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21757A - 차량의 테일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 록/언록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테일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 록/언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757A
KR20000021757A KR1019980041019A KR19980041019A KR20000021757A KR 20000021757 A KR20000021757 A KR 20000021757A KR 1019980041019 A KR1019980041019 A KR 1019980041019A KR 19980041019 A KR19980041019 A KR 19980041019A KR 20000021757 A KR20000021757 A KR 20000021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ever
latch
outside handle
tail g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1638B1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8004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638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6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52Locking one wing by shutting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10) 및 글라스 아웃 사이드 핸들(12)로 각각의 테일 게이트 래치(14)와 글라스 래치(16)의 록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록/언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10)과 글라스 아웃 사이드 핸들(12)간에 배치된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과;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제2,제3의 아암(31,32,33)을 갖는 메인 레버(30)와; 상기 메인 레버(30)의 제 1아암(31)에 연결되어 상기 테일 게이트 래치(14)와 글라스 래치(16)를 동시에 록킹/언록킹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40)와;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10)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한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와;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에 의해 연동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테일게이트 래치 레버(14)의 록킹을 해제하는 테일 게이트 래치 레버(70)와;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12)에 연결된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80)와;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10)의 조작시 이에 연동하여 상기 글라스 래치(16)를 조작하는 글라스 래치 레버(90)와; 상기 메인레버(30)에 연동하여 상기 액튜에이터의 록킹/언록킹시 상기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와 테일 게이트 래치 레버(70) 그리고 상기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80)와 글라스 래치 레버(90)를 연결/해제시키는 링크수단(51,52,53,5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테일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 록/언록 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 록/언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일 게이트(tail gate)는 차량의 후미에 설치된 것으로 차량 내에 짐을 싣거나 꺼낼 때 사용되는 것으로, 이 테일 게이트에는 테일 게이트 글라스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테일 게이트는 테일 게이트 래치에 의해 차체에 록킹 및 언록킹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테일 게이트 글라스도 글라스 래치에 의해 록킹 및 언록킹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테일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가 각각의 분리된 록킹, 언록킹 장치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하게 되어 있어, 이들의 설치 또한 복잡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하나의 메카니즘에 의해 테일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의 여닫음을 가능토록 한 차량의 테일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 록/언록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10) 및 글라스 아웃 사이드 핸들(12)로 각각의 테일 게이트 래치(14)와 글라스 래치(16)의 록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10)과 글라스 아웃 사이드 핸들(12)간에 배치된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과;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제2,제3의 아암(31,32,33)을 갖는 메인 레버(30)와;
상기 메인 레버(30)의 제 1아암(31)에 연결되어 상기 테일 게이트 래치(14)와 글라스 래치(16)를 동시에 록킹/언록킹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40)와;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10)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한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와;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에 의해 연동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테일게이트 래치 레버(14)의 록킹을 해제하는 테일 게이트 래치 레버(70)와;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12)에 연결된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80)와;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10)의 조작시 이에 연동하여 상기 글라스 래치(16)를 조작하는 글라스 래치 레버(90)와;
상기 메인레버(30)에 연동하여 상기 액튜에이터의 록킹/언록킹시 상기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와 테일 게이트 래치 레버(70) 그리고 상기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80)와 글라스 래치 레버(90)를 연결/해제시키는 링크수단(51,52,53,5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수단에 의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로서 언록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로서 록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테일 게이트 래치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 래치의 잠금해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일 게이트 아웃 사이드핸들 12 : 글라스 아웃 사이드 핸들
14 : 테일 게이트 래치 16 : 글라스 래치
20 : 메인레버 지지브래킷 30 : 메인레버
40 : 액튜에이터 60 :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
70 : 테일 게이트 래치 레버 80 :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
90 : 글라스 래치 레버 100 : 키이 실린더
110 : 안전로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로서 언록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로서 록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테일 게이트 래치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 래치의 잠금해제 상태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테일 게이트(도시안됨)를 열기 위한 테일게이트 래치(14)잠금을 해제시키는 테일 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이고, 도면 부호 12는 테일 게이트상에 설치된 테일 글라스(도시안됨)를 열기 위한 글라스 래치(16)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이다.
상기 테일게이트 핸들(10)과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12)사이에는 테일 게이트의 벽면상에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의 일단측에는 후술할 링크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메인레버(30)가 힌지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메인레버(30)는 3개의 제1아암(31), 제2아암(32) 및 제3아암(3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메인 레버(30)의 제1아암(31)에는 링크(41)와 아암(42)을 통해 언록 또는 록(UNLOCK/LOCK)상태로 만들기 위한 액튜에이터(40)가 연결되어 있고, 이 액튜에이터(40)가 상기 테일 게이트 래치(14)와 글라스 래치(16)를 선택적으로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메인 레버(30)의 제2아암(32)에는 장공(32a)을 통해 후술할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와 테일 게이트 래치 레버(70) 그리고 상기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80)와 글라스 래치 레버(90)를 연결/해제시키는 링크수단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수단은 제1,제2,제3,제4의 링크(51,52,53,54)가 4절 링크로 연결되어 있고, 제 3,제4의 링크(53,54)에는 각각 장공(53a,54a)을 통해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의 장공(60a) 및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80)의 장공(80a)과 피봇 연결되어 있다.
상기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는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10)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또 상기 링크(53)의 동작 방향에 의해 회동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테일 게이트 래치 레버(70)는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에 의해 연동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테일게이트 래치(14)의 잠금을 해제하게 되어 있다.
상기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80)는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1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글라스 래치 레버(90)는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10)의 조작시 이에 연동하여 상기 글라스 래치(16)를 조작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레버(30)의 제3아암(33)에 상기 테일 게이트 래치(14) 및 글라스 래치(16)를 록킹/언록킹시키기 위한 키이 실린더(100)가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메인 레버(30)의 제3아암(33)에 상기 테일 게이트 래치(14) 및 글라스 래치(16)를 록킹/언록킹시키기 위한 안전로드(110)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액튜에이터(40), 키이 실린더(100) 또는 안전로드(110)중 어느 하나를 언록상태로 작동시켰을 시의 동작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같은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 핸들(10)을 잡아당김하게 되면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 핸들 레버(6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동시에 테일 게이트 래치 레버(70)가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고 테일 게이트 래치(14)의 잠금이 풀리게 된다.
또한 언록 상태에서 글라스 핸들(12)을 잡아당김하게 되면 로드(14)를 통해 글라스 핸들 레버(8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글라스 래치 레버(9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글라스 래치(16)가 풀림 작동하게 된다.
한편, 이같이 언록상태에서 테일 게이트 핸들(10) 또는 글라스 핸들(12)을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테일게이트(1) 또는 테일 글라스(2)가 열릴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2는 액튜에이터(40), 키이 실린더(100) 또는 안전로드(110)중 어느 하나를 록상태로 작동시켰을 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예로, 액튜에이터(40)가 록상태로 작동하면, 메인 레버(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메인 레버(30)의 제2아암(32)에 연결된 링크수단(51∼54)이 동작하여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와 테일 게이트 래치 레버(70) 그리고 상기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80)와 글라스 래치 레버(90)의 연결이 해제된다.
따라서 이같은 상태에서는 글라스 핸들(12) 또는 테일 게이트 핸들(10)을 작동시켜도 글라스 래치 레버(90)와 테일 게이트 래치 레버(70)는 작동을 하지 않아 글라스 래치(16) 및 테일 게이트 래치(14)의 잠금해제 동작은 일어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에 글라스 래치와 테일게이트 래치를 간편히 조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록킹/언록킹의 구조가 간단하여 작동 불량률이 적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Claims (3)

  1.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10) 및 글라스 아웃 사이드 핸들(12)로 각각의 테일 게이트 래치(14)와 글라스 래치(16)의 록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록/언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10)과 글라스 아웃 사이드 핸들(12)간에 배치된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과;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제2,제3의 아암(31,32,33)을 갖는 메인 레버(30)와;
    상기 메인 레버(30)의 제 1아암(31)에 연결되어 상기 테일 게이트 래치(14)와 글라스 래치(16)를 동시에 록킹/언록킹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40)와;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10)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한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와;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상기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에 의해 연동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테일게이트 래치 레버(14)의 록킹을 해제하는 테일 게이트 래치 레버(70)와;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12)에 연결된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80)와;
    상기 메인레버 지지브래킷(20)상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10)의 조작시 이에 연동하여 상기 글라스 래치(16)를 조작하는 글라스 래치 레버(90)와;
    상기 메인레버(30)에 연동하여 상기 액튜에이터의 록킹/언록킹시 상기 테일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60)와 테일 게이트 래치 레버(70) 그리고 상기 글라스 아웃사이드 핸들 레버(80)와 글라스 래치 레버(90)를 연결/해제시키는 링크수단(51,52,53,5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차량의 케일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 록/언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버(30)의 제3아암(33)에 상기 테일 게이트 래치(14) 및 글라스 래치(16)를 동시에 록킹/언록킹시키기 위한 키이실리더(10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 록/언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레버(30)의 제3아암(33)에 상기 테일 게이트 래치(14) 및 글라스 래치(16)를 동시에 록킹/언록킹시키기 위한 안전로드(11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 글라스 록/언록 장치.
KR1019980041019A 1998-09-30 1998-09-30 차량의테일게이트및테일게이트글라스록/언록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301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019A KR100301638B1 (ko) 1998-09-30 1998-09-30 차량의테일게이트및테일게이트글라스록/언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019A KR100301638B1 (ko) 1998-09-30 1998-09-30 차량의테일게이트및테일게이트글라스록/언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757A true KR20000021757A (ko) 2000-04-25
KR100301638B1 KR100301638B1 (ko) 2001-11-22

Family

ID=1955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019A Expired - Lifetime KR100301638B1 (ko) 1998-09-30 1998-09-30 차량의테일게이트및테일게이트글라스록/언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6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971A (ko) * 2001-07-21 2003-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플립 업 타입 테일 게이트 시스템
KR100384717B1 (ko) * 2001-07-13 2003-05-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게이트 록시스템
KR100444662B1 (ko) * 2001-08-14 2004-08-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핀결합 연계형 래치 구조
KR100456945B1 (ko) * 2002-06-11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용 승합차량의 테일 게이트 열림구조
KR100466239B1 (ko) * 2002-12-11 2005-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일체형의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 글래스 연결구조
KR100729530B1 (ko) * 2006-06-13 2007-06-18 평화정공 주식회사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717B1 (ko) * 2001-07-13 2003-05-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게이트 록시스템
KR20030008971A (ko) * 2001-07-21 2003-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플립 업 타입 테일 게이트 시스템
KR100444662B1 (ko) * 2001-08-14 2004-08-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핀결합 연계형 래치 구조
KR100456945B1 (ko) * 2002-06-11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용 승합차량의 테일 게이트 열림구조
KR100466239B1 (ko) * 2002-12-11 2005-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일체형의 테일게이트 및 플립업 글래스 연결구조
KR100729530B1 (ko) * 2006-06-13 2007-06-18 평화정공 주식회사 키 어셈블리 일체형 차량용 백도어 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1638B1 (ko) 200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3593A (en) Latch device used in vehicle door
JP4590411B2 (ja) 制御可能なハンドル操作を備えたドア・ロック
US6371538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block type anti-theft mechanism
US5947536A (en) Latch device for a tailgate of a vehicle
US20010035033A1 (en) Closing device
GB2276194A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5666834A (en) Anti-theft mechanism for a vehicle door lock device
JPH0285488A (ja) 中央ロック駆動装置と盗難防止装置を有する自動車ドア錠
KR100204959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US6082158A (en) Closing device
KR100301638B1 (ko) 차량의테일게이트및테일게이트글라스록/언록장치
US6431618B1 (en) Locking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KR20090102045A (ko) 자동차용 직결식 도어래치 장치
US6986534B2 (en) Door latch mechanism
JPH047432B2 (ko)
KR10043996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록킹장치
EP1418300B1 (en) Lock and latch coupling structure having control mechanism in vehicular tail gate locking system
KR100384717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록시스템
KR0114860Y1 (ko) 자동차의 도어 록킹장치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KR100394715B1 (ko) 자동차용 도어언록 시스템
KR0118543Y1 (ko) 자동차용 뒷문의 잠금장치
KR100380499B1 (ko) 도난 방지용 도어로크 장치
KR20080009840A (ko)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0118546Y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의 리모트 콘트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05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9033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