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48729A - 적어도 두 줄의 실을 합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적어도 두 줄의 실을 합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729A
KR20000048729A KR1019990702703A KR19997002703A KR20000048729A KR 20000048729 A KR20000048729 A KR 20000048729A KR 1019990702703 A KR1019990702703 A KR 1019990702703A KR 19997002703 A KR19997002703 A KR 19997002703A KR 20000048729 A KR20000048729 A KR 20000048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cylinder
guide
edge
s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인스이그나스
Original Assignee
쉬테베르링크 미헬, 쉬테베르링크 파트릭
피카놀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테베르링크 미헬, 쉬테베르링크 파트릭, 피카놀 엔.브이. filed Critical 쉬테베르링크 미헬, 쉬테베르링크 파트릭
Publication of KR2000004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729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7/00Leno or similar shedding mechanisms
    • D03C7/08Devices for twisting warp threads repeatedly in the sam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1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적어도 두 가닥의 실(8, 9)을 합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 특히, 직조기의 가장자리 형성 장치 (7)에는, 가장자리 실 (8, 9)이 안내되고 구동부의 회전을 통해 축상에서 전위되고 따라서 서로 교차되는 나선형의 무단 실 안내 홈 (14)을 가진 구동부 (10)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적어도 두 줄의 실을 합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wisting at least two running threads about one another}
본 발명은 적어도 두 줄의 실을 합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두 줄의 실을 합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실을 꼬기 위한 연사기로 수행된다. 더욱이 적어도 두 줄의 실을 합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직조기에서 가장자리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이때 적어도 두 개의 변사는 꼬이며, 위사들 사이로 삽입된다. 따라서, 직조변 또는 경사띠가 발생한다.
공지된 직조기용 가장자리 형성을 위한 장치의 구조 (US-Patent 4 478 256)에 있어서는, 왕복 운동하는 실 안내 수단이 사용된다. 여기서, 실 안내 수단은 제1 가장자리 실을 안내하며 한 개의 실 구멍 (Fadenauge)을 가진 바늘로 구성된 제1 실 안내 수단이 사용 된다. 더욱이 제2 가장자리 실의 안내를 위하여 대각선으로 대립된 슬롯을 가진 두 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된 제2 실 안내 수단이 사용된다. 두 개의 실 안내 수단은 가장자리 실로 직조면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반대로 운동한다. 제2 실안내 수단의 두 개의 구성요소들은 이때 약간의 간격을 두고 상호 운동하여, 슬롯을 통해 안내된 가장자리 실의 측면 운동이 유지된다. 이런 왕복 운동하는 실 안내수단을 구비한 가장자리 형성 장치는, 실제로 추가적으로 마모되는 조건을 가진 작동을 통해 실 안내 수단의 구동 수단에서 소음과 진동을 야기시킨다.
가장자리 형성 장치의 다른 구조 (US-Patent 3 880 199)에는 회전축에 관련하여 직경상에서 대향해 있으며, 각각 가장자리 실이 안내되는 실 안내 구멍을 가진 구동판이 구비된다.
직조변 또는 경사띠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장치 (FR 2 095 367 A)에 있어서는 실제로 실 구멍을 직조기의 직조면 형성 수단과 일치하여 운동하게 하는 무단의 구동 체인에 실 구멍이 설치된다.
둘 이상의 실을 인공적으로 꼬아 스풀에 감기 위해서, 축이 실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 실을 통과시키기 위한 축의 다수의 실 구멍이 구비된 원반을 스풀에 장착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GB 819 583). 이런 원반은 교대로 구동 방향으로 구동된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떠한 실 안내 구멍도 구비하지 않은 상기 언급한 류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제로 실은 횡으로 적어도 구동부에 대해 거의 접선으로 주행하며 실을 두 개의 단부사이에서 왕복 운동하여 서로 교차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의 안내홈으로 안내된다.
상기 장치는 간단히 제조될 수 있으며 간단한 구동만을 이용한다. 더욱이 실은 안내홈 내에서 안내홈을 따라 길이가 짧은 쪽으로만 주행하여, 실제로 피할 수 없는 장치의 마모가 하나의 장소에서 발생할 뿐만이 아니라, 안내홈의 길이 또는 안내홈에서 계속해서 동일하게 배분된다. 이를 통해서, 실들이 안내 구멍으로 안내되는 장치에서 보다 높은 수명이 유지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실안내홈은 방사상의 간격을 두고 교차시에 실을 서로 안내한다.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실들이 교차시 서로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반면, 하나의 설정된 방식으로 실은 항상 교차된다.
장치에 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장소를 구비하고 적어도 두 개의 실이 안내되는 하나의 무단 안내홈을 구비하는 축 방향에서 나선형으로 주행하는 구동부가 구비된다. 상기 두 개의 실은 실제로 횡방향으로 그리고 구동부에 거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부는 소위 실안내 실린더로 공지되어 있다 (DE 4 237 860 A1). 구동을 위한 실안내 실린더는 기밀 마찰에 의해 교차 스풀을 구동한다. 상기 실안내 실린더는 교차 스풀위로 연장되는 실을 교차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실안내 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적어도 한 개의 안내홈의 교차 부위가 적어도 실의 교차 장소에서 다른 방사선상의 깊이를 가진다. 이를 통해, 실은 상호 방해 되거나 겹치지 않고 정의한 방법으로 교차 장소에서 교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구성 요소의 주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축의 단부 부분 영역에 적어도 한 개의 안내홈을 구비한다. 따라서, 축의 단부 위치가 어떤 시간 이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특히, 직조기에서 가장자리 형성을 위한 장치가 사용되면, 한 개 또는 다수의 위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 실에 의해 형성되는 직조면이 좀더 길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전기적 구동 모터의 축상에 구동부가 장착된다. 이런 형태는 또한 간단히 구성되고 간단히 직조기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직조기의 가장자리 형성 장치에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런 방법으로 간단히 구동부가 일정한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는 한 축의 단부로부터 다른 축의 단부까지 실린더 면의 둘레를 360도로 하는 한 부분과, 양 축의 단부사이에서 실린더 면의 둘레를 360도로 하는 서로 대립한 경사를 이루는 다른 한 부분을 구비하고 있어, 실린더 면의 축상의 중간부에서 두 부분이 하나의 교차 장소를 형성한다. 이런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린더부가 비교적 작은 직경을 구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장치는 소형으로 특히 직조기의 가장자리 형성 장치에 적합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부가 적어도 두 개의 무단 안내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홈은 구동부의 360도의 주변 각도에 걸쳐 적어도 축상의 단부들 사이에서 두 번 연장되고 구동부의 구동마다 적어도 두 번 교차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이 구동부의 회전마다 두 번 서로 꼬여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부의 축상의 단부 영역에 있는 한 개의 단부와 구동부의 축상의 중간 영역에 있는 다른 한부사이에 적어도 두 개의 안내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 중간 단부 영역에는 교차장소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직조기의 절단부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화살표 F2 방향으로 본 도면(개략도)이다.
도 3은 안내부를 구비한 구동부의 방사선형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안내부의 깊이에 대한 경과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다른 실의 위치에 있어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6은 또다른 실의 위치를 가진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단면 F7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VIII-VIII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두 개의 안내홈을 구비한 구동부의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10은 두 개의 축 중심에 까지 도달하는 안내홈을 구비한 구동부의 방사선형의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구동부의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구동부에 의해 형성된 가장자리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세 개의 안내부로 구성된 구동부의 방사선형의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구동부의 케이스에 관한 전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따른 구동부로 제조될 수 있는 가장자리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17 및 18은 다르게 형성된 안내홈을 구비한 구동부의 케이스에 관한 전개도이다.
도 19는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의 케이스를 일부 절단한 전개도이다.
도 1의 단면도에 도시된 직조기는 직조면 형성 수단, 가령, 경사 (3), (4)로부터 직조면 (5)을 형성하는 직조축 (1), (2)을 구비한다. 경사 및 위사로 형성된 직조의 가장자리에 매여진 위사 (37)가 각각 형성된 직조면 (5)내로 삽입된다. 생산된 직조천 (6)은 미도시된 배출 장치(Abzugseinrichtung)로 배출된다.
직조기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가장자리 형성장치 (7)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가장자리 형성장치 (7)는 실제로 각기 형성된 직조면 (5)과 상응하며 삽입된 위사 (37)가 확장되는 직조면을 형성하는 두 개의 가장자리실 (8), (9)이 함께 작동되어, 가장자리 실 (8), (9)과 위사로 하나의 직조면 또는 배출 벨트가 형성된다.
상기 가장자리 형성장치 (7)는 실린더 (10)형태의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런 실린더 (10)는 프레임 (11)에 장착된 축 (12)상에서 구동된다. 이런 프레임 (11)은 가령 미도시된 직조기 프레임에서 위사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미도시된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가장자리 실 (8), (9)에는 전달부 (13)가 구비되어, 실린더 (10)와 전달부 (13)사이의 가장자리 실을 구동시킨다. 이런 구동은 실린더 (10)가 가장자리 실 (8), (9)을 회전시키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전달부 (13)가 구동하도록 한다. 이런 구동부 (13) 및 그 구동은 미국 특허 3 880 199 및 3 998 247과 체코 특허 CS 172 136에 기술되어 있다.
실린더 (10) 케이스 (15)에는 두개의 실 (8), (9)이 서로 꼬이도록 하는 안내부 (14)의 형태로 안내홈이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실 (8), (9)은 거의 횡방향으로 그리고 실린더 (10)에 대해 거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나, 하나의 특정한 꼬임 각도가 있어, 실들은 실린더 (10)의 안내부 (14)와 정의된 길이로 접촉되고 상기 안내부 (14)에 안내된다. 상기 가장자리 실 (8), (9)은 실린더 (10)의 동일면 상에 있다. 실린더 (10)의 회전축 (16)은 직조면 형성 수단 (직조축:1, 2)의 운동 방향 B와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어있다 (도 1). 이를 통해 가장자리 형성장치에 의해 가장자리 실 (8), (9)로, 위사 (37)가 상기 직조면 내로 삽입될 수 있고 경사 (3), (4)에 의해 형성된 직조면 (5)이 위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조면이 형성된다.
도 3에 보다 확대되어 도시된 방사선 형태의 실린더 (10)는 두 개의 나선형 반대 단부 (18), (19)에서 실린더 (10) 주위를 360도 주행하는 무단 안내부 (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나선형의 단부 (18), (19)는 실린더 (10)의 축상의 단부 영역에 있는 축상의 단부 위치 (D, E)들 사이에서 360도 연장된다.
도 4에는 실린더 (10)의 외부 둘레 D0에 대해 안내부 (14)의 방사선 상의 깊이의 주행 (17)이 도시되어 있다. 이런 도면은 안내부 (14)의 단부 위치 (D, E)사이에 도시된 직선을 통해 수행되어, 직선은 0도, 180도, 360도, 540도 및 720도에서만 실린더 (10)의 안내부 (14)의 실제 위치와 방향 (A)에서 일치한다. 이런 도면은 깊이의 주행 (17)을 보다 명백히 하기 위해 선택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 (18), (19)는 케이스 (15)내의 교차 장소에서 다른 깊이를 가진다. 이런 교차 장소에서 교차하는 가장자리 실 (8), (9)은 회전축에 대해 다양한 방사선 상의 간격으로 서로 위치한다. 상기 교차하는 단면 (18), (19)의 깊이는 D18 및 D19로 표기된다.
상기 단부 (18), (19)의 교차 장소에서 보다 덜 깊은 단면 (19)은 확대부 (20), (21)를 구비하여, 이런 단면 (19)에서 안내되는 가장자리 실이 단면 (19)이 교차 장소 영역에서 방해됨에도 불구하고, 단면 (19)에서 계속 주행된다. 포인트 (22)는 포인트 (23)보다 넓은 방사선상의 간격으로 배열되어야 하며 포인트 (24)는 포인트 (25)보다 좁은 방사선상의 간격으로 배열되어야 한다. 두 개의 확대부 (20), (2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실린더 (10)는 두 개의 구동장치에서 구동될 수 있다. 한 개의 확대부 (20) 또는 (21)만이 있으면, 실린더 (10)는 회전 방향에서만 구동된다. 확대부 (20)가 존재할 때는 실린더 (도면에 도시된)가 시계 방향으로만 구동되어야 하며, 반면에,확대부 (21)의 경우에는 실린더 (10: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된)가 반시계 방향으로만 구동되어야 한다. 단면 (18), (19)은 비교적 큰 각도 (약 90도)로 교차되고, 이것은 따라서, 가장자리 실의 보다 얕은 단면 (19)이 보다 깊은 단면 (18)내로 이르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보다 깊은 단면 (28)내에서 주행하는 가장자리 실은 보다 얕은 단면내로 쉽게 이를 수는 없다. 교차 장소에서 다양한 깊이의 단면을 실현하는 것은 가장자리 실을 실린더 (10)의 방사선 방향 (C) 으로 이동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가장자리 실을 각 단면에서 유지시키기에 좋다.
가장자리 형성 장치 (7)의 기능은 도 2, 5 및 6을 토대로 더욱 상세히 묘사된다. 도 2에서는, 실린더가 위치 (0)에 있다, 즉, 가장자리 실 (8)이 상부 (또는 도 4에서 0도 상)에 있고, 반면에 가장자리 실 (9)은 하부 (또는 도 4에서 360도 상)에 있다. 실린더 (10)가 상기 언급한 회전 방향 (P; 가장자리 실 (8), (9)의 주행 방향과 반대)에서 180도 회전되어, 가장자리 실 (8), (9)은 서로 교차한다. 가장자리 실 (8)은 보다 깊은 단면 (18)의 교차장소에 있고, 반면, 가장자리 실 (9)은 보다 얕은 단면 (19)에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위치가 성립된다. 이때, 가장자리 실 (8), (9)은 실린더 (10)의 방사선 방향으로 다양하게 방사선 상의 위치에 상호 간격을 두고 있다. 실린더가 180도로 한번더 회전되면, 가장자리 실 (8)은 하부에 가장자리 실 (9)은 상부에 있다. 실린더가 180도로 한번더 회전되면, 가장자리 실 (8), (9)은 한번더 교차되며, 이때 가장자리 실 (9)은 보다 깊은 단면 (18)에 그리고 가장자리 실 (8)은 보다 얕은 단면 (19)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위치가 유지된다. 상기 실린더 (10)가 한번더 180도 회전되면, 다시 도 4에 도시된 위치가 발생한다. 따라서, 가장자리 실 (8), (9)은 실린더의 축 방향 (A)으로 교차되면, 실린더의 방사선 방향으로 교차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장자리 실 (8), (9)은 서로 꼬이게 된다.
실린더 (10)가 위사 삽입때 마다 구동될 때, 가장자리 실 (8), (9)에 의해 수행되는 가장자리 결합은 도 7에 보다 크게 도시되어 있다. 가장자리 실 (8), (9)은 서로 연이은 위사 (37) 주위에서 꼬여, 가장자리 전환 장치, 즉, 가장자리 실 (8), (9)을 연이은 위사 (37)주위에서 꼬는 장치와 같은 도 3에 따른 실린더 (10)를 구비한 가장자리 형성 장치 (7)가 작동된다.
도 4에 도시된 깊이의 주행을 구비한 안내부 (14)와 함께 적어도 두 개의 가장자리 실을 가진 가장자리 결합이 실현된다. 안내부에서는, 가장자리 실 (8), (9)이 안내부 내에서 일정 길이의 단면으로 안내되고 실린더 (10)의 회전을 통해 실린더 (10)의 축방향으로 전위된다. 가장자리 실 (8), (9)은 이때 단부 위치부(D), (E)사이의 축방향 (A)으로 서로 대립하여 전위되고, 양 단부 위치부 (D), (E)사이의 중간에 있는 교차 장소에서 축방향 (A)으로 교차된다. 단부 위치부 (D), (E)는 실린더 (10)의 전영역에 있다. 이때, 안내부 (14)의 깊이 주행은 가장자리 실 (8), (9)을 실린더 (10) 축 방향 (A)으로 안내하고 교차시킬 뿐만이 아니라, 가장자리 실 (8), (9)을 실린더 (10) 방사선 방향으로 안내하고 교치시킬 수 있다. 이것은 교차 장소 영역의 단면 (18), (19)이 다양한 방사선 깊이 (D18), (D19)를 구비함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가장자리 실 (8), (9)이 교차되는 동안에 서로 문지르지 않는다는 장점을 제공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10)는 지지대 (26)에 의해 축 (12)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다. 실린더의 축상의 구멍 (27)에 구동 모터가 배열된다. 상기 구동 모터는 실린더 (10)와 결합된 회전자 (28) 및 구동하지 않는 축 (12)과 결합하는, 가령 봉을 구비한 고정자 (29)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는 도 1에 도시된 직조기의 제어부 (38)에 전기 도선(미도시)을 통해 연결되는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린더의 각도 위치가 제어부 (38)내로 부여될 수 있는 회전각도 수여붑가 실린더 (10)에 미도시된 방법으로 설정되어, 상기 제어부 (38)가 구동 모터 및 실린더 (10)를 설정된 속도로 설정된 각도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한 변형예에 있어서는, 제어부 (38)에 의해 제어되는 스텝핑 모터가 실린더에 내장된다. 실린더 (10)내의 구동 모터의 통합은 가장자리 형성 장치 (7)가 휴대하기 쉽게 제조되며 몇 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런 가장자리 형성 장치 (7)는 모듈식으로 구성되고 특히 직조기에 간단히 부착되고 또한 간단히 부착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장치는 직조천 (6)의 넓이에, 가령, 프레임 (11)의 간단한 변위를 통해 적합화 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 (14)의 단면 (18), (19)은 V-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경사와 각도에 따라서 달라지고 원하는 값(Abrundungen)을 구비하는 다른 횡단면도 분명히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달부 (13)는 직조기의 제어부 (38)를 통해 제어되는 구동 모터 (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런 구동 모터는 이때 실린더 (10)의 구동 모터와 동일한 회전수로 또한 물론 실린더 (10)를 통해 회전된 가장자리 실 (8), (9)을 다시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으로 제어된다. 전달부 (13) 영역에 있어서는 또한 가장자리 실 (8), (9)을 설정된 장력으로 신장되게 하는 보상부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가장자리 결합은 도 9와 같이 두 개의 안내부 (32), (33)를 구비하는 실린더 (10)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두 개의 안내부 (32), (33)의 형태와 함께 상기 실린더 (10)의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안내부 (32), (33)는 실린더 (10) 둘레에 대해 360도 무단 코일로 주행하고 실린더 (10) 회전당 두 번 교차된다. 교차 장소에서는 안내부 (32), (33)가 단면 (39), (40) 및 다른 깊이를 가진 단면 (41), (42)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부 (32)의 단면 (39)은 다른 안내부 (33)의 단면 (40)보다 더 깊다. 상기 안내부 (32)의 단면 (41)은 다른 안내부 (33)의 단면 (42)보다 얕다. 얕은 단면 (40), (41)은 도 3에 따른 도시에 대응하여 도시되고 가장자리 실이 단면 (40), (41)에 유지될 수 있도록 폭이 확대된다. 도 7에 따른 가장자리 결합을 실형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 실 (8)은 안내부 (32)로 가장자리 실 (9)은 안내부 (33)로 안내된다. 상기 실린더는 위사가 삽입될 때마다 180도로 회전 되도록 구동 된다. 실린더 (10)의 축 중앙에 대해 대칭적으로 주행하는 안내부 (32), (33)는 축상의 단부 위치가 360도를 두 번만에 실현하도록, 즉, 180도의 각도로 형성된다. 나선형의 안내부 (32), (33)의 경사가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안내부 (14) 경사와 동일하다면, 도 9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 실린더 (10)가 사용되어, 그 직경은 도 3의 실린더 (10) 직경의 두배만큼 크다.
도 10 및 11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가 한 개의 가장자리 실 (8) 또는 (9)을 안내하는 두 개의 안내부(30), (31)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 (30)는 무단 코일로 실린더의 상부 전면 영역으로부터 축 중앙을 지날 때 까지 주행한다. 상기 안내부 (31)는 실린더의 하부 단부 영역으로부터 축 중앙을 지나 주행한다. 상기 안내부 (30), (31)는 두 개의 축 단부 위치 사이의 360도의 둘레 각도를 두 번 왕복 주행하여, 실린더 (10)의 회전 때 마다 네 개의 장소, 즉, 네 개의 교차 장소에서 형성된다. 안내부 (30), (31)의 깊이는, 보다 깊은 단면은 실선을 통하여 그리고 보다 얕은 단면은 점선을 통하여 도시된다. 보다 얕은 단면은, 깊이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도 10 및 11에는 미도시되고 도 3 및 9에는 도시된 확대부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부 (10)는 일정한 깊이를 가지고 있으며, 안내부 (31)는 안내부 (31)가 교차장소에서 안내부 (30)보다 한번은 보다 깊게 또 한번은 보다 얕게 변화되는 깊이를 구비한다. 또한, 가변 깊이의 두 개의 안내부 (30), (31)를 형성할 수 있다. 교차장소에서 안내부 (30), (31)의 단면이 다른 깊이를 구비하기 때문에, 가장자리 실 (8), (9)은 축방향 (A)으로 또한 실린더 (10)의 방사선 방향 (C)으로 교차된다. 이때, 상기 가장자리 실 (8), (9)은 쌍으로 실린더 (10) 둘레의 180도를 서로 반대로 변위되는 교차 장소에서 교차된다.
도 10에 따른 상기 실린더 (10)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어 각 위사가 삽입될 때마다 180도 회전하면, 안내부 (30)에 안내된 가장자리 실 (8) 및 안내부 (31)에 안내된 가장자리 실 (9)에 의하여 가장자리 결합은 도 12의 도면에 대응하여 발생한다. 이때, 도 10에 따른 실린더 (10)로부터 형성된 가장자리 결합 장치 (7)가 도 12에 따라 가장자리 실 (8), (9)을 연이은 위사 (37)로 반씩 꼬이는 가장자리 코일로 작동된다. 상기 전달부 (13)는 이때 정지되어 있다.
도 13 및 14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10)에 각 가장자리 실 (8), (9), (35)을 안내하기 위한 세 개의 안내부 (30), (31), (34)가 구비되어 있다. 세 개의 안내부 (30), (31), (34)는 세 가닥의 가장자리 실 (8), (9), (35)로 도 15에 따른 가장자리 결합을 이루게 하는 깊이를 구비하고 있다. 도 13 및 14에 따른 실시예의 안내부 (30), (31)는 도 10 및 11에 따른 실시예의 안내부 (30), (31)에 상응한다. 안내부 (34)는 실린더 (10)의 축방향으로 안내부 (31)에 대해 평행하게 주행되어, 안내부 (30)가 구비된 네 개의 교차 장소 둘레를 360도로 형성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 (30)가 구비된 교차 장소에서 안내부 (34)가, 안내부 (31)를 구비한 안내부 (30)의 교차 장소가 보다 더 깊은 깊이를 구비하면, 보다 더 깊다. 반대로, 안내부 (30)과 (31) 사이의 이웃 교차 장소에서 안내부 (31)가 보다 더 깊으면, 안내부 (30)를 구비한 교차 장소에서 안내부 (34)가 보다 얕다. 도 13에 도시된 실린더 (10)가 각 위사 삽입때 마다 일정한 속도로 180도 회전되면, 안내부 (30)에서 안내된 가장자리 실 (8), 안내부 (31)에 안내된 가장자리 실 (9) 및 안내부 (34)에 안내된 가장자리 실 (35)은 도 15와 대응하여 하나의 기장자리 결합을 형성한다. 전달부 (13)는 이때 정지되어 있다.
도 13 및 14의 안내부 (31), (34)가 비교적 큰 간격으로 서로 도시됨에도 불구하고, 안내부는 실제로 실린더 (10)의 축 방향 (A)으로 비교적 촘촘히 배열된다. 도 13 및 14의 실시예에 있어,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확대에 상응하는 안내부 (30), (31), (34)의 보다 얕은 단면을 위한 확대부 (미도시)가 교차 장소의 영역에 구비된다.
도 16은 안내부 (32), (33)가 구비된 도 9의 실린더 (10)와 동일한 가장자리 결합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장자리 실 (8), (9) 안내를 위한 안내부 (43), (44)를 구비한 실린더 (10)를 도시한다. 안내부 (43), (44)는 그 축의 단부 위치에서 보다 큰 둘레 각도, 가령, 60도의 크기로 실린더 (10)의 둘레 방향으로 주행하는 단면 (45), (46), (47), (48)을 구비한다. 둘레 방향으로 주행하는 단면 (45) ~ (48)을 토대로 상기 실린더는, 가장자리 실 (8), (9)이 축의 단부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상응하는 둘레 각도로 회전된다. 이런 주행은, 가장자리 실 (8), (9)을 통해 형성된 직조면이 보다 긴 시간을 통해 완전히 개방되므로, 그리퍼식 벨트에 조립된 그리퍼가 직조면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그리퍼식 직조기용 가장자리 형성 장치 (7)에 좋다.
도 16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안내부들이 둘레를 따라 주행하는 단면 (45), (47) 또는 (46), (48)이 전면 영역에만 있는 안내부에 구비되고, 대립된 단부 위치 영역에는 축상의 우회전이 수행된다. 이런 실시예는, 그리퍼식 벨트가 실제로 직조면의 상부 경사 및 하부 경사들 영역에 안내되는 그리퍼식 직조기에 적합하다. 이때, 둘레를 따라 주행하는 단면 (45), (47) 또는 (46), (48)이 그리퍼의 그리퍼식 벨트가 안내되는 실린더 (10)의 전면 영역애 배열된다.
미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린더는 가령 여러번 서로 교차되는 가장자리 실의 안내를 위한 세 개 이상의 안내부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실린더 (10)에는 서로 교차되는 도 3에 따른 안내부 (14) 및 도 13에 따른 안내부 (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안내부 (14), (34)는 각 교차 장소에서 다른 깊이로 형성되어, 가장자리 실이 실린더 (10)의 방사선 방향 (C)으로 운동하고, 또한 동시에 가장자리 실이 안내부에 의하여 임의로 다른 안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안내부의 상호 교차하는 단면이 도 3 및 9에 대응하여 적합한 넓이 확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 (10)는 항상 동일 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안내부의 단면이 교차장소 영역에 적합하며, 실린더의 회전이 두 개의 회전 방향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확대부를 구비하면, 무리 없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6에 따른 실시예에 상응하는 실린더 (10)는 한 방향에서 설정된 회전수, 가령 다섯 번을 수행한 후, 다른 방향에서 여러번의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런 경우, 고정된 전달부 (13)가 설치된다.
실린더 (10)는 또한 간헐적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가령, 실린더는 가장자리 실 (8), (9)사이의 위치에 개방된 직조면이 형성되는 위치로 한 번 또는 여러 번의 위사 삽입의 시간을 통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10)는 수행된 위사 삽입후 다시 회전되면, 여러개의 위사가 동시에 가장자리 실 내로 삽입되는 가장자리 결합이 발생한다. 실린더 (10)는 그러나 불변하게 회전하여, 각 위사가 서로 결합되어, 이를 통해 더 단단한 결합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 (10)의 안내부 (14), (30), (31), (32), (33), (34), (43), (44) 형태 및 실린더 (10)의 제어된 회전을 통해, 다른 가장자리 결합이 간단히 실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부는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형태로 부터도 벗어나 원하는 가장자리 결합을 이루기 위해서 교차장소에 또 다른 깊이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장자리 실의 정확한 안내가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안내부는 비교적 얕게 형성된다. 교차장소 영역에 있어 기술된 확대부의 설치는, 다른 한편 안내부의 폭을 축소 시킬 수 있게 한다. 이것은, 가령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확대부 (20), (21)대신에 구비되고, 포인트 (24)는 보다 작고 포인트 (22)는 보다 큰 방사선상의 간격을 구비하여, 포인트 (22), (23) 및 포인트 (24), (25)는 도 3에 따른 기술에 대응하여 실린더 (10)의 축 방향 (A)로 배열된다. 그러나, 좁은 안내부가 사용되기 때문에, 폭을 축소하는 것이 비교적 어렵다. 그러므로, 확대부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가장자리 형성 장치 (7)를 위한 장소를 제한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작은 실린더 (10)가 사용되어야 한다. 가장자리 실은, 안내부의 경사가 너무 크지 않다면, 본발명에 따른 가장자리 결합 장치에서 가장 잘 안내되므로, 이를 위해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실린더 (10)가 유리하다. 빠르게 주행하며 보호되지 않은 직조기에 부여된 직조면의 개구부 각도를 구비한 직조면의 경우, 3 ~ 6cm의 크기중 한 개의 직경을 가진 실린더 (10)는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실린더의 안내부는 또한 안내부가 축상의 단부 위치사이에 360도의 둘레각을 몇번 왕복 주행하도록 형성된다. 도 17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축상의 단부 위치들사이 90도의 둘레각을 주행하는 두 개의 안내부 (49), (50)가 구비되어, 이런 안내부는 회전시에 단부 위치들 사이 가장자리 실을 네 번 왕복 운동하고 이에 대응하여 네 번 교차시킨다. 이것은 따라서, 나선형의 안내부 (49), (50) 경사가 그가지 가파르지 않아야 한다면, 실린더 (10)의 직경이 커져야 한다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실린더 (10)는 회전수가 보다 작아진다. 예를 들면, 동일한 가장자리 형성을 위해서는, 도 17에 따른 실린더 (10)는 도 9에 따른 실시예의 실린더 (10)의 회전속도의 반 정도로 회전된다.
실린더 (10)와 이에 구비된 안내부 및 안내홈은 물론, 가장자리 실이 실린더의 회전에 따라 한 축상의 단부 위치에서 다른 축상의 단부 위치까지 전위되도록 형성되어서는 안된다. 이런 전위는 또한 직조면이 하나의 위사 삽입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에 대응하여 빠르게 구동 되어야 하는 실린더 (10)의 두 번 또는 여러번의 회전에 따라 비로소 수행될 수 있다. 도 18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각 축상의 단부 위치가 실린더 (10)의 두 번 회전을 통해 수행되는 안내부 (51)가 실린더 (10)에 구비된다. 따라서,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실린더 (10)를 사용하거나 실린더 (10)가 동일한 직경을 가진 경우 나선형의 안내부 (51)의 경사 (특히,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해서)를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슬롯 (51)은 세 군데의 장소, 즉, 교차 장소 (F), (G), (H)에서 교차된다. 가장자리 실 (8), (9)은 물론 교차 장소 (H)에서만 교차된다. 교차 장소 (F), (G)에서는, 가장자리 실이 안내되는 각 단면으로부터 나오지 않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교차 장소 (H)에서는, 가장자리 실을 동시에 방사선 상으로 서로 벗어나는 위치로 가져 오도록 미리 기술된 배열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깊이). 도 7에 대응하여 결합을 실현하기 위해서, 도 18에 대응하는 실린더 (10)는 도 3에 대응하는 실린더 (10)의 속도의 두배로 회전되어야 한다.
가장자리 형성 장치 (7)를 위한 실린더 (10)용 안내홈은 반드시 안내부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10)에는 실을 위한 안내홈 (54), (55)사이에소 형성되는 돌출부 (53)가 구비된다. 돌출부 (53)로부터 형성된 안내홈 (54), (55)의 교차 장소에는, 교차될 실이 다른 방사선 상의 간격으로 안내되도록, 상승부 (56)가 구비된다. 도 19에 대응한 실린더 (10)를 구비한 가장자리 형성 장치 (7)로 도 7에 대응한 가장자리 결합이 도 9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루어 진다. 도 19에서는, 돌출부 (53) 및 상승부 (56)가 절단되지 않더라도, 명백히 볼 수 있도록 사선으로 도시된다.
구동부는 실린더로서 수행될 뿐만이 아니라,그로부터 벗어난 형태, 가령, 타원형으로, 즉, 타원형의 횡단면을 가진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실의 교차 장소 영역의 안내부 또는 안내홈의 단면은 또한 다른 깊이를 구비하여, 실들이 교차될 때 방사선 방향 C으로 존재한다. 또한, 실린더형이 아닌 형태의 구동부에는 통합된 구동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8에 따른 실린더 (10)와 상응한 방법으로 구동될 수 있다.
실린더 (10)는 안내홈 또는 안내부 영역에 단사 (실이 끊어짐) 감지기가 장착될 수 있다. 도 8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 안내부 (14)의 영역에 센서 (57), 가령신호가 가장자리 실 (8) 또는 (9)에 의해 통과되면 그 신호가 제어부 (38)로 전달되는 압전 센서가 배열되어 있다. 이런 경우 실린더 (10)의 회전때마다 두 개의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된다. 실린더의 회전 때마다 한 개의 신호가 제어부 (38)로 전달되거나 또는 그 어떤 신호도 제어부 (38)로 전달되지 않는다면, 이것은 단사를 가리킨다. 또한, 단사를 인지할 수 있도록, 광학적이고 기계적인 또는 다른 방법으로 작용하는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신호가 케이블 연결을 통해 또는 제어부 (38)로 계속 전달될 수 있다.
가장자리 형성 장치 (7) 영역에 또한 스위치등이 배열될 수 있다. 제어부 (38)에 연결되며, 가장자리 실 (8), (9)을 안내홈 또는 안내부 내로 수동적으로 삽입되도록 실린더 (10)의 작용을 통해 특정 위치로 안내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 구동부가 실린더 형의 케이스 (15)를 구비하는 관 모양의 실린더 (10)로 구성된다. 그러나, 구동부는 안내홈 또는 안내부영역에서만 재료가 존재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순수한 재료로 된 어떤 실린더 (10)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의 사선으로 표시된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 (10) 영역에는 가장자리 실 (8), (9)을 구동부의 안내홈 또는 안내부에 유지시키는 안내 구성부 (58)가 존재할 수 있다. 미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한쌍의 실을 서로 끼고 삽입된 위사와 특별한 가장자리 결합을 이루도록 몇 싸의 가장자리 실과 대응해서 작동하는 구동부 (10)들이 직조기를 따라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실의 꼬임을 위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19에 따른 실시예중 한 실시예에 대응한 실린더 (10)가 합사 기계의 합사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합사 장치가 구동 장치를 구비한 구동부 (10), 전달부 (13) 및 미도시된 실 감기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합사 장치의 경우, 구동부는 또한 수평으로 또는 다른 위치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호 범위는 다만 특허청구 범위 내용을 통해 결정된다.

Claims (15)

  1. 실 (8, 9, 35)은 실제로 횡으로 그리고 구동부 (10)에 거의 접선식으로 주행하고 두 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의 구동부의 축상의 방향 (A)으로 실들을 왕복 위치시키고 단부 위치들 사이에 서로 교차하는 구동부의 적어도 안내홈 (14; 30, 31; 32, 33; 30, 31, 34; 43, 44;49, 50; 51; 54, 55)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가닥의 작동하는 실 (8, 9, 35)의 합사를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방사상 간격으로 교차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 (14; 30, 31; 32, 33; 30, 31, 34; 43, 44;49, 50; 51; 54, 55)이 실 (8, 9, 35)을 서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적어도 하나의 무단 안내홈 (14; 30, 31; 32, 33; 30, 31, 34; 43, 44;49, 50; 51; 54, 55)을 구비하는 구동부 (10)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홈은 나선형으로 축방향으로 주행하고, 적어도 한 개의 교차 장소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홈에는 실제로 횡으로 그리고 구동부 (10)에 거의 접선으로 장착되는 적어도 두 가닥의 실 (8, 9, 35)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가닥의 실(8, 9, 35)을 합사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적어도 실 (8, 9, 35)의 교차 장소에서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 (14; 30, 31; 32, 33; 30, 31, 34; 43, 44;49, 50; 51; 54, 55)의 교차 단면들은 다른 방사선 상의 깊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5.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축상의 단부 위치 영역에서 안내홈 (43, 44)은 구동부 (10)의 둘레 방향으로 주행하는 단면 (45, 46, 47, 4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3 내지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10)는 전기 구동 모터의 한 축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3 내지 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은 안내부(14; 30, 31; 32, 33; 30, 31, 34; 43, 44;49, 50; 51)으로서 구동부 (10)의 케이스 (15)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3 내지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 (14; 30, 31; 32, 33; 30, 31, 34; 43, 44;49, 50; 51; 54, 55)의 단면은 방사선 상의 깊이에 관해서 변화하는 주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3 내지 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10)는 안내홈 (14)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홈 (14)은 한 개의 단부 위치 (D)로부터 다른 단부 위치 (E)까지 실린더 면 (15)의 둘레를 360도 주행하는 한 단면과, 축상의 단부 위치 (D, E)사이의 실린더 면 (15)의 둘레를 360도로 반대방향의 경사로 주행하는 단면을 구비하여, 실린더 면의 축 중앙에 있는 두 개의 단면은 하나의 교차 장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3항 내지 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10)는 적어도 두 개의 무단 안내홈 (30, 31; 32, 33; 30, 31, 34; 43, 44;49, 50; 51; 54, 55)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홈은 구동부 (10)의 360도의 둘레 각도를 축 상의 단부 위치들 사이로 적어도 두 번 주행하고 구동부의 회전 때마다 적어도 두 번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안내홈 (30, 31)은 구동부 (10)의 축 단부 영역에 있는 한 개의 단부와 구동부 (10)의 축 중앙 영역에 있는 다른 단부 사이에서 주행하며, 중앙 단부 위치 영역에는 교차 장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3 내지 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교차 장소에 보다 작은 방사상 깊이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 (14; 30, 31; 32, 33; 30, 31, 34; 43, 44;49, 50; 51; 54, 55) 단면이 교차 장소의 한편으로부터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3 내지 1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10)는 가장자리 실 (8, 9; 8, 35)을 서로 꼬이게 하는 직조기의 가장자리 결합을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10)의 회전축 (16)은 실제로 직조기의 직조면 형성 수단 (1, 2)의 운동 장치에 대해 평행하게 주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3 내지 1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10)는 합사 장치에서 실의 꼬임을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0702703A 1996-09-30 1997-09-24 적어도 두 줄의 실을 합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bandoned KR200000487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9600823A BE1010658A3 (nl) 1996-09-30 1996-09-30 Inrichting en werkwijze om minstens twee draden rond elkaar te bewegen.
BE9600823 1996-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729A true KR20000048729A (ko) 2000-07-25

Family

ID=3890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2703A Abandoned KR20000048729A (ko) 1996-09-30 1997-09-24 적어도 두 줄의 실을 합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29706B1 (ko)
JP (1) JP2001501263A (ko)
KR (1) KR20000048729A (ko)
CN (1) CN1078637C (ko)
BE (1) BE1010658A3 (ko)
DE (1) DE59705583D1 (ko)
WO (1) WO19980146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0739A (zh) * 2018-04-18 2018-09-25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可变螺距的组合式螺旋式开口装置及其织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348B1 (ko) 2022-07-05 2024-06-10 주식회사 정연 연사 장치
CN117885403B (zh) * 2024-03-15 2024-06-21 福建省佳盛纵横织造有限公司 保暖复合针织面料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44181A (ko) * 1955-02-08
NL7009073A (ko) * 1970-06-19 1971-12-21
US3883199A (en) * 1972-07-25 1975-05-13 Knoll International File drawer interlocking and locking mechanism
CS160168B1 (ko) * 1973-05-14 1975-03-28
DE4237860A1 (de) * 1992-11-10 1994-05-11 Schlafhorst & Co W Fadenführungstromm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0739A (zh) * 2018-04-18 2018-09-25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可变螺距的组合式螺旋式开口装置及其织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14651A1 (de) 1998-04-09
EP0929706A1 (de) 1999-07-21
JP2001501263A (ja) 2001-01-30
CN1078637C (zh) 2002-01-30
CN1231708A (zh) 1999-10-13
EP0929706B1 (de) 2001-11-28
BE1010658A3 (nl) 1998-11-03
DE59705583D1 (de)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4100539A (ru) Ткацкий станок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кани перевивочного плетения
KR20000048729A (ko) 적어도 두 줄의 실을 합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3012184A2 (en) Tetraxial fabric and machine for its manufacture
CA2540440C (en) Cylindrical jacket, jacket hose, suction hose, and cylindrical jacket manufacturing apparatus
US5762277A (en) Traverse mechanism for yarn guides of a winding device
SU1463136A3 (ru) Ткацкий станок с волнообразно подвижным вдоль основных нитей зевом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 нит ми на ткацком станке с волнообразно подвижным вдоль основных нитей зевом
US6227253B1 (en) Method and device for twisting at least two running for a loom selvage forming device
KR20010006252A (ko) 전동 벨트용의 보강 직물 제조 방법
KR20010071630A (ko) 층으로부터 실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5076331A (en) Pile cutter for face to face weaving loom
EP3896201B1 (en) Device for forming a leno weave in a weaving machine
US4432397A (en) Noiseless high-speed circular loom for producing tubular fabrics consisting of strips, threads and the like made of synthetic or natural materials
US6546966B2 (en) Apparatus for making available a leno thread for a weaving machine
CN100385056C (zh) 无杼织机的假捻装置
EP4438779A1 (en) Device for forming a weave
US6470919B1 (en) Motive drive for warp selection
US4176692A (en) Rotating driving mechanism for imparting reciprocatory motion to a driven element
KR940001737Y1 (ko)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의 구동장치
EP0050174B1 (en) Cross-grooved banded drive belt
US45662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fancy yarns
EP0077866B1 (en) Mechanical assembly for reciprocately driving the pliers bearing tape in a textile loom
KR200219390Y1 (ko) 연사기용 트래버스 구동장치
RU2262478C2 (ru) Нак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уточной нити к текстильной машине
CN1216194C (zh) 磁梭多相织机
SU105257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ложной крутки непрерывно движущихс нит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6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6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