체가 상면시트로부터 하측의 획득 층 또는 다른 하측 층으로 이동하는 것에 간섭하지 않는다. 접착제는 멜트블로운된 접착제 섬유와 같은 균일한 연속 층, 또는 패턴화된 층, 분리된 접착제의 선, 나선, 또는 점들의 배열구조로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 부착 수단은 1986년 3월 4일자로 미네톨라(Minetola)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73,986 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접착제 필라멘트의 개방형 패턴 망이나, 또는 1975년 10월 7일자로 스프라그 2세(Sprague Jr.)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3,911,173 호와; 1978년 11월 22일자로 지커(Ziecker)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785,996 호아; 1989년 6월 27일자로 웨레닉츠(Werenicz)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842,666 호에 개시된 장치 및 방법으로 예시된 것과 같은 나선 패턴으로 형성된 여러개의 접착제 필라멘트의 선을 포함하는 필라멘트의 개방형 패턴 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체측 측면(20A)의 거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획득 요소(44)를 상면시트(38)의 하측에 접합하면 여러가지의 잇점이 있다. 우선 이들 층 간의 부착 강도가 현재 판매되고 있는 ALWAYS ULTRA 생리대의 접착제 부착 층에 비하여 향상된다. 획득 층을 포함하는 물질의 탄성 특성 및 향상된 부착 강도로 인하여, 사용시 생리대(20)가 바람직하지 않은 권축을 적게 받으며, 따라서 착용자의 팬티의 최대 영역을 더욱 잘 덮을 수 있다(즉 "덮는 면적"이 향상된다). 더구나, 비접합 윈도우(54)는 접합부의 존재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액체의 획득에 대한 간섭을 배제함과 아울러 생리대의 액체 취급 능력을 최대화시키기 위하여 생리대(20)의 신체측 측면(20A)의 액체 수납 구역에 무접합 영역을 제공한다.
흡수성 코어(42)는 획득 요소(44)의 아래에 놓인다. 흡수성 코어(42)는 액체(예를 들면 생리혈 및/또는 소변)를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는 임의의 흡수성 수단일 수도 있다. 흡수성 코어(42)는 신체측 표면, 의복측 표면, 측부 에지 및 단부 에지를 갖는다. 흡수성 코어(42)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예를 들면 직사각형, 타원형, 모래시계형, 개뼈형, 비대칭형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42)가 직사각형이고 획득 요소(44)의 주변부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갖는다.
흡수성 코어(42)는 생리대 및 다른 흡수제품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액체 흡수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흡수성 물질의 예로는, 에어펠트라보통 불리고 있는 분쇄된 목재 펄프; 크레이프된 셀룰로우스 웨딩; 코폼(coform)을 구비하는 멜트블로운된 중합체; 화학적으로 강화, 개질 또는 가교결합된 셀룰로우스 섬유; 크림프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같은 합성 섬유; 토탄 이끼; 티슈 랩(tissue wrap) 및 티슈 적층체를 포함하는 티슈; 흡수성 포움; 흡수성 스폰지; 초흡수성 중합체; 흡수성 겔화제; 도는 이들의 어떤 균등한 물질 도는 이들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흡수성 코어의 형태 및 구성이 변경될 수도 있다[예를 들면 흡수성 코어의 두께 영역(예를 들면 중앙이 더 두꺼운 형상으로 된 것), 친수성 구배, 초흡수성 구배, 또는 보다 낮은 밀도과 보다 낮은 평균 기본 중량 획득 구역이 변경될 수도 있고; 또 하나 이상의 구조체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흡수성 코어의 전체 흡수 용량은 생리대의 의도된 용도 및 설계 하중에 필적하여야 한다. 게다가, 흡수성 코어의 크기 및 흡수 용량이 실금 패드, 팬티라이너, 보통 생리대 또는 오버나이트 생리대와 같은 상이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42)가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수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이 약 52%의 셀룰로우스 섬유, 약 20%의 2종 섬유, 약 25%의 초습수성 하이드로겔 형성 물질(또는 흡수성 겔화제) 입자, 및 약 3%의 라텍스 접합제를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42)는 약 12.5g/yd2(약 150g/m2)의 기본 중량을 가지며, 흡수성 겔화제의 입자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룰로우스 및 2종 섬유의 3개 스트림(마지막 섬유의 스트림에는 흡수성 겔화제 입자가 배치됨)를 용착하는 것에 의하여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 흡수성 코어(42)를 형성하여, 흡수성 코어의 바닥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는 흡수성 코어(42)가 적층체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섬유가 함께 혼련되어 단일의 웨브를 형성한다. 그러한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을 머핀 하이지닉 프로덕츠에서 판매하는 제품 번호 제 915000X313 호로서 롤 형태로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 용으로 사용되는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을 라텍스 이외의 물질(예를 들면 녹말 또는 PVA)을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는 기본 중량이 약 150g/yd2이고 흡수성 겔화제 입자가 사이에 있는 2 (이상의) 층의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을 포함하는 적층체로서 흡수성 코어를 형성할 수 있다. 오스본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50,264 호 및 제 5,009,653 호와; 에메네이커(Emenaker)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460,623 호에 적절한 적층체 흡수성 코어 구조체가 대체로 기술되어 있다. 1993년 9월 16일자로 하인즈(Hines) 등이 출원한 "볼록한 상향 형태로 사전 배치된 코어를 갖는 생리대"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출원 제 08/122,114 호(1995년 3월 23일자로 공개된 국제 특허출원 제 WO 95/07674 호)에 다른 적절한 흡수성 코어가 기술되어 있다.
보다 두꺼운 생리대의 경우에는, 흡수성 코어(42)가 에어펠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두꺼운 생리대에 적합한 흡수성 코어가 스넬러(Sneller)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234,422 호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면시트(38), 획득 요소(44) 및 흡수성 코어(42)가 스넬러 등의 특허에 개시된 것과 같은 엠보싱된 채널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엠보싱된 채널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비부착 윈도우(54)의 측부를 규정하는 오목한 종??향 선(56A)의 횡방향 외측에 상기 채널이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시트(40)는 흡수성 코어(42)내에 흡수 수납되어 있는 배설분비물이 팬츠, 파자마 및 속옷과 같은 생리대(20)와의 접촉 제품을 적시는 것을 방지한다. 배면시트(40)는 액체의 흐름에 대하여 저항력이 있고, 액체(예를 들면 생리혈 및/또는 소변)에 대하여 불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시트(40)는 가요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가요성"이란 용어는 유연하며 신체의 대체적인 형상 및 윤곽에 쉽게 부합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배면시트(40)는 직물 또는 부직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열가소성 필름과 같은 중합체 필름, 또는 필름 코팅된 부직물의 복합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것은 배면시트(40)가 약 0.012mm(0.5mil) 내지 약 0.051mm(2.0mil)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인 것이다. 배면시트(40)는 보다 의류와 같은 외관을 제공하기 위하여 엠보싱 및/또는 매트 마무리가공될 수도 있다. 더구나, 배면시트(40)는 증기가 흡수성 코어(42)로부터 탈출하는 것은 허용하지만(즉 통기성임), 배설분비물이 배면시트(40)를 통과하는 것은 방지할 수도 있다. 적절한 배면시트 물질을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클로페이 코포레이션(Clopay Corportion)으로부터 제품 번호 제 18-1401 호로 구입할 수 있다. 적절한 통기성 배면시트 물질은, 엑손의 미국 특허 제 4,777,073 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경사진 두께의 보다 작은 개구가 미공성 필름에 접착 적층되어 있는 흡수성 코어(42)를 향하도록 역전되어 있는, 톰슨의 미국 특허 제 3,929,135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천공 필름의 적층체이다.
상면시트(38), 획득 요소(44), 배면시트(40) 및 흡수성 코어(42)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층상화 또는 "협지형"형태 및 랩형 또는 "튜브형"형태를 포함함)로 조립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협지형 형태로 조립된 생리대(2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상면시트(38)와 배면시트(40)는 흡수성 코어(42)의 것보다 대체로 더 큰 길이 및 폭 치수를 갖는다. 상면시트(38)와 배면시트(40)는 흡수성 코어(42)의 에지를 지나서 연장되어 주변부(30)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면시트(38)의 의복측 측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획득 요소(44)의 신체측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획득 요소(44)가 흡수성 코어(4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들 구성요소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면시트(38)를 획득 요소(44)에 결합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한 방식중 임의의 것으로 그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획득 요소(44)가 흡수성 코어(42)에 직접 결합되지 않는다. 배면시트(40)는 접착제에 의해서 흡수성 코어의 의복측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42)와 획득 요소(44)의 에지를 지나서 연장하는 상면시트(38)와 배면시트(40)의 부분이 또한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시트(38)와 배면시트(40)의 부분은 당해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결합된다"라는 용어는 일 요소를 다른 요소에 직접 부착함에 의해서 상기 일 요소를 상기 다른 요소에 직접적으로 고착하는 구성과, 일 요소를 중간 요소에 부착하고 중간 요소를 다른 요소에 부착함에 의해서 상기 일 요소를 상기 다른 요소에 간접적으로 고착하는 구성과, 일 요소가 다른 요소와 일체로 하는, 즉 일 요소가 다른 요소와 본질적으로 일체부인 구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면시트(38)와 배면시트(40)의 상기 부분이 흡수성 코어(42)의 에지를 지나서 연장하는 거의 전체 부분에 걸쳐 도포된 접착제와, 상면시트(38)와 배면시트(40)가 압력 또는 열 및 압력을 인가함에 의하여 밀집화되어 있는 본체부의 단부 에지(28)의 크림프 시일에 의하여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생리대(20)는 본체부(22)에 결합되어 있는 선택적인 한쌍의 플랩(24)을 포함한다. 플랩(24)은 본체부(22)의 종방향 측부(26)를 지나서 기단 에지(60)로부터 말단 에지(또는 "자유 에지")(62)까지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플랩(24)은 본체부(22)의 적어도 중앙 영역(36)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플랩(24)은 플랩의 횡방향 중앙선(T1)에 의해서 전방의 절반부(64)와 후방의 절반부(66)로 분할된다. 플랩의 횡방향 중앙선(T1)은 생리대의 주 횡방향 중앙선(T)과 일치할 수도 있지만, 이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플랩(24)은 본체부(22)에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랩(24)이 본체부(22)와 일체이다[즉 플랩(24)이 상면시트(38)와 배면시트(40)의 일체형 연장부이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는, 플랩(24)이 결합부를 따라서 본체부(22)에 연결된 별개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결합선(68)과 같은 종방향 배향(또는 "종방향") 결합부인 것이 보통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결합부"(또는 "결합선")란 용어는 플랩(24)이 본체부(22)로부터 결합 연장되어 있는 영역을 말한다.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선(68)을 오목한 내향 영역 또는 선으로 규정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플랩(24)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일 수 있다. 적절한 플랩이 1993년 4월 27일자로 반 틸버그(Van Tilburg)에게 특허된 "생리대"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재심사 특허 제 B1 4,589,876 호와; 1987년 8월 18일자로 반 틸버그에게 특허된 "플랩을 갖는 성형 생리대"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87,478 호와; 1995년 2월 14일자로 라바쉬(Lavash) 등에게 특허된 "차동 연장능력이 있는 구역 및 플랩을 갖는 흡수제품"이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89,094 호와; 1996년 9월 24일자로 와인버거(Weinberger) 등에게 특허된 "연장능력이 있는 구역을 갖는 속옷 커버링 요소를 구비하는 흡수제품"이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558,663 호(착용자가 부착하는 플랩의 변형예를 기술함)와; 라쉬(Lash) 등이 1996년 10월 3일자로 출원한 "단차적 형태 및 연장능력이 있는 구역을 갖는 플랩을 구비하는 흡수제품"이라는 발명의 명칭의 국제 특허출원 제 PCT/US96/15957 호에 기술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생리대(20)는 본체부(22)와 플랩(24)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에 힌지(70)를 형성하는 변형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리대(20)는 플랩(24)이 팬티의 가랑이 둘레로 접혀 있을 때 플랩의 응력을 해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장능력 구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특성을 각기 후술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생리대에 있어서는 힌지(70)가 대체로 종방향 배향의 기계적 변형 영역을 포함한다. 힌지(70)는 생리대(20)의 일 영역의 가요성을 증가시켜서, 접혀질 플랩(24)의 바람직한 절곡 축을 형성한다. 힌지(70)는 플랩(24)과 본체부(22)간의 결합부(68)를 따른 영역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70)는 본체부(22)와 플랩의 전체 결합부(68)를 따라서 또는 그의 일부분만을 다라서 연장될 수 있다. 힌지(70)가 결합부(68)의 일부분을 따라서만 제공되는 경우에는 힌지(70)가 플랩의 횡방향 중앙선(T1)을 둘러싸서 구비하는 생리대(20)의 영역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70)는 측방향 최내측 또는 기단 경계(70A)와 최외측의 말단 경계(70B)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힌지(70)의 적어도 최내측 경계(70A)가 플랩(24)의 말단 에지에 대하여 내측으로 오목한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70)는 생리대의 소망하는 영역에서 가요성을 증가시키는 어떤 적절한 빙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힌지(70)가 생리대의 소망하는 영역을 기계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연장능력이 있는 생리대의 영역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많은 프로세스는, 힌지(7)용으로 선택된 생리대 영역에 향상된 가요성을 제공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힌지(70)는 예를 들면, 사전 권축(또는 "링 롤링")이라고 기술한 바 있는 공정이나, 또는 생리대의 소망하는 부분에서 변경가능한 망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링 롤링의 적절한 방법은 1978년 8월 15일자로 시슨(Sisson)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107,364 호와; 1992년 9월 1일자로 제랄드 엠 웨버(Gerald M. Weber)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143,679 호와; 1992년 10월 20일자로 케네스 비 부엘(Kenneth B. Buell)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5,156,793 호와; 1992년 12월 1일자로 제랄드 엠 웨브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167,897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70)는 플랩(24)과 본체부(22)의 결합부(68)를 따라 변형가능한 망 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제공된다. 변경가능한 망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및 그에 의하여 형성된 구조체는 1996년 5월 21일자로 카펠(Chappell)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518,801 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변형가능한 망"이라는 용어는 어떤 유용한 정도까지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사전연결 및 사전관련된 영역의 그룹을 말한다. 변형가능한 망(74)은 제 1 영역(76)과 제 2 영역(78)이라고 불리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비유사 영역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변형가능한 망(74)은 복수의 제 1 영역(76)과 복수의 제 2 영역(78)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1 영역(76)은 거의 편평한 영역이다. 즉, 제 1 영역(76)내의 물질은 변경가능한 망(74)의 형성 전 및 후와 동일한 상태에 있다. 제 2 영역(78)은 제 1 영역(76)의 양 표면의 평면을 지나서 교대로 연장하는 복수의 연속적인 상호연결된 리브형상 변형부(80)를 구비한다.
도 1은 변형가능한 망(74)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랩 물질(24)이 종방향 중앙선(또는 축선)을 갖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생리대 실시예에 있어서는, 변경가능한 망(74)의 종방향 중앙선(1)이 직선이고 일반적으로는 횡방향으로 배향된다. 도 1에 도시한 생리대(20)에 있어서는, 제 1 영역(76)이 거의 직선이며 변형가능한 망의 종축(1)에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힌지(70)는 생리대(20)의 소망하는 부분에 변형가능한 망(74)을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형성한다"라는 용어는, 웨브 물질 또는 적층체가 외부로부터 인가된 신장력 또는 힘을 전혀 받고 있지 않을 때에는 소망하는 구조 또는 기하를 사실상 보유하게 되는 소망하는 구조 또는 기하가 웨브 물질 또는 적층체상에 만들어지는 것을 말한다. 웨브 물질내로 변형가능한 망을 형성하기에 적절한 방법으로서는 플레이트 또는 롤을 결합시켜서 엠보싱하는 것과, 열성형, 고압 유압 성형 및 주조를 들 수 있지만 그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변형가능한 망(74)에 있어서 변형부(80)의 깊이 및 수는 생리대(20)의 힌지 영역(76)내의 물질을 연장시키는데 필요한 인가된 힘 또는 신장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변화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변형부(80)가 결합 기어이의 패턴을 갖는 2개의 강성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기어이 패턴의 외측 치수는 각 플랩에 대하여 약 7.9"×1.6"(20cm×4cm) 정도의 플레이트의 표면적을 덮는다. 각 플레이트의 일 표면에는 단면적이 거의 삼각형이고 둥글려진 정점까지 경사진 일련의 기어이이다. 이 실시예의 기어이는 높이가 3.175mm이고, 기어이의 중앙선이 0.075"(1.9mm) 증분으로 이격되도록 균일하게 이격된다. 한 플레이트의 "기어이형"사이드에 있어서는, 서로 평행하고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는 기어이에 평행한 일련의 홈(도 1에 도시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3개의 홈인 것이 바람직함)이 절단된다. 이들 홈은 기재 물질의 비변형 영역에 대응한다.
바람직한 기저 물질은 압력을 균일하게 분배하기 우하여 플레이트보다 큰 플레이튼을 갖는 유압 프레스의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된다. 이 플레이트는 기어이가 단지 부분적으로 결합하도록 압축된다. 플레이트는 대향 플레이트상의 기어이가 전체 결합부위(기어이가 달리 접촉할 지점)를 향하여 약 80%의 거리로 서로를 향하여 가압되도록 이동한다. 전형적으로는 이것을 하기 위하여, 베이스 물질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한 접착제에 의해서 함께 적층되어 있는 천공 성형 필름과 폴리에틸렌 배면시트 물질의 적층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플레이트가 약 25 내지 70psi(약 1,750 내지 4,900g/cm2)의 하중으로 압축될 것이다. 그런 다음에는 성형 웨브 물질이 플레이트 사이로부터 제거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성형 웨브 물질이 약 75%의 신장능력을 갖는다.
변형가능한 망 영역(74)은 플랩(24)에 대하여 복수의 가요성 절곡 축을 형성하는 교호형의 골과 산을 포함한다. 또한 이 구조는 힌지(70)에 소정의 신장능력을 제공한다. 이 신장능력으로 인해서 힌지 영역(70)내의 플랩(24) 부분이 횡방향으로 약간 팽창하며, 그것에 의해서 착용자의 팬티 가랑이의 곡선 측부 둘레로 보다 잘 절곡될 수 있게 된다. 또 생리대에 변형가능한 망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힌지(70)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플랩(24)이 힌지(70)에서 과도하기 늘어지는 일이 적게 발생하도록 성형 영역에 약간 더 큰 보존성을 제공하는 것이 소망되는 경우에는 생리대내에 변형가능한 망 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힌지(70)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변형가능한 망의 비변형 제 1 영역 또는 적게 신장가능한 밴드(76)가 플랩(24)에 약간 더 큰 구조적 강도 및 양호한 외관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는 "빔"류의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생리대는 플랩이 착용자의 속옷 아래로 접힐 때 플랩내에 전개되는 응력을 해제시키기 위한 신장능력의 구역(7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신장능력의 구역"또는 "상이한 신장능력의 구역"이란 용어는 신장할 수 있는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생리대(20)의 둘러싸는 부분보다 크게 신장할 수 있는] 생리대(20)의 부분을 말한다. 생리대(20)는 각 플랩(24)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장능력 구역(7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것은 생리대(20)의 각 쿼터에 하나씩 4개의 신장능력 구역(72)을 갖는 것이다. 차동 신장능력의 구역(72)이 플랩내의 변형을 해제시키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그것을 일 유형의 "변형 해제 수단"이라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신장능력의 구역(72)은 임의의 소망하는 방향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신장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신장능력의 구역(72)은 대체로 횡방향 외향으로 주로 신장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 1에 도시한 화살표의 방향에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대체로 횡방향"이라는 용어는 신장능력이 횡방향 성분을 갖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모든 연장부가 생리대의 주 횡방향 중앙선과 정확히 평행할 필요는 없다. 신장능력의 구역(72)은 횡방향으로(또는 소망하는 임의의 다른 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신장능력의 구역에 적절한 구조가 1995년 2월 14일자로 라바쉬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389,094 호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신장능력의 구역(72)이 그내에 임의의 덜 신장가능한 밴드 없이 주름의 망이나 플랩의 링 롤링 영역 중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든, 신장능력의 구역(72)은 그것이 호이방향으로 주로 신장가능하게 되도록 대체로 횡방향으로 배향되는 산(ridge)(88)을 갖는 주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70)는 신장능력의 구역(72)과 연속적인 것(즉 중단되지 않는 시퀀스 전체를 통하여 접촉 또는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힌지(70) 및 바람직한 링 롤링 신장능력 구역(72)은 연속적인 복합 변형 영역의 일부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힌지(70)는 신장능력의 구역(723)을 포함하는 생리대의 부분으로 점차로 전이된다. 따라서 복합 변형 영역은 플랩의 호이방향 중앙선(T1) 근방의 중앙 영역에 복수의 덜 신장가능한 밴드(76)를 갖는 대체로 종방향으로 배향된 산을 갖는 연속적인 주름을 포함한다.
생리대(20)의 의복측 표면(20B)은 생리대를 착용자의 속옷에 부착시키기 위한 파스너를 구비할 수도 있다(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함). 도 2는 생리대의 본체부(22)를 속옷의 가랑이 영역에 고착시키기에 적합한 중앙 패드 파스너(82)를 도시한다. 접착제 파스너 및 기계식 파스너와 같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 유형의 파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를 포함하는 파스너가 이 목적으로 양호하게 작용한다고 발견되었으며 감압성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앙 패드 파스너(82)가 종방향 중앙선(L)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 위치된 한쌍의 이격된 종??향 배향의 스트립 또는 구역을 포함한다.
플랩의 말단 에지(62) 근방의 플랩(24) 외면은 플랩 접착제(8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24)을 팬티의 가랑이부의 에지 둘레로 감싼 후에 플랩(24)을 적소에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플랩 접착제(84)가 사용된다. 적절한 접착제 파스너가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플랩(24)을 속옷에 또는 대향 플랩에 부착시킴으로써 플랩(24)을 적소에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파스너는 접착제 부착 수단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해 분야에 사용되는 임의 유형의 파스너를 그러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리대(20)가 벨크로(VELCRO)와 같은 기계식 파스너, 또는 1990년 8월 7일자로 바트렐(Battrell)에게 특허된 "감압성 접착제 파스너와 그의 제조 방법"이란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946,527 호와; 1995년 2월 28일자로 로울라이트(Goulait) 등에게 특허된 "비접착성의 피부 우호적 기계식 고정 시스템"이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92,498 호에 개시되어 있는 접착제에 고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파스너를 접착제 부착 수단이라는 용어로 기술할 것이다.
접착제 부착 수단은 제거가능한 해제 라이너, 중앙 패드 해제 라이너 및 플랩 해제 라이너(양자를 86으로 지정함)에 의하여 각기 덮힌다. 감압성 접착제는 그 접착제가 사용전에 무관한 표면에 달라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해제 라이너(86)로 덮혀야 한다.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에 적절한 해제 라이너가 개시되어 있다. 생리대를 감싸기 위한 개별적인 팩키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특히 바람직한 해제 라이너가 스완슨(Swanson)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56,146 호에 기술되어 있다.
생리대(20)의 다른 실시예가 다수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생리대의 본체부가 보존성 및 획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접합된 요소를 갖는 일 화합물 생리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화합물 생리대의 일반적인 설명은, 1984년 1월 10일자로 데스마라이스(DesMarais) 등에게 특허된 "화합물 생리대"라는 발명의 명칭의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 4,425,130 호와; 1996년 11월 5일자로 메이어(Mayer) 등의 이름으로 공개된 "신체 끼워맞춤 화합물 생리대"라는 발명의 명칭의 제정 발명 등록(Statutory Invention Registration) 제 H1614 호에 발견된다. 화합물 생리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한 것과 같은 생리대가 팬티 보호기(또는 "기저 패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면시트로 둘러싸인 흡수성 물질의 튜브("주 월경 패드")가 생리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단부에서 그것에 부착될 수 있다. 기저 패드의 융합 접합부는 본원의 도면상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분산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를 생리대에 부착하는 것은 튜브의 단부에 있는 상면시트 물질의 연장부를 기저 패드에 융합 접합시킴으로써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화합물 생리대의 어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저 패드와 흡수성 물질의 튜브의 단부 사이에 부착부가 있을 수도 있다. 화합물 생리대의 튜브가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부착수단에 의하여 단부 사이에서 기저 패드에 부착될 수 있다.
기저 패드에서 획득 요소와 상면 시트 사이의 개선된 부착은 화합물 생리대의 상황에서 특수 잇점을 가질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어떤 특수한 이론에 의거한 것은 아니지만, 부착이 개선된 결과, 상면시트가 생리대의 종방향 측부 영역을 따라 하측의 요소로부터 분리되는 경향이 ??소될 것이다. 이것은 플랩을 갖는 화합물 생리대의 버전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융합 접합부는 기저 패드의 종방향 측부 영역에 있는 상면시트의 부분이 착용자의 본체와 접촉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것은 종방향 측부 영역이 생리혈에 의하여 더럽혀지는 경향을 감소시킬 것이고 생리혈은 그 대신에 흡수성 튜브로 직행하게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한 접합의 다른 잇점도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생리대가 플랩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생리대의 플랩을 형성하도록 함께 결합되는 상면시트와 배면시트의 부분이 이 부위 사이에 접착제를 거의 갖고 있지 않아서, 플랩의 일부에 "무착제 없는 윈도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플랩에 "접착제 없는 윈도우"를 가질 수 있는 적절한 생리대가 1996년 2월 7일자로 콜레스(Coles) 등의 이름으로 공개된 유럽 특허출원 제 EP 0, 695 542 A1 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면시트와 배면시트가 저겅도 플랩의 전체 주변부를 따라 플랩의 어떤 신장가능한 부분에서 서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대에 접착제가 없는 윈도우를 만들면 플랩의 접착제가 없는 윈도우의 영역에서 가요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것은 플랩의 이 부위에 접착제가 부재하다는 점과, 플랩을 형성하는 상면시트와 배면시트의 부위가 접착제가 없는 윈도우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접힐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그러나 접착제가 없는 윈도우의 잠재적인 단점은 상면시트가 특히 착용자 속옷의 측부 둘레로 접힐 때 상면시트가 주름지거나 부풀어 올라서 배면시트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특정 이론에 의거한 것은 아니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한 부착의 개선으로 인하여 사면시트가 하측의 요소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다 잘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부풀어 오름이 감소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기술한 모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면시트와 하측의 요소(들) 사이의 부착의 개선으로 인하여 생리혈이 보다 잘 흡수되어 보이지 않게 될 것이며 또한 생리혈이 상면시트로부터 유출되는 경향이 감소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해제 라이너(86)를 제거하고 생리대(20)를 팬티에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생리대(20)를 이용할 수 있다. 본체부(22)의 일 단부가 팬티의 전방 부분을 향하고 연장하고 다른 단부가 팬티의 후방 부분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본체부(22)를 팬티의 가랑이부에 배치한다. 배면시트(40)를 팬티의 가랑이부의 중앙 내면에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중앙 패드 접착제 파스너(82)는 본체부(22)를 적소에 유지시킨다. 플랩(24)의 말단부는 팬티의 측부 에지 둘레로 접힌다. 플랩 접착제(84)는 플랩(24)을 팬티의 하측에 또는 다른 플랩에 고착시킨다.
이 특허출원을 통하여 언급된 모든 특허, 특허출원( 및 그 내에 게재된 모든 특허 및 어떤 대응하는 공개된 외국 특허출원)의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문헌중 어느 것도 본 발명을 기술하거나 개시하고 있다고 명백히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상업적으로 유용한 물질 또는 제품이 본 발명을 기술하거나 개시하고 있다고 명백히 인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각종 다른 변형 및 변경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25)

  1. 접합 영역과 비접합 윈도우를 구비한 신체측 측면을 구비하며, 일부분이 상기 접합 영역과 상기 비접합 영역의 하부에 있도록 된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제품의 상기 신체측 측면을 규정하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에 결합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와,
    두께부를 가지며, 상기 상면시트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된 하측의 액체 투과성 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접합 영역에 위치된 다수의 개별 접합 영역에서 상기 하부 층에 융합되어 있고, 상기 신체측 측면상의 비접합 윈도우는 접합 영역이 실질적으로 없으며, 상기 비접합 영역 하부의 흡수제품의 부분이 상기 접합 영역 하부의 흡수제품의 부분보다 쉽게 액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접합 영역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흡수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종방향 중심선을 구비하며, 상기 비접합 윈도우는 상기 종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중심설정되는
    흡수제품.
  3. 제 2 항에 있어서,
    횡방향 중심선을 구비하며, 상기 비접합 윈도우도 역시 상기 횡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중심설정되는
    흡수제품.
  4. 제 2 항에 있어서,
    횡방향 중심선을 구비하며, 상기 비접합 윈도우는 상기 횡방향 중심선에 대해서 중심설정된 위치로부터 편위되도록 변위되어 있는
    흡수제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합 윈도우는 다수의 접합부에 의해 형성된 폐쇄형 기하학적 형태로 둘러싸여 있는
    흡수제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원형 평면도 형상을 갖는
    흡수제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기하학적 형태의 접합부는 다수의 대향하는 내측으로 배향된 오목한 곡선으로 배열되어 있는
    흡수제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은 한쌍의 종방향으로 배향된 오목한 선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배향된 오목한 선내의 접합부는 서로 충분히 밀접하게 이격되어서 상기 접합부가 배설분비물의 횡방향으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장벽을 제공하게 하는
    흡수제품.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기하학적 형태는 한쌍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폐쇄형 기하학적 형태의 단부는 첨두 형상의 형태로 배열된 곡선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첨두 형상의 형태는 2개의 교차 원호를 포함하며, 상기 첨두 형상의 형태를 포함하는 2개의 원호는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놓여 있는
    흡수제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합 윈도우는 상기 흡수제품의 신체측 측면을 실질적으로 모두 덮는 누빈 패턴으로 배열된 다수의 이격된 접합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흡수제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빈 패턴은 다이아몬드의 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흡수제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곡선 형상의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접합부는 다이아몬드의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접합부내에 위치되는
    흡수제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패턴은 반복 패턴인
    흡수제품.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가열 및 가압 접합부를 포함하는
    흡수제품.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초음파 접합부를 포함하는
    흡수제품.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시트는 천공된 열가소성 필름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의 액체 투과성 층은 스펀본디드 폴리프로필렌 부직물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의 액체 투과성 층은 적어도 하나의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층은 스펀본디드 폴리프로필렌 부직물과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로 구성되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흡수제품.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층과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된 흡수성 코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수성 코어는 적어도 하나의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공기층 부직물의 층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의 액체 투과성 층은 라텍스 접합된 공기 적층식 부직물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투과성 층과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된 에어펠트 흡수성 코어를 더 포함하는
    흡수제품.
  24. 신체측 측면, 의복측 측면 및 종방향 중심선을 구비하는 생리대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의 천공된 열가소성 필름 상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에 결합된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열가소성 필름에 가장 근접한 스펀본디드 폴리프로필렌 부직물과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물 하측의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로 구성되는 2개 층의 부직 구조체를 구비하고, 다수의 융합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천공된 필름에 요소는 함께 접합되는 적층체 획득 요소와,
    상기 상면시트와 상기 획득 요소 사이에 위치되고, 셀룰로우스 섬유, 2종 섬유, 라텍스 접합제 및 복수의 초흡수성 하이드로겔 성형 물질 입자를 구비하는 다수 접합의 공기 적층식 부직물을 구비하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생리대의 신체측 측면은 접합 영역 및 비접합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접합 영역내에 위치된 개별 접합 영역에서 상기 적층체 획득 물질에 융합되어 있으며, 상기 비접합 윈도우는 실질적으로 접합부가 없으며, 상기 흡수성 코어의 일부분은 상기 비접합 윈도우 하부에 있으며, 상기 흡수성 코어의 일부분은 상기 접합 영역 하부에 있고, 상기 비접합 윈도우는 상기 접합 영역으로 둘러싸여서, 상기 비접합 윈도우 하부에 있는 흡수성 코어의 부분이 상기 접합 영역 하부에 있는 흡수성 코어의 부분보다 쉽게 액체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생리대.
  25. 신체측 측면, 의복측 측면 및 종방향 중심선을 구비하는 생리대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의 천공된 열가소성 필름 상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에 결합된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시트와,
    상기 상면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되고, 라텍스 접합된 공기 적층식 부직 물질로 구성되는 획득 요소과,
    상기 획득 요소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된 에어펠트 흡수성 코어와,
    상기 생리대의 신체측 측면은 접합 영역 및 비접합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상면시트는 상기 접합 영역내에 위치된 개별 접합 영역에서 상기 획득 물질에 융합되어 있고, 상기 비접합 윈도우는 실질적으로 접합부가 없으며, 상기 흡수성 코어의 일부분은 상기 비접합 윈도우 하부에 있으며, 상기 흡수성 코어의 일부분은 상기 접합 영역 하부에 있고, 상기 비접합 윈도우는 상기 접합 영역으로 둘러싸여서, 상기 비접합 윈도우 하부에 있는 흡수성 코어의 부분이 상기 접합 영역 하부에 있는 흡수성 코어의 부분보다 쉽게 액체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생리대.
KR1019997005623A 1999-06-19 1996-12-20 흡수제품 및 생리대 KR100348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5623A KR100348583B1 (ko) 1999-06-19 1996-12-20 흡수제품 및 생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5623A KR100348583B1 (ko) 1999-06-19 1996-12-20 흡수제품 및 생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266A true KR20000062266A (ko) 2000-10-25
KR100348583B1 KR100348583B1 (ko) 2002-08-13

Family

ID=5477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623A KR100348583B1 (ko) 1999-06-19 1996-12-20 흡수제품 및 생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439A (ko) * 2013-04-29 2015-12-0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개구-패턴 섬유상 부직포 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65286C (en) * 1993-06-28 1999-09-14 Nancy Beck Doak Absorbent article having a window with a body-conforming acquisition element positioned there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439A (ko) * 2013-04-29 2015-12-0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개구-패턴 섬유상 부직포 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8583B1 (ko) 200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1555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AU753383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US6319239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AU758869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adhesive system to provide flexibility and breathability
EP0973470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US6458112B1 (en) Compound sanitary napkin having flaps and zone of extensibility
JPH11508470A (ja) 伸長性のある関節式連結部分を備えた吸収体
KR100348583B1 (ko) 흡수제품 및 생리대
WO2001056526A1 (en) Improved crimp seal for absorbent articles
MXPA00010983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CZ20003802A3 (cs) Absorpční výrobek mající zvýšenou celistvost a zlepšené přijímán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7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