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42720A - 카세트 테이프 덱크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이프 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2720A
KR20000042720A KR1019980058997A KR19980058997A KR20000042720A KR 20000042720 A KR20000042720 A KR 20000042720A KR 1019980058997 A KR1019980058997 A KR 1019980058997A KR 19980058997 A KR19980058997 A KR 19980058997A KR 20000042720 A KR20000042720 A KR 20000042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chassis
pin
fixing member
de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2720A/ko
Publication of KR2000004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72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3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 G11B33/124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of the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e.g. disk drive, onto a chassi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덱크의 기능 전환을 위한 플레이트를 메인섀시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또 메인 섀시와 플레이트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킨 카세트 테이프 덱크가 게시된다. 상기 덱크는 메인 섀시, 메인 섀시에 설치되어 직선왕복운동되는 모드 플레이트, 상기 모드 플레이트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메인 섀시에 일체로 마련된 핀에 힌지가능하게 관통되어 설치된 제1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카세트 테이프 덱크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를 관통한 핀의 부위에는, 핀과 인접하는 메인 섀시의 부위를 제1플레이트측으로 당겨서 핀과 인접하는 제1플레이트와 메인 섀시의 부위가 상호 접촉되게 함과 동시에, 핀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제1플레이트부위를 메인 섀시측으로 눌러서 핀과 인접하지 않는 제1플레이트와 메인 섀시의 부위가 상호 접촉되게 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덱크는 탄성을 가진 고정부재를 약간 눌러서 핀의 걸림홈에 결합시키면 되므로, 제1플레이트를 메인 섀시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또, 고정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핀과 인접한 제1플레이트와 메인 섀시의 부위 및 핀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제1플레이트와 메인 섀시의 부위기 상호 견고하게 접촉되므로, 덜거덕거리는 소리가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카세트 테이프 덱크
본 발명은 카세트 테이프 덱크에 관한 것으로, 덱크의 기능 전환을 위한 플레이트를 메인섀시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또 메인 섀시와 플레이트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킨 카세트 테이프 덱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세트 테이프 덱크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덱크의 저면도로서, 하부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이에 도시하듯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의 스위치를 누르면, 마이컴(미도시)은 그 기능에 적절하도록 메인 섀시(10)의 상면에 설치된 서브 모타(11)를 제어한다. 그러면, 서브 모타(11)에 의하여 메인 섀시(10)의 저면에 마련된 모드 플레이트(12)가 직선왕복운동한다. 모드 플레이트(12)는 힌지가능하게 회전되도록 메인 섀시(10)에 설치된 제1플레이트(13)를 회전시키고, 제1플레이트(13)는 메인 섀시(10)의 상면에 마련된 제2플레이트(14)를 직선왕복운동시킨다. 제2플레이트(14)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메인 섀시(10)와 플라이휠(15) 사이에 각각 마련된 제1기어(16)중 어느 하나는 선택적으로 릴기어(17)중 어느 하나와 맞물린다. 제1기어(16)는 플라이 휠(15)과 동일하게 회전되고, 플라이 휠(15)은 메인 모타(18)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덱크는 메인 섀시(10)에 결합된 핀(10a)이 제1플레이트(13)를 관통하고, 제1플레이트(13)를 관통한 핀(10a)의 단부에 와셔(10b)가 끼워지므로 인하여, 메인 섀시(10)와 제1플레이트(13)가 결합된다.
이때, 메인 섀시(10)와 제1플레이트(13)가 견고하게 접촉되어 있어야만 덜커덕 거리는 소리가 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1플레이트(13)를 메인 섀시(10) 측으로 눌러서 제1플레이트(13)를 메인 섀시(10)에 밀착시킨 후, 와셔(10b)를 핀(10a)에 끼워야 하므로, 그 조립공정이 까다롭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플레이트와 메인 섀시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제1플레이트와 메인 섀시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플레이트와 메인 섀시 사이에서 발생되는 덜커덕거리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카세트 테이프 덱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덱크의 저면도로서, 하부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덱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도로서, 하부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부를 "P"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6a 내지 6c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가 메인 섀시에 결합되는 것을 보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메인 섀시, 113:핀, 143:제1플레이트,
160:고정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 섀시, 메인 섀시에 설치되어 직선왕복운동되는 모드 플레이트, 상기 모드 플레이트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메인 섀시에 일체로 마련된 핀에 힌지가능하게 관통되어 설치된 제1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카세트 테이프 덱크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를 관통한 핀의 부위에는, 핀과 인접하는 메인 섀시의 부위를 제1플레이트측으로 당겨서 핀과 인접하는 제1플레이트와 메인 섀시의 부위가 상호 접촉되게 함과 동시에, 핀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제1플레이트부위를 메인 섀시측으로 눌러서 핀과 인접하지 않는 제1플레이트와 메인 섀시의 부위가 상호 접촉되게 하는 수단이 마련된 구성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덱크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덱크의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덱크(100)는 메인 섀시(110)와 헤드플레이트(113)와 하부플레이트(미도시)와 외부케이스(미도시)를 가진다. 외부케이스(미도시)에 마련된 각종 스위치를 누르면 그 스위치의 기능에 적절하도록 마이컴(미도시)이 메인 모타(121)와 서브 모타(123)를 제어한다.
메인 모타(121)와 서브 모타(123)에 의하여 동작되는 각종 요소들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저면도로서, 하부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메인 모타(121)가 회전되면, 벨트(131)가 메인 모타(121)의 회전력을 플라이 휠(123)로 전달하고, 이로인해 제1기어(125)가 회전된다. 플라이 휠(123)은 한쌍(123a,123b)으로 마련되고, 제1기어(125)도 한쌍(125a,125b)으로 마련되어, 플라이 휠(123)과 메인 섀시(110)의 저면 사이에 하나씩 설치된다. 제1기어(125)는 후술할 한쌍의 릴기어(147)에 선택적으로 맞물려서 릴기어(147)측으로 회전력을 단속한다.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서브 모타(123)가 회전되면, 그 때의 상황에 적절하도록 모드 플레이트(141)가 직선으로 운동한다. 모드 플레이트(141)는 재생, 되감기, 빨리감기, 테이프 인출 등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직선왕복운동된다. 모드 플레이트(141)의 직선운동함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143)가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메인 섀시(110)에 일체로 형성된 핀(113)에 제1플레이트(143)가 힌지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모드 플레이트(141)의 일측에 마련된 지지축(141a)에 제1플레이트(143)의 단면(端面)에 형성된 캠(143a)이 접촉된다. 모드 플레이트(141)가 직선왕복운동함에 따라 지지축(141a)과 접촉되는 캠(143a)의 부위는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플레이트(143)는 핀(11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플레이트(143)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는 제2플레이트(145)가 메인 섀시(110)의 상면에 설치된다. 제2플레이트(145)는 직선운동하면서, 제1기어(125)가 릴기어(147)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기어(125) 중의 어느 하나(125a)와 릴기어(147) 중의 어느 하나(147a)가 맞물리면, 제1기어(125) 중의 다른 하나(125b)와 릴기어(147) 중의 다른 하나(147b)는 맞물리지 않도록 제1기어(125)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2플레이트(145)에는 스프링(151)의 일단이 결합된다. 스프링(151)의 타단은 제2플레이트(145)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운동되면서, 아암(153)을 운동시킨다. 그러면, 아암(15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감지기어(155)가 릴기어(147)중의 어느 하나와 맞물리면서 릴기어(147)의 회전을 감지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160은 후술할 고정부재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덱크는, 메인 섀시(110)에 제1플레이트(143)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또 메인 섀시(110)와 제1플레이트(143)가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도 4,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부를 "P"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덱크에는, 메인 섀시(110)에 일체로 마련된 핀(113)과 인접하는 메인 섀시(110)의 부위를 제1플레이트(143)측으로 당겨서 핀(113)과 인접하는 제1플레이트(143)와 메인 섀시(110)의 부위가 상호 접촉되게 함과 동시에, 핀(113)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제1플레이트(143) 부위를 메인 섀시(110)측으로 눌러서 핀(113)과 인접하지 않는 제1플레이트(143)와 메인 섀시(110)의 부위가 상호 접촉되게 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수단은, 원호 형상을 가지며 탄성을 가지는 고정부재(160)로 마련된다. 고정부재(160)의 중앙부는 제1플레이트(143)의 관통공(143b)을 관통한 핀(113)에 결합되되, 제1플레이트(143)와 접촉되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부재(160)의 단부는 제1플레이트(143)와 접촉된다. 그러면, 고정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부재(160)의 중앙부는 핀(143)을 제1플레이트(143) 측으로 당기고 고정부재(160)의 단부는 제1플레이트(143)를 메인 섀시(110)측으로 누른다. 이로인해, 핀(143)과 인접하는 메인 섀시(110)와 제1플레이트(143)의 부위는 상호 견고하게 접촉되고, 핀(143)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메인 섀시(110)와 제1플레이트(143)의 부위는 상호 견고하게 접촉되는 것이다.
핀(113)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테 형상의 걸림홈(113a)이 형성되고, 고정부재(160)에는 핀(143)이 출입하는 출입부(161)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60)에는 출입부(161)와 연통되며 핀(113)의 걸림홈(113a)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163)가 마련된다. 또, 고정부재(160)의 일단부에는 제1플레이트(143)에 형성된 결합공(143c)에 결합되는 결합편(165)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홈(113a)과 걸림부(163) 및 결합공(143c)과 결합편(165)에 의하여 고정부재(160)와 제1플레이트(143)와 메인 섀시(110)가 결합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143b는 핀(113)이 관통되는 관통공이다.
고정부재(160)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143)가 메인 섀시(110)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와 같이, 메인 섀시의 핀(113)이 제1플레이트(143)의 관통공(143b)과 고정부재(160)의 출입부(161)를 통과하도록 제1플레이트(143)와 고정부재(160)를 순차적으로 놓는다. 그리고, 도 6b와 같이, 고정부재(160)의 걸림부(163)가 핀(143)의 걸림홈(143a)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60)의 중앙부를 약간 눌러서 고정부재(160)의 걸림부(163)와 핀(143)의 걸림홈(143a)의 위치를 맞춘 후, 고정부재(160)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시킨다. 그러면, 고정부재(160)가 핀(113)에 결합되고, 고정부재(160)의 결합편(165)은 제1플레이트(143)의 결합공(143c)을 지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6c와 같이, 고정부재(160)의 결합편(165)이 제1플레이트(143)의 결합공(143c)에 삽입되도록 고정부재(160)를 결합공(143c)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 덱크는, 탄성을 가진 고정부재를 약간 눌러서 핀의 걸림홈에 결합시키면 되므로, 제1플레이트를 메인 섀시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또, 고정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핀과 인접한 제1플레이트와 메인 섀시의 부위 및 핀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제1플레이트와 메인 섀시의 부위기 상호 견고하게 접촉되므로, 덜거덕거리는 소리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및 개량도 본 발명에 속한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메인 섀시;
    메인 섀시에 설치되어 직선왕복운동되는 모드 플레이트;
    상기 모드 플레이트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메인 섀시에 일체로 마련된 핀에 힌지가능하게 관통되어 설치된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를 관통한 핀의 부위에 마련되어, 핀과 인접하는 메인 섀시의 부위를 제1플레이트측으로 당겨서 핀과 인접하는 제1플레이트와 메인 섀시의 부위가 상호 접촉되게 함과 동시에, 핀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제1플레이트부위를 메인 섀시측으로 눌러서 핀과 인접하지 않는 제1플레이트와 메인 섀시의 부위가 상호 접촉되게 하는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원호 형상을 가지면서 중앙부는 제1플레이트와 접촉되지 않게 핀에 결합되고 단부는 제1플레이트와 접촉되어, 자신의 탄성력에 의하여 중앙부는 핀을 제1플레이트측으로 당기고 단부는 제1플레이트를 메인 섀시측으로 누르는 고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덱크.
  3. 제 2항에 있어서,
    핀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고정부재에는 핀이 출입하는 출입부와 상기 출입부와 연통되어 핀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가 마련되며,
    제1플레이트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핀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편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덱크.
KR1019980058997A 1998-12-26 1998-12-26 카세트 테이프 덱크 Ceased KR20000042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997A KR20000042720A (ko) 1998-12-26 1998-12-26 카세트 테이프 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997A KR20000042720A (ko) 1998-12-26 1998-12-26 카세트 테이프 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720A true KR20000042720A (ko) 2000-07-15

Family

ID=1956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997A Ceased KR20000042720A (ko) 1998-12-26 1998-12-26 카세트 테이프 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2720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7846A (ja) * 1989-10-24 1991-06-12 Clarion Co Ltd プログラムチェンジ機構
JPH05182300A (ja) * 1991-12-26 1993-07-23 Clarion Co Ltd ピンチローラ圧着切換機構
JPH06180910A (ja) * 1991-05-08 1994-06-28 Chiyuunaa Kk カセット式テーププレーヤ
JPH0944936A (ja) * 1995-08-01 1997-02-14 Zero Eng:Kk テーププレーヤのモード切換え装置
JPH09259486A (ja) * 1996-03-22 1997-10-03 Asahi Corp:Kk カセットテープの駆動装置
JPH10334547A (ja) * 1997-05-29 1998-12-18 Sanyo Electric Co Ltd リール台駆動機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7846A (ja) * 1989-10-24 1991-06-12 Clarion Co Ltd プログラムチェンジ機構
JPH06180910A (ja) * 1991-05-08 1994-06-28 Chiyuunaa Kk カセット式テーププレーヤ
JPH05182300A (ja) * 1991-12-26 1993-07-23 Clarion Co Ltd ピンチローラ圧着切換機構
JPH0944936A (ja) * 1995-08-01 1997-02-14 Zero Eng:Kk テーププレーヤのモード切換え装置
JPH09259486A (ja) * 1996-03-22 1997-10-03 Asahi Corp:Kk カセットテープの駆動装置
JPH10334547A (ja) * 1997-05-29 1998-12-18 Sanyo Electric Co Ltd リール台駆動機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7006B2 (en) Operation mechanism for electric apparatus
KR20000042720A (ko) 카세트 테이프 덱크
JP2551199Y2 (ja) スイッチ装置
JPH11144564A (ja) 回転型電気部品の操作機構
US4658421A (en) Telephone set stand
KR0130225Y1 (ko) 카세트레코더의 헤드 및 핀치롤러 구동장치
JPH11276749A (ja) ミシン
KR20020072828A (ko) 힌지장치
KR200171897Y1 (ko) 직선운동 방식의 다기능스위치
JP2767483B2 (ja) コネクタ
KR95000851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로딩장치
JP2743747B2 (ja) 操作釦構造
KR200158384Y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도어 록킹장치
KR0120580Y1 (ko) 노브의 편심 및 변형방지 구조
KR970004887Y1 (ko) 스위치장치
KR900003169Y1 (ko) 캠기어의 캠을 이용한 압착장치
KR100280087B1 (ko) 정속 주행 스위치
JPS60135831U (ja) 磁気テープカセツト装置の切換装置
JP2607560Y2 (ja) スイッチ装置
KR930000491Y1 (ko) 카메라 일체형 브이 씨 알의 펀치로울러 압착장치
JPH073585Y2 (ja) 低挿入力コネクタ
KR200153819Y1 (ko) Vcr의 프론트 pcb패널 조립구조
JP2920067B2 (ja) スイッチ
KR940004318Y1 (ko) 로딩 링을 이용한 브이 씨 알의 핀치로울러 압착장치
JPS5813491Y2 (ja) カセット押えバネ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7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7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