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56128A - 즉시 고정가능한 형태조절 팽창형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즉시 고정가능한 형태조절 팽창형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6128A
KR20000056128A KR1019990005167A KR19990005167A KR20000056128A KR 20000056128 A KR20000056128 A KR 20000056128A KR 1019990005167 A KR1019990005167 A KR 1019990005167A KR 19990005167 A KR19990005167 A KR 19990005167A KR 20000056128 A KR20000056128 A KR 20000056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fixture
expansion
abutment
scre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542B1 (ko
Inventor
정필훈
Original Assignee
정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필훈 filed Critical 정필훈
Priority to KR1019990005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542B1/ko
Priority to US09/503,242 priority patent/US6332778B1/en
Publication of KR2000005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54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3Expandable implants; Implants with extendabl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5Details of the shape with a stepped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 임플란트는 의료용으로는 치아가 없는 곳에 치아대신 삽입하는 인공치아나 뼈의 골절 부위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지지대로서 이용가능하며, 산업용으로는 벽이나 어떤 물체에 삽입하여 이 삽입체의 하부구조를 팽창시켜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산업용 삽입 고정제로서의 임플란트로 이용하는 범위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임플란트"는 상기 내용을 포함하지만 이해를 쉽게 하고자 인공치아 용 임플란트란 관점에서 기술한다.
인공치아 임플란트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잇몸뼈속에 삽입하여 박는 Fixture 와 이 Fixture에 연결되는 상부의 Abutment 로 구성되어 인공치아 기능을 하게되는데 본 발명은 이 Fixture 와 Abutment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임플란트 Fixture는 나사형으로 팽창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있으나 본 발명의 임플란트 Fixture는 하부구조인 치근부위가 팽창하여 발치후 즉시 발치구멍 내벽 뼈에 잘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발치 즉시 임플란트 Fixture를 삽입하여기능(immediate loading)을 발휘할 수 있게 하였고 팽창 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였으며(controlled expansion implant), 임플란트 Fixture 모양이 치아와 유사한 모양으로 디자인하거나 잇몸뼈 폭이 좁은 부위에는 원형의 나사형이 아닌 직사각형 모양의 임플란트 Fixture( controlled morphological implant)도 팽창기능이 가능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제작한 것으로 필요한 경우 임플란트 Fixture 밑바닥부위를 몸체와 부착시키거나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고, 팽창스크루 스크루 머리부의 요철을 형성하여 임플란트 Fixture 상부와 하부사이에 틈새를 막아 입안 쪽의 세균이 하부 쪽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여 임플란트 장착후 잇몸뼈 속에 세균 감염이 없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fection control).
또한 Fixture 와 Abutment를 one-piece로 연결된 형태로 제작하여 팽창스크루를 삽입하여 팽창할 수 있게 하고 그 위를 덮어 삽입할 수 있는 cover screw를 만들어 장착할 수 있게 한 일체성 일회성 즉시 삽입( One-piece One-stageimplant)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 임플란트가 여러회수에 걸쳐 시술하는 단점을 개선하여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 수술 횟수를 1회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고통 및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임플란트이다.
산업용 임플란트인 경우도 팽창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모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임플란트 상부의 액체나 기체가 임플란트 하부로 스며들지 않는 임플란트가 아직 개발되지 않아 상기 특징이 있는 본 발명은 정교한 고정 부착용 산업임플란트로 이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즉시 고정 가능한 형태조절 팽창형 임플란트{CONTROLLED MORPHOLOGICAL OSTEOCOMPRESSIVE IMPLANT FOR IMMEDIATE LOADING}
이용범위 :
본 발명 임플란트는 의료용으로는 치아가 없는 곳에 치아대신 삽입하는 인공치아나 뼈의 골절 부위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지지대로서 이용가능하며, 산업용으로는 벽이나 어떤 물체에 삽입하여 이 삽입체의 하부구조를 팽창시켜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산업용 삽입 고정제로서의 임플란트로 이용하는 범위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임플란트"는 상기 내용을 포함하지만 이해를 쉽게 하고자 인공치아 용 임플란트란 관점에서 기술한다.
인공치아 임플란트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잇몸뼈속에 삽입하여 박는 Fixture 와 이 Fixture에 연결되는 상부의 Abutment 로 구성되어 인공치아 기능을 하게되는데 본 발명은 이 Fixture 와 Abutment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
I. 임플란트 Fixture
치아가 상실된 곳에 치아 대신 삽입하여 치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삽입하는 임플란트 Fixture(인공치아)는 다양한 모양으로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나사형 임플란트 Fixture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발치후 즉시 임플란드 Fixture를 삽입하거나 잇몸 폭이 좁은 경우 기존의 임플란트 Fixture는 고정에 문제가 있었다. 즉 발치 즉시 임플란트 Fixture를 삽입할 경우 최근에 주로 이용되는 나사형 임플란트 Fixture로는 발치한 상부 부위 보다 임플란트 Fixture가 크기가 각고 치아 형태에 따른 크기가 아니기 때문에 발치 구멍에 고정되기가 쉽지 않았다. 이는 실제 인체 치아의 구조를 살펴보면 전치나 소구치는 치아의 좌우측 폭 보다 앞뒤의 폭이 더 큰 원리에는 맞지 않고 치아의 뿌리 구조가 두 개 혹은 세 개인 점을 고려하면 치아의 구조를 무시한 점이 있다. 또한 잇몸 폭이 좁은 경우나 잇몸이 흡수된 곳에는 나사형인 경우 나사의 일부가 노출되는 단점이 있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치아 형태 모양에 가까운 임플란트 Fixture나 잇몸 뼈 크기나 모양에 적응할 수 있으면서 발치 구멍에 임플란트Fixture 하부 구조가 밀착되어 즉시 고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팽창하는 임플란트Fixture가 필요하여 본 발명의 임플란트 Fixture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II.Abutment
임플란트 fixture 상부에 연결하는 부위로서 지금까지는 Abutment를 스크루식으로 고정하였는데 이럴 경우 경사지게 Abutment 를 만들 경우 문제가 있고 치아장착 시술이 복잡해 스크루 식 고정도 되고 이 Abutment를 cement (접착제) 로 적찹하여 원하는 경사도의 Abutment가 장착 가능하게 원하는 위치에 인공치아를 형성할 수 있게 개발하였다.
또한 지금까지는 Fixture와 Abutment 가 분리되어 있어서 틈새( leakage)에 따른 세균감염 혹은 여러 번에 걸친 복잡한 시술 및 동요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어 Fixture 와 Abutment를 one-piece로 연결된 형태로 제작하여 One-piece One-stage implant를 특징으로 개발하였다.
본 발명 임플란트는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임플란트 Fixture 하부구조인 치근 부위가 팽창하여 발치후 즉시 발치구멍 내벽 뼈에 잘 부착할 수 있도록 임플란트 Fixture 모양을 치아와 유사한 모양으로 제작하는 데 있어서, 임플란트 몸체(implant body), 팽창 너트 ( expansion nut), 팽창 스쿠루 ( expansion screw), 임플란트 밑바닥부위 (implant base)로 구성하여 각각 다음의 특징을 가져 종래의 임플란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I. 임플란트 Fixture
- 기존의 임플란트 Fixture는 나사형으로 팽창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본 발명의 임플란트 Fixture는 하부구조인 치근부위가 팽창하여 발치후 즉시 발치구멍 내벽 뼈에 잘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임플란트 Fixture 모양이 치아와 유사한 모양으로 디자인하거나 잇몸뼈 폭이 좁은 부위에는 나사형이 아닌 직사각형 모양의 임플란트 Fixture도 삽입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다.
1). 임플란트 몸체 ( implant body)
- 임플란트 몸체는 치아의 형태에 유사하고 고정에 유리한 외형을 갖고 이를 위해 몸체 외부는 스크루를 헝성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모두 외부접촉 면적이 넓도록 디자인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임플란트 몸체는 단면이 발치한 치아의 단면의 크기에 맞는 몸체의 단면등 다양한 원하는 모양의 단면의 몸체로, 몸체 길이는 전치부 치아처럼 원추형으로 하거나 원통형으로 만든후 몸체부 벽을 어느 부위든 분할시켜 원하는 수 만큼 분할시켜 원하는 만큼 이를 팽창 시킬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임플란트 Fixture 내부에 팽창스크루를 삽입가능하게 하여, 이 팽창스크루를 돌림에 따라 팽창너트가 이동하면서 임플란트 하부의 분할시킨 부위가 팽창하면서 옆으로 벌어져 발치 구멍 내벽인 뼈에 밀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임플란트 Fixture 몸체부 내부벽은 팽창 너트를 삽입가능하게 하여 이동가능하게 하고 임플란트 몸체 내부벽 구조와 팽창너트에 의해 쉽게 꺾어져 팽창가능하게한 몸체 내부벽과 외부벽과의 두께 및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2) 팽창 너트 ( expansion nut)
팽창 너트는 상하 이동체로서 상방 혹은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몸체부벽의 일부가 팽창이 가능하며 다양한 개수로 분할 팽창이 가능하고, 팽창너트 부위를 가감삭제 함에 따라 팽창 정도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팽창 스쿠루 ( expansion screw)
팽창스크루는 임플란트 Fixture 몸체 내부선반에 접촉하여 스크루 머리부가 임플란트 상부와 하부사이에 틈새를 막아 입안 쪽의 세균이 하부 쪽으로 침투하지못하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4)임플란트 밑바닥부위 (implant base)
필요한 경우 임플란트 밑바닥부위를 몸체와 부착시키거나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I. Abutment
-임플란트 fixture 상부에 연결하는 부위로서 Abutment 가 스크루 식으로 고정되거나 Abutment를 cement (접착제) 로 적찹하거나 하여 인공치아부위를 형성할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때 Abutment 는 수직으로 삽입 연결할 수 있게 하거나 각도를 주어 원하는 위치에 인공치아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 Fixture 와 Abutment를 one-piece로 연결된 형태로 제작하여 0ne-piece One-stage implant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사시도로,
임플란트 Fixture와 Abutment가 일체형으로 개발한 경우(가)와 분리형으로 개발한 경우(나)에있어서, 수직Abutment 인 경우(가)와, 경사진 Abutment 를 삽입한 경우(나)의 본 발명 임플란트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양측면 두방향으로 팽창하는 경우의 정면 단면도(가)와 팽창너트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양측으로 팽창된 임플란트 측면 단면도(나)로, 수직Abutment 인 경우(가)와 경사진 Abutment 를 삽입한 경우(나).
도 3은 발명의 팽창너트를 나타내는 도 2 (가)에 대한 사시도와 도2 (나)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발명의 다양한 팽창너트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다양한 디자인으로 직사각형이나 원형으로 바꿀 수 있고 그 예시로 네방향으로 팽창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임플란트 Fixture의 팽창너트 부위의 단면도(가)와 네방향으로 팽창하는 원형의 임플란트 Fixture의 팽창너트 부위의 단면도(나)
도 5는 발명의 팽창스크루와 임플란트 내부 선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사다리꼴, 삼각형, 원형 등 다양한 모양의 요철모양.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임플란트 Fixture
2 ; Abutment
3 ; 커버 스크루 ( Cover screw)
4 ; 임플란트 밑바닥부위 (implant base)
5 ; 임플란트 몸체 (implant body)
6 ; 팽창 스쿠루 ( expansion screw)
7 ; 팽창 너트 ( expansion nut)
8 ; 임플란트 목 ( implant collar)
9 ; 임플란트 몸체 외부 표면(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body)
10 ; 임플란트 내부 선반 ( Screw hanger ),
11 ; 임플란트 내부 벽 ( Internal wall of the implant body)
12 ; 팽창스크루 요철 ( Tongue-in-groove of the expansion screw)
13 ; 임플란트 내부 선반 요철 (Tongue-in-groove of the Screw hanger )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플란트는 잇몸뼈속에 삽입하여 박는 Fixture(1) 와 이 Fixture에 연결되는 상부의 Abutment(2) 로 구성되어 인공치아 기능을 하게되는데 본 발명은 이 Fixture 와 Abutment에 관한 것이다.
I. 임플란트 Fixture
기존의 임플란트 Fixture는 나사형으로 팽창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본 발명의 임플란트 Fixture(1)는 하부구조인 치근부위가 팽창(도 1, 도 2)하여 발치후 즉시 발치구멍 내벽 뼈에 잘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임플란트 Fixture 모양이 치아와 유사한 모양으로 디자인하거나 잇몸뼈 폭이 좁은 부위에는 나사형이 아닌 직사각형 모양의 임플란트 Fixture(도 4 가)도 삽입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임플란트 Fixture단면이 원형이 아닌 직사각형(도 4 가)이거나 타원형인 경우로 제작하면 원형인 경우의 나사형을 박을 때 나사 일부가 노출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이때 이들이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임플란트 Fixture가 팽창되게 고정될 수 있게 다음과 같은 구조로 제작하였다.
임플란트 몸체 ( implant body)(5), 팽창 너트 ( expansion nut)(7), 팽창 스쿠루 ( expansion screw)(6), 임플란트 밑바닥부위 (implant base)(4)로 구성되어 이들의 수직 축이 일직선상(도 2)에 있게 제작하였다.
1) 임플란트 몸체 ( implant body)
임플란트 몸체(5)는 상부구조가 하부구조보다 외부 직경이 크게 나선형(도 1, 도 2) 혹은 계단식으로 디자인 하거나 혹은 같은 크기로 할 수 있는데, 혹은 몸체 일부가 중간에서 튀어나오게 디자인 할 수 있는데, 상부구조가 하부구조보다 외부 직경이 크게 나선형 혹은 계단식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치아의 형태에 유사하고 고정에 유리하여 단순한 나선형 보다 두단계의 계단식 나선형이 이런 점에서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임플란트 몸체 외부(9)는 스크루를 형성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공히 외부(9)접촉 면적이 넓도록 디자인하는데 스크루를 형성하는 것이 골 밀착에 유리할 수 있다.
임플란트 몸체 목(8) 아래 중간부위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몇 개 부위로 수직분할(도 1)을 시켜 이 부위가 팽창하여 골에 밀착되게 하는데 이를 위해 이 임플란트 내부에 팽창스크루(6)를 삽입 가능하게 하여, 이 팽창스크루를 돌림에 따라 팽창너트(7)가 이동하면서 임플란트 하부의 분할시킨 부위가 팽창하면서 옆으로 벌어져 발치 구멍 내벽인 뼈에 밀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임플란트 몸체는 단면이 원형(도 1, 도 2), 타원형, 직사각형(도 4 가), 정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및 발치한 치아의 단면의 크기에 맞는 몸체의 단면등, 다양한 원하는 모양의 단면의 몸체로, 몸체 길이는 전치부 치아처럼 원추형(도 2)으로 하거나 원통형으로 만든후 몸체부 벽을 어느 부위든 분할시켜 원하는 수 만큼 분할(도 1)시켜 원하는 만큼 이를 팽창 시킬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 몸체부 내부벽(도 2 ; 11)은 내부 상부를 하부보다 크게 할수 있어 측면이 역사다리꼴 모양으로 팽창 너트(도 2 ; 7) 를 팽창스크루(도 2 ; 6)에 삽입하거나 하부로 이동(도 2 나)가능하게 하는 내부구조 혹은 반대모양의 사다리꼴 모양으로 삽입가능하게 하여 상방으로 이동가능하게 한 임플란트 몸체 내부벽 구조(도 2 ; 11)와 팽창너트(도 2 ; 7) 에 의해 쉽게 꺾어져 팽창가능하게한 몸체 내부벽(도 2 ; 11)과 외부벽(도 2 ; 9)과의 두께 및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2) 팽창 너트 ( expansion nut)
팽창 너트(7)는 임플란트 몸체 단면에 일치하는 단면 모양에 측면이 사다리꼴 모양(도 2) 혹은 다양한 모양으르 윗면과 아랫면의 크기가 다른 상하 이동체로서 임플란트 몸체부의 분할된 내부벽에 걸리게 홈을 파고, 최소한 한 곳이상 홈을파서(도 3, 도 4) 상방 혹은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하여, 일반적으로 팽창 너트의 홈이 없는 부위로 몸체부 벽의 일부(도 3 나 ; 11)가 팽창이 가능하며(도 2, 도 3 ), 다양한 개수(도 3, 도 4)로 분할 팽창이 가능하고, 몸체부의 분할된 내부벽(도 3 나; 11)에 닿는 부위의 팽창너트 부위를 가감삭제 함에 따라 팽창 정도를 조절 가능한 것(도 3)을 특징으로 하고, 팽창 너트의 홈이 있는 부위도 몸체부의 분할된 내부벽(도 4 ; 11)이 닿게 하고(도 4) 이 홈 부위의 팽창너트 부위를 가감삭제 함에 따라 팽창 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한 것(도 4)을 특징으로 한다.
3) 팽창 스쿠루 ( expansion screw)
팽창스크루(6)는 팽창 스크루 머리부의 상부를 홈을 파거나 돌출시켜 돌릴수 있게하고(도 2) 이 스크루가 임플란트 내부 선반(10)에 걸려 이 스크루를 돌림에 따라 팽창너트(7)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때 내부 선반에 걸리는 스크루 머리부의 하부쪽면에 튀어나오거나 패인 요철(도 5 ; 12)을 만들고 그 맞닿는 몸체부내부 선반 상부에도 암수가 맞는 요철(도 5 ; 13)을 형성하여 내부 선반을 중심으로한 임플란트 상부와 하부사이에 틈새를 막아 입안 쪽의 세균이 하부쪽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한 임플란트로 이 때의 요철은 사다리꼴(도 5 ;가 라), 삼각형(도 5 ; 나 마), 원형(도 5 ; 다 바) 등의 요철을 형성하여 스크루 머리부의 요철과 몸체 내부 선반부의 요철(도 5 ; 가 나 다 라 마 바)이 서로 암수가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임플란트 밑바닥부위 (implant base)
임플란트 밑바닥부위(4)는 임플란트 하부의 팽창하지 않는 부위(도 2 가)끼리는 서로 연결되어 임플란트 밑바닥 부위까지 일체로 붙어 있어 임플란트벽의 일부가 팽창하더라도 중심을 유지하여 팽창에 따른 이동이 없도록 임플란트 몸체의 상부와 하부 밑바닥 부위까지 일체가 되도록 부착(도 2)할 수도 있고 또한 이 부위가 착탈(도 1)이 가능한 것 즉 필요한 경우 임플란트 밑바닥부위를 몸체와 부착시키거나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I. Abutment
Abutment(2)는 Fixture 와 Abutment가 붙어 있는 일체형(도 1 가)과 분리형(도 1 나, 도 2)으로 개발했는데 분리형(도 1 나, 도 2)인 경우, 임플란트 fixture 상부에 목(8)부위가 있고 이속으로 Abutment(도 1 나, 도 2)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내부선반 상부부위에 나사형 홈을 파서 Abutment 가 스크루 식으로 고정되거나, Abutment를 cement (접착제) 로 적찹(도 2)하거나 하여 인공치아부위를 형성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때 Abutment 는 Abutment가 Fixture에 삽입되는 부위는 수직으로 삽입되나 노출되는 그 상부 부분은 수직으로 된 Abutment(도 2 가 ; 2)와 원 하는 각도를 주어 제작한 Abutment(도 1 나 ; 2, 도 2 나 ; 2)가 삽입 고정되게 하여 인공치아를 형성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xture 와 Abutment가 붙어 있는 일체형(도 1 가 ; 2)인 경우, Fixture 와Abutment를 one-piece로 연결된 형태(도 1 가)로 제작하여 팽창스크루를 삽입하여 팽창할 수 있게 하고 일체로 붙어 있는 Abutment 속에 삽입하여 그위를 덮을 수 있는 cover screw(도 1 가 ; 3)를 만들어 장착할 수 있게한 One-piece One-stage implant를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임플란트는 치아가 없는 곳에 치아대신 삽입하는 인공치아나 벽이나 어떤 물체에 삽입하여 이 임플란트 하부구조를 팽창시켜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산업용 임플란트로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임플란트 Fixture는 나사형으로 팽창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본 발명의 임플란트 Fixture는 하부구조인 치근부위가 팽창하여 발치후 즉시 발치구멍 내벽 뼈에 잘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발치 즉시 임플란트 Fixture를 삽입(immediate loading)하여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였고 팽창 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였다(controlled expansion implant).
또한 임플란트 Fixture 모양이 치아와 유사한 모양으로 디자인하거나 잇몸뼈폭이 좁은 부위에는 나사형이 아닌 직사각형 모양의 임플란트 Fixture (controlled morpho1ogical implant)도 삽입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기능을 발휘할수 있게한 것이다.
필요한 경우 임플란트 밑바닥부위를 몸체와 부착시키거나 착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팽창스크루 스크루 머리부의 요철을 형성하여 임플란트 Fixture 상부와 하부사이에 틈새를 막아 입안쪽의 세균이 하부쪽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여 임플란트 장착후 잇몸뼈 속에 세균 감염이 없도록 하였다 (infection control).
Fixture 와 Abutment를 one-piece로 연결된 형태로 제작하여 팽창스크루를 삽입하여 팽창할 수 있게하고 그 위를 덮어 삽입할 수 있는 cover screw를 만들어장착할 수 있게 한 일체성 일회성 즉시 삽입(One-piece One-stage implant)을 특징으로하여 기존 임플란트가 여러 회수에 걸쳐 시술하는 단점을 개선하여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 수술 횟수를 1회로 줄일 수 있도록 환자의 고통 및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각도를 준 Abutment를 이용해 쉽게 시술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Claims (8)

  1. 본 발명 임플란트는 의료용으로는 치아가 없는 곳에 치아대신 삽입하는 인공치아로, 또한 뼈의 골절 부위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지지대로서 이용가능하며, 산업용으로는 벽이나 어떤 물체에 삽입하여 이 삽입체의 하부구조를 팽창시켜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산업용 삽입 고정제로서의 임플란트로 이용하는 범위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임플란트"는 상기 내용을 포함하지만 이해를 쉽게 하고자 인공치아 용 임플란트란 관점에서 기술하고 한다. 인공치아 임플란트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잇몸뼈속에 삽입하여 박는 Fixture(1) 와 이 Fixture에 연결되는 상부의 Abutment(2)로 구성되어 인공치아 기능을 하게되는데 본 발명은 이 Fixture 와 Abutment에 관한 것의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Fixture는 하부구조인 치근부위가 팽창하여(도 1) 발치후 즉시 발치구멍 내벽 뼈에 잘 부착할 수 있도록 임플란트 Fixture 모양을 치아와 유사한 모양(도 2)으로 디자인 제작하는 데 있어서 Fixture(1)의 구조는
    임플란트 몸체(implant body)(5), 팽창 너트(expansion nut)(7), 팽창 스쿠루(expansion screw)(6), 임플란트 밑바닥부위 (implant base)(4)로 나누워지며, 이들의 수직축은 일직선상에 있고(도 2),
    임플란트 몸체(5)는 상부구조가 하부구조보다 외부 직경이 크게 나선형(도1, 도2) 혹은 계단식으로 디자인 하거나 혹은 같은 크기로 하고 혹은 몸체 일부가 중간에서 튀어나오게 다양하게 디자인 하고, 임플란트 몸체 외부(9)는 스크루를 형성(도1)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공히 외부접촉 면적이 넓도록 디자인하고,
    임플란트 몸체 중간부위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몇개 부위로 다양하게 분할을 시키고(도1, 도4),
    이 임플란트 내부에 팽창스크루(6)를 삽입가능하게 하여,
    이 팽창스크루(6)를 돌림에 따라 팽창너트(7)가 이동하면서 임플란트 하부의 분할시킨 부위(도 3 나; 5)가 팽창하면서(도 2 나) 옆으로 벌어져 발치 구멍 내벽인 뼈에 밀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 임플란트 밑바닥부위를 몸체와 부착(도 2 )시키거나 착탈(도 1)이 가능하도록 이루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3. 제 2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몸체(5)는 단면이 원형(도 3, 도 4 나), 타원형, 직사각형(도 4 가), 정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및 다양한 모양으로 발치한 치아의 단면의 크기에 맞는 몸체의 단면으로 몸체 길이는 전치부 치아처럼 원추형 ( 도 2)으로 하거나 원통형으로 혹은 직육면체로 만든후 몸체부 벽을 어느 부위든 원하는 수 만큼 팽창(도4) 시킬수 있도록 임플란트 몸체 목(8) 아래부위를 분할시키는 것(도 1)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4. 제 2항에 있어서 팽창 너트(7)는 임플란트 몸체 단면에 일치하는 단면 모양 및 다양한 모양에 측면도 다양한 모양(도 2) 으로 윗면과 아랫면의 크기가 다른 상하 이동체로서 임플란트 몸체부의 분할된 내부벽에 걸리게 홈을 파고, 최소한 한 곳이상 홈을파서(도 3, 도 4) 일반적으로 홈이 없는 부위로 몸체부 벽의 일부(도 3 나 ; 11)가 팽창이 가능하며(도 2, 도 3 ) 다양한 개수(도3, 도 4)로 분할 팽창이 가능하고, 몸체부의 분할된 내부벽(도 3 나 ; 11)에 닿는 부위의 팽창너트 부위를 가감삭제 함에 따라 팽창 정도를 조절 가능한 것(도 3)을 특징으로 하고, 팽창 너트의 홈이 있는 부위도 몸체부의 분할된 내부벽(도 4 ; 11)이 닿게하고(도 4) 이홈 부위의 팽창너트 부위를 가감삭제 함에 따라 팽창 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한 것(도4)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5. 제 2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몸체부 내부 벽(11)에 있어서, 내부벽(도 2 ; 11)의 상부를 하부보다 크게 하여 측면이 다양한 모양(도 2 ; 7)인 팽창 너트를 팽창스크루(6)에 삽입하여 하부로 이동(도 2 나)가능하게 하는 내부벽 구조(도 2 ; 11) 혹은 다양한 모양으로 삽입하여 상방으로 이동가능하게 한 임플란트 몸체 내부벽 구조와 팽창너트에 의해 쉽게 꺾어져 팽창가능하게한 몸체내부벽(도 2 ; 11) 및 몸체외부 구조(도 1, 도 2)를 특징으로하는 임플란트.
  6. 제 2항에 있어서 팽창스크루(6)는 팽창 스크루 머리부의 상부를 홈을 파거나 돌출시켜 돌릴수 있게하고(도 2) 이 스크루가 임플란트 내부 선반(10)에 걸려 이 스크루를 돌림에 따라 팽창너트(7)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때 내부 선반에 걸리는 스크루 머리 부의 하부쪽면에 튀어나오거나 패인 요철(도 5 ; 12)을 만들고그 맞닿는 몸체부 내부 선반 상부에도 암수가 맞는 요철(도 5 ; 13)을 형성하여 내부 선반을 중심으로한 임플란트 상부와 하부사이에 틈새를 막아 입안쪽의 세균이 하부쪽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한 구조를 특징으로한 임플란트로 이 때의 요철은 사다리꼴(도 5 ; 가 라), 삼각형(도 5 ; 나 마), 원형(도 5 ; 다 바)등의 다양한 요철을 형성하여 스크루 머리 부의 요철과 몸체 내부 선반부의 요철(도 5 ; 가 나 다 라 마 바)이 서로 암수가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제 2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밑바닥 부위(4)는 Fixture 하부 팽창하지 않는 부위의 몸체(도 2 가)끼리는 서로 연결되어 임플란트 밑바닥 부위까지 일체로 붙어 있어 임플란트 몸체의 상부와 하부 밑바닥 부위까지 일체가 되도록 부착(도 2)할 수도 있고 또한 이 부위가 착탈(도 1)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8. 제 1항에 있어서 Abutment(2)는 Fixture 와 Abutment가 붙어 있는 일체형(도 1 가)과 분리형(도 1 나, 도 2)으로 개발했는데 분리형(도 1 나, 도 2)인 경우, 임플란트 fixture 상부에 목(8)부위가 있고 이 속으로 Abutment(도 1 나, 도 2)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내부선반 상부부위에 나사형 홈을 파서 Abutment 가 스크루 식으로 고정되거나, Abutment를 cement (접착제) 로 적찹(도 2)하거나 하여 인공치아부위를 형성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때 Abutment 는 Abutment가 Fixture에 삽입되는 부위는 수직으로 삽입되나 노출되는 그 상부 부분은 수직으로 된 Abutment(도 2 가 ; 2)와 다양한 각도를 주어 제작한 Abutment(도 1 나 ; 2, 도 2 나 ; 2)가 삽입 고정되게 하여 인공치아를 형성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xture 와 Abutment가 붙어 있는 일체형(도 1 가 ; 2)인 경우, Fixture 와Abutment를 one-piece로 연결된 형태(도 1 가)로 제작하여 팽창스크루를 삽입하여 팽창할 수 있게 하고 일체로 붙어 있는 Abutment 속에 삽입하여 그 위를 덮을 수 있는 cover screw(도 1 가 ; 3)를 만들어 장착할 수 있게 한 One-piece One-stage implant를 특징으로 한다.
KR1019990005167A 1999-02-12 1999-02-12 즉시 고정 가능한 팽창형 임플란트 Expired - Fee Related KR100312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167A KR100312542B1 (ko) 1999-02-12 1999-02-12 즉시 고정 가능한 팽창형 임플란트
US09/503,242 US6332778B1 (en) 1999-02-12 2000-02-14 Immediately loadable expanding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167A KR100312542B1 (ko) 1999-02-12 1999-02-12 즉시 고정 가능한 팽창형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128A true KR20000056128A (ko) 2000-09-15
KR100312542B1 KR100312542B1 (ko) 2001-11-03

Family

ID=1957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1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12542B1 (ko) 1999-02-12 1999-02-12 즉시 고정 가능한 팽창형 임플란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32778B1 (ko)
KR (1) KR10031254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0767A1 (en) * 2001-10-11 2003-04-17 Dentium Co., Ltd Fixture and mount for implant operation
KR100537219B1 (ko) * 2003-03-13 2005-12-16 허영구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및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0597393B1 (ko) * 2004-09-15 2006-07-10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임프레션 코핑및 랩 아날로그
KR100597394B1 (ko) * 2004-09-17 2006-07-10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KR100850437B1 (ko) * 2008-04-22 2008-08-05 유양은 임플란트 시술용 보조기구
KR100925661B1 (ko) * 2009-06-25 2009-11-09 김두태 치과용 임플란트
KR20180035198A (ko) * 2018-03-22 2018-04-05 이정현 치아 임플란트
WO2019103294A1 (ko) * 2017-11-10 2019-05-31 윤장훈 인조치아 고정장치
KR20190107228A (ko) * 2018-03-07 2019-09-19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발치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맞춤형 임프란트
KR20190136480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메디덴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69530B1 (ko) * 2019-11-20 2020-01-23 박성모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230055209A (ko) * 2021-10-18 2023-04-25 정필훈 임플란트 픽스쳐 및 이를 적용한 임플란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9252B1 (en) 1999-07-23 2001-11-20 Mcdevitt Dennis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soft tissue to bone
US6527794B1 (en) 1999-08-10 2003-03-04 Ethicon, Inc. Self-locking suture anchor
US6733506B1 (en) * 2000-11-16 2004-05-11 Ethic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soft tissue to bone
US6991461B2 (en) * 2001-12-28 2006-01-31 Gittleman Neal B Expandable dental implant apparatus
EP1380267A1 (en) * 2002-07-10 2004-01-14 Implant Microdent Systems, S.L. Surgical instrumental system for atraumatic bone distraction to affixe dental prosthesis
KR20040037967A (ko) * 2002-10-31 2004-05-08 정필훈 치아 뿌리모양에 맞게 팽창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AU2003234889A1 (en) * 2003-04-17 2004-11-04 Wolfgang Dinkelacker Jaw implant
US20060194171A1 (en) * 2003-10-03 2006-08-31 Sargon Lazarof Bi-polar implant
WO2005117742A1 (de) * 2004-06-04 2005-12-15 Stefan Neumeyer Zahnimplantat
US20060046229A1 (en) * 2004-08-26 2006-03-02 Teich Thomas J Dental implant
US9750492B2 (en) 2006-08-04 2017-09-05 Depuy Mitek, Llc Suture anchor system with tension relief mechanism
US9788825B2 (en) 2006-08-04 2017-10-17 Depuy Mitek, Llc Suture anchor with relief mechanism
IL177848A0 (en) 2006-09-03 2006-12-31 Oz Vachtenberg Expandable dental implants of high surface area and methods of expanding the same
AT504473B1 (de) * 2006-10-05 2008-06-15 Blaim Walter Dr Zahnimplantatträger
KR20090005848U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TR200709040A1 (tr) * 2007-12-27 2009-03-23 Tunali Mustafa Kemik desteğini arttırabilen dental implant
US9072561B2 (en) 2008-03-25 2015-07-07 The Center For Orthopedic Research And Education, Inc. Spinal facet fixation device
US20100086900A1 (en) * 2008-05-06 2010-04-08 Keystone Dental, Inc. Coping-analogue kit
KR101029478B1 (ko) 2009-04-26 2011-04-18 김형한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한 중공 원통 형태의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US20100316970A1 (en) * 2009-06-10 2010-12-16 Jeng-Kang Richard Shih Implant root for tooth implanting
TW201121517A (en) * 2009-12-16 2011-07-01 Xin-Wu Mi Implant device.
US20120141955A1 (en) * 2010-12-03 2012-06-07 The Ohio State University Hybrid dental implant
EP2468210B1 (en) * 2010-12-23 2015-11-11 Straumann Holding AG Improved screw head
US8540513B1 (en) 2012-04-03 2013-09-24 Murtada Hassan Aldoukhi Expandable dental implant with improved mechanical retention
US8545223B1 (en) * 2012-06-28 2013-10-01 Jordan Michael Cherkinsky Dental implant system
US9198772B2 (en) * 2013-03-01 2015-12-01 Globus Medical, Inc. Articulating expandable intervertebral implant
US20160022386A1 (en) * 2013-03-12 2016-01-28 Azenium Ip Limited A dental implant
WO2016060962A1 (en) * 2014-10-17 2016-04-21 Azenium Ip Limited A dental implant
WO2017216693A2 (en) * 2016-06-14 2017-12-21 Southern Implants (Pty) Ltd Dental implant having reverse-tapered main body for anterior post-extraction sockets
GB201616389D0 (en) * 2016-09-27 2016-11-09 Tim Doswell Dental Implants Limited Dental prosthesis
KR101831612B1 (ko) 2017-11-07 2018-02-26 백승관 일체형 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KR102265130B1 (ko) * 2018-07-13 2021-06-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근 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시술 방법
CN110226980A (zh) * 2019-06-17 2019-09-13 五邑大学 一种带膨胀块的斜楔式胀紧型牙种植装置
EP3799825A1 (en) * 2019-10-02 2021-04-07 Ruetschi Technology AG Threadless dental implant, system including a threadless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attachment of a threadless dent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1387A (en) * 1953-07-13 1955-10-25 Edward S Ashuckian Artificial tooth
US3579831A (en) * 1969-03-05 1971-05-25 Irving J Stevens Bone implant
US4177562A (en) * 1977-05-02 1979-12-11 Miller Alvin L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nserting the same
US5681167A (en) * 1996-01-05 1997-10-28 Lazarof; Sargon Dental assembly and process for preparing a tooth prosthesis
US6126662A (en) * 1998-10-09 2000-10-03 Carmichael; Robert P. Bone implant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0767A1 (en) * 2001-10-11 2003-04-17 Dentium Co., Ltd Fixture and mount for implant operation
KR100537219B1 (ko) * 2003-03-13 2005-12-16 허영구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및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0597393B1 (ko) * 2004-09-15 2006-07-10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임프레션 코핑및 랩 아날로그
KR100597394B1 (ko) * 2004-09-17 2006-07-10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KR100850437B1 (ko) * 2008-04-22 2008-08-05 유양은 임플란트 시술용 보조기구
KR100925661B1 (ko) * 2009-06-25 2009-11-09 김두태 치과용 임플란트
WO2019103294A1 (ko) * 2017-11-10 2019-05-31 윤장훈 인조치아 고정장치
KR20190107228A (ko) * 2018-03-07 2019-09-19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발치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맞춤형 임프란트
KR20180035198A (ko) * 2018-03-22 2018-04-05 이정현 치아 임플란트
KR20190136480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메디덴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69530B1 (ko) * 2019-11-20 2020-01-23 박성모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230055209A (ko) * 2021-10-18 2023-04-25 정필훈 임플란트 픽스쳐 및 이를 적용한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2542B1 (ko) 2001-11-03
US6332778B1 (en) 2001-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6128A (ko) 즉시 고정가능한 형태조절 팽창형 임플란트
US5611688A (en) Expanding dental implant and method for its use
US5674071A (en) Dental laboratory components and procedures for anatomical restoration on artificial root fixtures
US5931674A (en) Expanding dental implant
US4758161A (en) Coping insert for use with a dental implant
US5759034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for posterior and anterior teeth
ES2329762T3 (es) Cofia de impresion.
CA2526318C (en) Condensing skeletal implant that facilitate insertion
EP0114955B1 (en) Universal pin for oral implantoprosthesis
KR102173435B1 (ko) 치과 보철 시스템
JP6450712B2 (ja) 抜歯部位歯槽ケージ
KR19990082264A (ko) 치료 접합부와 의치본 코핑이 조합된 융기 프로파일 시스템
ES2325954T3 (es) Sistema de implante dental.
JPH07506283A (ja) 挿入式義歯取付に用いる方法と器具
BR112018075711B1 (pt) Implante dentário com corpo principal reverso para cavidades pósextração anterior
ITMI940129A1 (it) Impianto protesico per implantologia odontoiatrica
JPS618044A (ja) 義歯保持体を取付けるための孔を有する顎骨内植込み子
CN103284807B (zh) 人工牙种植体
KR100372093B1 (ko) 루우트 스크류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
KR20220089296A (ko) 미세 커팅 엣지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IL284956B1 (en) Coupling element for dentistry applications and corresponding kit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JP5781709B2 (ja) 歯肉賦形キャップ及び歯肉賦形キャップキット
BRPI0905306A2 (pt) implante múltiplo com áncora interna e tensores com instrumento para a colocaçã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