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2578A - 창문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창문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32578A KR20000032578A KR1019980049071A KR19980049071A KR20000032578A KR 20000032578 A KR20000032578 A KR 20000032578A KR 1019980049071 A KR1019980049071 A KR 1019980049071A KR 19980049071 A KR19980049071 A KR 19980049071A KR 20000032578 A KR20000032578 A KR 200000325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exchanger
- shroud
- outdoor
- outdoor heat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6—Heat pumps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low potential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실외측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쉬라우드의 형상과 함께 실외측 열교환기의 형상을 변형하여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열교환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송풍팬의 회전력에 의해 실외측 열교환기로 비산되는 응축수의 량이 많아지도록 하여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실외측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쉬라우드에 실외측 열교환기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캐비넷(1) 내부가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리되고, 상기 캐비넷(1)의 실외측에는 송풍팬(14)의 회전시 실외측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통과하도록 오리피스(20)를 갖는 쉬라우드(15)가 설치되며, 상기 쉬라우드(15)에는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측 열교환기(16)가 결합되고,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양측에는 앤드 플레이트(21)가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일측부가 쉬라우드(15)쪽을 향하도록 일체로 벤딩시켜서 열교환면적을 넓게하고, 상기 쉬라우드(15)의 내측면중 실외측 열교환기(16)의 벤딩부분과 대향되는 부분에는 삽입홈(101)을 형성하여 상기 쉬라우드(15)에 실외측 열교환기(16)를 결합할 때 실외측 열교환기(16)의 벤딩부분이 삽입홈(101) 내로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된 더운 공기를 열교환시켜 차가운 공기로 바꾼 다음 상기 차가워진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켜 실내를 적정온도로 냉방하는 것이다.
그럼 여기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외곽에 설치된 캐비넷(1)과, 상기 캐비넷(1) 내는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실내측에는 캐비넷(1)의 전면에 결합된 전면 패널(2)과, 상기 전면 패널(2)의 후방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에어가이드(8)와, 상기 에어가이드(8) 내에 설치되어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시키고, 이 흡입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회전되는 블로워(6)와, 상기 블로워(6)에 축결합되어 블로워(6)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이 발생되는 모터(7)와, 상기 전면 패널(2)의 일측에 형성되어 블로워(6)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실내측으로 흡입되는 실내측 흡입구(3)와, 상기 전면 패널(2)의 후방에 설치되어 실내측 흡입구(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찬냉매가 유동되는 실내측 열교환기(5)와, 상기 전면 패널(2)의 타측에 형성되어 에어가이드(8) 내를 유동하는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측 토출구(4)와, 상기 실내측 토출구(4)에 설치되어 토출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상하풍향루버(9)와, 상기 실내측 토출구(4)에 설치되어 토출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좌우풍향루버(10)와, 상기 실내측 토출구(4)의 하방에 설치되어 창문형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외측에는 캐비넷(1)의 외주면에 형성된 실외측 흡입구(12)와, 상기 실외측 흡입구(12)를 통해 실외측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시키고, 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모터(7)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14)과, 상기 송풍팬(14)의 외측에 설치되어 실외측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안내하는 쉬라우드(15)와, 상기 송풍팬(14)의 후방에 설치되어 실외측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열교환되는 실외측 열교환기(16)와,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5) 내를 유동하여 온도가 상승된 냉매가 유입되고, 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7)와,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실외측 토출구(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캐비넷(1) 내의 저면부에 설치되어 각 부품들을 지지하는 베이스 판(18)과, 상기 에어가이드(8)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실내측에 고인 응축수를 실외측으로 배수시키는 응축수 유로(19)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전원을 공급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콘트롤 박스(11)에 형성된 냉방운전모드를 선택하면 캐비넷(1) 내에 설치된 모터(7)에서 구동력이 발생되고,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아 실내측의 블로워(6)와 실외측의 송풍팬(14)이 회전된다.
상기 회전되는 블러워(6)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전면 패널(2)에 형성된 실내측 흡입구(3)를 통해 실내측으로 흡입되고, 이 흡입된 실내의 더운 공기는 상기 전면 패널(2)의 후방에 설치되어 찬냉매를 유동하는 실내측 열교환기(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차가워진다.
이 차가워진 공기는 계속해서 회전되는 블로워(6)의 회전력에 따라 에어가이드(8) 내를 유동하면서 실내측 토출구(4)로 안내되어 상기 실내측 토출구(4)에 설치된 상하, 좌우풍향루버(9)(10)의 회동각도에 따라 상하, 좌우로 조절되면서 실내측 토출구(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므로 상기 실내가 적정온도로 냉방된다.
이때, 실내측 열교환기(5)를 통과하는 실내의 더운 공기와 실내측 열교환기(5) 내를 유동하는 찬냉매가 열교환될 때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5)의 표면에서 응축수가 발생되고, 이 응축수는 실내측 열교환기(5)의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에어가이드(8)에 고이게 되며, 상기 에어가이드(8)에 고인 응축수는 에어가이드(8)의 응축수 유로(19)를 따라 유동되면서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배수된다.
여기서, 실내측 열교환기(5) 내를 유동하면서 실내의 더운 공기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매는 실외측에 설치된 압축기(17) 내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냉매는 압축기(17)에서 고온고압의 냉매로 압축된 다음 토출되어 실외측 열교환기(16) 내로 유입되어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도가 하강된 상태로 모세관(미도시)으로 유입되며, 상기 모세관으로 유입된 냉매는 팽창하면서 온도와 압력이 급격히 내려간 상태로 실내측 열교환기(5) 내로 유입된다.
이때, 모터(7)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송풍팬(14)의 회전력에 의해 실외측 흡입구(12)를 통해 실외측으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실외측 열교환기(16)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도가 상승되며, 상기 온도가 상승된 외부 공기는 계속해서 회전되는 송풍팬(14)의 회전력에 의해 실외측 토출구(13)를 통해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가이드(8)에 형성된 응축수 유로(19)를 따라 유동하면서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배수된 응축수는 회전되는 송풍팬(14)의 회전력에 의해 실외측 열교환기(16)로 비산되어 열교환되면서 증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송풍팬(14)의 회전력에 의해 실외측 흡입구(1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실외측에 설치된 쉬라우드(15)에 의해 실외측 열교환기(16)로 안내되는데, 상기 쉬라우드(15)의 구조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쉬라우드(15)에 형성되어 송풍팬(14)의 회전력에 의해 실외측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통과하는 오리피스(20)와, 상기 쉬라우드(15)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스크류(27)가 삽입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25)과,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를 지지고정하는 앤드 플레이트(21)와, 상기 각 앤드 플레이트(21)에 형성되어 상기 각 체결공(25)과 일치되면 스크류(27)가 삽입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공(26)과, 상기 쉬라우드(15)의 상부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의 결합 및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실외측 열교환기(16)에서 열교환된 열기가 쉬라우드(15)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상부판(22)과, 상기 상부판(22)의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3)와, 상기 쉬라우드(15)의 상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각 걸림돌기(23)가 각각 삽탈되는 삽탈공(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구조는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양측에 결합된 앤드 플레이트(21)와 쉬라우드(16)의 내측면을 접촉시킨다.
그리고, 각 앤드 플레이트(21)에 형성된 결합공(26)과 쉬라우드(15)에 형성된 체결공(25)을 일치시킨 다음 상기 일치된 결합공(26)과 체결공(25)에 스크류(27)를 삽입체결하므로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가 결합고정된다.
이 때, 상기 쉬라우드(15)의 상부에는 실외측 열교환기(16)에서 열교환된 열기가 쉬라우드(15)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상부판(22)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동되는 상부판(22)에 의해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를 결합할 때에는 상기 상부판(22)을 도면상 쉬라우드(15)의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킨 다음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를 위치시키고 나서 상기 각 결합공(26)과 체결공(25)에 스크류(27)를 삽입체결하여 상기 쉬라우드(15)에 실외측 열교환기(16)를 결합한다.
상기 쉬라우드(15)에 실외측 열교환기(16)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상부판(22)를 도면상 쉬라우드(15)의 하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쉬라우드(15)의 양측면 상부에 형성된 삽탈공(24)에 상부판(22)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3)를 삽입시키므로 상기 쉬라우드(15)의 상부에 상부판(22)은 결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 결합된 실외측 열교환기(16)를 분리시킬 때에는 각 삽탈공(24)에 삽입고정된 각 걸림돌기(23)를 상기 각 삽탈공(24)에서 이탈시키고 나서 상기 상부판(22)을 도면상 쉬라우드(15)의 상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상부판(22)의 회동이 완료되면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를 결합시키기 위해 체결된 복수개의 스크류(27)를 풀어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서 실외측 열교환기(16)를 분리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쉬라우드(15)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판(22)을 회동시키므로 인하여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의 결합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가 결합되면 실외측 내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송풍팬(14)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실외측 흡입구(12)를 통해 실외측 내로 흡입되고, 이 흡입된 외부 공기는 쉬라우드(15)의 안내를 받아 즉, 쉬라우드(15)의 오리피스(20)를 통해 실외측 열교환기(16)로 안내되어 실외측 열교환기(16)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계속해서 회전되는 송풍팬(14)에 의해 실외측 토출구(13)를 통해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15) 후면에 결합되는 실외측 열교환기(16)의 형상이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열교환 면적이 한정적이므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실내측 열교환기(5)에서 발생되어 응축수 유로(19)를 따라 실외측으로 배출된 응축수가 실외측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송풍팬(14)의 회전력에 의해 비산되면서 실외측 흡입구(12)를 통해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배출되며, 이에 따라 응축수가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따라 흘러내려 얼룩지므로 상기 외관이 미관상 깨끗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로 비산되는 응축수의 량이 적어 실외측 열효환기(16)의 열교환효율이 저하됨에 따라 전체적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를 결합시킬 때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정확한 위치선정이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춘 다음 결합시켜야 하므로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의 결합이 불편하여 작업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실외측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쉬라우드의 형상과 함께 실외측 열교환기의 형상을 변형하여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열교환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송풍팬의 회전력에 의해 실외측 열교환기로 비산되는 응축수의 량이 많아지도록 하여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실외측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쉬라우드에 실외측 열교환기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캐비넷 내부가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리되고, 상기 캐비넷의 실외측에는 송풍팬의 회전시 실외측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통과하도록 오리피스를 갖는 쉬라우드가 설치되며, 상기 쉬라우드에는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측 열교환기가 결합되고,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양측에는 앤드 플레이트가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일측부가 쉬라우드쪽을 향하도록 일체로 벤딩시켜서 열교환면적을 넓게하고, 상기 쉬라우드의 내측면 중 실외측 열교환기의 벤딩부분과 대향되는 부분에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쉬라우드에 실외측 열교환기를 결합할 때 실외측 열교환기의 벤딩부분이 삽입홈 내로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창문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종래 쉬라우드와 실외측 열교환기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쉬라우드와 실외측 열교환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쉬라우드의 몸체부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쉬라우드와 실외측 열교환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Ⅰ-Ⅰ선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실외측 열교환기 16a: 벤딩부
101: 삽입홈 102: 덮개
103: 걸림홈 104: 후크
105: 절곡부 106: 체결부
107: 리브 108: 물튀김방지부재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구조는 종래의 구성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도 3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쉬라우드와 실외측 열교환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쉬라우드의 몸체부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쉬라우드와 실외측 열교환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Ⅰ-Ⅰ선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리된 캐비넷(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캐비넷(1) 내의 실외측에는 회전되는 송풍팬(14)의 회전력에 의해 실외측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를 안내하는 쉬라우드(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쉬라우드(15)에는 실외측 흡입구(12)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통과하는 오리피스(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쉬라우드(15)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는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실외측 열교환기(16)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양측에는 실외측 열교환기(16)를 지지고정함과 함께 복수개의 결합공(26)이 형성된 앤드 플레이트(2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일측부에는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열교환면적을 넓히도록 쉬라우드(15)쪽을 향하게 일체로 벤딩되는 벤딩부(16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쉬라우드(15)의 내측면 중 실외측 열교환기(16) 벤딩부(16a)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쉬라우드(15)에 실외측 열교환기(16)가 결합될 때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벤딩부(16a)가 삽입되는 삽입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쉬라우드(15)의 상부면에는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열교환작용시 발생되는 열이 쉬라우드(15)의 상부를 통해 캐비넷(1)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열을 차단하는 덮개(102)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쉬라우드(15)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걸림홈(103)(10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102)의 일측에는 각 걸림홈(103)(103a)으로 각각 삽입체결되는 복수개의 후크(104)(10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벤딩부(16a)에 형성된 앤드 플레이트(21)에는 절곡부(10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쉬라우드(15)의 일측면에는 쉬라우드(15)에 실외측 열교환기(16)가 삽입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삽입위치를 잡아주도록 상기 절곡부(105)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쉬라우드(15)의 일측 내측면에는 쉬라우드(15)에 실외측 열교환기(16)가 결합될 때 실외측 열교환기(16)의 핀 등이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가 쉬라우드(15)를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상기 쉬라우드(15)의 내측면과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외측면 사이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리브(10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쉬라우드(15)의 오리피스(20) 외측면에는 송풍팬(14)의 회전력에 의해 비산되는 응축수가 실외측 흡입구(12)를 통해 캐비넷(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실외측 열교환기(16)로 응축수가 원활하게 비산되도록 물튀김방지부재(10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튀김방지부재(108)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튀김방지부재(108)에는 실외측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과 물튀김방지부재(108)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일정부분 절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리된 캐비넷(1)의 실외측 내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송풍팬(14)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실외측 흡입구(12)를 통해 실외측 내로 흡입되고, 이 흡입된 외부 공기는 계속해서 회전되는 송풍팬(14)에 의해 쉬라우드(15)의 안내를 받아 즉, 상기 쉬라우드(15)의 오리피스(20)를 통과하여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 결합된 실외측 열교환기(16)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다음 실외측 토출구(13)를 통해 캐비넷(1)의 외부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일측부에는 벤딩된 벤딩부(16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쉬라우드(15)의 내측면 중 실외측 열교환기(16)의 벤딩부(16a)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상기 벤딩부(16a)가 삽입되는 삽입홈(10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쉬라우드(15)를 베이스 판(18)의 상단면에 결합하고 나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벤딩부(16a)가 쉬라우드(15)의 삽입홈(10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방에 실외측 열교환기(16)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실외측 열교환기(16)를 쉬라우드(15) 쪽으로 밀면 상기 벤딩부(16a)는 삽입홈(101) 내로 삽입되는데,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앤드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절곡부(105)는 쉬라우드(15)의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106)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삽입위치가 정확하게 잡혀짐과 동시에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앤드 플레이트(2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공(26)과 쉬라우드(15)의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25)이 일치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부(106)에 절곡부(105)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쉬라우드(15) 양측면의 각 결합공(26)과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양측 앤드 플레이트(20)의 각 체결공(25)이 일치되므로 상기 일치된 각 결합공(26)과 각 체결공(25)에 스크류(27)를 삽입체결하므로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가 결합고정된다.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가 결합고정되면 상기 쉬라우드(15)의 상부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에서 열교환된 열이 쉬라우드(15)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덮개(102)를 결합하는데, 즉 덮개(102)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후크(104)(104a)를 쉬라우드(15)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103)(103a)에 각각 삽입하므로 상기 쉬라우드(15)의 상부면에 덮개(102)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가 결합되면 상기 쉬라우드(15)와 실외측 열교환기(16) 사이에 설치된 송풍팬(14)의 회전에 의해 캐비넷(1)에 형성된 실외측 흡입구(12)를 통해 외부 공기가 캐비넷(1)의 실외측 내로 흡입되고, 이 흡입된 외부 공기는 쉬라우드(15)의 오리피스(20)를 통해 실외측 열교환기(16)로 안내되어 상기 일측부가 벤딩되어 열교환면적이 넓어진 실외측 열교환기(16)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계속해서 회전되는 송풍팬(14)에 의해 실외측 토출구(13)를 통해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쉬라우드(15)의 일측 즉, 삽입홈(101)이 형성된 내측면에는 쉬라우드(15)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16)가 결합될 때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핀 등이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리브(10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쉬라우드(15)의 내측면과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외측면 사이가 상기 리브(107)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됨에 따라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공기는 쉬라우드(15)를 원활하게 통과하게 된다.
한편, 캐비넷(1)의 실내측에 결합된 실내측 열교환기(5)에서 발생되어 응축수 유로(19)를 따라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배출된 응축수는 회전되는 송풍팬(14)의 회전력에 의해 비산되는데, 상기 쉬라우드(15)의 오리피스(20) 외측에는 반원형상의 물튀김방지부재(10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비산되는 응축수는 물튀김방지부재(108)에 부딪힘에 따라 실외측 흡입구(12)로 보내지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상기 물튀김방지부재(108)에 의해 실외측 열교환기(16)로 안내되어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송풍팬(14)의 회전력에 의해 실외측 열교환기(16)를 통과하는 공기와 함께 실외측 열교환기(16)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물튀김방지부재(108)에는 일정부분을 절취하였는데, 이는 실외측 내에 구성된 각 부품과 상기 물튀김방지부재(108)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쉬라우드(15)의 후면에 결합고정된 실외측 열교환기(16)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우선, 실외측 열교환기(16)가 결합된 쉬라우드(15)를 캐비넷(1)에서 빼낸 다음 상기 쉬라우드(15)의 상부면에 결합된 덮개(102)를 분리하여야 하는데, 상기 쉬라우드(15)의 각 걸림홈(103)(103a)에 삽입되어 걸려있는 상기 덮개(102)의 각 후크(104)(104a)를 빼내므로 상기 덮개(102)는 쉬라우드(15)의 상부면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쉬라우드(15)의 양측에 체결된 복수개의 스크류(27)를 푼 다음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를 쉬라우드(15)의 후면 또는 상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16)의 절곡부(105)는 쉬라우드(15)의 체결부(106)에서 이탈되므로 상기 쉬라우드(15)의 후면에서 실외측 열교환기(16)가 원활하게 분리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실외측 열교환기의 열교환면적을 넓히도록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일측부를 쉬라우드쪽으로 향하도록 일체로 벤딩하고,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벤딩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열교환기의 벤딩부분과 대향되는 쉬라우드의 내측면에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쉬라우드의 안내를 받아 실외측 열교환기를 많은 외부 공기가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전체적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쉬라우드의 오리피스 외측에 반원 형상의 물튀김방지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응축수 유로를 따라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배출되어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비산되는 응축수는 상기 물튀김방지부재에 의해 실외측 흡입구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어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깨끗할 뿐만 아니라 실외측 열교환기로 많은 량의 응축수가 비산되므로 실외측 열교환기의 열교환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쉬라우드의 상부면에 덮개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쉬라우드에 복수개의 체결부를 형성하며, 실외측 열교환기의 앤드 플레이트에 상기 체결부로 삽입되는 절곡부를 형성하므로 상기 쉬라우드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가 정확하게 위치되어 상기 쉬라우드의 후면에 실외측 열교환기의 결합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되고, 상기 쉬라우드의 일측 내측면에 복수개의 리브를 형성하여 상기 각 리브에 의해 쉬라우드의 내측면과 실외측 열교환기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됨에 따라 실외측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쉬라우드를 원활하게 빠져나가므로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상승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 캐비넷 내부가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분리되고, 상기 캐비넷의 실외측에는 송풍팬의 회전시 실외측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통과하도록 오리피스를 갖는 쉬라우드가 설치되며, 상기 쉬라우드에는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측 열교환기가 결합되고,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양측에는 앤드 플레이트가 결합된 것에 있어서,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일측부가 쉬라우드쪽을 향하도록 일체로 벤딩시켜서 열교환면적을 넓게하고, 상기 쉬라우드의 내측면 중 실외측 열교환기의 벤딩부분과 대칭되는 부분에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쉬라우드에 실외측 열교환기를 결합할 때 실외측 열교환기의 벤딩부분이 삽입홈 내로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쉬라우드의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덮개를 결합하여 실외측 열교환기의 열교환작용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덮개에 의해 차단되어 쉬라우드의 상부로 빠져나지 못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쉬라우드의 일측에 복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덮개의 일측에 각 걸림홈으로 삽입체결되는 복수개의 후크를 형성하여 상기 각 후크가 각 걸림홈에 록킹 및 해제됨에 따라 쉬라우드에 덮개가 착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실외측 열교환기의 앤드 플레이트에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쉬라우드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체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쉬라우드에 실외측 열교환기가 삽입시 상기 체결부에 절곡부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삽입위치를 잡아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쉬라우드의 일측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리브를 형성하여 상기 쉬라우드에 실외측 열교환기가 결합할 때 상기 각 리브에 의해 쉬라우드의 내측면과 실외측 열교환기의 외측면 사이는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쉬라우드의 오리피스 외측면에는 물튀김방지부재를 형성하여 송풍팬의 회전력에 의해 비산되는 응축수가 실외측 흡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물튀김방지부재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물튀김방지부재에는 각 부품들과 물튀김방지부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부분 절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9071A KR20000032578A (ko) | 1998-11-16 | 1998-11-16 | 창문형 공기조화기 |
US09/441,608 US6272878B1 (en) | 1998-11-16 | 1999-11-16 | Window type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9071A KR20000032578A (ko) | 1998-11-16 | 1998-11-16 | 창문형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32578A true KR20000032578A (ko) | 2000-06-15 |
Family
ID=1955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49071A Withdrawn KR20000032578A (ko) | 1998-11-16 | 1998-11-16 | 창문형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6272878B1 (ko) |
KR (1) | KR20000032578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3973B1 (ko) * | 2001-12-05 | 2004-03-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KR20080051593A (ko) * | 2006-12-06 | 2008-06-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CN102401453A (zh) * | 2010-09-16 | 2012-04-04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一体式空调器 |
KR20210034384A (ko) | 2019-09-20 | 2021-03-30 | 신병철 | 환기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34962B1 (en) * | 2001-05-16 | 2002-08-20 | Carrier Corporation | Motor baffle |
US7055582B2 (en) * | 2002-10-15 | 2006-06-06 | Tecumseh Products Company | Refrigerating unit having heat-exchanger mounting shroud |
KR100556947B1 (ko) * | 2003-10-23 | 2006-03-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원심팬 |
US20070044495A1 (en) * | 2005-08-23 | 2007-03-01 | Lg Electronics Inc. | Monolithic air conditioner |
CN101900383A (zh) * | 2009-05-25 | 2010-12-01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窗式空调器 |
CN101957029B (zh) * | 2009-07-20 | 2014-12-24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一体式空调器 |
JP4991904B2 (ja) * | 2010-04-26 | 2012-08-08 | シャープ株式会社 | 熱交換装置 |
CN102252376B (zh) * | 2010-05-19 | 2015-06-17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窗式空调器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79211A (en) * | 1965-03-30 | 1966-10-18 | Carrier Corp | Refrigerant evaporation |
US3898865A (en) * | 1974-04-30 | 1975-08-12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Condensate disposal apparatus for an air conditioner |
US4505129A (en) * | 1982-04-30 | 1985-03-19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Solid air-conditioning machine |
US4770241A (en) * | 1985-01-10 | 1988-09-13 | Carrier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lit fin coils |
US5542263A (en) * | 1993-08-26 | 1996-08-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ndow mounted air conditioner |
JP3618507B2 (ja) * | 1997-03-03 | 2005-02-09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分離型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
US5950446A (en) * | 1998-10-01 | 1999-09-14 | Whirlpool Corporation | Compact air conditioner |
-
1998
- 1998-11-16 KR KR1019980049071A patent/KR20000032578A/ko not_active Withdrawn
-
1999
- 1999-11-16 US US09/441,608 patent/US627287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3973B1 (ko) * | 2001-12-05 | 2004-03-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KR20080051593A (ko) * | 2006-12-06 | 2008-06-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CN102401453A (zh) * | 2010-09-16 | 2012-04-04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一体式空调器 |
CN102401453B (zh) * | 2010-09-16 | 2016-01-20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一体式空调器 |
KR20210034384A (ko) | 2019-09-20 | 2021-03-30 | 신병철 | 환기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272878B1 (en) | 2001-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00032578A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 | |
JP3572248B2 (ja) |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 |
KR100293471B1 (ko) | 공기조화기의응축수배수장치 | |
KR200165754Y1 (ko) | 복합형(convertible)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개폐장치 | |
KR100262635B1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결합장치 | |
KR20000055582A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안내장치 | |
KR20000055577A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와 쉬라우드 결합장치 | |
KR100294672B1 (ko) | 공기조화기의응축수누수방지장치_ | |
KR100377749B1 (ko) | 벽매립형 일체형 공기조화기 | |
KR20030084358A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 | |
KR200231321Y1 (ko) | 분리형에어컨의풍량조절용스태빌라이저 | |
KR20000055580A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 | |
KR19990039636U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열교환기 결합장치 | |
KR20000055584A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튀김방지장치 | |
KR100209600B1 (ko) |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결합장치 | |
KR20000001986U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구조 | |
KR100443930B1 (ko) | 공기흐름 개선구조의 에어컨 실내기 | |
KR100550547B1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 |
KR100239464B1 (ko) |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 |
KR100456956B1 (ko) | 공기조화기 | |
KR19990037741U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블로워 결합장치 | |
KR200146116Y1 (ko) |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열교환기 안착장치 | |
KR0179265B1 (ko) | 패키지형 에어컨 | |
KR200288376Y1 (ko) | 팬코일의 송풍팬 및 모터장착구조 | |
KR20000007815A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용 좌우풍향루버의 과회동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30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