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6060A - Method for storing image fi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 Google Patents
Method for storing image fi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46060A KR20000046060A KR1019980062735A KR19980062735A KR20000046060A KR 20000046060 A KR20000046060 A KR 20000046060A KR 1019980062735 A KR1019980062735 A KR 1019980062735A KR 19980062735 A KR19980062735 A KR 19980062735A KR 20000046060 A KR20000046060 A KR 200000460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file
- image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camera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FIELD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s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미지 파일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toring an image fil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미지 파일 저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toring an image fil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파일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카메라에 찍히고 있는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화상이 표시부에 표시되면 키입력부로부터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소정의 키가 입력되면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캡처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storing an image fi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the method comprising: driving the camera to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n a display unit; and capturing an image from a key input unit when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a second process of captur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generating and storing an image file is performed.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이용한다.It is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데이터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에서 입력하는 화상데이터를 캡처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미지 파일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storing an image fil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or capturing image data input from a camera and storing it as an image file.
현재 개발중인 차세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단말기는 데이터 서비스뿐만 아니라 화상 서비스까지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같이 화상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단말기는 카메라 등으로 피사체, 예를 들면, 사용자 얼굴을 찍어 상대방에게 송신한다. 화상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기술상의 문제점보다는 사용자의 모습을 전송하기 위해서 설치된 단말기 상의 카메라에 대한 효율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현재의 단말기 서비스 상에서의 카메라 사용은 단지 통화자의 현재 모습이나 얼글 등을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단말기에서 앞으로 실현될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부분의 단말기 상의 기능은 키패드와 액정표시장치, 스피커 등으로 국한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서비스는 상대방 통화자의 모습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정보(교통, 날씨, 문화 등의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정보들)나 화상(VOD: Video On Demand), 영화감상, 특정 장소에 관한 사전 답사 등)을 디스플레이 하는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스피커를 이용한 서비스로는 상대방 통화자의 음성을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 품질의 음악을 들을 수도 있고 음성으로 전송되는 각종 정보 등을 받을 수 있는 반면, 카메라를 이용하는 서비스의 기능은 상대방 통화자에게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에 국한되어 있다.The next generat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development is planning to provide not only data service but also image service. When providing an image service as described above,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hotographs a subject, for example, a user's face, using a camera or the like and transmits the image to a counterpar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n image service may be a problem of efficiency of a camera on a terminal installed to transmit a user's appearance rather than a technical problem. The use of cameras on current terminal services is only intended to transmit the caller's current appearance or alert. Most of the functions on the terminal that provide various services to be realized in the terminal are limited to the keypad, the liquid crystal display, the speaker, and the like. The service us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not only view the other party's caller, but als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information related to daily life such as traffic, weather, and culture), video on demand, and movie watching. , A preliminary search for a specific place, etc.) may be implemented. The service using the speaker not only can listen to the other party's voice, but also can listen to high quality music and receiv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voice. It's limited to show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화상서비스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캡처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generating and storing an image file by capturing input image data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image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캡처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apturing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camer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generating an image file, and editing the generated fi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파일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카메라에 찍히고 있는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1과정과, 상기 화상이 표시부에 표시되면 키입력부로부터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소정의 키가 입력되면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캡처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toring an image fi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comprising: a first process of driving the camera to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n a display unit; When a predetermined key for capturing an image from the key input unit is displayed, the second process of captur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generate and store an image file is performed.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이미지 파일 저장부를 구비하고 컴퓨터와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편집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컴퓨터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이미지 파일을 컴퓨터로 전송하고, 편집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컴퓨터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이미지 파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컴퓨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미지 파일 읽기 명령을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이미지 파일이 수신되면 상기 이미지 파일을 편집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edi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mage file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mage file and connected to a computer,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 predetermined command from the computer. Transmitting a file to a computer, receiving the edited image file from the computer, and storing the image file in the image file storage unit; and transmitting a read command of the image fi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response to the image file. If receiv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tep of editing and transmitting the image fi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컴퓨터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put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2는 도1의 카메라부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camera unit of FIG. 1; FIG.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미지 파일 저장방법을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an image fil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상기 도2에서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컴퓨터의 편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chart showing a computer editing method for editing the image file stored in FIG.
도5는 상기 도2에서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편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di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diting the image file stored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기록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가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ersonal computer having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소정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을 구비한다. 키입력부(20)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며, 상기 키들에 대한 키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10 includes a ROM for stor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program and a RAM for storing temporary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The key input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and outputs key data for the keys to the controller 10.
표시부(30)는 상기 키입력부(20)에서 출력되는 키데이터에 대응되는 표시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입력받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0)는 동화상 및 정지화상 데이터 등과 같은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입력받아 표시하고 날씨, 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30 receives and displays display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data output from the key input unit 20 from the controller 1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0 receives image data such as moving image and still image data from the control unit 10 and displays it, and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weather and news.
이미지 파일 저장부(40)는 이미지 파일 및 동화상 파일 등의 화상데이터를 저장한다.The image file storage unit 40 stores image data such as an image file and a moving image file.
카메라부(50)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 찍혀지는 영상을 디지탈 신호로 바꾸고, 상기 연속되는 디지탈호를 정지화상으로 캡처(Capture)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거나 연속되는 영상을 일정시간 동안 캡처하여 동화상 파일을 생성하여 출력한다.The camera unit 50 converts an image taken through a camera lens into a digital signal, and captures the continuous digital image as a still image to generate an image file or capture a continuous image for a predetermined time to generate a moving image file. Create and print
압축 제어기(6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카메라부(5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이미지 파일 또는 동화상 파일 등과 같은 화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압축하여 이미지 파일 저장부(40)에 저장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70)는 개인용 컴퓨터(103) 등과 같은 외부 장치간 신호를 인터페이싱 한다.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부(70)는 범용 비동기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and Transmitter: UART) 혹은 범용 동기 버스(Universal Synchronous Bus: USB)이다. 여기서 상기 외부인터페이스(70)와 외부 장치의 연결 케이블은 직렬전송모듈인 RS232C를 사용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controller 60 receives image data such as a predetermined image file or a moving image file provided from the camera unit 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compresses the image data to the image file storage unit 40. Save it. The external interface 70 interfaces signals between external devices such as the personal computer 103 or the like. The external interface 70 may be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and a transmitter (UART) or a universal synchronous bus (USB). Here, the external interface 70 and the connection cable of the external device may use a serial transmission module RS232C.
도2는 도1에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부의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view of a camera unit for generating an image file in FIG. 1,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도1의 상기 카메라부(50)는 도2와 같이 제어부(10)로부터 온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랜즈를 통해 찍혀지는 영상을 디지탈 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탈 카메라(51)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소정의 캡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연속되어 입력하는 디지탈 신호를 캡처하여 출력하는 화상 캡처부(53)와, 상기 화상 캡처부(53)에서 캡처된 화상을 이미지 파일로 생성하는 이미지 파일 생성부(5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camera unit 50 of FIG. 1 receives an on-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10 and outputs a digital image of the image taken through the lens as a digital signal, and from the controller 10. An image capture unit 53 which receives a predetermined capture control signal and captures and outputs the continuous input digital signal; and an image file generator which generates an image fil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e unit 53 as an image file ( 55).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저장하고자 하여 키입력부(20)의 소정의 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키입력부(20)로부터 해당 키데이터를 입력받아 카메라부(50)로 온(On)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카메라부(50)를 구동시킨다. 상기 카메라부(50)는 온되면 랜즈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출력한다. 제어부(10)는 상기 디지탈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부(30)에 표시하여 준다. 이때, 사용자가 표시부(30)를 보고 자신이 원하는 영상이 표시되어 키입력부(20)로부터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소정의 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상기 키에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미지 캡처 신호를 도2의 화면 캡처부(53)로 출력하여 상기 표시부(30)에 표시된 영상을 320×200픽셀×8비트 크기로 캡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이미지 파일 생성부(55)는 상기 캡처된 디지탈 신호를 64KBytes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압축제어기(60)로 출력한다. 압축제어기(60)는 상기 64KBytes의 이미지 파일을 소정의 방식에 의해 압축하여 훨씬 작은 값의 이미지 파일로 이미지 파일 저장부(4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320×200픽셀×8bit 크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30)가 그리 크지 않다는 걸 고려하여 결정된 크기이다. 상기 압축 방식으로는 RLE(Run Length Encoding) 등이 있으며, 상기 RLE로 압축한 경우에는 64KBytes 보다 훨씬 작은 값으로 저장할수 있다. 따라서 압축하지 않을 경우까지 고려하여 5개 정도의 화면을 저장한다고 가정하면 500KBytes 정도의 저장부만 있으면 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wants to store an image or video and inputs a predetermined key of the key input unit 20, the control unit 10 receives the corresponding key data from the key input unit 20 to receive a camera. An on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unit 50 to drive the camera unit 50. When turned on, the camera unit 50 converts an image input through the lens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 unit 10 receives the digital signal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30.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es the display unit 30 and the desired image is displayed and inputs a predetermined key for capturing an image from the key input unit 20, the controller 10 receives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An image capture signal is output to the screen capture unit 53 of FIG. 2 to capture and output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in size of 320 × 200 pixels × 8 bits. The image file generator 55 then converts the captured digital signal into an image file of 64 KBytes and outputs it to the compression controller 60. The compression controller 60 compresses the image file of 64 KBytes by a predetermined method and stores the image file in the image file storage 40 as an image file having a much smaller value. In this case, the size of 320 × 200 pixels × 8 bits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display unit 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very large. The compression method includes RLE (Run Length Encoding) and the like. When compressed with the RLE, the compression method can store a value much smaller than 64 KBytes. Therefore, assuming that there are about 5 screens to be considered even without compression, only 500KBytes storage is required.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기록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데이터 저장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image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어기(10)는 201단계에서 키입력부(20)로부터 카메라부(50)를 구동시키기위한 카메라 구동키가 입력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01단계에서 카메라 구동키가 입력하면 제어기(10)는 202단계에서 카메라부(50)로 온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시킨다. 상기 카메라부(50)는 키입력부(20)의 통화키를 입력하거나, 플립을 가진 경우 플립 오픈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온시킬 수 있다. 제어기(10)는 202단계에서 카메라부(50)이 온되어 구동되면 상기 카메라부(50)로부터 화상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부(30)에 표시한다. 상기 카메라부(50)를 통해 찍혀지고 있는 화상이 표시부(30)에 표시되면 제어기(1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키입력부(20)에서 이미지 캡처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키입력부(20)로부터 이미지 캡처키가 입력되면 제어기(10)는 207단계에서 캡처 제어신호를 카메라부(50)의 화상캡처부(53)로 출력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디지탈 화상데이터를 순간적으로 캡처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캡처되는 이미지는 사용자가 이미지 캡처키를 입력하였을 때, 표시부(30)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이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파일 생성부(55)에서 이미지 파일로 변환되어 압축제어기(60)로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파일이 출력되면 제어기(10)는 209단계에서 압축제어기(60)를 제어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을 압축하고 이미지 파일 저장부(40)에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3, first, the controller 10 checks whether a camera driving key for driving the camera unit 50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0 in step 201. When the camera driving key is input in step 201, the controller 10 outputs and drives an on control signal to the camera unit 50 in step 202. The camera unit 50 may automatically turn on by inputting a call key of the key input unit 20 or detecting flip open when the camera has a flip. When the camera unit 50 is turned on and driven in step 202, the controller 10 receives image data from the camera unit 50 and displays the image data on the display unit 30. When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5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205 and checks whether the image capture key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0. In this case, when the image capture key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0, the controller 10 outputs a capture control signal to the image capture unit 53 of the camera unit 50 in step 207 to instantaneously input digital image data. Capture and output image data. In this case, the captured image is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when the user inputs an image capture key. The image data is converted into an image file by the image file generator 55 and output to the compression controller 60. When the image file is output,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compression controller 60 to compress the image file and store it in the image file storage 40 in step 209.
상기 도3에서 저장된 이미지 파일은 컴퓨터(103)에서 편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우선, 컴퓨터(103)에서 이미지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외부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컴퓨터(103)의 직렬포트를 연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연결되면 도4와 도5의 과정을 통해 이미지 파일 저장부(4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편집할 수 있다.The image file stored in FIG. 3 may be edited and stored in the computer 103. First, in order to edit an image file in the computer 103, the serial port of the computer 103 must be connected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10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connected in this way, the image file stored in the image file storage unit 40 may be edited through the processes of FIGS. 4 and 5.
도4는 상기 도2에서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컴퓨터의 편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컴퓨터(103)에서 동작을 먼저 설명한다.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mputer editing method for editing the image file stored in FIG. 2, and the operation of the computer 103 will first be described.
우선 컴퓨터(103)는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을 편집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명령을 입력하면, 301단계에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컴퓨터(103)는 303단계에서 이미지 파일 읽기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이미지 파일 읽기 명령이 입력되면 컴퓨터(103)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연결되어 있으면, 컴퓨터(103)는 307단계에서 이미지파일 읽기 명령을 외부인터페이스(70)를 통해 제어기(10)로 전송한다. 상기 이미지 파일 읽기 명령 전송 후에 컴퓨터(103)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압축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이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중에 압축된 이미지 파일이 수신되면 컴퓨터(103)는 상기 압축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풀고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이미지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면 컴퓨터(103)는 31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편집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편집이 수행되면 컴퓨터(103)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전송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며, 상기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3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7단계에서는 사용자에게 저장여부를 묻고, 이에 응답하여 저장명령이 입력되면 이미지 파일을 컴퓨터(103) 내의 하드디스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한 다음, 319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저장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컴퓨터(103)는 3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9단계에서 컴퓨터(103)는 이미지 파일을 압축한 다음,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First, when the user inputs a program command for editing an image file, the computer 103 driv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in step 301.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started, the computer 103 checks whether an image file read command is input in step 303. In this case, when an image file read command is input, the computer 103 proceeds to step 305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As a result,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the computer 103 transmits an image file read command to the controller 10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70 in step 307. After the image file read command is transmitted, the computer 103 proceeds to step 309 to check whether the compressed image file is received. When the compressed image file is received during the inspection, the computer 103 decompresses the compressed image file and displays it on the monitor. When the image file is displayed, the computer 103 performs editing by the user in step 313. When the editing is performed by the user, the computer 103 proceeds to step 315 to check whether a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 and when the transmission command is input, to step 317. In step 317, the user is asked whether to store the data. If a storage command is input in response thereto, the image file is stored in a hard disk (not shown) in the computer 103. However, if a save command is not input, the computer 103 proceeds to step 319. In step 319, the computer 103 compresses the image file and transmits the image fi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도5는 상기 도3에 의해 컴퓨터로 화상데이터를 송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4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다.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transmitting image data to a computer according to FIG. 3, and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FIG.
먼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기(10)는 401단계에서 외부인터페이스부(70)에 외부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외부인터페이스부(70)에 외부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제어기(10)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외부인터페이스부(70)로부터 이미지 파일 리드 신호가 입력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이미지 파일 리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기(10)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이미지 파일 저장부(40)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리드하고, 리드된 이미지 파일을 외부인터페이스부(70)를 통해 컴퓨터(103)으로 전송한다. 상기 이미지 파일 전송 후 제어기(10)는 407단계로 진행하고, 컴퓨터(103)로부터 이미지 파일이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07단계에서 이미지 파일이 수신되면 제어기(10)는 409단계에서 외부인터페이스부(70)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 파일을 이미지 파일 저장부(40)에 저장한다. 이때 이미지 파일은 압축된 이미지 파일이다.First, the controller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hecks whether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interface 70 in step 401. If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interface unit 70,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403 to check whether the image file read signal is input from the external interface unit 70. In this case, when the image file read signal is input,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405 to read the image file from the image file storage unit 40, and reads the read image file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unit 70. To send. After the image file transfer,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407 and checks whether an image file is received from the computer 103. When the image file is received in step 407, the controller 10 stores the image file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unit 70 in the image file storage unit 40 in step 409. At this time, the image file is a compressed image fil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화상)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컴퓨터에서 편집할 수 있음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user's satisfaction by storing an image (image) desired by the user as an image file and editing the image on a compute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62735A KR100735303B1 (en) | 1998-12-31 | 1998-12-31 | Method for storing image fi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62735A KR100735303B1 (en) | 1998-12-31 | 1998-12-31 | Method for storing image fi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46060A true KR20000046060A (en) | 2000-07-25 |
KR100735303B1 KR100735303B1 (en) | 2008-01-09 |
Family
ID=1956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627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5303B1 (en) | 1998-12-31 | 1998-12-31 | Method for storing image fi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35303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5783A (en) * | 2000-08-23 | 2002-03-02 | 구자홍 | a picture frame in a picture phone |
KR100418559B1 (en) * | 2001-12-27 | 2004-02-14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picture slide feature in mobile phone |
WO2004052035A1 (en) * | 2002-11-29 | 2004-06-17 | Youngkeun Jung | Method of compounded image generation and downloading for mobile phone |
KR100465519B1 (en) * | 2002-07-03 | 2005-01-13 | 주식회사 엠투시스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for mobile phone |
WO2007111404A1 (en) * | 2006-03-27 | 2007-10-04 | Mobiders, Inc. | Mobile terminal capable of modifying a flash image and method of modifying a flash image therewith |
US7386050B2 (en) | 2003-10-15 | 2008-06-10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Fast half-pel searching method on the basis of SAD values according to integer-pel search and random variable corresponding to each macro block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9186B1 (en) * | 1998-12-14 | 2004-08-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saving image in image terminal |
-
1998
- 1998-12-31 KR KR1019980062735A patent/KR10073530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5783A (en) * | 2000-08-23 | 2002-03-02 | 구자홍 | a picture frame in a picture phone |
KR100418559B1 (en) * | 2001-12-27 | 2004-02-14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picture slide feature in mobile phone |
KR100465519B1 (en) * | 2002-07-03 | 2005-01-13 | 주식회사 엠투시스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for mobile phone |
WO2004052035A1 (en) * | 2002-11-29 | 2004-06-17 | Youngkeun Jung | Method of compounded image generation and downloading for mobile phone |
US7386050B2 (en) | 2003-10-15 | 2008-06-10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Fast half-pel searching method on the basis of SAD values according to integer-pel search and random variable corresponding to each macro block |
WO2007111404A1 (en) * | 2006-03-27 | 2007-10-04 | Mobiders, Inc. | Mobile terminal capable of modifying a flash image and method of modifying a flash image therewit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35303B1 (en) | 2008-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6589B1 (en) |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and editing divided shot images and a method thereof | |
KR100566253B1 (en) |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 |
US20150002898A1 (en) | Apparatus for capturing, converting, and transmitting a visual image signal via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 |
US7643168B2 (en) | Apparatus for capturing, converting and transmitting a visual image signal via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 |
US2006000173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capture, compression and transmission of a visual image over telephonic or radio transmission system | |
JP2001024925A (en) | Data communication system | |
US6483531B1 (en) | Imag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735303B1 (en) | Method for storing image fi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 |
KR100308311B1 (en) | Method Of Image Recording Of Picturephone | |
US7420593B2 (en) | Electronic camera utilizing pixel blocks | |
JP3359526B2 (en) | Digital electronic camera | |
JP3512327B2 (en) | Variable image data area method for portable videophone system | |
KR20010063181A (en) | Method for storing moving picture file into personal computer to a camera phone | |
EP1453291A2 (en) | Digital media frame | |
KR20000034282A (en) | How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video phone using a PC | |
KR20080047342A (en) | Camera File Storage Device and Method | |
KR20070073671A (en) | How to save video files on the camera phone | |
KR960013259B1 (en) | Phone number memory device | |
JP3276190B2 (en) | Image transmission device | |
KR100492568B1 (en) | A method and a device of transforming still image from video image | |
KR100643680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images at the same speed in different resolutions | |
JP3359525B2 (en) | Digital electronic camera | |
KR20050041589A (en) | Method for taking moving picture in wireless phone | |
KR100283746B1 (en) | Method and device for outputting video signal of smart card | |
KR20020015783A (en) | a picture frame in a picture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