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52443A -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와 이 장치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와 이 장치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2443A
KR20000052443A KR1019990056073A KR19990056073A KR20000052443A KR 20000052443 A KR20000052443 A KR 20000052443A KR 1019990056073 A KR1019990056073 A KR 1019990056073A KR 19990056073 A KR19990056073 A KR 19990056073A KR 20000052443 A KR20000052443 A KR 20000052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hinge
coupled
components
hinge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넨로저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0005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443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5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being in movable 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the coating, e.g. bearing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45Joints between elements
    • B60S1/345Joints betwee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a link piece and a mounting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1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means for bonding the coating to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Wi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제 1 구성부품(10)과, 제 1 구성부품(10)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힌지축(20, 22, 24, 26, 28, 30, 32)에 의해 가요성 결합되는 제 2 구성부품(12, 14, 16, 18)을 갖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힌지축(20, 22, 24, 26, 28, 30, 32)은 제 1 구성부품(10)의 배치를 통하여 제 1 구성부품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자유롭게 사출되며 제 2 구성부품(12, 14, 16, 18)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와 이 장치의 제조방법{Device having flexible jointed construction element and the same a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종류에 따른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여러 가지 장치 중에는, 특히 차량의 창유리 와이퍼에서와 같이 가능한 적은 운동을 갖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공지된 창유리 와이퍼는, 구동축상에 고정된 고정부품과, 힌지를 통해 고정부품과 결합되는 힌지부품과, 힌지부품상에 견고히 이어진 와이퍼 로드로 구성되는 와이퍼 아암을 포함한다. 또한, 창유리 와이퍼는 지지대구조와 이 구조에 의해 유지된 와이퍼테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아암에 힌지결합되며, 여기서 와이퍼로드의 후크형태의 단부는 지지대구조의 두 개의 측면 칸막이 사이에 맞물리고 힌지볼트를 둘러싼다. 이와 같이 구성된 힌지는 와이퍼테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를 자동차의 창유리에 안내하며, 힌지부품과 지지대구조는 와이퍼테를 차량의 창유리의 만곡부에 압착시킬 수 있다. 와이퍼테를 차량의 창유리상에 압착하기 위해 필요한 압착력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에 의해 달성되며, 이 스프링은 고정부품과 힌지부품을 와이퍼로드와 함께 힌지를 통해 고정한다.
와이퍼아암의 개별 구성부품들의 형태와 이들의 결합은 상이한 요구와 부하에 따라 결정되며, 사실 그들은 가능한 최대로 자유롭게 결합되어야 하고 토션과 비틀림에 강하면서도 시야쪽으로 가늘게 형성되어야 하며, 이로써 와이퍼 블레이드는 흔들림에서 자유롭게 그리고 제어가능하게 자동차의 창유리상에 안내될 수 있으며, 시야에서 거의 방해받지 않게 된다.
고정부품은 구동축의 구동모멘트를 힌지부품과 와이퍼로드를 거쳐 와이퍼 블레이드에 전달한다. 또한 고정부품은 힌지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힌지를 거쳐 고정부품과 힌지부품이 스프링으로 고정되며 자동차의 창유리쪽으로 압축된다. 고정부품에는 자동차의 창유리에 평행 및 수직한 큰 힘 혹은 모멘트가 발생한다. 또한 창유리 와이퍼의 하부 영역에서, 특히 전체 길이에 걸쳐 변형과 움직임이 작용하며, 스프링효과로 인한 불균일한 와이퍼 속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품과 힌지부품의 제 1 부분은, 특히 비틀림 및 토션에 강하게 제작되어야 하며, 특히 힌지에 대해 가능한 자유롭게 결합되어야 한다.
보통, 고정부품은 합성수지, 알루미늄, 또는 아연다이캐스팅으로 구성된 사출성형법을 통하여 제작된다. 힌지부품은 금속박판에 의해 고정부품이 두 개의 측면 칸막이를 둘러싸는 U-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힌지축은 제 1 구성부품의 배치를 통하여 이 제 1 구성부품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자유롭게 사출되며 제 2 구성부품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이에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하여, 반경방향 움직임은 방지되며, 예를 들어 제 1 구성부품내에서 지지부의 구멍과, 지지부의 후처리, 경우에 따라서 베어링부시의 삽입과 같은 제조단계는 감소된다. 구성부품은 합성수지 또는 아연,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료로 주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여러 가지 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작업기계, 가정용 유지장치, 팬, 경첩 등에 대해 선회식 또는 회전식으로 지지된 구성부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창유리 와이퍼에 사용될 수 있다. 와이퍼아암의 고정부품과 힌지부품은, 본 발명에 따라서 자유롭게 설치되어 와이퍼의 움직임과 와이퍼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흔들림과 갑작스런 움직임은 고정부품과 힌지부품의 사이의 움직임을 통하여 방지된다.
일실시예로서, 힌지축은 한쪽 종방향으로, 그러나 주로 양쪽 종방향으로 구성부품에 의해 사출 혹은 고정된다. 힌지축은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제 1 구성부품 혹은 고정부품내에 지지될 수 있다. 힌지축의 원추형상을 통하여, 하나의 플랜지 등을 통하여, 그리고 양 종방향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힌지축의 오목, 볼록 또는 주름형태를 통하여 힘 결합식으로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형태에따라 구분되며, 전문가에게는 적절히 형성된 형태에 따라 고려될 수 있다.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가능한 힌지축의 압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힌지축에 대한 재료에는 특히 슬라이딩특성이 이용되며, 또는 힌지축은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소결재, 화이트메탈, 브론즈, 레드브라스, 경금속과 같은 합성수지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코팅된 실린더형 힌지축은 장치, 더 상세하게 고정부품과 힌지부품의 분해와 재조립에 용이하며, 이후에 고정부품과 힌지부품은 결합된다.
또한, 힌지축은 베어링부시와 함께 자유롭게 사출될 수 있다. 베어링부시는 고체의 탄성 재료 및/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사출시 온도 및/또는 압력에 따라 축의 형태에 자유롭게 적응되는 재료,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 얇게 구성된 베어링부시, 합성수지박판, 또는 얇게 코팅된 알루미늄그리드 등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오목, 볼록 또는 주름형태의 힌지축은 제 1 구성부품의 주형틀내에 실린더형 베어링부시가 삽입될 수 있다. 베어링부시는 사출시 힌지축의 형태에 따르며, 힌지축은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베어링부시와 제 1 구성부품내에서 자유롭게 지지된다.
힌지축과 제 2 구성부품 혹은 힌지부품은, 예를 들어 용접, 클램핑, 나사체결 등과 같은 힘 결합식, 형태 결합식 및/또는 재료 결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사산을 거쳐 제 2 구성부품에 고정되는 힌지축을 통하여, 용이한 조립과, 특히 용이한 분해가 가능하다. 이때, 힌지축은 수나사와 너트 및/또는 암나사와 볼트를 통하여 제 2 고정부품에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제 2 구성부품내에서 수나사를 통하여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힌지축은 리벳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리벳 결합에 의해 제 2 구성부품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리벳 결합은 쉽게 자동화될 수 있으며, 특히 창유리 와이퍼 지지를 위한 와이퍼 아암에서처럼 대량으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적은 움직임과, 특히 자유로은 지지를 얻기 위하여, 자유롭게 지지된 힌지축 주위에서 힌지축과 제 2 구성부품 사이의 자유롭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힌지축의 양단부에는 받침대가 형성되며, 이 받침대에는 제 2 구성부품이 힘 결합식 및 형태 결합식으로 자유롭게 고정된다. 고정부품과 힌지부품 사이의 마찰은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힌지축과 힌지부품 사이의 결합에 네가티브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특정한 조치를 통하여 한정될 수 있다. 이로써 제 2 구성부품과 제 1 구성부품 사이에서 정의된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힌지축은 삽입용 리벳이며, 이것은 변형을 통하여 양쪽에서 제 2 구성부품과 힘 결합식 및 형태 결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구멍에 압입된 리벳을 통하여 제 2 구성부품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퍼 아암에 있어서, 힌지부품은 두 개의 U-형태 측면 칸막이를 갖는 고정부품을 둘러싼다. 힌지부품은 측면 칸막이에 의해 힌지축과 견고하게 결합되며 고정부품과 가요성 결합된다. 힌지축은 분리 리벳을 통하여 바람직하게는 측면 칸막이들 사이의 짧은 쪽 폭보다 더 짧게 제작될 수 있다. 힌지부품은, 측면 칸막이가 V-형태로 구부러질 필요없이 고정부품상에 구부러질 수 있으며 측면 칸막이의 구멍에서 힌지축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힌지축과 제 2 구성부품 사이의 결합위치는 측면 칸막이의 오목부에 내려앉아 있으며, 이를 통하여 형태 결합은 돌출 모서리를 제거할 수 있다. 오목부는 조립전에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 조리시 측면 칸막이에 설치된다. 오목부가 조립시 설치되면, 측면 칸막이의 짧은 쪽 폭은 힌지축의 길이보다 더 크게 선택될 수 있다. 측면 칸막이는 조립시 구멍을 통하여 힌지축상에 구부러져 견고히 결합된다. 이로써 측면 칸막이가 외부로 구부러질 필요없이 용이하게 조립되며, 또한 힌지축과 제 2 구성부품의 결합부위는 측면칸막이의 오목부에 내려앉는다.
도 1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비한 와이퍼 아암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와이퍼 아암을 제거한 채로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삽입된 힌지축과 베어링부시를 구비한 도 3에 따른 고정부품을 위한 주형틀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오목 힌지축을 구비한 도 3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삽입된 힌지축과 베어링부시를 구비한 도 5에 따른 고정부품을 위한 주형틀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볼록 힌지축을 구비한 도 3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삽입된 피복 힌지축을 구비한 도 7에 따른 고정부품을 위한 주형틀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리벳과 분리 리벳을 구비한 도 3에 따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조립 상태에 있는 도 9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9에 따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나사에 의해 고정된 힌지축을 구비한 도 3에 따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 따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조립 상태에 있는 도 13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부품
12, 14, 16, 18: 힌지부품
20, 22, 24, 26, 28, 30, 32: 힌지축
34: 와이퍼 아암
36, 38: 종방향
40: 재료
42, 44, 46: 베어링부시
48, 50, 52: 나사산
54, 56: 받침대
58, 60, 62, 64: 리벳
66, 68, 70, 72, 110, 112, 126, 128: 측면 칸막이
74, 76, 78, 80: 오목부
82: 주형틀
84: 와이퍼로드
86: 와이퍼 블레이드
88: 행거부품
90: 힌지
92: 스프링
94: 행거
96: 횡핀
98, 100, 102, 106, 108, 114, 116: 구멍
104: 원추체
118: 고정장치
120, 122: 볼트
124: 받침부
도 1은 고정부품(10)과, 와이퍼로드(84)를 구비한 힌지부품(12)으로 구성된 와이퍼 아암(34)을 도시한다. 와이퍼 아암(34)에서 와이퍼 블레이드(16)는 와이퍼로드(84)의 구성부품(88)에 힌지결합된다(도 2). 고정부품(10)은 일단부상에 받침부(124)를 포함하며, 이 일단부에서 받침부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와이퍼 구동장치의 구동축에 고정된다. 고정부품의 타단부에서 힌지부품(12)을 통하여 힌지(90)가 형성되며, 이 힌지(90)의 영역에서 힌지부품(12)의 측면 칸막이(126, 128)는 고정부품(10)의 측벽을 덮으며 힌지축(20)에 의해 수직하게 결합된다(도 2, 도 3). 행거(94)에 의해 고정부품(10)상의 제 1 횡핀(96)에 걸리며(도 2), 와이퍼로드(84)의 구멍(98)에서 타단부와 맞물리는 스프링(92)은 힌지(9)를 구부러진 자세로 유지하여 자동차 유리에 와이퍼 블레이드의 압착력을 발생시킨다.
고정부품(10)은 사출성형법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힌지축(20)은 고정부품(10)의 배치를 통하여 이 고정부품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자유롭게 활주한다(도 3). 힌지축(20)에는 고정부품(10)의 주형틀(82)내에서 합성수지로 구성된 베어링부시(42)가 삽입된다. 고정부품(10)의 사출성형시, 베어링부시(42)는 온도 및/또는 압력을 통하여 힌지축(20)에 자유롭게, 그리고 고정부품(10)의 주형재료는 베어링부시(42)에 자유롭게 설치된다. 힌지축(20)은 고정부품(10)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자유롭게 지지된다. 힌지부품(12)은 약간 외부로 벌어진 U-형상을 가지며, 고정부품(10) 위의 측면 칸막이(126, 128)는 측면 칸막이(126, 128)의 구멍(100, 102)을 통과하여 힌지축(20) 위쪽에 배치된다. 힌지축(20)은 리벳으로 제작된다. 리벳에 의해, 측면 칸막이(126, 128)들은 각각 힌지축(20)의 받침대(54)상에 압착된다. 힌지축(20)의 양 단부는 변형되어, 힘 결합식 및 형태 결합식으로 힌지부품(12)과 견고하며 자유롭게 결합된다. 이것은, 측면 칸막이(126, 128)를 고정부품(10)상에 리벳으로 압착하여 원치 않는 마찰을 생성시키지 않고도, 힌지부품(10)과 힌지축(20) 사이에서 영구적으로 견고하고 자유롭게 결합된다. 힌지부품(12)과 고정부품(10) 사이에서는 종방향(36, 38)으로 한정된 운동이 적용될 수 있다.
조립을 위하여 쉽게 벌어지도록 한 힌지부품(12)의 U-형상 대신에, 하나의 플랜지를 구비한 딥드로잉 구멍을 통하여 측면 칸막이내에서 큰 직경을 갖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20)은 고정부품(10)의 주조후에 이 고정부품으로부터 분리된다. 힌지부품은 고정부품(10)위로 도입되며, 힌지축(20)은 힌지부품내의 딥드로잉 구멍을 통과하여 고정부품에 삽입되고 제 2 구멍에서 힌지부품의 제 2 측면 칸막이에 삽입된다. 딥드로잉 구멍의 플랜지는 리벳으로 평평하게 압착되며, 딥드로잉 구멍의 직경은 축소되고 양 측면 칸막이는 힌지축(20)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6에는 오목 힌지축(22)이 고정부품(10)의 주형틀(82)에 삽입되어 있다. 동일 구성부품은 기본적으로 동일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힌지축(22)은 합성수지로 구성된 실린더형 베어링부시(44)로 둘러싸인다. 베어링부시(44)는, 고정부품(10)의 사출성형시, 자유롭게 힌지축(22)의 형태에 따르며, 고정부품(10)의 재료는 자유롭게 베어링부시(44)에 따른다. 힌지축(22)은 반경반향으로 자유롭게 지지되며 축방향으로 뻗은 양 종방향(36, 38)으로 고정부품(10)에 의해 형태 결합식으로 자유롭게 고정된다(도 5). 힌지축(22)은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처럼 힌지부품(12)과 나사결합된다.
도 7과 도 8에서는 도 5와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축방향 및 반경반향으로 자유롭게 지지된 볼록 형태의 힌지축(24)이 도시된다. 또한 힌지축(24)은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40)으로 코팅된다. 고정부품(10)내에서 힌지축(24)의 슬라이딩특성은 개선된다. 또한 분리 베어링부시와 이 베어링부시를 주형틀(82)내에 삽입하기 위한 비용은 절약될 수 있다.
도 9, 도 10, 도 11의 실시예에는, 힌지축(26, 28)으로서 보링된 리벳이 도시된다. 힌지축(26, 28)은 분리 리벳(58, 60, 62, 64)을 통하여 힌지부품(14)의 측면 칸막이(66, 68)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리벳(58, 60, 62, 64)은 힌지축(26, 28)의 구멍에 압착되며, 측면 칸막이(66, 68)는 리벳머리를 통하여 힌지축(26, 28)의 정면에 압착되며, 이때 정면은 받침대(56)로서 역할한다(도 10). 리벳(58, 60, 62, 64)의 재료는 힌지축(26, 28)내의 원추체(104)에 의해 반경방향 외부로 눌려있으며, 여기서 리벳(58, 60, 62, 64)은 힌지축(26, 28)과 견고하고 자유롭게, 그리고 측면 칸막이(66, 68)의 구멍(106, 108)에서 힌지부품(14)과 힘 결합식 및 형태 결합식으로 결합된다. 힌지축(26, 28)은 분리 리벳(58, 60, 62, 64)을 통하여 측면 칸막이(66, 68)의 짧은 쪽 폭보다 더 짧게 제작된다. 힌지부품(14)은 고정부품(10)상에서 삽입된 힌지축(26, 28)을 통하여 밀쳐지며, 측면 칸막이(66, 68)를 외부로 벌리지 않고도 힌지축(26, 28) 옆에 고정될 수 있다.
리벳머리는 오목부(74, 76)에 내려앉아 있으며, 리벳(62, 64)의 리벳머리는 측면 칸막이(66, 68)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힌지부품(14)과 고정부품(10)은 형태 결합식으로 가요성 결합되며, 예를 들어 자동차 유리를 청소할 때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돌출 모서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베어링부시(46)로서 힌지축(26)과 함께 사출된 합성수지박판이 사용된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힌지축(28)은 도 5의 실시예에서처럼 고정부품(10)내에서 오목 형태를 통하여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지지된다.
도 12에서는 힌지축(30)으로서, 힌지축(16)의 측면 칸막이(110)를 통하여 나사산(48)과 견고하게 결합되며 제 2 측면 칸막이(112)상에 나사머리가 받쳐지는 나사가 사용된다. 힌지축(30)은, 도 3 및 도 4의 힌지축(20)에서처럼 베어링부시(42)와 함께 사출된다. 그렇지만, 힌지부품(16)을 고정부품(10)상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힌지축(30)은 먼저 분리되며 이어서 힌지부품(16)과 고정부품(10)을 통하여 안내 및 고정된다. 또한 고정부품(10)과 힌지부품(18)은 힌지축(30)과 쉽게 분해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 힌지축(32)은 두 개의 암나사(50, 52)를 포함한다. 힌지축(32)은 베어링부시(42)와 함께 사출된 후에, 힌지부품(18)은 측면 칸막이(70, 72)를 통하여 고정부품(10)상에 밀쳐져 측면 칸막이(70, 72)내의 구멍(114, 116)까지 힌지축(32)을 걸쳐 놓여있다. 이때 고정부품(10)은 고정부품(10)의 주형틀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유지장치(118)에 의해 유지된다.
이어서, 힌지축(32)은 두 개의 나사(120, 122)와 결합된다(도 14). 측면 칸막이(70, 72)들은 힌지축(32)의 받침대(54)상에 구부러지며 힘 결합 및 형태 결합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오목부(78, 80)는 측면 칸막이(70, 72)에 형성되며, 이 오목부내에는 나사머리가 조립체와 나란하도록 내려앉아 있다. 유지장치(118)는 조립동안 고정부품(10)을 제자리에 유지하며, 여기서 조립은 쉽게 자동화될 수 있다. 또한, 유지장치(118)는, 측면 칸막이(70, 72)의 나사결합시, 내부를 향하여 고정부품(10)의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조립동안 고정부품(10)을 제자리에 유지하는 유지장치(118)는 조립은 쉽게 자동화될 수 있다. 또한, 유지장치(118)는, 측면 칸막이(70, 72)의 나사결합시, 내부를 향하여 고정부품(10)의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5)

  1.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제 1 구성부품(10)과, 제 1 구성부품(10)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힌지축(20, 22, 24, 26, 28, 30, 32)에 의해 가요성 결합되는 제 2 구성부품(12, 14, 16, 18)을 갖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0, 22, 24, 26, 28, 30, 32)은 제 1 구성부품(10)의 배치를 통하여 이 제 1 구성부품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자유롭게 사출되며 제 2 구성부품(12, 14, 16, 18)과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부품(10)은 고정부품이며, 제 2 구성부품(12, 14, 16, 18)은 와이퍼 아암(34)의 힌지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2, 24, 26)은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종방향(36, 38)으로 제 1 구성부품(10)에 의해 힘 결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2, 24, 28)은 오목, 볼록, 또는 주름형태의 외부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4)은 슬라이딩특성이 개선된 재료(40)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0, 22, 26, 28, 30, 32)과 제 1 구성부품(10) 사이에는 축윤곽의 사출을 통하여 자유롭게 따르는 베어링부시(42, 44, 46)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시(46)는 합성수지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30, 32)은 나사산(48, 50, 52)을 통해 제 2 구성부품(16, 18)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0, 22, 24, 26, 28)은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0, 22, 24, 26, 28, 32)은 각 단부에서 받침대(54, 56)를 가지며, 이 받침대상에는 제 2 구성부품(12, 14, 18)이 힘 결합식 및 형태 결합식으로 자유롭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6, 28)은 삽입용 리벳이며, 분리 리벳(58, 60, 62, 64)을 통하여 제 2 구성부품(1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성부품(14, 18)은 측면 칸막이(66, 68, 70, 72)를 구비한 제 1 구성부품(10)을 포함하며, 힌지축(26, 28, 32)과 제 2 구성부품(14, 18)의 결합부분은 측면 칸막이(66, 68, 70, 72)의 오목부(74, 76, 78, 80)에 내려앉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0, 22, 24, 26, 28, 30, 32)은 제 1 구성부품(10)의 주형틀(82)내에 삽입되며 제 1 구성부품(10)으로부터 자유롭게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0, 22, 24, 26, 28, 30, 32)은 베어링부시(42, 44, 46)와 함께 사출되며, 베어링부시(42, 44, 46)는 사출시 온도 또는 압력 조건하에서 힌지축(20, 22, 26, 28, 30, 32)의 형태에 자유롭게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측면 칸막이(70, 72)를 구비한 제 2 구성부품(18)은 힌지축(32)을 갖는 제 1 구성부품(10)에 의해 밀쳐지며, 이어서 측면 칸막이(70, 72)는 제 2 구성부품(18)을 구비한 힌지축(32)의 결합시 힌지축(32)의 받침대(54)상에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90056073A 1998-12-10 1999-12-09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와 이 장치의제조방법 Abandoned KR200000524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6961.0 1998-12-10
DE19856961A DE19856961A1 (de) 1998-12-10 1998-12-10 Vorrichtung mit gelenkig verbundenen Bauteil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443A true KR20000052443A (ko) 2000-08-25

Family

ID=789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073A Abandoned KR20000052443A (ko) 1998-12-10 1999-12-09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와 이 장치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008500B1 (ko)
KR (1) KR20000052443A (ko)
DE (2) DE19856961A1 (ko)
ES (1) ES225289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0803A1 (en) * 2005-08-17 2007-02-22 Sauer-Danfoss Inc. Method of joining a sintered magnet to a pivot arm
US8482523B2 (en) * 2005-08-17 2013-07-09 Sauer-Danfoss Inc. Magnetic control device
DE102009046153A1 (de) * 2009-10-29 2011-05-12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JP5852438B2 (ja) 2011-03-09 2016-02-03 アスモ株式会社 アームヘッド
DE102012219658A1 (de) * 2012-10-26 2014-04-30 Zf Friedrichshafen Ag Balliger Gelenkbolz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2542U (ko) * 1981-05-16 1982-11-19
JPH04285313A (ja) * 1990-11-29 1992-10-09 Lemfoerder Metallwaren Ag 弾性的な滑り軸受け
KR100330561B1 (ko) * 1993-09-17 2002-11-16 아이티티 오토모티브 유럽 게엠베하 와이퍼아암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38988B (de) * 1960-09-29 1962-10-31 Albert Nestler A G In Kunststoff eingespritztes Radialwaelzlager und Spritzform und Verfahren zum Umspritzen eines Radialwaelzlagers
FR1292344A (fr) * 1961-03-23 1962-05-04 Procédé de fabrication de roues en compound de matière plastique avec essieu à roulements à rouleaux ou à billes
NL292618A (ko) * 1963-05-10
JPH0616847Y2 (ja) * 1987-06-16 1994-05-02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ワイパア−ム
DE3827947A1 (de) * 1988-08-17 1990-02-22 Eagle Picher Espana Lagerbuchse
US5349717A (en) * 1992-10-14 1994-09-27 Itt Automotive Electrical Systems, Inc. Wet integral windshield wiper arm
DE19639593B4 (de) * 1996-09-26 2010-08-19 Robert Bosch Gmbh Wischervorrichtung
DE19807062A1 (de) * 1998-02-20 1999-08-26 Itt Mfg Enterprises Inc Viergelenkwischarm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2542U (ko) * 1981-05-16 1982-11-19
JPH04285313A (ja) * 1990-11-29 1992-10-09 Lemfoerder Metallwaren Ag 弾性的な滑り軸受け
KR100330561B1 (ko) * 1993-09-17 2002-11-16 아이티티 오토모티브 유럽 게엠베하 와이퍼아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08500A3 (de) 2003-01-22
ES2252898T3 (es) 2006-05-16
EP1008500B1 (de) 2006-01-04
DE59913011D1 (de) 2006-03-30
DE19856961A1 (de) 2000-06-15
EP1008500A2 (de) 200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181B2 (en) Fixing piece for a windscreen wiper
KR101135637B1 (ko) 와이퍼 블레이드
JP4076163B2 (ja) ワイパアームを備えたウインドシールドワイパ
JP4813752B2 (ja) ワイパー
EP0684914B1 (en) Connecting links for windshield wiper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link
US4795288A (en) Yoke member connecting device in windshield wiper
CN101918724A (zh) 轴承衬套
KR20000052443A (ko) 가요성 결합되는 구성부품을 갖는 장치와 이 장치의제조방법
US6196754B1 (en) Driv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especially for vehicle window panes
JPS6346286B2 (ko)
US5957793A (en) Mechanical chain tensioner basic body
KR20010073018A (ko) 와이퍼 암
KR20010024229A (ko) 와이퍼 장치용 튜브 플레이트
KR20010072103A (ko) 와이퍼 시스템
US6353991B1 (en) Shaped part with a spigot
KR20050085727A (ko) 차량의 액추에이터용 구동 유닛
KR101074280B1 (ko)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KR100688921B1 (ko) 와이퍼 아암의 구동 장치
US6959621B1 (en) Wiping device
US3355198A (en) Transmission linkage assembly
KR200327234Y1 (ko) 차량용 와이퍼 구동장치
US20080098556A1 (en) Wiper arm assembly having a locking member and method of assembly
CN218097789U (zh) 里程计安装装置、里程计安装总成及车辆
CN102019908B (zh) 由合成材料制成的用于汽车后窗雨刷器的雨刷臂
KR20050019780A (ko) 차량 윈도우용 윈도우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7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