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48538A - 안정성 증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 및 그의 저온안정성 증진 방법 - Google Patents

안정성 증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 및 그의 저온안정성 증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538A
KR20000048538A KR1019990702453A KR19997002453A KR20000048538A KR 20000048538 A KR20000048538 A KR 20000048538A KR 1019990702453 A KR1019990702453 A KR 1019990702453A KR 19997002453 A KR19997002453 A KR 19997002453A KR 20000048538 A KR20000048538 A KR 20000048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mponent
alkyl
alkali metal
surfacta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챠드 콜로드지에제
메이 샤나
Original Assignee
알 브이 테이트 (로드니 비버스 테이트), 에이치 드로이. 씨. 지. 오닌크, 이. 에디, 산드라 웨드워즈 (에스 제이 에드워즈)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브이 테이트 (로드니 비버스 테이트), 에이치 드로이. 씨. 지. 오닌크, 이. 에디, 산드라 웨드워즈 (에스 제이 에드워즈), 유니레버 엔.브이. filed Critical 알 브이 테이트 (로드니 비버스 테이트), 에이치 드로이. 씨. 지. 오닌크, 이. 에디, 산드라 웨드워즈 (에스 제이 에드워즈)
Publication of KR20000048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53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음이온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및 (b) 혼합물 중의 양성 및(또는)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되, 알칼리금속 알킬양성아세테이트가 (b) 성분의 25% 내지 90%를 구성하는 계면활성제계 5% 내지 50%를 포함하는 라멜라 구조 액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칼리금속 알킬 양성아세테이트를 (b) 성분의 25% 내지 90%의 양으로 선택하여 이러한 라멜라 구조 액체 세정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우수한 저온 안정성이 달성된다.

Description

안정성 증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 및 그의 저온 안정성 증진 방법{Liquid Compositions Comprising Stability Enhancing Surfactants and a Method of Enhancing Low Temperature Stability Thereof}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동시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512,010호(1995년 8월 7일 출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라멜라 구조 액체 세정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피부 세정 또는 샤워 겔 조성물 중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온 저장 (예를 들어, 20 ℉(-6.7 ℃)와 0 ℉(-17.8 ℃) 이하) 시에도 저장성이 양호하도록 계면활성제계의 선택에 신중을 요하는 조성물과, 계면활성제계를 신중히 선택하여 저온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라멜라 구조 액체 세정 조성물(예를 들어, 샤워 겔 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세정 및 거품의 원인) 및 중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샤워 제형 중의 중성 계면활성제는 본 원에 참고로 채택된 상기 미국 특허 출원 제08/512,01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양성 및(또는)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라멜라 구조 조성물은 생성물이 20 ℉(-6.7 ℃) 내지 0 ℉(-17.8 ℃)의 온도로 냉각될 때 상당히 묽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점도의 감소는 바람직한 특성이 아니다.
예기치 않게 본 출원인들은 알칼리금속 알킬 양성아세테이트를 라멜라 구조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계에 양성 및(또는) 쯔비터이온 성분의 2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90%로 사용할 때 생성물 안정성이 상당히 증가함을 밝혀 내었다. 본 출원인들은 또한 추가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 양성 및(또는)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의 25% 내지 90%로 알칼리금속 알킬양성아세테이트를 선택하여 라멜라 구조 액체 세정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방법도 밝혀 내었다.
미국 특허 출원 제08/512,010호에서는 나트륨 코코양성아세테이트가 사용되는 한 실례(23 페이지의 실시예 Ⅸ)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나 나머지 다른 8개의 실시예 어디에서도 다른 양성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베타인)및 양성아세테이트의 블렌드가 교시되어 있지 않다. 그 출원에서 양성 계면활성제의 블렌드가 이러한 조성물의 낮은 온도에서의 불안정성을 개선시킬 것이라는 어떠한 교시나 또는 제안도 없었다. 실제로 낮은 온도에서의 불안정성이라는 문제가 인식될 때까지도 본 발명의 특수하게 선택된 계면활성제계가 이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은 알려지지 않았었다.
본 발명은 (a) 음이온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및 (b) 알칼리금속 알킬양성아세테이트(블렌드의 2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를 구성함)로 이루어진, 양성 및(또는)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의 블렌드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계 5% 내지 50%를 포함하는 라멜라 구조 액체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a) 음이온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및
(b) 양성 및(또는)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또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계 약 5% 내지 약 50%를 포함하는 라멜라 구조 액체 세정 조성물의 저온(즉, 약 20 ℉(-6.7 ℃) 내지 약 0 ℉(-17.8 ℃))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서, 알칼리금속 알킬 양성아세테이트가 상기 (b) 성분의 25% 이상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90%를 구성하도록 (b) 성분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기치 않게 본 출원인들은 알칼리금속 알킬양성아세테이트가 양성/쯔비터이온 블렌드 중에 최소량 이상으로 사용되는 경우, 그 성분이 알칼리금속 알킬양성아세테이트가 양성/쯔비터이온 블렌드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거나 또는 25% 이하를 구성하는 조성물에 비해 라멜라 구조 조성물의 냉온 안정성을 현저히 증진시킴을 밝혀 내었다.
본 발명은 양성 및(또는)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라멜라 구조 액체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한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a) 음이온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및
(b) 양성 및(또는)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또한 이루어지되, 알칼리금속 알킬 양성아세테이트가 (b) 성분의 25% 이상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90%를 구성하는 계면활성제계 약 5% 내지 약 50%를 포함하는 라멜라 구조 액체 세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a) 음이온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및
(b) 양성 및(또는)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계면활성제계 5% 내지 50%를 포함하는 라멜라 구조 액체 세정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서, 알칼리금속 알킬 양성아세테이트가 상기 (b) 성분의 25% 이상 내지 90%를 구성하도록 양성 및(또는)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 성분 (b)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1차 알칸 (예컨대, C8-C22) 술포네이트, 1차 알칸 (예컨대, C8-C22) 디술포네이트, C8-C22알켄 술포네이트, C8-C22히드록시알칸 술포네이트 또는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술포네이트 (AGS) 등의 지방족 술포네이트: 또는 알킬 벤젠 술포네이트와 같은 방향족 술포네이트일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또한 알킬 술페이트(예를 들어,C12-C18알킬 술페이트), 또는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술페이트 포함)일 수 있다.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중에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 것들이 있다.
RO(CH2CH2O)nSO3M
식 중, R은 탄소 원자수 8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의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n은 대략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이고, M은 가용와 양이온,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이다. 암모늄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및 나트륨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가 바람직하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또한 알킬 술포숙시네이트 (예를 들어, C6-C22술포숙시네이트와 같은 모노- 및 디알킬 포함); 알킬 및 아실 타우레이트, 알킬 및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술포아세테이트, C8-C22알킬 포스페이트 및 포스페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알콕시 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아실 락테이트, C8-C22모노알킬 숙시네이트 및 말리에이트, 술포아세테이트 및 아실 이세티오네이트일 수 있다.
술포숙시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R4O2CCH2CH(SO3M)CO2M
의 모노알킬 술포숙시네이트; 하기 화학식
R4CONHCH2CH2O2CCHCH(SO3M)CO2M
(식 중, R4는 C8-C22알킬이고, M은 가용화 양이온임)의 아미도-MEA 술포숙시네이트일 수 있고, 하기 화학식
RCONH(CH2)CH(CH3)(SO3M)CO2M
(식 중, M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음)의 아미도-MIPA 술포숙시네이트일 수 있다.
또한 알콕실화 시트레이트 술포숙시네이트, 및 하기 화학식
(식 중, n은 1 내지 20이고, M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의 화합물과 같은 알콕실화 술포숙시네이트도 포함된다.
사르포시네이트는 일반적으로 화학식 RCON(CH3)CH2CO2M(식 중, R은 C8내지 C20알킬 범위이고, M은 가용화 양이온임)으로 나타내어진다.
타우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화학식 R2CONR3CH2CH2SO3M(식 중, R2는 C8내지 C20알킬 범위이고, R3은 C1내지 C4알킬 범위이고, M은 가용화 양이온임)으로 나타내어진다.
또다른 종류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R-(CH2CH2O)nCO2M(식 중, R은 C8내지 C20알킬이고, n은 0 내지 20이고, M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과 같은 카르복실레이트이다.
사용될 수 있는 또다른 카르복실레이트는 아미도 알킬 폴리펩티드 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어 몬테인 엘씨큐(Monteine LCQ, 등록상표) (Seppic 제품)이다.
사용될 수 있는 또다른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C8-C18아실 이세티오네이트이다. 이 에스테르는 알칼리 금속 이세티오네이트와, 탄소 원자수가 6 내지 18이고 요오드 값이 20 이하인 혼합된 지방족 지방산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혼합된 지방산의 75% 이상은 탄소 원자수가 12 내지 18이고, 25% 이하는 탄소 원자수가 6 내지 10이다.
아실 이세티오네이트가 존재한다면 일반적으로 전체 조성물의 약 0.5 내지 15 중량%일 것이다. 이 성분은 1 내지 10%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 이세티오네이트는 본 원에 참고로 채택된 일라디(Ilardi) 등의 미국 특허 제5,393,466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알콕실화 이세티오네이트일 수 있다. 이 화합물의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식 중, R은 탄소 원자수 8 내지 18이고, m은 정수 1 내지 4이고, X 및 Y는 수소,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M+은 1가 양이온(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이다.
일반적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 성분은 조성물의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중량%를 구성할 것이다.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은 알킬 술페이트, 아실이세티오네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한다.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는 지방족 4가 암모늄, 포스포늄 및 술포늄 화합물의 유도체로 광범위하게 기재될 수 있는 것들이며, 지방족 라디칼이 직쇄 또는 분지쇄이고 지방족 치환체 중 하나는 약 8 내지 약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음이온기, 예를 들어 카르복시, 술포네이트,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의 화학식은 하기와 같다:
식 중, R2는 탄소 원자수 약 8 내지 약 18의 알킬, 알케닐, 또는 히드록시 알킬 라디칼을 포함하고; 산화 에틸렌 잔기 0 내지 약 10개, 글릴세릴 잔기 0 내지 약 1개를 포함하고; Y는 질소, 인 및 황 원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는 탄소 원자수 약 1 내지 약 3의 알킬 또는 모노히드록시알킬기이고; X는 Y가 황 원자인 경우 1, Y가 질소 또는 인 원자인 경우 2이고; R4는 탄소 원자수 약 1 내지 약 4의 알킬렌 또는 히드록시알킬렌이고, Z는 카르복실레이트, 술포네이트, 술페이트, 포스포네이트 및 포스페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이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4-[N,N-디(2-히드록시에틸)-N-옥타데실암모니오]-부탄-1-카르복실레이트,
5-[S-3-히드록시프로필-S-헥사데실술포니오]-3-히드록시펜탄-1-술페이트,
3-[P,P-디에틸-P-3,6,9-트리옥사테트라덱소실포스포니오]-2-히드록시프로판-1-포스페이트,
3-[N,N-디프로필-N-3-도데콕시-2-히드록시프로필암모니오]-프로판-1-포스포네이트,
3-(N,N-디메틸-N-헥사데실암모니오)프로판-1-술포네이트,
3-(N,N-디메틸-N-헥사데실암모니오)-2-히드록시프로판-1-술포네이트,
4-[N,N-디(2-히드록시에틸)-N-(2-히드록시도데실)암모니오]-부탄-1-카르복실레이트,
3-[S-에틸-S-(3-도데콕시-2-히드록시프로필)술포니오]-프로판-1-포스페이트,
3-[P,P-디메틸-P-도데실포스포니오]-프로판-1-포스포네이트,
5-[N,N-디(3-히드록시프로필)-N-헥사데실암모니오]-2-히드록시-펜탄-1-술페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양성 세제는 하나 이상의 산기를 포함한다. 이것은 카르복실산 또는 술폰산기일 수 있다. 이들은 4차 질소를 포함하므로 4급 아미도산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탄소 원자수 7 내지 18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를 포함해야 한다. 이들은 보통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어질 것이다.
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7 내지 18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R2및 R3각각은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 히드록실알킬 또는 카르복실알킬이고,
n은 2 내지 4이고,
m은 0 내지 1이고,
X는 임의로 히드록실로 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렌이고,
Y는 -CO2- 또는 -SO3-이다.
상기 화학식 내에 속하는 적합한 양성 세제로는 하기 화학식
의 단순한 베타인, 및 하기 화학식
(식 중, m은 2 또는 3임)의 아미도 베타인이 있다.
베타인은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통상적으로 0 내지 25 중량%, 예를 들어 0.1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화학식 모두에서, R1, R2및 R3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R1은 특히 R1기의 1/2 이상, 바람직하게는 3/4 이상이 탄소 원자 10 내지 14개인 코코넛으로부터 유래된 C12내지 C14알킬기의 혼합물일 수 있다. R2및 R3는 바람직하게는 메틸이다.
또한, 양성 세제로는 하기 화학식
또는
(식 중, m은 2 또는 3임)의 술포베타인이거나, 또는 (CH2)3SO3 -가 다음 화학식 즉,
로 치환된 변형체일 수 있다. 이들 화학식에서의 R1, R2및 R3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양성/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측면은 쯔비터이온/양성 화합물을 블렌드 중의 한 성분이 알칼리 금속 알킬양성아세테이트인 쯔비터이온/양성 계면활성제의 블렌드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알칼리금속 알킬양성아세테이트는 블렌드의 2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를 구성해야 한다. 알칼리금속 알킬양성아세테이트의 양이 블렌드의 30 내지 75%, 예를 들어 40 내지 60%인 것이 적합할 수 있다.
알칼리금속 알킬 양성아세테이트 화합물의 예는 나트륨 또는 칼륨 라우로 또는 코코양성아세테이트이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양성아세테이트를 비롯하여 양성/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의 전체 양은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어야 한다. 양성/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의 전체 양은 조성물의 5% 이상을 구성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음이온 및 양성 및(또는)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 외에, 계면활성제계는 임의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특히 소수성기 및 반응성 수소 원자가 있는 화합물, 예를 들어, 지방족 알콜, 산, 아미드, 또는 알킬 페놀과, 산화 알킬렌, 특히 산화 에틸렌 단독 또는 산화 프로필렌과의 반응 생성물이 있다. 특정 비이온 세제 화합물은 알킬 (C6-C22) 페놀-산화에틸렌 축합물, 지방족 (C8-C18) 1차 또는 2차 직쇄 또는 분지된 알콜과 산화 에틸렌과의 축합 생성물, 및 산화 프로필렌 및 에틸렌디아민의 반응 생성물과 산화 에틸렌의 축합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이다. 다른, 소위 비이온 세제 화합물로는 장쇄 3급 산화 아민, 장쇄 3급 산화 포스핀 및 디알킬 술폭시드가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또한 다당 아미드와 같은 당 아미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는 본 원에 참고로 채택된 유 등 (Au et al)의 미국 특허 제5,389,279호에 기재된 락토비온아미드 중의 하나일 수 있거나 또는 본 원에 참고로 채택된 켈켄버그 (Kelkenberg)의 미국 특허 제5,009,814호에 기재된 당 아미드 중의 하나일 수 있다.
패런 (Parran Jr.)의 미국 특허 제3,723,325호에 기재된 다른 계면활성제와 레나도 (Llenado)의 미국 특허 제4,565,647호에 기재된 알킬 다당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고, 이들 모두 또한 본 원에 참고로 채택되었다.
바람직한 알킬 다당류는 하기 화학식의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이다:
R2O(CnH2nO)t(글리코실)x
식 중, R2는 알킬기에 탄소 원자 약 10 내지 약 18개,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약 14개가 포함된 알킬, 알킬페닐. 히드록시알킬, 히드록시알킬페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은 0 내지 3, 바람직하게는 2이고; t는 0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0이고; x는 1.3 내지에 약 10,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약 2.7이다. 글리코실은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스로부터 유래된다. 이들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알콜 또는 알킬폴리에톡시 알콜을 먼저 형성시키고, 이어서, 글루코스 또는 글루코스의 원천과 반응시켜 글루코시드 (1-위치에 결합)를 형성시킨다. 이어서, 추가의 글리코실 단위를 그의 1-위치 및 상기 글리코실 단위 2-, 3-, 4- 및(또는) 6-위치, 바람직하게는 주로 2-위치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0 내지 10 중량%를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누 무함유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조성물에서 라멜라상이 형성되도록 작용하는 구조제를 통상적으로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이용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라멜라상은 조성물이 보다 쉽게 입자를 현탁 (예를 들어, 연화제 입자)시킬수 있도록 하는 반면, 양호한 전단 점도 감소 특성을 유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라멜라상은 또한 소비자에게 목적하는 유동성 (히핑 (heaping))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성물이 라멜라 구조를 이루지 않고, 증진된 입자 현탁/증진이 필요한 경우, 일반적으로 카르보머 (예를 들어, 카르보폴 (Carbopol) (등록상표)과 같은 가교 결합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점토 등의 외부 구조제를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들 외부 구조제는 두드러지게 소비자 용인성을 감소시키는 보다 낮은 전단 점도 감소 특성을 가진다.
구조제는 일반적으로 불포화 및(또는) 분지된 장쇄 (C8-C24) 액체 지방산 또는 그들의 에스테르 유도체; 및(또는) 불포화 및(또는) 분지된 장쇄 액체 알콜 또는 그들의 에테르 유도체이다. 이것은 또한 카프르산 또는 카프릴산 등의 단쇄 포화 지방산일 수 있다. 이론에 결부되기를 원치 않지만, 알콜 지방산의 불포화 부분 또는 지방산 또는 알콜의 분지 부분이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사슬을 무질서하게 하고, 라멜라상의 형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용될 수 있는 액체 지방산의 예로는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리시놀레산, 엘라이드산, 아라키돈산, 미리스톨레산 및 팔미톨레산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 유도체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올리에이트,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올리에이트 및 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가 있다.
알콜의 예로는 올레일 알콜 및 이소스테아릴 알콜이 있다. 에테르 유도체의 예로는 이소스테아레스 또는 올레스 카르복실산; 또는 이소스테아레스 또는 올레스 알콜이 있다.
구조제는 약 섭씨 25℃ 이하의 융점을 갖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잇점 중의 하나는 오일/연화제 입자를 라멜라상 조성물 중에 현탁시키는 능력이다.
오일의 다양한 종류들은 하기와 같다.
식물성 오일: 땅콩 오일, 피마자 오일, 코코아 버터, 코코넛 오일, 옥수수 오일, 목화씨 오일, 올리브 오일, 야자씨 오일, 홍화씨 오일, 평자씨 오일, 참깨씨 오일, 대두 오일.
에스테르: 부틸 미리스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데실 올리에이트,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글리세릴 리신올리에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부틸 팔미테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라우레이트, 이소프로필 리놀리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리신올리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및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동물성 지방: 아세틸레이트 라놀린 알콜, 라놀린, 라드, 밍크 오일 및 우지.
지방산 및 알콜: 베헨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헤닐 알콜, 세틸 알콜, 에이코사닐 알콜 및 이소세틸 알콜.
오일/연화제의 다른 예로는 광물성 오일, 바셀린, 디메틸 폴리실록산과 같은 실리콘 오일, 라우릴 및 미리스틸 락테이트가 있다.
연화제가 또한 구조제로 작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구조제가 15%의 올레일 알콜이라면, 연화제 (연화제로 또는 구조제로 작용하든지)는 조성물의 20% 이상을 구성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15% 이하를 구성하기 때문에 연화제로서의 5% 이하의 올레일 알콜이 첨가되도록, 연화제를 두 배로 첨가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연화제/오일은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20% 이하를 구성해야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임의의 성분, 즉 에탄올과 같은 유기 용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카르보폴, 글루카미드, 또는 Rhone Poulence사의 안틸 (Antil, 등록상표) 등의 보조 증점제; 향료; 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 양의 테트라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EDTA), EHDP 또는 혼합물 등의 금속이온 봉쇄제; 및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TiO2, EGMS (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리트론 (Lytron) 621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착색제, 유백제 및 진주광택제; 제품의 외형 또는 미용 특성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유용한 모든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2-히드록시-4,2'4' 트리클로로디페닐에테르 (DP300)와 같은 항균제; 디메틸롤디메틸히단토인 (글리단트 (Glydant) XL1000), 파라벤, 소르브산과 같은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비누 거품 촉진제로서 코코넛 아실 모노- 또는 디에탄올 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고, 염화나트륨 및 황산나트륨 등의 이온화도가 강한 염도 또한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과 같은 산화방지제는 필요하다면 0.01% 이상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양이온 콘디셔너는 쿼트리소프트 (Quatrisoft) LM-200 폴리쿼터늄-24, 머쿼트 플러스 (Merquat Plus) 3330-폴리쿼터늄 39; 및 제규어 (Jaguar, 등록상표) 유형 콘디셔너가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는
폴리옥스 WSR-205 PEG 14M,
폴리옥스 WSR-N-60K PEG 45M, 또는
폴리옥스 WSR-N-750 PEG 7M이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증점제로는 아머콜 (Amerchol) 중합체 HM 1500 (논옥시닐 히드로에틸 셀룰로스); 글루캄 (Glucam) DOE 120 (PEG 120 메틸 글루코스 디올리에이트); Rewo Chemicals사의 류오덤 (Rewoderm, 등록상표) (PEG 변성된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팔메이트 또는 탈로우에이트); 안틸 (Antil, 등록상표) 141 (Goldschmidt사)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증점제는 크산탄 고무이다. 실제로 크산탄 고무를 특히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하는 것도 냉온 저장시의 불안정성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첨가될 수 있는 또다른 임의의 성분은 본 원에 참고로 채택된 몬타규 (Montague)의 미국 특허 제5,147,576호에 교시된 것과 같은 탈응집용 중합체이다.
포함될 수 있는 또다른 성분은 폴리에틸렌 비드, 호두 시이트 및 살구씨 등의 박리물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 인체 용품이나 반드시 그러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하기의 비제한적 실시예로 보다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어떤 식으로든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의 추가적 변형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15 ℉(-9 ℃) 및 0 ℉(-17.8 ℃)에서 여러 라멜라 구조 액체 세정제의 저온 안정성을 나타낸다. 나타난 바와 같이, 알칼리 금속 양성아세테이트가 모든 양성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양성아세테이트와 베타인)의 25%를 구성하는 경우 안정성은 극적으로 증가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에서의 모든 백분율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단위이다.
하기 조성물을 실시예에 사용하였다.
성분
코코아미도 프로필 베타인 12 9 6 0
나트륨 라우로양성아세테이트 0 3 6 12
나트륨 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 6.5 6.5 6.5 6.5
나트륨 라우레스술페이트 6.5 6.5 6.5 6.5
증점제/중합체(예를 들어, 양이온, 구아 또는 크산탄 고무) 0.1 내지 1% 0.1 내지 1% 0.1 내지 1% 0.1 내지 1%
연화제 1 내지 7% 1 내지 7% 1 내지 7% 1 내지 7%
구조제 3 내지 10% 3 내지 10% 3 내지 10% 3 내지 10%
이산화 티타늄 0.2 0.2 0.2 0.2
DMDM 히단토인 0.2 0.2 0.2 0.2
향수 1.0 1.0 1.0 1.0
BHT 0.0075 0.0075 0.0075 0.007
100.0 까지 100.0 까지 100.0 까지 100.0 까지
<실시예 1 - 4>
상기 Ⅰ - Ⅳ의 조성물을 플라스틱 컵에서 1일 동안 15 ℉(-9 ℃) 및 0 ℉(-17.8 ℃)에 저장시킨 후 이어서 실온으로 유지시켰다. 이 생성물이 흔들리면 점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시료가 흔들리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이어서 헬리패스(helipath) 부품에 부속된 브룩필드(Brookfield) RV 점도계 및 T-바 스핀들(Spindle) A를 이용하여 시료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베타인/양성아세테이트 블렌드 중의 양성아세테이트의 % T-바 점도
실온 15 ℉(-9 ℃)에서 1일 지난 후 0 ℉(-17.8 ℃)에서 1일 지난 후
1 0 88400 22800 22400
2 25 91200 26000 33200
3 50 97200 84000 93200
표와 도 1, (실시예 2 및 3)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성아세테이트가 양성 계면활성제의 블렌드(베타인/양성아세테이트 블렌드)의 약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90%를 구성하는 경우 저온(15 ℉(-9 ℃), 0 ℉(-17.8 ℃))에서의 점도는 보다 높게 유지된다. 즉 저온에서의 점도/상 안정성은 양성아세테이트가 사용되지 않거나 블렌드의 25% 이하(예를 들어, 실시예 1)를 구성하는 조성물에 비해 분명히 훨씬 더 우수하다.

Claims (10)

  1. (a) 음이온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및
    (b) 양성 및(또는)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되, 알칼리금속 알킬양성아세테이트가 (b) 성분의 25% 내지 90%를 구성하는 계면활성제계 5% 내지 50%를 포함하는 라멜라 구조 액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알칼리금속 알킬양성아세테이트가 (b) 성분의 30 내지 90%를 구성하는 것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알칼리금속 양성아세테이트가 (b) 성분의 40% 내지 90%를 구성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알킬 술페이트,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b) 성분이 베타인 0.1% 내지 25%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0% 내지 10%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알칼리금속 알킬 양성아세테이트가 (b) 성분의 25% 내지 90%를 구성하도록 양성 및(또는)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 성분 (b)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라멜라 구조 액체 세정 조성물의 저온 안정성의 증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알칼리금속 알킬양성아세테이트가 (b) 성분의 30% 내지 90%를 구성하도록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알칼리금속 알킬양성아세테이트가 (b) 성분의 40% 내지 90%를 구성하도록 하는 방법.
  10. 제7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멜라 구조 액체 세정 조성물이 제4 내지 6항의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19990702453A 1996-09-24 1997-09-04 안정성 증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 및 그의 저온안정성 증진 방법 Withdrawn KR200000485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65296P 1996-09-24 1996-09-24
US60/026,652 1996-09-24
US60/026,650 1996-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538A true KR20000048538A (ko) 2000-07-25

Family

ID=2183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2453A Withdrawn KR20000048538A (ko) 1996-09-24 1997-09-04 안정성 증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 및 그의 저온안정성 증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85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9932B1 (ko) 라멜라상을유도하는가용성구조제를포함하는액체세정조성물
EP1003462B1 (en) Stable liquid composition comprising high levels of emollients
EP1165019B1 (en) Liquid composition with enhanced low temperature stability
US6077816A (en) Liquid cleansing composition comprising soluble, lamellar phase inducing structurant
EP1037601B1 (en) Liquid composition with enhanced low temperature stability
US5962395A (en) Method of enhancing low temperature stability of liquid cleansing compositions
JP7459053B2 (ja) 疎水性または非疎水性変性アニオン性ポリマーを含有する洗浄液中の増強された保湿剤の沈着
EP0900261B1 (en) Liquid compositions comprising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alkylene glycols as mildness actives
WO1997029736A1 (en) Liquid cleansing compositions comprising select cationic polymers
JP4148534B2 (ja) コポリマー柔和性活性剤を含む液体組成物
WO1998013022A1 (en) Liquid compositions comprising stability enhancing surfactants and a method of enhancing low temperature stability thereof
KR20000048538A (ko) 안정성 증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 및 그의 저온안정성 증진 방법
HK1029050B (en) Stable liquid composition comprising high levels of emollients
HK1031338B (en) Liquid composition with enhanced low temperature s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