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44538A -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 Google Patents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4538A
KR20000044538A KR1019980061037A KR19980061037A KR20000044538A KR 20000044538 A KR20000044538 A KR 20000044538A KR 1019980061037 A KR1019980061037 A KR 1019980061037A KR 19980061037 A KR19980061037 A KR 19980061037A KR 20000044538 A KR20000044538 A KR 20000044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working
protection
wavelength division
n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61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4538A/ko
Priority to CN99118615A priority patent/CN1258969A/zh
Publication of KR20000044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53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87Protection in WDM systems
    • H04J14/0289Optical multiplex section protection
    • H04J14/0291Shared protection at the optical multiplex section (1:1, n: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H04J14/0212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using optical switches or wavelength selective switches [W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15Architecture aspects
    • H04J14/0216Bidirectional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3WDM ring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노드들간에 2쌍의 워킹라인 및 보호라인으로 연결되는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간편하고 효율적인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노드들간에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전송되는 2쌍의 워킹라인 및 보호라인으로 연결되는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에 있어서, 노드들 각각이 2쌍 중 1쌍씩의 워킹라인 및 보호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제1,제2분기결합 다중화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제2분기결합 다중화기 각각은 워킹라인에 대하여는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기능에 따른 분기결합 다중화를 하며, 보호라인에 대하여는 광 증폭에 의한 중계 기능을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의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에 이용한다.

Description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본 발명은 양방향선로 절체링(Bidirectional Line Switching Ring: 이하 "BLSR"이라 함) 망(network)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드(node)들간에 2쌍의 워킹라인(working line) 및 보호라인(protection line)으로 연결되는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에 관한 것이다.
BLSR은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망에서 주로 사용되는 망 보호방식인 자기 복구 링의 일종이다. 자기 복구 링은 BLSR과 단방향선로 절체링인 UPSR(Unidirectional Path Switching Ring)으로 나누어지는데, UPSR은 운용 알고리즘(algorithm)이 단순하지만 UPSR에 비해 광 파이버 당 트래픽 수용 용량이 다른 회선 절체방식에 비해 높은 BLSR이 많이 사용된다. BLSR은 송수신이 일반적인 선형망에서처럼 양방향으로 이루어지고 2선식과 4선식이 있다.
한편 광 전송시스템에서 파장 분할 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WDM"이라 함) 방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WDM 방식은 광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방식의 하나로서 파장이 다른 다수의 광신호를 한 가닥의 광섬유에 동시에 도파시키는 방식이다. WDM 방식에 있어서 다른 파장의 광신호들을 한 가닥의 광섬유에 다중화시키는 것을 파장 분할 다중화라고 하고, 반대로 한 가닥의 광섬유에 다중화되어있는 광신호를 분리시키는 것을 파장 분할 역다중화라고 한다.
이러한 WDM 전송기술은 광통신망에서 가장 쉽게 전송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며, 이것을 구체화한 것이 WDM 전송시스템이다. WDM 전송시스템은 다 채널의 데이터를 파장 분할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한편 수신된 데이터는 파장 분할 역다중화하여 하위의 저속 전송시스템으로 데이터를 분배해준다. 이때 파장 분할 다중화는 광 커플러나 AWG(Arrayed Waveguide Grating)를 사용하여 구현하며, 파장 분할 역다중화는 AWG나 FBG(Fiber Bragg Grating)를 사용하여 구현한다. 또한 광증폭기로서는 EDFA(Erbium-Doped Fiber Amplifier)가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WDM 전송시스템이 개발되면서 크게 3가지의 기술의 확보가 가장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었다. 첫째로는 다중화된 각각의 파장의 기준파장으로부터의 옵셋(offset) 안정화 및 각 파장들의 파워(power)의 편평도에 대한 것이었다. 둘째로는 각 파장의 다중화 역다중화에 사용되는 광 커플러, AWG 또는 FBG의 기술이다. 셋째로는 광신호를 광/전 변환이나 전/광 변환를 하지 않고 장거리 전송을 할 수 있는 EDFA의 기술이다.
현재 위의 3가지 기술이 모두 충족된 상태에서 각 시스템의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한 보호 기법을 넣으려 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광 스위치와 EDFA의 SNR(Signal-to-Noise Ratio), 그리고 각 파장들의 파워의 불균일 때문에 스태틱 ADMADM(Add-Drop Multiplexer)에서의 1+1 보호 정도만이 실현 가능하고 링 구조에서의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즉 BLSR/4(Bidirectional Line Switching Ring for 4 fiber)와 같은 구조는 아직 현재의 기술로는 구현하기 힘들다고 보고 있다.
이는 분기결합 다중화기, 즉 ADM(Add-Drop Multiplexer) 노드를 지나며 EDFA를 거친 광 다중화된 신호가 파장 분할 역다중화기를 통과하여 3R 채널 변환기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바로 파장 분할 다중화기로 패스 통과(through)되면 각 파장간의 광 파워의 차가 생겨 장거리 전송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3R 채널 변환기는 리펌핑(repumping), 리타이밍(retiming), 리글리칭(reglitching)을 한다. 이를 위해 3R 채널 변환기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 변환한후 리타이밍 및 리글리칭 처리하고 다시 전/광 변환하면서 리펌핑하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설계가 복잡해지며 장비의 비용 상승을 가져오게 되므로 비효율적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WDM 시스템의 BLSR/4 망이 필요하나 현재의 기술로는 구현하기 힘든 상태이며 설계나 비용면에서 비효율적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WDM 시스템에서 간편하고 효율적인 BLSR/4 망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노드 A(100)와 노드 B(102) 간의 광 케이블이 절단된 경우의 절체 상태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드들간에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전송되는 2쌍의 워킹라인 및 보호라인으로 연결되는 BLSR/4 망에 있어서, 노드들 각각이 2쌍 중 1쌍씩의 워킹라인 및 보호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제1,제2ADM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제2ADM 각각은 워킹라인에 대하여는 BLSR/4 기능에 따른 분기결합 다중화를 하며, 보호라인에 대하여는 광 증폭에 의한 중계 기능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들 중에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LSR/4 망 구성도로서, 편의상 3개의 노드, 즉 노드 A(100)와 노드 B(102)와 노드 C(104)로 이루어지는 예를 들어 정상상태의 트래픽(traffic)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노드 A∼C(100∼104)간에는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전송되는 2쌍의 워킹라인 및 보호라인, 즉 1쌍의 워킹라인(106) 및 보호라인(108)과 또다른 1쌍의 워킹라인(110) 및 보호라인(112)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노드 A∼C(100∼106)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는데, 도 1에서는 편의상 노드 A(100)와 노드 B(102)만의 내부 구성을 보였으며, 노드 A(100)와 노드 B(102)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서로 간에 참조부호를 달리 부여하였지만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표로 노드 A(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노드 A(100)는 역시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1,제2ADM(114,116)을 구비하는데, 제1ADM(114)은 노드 B(102)와 노드 C(104) 사이에서 1쌍의 워킹라인(106) 및 보호라인(108)에 연결되고, 제2ADM(116)은 노드 B(102)와 노드 C(104) 사이에서 또다른 1쌍의 워킹라인(106) 및 보호라인(108)에 연결된다. 상기 제1,제2ADM(114,116) 역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서로 간에 참조부호를 달리 부여하였지만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표로 제1ADM(114)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1ADM(114)는 워킹라인(106)에 대하여는 워킹 전치 증폭기(200)와 제1링 스위치(ring switch)(202)와 파장 분할 역다중화기(204)와 채널 모듈레이터(channel modulator)(206)와 파장 분할 다중화기(208)와 제2링 스위치(210)와 워킹 부스터(booster) 증폭기(212)와 스팬 스위치(span switch)(214)로 구성되고, 보호라인(108)에 대하여는 제2링 스위치(210)와 보호 부스터 증폭기(216)와 제1링 스위치(202)로 구성된다. 이들 중에 제1,제2링 스위치(202,210)는 보호 절체시 워킹라인(106)을 보호라인(108)으로 브리지(bridge)시키기 위한 것으로, 워킹라인(106) 및 보호라인(108)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상기 워킹 전치 증폭기(200)는 EDFA를 사용하며 상대노드인 노드 C(104)와 연결되는 워킹라인(106)에 접속되어 노드 C(104)로부터 워킹라인(106)으로 수신되는 광신호를 증폭한다. 제1링 스위치(202)는 광 스위치로서 워킹 전치 증폭기(200)의 출력라인과 노드 C(104)와 연결되는 보호라인(108)에 접속된다. 이러한 제1링 스위치(202)는 워킹 전치 증폭기(200)의 출력라인을 상황에 따라 파장 분할 역다중화기(204)에 연결하거나 노드 C(104)와 연결된 보호라인(108)으로 브리지시키는데, 보호 절체시에 보호라인(108)으로 브리지시킨다. 파장 분할 역다중화기(204)는 제1링 스위치(202)를 통한 워킹라인으로 수신되는 광신호를 파장 분할 역다중화하여 파장별로 분리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신호들은 하위 시스템(도시하지 않았음)으로 분기되거나 통과되는데, 통과되는 신호는 채널 모듈레이터(206)로 인가된다. 도 1에서는 파장 분할 역다중화기(204)의 출력중에 1개의 신호가 분기되는 예를 보인다. 채널 모듈레이터(206)는 파장 분할 역다중화기(204)에 의해 분리된 신호들중에 분기되지 않고 또다른 상대노드인 노드 B(102)로 통과될 신호와 새로이 결합될 신호를 각기 다르게 설정된 파장으로 분리한다. 여기서 도 1에서는 1개의 신호가 결합되는 예를 보인다. 파장 분할 다중화기(208)는 채널 모듈레이터(2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1개의 광 파이버에 파장 분할 다중화하여 결합한다. 제2링 스위치(210)는 광 스위치를 사용하며 파장 분할 다중화기(208)의 출력 워킹라인과 워킹 부스터 증폭기(212)와 스팬 스위치(214)를 통해 노드 B(102)와 연결되는 보호라인에 접속된다. 이러한 제2링 스위치(210)는 파장 분할 다중화기(208)의 출력라인을 상황에 따라 워킹 부스터 증폭기(212)에 연결하거나 보호 부스터 증폭기(216)에 연결된 보호라인으로 브리지시키는데, 보호 절체시에 보호라인으로 브리지시킨다. 워킹 부스터 증폭기(214)는 EDFA를 사용하며 제2링 스위치(210)를 통한 워킹라인의 광신호를 증폭하여 노드 B(102)와 연결되는 워킹라인으로 전송한다. 스팬 스위치(214)는 워킹 부스터 증폭기(212)의 출력측에 접속되며 제2ADM(116)의 보호라인에 접속되어 통상적인 BLSR/4의 스팬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스팬 스위치(214)는 보호 절체시 워킹 부스터 증폭기(212)의 출력 워킹라인을 제2ADM(116)의 보호라인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스팬 스위치(214)에 의한 스팬 스위칭에 따른 경로를 참조부호 L을 부여하여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스팬 보호 기능은 나머지 노드에서도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보호 부스터 증폭기(216)는 EDFA를 사용하며 제2링 스위치(210)를 통한 보호라인의 광신호를 증폭하여 제1링 스위치(202)를 통하는 보호라인에 인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 1의 BLSR/4 망은 상술한 제1ADM(1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워킹 경로와 보호 경로에 대해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다. 즉, 워킹라인에 대하여는 통상적인 BLSR/4 기능에 따른 분기결합 다중화를 하게 되나, 보호라인에 대하여는 1개의 EDFA인 보호 부스터 증폭기(216)만을 사용한 광 증폭에 의한 중계(repeater) 기능만을 하게 된다.
상기한 도 1에서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워킹라인(106,110)이 워킹 트래픽으로 그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과되거나 결합된 트래픽, 예를 들어 SDH 2.5Gbps 트래픽은 각각 채널 모듈레이터(206)를 통해 각기 다른 특정한 파장으로 분리된다. 각각이 특정한 파장으로 분리된 신호는 파장 분할 다중화기(208)를 통해 하나의 광 파이버내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다중화된 광신호는 제2링 스위치(210)를 통해 통과되거나 브리지된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정상상태에서는 통과된다. 제2링 스위치(210)에서 통과된 파장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는 워킹 부스터 증폭기(212)를 통해 광증폭되어 노드 B(102)로 전송된다. 그리고 노드 B(102)에서는 이와 같이 노드 A(100)로부터 전송되어오는 파장 분할 다중화된 신호를 수신하여 워킹 전치 증폭기(400)를 통해 광증폭한다. 이와 같이 광증폭된 신호는 제1링 스위치(402)를 통과하여 파장 분할 역다중화기(404)에서 파장분할 역다중화됨으로써 각각의 파장별로 분리되어 분기되거나 통과된다.
도 2는 상기한 도 1의 노드 A(100)와 노드 B(102) 간의 광 케이블이 절단(cut)된 경우의 절체 상태도를 보인 것이다. 즉, 도 2는 상기한 도 1의 정상상태에서 노드 A(100)와 노드 B(102) 간의 광 케이블이 절단된 경우를 보인 것으로, 절단된 인접 노드에서 절체과정이 이루어진다. 먼저 파장분할 다중화기(208)를 거쳐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는 제2링 스위치(210)를 통해 브리지가 이루어져 워킹 부스터 증폭기(212)와 보호 부스터 증폭기(216)로 동시에 인가된다. 보호 부스터 증폭기(216)는 이와 같이 인가되는 광신호를 광증폭하여 인접 노드인 노드 C(104)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링 스위치에서 절체가 이루어지지 않은 노드인 노드 C(104)에서는 보호라인으로 통과 및 광증폭만을 하여 다음 노드인 노드 B(102)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달리 링 스위치에서 절체가 이루어진 노드인 노드 B(102)에서는 보호라인으로 들어온 신호를 제1링 스위치(402)에 의해 워킹라인으로 바꿔준다. 워킹라인으로 옮겨진 신호는 파장 분할 역다중화기(404)를 통해 파장 분할 역다중화되어 파장별로 분리되고 분리된 신호는 분기되어 하위 시스템으로 전송되거나 통과되어 채널 모듈레이터(406)로 연결된다. 이때 도 2에서는 모두 분기되는 예를 보인다. 이후의 광 경로는 상기한 정상상태의 광 경로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며 진행한다.
따라서 워킹라인에 대하여는 통상적인 BLSR/4 기능에 따른 분기결합 다중화를 하게 되나, 보호라인에 대하여는 1개의 광증폭기만을 사용한 광 증폭에 의한 중계 기능만을 하게 됨으로써 보호 절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광/전-전/광 변환이 필요없게 된다. 이에따라 회로의 설계에 있어서 간편하며 경비면에서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현재 상황에서 볼 때 3R 채널 변환기를 사용하여 광/전-전/광 변환을 하는 경우에 비해 대략 30∼40% 이의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정해지는 노드의 수는 광/전-전/광 변환없이 도달할 수 있는 EDFA의 개수에 의존하는데, 현재는 노드간 거리를 80㎞로 하여 최대 8개의 노드를 수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8개 노드마다 보호라인에 3R방식의 중계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SDH 급처럼 많은 노드의 링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호라인에 대해 워킹라인과 달리 광증폭에 의한 중계 기능만함으로써 보호 절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광/전-전/광 변환이 필요없게 되므로 회로의 설계나 경비면에서 간편하며 효율적인 잇점이 있다.

Claims (3)

  1. 노드들간에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가 전송되는 2쌍의 워킹라인 및 보호라인으로 연결되는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에 있어서,
    상기 노드들 각각이 상기 2쌍 중 1쌍씩의 워킹라인 및 보호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제1,제2 분기결합 다중화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제2분기결합 다중화기 각각이, 상기 워킹라인에 대하여는 상기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기능에 따른 분기결합 다중화를 하며, 상기 보호라인에 대하여는 광 증폭에 의한 중계 기능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분기결합 다중화기 각각이,
    상기 노드들중 상대노드와 연결되는 워킹라인에 접속되어 상대 노드로부터 상기 워킹라인으로 수신되는 광신호를 증폭하는 워킹 전치 증폭기와,
    상기 워킹 전치 증폭기의 출력라인과 상기 상대노드와 연결되는 보호라인에 접속되며 보호 절체시 상기 워킹 전치 증폭기의 출력라인을 상기 보호라인으로 브리지시키는 제1링 스위치와,
    상기 제1링 스위치를 통한 워킹라인으로 수신되는 광신호를 파장 분할 역다중화하여 파장별로 분리하는 파장 분할 역다중화기와,
    상기 파장 분할 역다중화기에 의해 분리된 신호들중에 분기되지 않고 상기 노드들중 또다른 상대노드로 통과될 신호와 새로이 결합될 신호를 각기 다르게 설정된 파장으로 분리하는 채널 모듈레이터와,
    상기 채널 모듈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파장 분할 다중화하여 결합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기와,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기의 출력 워킹라인과 상기 또다른 상대노드와 연결되는 보호라인에 접속되며 보호 절체시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기의 출력라인을 상기 보호라인으로 브리지시키는 제2링 스위치와,
    상기 제2링 스위치를 통한 워킹라인의 광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또다른 상대노드와 연결되는 워킹라인으로 전송하는 워킹 부스터 증폭기와,
    상기 제2링 스위치를 통한 보호라인의 광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1링 스위치를 통하는 보호라인에 인가하는 보호 부스터 증폭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 부스터 증폭기의 출력측과 상기 제1,제2분기결합 다중화기중에 상대측 분기결합 다중화기의 보호라인에 접속되는 스팬 스위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KR1019980061037A 1998-12-30 1998-12-30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Withdrawn KR20000044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037A KR20000044538A (ko) 1998-12-30 1998-12-30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CN99118615A CN1258969A (zh) 1998-12-30 1999-08-30 波分复用系统中4光纤双向线路交换环网络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037A KR20000044538A (ko) 1998-12-30 1998-12-30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538A true KR20000044538A (ko) 2000-07-15

Family

ID=1956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037A Withdrawn KR20000044538A (ko) 1998-12-30 1998-12-30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00044538A (ko)
CN (1) CN12589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426B1 (ko) * 2000-10-04 2002-07-03 윤덕용 파장분할 다중방식 환형 광통신망의 장애수리후 복귀방법
KR100411734B1 (ko) * 2001-02-12 2003-12-18 한국과학기술원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메트로망
KR100617752B1 (ko) * 2004-11-17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메트로-가입자 망
KR100703825B1 (ko) * 2005-12-08 2007-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한된 파장 변환 범위를 갖는 3r 파장 변환기를 이용한파장 할당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7073B2 (ja) * 2001-04-11 2008-10-15 トランスモード ホールディング エービー 光アド/ドロップノード及び光wdmネットワーク
CN100346588C (zh) * 2001-10-29 2007-10-31 上海贝尔有限公司 用于波分复用光网的双纤双向通道/复用段倒换环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426B1 (ko) * 2000-10-04 2002-07-03 윤덕용 파장분할 다중방식 환형 광통신망의 장애수리후 복귀방법
KR100411734B1 (ko) * 2001-02-12 2003-12-18 한국과학기술원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환형메트로망
KR100617752B1 (ko) * 2004-11-17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메트로-가입자 망
KR100703825B1 (ko) * 2005-12-08 2007-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한된 파장 변환 범위를 갖는 3r 파장 변환기를 이용한파장 할당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8969A (zh)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7670B1 (en) Optical add/drop arrangement for ring networks employing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CA2164778C (en) Ring network communication structure on an optical carrier and reconfigurable node for said structure
JP3175630B2 (ja) 光通信用ノード及びこれにより構成されるリング構成の波長分割多重光伝送装置
US64004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arent optical communication with two-fiber bidirectional ring with autoprotection and management of low priority traffic
CN101895463B (zh) 混合波分复用/时分复用无源光网络实现网络可重构性的系统和方法
JP2004112763A (ja) 波長分割多重方式手動型光加入者網システム(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passiveopticalnetwork)
JP5092895B2 (ja) 光通信装置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EP1069720A2 (en) Communications systems
WO1999065165A1 (en) An add and drop node for an optical wdm network having traffic only between adjacent nodes
US69681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fully utilizing available optical transmission spectrum in optical networks
US118705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herent optical multiplexing 1+1 protection
Wagner et al. Multiwavelength ring networks for switch consolidation and interconnection
KR100594095B1 (ko) 양방향 파장분할 다중방식 애드/드롭 자기치유 허브형환형망
KR20000044538A (ko)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4선식 양방향선로 절체링 망
CN1852070B (zh) 四纤双向复用段专用保护光纤环网
KR100317133B1 (ko) 양방향애드/드롭다중화기를구비한양방향파장분할다중방식자기치유광통신망
EP09280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arent optical communication with two-fiber bidirectional ring with autoprotection and management of low priority traffic
KR100498931B1 (ko) 양방향 파장분할다중방식 자기치유 광통신망
Cisco Chapter 6, DWDM
US6616348B1 (en) Method and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for bidirectional protection protocols
JP2012511277A (ja) 双方向波長分割多重化のための波長変換構成及び方法
KR100434454B1 (ko) 데이지 체인 파장 분할 다중화 디바이스와 이를 사용한데이지 체인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 및 전송 네트워크
KR100908239B1 (ko) 채널 통과/결합 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oadm노드에서의 채널 통과/결합 방법
KR20130017821A (ko)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의 단심 환형망에서의 보호복구 절체 장치
JP2001044936A (ja) 光通信用ノード及びこれにより構成されるリング構成の波長多重光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