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40757A - Method for editing functions by us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editing functions by us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0757A
KR20000040757A KR1019980056481A KR19980056481A KR20000040757A KR 20000040757 A KR20000040757 A KR 20000040757A KR 1019980056481 A KR1019980056481 A KR 1019980056481A KR 19980056481 A KR19980056481 A KR 19980056481A KR 20000040757 A KR20000040757 A KR 20000040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key
user
execution key
function exec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13139B1 (en
Inventor
윤우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6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139B1/en
Publication of KR20000040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7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139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모드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이전에 설정되어 있던 기능수행을 위한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키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단축키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사용자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편집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전에 설정되어 있는 기능수행을 위한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키와 이를 대신하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단축키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단축키를 상기 이전에 설정되어 있는 기능수행을 위한 다수의 키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단축키가 입력되면 해당 기능으로 진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 provided by a telephon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editing a function by a user in a telephone terminal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enter the functional mode provided by the telephon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n the method of editing a function by the user in the telephone terminal to provide a user editing function to set the user's arbitrarily set a shortcut key in place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keys for performing the previously set function When the user editing function is selected, inputting a function ke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keys for performing the previously set function and a shortcut key arbitrarily set by the user, and a shortcut key arbitrarily set by the user. And register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keys for performing a previously set function, and entering a corresponding function when the registered shortcut key is input.

Description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How to Edit Functions by User in Telephone Terminal

본 발명은 전화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모드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 provided by a telephon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editing a function by a user in a telephone terminal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enter the functional mode provided by the telephone terminal.

통상적으로, 전화단말기들-특히, 휴대폰이라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셀룰라, PCS, CT-2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전화단말기를 사용자가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데, 사용자가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메뉴키가 제공되고, 각 기능에 따른 개별적인 기능키가 프로그램 입력시 미리 세팅되어 있다. 따라서, 전화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화단말기 구입시의 사용설명서에 설명된 기능키들을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숙지하고 있는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키를 직접 입력하여 해당 기능모드로 진입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전화단말기 제조업자들이 제품 가치 및 사용자 편리성을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다 보니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전화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까다롭고 불편하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화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편리한 기능을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이유로 사용하지 않거나 모르는 경우도 발생하였다.Typically, telephone terminals, in particula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cellular, PCS, and CT-2, which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cellular phones, are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s to enable the user to use the telephone terminal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Menu keys are provided to selectively use these various functions, and individual function keys for each function are preset during program input. Therefore, in order to use a specific function, the user using the telephone terminal can use the function keys described in the user's manual at the time of purchase of the telephone terminal, or directly input a function key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that the user is familiar with to ent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e. Could enter. In addition, since each phone terminal manufacturer provides various functions for product value and user convenience, it is difficult, inconvenient, and time consuming in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phone terminal. In some cases, some users do not use or do not know because they are inconvenient to use convenient functions provided by the telephone terminal.

하기의 표 1의 일 예를 들어 종래 전화단말기의 기능 수행의 단점을 설명하면;Referring to the disadvantages of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conventional telephone terminal as an example of Table 1 below;

기능에 따른 키입력 테이블Key input table by function 1차입력Primary input UP/DOWNUP / DOWN 2차입력Secondary input UP/DOWNUP / DOWN 3차입력3rd input UP/DOWNUP / DOWN 4차입력4th input UP/DOWNUP / DOWN 메 뉴menu 1One 벨/진동/크기Bell / vibration / size 1One 벨/진동선택Bell / Vibration Selection 1One bell 22 진동vibration 22 벨/멜로디종류Bell / Melody Type 1One 차임벨Chime 22 군밤타령Gunbam 33 아리랑Arirang ······ ······ 33 벨소리크기Ringtone size 1One 하이Hi 22 노말normal 33 로우low 22 음성다이얼Voice dial ······ ······ ······ ······ ······ ······ ······ ······

상기 표 1은 휴대폰에서 기능에 따른 키입력 테이블로서, 만약 메뉴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휴대폰에서 사용자가 벨소리 하이 볼륨(RINGER HIGH VOLUME)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폰에 미리 세팅되어 있는 벨소리 하이 볼륨을 선택하는 {[메뉴(MENU)]키+[1]키+[다운]키+[다운]키+[3]키+[1]키}를 입력해야 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일 예의 휴대폰에서 벨소리 하이 볼륨을 설정하기 위해서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내용을 본 후 해당 키들을 순차적으로 입력하여야 했다. 그러나, 전화단말기에 설치되는 표시장치(LCD)의 크기 제한으로 인하여 기능에 대한 모든 메뉴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는 없어 업/다운 키를 이용한 메뉴내용 스크롤 기능에 의해 해당 메뉴내용을 검색한 후 상기 표 1과 같이 특정 기능모드로 진입하면 다시 선택된 기능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또다시 업/다운 키를 이용하여 선택된 기능의 서브 기능을 선택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였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해당 기능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폰에 미리 세팅되어 제공하는 다수의 키조합으로 이루어진 키들을 입력해야 했기 때문에 복잡하고 까다로우며, 해당 기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상기 표 1과 같은 기능에 따른 키입력이 필요하다고 할 경우 예를 들어 진입하려고 하는 특정 기능이 2차입력이 10번, 3차입력이 8번, 4차입력이 4번이라고 할 때 상기 키들과 함께 업/다운키의 추가 입력이 많아 사용자는 다수의 키들을 입력시켜야만 하였다. 이밖에, 사용자가 미리 숙지하고 있던 키들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방법으로 메뉴 디스플레이를 통하지 않고 바로 {[메뉴]키+[1]키+[3]키+[1]키}를 입력하여 해당 모드로 진입할 수 있었으나, 이 또한 4자리의 키입력 순서를 사용자가 숙지해야 하므로써 불편하였고, 사용자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한 두 개의 특정 기능만 숙지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기능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메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able 1 is a key input table according to functions in the mobile phone. If the user sets the ringer high volume through the menu display, the user selects a ringer high volume preset in the mobile phone. You must enter the [MENU] key + [1] key + [down] key + [down] key + [3] key + [1] key}. That is, in order to set the ring tone high volume in the mobile phone of the above example, the user had to input the corresponding keys sequentially after viewing the menu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LCD) installed in the telephone terminal, it is not possible to display all the menu contents for the function, so the menu contents can be searched by the menu contents scroll function using the up / down keys. When entering a specific function mode as shown in Fig. 1, the selected function menu was displayed again, and the operation of selecting a sub function of the selected function by using the up / down keys was repeatedly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has to input ke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key combinations preset in the mobile phone in order to ent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e, which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and takes a long time to ent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e. It became. If the key input according to the function as shown in Table 1 is required, for example, the specific function to enter is the secondary input 10 times, the third input 8 times, the fourth input 4 times and the Along with the additional input of up / down keys, the user had to enter multiple keys. In addition, by inputting the keys that the user has already been familiar with in sequence, enter {[Menu] key + [1] key + [3] key + [1] key} directly without going through the menu display. Although it was possible to enter, this was also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 must be familiar with the four-digit key input sequence, and depending on the user, but only one or two specific functions to be familiar with, using the menu display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 problem using i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화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진입할 수 있는 키를 사용자가 새로이 부가하여 편집하여 두고 사용할 수 있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diting a function by a user in a telephone terminal that can be added and edited and used by a user newly to enter a function provided by the telephone terminal to solve the above problem.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전에 설정되어 있던 기능수행을 위한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키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단축키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사용자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편집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전에 설정되어 있는 기능수행을 위한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키와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단축키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단축키를 상기 이전에 설정되어 있는 기능수행을 위한 다수의 키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단축키가 입력되면 해당 기능으로 진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editing function in which a user edits a shortcut key arbitrarily in place of a function ke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keys for performing a function previously set. In the editing method, if the user editing function is selected, the process of inputting a function ke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keys for performing the previously set function and a shortcut key arbitrarily set by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set function, and optionally set by the user And registering a shortcut key a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keys for performing the previously set function, and enter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when the registered shortcut key is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기능 수행키를 사용자에 의해 새 기능 수행키로 등록하기 위한 제어흐름도2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gistering a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as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기능 수행키를 사용자에 의해 새 기능 수행키로 등록하기 위한 제어흐름도3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gistering a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by a user as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모드 진입시에 새 기능 수행키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흐름도4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gistering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when entering a function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새 기능 수행키로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흐름도5 is a control flow diagram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with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edit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specific processing flow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블록구성도로서,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폰의 구성을 설명하면;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제어부(111)는 상기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동작을 제어한다. 듀플렉서(112)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수신부(113)로 출력하며, 무선 송신부(115)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무선 수신부(113)는 데이터 수신시 이를 제어부(111)로 출력하고, 통화모드시 수신되는 무선 음성신호를 음성 처리부(116)로 출력한다. 주파수 합성부(114)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수신 채널에 대응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국부발진신호를 발생시키며, 송신 캐리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 115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 송신부(115)는 통화모드시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음성 처리부(116)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주파수 합성부(114)로부터 수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듀플렉서(112)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116)는 상기 무선 수신부(113)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을 복조하여 스위치부(117)를 통해 스피커 SPK로 출력하며, 마이크 MIC에 의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117)를 통해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코드화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15)로 출력한다.The controller 11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and controls the function editing operation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plexer 112 receives a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T and outputs it to the radio receiver 113, and outputs a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from the radio transmitter 115 through the antenna. The wireless receiver 113 outputs the data to the controller 111 when receiving the data, and outputs the wireless voice signal received in the call mode to the voice processor 116. The frequency synthesizing unit 114 generates a local oscillation signal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in response to the receiving channe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1, and generates a transmission carrier signal and outputs the transmission carrier signal to the wireless transmitter 115. The wireless transmitter 115 synthesizes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processor 116 and a carrier signal received from the frequency synthesizer 11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1 in the call mode. ) The voice processing unit 116 demodulates the coded voice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iving unit 113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SPK through the switch unit 117, and converts the signal converted into an electric voice signal by the microphone MIC. The electronic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nit 117 is coded and output to the wireless transmitter 115.

링거부(118)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링 신호 수신시 링거음을 출력한다. 메모리부(119)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롬과, 각종 전화번호 및 이름 등을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NVM: Non-Volatile Memory)와, 상기 프로그램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처리하는 램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19)에는 제품출하시 미리 세팅되는 각종 기능모드 진입을 위한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수행 키 테이블과,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기능모드 진입을 위한 키가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편집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다.The ringer unit 118 outputs a ringing tone when receiving a ring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1. The memory unit 119 has a built-in program storing control data necessary fo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1, in particular a ROM having a function editing program built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elephone numbers, names, and the like. Non-Volatile Memory (NVM) for storing the data, and RAM for temporarily storing and process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program control.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19 includes a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which i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keys for entering various function modes that are preset at the time of product shipment, and a user edit table in which a key for entering a function mode edited by a user is registered. Equipped.

키입력부(121)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표시부(122)는 예를 들어 LCD(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며,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상태 및 동작과정 등을 표시한다.The key input unit 121 has a key matrix structure (not shown), includes a numeric key for dialing, various function keys, and an editing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key input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a user. A signal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controller 111. The display unit 122 uses, for example,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splays the state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mobile pho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1.

도 2는 상기 도 1과 같은 구성을 이루는 휴대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기능 수행키를 사용자에 의해 새 기능 수행키로 등록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로서,2 is a control flow diagram for registering a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by a user in a mobile phon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먼저, 2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키입력부(121)를 통해 편집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편집키가 입력되지 않고 다른 키가 입력되었으면 20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편집키가 입력되었으면 2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편집모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사용자 편집모드로 전환한다. 이후 2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키입력부(121)를 통해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수행 키를 입력받은 후, 이어 209단계에서 편집할 새 기능 수행키를 입력받는다. 이후 2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입력된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수행 키에 해당하는 기능이 상기 메모리부(119)의 기능수행 키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편집할 새 기능 수행키가 종래 기능 수행키에 이미 등록된 것이거나 사용자 편집테이블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것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편집할 새 기능 수행키가 종래 기능 수행키에 이미 등록된 것이거나 사용자 편집테이블에 이미 등록된 것이면 219단계로 진행하고, 아직 등록되지 않은 것이라면 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111)는 편집할 새 기능 수행키를 종래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수행 키에 대체하여 상기 기능수행 키 테이블의 해당 저장 영역에 등록한 후 225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종래 기능수행 키는 소거된다. 만약 상기 입력된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수행 키에 해당하는 기능이 상기 메모리부(119)의 기능수행 키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111)는 표시부(122)에 에러표시를 한 후 상기 207단계로 리턴하여 이후 과정을 순차적으로 재 수행한다.First, in step 201, the control unit 111 checks whether an edit key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1, and if another key is input instead of the edit key, the control unit 111 proceeds to step 203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If the edit key is inpu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05 to execute the user edit mode program to switch to the user edit mode. Thereafter, in step 207, the control unit 111 receives a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keys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1, and then receives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to be edited in step 209. Subsequently, in step 211, the control unit 111 proceeds to step 215 when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input keys is registered in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of the memory unit 119. Check whether the new function execution key to be executed is already registered in the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or already registered in the user edit table. If the new function execution key to be edited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s already registered in the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or already registered in the user edit tabl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9. If the function is not yet registered, the controller 111 proceeds to step 217. Subsequently, the new function execution key to be edited is replaced with a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keys, and registered in the corresponding storage area of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is erased. If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the inputted plurality of keys is not registered in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of the memory unit 119, the control unit 111 proceeds to step 213 and the display unit 122. ), The error indication is display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07 to repeat the subsequent steps.

상기 2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편집할 새 기능 수행키가 이미 사용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 후, 2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21단계에서 키입력부(121)를 통해 재등록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209단계로 리턴하고, 재등록이 선택되지 않으면 223단계로 진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집기능을 취소한 뒤 22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대기모드로 천이하여 대기모드 상태를 유지한다.In step 219, the control unit 111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to be edited is already in use, and then proceeds to step 221. If re-registration is selec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1 in step 221, the control unit 111 returns to step 209, and if re-registration is not selected, proceeds to step 223 and cancels th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 to step. In step 225, the control unit 111 transitions to the standby mode and maintains the standby mode state.

상기 도 2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능수행 키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벨소리 하이 볼륨 기능에 해당하는 기능 수행키가 예를 들어, {[메뉴]키+[1]키+[3]키+[1]키}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키입력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키+[1]키}로 단축시키려 한다면 {[편집]키+[메뉴]키+[1]키+[3]키+[1]키+[#]+[1]}과 같이 입력하면 이후에는 사용자가 {[#]+[1]}만 입력하면 곧바로 벨소리 하이 볼륨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나 모든 기능들을 소수의 키입력만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If the function execu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ring tone high volume function registered in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is registered, for example, {[Menu] key + [1] key + [3] key + [1] key} Will shorten the {[#] key + [1] key} to simplify keystrokes, the {[Edit] key + [Menu] key + [1] key + [3] key + [1] key + [# ] + [1]}, the user can enter ringtone high volume immediately after the user enters {[#] + [1]}. In this way, the user can enter frequently used functions or all functions with only a few keystrok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3에 도시한 종래의 기능 수행키를 사용자에 의해 새 기능 수행키로 등록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를 통해 설명하면;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control flowchart for registering a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shown in FIG. 3 as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by a user;

상기 도 3에 도시한 301단계에서 309단계는 상기 도 2의 201단계에서 209단계까지의 수행과정에 따른다. 이후 3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입력된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수행 키에 해당하는 기능이 상기 메모리부(119)의 기능수행 키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새 기능 수행키를 상기 메모리부(119)에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 편집테이블에 신규 등록하여 둔다. 이때, 상기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 수행키는 기능수행 키 테이블에서 소거되지 않으며, 이미 상기 사용자 편집테이블에 해당 기능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전에 등록된 키를 삭제한 뒤 새로이 입력된 새 기능 수행키를 등록한다. 만약 상기 입력된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수행 키에 해당하는 기능이 상기 메모리부(119)의 기능수행 키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부(111)는 표시부(122)에 에러표시를 한 후 상기 307단계로 리턴하여 이후 과정을 순차적으로 재 수행한다.Steps 301 to 309 shown in FIG. 3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eps 201 to 209 of FIG. 2. Thereafter, in step 311, the controller 111 proceeds to step 315 when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input keys is registered in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of the memory unit 119. The inputted new function execution key is newly registered in the user editing table provided in the memory unit 119.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keys is not erased from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If a corresponding function is already registered in the user edit table, a new function newly input after deleting a previously registered key Register the execution key. If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the inputted plurality of keys is not registered in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of the memory unit 119, the controller 111 proceeds to step 313 and the control unit 111 displays the display unit 122. ), The error indication is display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307 to sequentially perform the subsequent process.

상기 도 3과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능수행 키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벨소리 하이 볼륨 기능에 해당하는 기능 수행키가 예를 들어, {[메뉴]키+[1]키+[3]키+[1]키}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키입력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키+[1]키}로 단축시키려 한다면 {[편집]키+[메뉴]키+[1]키+[3]키+[1]키+[#]키+[1]키}와 같이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 편집테이블에 상기 벨소리 하이 볼륨 기능 수행키가 상기 {[#]키+[1]키}가 신규로 등록되고, 이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편집테이블에 등록한 {[#]키+[1]키}를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 수행키인 {[메뉴]키+[1]키+[3]키+[1]키}를 입력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벨소리 하이 볼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도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나 모든 기능들을 소수의 키입력만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If the function execu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ring tone high volume function registered in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is registered, for example, {[Menu] key + [1] key + [3] key + [1] key} Will shorten the {[#] key + [1] key} to simplify keystrokes, the {[Edit] key + [Menu] key + [1] key + [3] key + [1] key + [# ] Key + [1] key}, the {[#] key + [1] key} is newly registered to the ringtone high volume function execution key in the user editing table, after which the user edits the user Enter the {[#] key + [1] key} registered in the table, or the {[Menu] key + [1] key + [3] key + [1] key}, which is a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keys} There are two ways to input the ring tone high volume function. In this way, the user can enter frequently used functions or all functions with only a few keystrok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4의 기능모드 진입시에 새 기능 수행키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를 통해 설명한다. 상기 도 4의 제어흐름은 사용자가 메뉴 디스플레이를 통해 진입한 특정 기능을 임의의 단축키로 편집하는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설명하면;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 control flowchart for registering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when entering the function mode of FIG. 4. The control flow of FIG. 4 illustrates a flow in which a user edits a specific function entered through a menu display with an arbitrary shortcut key. To illustrate this;

4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메뉴 디스플레이를 통해 특정 기능 모드에 진입하였으면 4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편집키가 입력되면 407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편집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405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407단계로 진행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키입력부(121)를 통해 편집할 새 기능 수행키를 입력받은 후 409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새 기능 수행키를 사용자 편집테이블에 신규 등록하여 둔다.If the control unit 111 enters a specific function mode through a menu display in step 401, the control unit 111 proceeds to step 403. In step 403, the control unit 111 proceeds to step 407 when an edit key is input, and proceeds to step 405 when the edit key is not input. The control unit 111 proceeds to step 407 and receives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to be edi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1, and then proceeds to step 409 and newly registers the inputted new function execution key in the user edit table. .

상기 도 4의 실시예는 상기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편집할 기능키를 메뉴 디스플레이를 통하지 않고 직접 편집하는 방법과 다르게 메뉴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기능 수행키를 새로운 단축키로 편집하는 방법이다.The embodiment of FIG. 4 is different from the method of directly editing a function key to be edited by a user without a menu display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2 and 3. Way.

상술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새 기능 수행키로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이하의 도 5의 제어흐름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3 and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rol flow of FIG. 5 a method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with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edi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키입력부(121)를 통해 키입력이 있으면 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키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된 키를 검색한다. 그래서 5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입력된 키가 상기 사용자 편집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수행 키인가를 검사하여 상기 사용자 편집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수행 키가 아니면 50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편집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수행 키라면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편집테이블로부터 상기 입력된 키에 설정된 기능을 독출한 후 511단계에서 등록된 기능수행 모드로 진입한다.In step 501, if there is a key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1, the controller 111 proceeds to step 503 and searches for a key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1. Thus, in step 505, the controller 111 checks whether the input key is a function execution key registered in the user edit table, and proceeds to step 507 if the function key is not a function execution key registered in the user edit table. If the function execution key is registered in the user edit tabl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09 and the function set in the input key is read from the user edit table, and then the function execution mode registered in step 511 is entere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전화단말기 중에서 휴대폰에 한정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mobile phone limited to the mobile phone, various modifications are of cours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제공하는 기능 수행키를 사용자 임의로 편집하여 새로운 키로 얼마든지 단축화시킬 수 있어 간단하고 빠르게 전화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dit the function execution key provid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the telephone terminal by arbitrarily editing the user and shorten the new key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telephone terminal can be used simply and quickly. .

Claims (10)

이전에 설정되어 있던 기능수행을 위한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키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단축키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사용자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of editing a function by a user in a telephone terminal that provides a user editing function that the user arbitrarily set a shortcut key in place of a function ke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keys for performing a function previously set, 상기 사용자 편집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전에 설정되어 있는 기능수행을 위한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키와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단축키를 입력하는 과정과,When the user editing function is selected, inputting a function ke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keys for performing the previously set function and a shortcut key arbitrarily set by the user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단축키를 상기 이전에 설정되어 있는 기능수행을 위한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키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등록하는 과정과,Registering a shortcut key arbitrarily set by the user a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ke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keys for performing a previously set function; 상기 등록된 단축키가 입력되면 해당 기능으로 진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Method for editing a function by a user in a telephon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enter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when the registered shortcut key is inpu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전에 등록되어 있는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키에 대응하는 상기 단축키는 상기 전화단말기에 구비되는 사용자 편집테이블의 저장영역에 등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And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a function ke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previously registered keys is registered in a storage area of a user edit table provided in the telephone terminal. 이전에 설정되어 있던 기능수행을 위한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키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단축한 키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사용자 편집기능을 제공하며, 기능수행 키 테이블과 편집키를 구비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에 있어서,In place of a function ke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keys for performing a function previously set, a user edit function for setting and using a shortcut key arbitrarily provided by a user is provided. In a telephone terminal having a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and an editing key, In the function editing method by the user, 상기 편집키 입력시 사용자 편집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Switching to a user edit mode when the edit key is input; 상기 사용자 편집모드로 전환 후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 수행키와 상기 종래 기능 수행키를 대신할 새 기능 수행키가 입력될 시 상기 기능수행 키 테이블을 검사하여 상기 입력된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 수행키에 해당하는 기능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After switching to the user edit mode, when a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keys and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to replace the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are input,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is examined and the conventional combination with the input plurality of keys is performed. Checking whether there i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execution key; 상기 기능수행 키 테이블에 입력된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 수행키에 해당하는 기능이 있을 경우 상기 입력된 새 기능 수행키를 상기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 수행키를 대신하여 해당 영역에 등록하는 과정과,If there i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keys input to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the inputted new function execution key is registered in a corresponding area instead of the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keys. Process, 상기 등록된 새 기능 수행키가 입력되면 상기 새 기능 수행키에 설정된 해당 기능으로 진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If the registered new function execution key is input, the method for editing the function by the user in the telephon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enter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set in the new function execution key.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입력된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 수행키가 상기 기능수행 키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 수행키가 아닌 경우에는 에러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If the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the inputted plurality of keys is not a function execution key registered in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a function of displaying an error is further included. Way.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종래 기능 수행키를 대신할 새 기능 수행키가 이미 종래 수행키나 기능수행 키 테이블에 등록된 것일 경우 이미 사용중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If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to replace the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is already registered in the conventional execution key or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the function of the user in the telephon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in use How to edit. 이전에 설정되어 있던 기능수행을 위한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키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단축한 키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사용자 편집기능을 제공하며, 제품출하시 미리 세팅되는 각종 기능모드 진입을 위한 기능수행 키 테이블과,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기능모드 진입을 위한 키가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편집테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편집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편집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메모리부와, 편집키를 구비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에 있어서,It provides a user editing function that sets and shortens a key arbitrarily shortened by the user in place of a function key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for performing a previously set function. A memory unit having an execution key table, a user editing table in which a key for entering a function mode edited by a user is registered, and having a user edit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user editing function, and a telephone having an editing key In the function editing method by the user in the terminal, 상기 편집키 입력시 상기 사용자 편집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사용자 편집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Switching to a user edit mode by executing the user edit program when the edit key is input; 상기 사용자 편집모드로 전환 후 상기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 수행키와 상기 종래 기능 수행키를 대신할 새 기능 수행키가 입력될 시 상기 기능수행 키 테이블을 검사하여 상기 입력된 종래 기능 수행키에 해당하는 기능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After switching to the user edit mode, when a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keys and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to replace the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are input,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is checked to the input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To check whether there is a corresponding function, 상기 기능수행 키 테이블에 입력된 종래 기능 수행키에 해당하는 기능이 있을 경우 상기 입력된 새 기능 수행키를 상기 사용자 편집 테이블에 등록하는 과정과,If there i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input in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registering the inputted new function execution key in the user edit table; 상기 사용자 편집 테이블에 등록된 새 기능 수행키가 입력되면 상기 새 기능 수행키에 설정된 해당 기능으로 진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And when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registered in the user edit table is input, entering a corresponding function set in the new function execution key.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사용자 편집 테이블에 이미 해당하는 기능에 대한 키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이전에 등록된 키를 삭제한 후 새로이 입력된 상기 새 기능 수행키를 상기 사용자 편집 테이블에 등록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And if a key for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edit table is already registered, deleting a previously registered key and then registering the newly inputted new function execution key in the user edit table. How to edit the function by the user in the telephone terminal.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입력된 종래 기능 수행키가 상기 기능수행 키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 수행키가 아닌 경우에는 에러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And displaying an error if the inputted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is not a function execution key registered in the function execution key table. 이전에 설정되어 있던 기능수행을 위한 다수의 키로 조합된 기능키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단축한 키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사용자 편집기능과, 기능 메뉴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기능모드 진입을 위한 키가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편집테이블과 상기 사용자 편집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편집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메모리부와, 편집키를 구비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에 있어서,Function mode edited by the user, which provides a user editing function and a function menu display function, which sets and uses a shortcut key arbitrarily shortened by the user in place of a function key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for performing a previously set function. In the method for editing a function by a user in a telephone terminal having a user editing table having a key for entry and a user edit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user editing function, and a editing key, 상기 기능 메뉴 디스플레이를 통해 특정 기능 모드로 진입후 상기 편집키가 입력될 시 상기 사용자 편집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사용자 편집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Entering a specific function mode through the function menu display and performing the user editing program to switch to a user editing mode when the editing key is input; 상기 사용자 편집모드로 전환 후 종래 기능 수행키와 상기 다수의 키로 조합된 종래 기능 수행키를 대신할 새 기능 수행키가 입력될 시 상기 새 기능 수행키를 상기 입력된 종래 기능 수행키에 해당하는 기능으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편집 테이블에 등록하는 과정과,After switching to the user edit mode, when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is substituted for the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and the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keys, the new function execution key corresponds to the input conventional function execution key. Registering to the user edit table by setting to; 상기 사용자 편집 테이블에 등록된 새 기능 수행키가 입력되면 상기 새 기능 수행키에 설정된 해당 기능으로 진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And when a new function execution key registered in the user edit table is input, entering a corresponding function set in the new function execution key.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사용자 편집 테이블에 이미 해당하는 기능에 대한 키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이전에 등록된 키를 삭제한 후 새로이 입력된 상기 새 기능 수행키를 상기 사용자 편집 테이블에 등록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기능 편집방법.And if a key for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edit table is already registered, deleting a previously registered key and then registering the newly inputted new function execution key in the user edit table. How to edit the function by the user in the telephone terminal.
KR1019980056481A 1998-12-19 1998-12-19 How to Edit Functions by User on the Phone Expired - Fee Related KR1003131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481A KR100313139B1 (en) 1998-12-19 1998-12-19 How to Edit Functions by User on th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481A KR100313139B1 (en) 1998-12-19 1998-12-19 How to Edit Functions by User on th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757A true KR20000040757A (en) 2000-07-05
KR100313139B1 KR100313139B1 (en) 2002-02-28

Family

ID=1956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4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313139B1 (en) 1998-12-19 1998-12-19 How to Edit Functions by User on th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139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806B1 (en) * 1999-12-07 2002-05-02 윤종용 Method of hot key user assignmen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42827A (en) * 2001-11-24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rten key designation method
KR100411892B1 (en) * 2001-04-09 2003-12-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for pop menu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22059A (en) * 2002-09-06 200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purpose button mapping method for phone
KR100425709B1 (en) * 2001-09-07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rt cut set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37381A (en) * 2002-10-28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electing menu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phone
KR100597484B1 (en) * 2003-12-10 2006-07-10 주식회사 팬택 How to provide custom menu using key map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10339B1 (en) * 2001-11-06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hortcut menu and additional functions using shift key
KR100813033B1 (en) * 2001-09-17 2008-03-14 (주) 엘지텔레콤 How to block calls associated with caller ID
KR100819287B1 (en) * 2000-12-29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Mode switching method using key input device and shortcut ke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75B1 (en) * 2002-01-10 200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function using hot key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806B1 (en) * 1999-12-07 2002-05-02 윤종용 Method of hot key user assignmen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19287B1 (en) * 2000-12-29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Mode switching method using key input device and shortcut ke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11892B1 (en) * 2001-04-09 2003-12-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for pop menu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25709B1 (en) * 2001-09-07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rt cut sett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13033B1 (en) * 2001-09-17 2008-03-14 (주) 엘지텔레콤 How to block calls associated with caller ID
KR100810339B1 (en) * 2001-11-06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hortcut menu and additional functions using shift key
KR20030042827A (en) * 2001-11-24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horten key designation method
KR20040022059A (en) * 2002-09-06 200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purpose button mapping method for phone
KR20040037381A (en) * 2002-10-28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electing menu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phone
KR100597484B1 (en) * 2003-12-10 2006-07-10 주식회사 팬택 How to provide custom menu using key map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3139B1 (en)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461B1 (en) Apparatus method for increasing function of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0967B1 (en) Method for composing user's customized menu in portable radio telephone
JP2002101178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mage displaying method
KR100313139B1 (en) How to Edit Functions by User on the Phone
JP2000184036A (en) Function selection method for mobile phone terminals
JPWO2008038489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6205331B1 (en) Memory sharing method for integrated digital cordless telephone and radio paging receiver
KR100312525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user menu in portable telephone
KR20000037609A (en) How to edit the ringtone on your phone
KR100799930B1 (en) How to save speed dial number in mobile terminal
JPH0563854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00013181A (en) Key input method for cellular phone unit
KR20010011059A (en) Method for displaying reduced fare hours of call charge and thereof using method in mobile phone
KR100241776B1 (en) How to dial your own area code automatically from your mobile phone
JP343918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telephone number display method
KR100358379B1 (en) A method of short dialing for folder mobile phone
KR19990060314A (en) How to display usage instructions on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606098B1 (en) How to save phone number of portable terminal
KR20010010539A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potable telephone
KR20030056557A (en) Method for direct selection of a specific menu using shortcut keys
KR100663544B1 (en) How to print list of mobile phone
JP2001086219A (en)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JP2000244977A (en) Radio communication unit
KR100804569B1 (en) Phone number read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94003B1 (en) How to copy memory to you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