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43409A -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3409A
KR20000043409A KR1019980059788A KR19980059788A KR20000043409A KR 20000043409 A KR20000043409 A KR 20000043409A KR 1019980059788 A KR1019980059788 A KR 1019980059788A KR 19980059788 A KR19980059788 A KR 19980059788A KR 20000043409 A KR20000043409 A KR 20000043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nsing
water supply
reached
puls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주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9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3409A/ko
Publication of KR2000004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340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에서의 급수헹굼시 세탁수의 불필요한 오버플로우를 최대한으로 줄이면서 급수헹굼 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는 물 절약 급수헹굼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급수헹굼 진행중 해당 회차 헹굼종료 전 임의의 설정시간(1분 정도) 도달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설정시간 도달이 판단되면 펄세이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고수위까지 재급수를 실행하는 제2단계와, 재급수에 의해 고수위에 도달하면 계속 급수와 동시에 펄세이터를 구동하는 제3단계와, 헹굼완료시간에 도달하면 급수헹굼 동작을 정지하고 배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급수헹굼 세탁동작중 세탁수를 절약하면서 세탁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본 발명은 세탁기에서의 급수헹굼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수헹굼시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키면서 세탁수의 불필요한 오버플로우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세탁기의 물 절약 급수헹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행정중 헹굼모드는 세탁모드 실행 완료후 세탁물에 남아 있는 세제를 빼내기 위한 모드로서 그 헹굼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급수헹굼을 선택할 수 있다.
급수헹굼은 세탁물의 헹굼시 해당 세탁물에 의해 결정되는 설정수위에 무관하게 급수량이 최고수위를 지나 오버플로우하도록 함으로써, 세탁모드 또는 헹굼모드의 실행에 의해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보프라기 등의 부유물이 세탁조를 오버플로우되는 세탁수를 따라 배출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세탁행정중 헹굼 동작 모드의 실행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세탁모드 실행단계와 배수모드 실행단계에 이어 헹굼모드 실행단계에 이르면 급수헹굼이 선택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급수헹굼 선택여부 판단단계에서 급수헹굼 모드이면 급수헹굼 서브루틴(SUB1)을 실행하고 급수헹굼 모드가 아니면 일반헹굼 서브루틴(SUB2)을 실행한다.
급수헹굼 서브루틴(SUB1)에서는 급수를 실행하여 설정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를 계속하면서 펄세이터를 구동한다. 따라서 설정급수수위가 고수위가 아닌 경우에는 고수위를 지나 오버플로우가 일어나기 전까지 부유물 배출을 위한 실질적인 급수헹굼 효과는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후 급수헹굼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배수동작에 이어 현재의 헹굼횟수가 사전에 설정한 헹굼횟수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횟수에 도달하였으면 급수헹굼 동작을 종료하고 아직 설정 헹굼횟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헹굼횟수의 1 증가후 상기의 급수헹굼 서브루틴을 재실행하게 된다.
일반헹굼 서브루틴(SUB2)에서는 급수를 실행하여 설정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를 중단하고 펄세이터를 구동한다. 이때에는 세탁물에서 발생된 부유물의 원활한 배출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이후 일반헹굼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배수동작에 이어 현재의 헹굼횟수가 사전에 설정한 헹굼횟수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횟수에 도달하였으면 일반헹굼 동작을 종료하고 아직 설정 헹굼횟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헹굼횟수의 1 증가후 상기의 일반헹굼 서브루틴을 재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급수헹굼은 세탁 및 헹굼효율의 향상을 가져오는 잇점 외에 세탁수가 대량으로 소비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급수헹굼 동작에서 설정된 급수수위가 낮은 수위인 경우라면, 펄세이터가 구동하게 되는 급수 설정수위로부터 고수위를 지나 세탁수의 오버플로우가 일어나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급수 수압이 약하거나 헹굼시간 설정을 짧게 가져가는 경우에는 세탁수의 오버플로우를 이용한 세탁 부유물의 배출동작을 실행하지 못한 상태에서 급수헹굼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헹굼의 효과는 전혀 얻을 수 없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에서의 급수헹굼시 세탁수의 불필요한 오버플로우를 최대한으로 줄이면서 급수헹굼 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급수헹굼 모드에서 세탁물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설정수위가 다른 경우라도 항상 일정한 급수헹굼효과를 얻어지도록 하기 위한 물 절약 급수헹굼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급수헹굼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세탁기 제어회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급수헹굼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컴 11 : 수위센서
12 : 세탁프로그램입력부 13 : 메모리
14 : 타이머 15 : 급수밸브
16 : 배수밸브 17 : 디스플레이
18 : 펄세이터 구동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급수헹굼 진행중 해당 회차 헹굼종료 전 임의의 설정시간 도달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설정시간 도달이 판단되면 펄세이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고수위까지 재급수를 실행하는 제2단계와, 재급수에 의해 고수위에 도달하면 계속 급수와 동시에 펄세이터를 구동하는 제3단계와, 헹굼완료시간에 도달하면 급수헹굼 동작을 정지하고 배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헹굼 제어를 위한 세탁기 제어회로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 및 세탁 프로그램 입력부(12)에 의한 세탁기 사용자의 설정값 데이터에 따라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0)에는 수위센서(11)에 의한 수위감지 신호가 입력되게 연결한다.
상기 마이컴(10)의 출력에 의해서는 펄세이터 구동모터(18)와 급수밸브(15)와 배수밸브(16)가 선택적으로 제어되게 연결하고, 또한 세탁행정에 관련된 각종 세탁정보가 디스플레이(17)상에 표시되게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마이컴(10)에는 급수 및 배수시간, 세탁시간, 탈수시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3)와 세탁 과정별 시간을 카운트하고 현재시각 정보를 발생하는 타이머(14)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 제어회로의 하드웨어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급수헹굼 제어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기 사용자가 세탁조에 세탁물을 넣고 세탁모드 및 탈수시간 등을 선택한 다음 스타트 버튼을 누르게 되면 로드셀(도시생략)은 건조상태의 세탁물의 중량을 검출하여 마이컴(10)에 입력한다. 이에 기초하여 마이컴(10)은 수위센서(11)가 검출할 수위를 결정하고 급수밸브(15)를 열어 세탁조에 급수를 실행하고 세탁시간에 관련된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17)에 표시한다.
상기 수위센서(11)에 의해 결정된 수위까지 급수가 완료된 후에는 펄세이터가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기 시작하여 세탁 프로그램 입력부(12)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세탁모드를 진행하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세탁모드의 진행이 완료되면 마이컴(10)은 배수 밸브를 작동시켜 세탁수를 배수시킨다.
배수완료 후 헹굼모드이면 마이컴(10)은 급수헹굼인가 또는 일반헹굼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급수헹굼이 설정되어 있으면 급수헹굼 서브루틴(SUB3)을 수행하고 급수헹굼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헹굼 서브루틴(SUB2)을 수행한다.
일반 헹굼 서브루틴(SUB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급수를 실행하여 설정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를 중단한과 동시에 펄세이터를 구동하고, 이후 일반헹굼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배수동작에 이어 현재의 헹굼횟수가 사전에 설정한 헹굼횟수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횟수에 도달하였으면 일반헹굼 동작을 종료하고 아직 설정 헹굼횟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헹굼횟수의 1 증가후 상기의 일반헹굼 서브루틴을 재실행하는 것으로 설정된 횟수까지 헹굼동작을 완료하고 종료한다.
그러나 급수헹굼 여부 판단단계에서 급수헹굼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마이컴(10)은 급수밸브(15)를 열어 설정수위까지 급수를 진행한다.
이후 수위센서(11)에 의해 설정수위가 감지되면 마이컴(10)은 급수밸브(15)를 제어하여 급수를 중단하고 동시에 펄세이터 구동모터(18)를 제어하여 펄세이터를 구동시킨다.
펄세이터의 구동으로 헹굼세탁을 하는 도중에 마이컴은 해당회차의 헹굼이 종료되기전 임의의 설정시간( 일예로 1분으로 설정할 수 있음)에 도달하였음이 판단되면 펄세이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급수밸브(15)를 열어 재급수가 이루어지게 한다.
재급수에 의해 수위가 고수위에 이르게되면 마이컴은 계속 급수상태를 유지하면서 펄세이터를 재구동한다.
이렇게 헹굼완료전 임의의 설정시간동안(약 1분정도)에 오버플로우 상태로 헹굼세탁을 실행한 후 헹굼완료 시간에 이르게 되면 배수모드로 들어간다.
상기 과정에서 배수가 완료된 다음에는 마이컴은 현재까지의 급수헹굼 횟수가 헹굼세탁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 설정값에 도달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여 아직 설정횟수에 이르지 않았으면 헹굼횟수에 1을 가산하고 다시 급수헹굼 시작을 위한 급수단계를 실행하고, 현재 완료된 급수헹굼 횟수가 설정횟수이면 헹굼모드를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급수헹굼 제어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세탁단계와 배수단계를 거쳐 헹굼단계에 이르면 해당 헹굼모드가 급수헹굼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단계에서 급수헹굼 모드가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헹굼 서브루틴을 통하여 헹굼을 수행하고 급수헹굼 모드이면 다음의 급수헹굼 서브루틴을 수행한다.
상기의 급수헹굼 서브루틴은 먼저 급수를 진행하여 해당 세탁물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설정수위까지 급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의 급수에 의해 세탁조의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급수를 중단하고 헹굼동작을 위해 펄세이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에서의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한 헹굼모드 수행중 해당회차 헹굼종료전 임의의 설정시간(1분 정도)에 도달하게 되면 펄세이터를 정지하고 재급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에 의한 재급수결과 고수위에 이르게되면 급수를 계속 유지시키는 조건에서 펄세이터를 재구동시켜 세탁물에서 발생된 보프라기나 부유물을 고수위 초과 급수에 의한 오버플로우를 따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잔여 설정시간 동안 급수헹굼을 수행하여 해당 회차의 헹굼시간이 완료되고나면 배수단계를 수행하고, 이어서 현재의 급수헹굼 횟수와 설정 급수헹굼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급수헹굼 횟수의 판단결과 현재의 급수헹굼 횟수가 설정횟수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면 헹굼횟수에 1을 가산한 후 다시 설정수위까지 급수하는 단계로 가서 일련의 급수헹굼 모드를 반복 수행하고, 이렇게 하여 급수헹굼 모드가 설정횟수에 도달하게되면 급수헹굼 모드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급수헹굼시 급수헹굼 모드의 전반부에서는 설정된 수위에서 오버플로우 급수없이 충분히 세탁물을 헹굼하고 급수헹굼 후반부에서는 고수위를 지나 급수헹굼을 수행함으로써,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키면서 세탁수의 불필요한 오버플로우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Claims (1)

  1. 급수헹굼 진행중 해당 회차 헹굼종료 전 임의의 설정시간 도달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설정시간 도달이 판단되면 펄세이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고수위까지 재급수를 실행하는 제2단계와, 재급수에 의해 고수위에 도달하면 계속 급수와 동시에 펄세이터를 구동하는 제3단계와, 헹굼완료시간에 도달하면 급수헹굼 동작을 정지하고 배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KR1019980059788A 1998-12-29 1998-12-29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Ceased KR20000043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788A KR20000043409A (ko) 1998-12-29 1998-12-29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788A KR20000043409A (ko) 1998-12-29 1998-12-29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409A true KR20000043409A (ko) 2000-07-15

Family

ID=1956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788A Ceased KR20000043409A (ko) 1998-12-29 1998-12-29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340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914B1 (ko) * 2008-06-20 2015-0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방법
WO2018066970A1 (ko) * 2016-10-05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18066971A1 (ko) * 2016-10-05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10607640A (zh) * 2019-05-20 2019-12-24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洗衣机漂洗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704A (ko) * 1992-11-03 1994-06-21 이헌조 세탁기의 주수 헹굼 제어 장치
KR950018841A (ko) * 1993-12-31 1995-07-22 배순훈 세탁기의 헹굼방법
KR960001308A (ko) * 1994-06-14 1996-01-25 김광호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시 세탁수 위에 뜨는 부유물 제거가 가능한 세탁 방법
KR960014485A (ko) * 1994-10-10 1996-05-22 이헌조 전자동 세탁기의 헹굼수위 자동제어방법
KR19980077923A (ko) * 1997-04-24 1998-11-16 배순훈 세탁기의 헹굼방법
KR19990034397A (ko) * 1997-10-29 1999-05-15 전주범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704A (ko) * 1992-11-03 1994-06-21 이헌조 세탁기의 주수 헹굼 제어 장치
KR950018841A (ko) * 1993-12-31 1995-07-22 배순훈 세탁기의 헹굼방법
KR960001308A (ko) * 1994-06-14 1996-01-25 김광호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시 세탁수 위에 뜨는 부유물 제거가 가능한 세탁 방법
KR960014485A (ko) * 1994-10-10 1996-05-22 이헌조 전자동 세탁기의 헹굼수위 자동제어방법
KR19980077923A (ko) * 1997-04-24 1998-11-16 배순훈 세탁기의 헹굼방법
KR19990034397A (ko) * 1997-10-29 1999-05-15 전주범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914B1 (ko) * 2008-06-20 2015-0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방법
WO2018066970A1 (ko) * 2016-10-05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18066971A1 (ko) * 2016-10-05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AU2017338584B2 (en) * 2016-10-05 2020-06-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AU2017338583B2 (en) * 2016-10-05 2020-10-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AU2017338583C1 (en) * 2016-10-05 2021-0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US11230804B2 (en) 2016-10-05 2022-01-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US11332868B2 (en) 2016-10-05 2022-05-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CN110607640A (zh) * 2019-05-20 2019-12-24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洗衣机漂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5136643A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ней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пены
JPH08257285A (ja) 洗濯機における洗濯時間の補償方法
KR20000043409A (ko)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JP2834496B2 (ja) 洗濯機の制御装置
CN112663281B (zh) 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和洗衣机
US200801898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of Washing Machine
KR0163518B1 (ko) 세탁기의 수위결정방법
KR940008604B1 (ko) 세탁조의 이물질 제거방법
KR100211240B1 (ko)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시간 단축방법
JPS6324990A (ja) 洗濯機
KR100412046B1 (ko) 절수 헹굼 제어방법
KR100210195B1 (ko) 세탁기의 유연제 투입방법
KR100224453B1 (ko) 세탁기의 헹굼제어방법
KR20000043387A (ko) 전자동 세탁 제어방법
KR20000043411A (ko) 전자동 세탁기의 풀물헹굼 제어방법
JP3739156B2 (ja) 全自動洗濯機
KR970011959B1 (ko)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JPH0420391A (ja) 洗濯機
KR20000043403A (ko) 세제 급속용해를 위한 세탁 제어방법
JPH0417077B2 (ko)
JPS6324989A (ja) 洗濯機
JPH06170082A (ja) 洗濯機
KR940008627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9980016224A (ko) 세탁기의 헹굼방법
JPH1085478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1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9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