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446A - 용해된 발포제를 함유한 반응 혼합물로부터 발포 재료의제조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용해된 발포제를 함유한 반응 혼합물로부터 발포 재료의제조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53446A KR20000053446A KR1020000001123A KR20000001123A KR20000053446A KR 20000053446 A KR20000053446 A KR 20000053446A KR 1020000001123 A KR1020000001123 A KR 1020000001123A KR 20000001123 A KR20000001123 A KR 20000001123A KR 20000053446 A KR20000053446 A KR 200000534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s
- throttle
- throttle plate
- plate
- housing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1541 reaction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3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4604 Blow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911 nucle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948 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513 isocya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FBQJSOFQDEBGM-UHFFFAOYSA-N Pentane Chemical class CCCCC OFBQJSOFQDEB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830 Polyurethane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96 polyurethane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14 cal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29 fi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4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461—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dispensing apparatus, e.g. dispensing foaming resin over the whole width of the mov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Abstract
제조 중에 변하는 제조 조건 (예를 들면, 발포제 비율의 변화, 반응 성분비의 변화, 원료 처리량의 변화 또는 미세 조정)하에서, 폴리우레탄 발포 재료를 형성하는 반응 혼합물을, 제1 스로틀판 (24)으로 제작된 다공판 또는 체판, 그 하류에 배치되어 있는 스로틀판으로 제작된 제2 다공판 또는 체판 (26, 27, 28)이 크리머 (10)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2 개의 스로틀판 (24, 26) 사이에 간격은 다양한 제조 조건에 따라 공정 중에 변화시킬 수 있고, 정정 부재 (29)가 제2 스로틀판 (26) 뒤에 흐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감압 부재 (크리머)(10)을 포함하는 개선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급 라인 중 적어도 하나가 발포제의 도입 및 용해를 위한 부재를 포함하고, 감압 부재 (크리머)가 배출구와 인접하여 있으며, 배출구가 있는 혼합 챔버 및 반응 성분의 공급 라인으로 이루어져 있고 용해된 발포제를 함유한 자유-유동 반응 성분들의 반응 혼합물로부터 발포 재료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DE 44 22 568 C1).
발포 재료의 제조 중에, 특히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로부터 폴리우레탄 발포 재료의 제조 중에, 용해된 발포제의 기능은 크리머로부터 방출시 감압으로 인해 자신이 가스 상태로 변화하여 형성된 핵형성 씨드(seed)에 부착함으로써 발포 재료에 기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적합한 발포제로는 환경 보호의 이유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불소화 탄화수소, 펜탄 및 특히 최근에 사용되어 온 이산화탄소가 있다.
균일한 겉보기 밀도를 갖는 발포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기전에, 충분하고 균일하게 분포된 핵형성 씨드를 형성시켜야 하고, 둘째로는 발포제 전체가 크리머를 떠난 후에야 감압하여 발포제가 가스 상태로 바뀌고 미리 형성된 핵형성 씨드에 부착될 때 균일한 크기의 기공이 형성되어 발포 재료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해야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혼합 챔버의 하류에 배치된 크리머는, 스로틀(throttle) 부재로 작용하여 발포제가 용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필요 압력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다공판 또는 체판에 의해 반응 혼합물의 흐름을 줄인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체판의 10 %가 뚫려 있고, 예컨대 직경이 0.1 mm이고 약 1270 개 개구/㎠을 포함한다. 매우 미세한 다공판 또는 미세 체판을 사용하는데, 개구/㎠의 수 및 체판의 수는 유지해야 하는 특정 압력에 따라 좌우된다.
최적의 발포 재료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다공판의 유효 표면적의 크기를 발포 공정의 개시시에 크리머 밖에서 조정할 수 있고 한면에 고정되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맞추어 조정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DE 195 24 434 A1). 그러나, 이러한 스크린들은 경사진 지지 장치 상에 배치되어 있어 불안정하고; 여러 크기의 다공판 또는 체판의 면이 수행되는 조정 작업에 따라 덮히기 때문에 흐름 채널의 단면 변화 또는 흐름 경로 변화로 인해 흐름이 균일하지 못하다.
또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갭을 이용하여 조정하려는 시도가 이미 있었다(DE 195 24 434 A1). 이 높이-조정식 갭은 두 개의 고형의 플레어형 면들사이나 또는 고형 면과 다공판 또는 체판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갭 높이를 조정하는 것은 원하는 방식으로 압력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흐름의 관계를 원치 않는 방식으로 변화시키기도 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핵형성 씨드의 형성이 또한 불리한 방식으로 변화되기도 하여 기공의 균일한 형성을 보장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정정 체판 형태의 정정(靜定; calming) 부재를 플레어형 갭과 함께 이용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EP 0719 627 A2). 또한, 갭으로부터 반응 혼합물의 유출이 정정 체판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일어나므로 체류 시간의 폭이 넓고, 때문에 균질한 흐름을 보장할 수 없고, 정정 체판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직각으로의 편향이 다시 일어나야만 하므로 그로 인해 발생되는 소용돌이도 또한 체류 시간 스펙트럼의 폭에 지속적으로 바람직하지않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폴리우레탄 발포 재료의 제조를 위한 발포제로서는 제어가 어려운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이산화탄소를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기술은 발포시,특히 블록 발포 재료의 제조, 이중 컨베이어 벨트에서 슬래브로의 제조 및 직물의 코팅과 같은 연속 제조 공정 모두에 응용된다. 이산화탄소는 감압시에 가스 상태로 갑자기 변하기 때문에, 이때 특히 문제가 생기기 쉽고 완전한 품질의 발포 재료를 수득하는 것이 어렵다.
설비가 일정한 제조 조건에 맞춰 디자인되면, 대체로 만족스런 품질의 발포 재료를 수득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원료 처리량 및 매우 상이한 소비자 요구로 인해 장기간에 걸친 일정한 제조 조건이란 거의 없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발포 재료의 연속 제조 중에는 여러 겉보기 밀도를 갖는 여러 형태의 발포 재료를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발포제의 비율을 변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추가의 체판 또는 다공판을 설치하거나 흐름 채널에 배치된 체판 또는 다공판을 상이한 통로 면적 또는 상이한 통기율을 갖는 다른 것으로의 교체함으로써 크리머를 신규 제조 조건에 맞추어야 한다. 물론, 이는 체판 또는 다공판 교체를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제조를 중지시켜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현대식 블록 발포 재료 설비를 약 5 m/분의 제조 속도에서 작동하는 경우를 생각한다면, 제조 정지 시간이 크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블록 발포 재료 설비를 재가동시킬 때 제조된 블록 발포재의 처음 몇 미터는 불량품이다. 또한, 제조 개시시에 반응 혼합물의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고정되게 설치된 다공판 또는 체판을 사용하여 미세 조정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물론, 발포 중에 주기적 제조 과정으로 인해 공정 중에 짧게 중단하며 작동시키는 것이 제조 조건에서 단시간 변화들과 마찬가지로 빈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제조 조건이 바뀌는 경우, 필요하면 크리머를 씻어내야 한다.
제조 조건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반응 혼합물 중에서 발포제의 비율 변화, 원료 처리량 변화 및(또는) 반응 성분들간의 부피비 변화에 기인하여 일어난다.
최적의 발포 재료를 수득하기 위해 제조 처음에 전술한 미세 조정이 종종 필요할 뿐만 아니라 또한 공정 중에 후속 조정도 또한 종종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중에 설비를 조정하거나 또는 변화된 제조 조건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는, 용해된 발포제를 함유한 반응 혼합물로부터 균일한 기공 크기 또는 기포 크기를 갖는 최적의 발포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2 개의 스로틀판(throttle plate) 사이의 간격이 조업 중에 변화될 수 있으며 감압 부재 (크리머)에서 흐름 방향에 대해 횡으로 배치된 스로틀판으로 제작된 2 개의 다공판 또는 체판과, 흐름 방향으로 두번째 스로틀판 뒤에 배치되는 정정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2 개의 다공판 또는 체판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거나 조정함으로써, 제조 조건이 변하거나 미세 조정을 할 경우 균질한 흐름과 짧은 체류 시간이 유지되며, 이로써 핵형성 씨드가 균일하게 형성되고, 발포제가 너무 이르게 가스 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정 중에 발포제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우는 혼합 챔버 압력을 증가시켜야 하고 간격은 그에 상응하게 감소시켜야 한다. 반응 혼합물의 원료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발포제의 일정 비율에서 혼합 챔버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간격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소시아네이트의 비율에 대한 폴리올의 비율의 정량적 비를 변화시키는 경우, 필요한 간격을 실험에 의해 정해야 한다. 간격 변화의 크기는 실험값의 표 또는 그래프로부터 구한다.
용어 "공정 중에"은 설비가 가동되는 채로 연속 공정 중에 있는 중단을 의미한다. 실제 발포 중에서는, 일반적으로 2 번의 주형 충진 공정 사이의 짧은 시간 간격 중에 이러한 중단이 있다.
이러한 과정 중에, 발포제를 함유한 반응 혼합물이 마지막 스로틀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유출된 후에 정정 부재에 의해 다시 정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정정 체판이 갭 뒤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은 사실 EP 0 719 627 A2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갭으로부터 나온 반응 혼합물이 더 휘어져 있는 정정 체판을 통해 흐르기 전에 휘어진다. 따라서, 정정 체판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은 폭의 체류 시간을 야기하기 이전에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핵형성 씨드의 목적하지 않은 형성 및 발포제에서 가스 상태로의 목적하지 않은 조기 전이가 모두 발생함으로써 불균일한 크기의 기공 또는 기포가 발포 재료의 제조 중에 형성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장치에서는 정정 체판 전에 이미 선형 흐름이기 때문에 흐름 단면 전체에 걸쳐 체류 시간이 매우 짧고, 일정하다. 또한, 이러한 신규 장치를 사용하면, 혼합물이 정정 부재를 통과할 때까지 기공 또는 기포의 형성이 개시되지 않아서 균질한 발포 재료의 제조를 위해 모든 조건이 창출된다.
실제 감압은 첫번째로 정정 부재 뒤에서 일어나고, 실제 반응 혼합물의 부피는 발포제의 핵형성 씨드로의 부착 및 발포제의 가스 상태로의 직접적이고 빠른 전이에 의해 갑자기 증가한다. 예를 들어 발포제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경우, 반응 혼합물은 원래 부피의 약 10 배 정도 팽창된다. 이 과정 도중에 핵형성 씨드로의 부착은 매우 균일하게 일어나서 균일한 기공 또는 기포 크기 및 분포를 갖는 균질한 발포 재료가 제조된다.
이는 효과적인 미세 조정이 가능한 신규 조합 장치 특성으로만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2 개의 스로틀판이 서로에 대한 간격을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를 중지시키지 않고도 공정 중에 바뀐 제조 조건에 맞춰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설비의 진행중인 제조 공정을 방해하지 않고 불량품으로 인한 상당한 손실없이 여러 겉보기 밀도를 갖는 발포 재료의 연속적인 직접 제조를 위한 필요 조건이 충족된다.
도 1은 크리머 (creamer)를 이용하는 블록 발포 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크리머의 제1 실시태양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크리머의 제2 실시태양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저장 용기 3, 4, 8 : 공급 라인
5 : 혼합 챔버 6 : 가압 혼합 부재
7 : 발포제 컨테이너 10 : 감압 하우징 (크리머)
11 : 컨베이어 벨트 12 : 역류 차단벽
13 : 발포 반응 혼합물 14 : 발포 재료 블록
21, 41 : 크리머 22, 23, 42, 43 : 하우징부
24, 44 : 스로틀판 25, 45 : 적층부
26, 27, 28, 46, 47, 48 : 다공판 또는 체판 29, 49 : 정정 부재
30, 31, 50, 51 : 에지 54 : 원뿔형 선단
제1 실시태양에 따르면, 감압 부재는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흐름 방향으로 제1의 스로틀판은 제1 하우징부에 고정되게 부착되어 있고, 제2 스로틀판 및 정정 부재는 제2 하우징부에 고정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2 개의 스로틀판 사이의 간격은 2 개의 상호 밀폐되는 하우징부를 서로 조정함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2 개의 하우징부는 상세히 언급하지는 않은 조정 장치에 의해 서로 조정할 수 있다. 유사한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이와 같은 조정 기구의 만족스러운 모델을 형성한다. 2 개의 하우징부 사이에 내압 슬라이딩 실(seal)이 존재해야한다. 제작법에 따라, 둘 중 하나의 하우징부를 조정할 수 있다. 혼합 챔버로부터 제1 하우징부내의 크리머 또는 제1의 스로틀판의 간격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혼합 챔버의 움직임과 함께 일어나는 제1 하우징의 움직임은 피해야 하기 때문에 제2 하우징부를 조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두번째 유리한 실시태양에 따라, 흐름 방향으로 제1의 스로틀판은 감압 부재에 조정가능하게 배치하고, 제2 스로틀판 및 정정 부재는 거기에 고정되게 배치하고 2 개의 스로틀판 사이에 간격은 제1 스로틀판을 조정함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스로틀판에 대한 조정 장치(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음)가 필요한데,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샤프트가 장착된다. 제1 스로틀판을 설치할 때, 이 장치의 단부를 감압 부재에 도입하여 그 안에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잇점을 제공한다. 또는, 2 개의 하우징부를 사용하여 서로 밀폐시키고 서로 고정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두 가지 경우 모두 특별한 밀폐의 어려움은 없다.
균질한 흐름을 위해서는 압력의 작용에 의한 변형이 갭 간격 a보다 상당히 작도록 스로틀판의 크기를 정하거나 디자인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제1 스로틀판은 배출구측 상에 더 큰 개구와 그 사이에 원뿔형의 선단을 가질 수 있다. 이 선단들은 이들 아래에 위치한 제2 스로틀판의 상응하는 테이퍼형 개구에 대향하므로 동일한 종류의 여러개의 갭이 그 사이에 존재한다. 이 2 개의 스로틀판 사이의 간격이 바뀌면, 모든 갭의 높이가 동시에 바뀌게 된다.
정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체판으로 이루어진다.
또는, 정정 부재는 소결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추가의 특정 실시태양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추가의 스로틀판이 제2 스로틀판과 정정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이한 통기율의 스로틀판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제1 스로틀판 이후의 교축 효과가 다수의 단계로 목적하는 최대치까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의 특정 실시태양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체판 또는 소결 금속판을 흐름 방향으로 제1 스로틀판의 상단에 배치할 수 있다.
제1 스로틀판 상단에 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체판 또는 다공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소결 금속판을 위치시키면 흐름을 균질하게 하고 불순물을 잡아내는 작용을 한다.
신규 장치의 실시태양 중 2 개의 실시예가 도면에서 순수하게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예로서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블록 발포 설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블록 발포 설비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용 저장 용기 (1, 2)로 이루어져 있다. 공급 라인 (3, 4)는 저장 용기 (1, 2)로부터 혼합 챔버 (5)로 이어져 있다. 가압 혼합 부재 (6)은 폴리올의 공급 라인 (3)에 배치되어 있다. 공급 라인 (8)은 이산화탄소의 발포제 컨테이너 (7)로부터 가압 혼합 부재로 이어져 있다. 감압 하우징 (10), 즉 크리머는 혼합 챔버 (5)의 배출구 (9)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감압 하우징은 컨베이어 벨트 (11)을 향해 열려 있다. 역류 차단벽 (12)는 크리머 (10)으로부터 나오는 발포 반응 혼합물 (13)이 컨베이어 벨트 (11)의 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한다. 크리머 (10)으로부터의 배출시 반응 혼합물 (13)의 감압으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갑자기 가스 상태로 변화하여 상기 반응 혼합물 (13)이 팽창하여 연속 수송되는 발포 재료 블록 (14)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크리머 (21)은 하우징부 (22) 및 하우징부 (23)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부 (22)는 혼합 챔버 (5)(도 1)의 배출구 (9)(도 1)와 인접하여 있다. 다공판 또는 체판으로 이루어진 스로틀판 (24)는 하우징부 (22)에 흐름 방향에 대해 횡으로 고정되지만 교체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유효 면적은 통기율 9 %에 상응한다. 하우징부(23)은 밀봉 조인트에 의해 하우징부 (22)에 인접해 있고 하우징부 (22)로부터의 간격은 조정가능하다. 조정 장치는 화살표로만 표시되어 있다. 이 기구는 매우 미세하고 정확한 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하우징부 (23)은 스로틀판 (24)에 평행하게 3 개의 다공판 또는 체판 (26, 27, 28)(각각의 유효 면적은 통기율 5 %, 3 % 및 2 %에 상응함)의 적층부 (25)을 포함하며, 또한 체 또는 소결 금속 부재로 제작된 정정 부재 (29)를 포함한다. 이러한 모든 판들은 매우 얇고 따라서 압력에 민감하다. 지지체(도시되지 않음)가 필요할 수도 있다. 하우징부 (23)의 에지 (30)는 하우징부 (22)의 에지 (31)을 둘러싸고 가압 슬라이딩 환형 실(seal) (32)는 이러한 에지들 (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호 조정이 확실히 가능하고, 다양한 간격을 형성하는 갭 (33)이 스로틀판 (24) 과 체판 (26) 사이에 존재한다. 체판 (34)는 제1 하우징부 (22)에서 제1 스로틀판 (24)의 상단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20 %의 통기가능한 면적, 직경 0.1 mm의 개구 크기 및 약 2550/㎠에 상응하는 개구 수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크리머 (41)은 크리머에 단단히 부착된 하우징부 (42) 및 하우징부 (43)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부 (42)는 혼합 챔버 (5)(도 1)의 배출구 (9)(도 1)에 인접하여 있다. 다공판으로 이루어지고 샤프트 (52)를 포함하는 제1 스로틀판 (44)는 하우징부 (42)에 배치되어 있어서 화살표로서 표시된 조정 장치에 의해 흐름 방향으로 조정되거나 미세하게 조정된다. 하우징부 (43)은 스로틀판 (44)에 평행하며 스로틀판으로 제작된 다공판 또는 체판 (46, 47, 48)의 고정되게 나사-결합된 적층부 (45)을 포함하고, 체 또는 소결 금속 부재로 제작된 정정 부재 (49)를 포함한다. 이러한 모든 판들은 매우 얇아서 민감하다. 하우징부 (43)의 에지 (50)은 하우징부 (42)의 에지 (51)을 완전히 불침투성인 방식으로 둘러싸고 있다. 이 경우, 조정가능한 스로틀판 (44)는 테이퍼형 개구 (53)을 포함하고, 원뿔형 선단 (54)는 다공판 (46)을 향한 스로틀판의 측면 위에서 이러한 개구 (5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원뿔형 선단은 다공판 또는 체판 (46)에 있는 개구 (56)을 가리키는데 이러한 개구들은 다수의 흐름 갭 (57)의 형성에 기인하여 원뿔형 선단 (54)에 일치하는 그들의 유입면 상에 테이퍼 (55)를 포함하며 이들의 높이는 스로틀판 (44)와 다공판 또는 체판 (46) 사이 또는 스로틀판 (44)와 적층부 (45)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작동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블록 발포 설비를 사용하였다. 이 설비는 2.1 m의 작업 너비를 가졌다. 우선 밀도 18 kg/㎥를 갖는 발포 재료를 제조하였다.
60 l/분 이소시아네이트 및 100 l/분 폴리올을 저장 용기 (1, 2)로부터 공급하였다. 40 bar의 압력하에 이산화탄소 2 kg/분을 가압 혼합 부재 (6)에서 폴리올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반응 성분들을 1800 ㎥의 체적을 가지고 샤프트와 판 교반기가 장착된 혼합 챔버 (5)에 공급하였다. 혼합 챔버에서의 일반적인 압력은 6 bar였다. 제조된 반응 혼합물 (13)이 배출구 (9)를 통해 인접한 크리머 (10)로 통과하고 체판 (34)를 통해 흘렀다. 하우징부 (22)에 나사로 고정된 체판 (24)는 스로틀판으로 작용하면서 그의 유효 면적의 약 9 %에 상응하는 통기율, 2 mm 직경의 개구 크기 및 약 3/㎠에 상응하는 개구 수를 가졌다. 체판 (26)은 제2 하우징부 (23)에서 그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었다. 이 체판은 그의 유효 면적의 약 4.5 %에 상응하는 통기율, 1 mm 직경의 개구 크기 및 약 6/㎠에 상응하는 개구 수를 가졌다. 스로틀판 (24)와 체판 (26) 사이에 변화가능한 간격은 0.3 mm였다. 정정 부재 (29)는 체판 (26)의 하류에 그로부터 0.5 mm 거리에 배치하였다. 정정 체판은 그의 유효 면적의 약 10 %에 상응하는 통기율, 0.1 mm 직경의 개구 크기 및 약 1270 개구/㎠를 가졌다. 모든 체판은 서로는 평행하게 흐름 방향에 대해서는 횡으로 배치되었다. 따라서, 흐름은 모든 체판들 사이에서 균질하고 체류 시간은 어디서나 최적의 방식으로 짧았다. 크리머 (10)으로부터 방출시, 반응 혼합물 (13)은 갑자기 감압되어 이산화탄소가 가스 상태로 변하고 반응 혼합물 (13)은 약 1.5 ㎥/분의 속도로 약 10 배의 부피로 팽창되었다. 역류 차단벽 (12)는 발포 반응 혼합물 (13)이 반대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막았다. 형성된 발포 재료 블록 (14)는 4 m/분의 컨베이어 벨트 속도로 수송되었다. 발포 재료 블록의 높이는 약 1.1 m에 이르렀다.
이어서, 겉보기 밀도 16 kg/㎥를 갖는 발포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제조 중에 제조 조건을 변화시켰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모든 변수는 바꾸지 않았다.
이어서, 이산화탄소의 공급 속도를 바꿔서 이산화탄소 4 kg/분으로 폴리올에 용해시켰다. 체판들 사이의 간격을 0.15 mm로 바꿈으로써 이러한 신규 조건을 크리머에 적용하였다. 이는 하우징부 (22) 및 (23)를 서로 조정하여 수행하였다. 이로써 발포 재료의 최적 제조를 유지하였다.
본 발명은 공급 라인 중 적어도 하나가 발포제의 도입 및 용해를 위한 부재를 포함하고, 감압 부재 (크리머)가 배출구와 인접하여 있으며, 배출구가 있는 혼합 챔버 및 반응 성분의 공급 라인으로 이루어져 있고 용해된 발포제를 함유한 자유-유동 반응 성분들의 반응 혼합물로부터 발포 재료의 제조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 중에 설비를 조정하거나 또는 변화된 제조 조건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어서 용해된 발포제를 함유한 반응 혼합물로부터 균일한 기공 크기 또는 기포 크기를 갖는 최적의 발포 재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Claims (7)
- 감압 부재 (10)내에 스로틀판(throttle plate)으로 제작된 2 개의 다공판 또는 체판 (24, 26; 44, 46)이 흐름 방향에 대해 횡으로 배치되며, 상기 2 개의 스로틀판 (24, 26; 44, 46) 사이의 간격을 작동 중에 변화시킬 수 있고 정정 부재 (29; 49)가 흐름 방향으로 제2 스로틀판 (26; 46) 뒤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라인 (3) 중 적어도 하나가 발포제의 도입 및 용해를 위한 부재 (6)을 포함하고, 감압 부재 (크리머) (10)이 배출구 (9)와 인접하여 있으며, 배출구 (9)를 갖는 혼합 챔버 (5) 및 반응 성분의 공급 라인 (3, 4)로 구성된, 용해된 발포제를 함유하는 자유-유동 반응 성분의 반응 혼합물 (13)으로부터 발포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감압 부재 (10)이 제1 하우징부 (22) 및 제2 하우징부 (23)으로 구성되며, 흐름 방향으로 제1의 스로틀판 (24)는 제1 하우징부 (22)에 고정되게 부착되어 있고 제2 스로틀판 (26) 및 정정 부재 (29)는 제2 하우징부 (23)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2 개의 스로틀판 (24, 26) 사이의 간격은 2 개의 상호 밀폐되는 하우징부 (22, 23)를 서로에 대해 조정함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흐름 방향으로 제1의 스로틀판 (44)는 감압 부재 (10)내에 조정가능하게 배치하고 제2 스로틀판 (46) 및 정정 부재 (49)는 고정되게 배치하고, 2 개의 스로틀판 (44, 46) 사이의 간격을 제1 스로틀판 (44)를 조정함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정 부재 (29; 49)가 하나 이상의 체판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정 부재 (29; 49)가 한 개 이상의 소결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개 이상의 추가 스로틀판 (27, 28; 47, 48)이 제2 스로틀판 (26; 46) 및 정정 부재 (29, 49)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체판 또는 소결 판 (34)가 흐름 방향으로 제1 스로틀판 (22) 상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900822.1 | 1999-01-12 | ||
DE19900822 | 1999-01-12 | ||
US09/474,976 US6544481B1 (en) | 1999-01-12 | 1999-12-29 |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foamed material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dissolved foaming ag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3446A true KR20000053446A (ko) | 2000-08-25 |
Family
ID=2605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01123A Withdrawn KR20000053446A (ko) | 1999-01-12 | 2000-01-11 | 용해된 발포제를 함유한 반응 혼합물로부터 발포 재료의제조를 위한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544481B1 (ko) |
EP (1) | EP1020275B1 (ko) |
JP (1) | JP2000202841A (ko) |
KR (1) | KR20000053446A (ko) |
CN (1) | CN1268427A (ko) |
DE (1) | DE59903088D1 (ko) |
NO (1) | NO20000147L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030384A1 (de) * | 2000-06-21 | 2002-01-03 | Hennecke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lockschaum |
DE50107027D1 (de) * | 2000-11-08 | 2005-09-15 | Hennecke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Blockschaum |
DE10305224A1 (de) * | 2003-02-07 | 2004-08-19 | Nordson Corp., Westlak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geschäumtem thermoplastischen Fluid, insbesondere geschäumtem Heißschmelz-Klebstoff auf ein Substrat |
US7566165B2 (en) * | 2006-04-17 | 2009-07-28 | Milliken & Company | Valved manifold and system suitable for introducing one or more additives into a fluid stream |
US20080032015A1 (en) * | 2006-08-02 | 2008-02-07 | Mark Walpole | Method of producing concentrated flour from wine grape pomace |
JP5992812B2 (ja) * | 2012-12-03 | 2016-09-14 | 株式会社タチエス | 表皮一体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
CN104070627B (zh) * | 2014-06-25 | 2017-02-08 | 裕克施乐塑料制品(太仓)有限公司 | 一种聚氨酯弹性体发泡材料的成型装置及其工作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63952A (en) * | 1957-09-12 | 1962-11-13 | Werner H Kreidl Dr | Method of making a synthetic resin foam by forcing material through a microporous structure |
US3343214A (en) * | 1965-08-24 | 1967-09-26 | Rexall Drug Chemical | Adjustable pressure extruding die |
US3833202A (en) * | 1972-12-07 | 1974-09-03 | American Polymers | Pre-die chamber for extrusion apparatus |
US5356565A (en) * | 1992-08-26 | 1994-10-18 | Marathon Oil Company | In-line foam generator for hydrocarbon recovery applications and its use |
DE4422568C1 (de) * | 1994-06-28 | 1996-02-15 | Bayer A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aumherstellung mittels unter Druck gelöstem Kohlendioxid |
AU4117096A (en) | 1994-11-28 | 1996-06-19 | Bayer Aktiengesellschaft | A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foam using carbon dioxide dissolved under pressure |
DE4446876A1 (de) | 1994-12-27 | 1996-07-04 | Bayer A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aumherstellung mittels unter Druck gelöstem Kohlendioxid |
DE19523390A1 (de) * | 1995-06-23 | 1997-01-09 | Bayer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arylcarbonaten |
DE19620991A1 (de) * | 1996-05-24 | 1997-11-27 | Hennecke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aumherstellung mittels unter Druck gelöstem Kohlendioxid |
-
1999
- 1999-12-28 EP EP99125981A patent/EP1020275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12-28 DE DE59903088T patent/DE59903088D1/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12-29 US US09/474,976 patent/US65444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
- 2000-01-11 NO NO20000147A patent/NO20000147L/no unknown
- 2000-01-11 KR KR1020000001123A patent/KR20000053446A/ko not_active Withdrawn
- 2000-01-12 CN CN00101072A patent/CN1268427A/zh active Pending
- 2000-01-12 JP JP2000003680A patent/JP2000202841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59903088D1 (de) | 2002-11-21 |
JP2000202841A (ja) | 2000-07-25 |
NO20000147D0 (no) | 2000-01-11 |
EP1020275B1 (de) | 2002-10-16 |
EP1020275A1 (de) | 2000-07-19 |
NO20000147L (no) | 2000-07-13 |
US6544481B1 (en) | 2003-04-08 |
CN1268427A (zh) | 2000-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13451C2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фракционирования гипсовой суспензии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гипсокартонных плит | |
EP0645226B1 (en) | Froth process and system for continuous manufacture of polyurethane foam slab-stocks | |
US6809124B2 (en) | Method for the production block foam | |
JP3607296B2 (ja) | 加圧下にて溶解させた二酸化炭素を用いるフォームの製造方法及び装置 | |
US5844015A (en) | Process and device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urethane block foam | |
EP0654300B1 (en) | Method for blending a gas into a high viscosity liquid | |
US5629027A (en) | Froth system for continuous manufacture of polyurethane foam slab-stocks | |
US4216181A (en) | Process for applying a layer of a liquid foamable reaction mixture to a continuously moving shaping support | |
US20090283613A1 (en) | Foam silicone parts in irrigation emitters | |
KR20000053446A (ko) | 용해된 발포제를 함유한 반응 혼합물로부터 발포 재료의제조를 위한 장치 | |
MXPA97003891A (es) |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produccion de espuma utilizando dioxido de carbono disuelto bajo presion | |
DE69614696T2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kunststoffschaum | |
US5665287A (en) | Froth process for continous manufacture of polyurethane foam slab-stocks | |
CA116001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foamed structures | |
US6036898A (en) |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urethane slabstock foam | |
US20080145544A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olyurethane Foam Slab Stock | |
US20030183971A1 (en) | Foam plastics manufacturing method and machine | |
US4202777A (en) | Flow distribution means for screening apparatus | |
DE69812888T2 (de)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polymerschaum | |
US4846099A (en) | Apparatus for applying a foam-forming flowable reaction mixture to a substrate | |
HK1031108A (en) | A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foamed material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dissolved foaming agent | |
EP1332857A1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CO2 foaming having variable pressure control | |
EP0734830A2 (en) | Frothing device for polyurethane mixtures | |
HK1117098A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olyurethane foam slab stock | |
HU214508B (hu) | Eljárás és berendezés poliuretánhab lemezek folyamatos előállításár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