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39073A -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9073A
KR20000039073A KR1019980054288A KR19980054288A KR20000039073A KR 20000039073 A KR20000039073 A KR 20000039073A KR 1019980054288 A KR1019980054288 A KR 1019980054288A KR 19980054288 A KR19980054288 A KR 19980054288A KR 20000039073 A KR20000039073 A KR 20000039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antenna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efficiency
electromagnetic w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락준
황인수
Original Assignee
구관영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관영,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구관영
Priority to KR1019980054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9073A/ko
Priority to EP99403113A priority patent/EP1009104A3/en
Publication of KR20000039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0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means for shaping the antenna pattern, e.g. in order to protect user against rf exp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 무선통신용 휴대형 전화기의 플립 자동 개방장치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요지
본 발명은 휴대형 전화기에 있어서 통화를 개시할 때 전화기의 일측에 형성된 플립 개방장치를 이용하여 플립을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플립의 일측면에 도포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흡수되는 불요 복사 전력을 흡수하여 인체에의 영항을 최소화하는 전자파 흡수체와 반사 효과에 의해 안테나의 복사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전자파 반사체를 구비한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휴대형 전화기에 있어서 상단 일측에 안테나를 장착한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플립; 상기 힌지에 구비되어 플립이 개방되는 힘을 갖도록 하는 스프링; 상기 플립을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개방장치; 상기 플립이 닫힌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훅크와 록킹 홈; 상기 플립의 안테나쪽 일측면에 전자파를 흡수하는 전자파흡수체와 전자파를 반사하는 반사체가 도포된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 무선통신 단말기의 플립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자동 개방할 수 있고, 플립의 일측면에 도포된 전자파 흡수체와 반사체에 의해 안테나로부터 복사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함으로써 인체에의 유해 성분을 감소시키고 안테나의 복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임.

Description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
본 발명은 이동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각종 휴대형 전화기에 있어서 통화를 개시할 때 전화기의 일측에 형성된 플립 개방장치를 이용하여 플립을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으며, 또한 전화기의 안테나로부터 송출되는 전자파(RF 성분)에 의해 전화기에 근접되어 있는 머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인체에의 유해 현상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안테나의 복사 효율을 향상시킨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기술로서는 일반적으로 플립이 없거나 통화를 개시할 때 손으로 플립을 잡아 개방하는 구조로서 사용자에제 번거로움을 준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안테나의 동작에 있어서도 수화부측의 상단에 안테나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의한 차폐 효과(Screen Effect)에 의해 통화시 전파 환경의 변화가 매우 심할 뿐만 아니 전자파의 발생원인 안테나가 특별한 보호수단 없이 인체, 특히 두뇌부에 매우 가깝게 위치함으로써 유해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최근들어 휴대용 무선 전화기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이 휴대용 전화기로부터의 근계(Near Field) 복사로 인해 사용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이 제기됨으로써 일반인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무선 전화기의 안테나는 사용자의 머리에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근계 결합에 의해 안테나에서 복사된 전력의 일부가 머리에 흡수되는데 이와 같이 전화기 사용자의 머리에 흡수되는 전력의 분포량을 측정하기 위해 전자계 모델화 기법이 도입되어 무선 전화기 사용자에게 흡수된 복사 에너지의 양을 측정하는 전자계 계산 및 실측 실험이 실시되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머리에 의한 복사 전력의 흡수 현상은 안테나의 복사 신호 강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며 이는 자유공간에서의 복사 전력과 동일한 신호 강도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전력 레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흡수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은 복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하나의 수단임과 동시에 현재 이동 무선 전화에 있어서 논쟁의 대상인 유해 가능성 있는 전자파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형 전화기에 있어서 통화를 개시할 때 전화기의 일측에 형성된 플립 개방장치를 이용하여 플립을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플립의 일측면에 도포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흡수되는 불요 복사 전력을 흡수하여 인체에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전자파 흡수체와 반사 효과에 의해 안테나의 복사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전자파 반사체를 구비한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형 휴대용 전화기의 일실시예.
도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립다운형 휴대용 전화기의 일실시예.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의 플립다운형 전화기의 외관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의 플립업형 전화기의 외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의 일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의 플립 개방부의 일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의 플립부의 일측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의 배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31,41,51,61,71. 전화기 본체 12,22,32,42,62,72. 안테나
13,23,33. 송화부 14,24,34. 수화부
15,25,35,43,63,73. 플립 16,26,36. 액정 표시창
27,44,52. 개방 장치 28,38,45. 훅크
29,37. 록킹 홈 29-1,39,64. 스프링 1
53. 걸림턱 54. 관통 홀
55. 스프링 2 74. 전자파 반사체
75. 전자파 흡수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무선통신용 휴대형 전화기에 있어서 상단 일측에 안테나를 장착한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플립; 상기 힌지에 구비되어 플립이 개방되는 힘을 갖도록 하는 스프링; 상기 플립을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개방장치; 상기 플립이 닫힌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훅크와 록킹 홈; 상기 플립의 안테나쪽 일측면에 전자파를 흡수하는 전자파 흡수체와 전자파를 반사하는 반사체가 도포된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화를 개시할때 간단한 조작만으로 플립을 자동 개방할 수 있으며, 안테나로부터 복사되는 유해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안테나의 복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전화기의 일측에 플립 자동개방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플립의 일측면에 전자파 흡수체 및 전자파 반사체를 도포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흡수되는 불요 복사 전력을 전자파 흡수체가 흡수하도록하여 인체에의 영향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전자파 반사체에 의한 반사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복사 효율이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의 안테나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한 사용자 머리에서의 생물학적 영향, 즉 인체 두뇌부에서의 전자계 분포에 관한 해석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 분포량이 정량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머리에 흡수된 전력분포뿐만 아니라 안테나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쪽에 발생된 복사계도 인체와 휴대용 전화기안테나에 대한 전자계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는데 이들 모델은 사용자 머리 주위의 전자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전자계는 무한 차분 시간 영역(FDTD;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자 머리에서의 맥스웰(Maxwell) 방정식을 풀이함으로써 해석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장시간의 계산과 많은 메모리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으나 무선 전화기 안테나와 같은 미소 신호원에 대해서 사용자의 머리에서 나타나는 매우 복잡한 전자계를 계산하기에 매우 적합한 방법이다.
이와 같은 정량적 해석을 위해 분석한 인간의 두뇌 조직은 백색 뇌질 및 회색 뇌질, 근육, 대뇌 척수 유체(CSF;Cerebral Spinal Fluid), 지방, 그리고 뼈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진 비균등질이며 각 조직 형태는 전자계 파형과의 상호 작용을 결정하는 서로 다른 전기적 특성들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DTD 알고리즘에 의한 계산으로부터 얻어진 파라미터들은 안테나에 있어서는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 안테나 도체상의 전류 분포, 복사 패턴 및 복사 전력 등이고, 인체에 있어서는 머리에 흡수된 전체 전력과 머리에서의 전력 분포 등이며 이들 결과를 근거로 휴대용 전화기 및 안테나의 설계를 최적화하는데 사용되어 흡수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복사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통해 알려진 바에 따르면 머리에서의 전자계 분포는 매우 비균일하고 전자계 레벨의 최대값은 머리의 표면에 분포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안테나 전력의 약 16%가 머리에 의해 흡수되는데 이 흡수치는 전화기 안테나의 위치에 매우 민감하여 전화기가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도록 위치하였을 때가 최악의 경우로서 머리에 의한 전력의 흡수치가 40%에 이르기도 한다는 사실이 근년 학계에 보고되었다. 이는 무선 전화기의 구조가 머리에 의해 흡수된 전력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내며, 또한 최근 통신 수요의 증가에 따라 전파 환경의 악화와 사용자의 증대로 인하여 송출 전력이 커질 뿐만 아니라 가용 주파수대가 높아지는 추세에 있고, 특히 전자레인지(Micro Oven)의 사용 주파수대인 2GHz대로 근접함에 따라 전자파의 인체 유해 환경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하나의 해결 방안으로서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는 플립업 형 구조에 있어서 안테나에 인접한 플립의 일측면에 도포한 전자파 흡수체와 반사체를 이용하여 불요 복사 전력의 인체 두뇌부로의 흡수현상을 차단하고 반사시킴으로써 종래의 무선 전화기가 가지는 구조상의 단점을 개선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각부 특성 및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의 플립다운형 전화기의 외관 사시도로서 상단부 소정 위치에 안테나(22)가 장착되고 전면 하단에는 다운형 플립(25)이 구비된 전화기(21)에 있어서, 통화를 개시할 때 상기 전화기(21)의 일측면에 구성된 개방장치(27)를 아래로 당기면 상기 개방장치(27)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훅크(28)가 상기 플립(25)면에 구성된 록킹 홈(29)으로부터 분리되고, 힌지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 1(29-1)의 탄성 작용에 의해 상기 플립(25)이 자동으로 개방되어 통화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반대로 통화를 종료한 경우에는 상기 플립(25)을 위로 올리면 상기 록킹 홈(29)에 상기 훅크(28)가 맞물려 플립(25)이 닫혀 고정된 상태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플립형 전화기와 외형상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이와는 달리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인 플립업형 전화기의 외관 사시도로서 상단부에 안테나(32)가 장착되고 전면에 업(up)형 플립(35)이 구비된 전화기(31)에 있어서 사용자가 통화를 개시할 경우 종래와는 달리 상기 전화기(31)의 일측면에 구성된 개방장치를 아래로 당기면 상기 개방장치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훅크(38)가 상기 플립(35)면의 일측에 구성된 록킹 홈(37)으로부터 분리되고, 힌지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 1(39)의 탄성 작용에 의해 상기 플립(35)이 자동으로 개방되어 통화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통화를 종료한 경우에는 상기 플립(35)을 아래로 내리면 상기 록킹 홈(37)에 상기 훅크(38)가 맞물려 플립(35)이 닫혀 고정된다. 도4는 이를 좀 더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의 일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의 플립 개방부의 일단면도로서 전화기(51)의 일측면에 구비된 개방장치(52)는 걸림턱(53)과 연결되어 있고 관통 홀(54)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개방장치(52)를 아래로 당기면 플립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장치(52)는 스프링 2(55)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이동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의 플립부의 일측면도로서 전술한 도5에서의 개방 작용에 의해 스프링 1(64)의 탄성으로 플립(63)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7에서 플립(73)이 안테나(72)와 인접한 일측면에는 전자파 흡수체(75)와 전자파 반사체(74)가 도포되어 있어 안테나(72)와 근접한 부분에는 상기 전자파 반사체(74)에 의해 머리쪽으로의 전자파가 반사되어 복사되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안테나보다 복사 효율이 증가하며, 상기 전자파 반사체(74)를 중심으로 인접하여 도포된 전자파 흡수체(75)에 의해 사용자 머리쪽으로의 불요 전자파가 흡수되어 사용자의 머리쪽으로 복사되는 유해 전자파가 크게 감소된다고 하는 이점을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무선통신용 휴대형 전화기에 있어서 통화를 개시할 때 전화기의 일측에 형성된 플립 개방장치를 이용하여 플립을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플립의 일측면에 도포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흡수되는 불요 복사 전력을 흡수하여 인체에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전자파 흡수체와 반사 효과에 의해 안테나의 복사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전자파 반사체를 구비하여 이동 무선통신 단말기의 플립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자동 개방할 수 있고, 플립의 일측면에 도포된 전자파 흡수체와 반사체에 의해 안테나로부터 복사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함으로써 인체에의 유해 성분을 감소시키고 안테나의 복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무선 전화기, 아날로그 및 디지탈 셀룰라 이동전화, 개인휴대통신(PCS), 무선가입자망(WLL),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등 이동 무선통신용 휴대형 전화기에 있어서,
    상단 일측에 안테나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플립;
    상기 힌지에 구비되어 플립이 개방되는 힘을 갖도록 하는 스프링 1;
    상기 플립을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개방장치;
    상기 플립이 닫힌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훅크와 록킹 홈;
    상기 플립의 안테나쪽 일측면에 전자파를 흡수하는 전자파 흡수체와 전자파를 반사하는 전자파 반사체가 도포된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되 아래 방향으로 열리는 다운형 플립;
    상기 힌지에 구비되어 플립이 개방되는 힘을 갖도록 하는 스프링 1;
    상기 플립이 닫힌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훅크와 록킹 홈;
    통화시 상기 플립을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개방장치와 걸림턱; 및 스프링 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되 위 방향으로 열리는 업형 플립;
    상기 힌지에 구비되어 플립이 개방되는 힘을 갖도록 하는 스프링 1;
    상기 플립이 닫힌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훅크와 록킹 홈;
    통화시 상기 플립을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개방장치와 걸림턱; 및 스프링 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4. 제 1항에 있어서,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을 감소시키고 안테나의 복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플립의 안테나쪽 일측면에 전자파 흡수체와 전자파 반사체를 도포하여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고 안테나의 복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
KR1019980054288A 1998-12-11 1998-12-11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 KR20000039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288A KR20000039073A (ko) 1998-12-11 1998-12-11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
EP99403113A EP1009104A3 (en) 1998-12-11 1999-12-10 Wireless tele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 fl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288A KR20000039073A (ko) 1998-12-11 1998-12-11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073A true KR20000039073A (ko) 2000-07-05

Family

ID=1956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288A KR20000039073A (ko) 1998-12-11 1998-12-11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1009104A3 (ko)
KR (1) KR200000390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888B1 (ko) * 2000-12-27 2003-0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노출 고정형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KR20040013702A (ko) * 2002-08-08 2004-02-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안테나의 복사패턴 조절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572B1 (ko) * 1999-07-06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접이형 휴대용 단말기
EP1443590A3 (en) * 2000-12-28 2005-05-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oldable mobile terminal with internal antenna
US7031762B2 (en) 2000-12-28 2006-04-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bile terminal including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an antenna
GB2376590A (en) * 2001-03-06 2002-12-18 Benjamin Edginton Radiation shield for a radiotelephone
WO2003021408A2 (en) * 2001-08-29 2003-03-13 Danger, Inc. Sliding display apparatus
GB2388487B (en) * 2002-01-09 2005-11-09 Nec Technologies Method of opening folding mobile equipment
MD20030059A (ro) * 2003-02-21 2004-08-31 Наташа Козма СТАВЧУК Dispozitiv de deschidere automată a capacului la telefoanele mobile
EP1612953B1 (en) * 2004-07-02 2016-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unit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thereof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100662326B1 (ko) * 2004-12-09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잠금 장치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9309A (en) * 1995-05-18 1997-07-15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xially aligned cover release mechanism
US5657386A (en) * 1995-09-06 1997-08-12 Schwanke; Jurgen H. Electromagnetic shield for cellular tele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888B1 (ko) * 2000-12-27 2003-0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노출 고정형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KR20040013702A (ko) * 2002-08-08 2004-02-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안테나의 복사패턴 조절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09104A2 (en) 2000-06-14
EP1009104A3 (en)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3086B1 (en) Mobile telephone apparatus
US5541609A (en) Reduced operator emission exposure antennas for safer hand-held radios and cellular telephones
US8643551B2 (en) Active reduction of electric field generated by a transmit antenna via an auxillary antenna structure
EP1292042A2 (en) Foldable portable phone with metal casing, shieldings and second antenna to control radiation
KR20000039073A (ko) 자동 개방형 플립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및전자파의 인체 유해성분 감소와 복사 효율 개선을 위한 안테나 장치
KR100782512B1 (ko) 전자파 흡수율을 개선한 휴대 단말기
US7099631B2 (en) Mobile phone having reduced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using an antenna housed to ensure enhanced antenna gain
KR100758633B1 (ko) 돔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EP0806809B1 (en) Hand-held communication equipment with a radiation shielding antenna apparatus
GB2330979A (en) A radiation shield for a mobile telephone
KR20030027512A (ko)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KR20040061399A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전자파 방지용 안테나 구조
WO1997049191A1 (en) Reduced emf hazard cellular phone
US20100016024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iversity Antenna
KR100211553B1 (ko) 플립 개폐기형 무선 전화기
RU103053U1 (ru) Телефон мобильный сотовой связи
KR20020042375A (ko) 유해 전자파 감소 및 안테나 효율 개선을 위한 휴대전화기
RU143243U1 (ru) Радиобиологически безопасный мобильный радиотелефон
KR100401125B1 (ko) 안테나를 케이스의 내부에 높은 안테나이득을 얻는 구조로장착하여 전자파 흡수율을 감소시킨 휴대폰
KR2005002989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구조
KR100375827B1 (ko) 안테나를 케이스의 내부에 공간절감적 구조로 장착하여전자파흡수율을 감소시킨 휴대폰
KR100575753B1 (ko) 낮은 전자파 흡수율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71847B1 (ko) 휴대폰의 전자파 차단용 출력케이스
KR20030010261A (ko) 루프 안테나를 갖는 휴대폰
JP2000101338A (ja) 低局所sar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03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1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